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456A -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456A
KR20200071456A KR1020180159207A KR20180159207A KR20200071456A KR 20200071456 A KR20200071456 A KR 20200071456A KR 1020180159207 A KR1020180159207 A KR 1020180159207A KR 20180159207 A KR20180159207 A KR 20180159207A KR 20200071456 A KR20200071456 A KR 2020007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device
information
foot
system server
foot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912B1 (ko
Inventor
송진우
Original Assignee
송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우 filed Critical 송진우
Priority to KR1020180159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9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4Frequency, e.g. of vibration osc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7Display screens, e.g. monitors, video display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는 시스템서버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구름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로 상기 발구름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발구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벤트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FOOT-MOVEMENT SENSING DEVICE FOR MULTI-SCREEN SPORTS AND SYSTEM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구름 센싱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목의 스크린 스포츠에서 걷기 또는 달리기를 정보 및 사용자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크린 골프, 스크린 야구 등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한 놀이시설이 유행하고 있다. 종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공의 타격에 따른 물리 량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공의 이동 궤적에 대한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게임의 흥미를 더하고 실제 야외에서 게임을 즐기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하고 있다.
골프, 야구, 축구 등 스크린 스포츠 시뮬레이션 환경에서는 주로 공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게임이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야구의 경우 주루플레이도 게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주루플레이가 포함되지 않는다면 실제 야구게임에 대한 충분한 시뮬레이션이 되기 어렵다. 축구의 경우도 세트피스 상황을 훈련하는 방식으로는 종래 스크린 골프 또는 스크린 야구와 같이 정지된 상태의 공을 가격하는 훈련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실제 운동장에서 달리는 것과 같은 상황을 연습하기 어렵다.
골프의 경우는 실제 필드에서 즐기는 골프의 흥미요소를 잘 접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야구, 축구에 비하여 걷거나 뛰는 부분이 비중을 크게 차지 하지는 않는다. 다만, 골프 공을 타격하는 것만으로는 실제 필드에 나선 것과 같은 느낌을 갖기에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한편, 공교육 기관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에서는 다수의 반으로 편성되어 각각의 학급별로 정해진 학업 스케줄에 따라서 수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악천후 시에도 스케줄에 따라 체육수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실내 강당 등을 이용한 체육활동이 가능하지만, 운동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좁은 공간을 이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스크린 스포츠의 장점은 교육목적의 활용성 측면에서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일정한 스케줄에 따라서 교과 커리큘럼이 정해진 공교육 현장에서 악천후 시 실내공간을 체육교육에 활용할 경우 더욱 그 활용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걷기 또는 달리기와 관련한 정보의 입력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면 흥미 뿐만 아니라 실제 체력 증진에 도움을 주고 보다 과학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는 실제 스포츠에서 필수적인 걷기, 뛰기 또는 무게중심의 이동 등과 관련한 사용자의 발구름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는 시스템서버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구름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로 상기 발구름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발구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벤트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로부터 상기 발구름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는 시스템서버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동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로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무게중심이동정보와 이미지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타구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로부터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는 각각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계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로부터 전송된 세팅정보 또는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세팅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상호 위치의 계측신호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로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는 실제 스포츠에서 필수적인 걷기, 뛰기 또는 무게중심의 이동 등과 관련한 사용자의 발구름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실제 경기에 임하는 것과 거의 유사한 체험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기능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서버 또는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서버 또는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서버 또는 사용자 기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4G, 5G,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구름 센싱장치, 시스템서버 또는 사용자 기기 등은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WCDMA, Wibro, WiFi, LTE, LTE-A, 유무선 전화망 등의 각종 네트워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제1 발구름 센싱장치)(100)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는 시스템서버(300)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100);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120); 및 상기 센싱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발구름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300) 상기 발구름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발구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벤트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10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120)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데이터통신부(100)는 3G, LTE, LTE-A, 4G, 5G, WiFi,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통신케이블을 통하여 다른 장치 등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센싱부(120)는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발구름 센싱장치 상에서 사용자가 발구름 동작을 하는 경우, 발구름 횟수와 발구름 주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동을 감지한 후 각각의 진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발을 디딤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거나, 또는 발을 디딛는 경우 광의 굴절 또는 차단 등을 인식하는 등의 방식의 센서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계측제어부(130)는 센싱부(120)의 계측을 중단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하여 시스템서버(300)부터 전송되어 입력된 정보를 근거로 중단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서버(300)부터 발구름을 중단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이벤트종결정보가 계측제어부(130)에 전달되면, 계측제어부(130)는 센싱부(120)의 계측을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발구름 행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계측제어부(130)는 상기 시스템서버(300)부터 상기 발구름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120)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발구름 센싱장치 상에서 발구름 준비를 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발구름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정보는 제외하고 실제 발구름이 개시될 필요가 있는 때에 발구름 정보를 생성해 냄으로써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제2 발구름 센싱장치)(200)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제2 발구름센싱장치)(200)는 시스템서버(300)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110);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계측제어부(220); 및 상기 계측제어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동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300)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무게중심이동정보와 이미지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타구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계측제어부(220)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230);를 포함한다.
