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083A - 항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083A
KR20200071083A KR1020207012579A KR20207012579A KR20200071083A KR 20200071083 A KR20200071083 A KR 20200071083A KR 1020207012579 A KR1020207012579 A KR 1020207012579A KR 20207012579 A KR20207012579 A KR 20207012579A KR 20200071083 A KR20200071083 A KR 20200071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peptides
acid
canc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르게스 테레사 로요
Original Assignee
시헤네리스 파르마코스메틱스 에스.엘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헤네리스 파르마코스메틱스 에스.엘레. filed Critical 시헤네리스 파르마코스메틱스 에스.엘레.
Publication of KR2020007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펩티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고, 상기 펩티드의 N-말단 기는 화학식 -NHR1의 모노라디칼이고; 상기 펩티드의 C-말단은 화학식 -C(O)-R2의 모노라디칼이고; R1은 수소 및 -C(O)-(C1-C20)알킬로부터 선택된 모노라디칼이고, R2는 -OH 및 -NR3R4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모노라디칼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C10)알킬로부터 선택되고; "a" 내지 "j" 중 하나 이상이 1인 경우, "a" 내지 "j"는 0 내지 1이고; 및 X1은 임의의 아미노산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 및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본 출원은 2017 년 10 월 5 일에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EP17382667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항신생물 (antineoplastic) 화합물의 분야, 특히 항암 펩티드 (anticancer peptide)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췌장암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치료 (therapeutic treatment)를 위한 상기 펩티드 및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세포 내에서 작용하는 단백질 및 펩티드의 치료적 용도는 암 및 다른 질환 (disease)의 치료에 대한 많은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암 (cancer)은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침입하거나 퍼질 가능성이 있는 비정상적인 세포 성장을 포함하는 질환 그룹이다. 암은 다인성 (multifactorial) 질환, 즉 여러 요인이 발생한 결과이다. 상기 인자는 일반적으로 세포 증식의 증가를 유발하는 원발암유전자 (proto-oncogenes)의 돌연변이 (mutation) 생성에 수렴된다. 돌연변이는 또한 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종양 억제 유전자 (tumor suppressor gene)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돌연변이는 DNA 수복 효소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세포가 증식하기 전에 손상을 수선하는 능력을 훼손시켜 게놈 불안정성 (genomic instability)을 생성할 수 있다.
현재, 많은 일반적인 암 유형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옵션은 거의 없다. 특정 개인의 치료 과정은 진단, 질환이 발생한 단계 및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일반적인 건강과 같은 요인에 의존한다. 암 치료의 가장 통상적인 옵션은 수술, 방사선 요법 (radiation therapy) 및 화학 요법 (chemotherapy)이다. 이들 요법 각각은 다양한 효능 (efficacy) 정도를 가지며 다양한 부작용 (side effect)을 동반한다. 이러한 부작용은 전통적인 화학 요법에 대해 이미 개시된 다중 약물 내성 (multidrug resistance)과 함께, 새로운 항암제 또는 치료적 접근법에 대한 시급한 요구를 촉발시켰다.
특히 치명적인 암 종류 중 하나는 췌장암이다. 이 종류의 암은 주로 췌관 (pancreatic duct)의 세포에서 발생하는 췌장의 악성 성장 (malignant growth)이다. 이러한 질환은 아홉 번째로 가장 흔한 형태의 암이지만, 남성 및 여성에서 각각 암 사망의 4 번째 및 5 번째 주요 원인이다. 췌장의 암은 거의 항상 치명적이며, 5 년 생존율 (five-year survival rate)은 3 % 미만이다.
췌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 (symptom)은 황달 (jaundice), 복통 (abdominal pain) 및 체중 감소를 포함하며, 이는 다른 존재하는 요인과 함께 사실상 비특이적이다. 따라서, 종양 성장의 초기 단계에서 췌장암을 진단하는 것은 종종 어렵고 종종 탐색 수술 (exploratory surgery)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진단 워크업 (work-up)을 필요로 한다. 내시경 초음파 촬영 (endoscopic ultrasonography) 및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은 오늘날 췌장암 진단에 이용가능한 최고의 비침습적 (noninvasive) 수단이다. 그러나, 국소 췌장염 (focal pancreatitis)으로부터 췌장암을 구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작은 종양의 신뢰할 만한 검출은 어렵다. 췌장암 환자의 대다수는 현재 종양이 캡슐 외부로 이미 확장되어 둘러싼 장기를 침범하거나 및/또는 광범위하게 전이된 후기 단계 (late stage)에서 진단된다. 질환의 늦은 검출은 흔하며 초기 췌장암 진단은 임상 환경에서 드물다.
