KR20200072896A -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2896A KR20200072896A KR1020180160986A KR20180160986A KR20200072896A KR 20200072896 A KR20200072896 A KR 20200072896A KR 1020180160986 A KR1020180160986 A KR 1020180160986A KR 20180160986 A KR20180160986 A KR 20180160986A KR 20200072896 A KR20200072896 A KR 202000728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e
- subject
- movement
- care subject
- movemen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7180 Psychiatric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RLPACMLTUPBCL-KQYNXXCUSA-N 5'-adenylyl sulfate Chemical compound C1=NC=2C(N)=NC=NC=2N1[C@@H]1O[C@H](COP(O)(=O)OS(O)(=O)=O)[C@@H](O)[C@H]1O IRLPACMLTUPBCL-KQYNXXCU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Econom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어 대상자를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외부에 알려줄 수 있는 IoT 개념의 센서 기반의 모니터링 장치로서,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상기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케어 센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서 측정한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거리를 기반으로 움직임 횟수와 이동량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한 움직임 횟수 또는 이동량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케어 대상자에 대한 상태를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하는 이상 징후 판단 모듈과, 상기 거동 불편 상황이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한 케어 센터 서버에 거동 불편 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기적 경기침체와 인구구조의 변화 등의 이유로 독거노인세대가 빠르게 증가하였고, 정부는 독거노인에 대한 보호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복지기관에서도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 등 독거노인에 대한 재가복지사업이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독거노인생활관리사는 정서지원, 생활교육, 서비스연계, 댁내시스템 점검 및 관리, 집안청소 등 상당히 많은 일을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 월60만원의 저임금으로 인해 인력이 부족하여 독거노인생활관리사 1인이 25명의 노인을 관리해야 하는 등 업무가 과중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인의 경우 대부분 한가지 이상의 질병을 갖고 있으며 이를 위해 꾸준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나 병원비의 부담으로 원활한 의료진료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경우 일반적인 생활의학 상식 이외에 전문적인 의료지식이 부족하여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더불어, 주택의 경우 생활하면서 파손되거나 교체가 요구되는 시설물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나 상기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대신 관리해 줄 수 있는 시설물관리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최근에는 독거노인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주택 내에 각종 센서를 장착하고 감지하여 건강 및 사고 등의 안전위해 요소를 미연에 감지 및 차단하기 위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으나 시스템의 초기설치비용 및 운용비용이 과도하여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거리를 측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케어 대상자의 거동 불편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고독사를 막을 수 있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동 불편 상황이 판단될 경우 영상 촬영 장치를 동작시켜 케어 대상자의 상태 이미지를 케어 센터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정확한 상태를 외부에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촬영 장치의 불필요한 동작을 줄일 수 있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는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상기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케어 센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서 측정한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거리를 기반으로 움직임 횟수와 이동량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한 움직임 횟수 또는 이동량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케어 대상자에 대한 상태를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하는 이상 징후 판단 모듈과, 상기 거동 불편 상황이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한 케어 센터 서버에 거동 불편 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모듈은 PIR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측정함과 더불어 도플러 레이더 원리를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케어 대상자를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케어 대상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케어 센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상 징후 판단 모듈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 횟수 및 거리를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누적 저장된 움직임 횟수 및 거리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케어 센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케어 센터 서버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상기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횟수 및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태가 거동 불편 상황인지를 판단한 후 거동 불편 상황인 경우 기 등록된 정보로 거동 불편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상태 관리 방법은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상기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외부의 케어 센터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기 설정된 동안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 저장된 상기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케어 대상자와 거리를 이용하여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 횟수 및 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케어 대상자의 이동량 및 움직임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이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알림 메시지를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케어 센터 서버에 전송하여 외부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케어 대상자의 이동량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을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이 거동 불편 상황인 것은 상기 움직임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이거나 상기 움직임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케어 대상자를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황 상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상황 상태 이미지를 상기 케어 센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거리를 측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케어 대상자의 거동 불편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고독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거동 불편 상황이 판단될 경우 영상 촬영 장치를 동작시켜 케어 대상자의 상태 이미지를 케어 센터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정확한 상태를 외부에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촬영 장치의 불필요한 동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 케어 대상자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독거노인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센터 서버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독거노인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센터 서버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 케어 대상자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상호 연결된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와 케어 센터 서버(2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망(10)은 이동 통신 라우터, 예컨대 LTE 라우터(미도시됨), LTE 라우터와 연결된 이동 통신 시스템(미도시됨) 및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LTE 라우터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출함으로써, 송출한 정보를 케어 센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인터넷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LTE 라우터를 통해 케어 센터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은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몇몇 통신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Wi-Fi(예컨대 802.11 프로토콜),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시스템들, 셀룰러 네트워크들(예컨대 GSM, AMPS, GPRS, CDMA, EV-DO, EDGE, 3GSM, DECT, IS-136/TDMA, iDen, LTE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프로토콜), 적외선, TCP/IP(예컨대 TCP/IP 레이어들 각각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 HTTP, 비트토런트(BitTorrent), FTP, RTP, RTSP, SSH, VOIP(Voice over IP), 임의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센싱 기능, 전원 기능 및 정보 송수신 기능 등을 포함하는 IoT 센서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케어 센터 서버(200)에 정보를 송신함과 더불어 케어 센터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기반의 휴먼 감지 장치(110)와 영상 촬영 장치(150)로 구성될 수 있다.