계측제어부(220)는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제어부(220)는 발구름 센싱장치 상에서 사용자가 양 발을 딛고 골프클럽 또는 야구배트를 휘두르거나, 한 발을 딛고 다른 발로 축구공을 차는 등의 동작을 하는 경우, 최초 무게 인식지점으로부터 무게의 최종 인식지점까지의 무게 변화의 흐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동을 감지한 후 최초 또는 최후진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발을 디딤에 의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또는 발을 딛는 경우 광의 굴절 또는 차단하는 순서의 변화 등을 인식하는 방식의 센서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계측제어부(230)는 계측제어부(220)의 계측을 중단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하여 시스템서버(300)부터 전송되어 입력된 정보를 근거로 중단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측제어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동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300)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무게중심이동정보와 이미지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타구종결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즉, 무게중심을 이동하며 배트스윙을 함으로써 스윙이 완결되는데, 이와 관련한 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타격을 위한 배트 스윙이 시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계측제어부(230)는 즉시 또는 순차로 계측제어부(220)의 계측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발구름 센싱장치 역시 발구름 센싱장치와 마찬가지로 계측제어부는 시스템서버(300)부터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타구종결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서버(300)부터 체중이동의 계측을 중단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이벤트종결정보가 계측제어부(230)에 전달되면, 계측제어부(230)는 센싱부(220)의 계측을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발구름 행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300)부터 상기 발구름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발구름 센싱장치 상에서 발구름 준비를 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발구름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정보는 제외하고 실제 발구름이 개시될 필요가 있는 때에 발구름 정보를 생성해 냄으로써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300)부터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또는 발구름 센싱장치는 각각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계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300)부터 전송된 세팅정보 또는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세팅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상호 위치의 계측신호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300)로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1 발구름 센싱장치는 발구름의 횟수, 주기, 발구름의 강약을 측정하는 한편, 시스템서버에 상기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달리거나 또는 걷는 경우와 같은 정보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발구름 센싱장치는 야구의 경우, 좌우타석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의 압력, 진동,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변화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구름 센싱장치(제1 발구름 센싱장치 또는 제2 발구름 센싱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 서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중심이동을 측정한 이후 달리기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 또는 반대의 경우, 제1 발구름 센싱장치 및 제2 발구름 센싱장치의 경우나 제1 발구름 센싱장치 또는 제2 발구름 센싱장치 사이를 오가는 경우, 각각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의설치 위치에 따른 측정값이 반영되어 실제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위하여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300)부터 전송된 세팅정보 또는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세팅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상호 위치의 계측신호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300)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약 20m의 거리를 달린 후 축구공을 키킹(타격)하기 위한 훈련을 한다고 가정할 때, 제1 발구름 센싱장치과 제2 발구름 센싱장치의 사이의 실제 거리가 약 5m라면, 제1 발구름 센싱장치를 약 15m 정도 달린 때에 사용자에게 발구름종결정보를 스크린 또는 스피커로 알려주고, 나머지 5m를 달려 키킹 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시스템서버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구름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로 상기 발구름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발구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벤트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로부터 상기 발구름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3. 시스템서버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비된 데이터통신부;
    진동감지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동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로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서버가 상기 수신된 무게중심이동정보와 이미지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타구종결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계측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계측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로부터 상기 무게중심이동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발구름 센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는 각각 상호 위치를 인식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계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계측제어부는 상기 시스템서버로부터 전송된 세팅정보 또는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세팅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상호 위치의 계측신호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발구름 센싱장치의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서버로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KR1020180159207A 2018-12-11 2018-12-11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225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207A KR102225912B1 (ko) 2018-12-11 2018-12-11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207A KR102225912B1 (ko) 2018-12-11 2018-12-11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456A true KR20200071456A (ko) 2020-06-19
KR102225912B1 KR102225912B1 (ko) 2021-03-09

Family

ID=7113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207A KR102225912B1 (ko) 2018-12-11 2018-12-11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9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419A (ko) * 2009-09-30 2011-04-06 (주) 골프존 골프 연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중이동 분석방법
KR20110088758A (ko) * 2010-01-29 2011-08-0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균형 및 체중이동 훈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419A (ko) * 2009-09-30 2011-04-06 (주) 골프존 골프 연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중이동 분석방법
KR20110088758A (ko) * 2010-01-29 2011-08-0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균형 및 체중이동 훈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912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ed gameplay based on a geospatial position
US20140235348A1 (en) Sensor-based gaming system for an avatar to represent a player in a virtual environment
KR102388939B1 (ko) 사용자의 움직임 보정을 위한 피드백 서비스 제공 방법
EP2926877A2 (en) Sensor-based gaming system for an avatar to represent a player in a virtual environment
US10441847B2 (en) Framework, device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gamification via sensor-based monitoring of physically performed skills, including location-specific gamification
US20150138099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Motion Controlled Virtual Environment Interaction
US201901083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432647B2 (ja) ターゲット画像の検出による拡張現実経験のロック解除
WO2015098251A1 (ja) 情報処理装置、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8522361A (ja) パフォーマンスセンサユニットから得られるユーザパフォーマンス属性に基づいてメディアデータの自動化された分類及び/又は検索を可能に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フレームワーク、デバイス及び方法論
US11951407B2 (en) Screen soccer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creen soccer
KR101764262B1 (ko) 스마트공의 속도 및 구질 측정 장치
JP2023171584A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KR102095647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KR102225912B1 (ko)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033565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스크린 야구 제공방법
Tseng et al. Interaction design in virtual reality game using Arduino sensors
KR20220052450A (ko) 골프 스윙 연습 보조 방법 및 장치
KR101997764B1 (ko)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KR20230080954A (ko) 배드민턴 경기의 파울 판정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10002425A (ko)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130225294A1 (en) Detecting illegal moves in a game using inertial sensors
KR20230175032A (ko) 알고리즘 기반의 골프 스윙 코칭 방법 및 장치
KR20220052452A (ko)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의 코칭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TWI835289B (zh) 虛實互動方法、用於虛擬世界的運算系統及虛擬實境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