췌장암에 대해 현재 이용가능한 치료 절차는 치유 (cure)도, 실질적으로 개선된 생존 시간 (survival time)도 유도하지 않았다. 외과적 절제 (surgical resection)는 생존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일한 방식 (modality)이었다. 그러나, 큰 종양 부하 (load)로 인해, 10 % 내지 25 %의 환자만이 "치료적 절제술 (curative resection)"의 후보이다. 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한 5 년 생존율은 평균 약 10 %로 여전히 낮다. 따라서, 췌장암은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암 종류 중 하나이다.
암에 대해 현재 개발 중인 가장 유망한 치료적 대안 중 하나는 항암 펩티드이다. 이들 펩티드는 높은 활성, 특이성 (specificity) 및 친화성 (affinity), 및 약물-약물 상호작용의 최소화와 같이 종래의 항암제에 비해 여러 가지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이들은 외과적 절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단백질 또는 항체에 기초한 치료법과 관련하여, 이들이 크기가 작고, 합성하기 쉬우며, 이들은 세포막을 침투하는 능력이 있고, 최소한의 생물학적 및 화학적 다양성 (diversity)을 갖는다는 여러 가지 이점을 나타낸다. 치료제로 펩티드를 사용하는 추가적인 이익은 특정 장기 (예: 신장 또는 간)에 축적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는 이들의 독성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빠르게 합성되고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재조합 항체 또는 단백질보다 면역원성 (immunogenic)이 적다. 이러한 모든 특성은 펩티드 치료제를 새로운 항암제의 유망한 분야로 만든다.
그러나, 치료적 펩티드는 프로테아제 (protease)에 대한 낮은 안정성 또는 저항성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결점 (drawback)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이들의 개발 및 임상 (clinic)에의 적용을 방해하였다.
따라서, 소요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생물 질환의 임상 분야에서 효과적인 항암 펩티드와 같은 치료적 대안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 다양한 펩티드를 개발하였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는 말단 (terminal end)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cysteine) 잔기 (residue)의 존재가 본 발명의 펩티드에 강력한 암 억제 활성을 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중요하게는, 본원에 제공된 펩티드는 또한 냉동 용액 (frozen solution)에서 높은 용해도 및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이들을 치료적 조성물로 적합하게 한다. 이러한 모든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펩티드는 췌장 종양과 같이 아직 실질적으로 치유할 수 없는 종양의 치료에서 중요한 약학적 대안이 된다.
제 1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펩티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CaCbCCCdCeFEX1SKYCfCgCHCiCj (I)
상기에서,
펩티드의 N-말단 기 (group)는 화학식 -NHR1의 모노라디칼(monoradical)이고,
펩티드의 C-말단 기는 화학식 -C(O)-R2의 모노라디칼이고;
R1은 수소 및 -C(O)-(C1-C2O)알킬로부터 선택된 모노라디칼이고;
R2는 -OH 및 -NR3R4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모노라디칼이고;
R3 및 R4는 수소 및 (C1-C10)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 내지 "j" 중 하나 이상이 1 인 경우, "a" 내지 "j"는 0 내지 1의 정수이고; 및
X1은 임의의 아미노산을 나타낸다.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티드는 매우 특이적이므로, 암 세포를 특이적으로 표적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펩티드는 정상 및 암 세포를 "구별 (discriminate)"할 수 있다. 현재 항암 요법의 가장 널리 알려진 부작용 중 하나가 이들의 결여된 특이성으로 인한 부작용이기 때문에, 이는 암 분야에서 큰 진보를 의미한다. 암 세포를 향한 이러한 특이성은 또한 이들이 다양한 유형의 인간 1 차 (primary) 세포에 투여될 때 상기 펩티드의 비독성 (non-toxicity)을 지지하는 하기 제공된 실험 데이터를 설명한다.
이들 특성은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펩티드를 암 치료제로서 적합하게 만든다.
