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813A -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813A
KR20200071813A KR1020180152383A KR20180152383A KR20200071813A KR 20200071813 A KR20200071813 A KR 20200071813A KR 1020180152383 A KR1020180152383 A KR 1020180152383A KR 20180152383 A KR20180152383 A KR 20180152383A KR 20200071813 A KR20200071813 A KR 20200071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driver
cluster
image
graph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슬아
김주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1813A/ko
Priority to US16/596,477 priority patent/US20200174267A1/en
Priority to DE102019129884.9A priority patent/DE102019129884A1/de
Priority to CN201911083965.0A priority patent/CN111263135A/zh
Publication of KR2020007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B60K35/10
    • B60K35/211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02Arrangemen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61Image signal generators with monoscopic-to-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 H04N13/268Image signal generators with monoscopic-to-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based on depth image-based rendering [DI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0Input devices or features thereof
    • B60K2370/11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5Output devices or features thereof
    • B60K2370/152Displays
    • B60K2370/1531Three-dimension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3D 클러스터를 구현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위치에 적합하도록 3D 클러스터의 배리어를 수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은, 운전자의 좌안을 위한 영상과 우안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좌안을 위한 영상과 상기 우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어 상기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3D CLUSTER AND CALIBRATION MTE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클러스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스테레오 3D 콘텐츠 수요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스테레오 3D 콘텐츠에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Maya나 3D MAX, 라이노와 같은 모델링툴에서도 가상의 건축물을 몰입감 있게 관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테레오 렌더링을 적용한 시각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스테레오 3D 콘텐츠는 인간의 양안 요인(binocular cue)을 이용하여 왼쪽과 오른쪽 시야에 해당하는 영상을 투사하여 입체감 및 깊이를 느끼도록 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스테레오 렌더링에서는 가상 공간에서 인간의 양안과 유사하게 두 대의 카메라를 배치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이 영상을 각 안구의 망막에 맺히도록 유도하여 운전자가 영상의 깊이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3D 클러스터를 구현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위치에 적합하도록 3D 클러스터의 배리어를 수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은, 운전자의 좌안을 위한 영상과 우안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좌안을 위한 영상과 상기 우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어 상기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현재의 상기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적합한 상기 배리어의 제 1 설정 값과, 상기 배리어의 현재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설정 값 사이의 오차를 나타내도록 표시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1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1 객체와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2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오차를 나타낸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리어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오차가 감소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그래픽 상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그래픽 요소와 함께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상기 운전자에 의해 변경된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운전석의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과 연동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3D 클러스터는, 운전자의 좌안을 위한 영상과 우안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좌안을 위한 영상과 상기 우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어 상기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리어와;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에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현재의 상기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적합한 상기 배리어의 제 1 설정 값과, 상기 배리어의 현재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설정 값 사이의 오차를 나타내도록 표시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에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1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1 객체와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2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오차를 나타낸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에서,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리어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오차가 감소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그래픽 상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에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그래픽 요소와 함께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변경된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저장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운전석의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과 연동시켜 저장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3D 클러스터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좌안을 위한 영상과 우안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좌안을 위한 영상과 상기 우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어 상기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상기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적합한 상기 배리어의 제 1 설정 값과, 상기 배리어의 현재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설정 값 사이의 오차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에 의해 변경된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운전석의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과 연동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1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1 객체와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2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오차를 나타낸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리어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오차가 감소한다.
상술한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그래픽 상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3D 클러스터를 구현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위치에 적합하도록 3D 클러스터의 배리어를 수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클러스터의 3D 그래픽의 구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의 양안 사이의 거리와 배리어의 배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동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의 수동 보정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의 수동 보정을 안내하기 위한 시작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의 배리어의 실질적인 보정을 위한 안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빨간색 공이 파란색 공에 일치된(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메모리 시트와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리어 설정의 연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3D 클러스터(102)의 구성과 함께, 3D 클러스터(102)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을 나타내었다. 3D 클러스터(102)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104)는 3D 클러스터(1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제어부(104)는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적합하도록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Barrier)의 배열을 제어함으로써 3D 클러스터(102)에서 3D 그래픽을 구현한다.