IoT 기반의 휴먼 감지 장치(110)는 공간 내 케어 대상자, 예컨대 집안 독거노인의 움직임과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에서 독거노인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한 거리 및 움직임을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IoT 기반의 휴먼 감지 장치(110)는 독거노인의 상태가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거동 불편 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케어 센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IoT 기반의 휴먼 감지 장치(110)는 독거노인의 움직임과 거리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움직임 횟수와 이동량을 계산하며, 계산한 움직임 횟수와 이동량을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IoT 기반의 휴먼 감지 장치(110)는 센서 모듈(112), 통신 모듈(114), 이상 징후 판단 모듈(116), 제어 모듈(118) 및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2)은 PIR 센서를 이용하여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와 공간 내 위치한 독거노인간의 거리를 측정함과 더불어 도플러 레이더 원리를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 내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센싱한 후 이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이상 징후 판단 모듈(116)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4)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10)에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를 접속시켜 케어 센터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센서 모듈(112)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케어 센터 서버(200)로 전송함과 더불어 케어 센터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 징후 판단 모듈(116)은 센싱 정보를 메모리(120)에 누적저장한 후 메모리(120)에 저장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독거노인 움직임 횟수 및 독거노인의 이동량을 계산하며, 계산한 독거노인 움직임 횟수와 이동량을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상태가 거동 불편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 징후 판단 모듈(116)은 센서 모듈(112)로부터 현재 제공받은 센싱 정보(현재 센서 모듈(112)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대응되는 센싱 값)와 메모리(120)에 저장된 이전 센싱 정보(이전에 센서 모듈(112)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대응되는 센싱 값)간의 차이값을 토대로 이동량(이동 거리)을 산출하며,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에 의해 독거노인의 움직임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움직임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움직임 횟수 계산을 위하여, 이상 징후 판단 모듈(116)은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검출될 때마다 소정 값이 증가하는 카운터(116a)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 징후 판단 모듈(116)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리셋되는 카운터(116a)를 구비하며, 움직임이 검출될 때마다 카운터(116a)의 값을 증가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되면 카운터(116a)의 값을 리셋(초기화)시킴과 더불어 카운터(116a)의 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8)은 이상 징후 판단 모듈(116)에 의해 독거노인의 상태가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메시지(독거노인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통신 모듈(114)을 통해 연결된 케어 센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8)은 영상 촬영 장치(150)를 동작시켜 영상 촬영 장치(150)로부터 영상을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상태 이미지를 생성하며, 메시지와 함께 생성한 상태 이미지를 케어 센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50)는 IoT 기반의 휴먼 감지 장치(110)와 소정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휴먼 감지 장치(11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촬영 장치(150)는 SPI, UART 또는 I2C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먼 감지 장치(110)와 연결되고, 휴먼 감지 장치(110)의 제어 모듈(118)에 의해 온되어 공간에 대응되는 영상을 촬영한 후 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먼 감지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먼 감지 장치(110)의 제어 모듈(118)은 영상에서 독거노인이 포함된 부분을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상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상태 이미지는 소정의 메시지와 함께 통신 모듈(114)을 케어 센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값, 예컨대 이동량과 움직임 횟수를 판단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임계값이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120)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임계값은 케어 센터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판단용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센서 모듈(112)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통신 모듈(114)을 통해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케어 센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케어 센터 서버(200)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메시지 및/또는 상태 이미지가 수신됨에 따라 기 설정된 정보, 예컨대 독거노인의 보호자가 등록한 이동 전화번호로 소정의 메시지 및/또는 상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어 센터 서버(200)는 통신망(10) 내 이동 통신 시스템과 연동하여 소정의 메시지 및/또는 상태 이미지를 기 설정된 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케어 센터 서버(200)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의 고유 식별자 정보에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시키며, 데이터베이스(210)에 누적 저장된 센싱 정보, 즉 움직임 횟수 및 이동량을 이용하여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의 시간대별 평균 이동량 및 움직임 횟수를 계산한 후 이를 기반으로 판단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판단용 정보는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임계값은 이동량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며, 제 2 임계값은 움직임 횟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가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를 이용한 독거노인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특정 공간, 예컨대 가정 내 거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거실 내 독거노인의 움직임과 독거노인과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간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메모리(120)에 저장한다(S300).