제 2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제 1 양상에 따른 펩티드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은 제 1 양상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식 (I)의 펩티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제 2 양상의 콘쥬게이트를,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excipient), 희석제 (diluent) 또는 담체 (carrier)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상은 약제 (medicament)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 5 양상에서 본 발명은 신생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모든 용어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이들의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특정 용어에 대한 다른 보다 구체적인 정의는 하기에 설명되어 있으며, 달리 명시적으로 진술된 정의가 더 넓은 정의를 제공하지 않는 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상기 드러낸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강력한 암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학식 (I)의 펩티드 세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안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은 본 발명의 펩티드로 지칭될 때,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irritation), 알레르기 반응 등이 없이 인간 및 비인간 동물의 조직과의 접촉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부합하는 염들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독성 산 부가 염의 예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phosphoric acid), 황산 (sulfuric acid) 및 과염소산 (perchloric acid)과 같은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옥살산 (oxalic acid), 말레산 (maleic acid), 타르타르산 (tartaric acid), 시트르산, 숙신산 (succinic acid) 또는 말론산 (malonic acid)과 같은 유기산과 함께, 이온 교환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아미노 기의 염이다.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디페이트 (adipate), 알기네이트 (alginate), 아스코르베이트 (ascorbate), 아스파르테이트 (aspartate), 벤젠술포네이트 (benzenesulfonate), 벤조에이트 (benzoate), 비술페이트 (bisulfate), 보레이트 (borate), 부티레이트 (butyrate), 캄포레이트 (camphorate), 캄포술포네이트 (camphorsulfonate), 시트레이트 (citrate),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cyclopentanepropionate), 디글루코네이트 (digluconate), 도데실술페이트 (dodecylsulfate), 에탄술포네이트 (ethanesulfonate), 포르메이트 (formate), 푸마레이트 (fumarate), 글루코헵토네이트 (glucoheptonate), 글리세로포스페이트 (glycerophosphate), 글루코네이트 (gluconate), 헤미술페이트 (hemisulfate), 헵타노에이트 (heptanoate), 헥사노에이트 (hexanoate), 히드로요오디드 (hydroiodide), 2-히드록시-에탄술포네이트 (2-hydroxy-ethanesulfonate), 락토바이오네이트 (lactobionate), 락테이트 (lactate), 라우레이트 (laurate), 라우릴술페이트 (lauryl sulfate), 말레이트 (malate), 말레에이트 (maleate), 말로네이트 (malonate), 메탄술포네이트 (methanesulfonate),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2-naphthalenesulfonate), 니코티네이트 (nicotinate), 니트레이트 (nitrate), 올레에이트 (oleate), 옥살레이트 (oxalate), 팔미테이트 (palmitate), 파모에이트 (pamoate), 펙티네이트 (pectinate), 퍼술페이트 (persulfate),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3-phenylpropionate), 포스페이트 (phosphate), 피크레이트 (picrate), 피발레이트 (pivalate), 프로피오네이트 (propionate), 스테아레이트 (stearate), 숙시네이트 (succinate), 술페이트 (sulfate), 타르트레이트 (tartrate), 티오시아네이트 (thiocyanate), p-톨루엔술포네이트 (p-toluenesulfonate), 운데카노에이트 (undecanoate), 발레레이트 (valerate) 염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염기 (bases)로부터 유도된 염은 알칼리 금속 (alkali metal), 알칼리 토금속 (alkaline earth metal) 및 암모늄 (ammonium)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소듐, 리튬, 포타슘, 칼슘, 마그네슘 등을 포함한다. 