카메라(106)는 운전자의 시선/얼굴을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카메라(106)의 시선/얼굴 인식을 통해 제어부(104)는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3D 클러스터(102)의 3D 그래픽은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어서,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수록 더 높은 품질의 3D 그래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08)는 카메라(106)를 통해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이미지 처리부(108)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시선에 최적화된 3D 그래픽을 구현한다.
3D 디스플레이 패널(배리어 포함)(110)은 운전자의 시선/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3D 그래픽을 구현하도록 마련된다.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해 구현되는 3D 그래픽은 자동차에서 3D 클러스터(102)를 통해 운전자에게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배리어는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따라 배열을 달리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에 적합한 3D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배리어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통신부(122)는 3D 클러스터(102)의 제어부(104)가 운전석의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과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3D 클러스터(102)의 제어부(104)는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과의 통신을 통해 운전석 메모리 시트(154)의 설정 상태를 파악하여 3D 클러스터(102)의 3D 그래픽의 구현에 반영함으로써 3D 클러스터(102)에서 최적의 3D 그래픽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124)는 운전석 메모리 시트(154)의 설정 상태에 대응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의 배열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은 운전자에 맞는 최적의 운전석 위치를 기억해 두었다가, 운전자가 탑승하면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석 메모리 시트(154)의 설정 값 대로 운전석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해 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전석에 탑승하여 엔진의 시동을 걸면(202), 3D 클러스터(102)의 제어부(104)는 카메라(106)를 동작시켜서 운전자를 촬영하여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한다(204).
제어부(104)는 운전자의 얼굴 인식 결과로부터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를 판단한다(206).
또한 제어부(104)는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기초하여 초점을 설정한다(offset)(208). 초점 거리는 운전자의 양안의 중심점(도 4의 402 참조)과 3D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운전자의 양안의 중심점의 위치가 항상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면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므로, 운전자의 양안의 중심점이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면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지(offset)를 파악하여 초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04)는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가 변경되는지를 카메라(106)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210). 만약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채 몸을 움직여서 운전자의 양안의 중심점이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면에서 벗어나면(offset > 0), 제어부(104)는 오프셋의 크기를 반영하여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의 배열을 가변 제어한다(212). 이와 같은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의 가변 제어를 통해 운전자에게 항상 최적화된 3D 그래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동안 카메라(106)를 통해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를 계속 추적하면서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 변경을 반영하여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의 배열도 계속 가변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클러스터의 3D 그래픽의 구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3D 클러스터(102)는 자동차의 클러스터를 3D 그래픽으로 구현하여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한 것이다. 3D 그래픽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좌안을 위한 영상(L)과 우안을 위한 영상(R)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뇌에서 두 개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면서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그래픽 표현 기법이다.
이를 위해, 하나의 영상을 좌안을 위한 영상(L)과 우안을 위한 영상(R)으로 구분하고, 배리어(302)를 통해 좌안을 위한 영상(L)은 사용자의 좌안에만 입력되도록 하고 우안을 위한 영상(R)은 사용자의 우안에만 입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의 변경에 따른 배리어(302)의 배열의 가변 제어는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에 맞는 최적의 3D 그래픽의 구현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도 4는 사용자의 양안 사이의 거리와 배리어의 배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리어 배열은 양안 사이의 거리가 65mm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계된다. 도 4(A)는 양안 사이의 거리가 50mm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만약 도 4(A)에 나타낸 것처럼 운전자의 양안 사이의 거리가 실제로는 50mm임에도 불구하고,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양안 사이의 거리가 65mm인 것으로 가정하고 중심점(412)에 대해 오프셋을 설정하면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의 배열이 운전자의 양안 사이의 실제 거리를 반영하지 못하여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발생한다. 크로스토크 현상은, 배리어가 좌안을 위한 영상과 우안을 위한 영상을 정확히 가르지 못하여 좌안을 위한 영상이 우안에도 보이거나 반대로 우안을 위한 영상이 좌안에도 보이는 현상이다.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하면 운전자의 눈에는 영상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의 기본적인 배열 상태가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와 매칭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에서는 운전자가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의 배열 상태를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매칭되도록 수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D 클러스터(102)에서 최적의 3D 그래픽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동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는, 3D 클러스터(102)의 3D 그래픽이 운전자 자신에게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3D 그래픽의 최적화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의 수동 보정을 선택할 수 있다(502).