그런 다음,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메모리(120)에 저장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동량 및 움직임 횟수를 계산한다(S302). 여기에서, 이동량은 이전 센싱 정보인 이전 거리값과 현재 센싱 정보인 현재 거리값간의 차이 값을 통해 계산될 수 있으며, 움직임 횟수는 도플러 레이더 원리를 이용하여 공간 내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검출될 때마다 카운트하여 획득할 수 있다. 즉, 움직임 횟수는 움직임이 감지될 때마다 "1" 증가하는 카운터(116a)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이후,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움직임 횟수가 메모리(120)에 저장된 제 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304).
S304의 판단 결과, 제 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이동량이 메모리(120)에 저장된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306).
S306의 판단 결과,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센싱 정보를 초기화(S308)시킨 후 S300으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S304의 판단 결과 움직임 횟수가 제 2 임계값 이하이거나 이동량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영상 촬영 장치(150)를 구동(S310)시켜 영상 촬영 장치(1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한 후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상태 이미지를 생성한다(S312).
그런 다음,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태 이미지와 소정의 메시지(위급 알림 메시지)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케어 센터 서버(200)로 전송한다(S314). 이에 따라, 케어 센터 서버(200)는 기 설정된 정보, 예컨대 독거노인 보호자, 경찰서, 보호 단체 등의 정보로 상태 이미지를 전송하여 위급 상황을 외부에 알려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움직임 횟수와 이동량을 계산하여 케어 대상자인 독거노인의 거동 불편 상황을 판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케어 센터 서버(200)에서 실시간으로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 즉 움직임 및 거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거동 불편 상황을 체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어 센터 서버(200)는 실시간으로 수신한 센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 후 이를 기반으로 움직임 횟수 및 이동량을 계산하고, 계산한 결과를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거동 불편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케어 센터 서버(200)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활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 센터 서버(200)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케어 센터 서버(200)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움직임과 거리 측정을 통해 생성한 센싱 정보와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에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S400).
그런 다음, 케어 센터 서버(200)는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에 센싱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S402).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S404) 케어 센터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활동 패턴, 즉 시간대별 움직임 횟수, 이동량, 평균 움직임 횟수, 이동량 등을 계산한 후 이를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S406).