추가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적절한 경우 반대 이온 (counter ion)(예: 할라이드 (halide), 히드록시드 (hydroxide), 카르복실레이트 (carboxylate), 술페이트 (sulfate), 포스페이트 (phosphate), 니트레이트 (nitrate), 저급 알킬 술포네이트 (lower alkyl sulfonate) 및 아릴 술포네이트 (aryl sulfonate))을 사용하여 형성된 비독성 암모늄, 4 차 암모늄 및 아민 양이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미노산 (amino acid)"은 아미노기 및 카르복시기를 모두 함유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적합한 아미노산은 20 개의 통상적인 자연 발생 알파-아미노산 (naturally occurring alpha-amino acids)인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및 발린의 알파-아미노산의 L-이성질체 (L-isomer)와 같은 알파 아미노산 (alpha amino acids); 천연 베타-아미노산 (beta-amino acid)(예: 베타-알라닌); 및 비천연 아미노산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용어 "비천연 아미노산 (unnatural amino acid)"은 20 개의 통상적인 자연 발생 알파-아미노산 또는 하기 화학식 (A)의 아미노산의 D-이성질체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A)
상기 R 및 R'는 하기 표 1에 제공된 의미를 갖는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비천연 아미노산의 추가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3 문자 코드 아미노산
Aad 2-아미노아디프산 (2-Aminoadipic acid)
bAad 3-아미노아디프산 (3-Aminoadipic acid)
bAla 베타-알라닌, 베타-아미노프로피온산 (beta-Alanine, beta-Aminopropionic acid)
Abu 2-아미노부티르산 (2-Aminobutyric acid)
4Abu 4-아미노부티르산, 피페리딘산 (4-Aminobutyric acid, piperidinic acid)
Acp 6-아미노카프로산 (6-Aminocaproic acid)
Ahe 2-아미노헵탄산 (2-Aminoheptanoic acid)
Aib 2-아미노이소부티르산 (2-Aminoisobutyric acid)
bAib 3-아미노이소부티르산 (3-Aminoisobutyric acid)
Apm 2-아미노피멜산 (2-Aminopimelic acid)
Dbu 2,4 디아미노부티르산 (2,4 Diaminobutyric acid)
Des 데스모신 (Desmosine)
Dpm 2,2'-디아미노피멜산 (2,2'-Diaminopimelic acid)
Dpr 2,3-디아미노프로피온산 (2,3-Diaminopropionic acid)
EtGly N-에틸글리신 (N-Ethylglycine)
EtAsn N-에틸아스파라긴 (N-Ethylasparagine)
Hyl 히드록시리신 (hydroxylysine)
aHyl 알로-히드록시리신 (allo-hydroxylysine)
3Hyp 3-히드록시프롤린 (3-hydroxyproline)
4Hyp 4-히드록시프롤린 (4-hydroxyproline)
Ide 이소데스모신 (Isodesmosine)
aIle 알로-이소류신 (allo-Isoleucine)
Nva 노르발린 (norvaline)
Nle 노르류신 (norleucine)
Orn 오르니틴(Ornithine)
본 발명의 펩티드를 형성하는 각각의 아미노산은 서로 독립적으로 L- 또는 D-배열 (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미노산은 유기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천연 공급원 (natural source)의 분해 (degradation) 또는 이로부터의 단리 (isolation)와 같은 다른 경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제 1 양상의 하나의 특정 구체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또는 하기 제공된 임의의 구체예와 조합하여, X1은 아미노산 Ala, Ile, Leu, Phe, Val, Pro 및 Gly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X1는 Ile 또는 Val이다. 더욱 보다 구체적으로, X1은 Ile이다.
제 1 양상의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또는 하기 제공된 임의의 구체예와 조합하여, R1은 -C(O)(C1-C10)알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R1은 -C(O)(C1-C5)알킬이다. 더욱 보다 구체적으로, R1은 -C(O)-CH3이다.
제 1 양상의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상기 또는 하기에 제공된 임의의 구체예와 조합하여, R2는 -NR3R4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및 (C1-C5)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킬 (alkyl)"은 직쇄 (lineal) 및 분지쇄 (branched) 둘 모두의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한다.
"알킬"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예는 메틸 (C1), 에틸 (C2), 프로필 (C3), 이소프로필 (C3), 이소부틸 (C4), sec-부틸 (C4), tert-부틸 (C4), 펜틸 (C5), 헥실, (C6), 헵틸 (C7), 옥틸 (C9), 노닐 (C9) 및 데실 (C10) 등이다.
여전히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또는 하기의 임의의 구체예와 조합하여, "a" 내지 "j" 중 하나는 1이고 나머지 (the others)는 0이다. 특히 "a"는 1이고 "b", "c", "d", "e", "f", "g", "h", "i" 및 "j"는 0이다.
제 1 양상의 다른 특정 구체예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티드를 포함하며, 이는 하기 표 3에 요약된다.
펩티드 서열번호 서열
P1A 서열번호 1 CFEISKY-NH2
P1B 서열번호 2 CH3-C(O)-CFEVSKY-NH2
P1C 서열번호 3 CH3-C(O)-CFEISKY-NH2
본 발명의 펩티드는 (a) 결합될 아미노산의 탈보호 (deprotecting) 및 (b) 보호된-아미노산 커플링 (coupling) 사이클의 연속 단계가 수행되는 고상 합성 (solid phase synthesis)과 같은 하기의 통상적인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보호기는 N-보호기, C-보호기 또는 측쇄 (side-chain) 보호기일 수 있다. 세 가지 카테고리 모두에 속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보호기가 있다.