만약 운전자가 3D 클러스터(102)의 3D 그래픽의 품질에 만족하여 3D 클러스터(102)의 수동 보정을 선택하지 않으면(502의 '아니오'), 제어부(104)는 현재의 3D 클러스터(102)의 현재의 초점 설정을 그래도 유지한다(504).
반대로, 만약 운전자가 3D 클러스터(102)의 3D 그래픽의 품질에 만족하지 않아 3D 클러스터(102)의 수동 보정을 선택하면(502의 '예'), 제어부(102)는 3D 클러스터(102)의 수동 보정을 위한 가이드를 시작한다(506).
이를 위해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102)의 수동 보정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의 수동 보정은 도 6(A)에서 도 6(C)의 순서로 3D 클러스터(102)의 보정 모드를 선택하고, 3D 클러스터(102)의 보정 모드의 선택이 완료되면 도 6(D)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배리어(302)의 수동 보정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표시한다.
먼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 메뉴]에서 '3D 클러스터'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 클러스터 메뉴]에서는 '3D 배리어 수동 보정'을 선택한다. 이어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 배리어 수동 보정] 메뉴에서 '배리어 1 (배리어 보정 모드 진입'을 선택한다. 도 6(C)에서 '배리어 1' 및 '배리어 2'와 같이 배리어가 복수로 구분되어 있는 것은 자동차를 복수의 운전자가 공유하는 경우 운전자마다 양안의 위치를 다른 것을 고려하여 각각의 운전자 별로 고유의 배리어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3D 클러스터(102)의 수동 보정은, 운전자가 3D 클러스터(102)의 3D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표시되는 가이드 화면에서 요구하는 대로 필요한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작 화면이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102)의 수동 보정을 안내하기 위한 시작 화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이미지(702)를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하고, "지금부터 튜토리얼을 따라 입체감을 최적의 상태로 설정해 보세요. 스티어링 휠의 버튼을 이용하여 조작을 시작합니다."와 같은 안내 멘트를 함께 표시한다. 운전자는 실제의 스티어링 휠에 마련되어 있는 오케이 버튼(704)을 누름으로써 3D 클러스터(102)의 수동 보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어서,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가이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102)의 배리어(302)의 실질적인 보정을 위한 안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빨간색 공(ball)(802)과 파란색 공(804)을 표시하고, "지금부터 빨간색 공을 움직여 파란색 공에 일치시켜 주세요. 완전히 일치하는 순간 [OK] 버튼을 눌러 주세요."와 같은 안내 멘트를 함께 표시한다.
도 5로 돌아와서, 이와 같은 안내 멘트에 따라 운전자는 화면 상의 빨간색 공(802)을 파란색 공(804)에 일치시키기 위해 미리 약속된 방향 키를 이용하여 화면 상의 빨간색 공(802)을 좌우로 이동한다(508). 여기서 미리 약속된 방향 키는 스티어링 휠(702)에 마련되어 있는 방향 키일 수 있다. 만약 스티어링 휠(702)에 좌우 방향 키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상하 방향 키를 대신 이용하여 빨간색 공(802)을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향 방향 키는 좌향 방향 키로 이용하고, 하향 방향 키는 우향 방향 키로 이용할 수 있다.