그런 다음, 케어 센터 서버(200)는 평균 움직임 횟수 및 이동량을 기반으로 제 1 임계 변경값과 제 2 임계 변경값을 계산하며, 제 1 및 제 2 임계 변경값을 포함한 판단용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통신망(10)을 통해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에 전송하여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에 설정된 제 1 및 제 2 임계값을 변경시킨다(S408, S410). 이에 따라,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신한 판단용 정보에서 제 1 임계 변경값과 제 2 임계 변경값을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임계값을 변경시킨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110 : 휴먼 감지 장치
112 : 센서 모듈
114 : 통신 모듈
116 : 이상 징후 판단 모듈
116a : 카운터
118 : 제어 모듈
120 : 메모리
150 : 영상 촬영 장치
200 : 케어 센터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110 : 휴먼 감지 장치
112 : 센서 모듈
114 : 통신 모듈
116 : 이상 징후 판단 모듈
116a : 카운터
118 : 제어 모듈
120 : 메모리
150 : 영상 촬영 장치
200 : 케어 센터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Claims (8)
-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상기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케어 센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서 측정한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거리를 기반으로 움직임 횟수와 이동량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한 움직임 횟수 또는 이동량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케어 대상자에 대한 상태를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하는 이상 징후 판단 모듈과,
상기 거동 불편 상황이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한 케어 센터 서버에 거동 불편 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PIR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측정함과 더불어 도플러 레이더 원리를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케어 대상자를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케어 대상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케어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징후 판단 모듈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 횟수 및 거리를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누적 저장된 움직임 횟수 및 거리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케어 센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케어 센터 서버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상기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횟수 및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태가 거동 불편 상황인지를 판단한 후 거동 불편 상황인 경우 기 등록된 정보로 거동 불편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상기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외부의 케어 센터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독거노인 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케어 대상자와의 거리를 기 설정된 동안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 저장된 상기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과 케어 대상자와 거리를 이용하여 케어 대상자의 움직임 횟수 및 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케어 대상자의 이동량 및 움직임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 내 케어 대상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이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알림 메시지를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케어 센터 서버에 전송하여 외부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어 대상자 상태 관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케어 대상자의 이동량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을 거동 불편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어 대상자의 상태 관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이 거동 불편 상황인 것은,
상기 움직임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이거나 상기 움직임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인 케어 대상자의 상태 관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케어 대상자를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황 상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상황 상태 이미지를 상기 케어 센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어 대상자의 상태 관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0986A KR20200072896A (ko) | 2018-12-13 | 2018-12-13 |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0986A KR20200072896A (ko) | 2018-12-13 | 2018-12-13 |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2896A true KR20200072896A (ko) | 2020-06-23 |
Family
ID=7113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0986A KR20200072896A (ko) | 2018-12-13 | 2018-12-13 |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7289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7369A (ko) * | 2021-04-02 | 2022-10-12 | 주식회사 모노라마 | 복지 대상 사례 발굴 지원 방법 및 서버 |
KR102548971B1 (ko) * | 2022-10-17 | 2023-06-29 |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 | 스마트 지능형 돌봄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4109A (ko) | 2013-05-13 | 2014-11-2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독거노인 케어 시스템 |
-
2018
- 2018-12-13 KR KR1020180160986A patent/KR2020007289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4109A (ko) | 2013-05-13 | 2014-11-2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독거노인 케어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7369A (ko) * | 2021-04-02 | 2022-10-12 | 주식회사 모노라마 | 복지 대상 사례 발굴 지원 방법 및 서버 |
KR102548971B1 (ko) * | 2022-10-17 | 2023-06-29 |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 | 스마트 지능형 돌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85452B2 (en) |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 |
JP6812772B2 (ja) | 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RU2685815C1 (ru) | Способ реагирования на обнаружение па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 |
US20150123787A1 (en) | Centrally managed lone work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KR101709715B1 (ko) | 카메라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제어 및 감시장치 | |
KR20180136770A (ko) |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 |
CN110197732B (zh) | 一种基于多传感器的远程健康监控系统、方法与设备 | |
KR102231183B1 (ko) |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 |
JP6123971B1 (ja) |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被監視者監視装置および被監視者監視方法 | |
EP3196854A1 (en) | Indoor activity detection based on tag tracking | |
KR20180106583A (ko) |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 |
KR20200072896A (ko) | 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어 대상자 관리 방법 | |
JP2020024694A (ja) | アラーム音検出装置 | |
KR20150061745A (ko) |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기반의 독거노인 위급상황 감지 시스템 | |
KR20170069728A (ko) | 노약자의 생체 및 정밀위치 정보의 추적 알고리즘에 기반한 노약자 안전관리시스템 | |
JP5697402B2 (ja) | 携帯端末、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を用いた健康管理方法 | |
KR20170043267A (ko) | 실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디바이스 | |
TWI656502B (zh) |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 |
KR20230050619A (ko) |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
KR100762449B1 (ko) |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 |
EP3482583B1 (en) | Transfer of a monitoring responsibility | |
KR100694510B1 (ko) | 개인의 이상 행동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1442129B1 (en) | Systemic certainty of event convergence | |
WO2024171245A1 (ja) | 所在確認システム、所在確認装置、所在確認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EP2982300B1 (en) | A system for identifying a change in walking speed of a pers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