아미노산 보호기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예는 N-보호기 t-Boc (또는 Boc) 및 Fmoc이다. t-Boc 또는 Fmoc가 펩티드의 합성에 사용되는 경우, 4 가지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a) 탈보호 반응에서 후미의 (trailing) 아미노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으로부터 보호기가 제거되고; (b) 탈보호 시약을 세척하여 깨끗한 커플링 환경을 제공하고, (c) 커플링 시약과 조합된 디메틸포름아미드 (DMF)와 같은 용매에 용해된 보호된 아미노산을 합성 컬럼을 통해 펌핑하고, 및 (d) 커플링 시약을 세척하여 깨끗한 탈보호 환경을 제공한다. 특정 N-보호기에 따라, 탈보호 시약 및 커플링 시약이 선택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그의 일반적인 지식 및 통상적인 방법에 기초하여, 필요하다면 특정 조건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제 1 양상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쥬게이트는 세포 침투 요소 (cell penetrating element)를 포함한다. 더욱 보다 구체적으로, 세포 침투 요소는 세포 침투 펩티드 (CPP)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콘쥬게이트 (conjugate)"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공유 (covalent) 또는 비공유 결합 (non-covalent bond)을 통해 본 발명의 펩티드를 결합시켜 형성된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세포 침투 펩티드 (cell penetrating peptide)"("CPP")는 다양한 분자 카고 (molecular cargo)(나노크기의 입자부터 작은 화학 분자 및 DNA의 큰 단편까지)의 세포 흡수를 촉진하는 짧은 펩티드를 지칭한다. "카고 (cargo)"는 공유 결합을 통한 화학적 연결 또는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해 C(t) 또는 N(t)를 통한 펩티드와 연관이 있다. CPP의 기능은 카고를 세포로 전달하는 것이며,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연구 및 의약품에 사용하기 위해 전달 벡터 (delivery vector)로 전달되는 카고와 함께 엔도시토시스 (endocytosis)를 통해 일어난다. 현재의 사용은 CPP-매개된 카고 전달에서 세포 특이성 결여 및 그들의 흡수 (uptake) 방식 (mode)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 의해 제한된다. CPP는 전형적으로 리신 또는 아르기닌과 같은 양으로 하전된 아미노산을 높은 상대 풍부도로 함유하거나 극성/하전 아미노산 및 비극성, 소수성 아미노산의 교대 패턴을 함유하는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다. 이들 2 가지 유형의 구조는 각각 다양이온성 (polycationic) 또는 양친매성 (amphipathic)으로 지칭된다. CPP의 제 3 부류는 순전하 (net charge)가 낮고 비극성 잔기만을 함유하는 소수성 펩티드이거나 세포 흡수에 중요한 소수성 아미노산 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펩티드에 대한 CPP의 콘쥬게이션은 고상 합성 또는 용액 선택적 캡핑 (solution selective capping)과 같은 하기의 잘 알려진 일상적인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참조: Copolovici D. M. et al., "Cell-Penetrating Peptides: Design, Synthesis, and Applications", 2014, ACS Nano, 2014, 8 (3), pp 1972-1994).