운전자가 미리 약속된 방향 키를 이용하여 빨간색 공(802)을 좌우로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 즉 빨간색 공(802)이 파란색 공(804)에 일치하는 위치(도 9의 906 참조)에서 오케이 버튼(704)을 누르면 3D 클러스터(102)의 배리어(302)이 보정이 완료된다(510). 도 9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빨간색 공(802)이 파란색 공(804)에 일치된(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빨간색 공(802)과 파란색 공(804) 사이의 간격은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대한 배리어(302)의 상대적 배열 상태를 의미한다. 만약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 및 3D 클러스터(102)까지의 거리가 기본 설계 값보다 크거나 작으면 빨간색 공(802)과 파란색 공(804) 사이의 간격도 기본 설계 값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 및 3D 클러스터(102)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도 8의 빨간색 공(802)과 파란색 공(804) 사이의 거리가 달라진다. 운전자가 도 8의 빨간색 공(802)을 이동시켜서 빨간색 공(802)이 파란색 공(804)에 일치(중첩)하도록 하면, 제어부(104)는 빨간색 공(802)이 파란색 공(804)에 일치할 때까지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는 값만큼 배리어(302)의 배열을 가변 조정함으로써,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가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 및 3D 클러스터(102)까지의 거리에 매칭되는 배열을 갖도록 한다.
도 3으로 돌아와서, 제어부(104)는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의 수동 조정이 완료되면, 배리어(302)의 배열이 가변 조정된 만큼 초점 설정을 변경하여 새로운 값으로서 메모리(124)에 저장한다(offset1 = offset + α)(512).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3D 클러스터(102)의 수동 보정이 완료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메모리 시트와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리어 설정의 연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제어 방법은, 운전석 메모리 시트(154)의 설정이 '메모리 시트 1' 및 '메모리 시트 2'의 2개 이상의 설정이 가능하고, 또 3D 클러스터(102)의 배리어(302)의 설정 역시 2개 이상의 설정이 가능한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은 도 10의 제어 방법은, 운전석 메모리 시트(154)의 설정과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의 설정을 연동시키고, 각각의 운전자마다 운전석 메모리 시트(154)의 선택에 응답하여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운전자 각각에 맞는 3D 클러스터(102)의 최적화된 그래픽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과의 통신을 통해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에 기억되어 있는 운전석 메모리 시트(154)의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1002). 만약 '메모리 시트 #1'의 설정 값이 존재하면 1002의 '#1'로 진행하고, '메모리 시트 #2'의 설정 값이 존재하면 1002의 '#2'로 진행하며, 운전석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1002의 '미설정'으로 진행한다.
만약 메모리 시트 #1의 설정 값이 존재하면(1002의 '#1'), 제어부(104)는 메모리 시트 #1에 3D 클러스터(102)의 배리어 #1을 배정하여 서로 연동시킨다(1012). 3D 클러스터(102)의 '배리어 #1'은 운전자 별로 배리어(302)의 설정 값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메모리 시트 #1에 배리어 #1이 배정된 상태에서, 메모리 시트 #1의 해당 운전자(편의 상 운전자 #1로 구분함)가 배리어(302)를 운전자 #1 자신에게 최적화되도록 수동 보정하면(1014의 '예'), 제어부(104)는 배리어(302)의 수동 보정에 의해 변경된 설정 값을 메모리 시트 #1에 매칭시켜서 메모리(124)를 업데이트 한다(1016). 즉, 메모리 시트 #1과 배리어 #1이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운전자 #1의 수동 보정에 의해 배리어 #1의 설정 값이 변경되면, 제어부(104)는 메모리(124)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배리어 #1의 설정 값을 운전자 #1의 수동 보정에 의해 변경된 새로운 배리어 #1의 설정 값으로 대체한다.
반대로, 메모리 시트 #1에 배리어 #1이 배정된 상태에서, 메모리 시트 #1의 운전자 #1이 배리어(302)를 수동 보정하지 않으면(1014의 '아니오'), 제어부(104)는 메모리(124)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시트 #1과 배리어 #1의 설정 값을 기존의 설정 값으로 그대로 유지한다(1088).