세포에서 펩티드를 내재화 (internalize)하는 능력을 갖는 사실상의 (virtually) 임의의 세포 침투 펩티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담체 (carrier) 펩티드는 "PTD"("단백질 형질도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펩티드이다. 단백질 형질도입 도메인 (PTDs)을 포함하는 단백질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헤마글루티닌 (influenza virus hemagglutinin), 락토페린 (lactoferrin), 섬유아세포 성장인자-1 (fibroblast growth factor-1), 섬유아세포 성장인자-2 (fibroblast growth factor-2) 및 Hoxa-5, Hoxb-4 및 Hoxc-8 단백질과 같이, 비록 다른 단백질이 세포에서 펩티드를 내재화하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제안되었지만 (Ford K.G. et al., Gene Therapy, 2001; 8:1-4),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 (HIV-1) TAT ("전이 번역 단백질 (transacting translational protein)") 단백질, 초파리 안테나페디아 호메오 전사인자 (Drosophila antennapedia homeotic transcription factor: Antp) 및 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 1 (herpesvirus simplex 1: HSV-1) VP22 DNA-결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세포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를 내재화하는 능력을 갖는 담체 펩티드의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 말단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은 상기 담체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에 결합되는 반면,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은 상기 담체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세포 침투 펩티드에 직접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또는 하기에 제공된 구체예 중 임의의 하나와 조합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는 세포 침투 펩티드에 직접 결합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또는 하기에 제공된 구체예 중 임의의 하나와 조합하여, 본 발명의 제 2 양상의 콘쥬게이트는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펩티드 및 세포 침투 펩티드 사이에 위치된 스페이서 펩티드 (spacer peptide)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유리하게는 구조화되지 않은 (non-structured) 도메인을 야기하는 펩티드와 같이 구조적 유연성 (flexibility)을 갖는 펩티드이다. 사실상의 구조적 유연성을 갖는 임의의 펩티드가 스페이서 펩티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예는 아미노산 모이어티 (moieties), 예를 들어 Gly 및/또는 Ser의 반복,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아미노산 모이어티의 반복을 함유하는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의 다른 구체예에서, 세포 침투제 (cell penetrating agent)는 생체적합성 (biocompatible)이고 활성 성분을 분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나노입자 전달 시스템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나노입자 (nanoparticle)"는 나노스케일에서 2 차원 이상, 특히 나노스케일에서 모두 3 차원을 갖는 입자를 지칭하며, 상기 나노스케일은 약 1 nm 내지 약 300 nm의 범위이다. 특히, 나노입자가 나노와이어 (nanowire) 또는 나노튜브 (nanotube)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횡단면 (cross-section)을 갖고 실질적으로 막대 형상인 경우, "나노입자"는 나노스케일에서 2 차원 이상을 갖는 입자를 지칭하며, 이들 2 차원은 나노입자의 횡단면이다.
세포 내 흡수를 증가시키는 생분해성 (Biodegradable) 나노입자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US 2009/0136585에 개시된 바와 같은 중합체성 (polymeric) 및 표면 변형된 나노입자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는 예를 들어 알려진 표면 변형제 (surface-modifying agent)(예: 헤파린 (heparin), 도데실메틸암모늄 브로미드 (dodecylmethylammonium bromide: DMAB), DEAE-덱스트란 (DEAE-Dextran), 리포펙틴 (lipofectin) 및 피브리노겐 (fibrinogen) 등)로 표면 변형된 폴리 DL-락티드-코-글리콜리드 (DL-lactide-co-glycolide: PLGA)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지질성 나노입자 (lipidic nanoparticle)"는 막이 완전히 지질로 만들어진 나노입자를 지칭한다. 적합한 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choline) ("PC's"),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hosphatidylethanolamine) ("PE's"), 포스파티딜세린 (phosphatidyilserine) ("PS's"), 포스파티딜글리세롤 (phosphatidylglycerol) ("PG's"),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hosphatidylinositol) ("PI's") 및 포스파티드산 (phosphatidic acid)과 같은 인지질 (phospholipid)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이러한 인지질은 일반적으로 2 개의 아실 사슬을 가지며, 이들은 모두 포화, 모두 불포화, 또는 하나는 포화 및 하나는 불포화이고; 상기 사슬은 미리스테이트 (myristate), 팔미테이트 (palmitate), 스테아레이트 (stearate), 올레에이트 (oleate), 리놀레에이트 (linoleate), 리놀레네이트 (linolenate), 아라키데이트 (arachidate), 아라키도네이트 (arachidonate), 베헤네이트 (behenate) 및 리그노세레이트 (lignocerate) 사슬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인지질은 또한 이에 적합한 반응성 기의 부착에 의해 유도체화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는 일반적으로 아미노기이고, 따라서 유도체 화된 인지질은 전형적으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다. PE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상이한 모이어티는 리포좀의 생물학적 막으로의 가융성 (fusability)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아실 사슬; 표적 세포 부근 (vicinity)에서 리포좀을 불안정화시키는 데 유용한 펩티드; 항체와 같은 표적화 모이어티를 리포좀에 연결시키는 데 유용한 비오틴 (biotin) 및 말레이미도 (maleimido) 모이어티; 및 강글리오시드 (ganglioside), 폴리알킬에테르 (polyalkyl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및 유기디카르복시산 (organic dicarboxylic acid)과 같은 다양한 분자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나노입자의 막을 구성할 수 있는 다른 지질은 콜레스테롤 (cholesterol) 및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지질 나노입자는 리포좀 및 고체-지질 나노입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지질 나노입자는 리포좀이다.