1012로 돌아와서, 만약 메모리 시트 #2의 설정 값이 존재하면(1002의 '#2'), 제어부(104)는 메모리 시트 #2에 3D 클러스터(102)의 배리어 #2을 배정하여 서로 연동시킨다(1032). 3D 클러스터(102)의 '배리어 #2'는 운전자 별로 배리어(302)의 설정 값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3D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리어(302)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메모리 시트 #2에 배리어 #2가 배정된 상태에서, 메모리 시트 #2의 해당 운전자(편의 상 운전자 #2로 구분함)가 배리어(302)를 운전자 #2 자신에게 최적화되도록 수동 보정하면(1034의 '예'), 제어부(104)는 배리어(302)의 수동 보정에 의해 변경된 설정 값을 메모리 시트 #2에 매칭시켜서 메모리(124)를 업데이트 한다(1036). 즉, 메모리 시트 #2와 배리어 #2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운전자 #2의 수동 보정에 의해 배리어 #2의 설정 값이 변경되면, 제어부(104)는 메모리(124)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배리어 #2의 설정 값을 운전자 #2의 수동 보정에 의해 변경된 새로운 배리어 #2의 설정 값으로 대체한다.
반대로, 메모리 시트 #2에 배리어 #2가 배정된 상태에서, 메모리 시트 #2의 운전자 #2가 배리어(302)를 수동 보정하지 않으면(1034의 '아니오'), 제어부(104)는 메모리(124)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시트 #2와 배리어 #2의 설정 값을 기존의 설정 값으로 그대로 유지한다(1088).
1012로 돌아와서, 만약 메모리 시트의 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1002의 '미설정'), 제어부(104)는 운전자가 배리어(302)를 운전자 자신에게 최적화되도록 수동 보정하는지를 확인한다(1054).
운전자가 배리어(302)를 운전자 자신에게 최적화되도록 수동 보정하면(1054의 '예'), 제어부(104)는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을 저장할 것인지를 운전자에게 확인한다(1056). 메모리 시트 설정 값의 저장 여부의 확인은 3D 클러스터(102) 상에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운전자의 응답 입력을 통해 확인한다.
만약 운전자가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을 저장하기를 희망하면(1056의 '예'), 제어부(104)는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을 '메모리 시트 #1'의 설정 값으로서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에 저장하고, 메모리 시트 #1의 설정 값을 현재의 배리어(302)의 설정 값(예를 들면 배리어 #1)과 매칭시켜서 메모리(124)에 저장한다(1058). 또는, 만약 운전자가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을 저장하기를 희망하면(1056의 '예'), 제어부(104)는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을 '메모리 시트 #2'의 설정 값으로서 메모리 시트 시스템(152)에 저장하고, 메모리 시트 #2의 설정 값을 현재의 배리어(302)의 설정 값(예를 들면 배리어 #2)과 매칭시켜서 메모리(124)에 저장할 수 있다(1060).
반대로, 운전자가 배리어(302)를 수동 보정하지 않거나(1054의 '아니오')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을 저장하기를 희망하지 않으면(1056의 '아니오'), 제어부(104)는 메모리(124)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배리어 설정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1088).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 3D 클러스터
104 : 제어부
106 : 카메라
108 : 이미지 처리부
110 : 3D 디스플레이 패널
122 : 통신부
124 : 메모리
152 : 메모리 시트 시스템
154 : 운전석 메모리 시트
302 : 배리어
402, 412 : 양안의 중심점
702 : 스티어링 휠의 이미지
704 : 오케이 버튼
802, 804 : 배리어 보정을 위한 그래픽 요소

Claims (20)

  1. 운전자의 좌안을 위한 영상과 우안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좌안을 위한 영상과 상기 우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어 상기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현재의 상기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적합한 상기 배리어의 제 1 설정 값과, 상기 배리어의 현재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설정 값 사이의 오차를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1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1 객체와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2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오차를 나타내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리어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오차가 감소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그래픽 상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그래픽 요소와 함께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 의해 변경된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운전석의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과 연동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9. 운전자의 좌안을 위한 영상과 우안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좌안을 위한 영상과 상기 우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어 상기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리어와;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현재의 상기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적합한 상기 배리어의 제 1 설정 값과, 상기 배리어의 현재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설정 값 사이의 오차를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3D 클러스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1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1 객체와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2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오차를 나타내는 3D 클러스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리어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오차가 감소하는 3D 클러스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그래픽 상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3D 클러스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그래픽 요소와 함께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3D 클러스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변경된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저장하는 3D 클러스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운전석의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과 연동시켜 저장하는 3D 클러스터.
  17. 운전자의 좌안을 위한 영상과 우안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3D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좌안을 위한 영상과 상기 우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어 상기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상기 운전자의 양안의 위치에 적합한 상기 배리어의 제 1 설정 값과, 상기 배리어의 현재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설정 값 사이의 오차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에 의해 변경된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배리어의 새로운 배열 상태의 설정 값을 운전석의 현재의 메모리 시트 설정 값과 연동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1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1 객체와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 2 설정 값을 대표하는 제 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오차를 나타내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리어의 배열이 변경되어 상기 오차가 감소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상기 3D 디스플레이 패널의 그래픽 상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3D 클러스터의 보정 방법.
KR1020180152383A 2018-11-30 2018-11-30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 KR20200071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83A KR20200071813A (ko) 2018-11-30 2018-11-30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
US16/596,477 US20200174267A1 (en) 2018-11-30 2019-10-08 3d cluster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same
DE102019129884.9A DE102019129884A1 (de) 2018-11-30 2019-11-06 3d-kombinationsinstrument und verfahren zum kalibrieren desselben
CN201911083965.0A CN111263135A (zh) 2018-11-30 2019-11-07 3d仪表盘及其校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383A KR20200071813A (ko) 2018-11-30 2018-11-30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813A true KR20200071813A (ko) 2020-06-22

Family

ID=7068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383A KR20200071813A (ko) 2018-11-30 2018-11-30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74267A1 (ko)
KR (1) KR20200071813A (ko)
CN (1) CN111263135A (ko)
DE (1) DE102019129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6225B (zh) * 2021-01-05 2023-11-24 重庆阿尔特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组合仪表盲区校核方法
KR20230018075A (ko) * 2021-07-29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차 광학 소자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30046566A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룩 다운 앵글의 변화에 대한 시차 광학 소자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8464A1 (en) * 2014-04-30 2015-11-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lignment of a three-dimensional display within a vehicle
KR101916426B1 (ko) * 2016-07-22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63135A (zh) 2020-06-09
US20200174267A1 (en) 2020-06-04
DE102019129884A1 (de)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4973B2 (en) Focal distance correcting vehicle display
CN104253990B (zh) 用车辆视野显示装置的成像器显示三维图像的方法和设备
JP4857885B2 (ja) 表示装置
KR20200071813A (ko) 3d 클러스터 및 그 보정 방법
US73194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WO2018142610A1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4367212B2 (ja) 虚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257978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JP2021534464A (ja) 画像を地面に位置させて運転手の視点に拡張現実を実現する3次元拡張現実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6384053B2 (ja) 後写鏡角度設定システム、後写鏡角度設定方法および後写鏡角度設定プログラム
EP3687860B1 (en) Full display mirror with accommodation correction
EP3580603B1 (en) Vehicle display comprising projection system
WO2019004238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9102936A (ja) 表示装置、電子ミラー、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745190B1 (ko) 입체감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9402068B2 (en) Lens system for 3D video taking
US20120300034A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WO2018042861A1 (ja) 車両用操作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346315B1 (en) Three-dimensional image device for providing improved sense of immersion and game device using same
JPWO2018101170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ミラー
CN106289305A (zh) 车载显示装置
JP2004229083A (ja) 表示装置及び方法
JP2016004481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WO2012060169A1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調整方法
JP7397152B2 (ja) 画像を地面に位置させて運転手の視点に拡張現実を実現する3次元拡張現実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