용어 "고체 지질 나노입자 (solid lipid nanoparticle)"는 10 내지 1000 나노미터의 평균 직경을 갖는, 전형적으로는 구형인 입자를 지칭한다. 고체 지질 나노입자는 지용성 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는 고체 지질 코어 매트릭스를 갖는다. 지질 코어는 계면활성제 (surfactant) (유화제 (emulsifier))에 의해 안정화된다. 용어 지질은 본원에서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트리글리세리드 (triglyceride) (예: 트리스테아린 (tristearin)), 디글리세리드 (diglyceride) (예: 글리세롤 베헤네이트 (glycerol bahenate)), 모노글리세리드 (monoglyceride) (예: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glycerol monostearate)), 지방산 (예: 스테아르산 (stearic acid)), 스테로이드 (steroid) (예: 콜레스테롤 (cholesterol)) 및 왁스 (waxes) (예: 세틸팔미테이트 (cetyl palmitate))를 포함한다.  모든 부류의 유화제 (전하 및 분자량과 관련)가 지질 분산을 안정화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리포좀 (liposome)"은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는 자가 조립 구조 (self-assembling structure)로서 이해되며, 이들 각각은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양친매성 지질 분자를 함유하는 2 개의 단일 층을 포함한다. 양친매성 지질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비극성 (소수성) 아실 사슬에 공유적으로 결합된 극성 (친수성) 헤드그룹 영역 (headgroup region)을 포함한다. 소수성 아실 사슬 및 주변 수성 (aqueous) 매질 사이에 에너지상 바람직하지 않은 접촉은 이의 극성 헤드그룹이 이중층 표면을 향하여 배향되는 반면 아실 사슬이 이중층의 내부를 향하여 재배향하게 되어 양친매성 지질 분자가 스스로 정렬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아실 사슬이 수성 환경과의 접촉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차폐되어 에너지상 안정한 구조가 형성된다.
리포좀은 단일 지질 이중층 (unilamellar liposome, "ULVs") 또는 다중 지질 이중층 (multilamellar liposome, "MLVs" 또는 "SPLVs")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이중층은 수성 구획 (compartment)을 둘러싸거나 캡슐화한다. 지질 분자의 보호 장벽 내에 수성 부피 (aqueous volume)를 캡슐화하면 리포좀은 캡슐화된 분자 (예: 핵산)를 분해 효과의 요인 (예: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뉴클레아제 (nuclease) 효소)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
리포좀은 다양한 크기, 예를 들어 25 nm만큼 짧거나 10,000 nm 이상으로 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크기는 통상의 기술자가 결정하고 설명하기 위한 범위 (purview) 내에서 많은 요인 (예: 지질 조성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한 통상의 기술자의 당해 기술분야 지식 내에서 준탄성 광산란 (quasi-elastic light scattering)과 같은 많은 기술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초음파 처리 (sonication) 또는 균질화 (homogenization) 및 분쇄 (milling)와 같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론 (methodologies)을 사용하여 더 큰 리포좀으로부터 더 작은 크기의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압출 (extrusion)은 리포좀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즉 압력 하에서, 정의되고 선택된 크기의 필터 기공 (pore)을 통해 리포좀에 힘을 가함으로써 소정의 (predetermined) 평균 크기를 갖는 리포좀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접선 유동 여과 (Tangential flow filtration)는 또한 리포좀의 크기를 정규화하기 위해, 즉 더 작은 크기 이질성 (heterogeneity) 및 보다 균질한 (homogeneous), 정의된 크기 분포를 갖는 리포좀 집단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Tandrup Schmidt S. et al., "Liposome-Based Adjuvants for Subunit Vaccines: Formulation Strategies for Subunit Antigens and Immunostimulators", Pharmaceutics, 2016 Mar 10;8(1)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입자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세포-침투제는 종양 세포 표면 상의 분자를 인식하고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분자를 콘쥬게이션함으로써 추가로 기능화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세포-침투제는 또한 이식 (implants) 및 미세캡슐화된 (microencapsulated)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조절 방출 제제와 같이, 신체로부터 빠른 제거에 대항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를 보호한다.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중합체, 예컨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thylene vinyl acetate), 폴리언하이드리드 (polyanhydride), 폴리글리콜산 (polyglycolic acid), 콜라겐 (collagen), 폴리오르토에스테르 (polyorthoester) 및 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상업적으로 수득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본 발명의 펩티드는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의 단리 또는 정제에 유용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열은 본 발명의 펩티드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영역에 위치할 것이다. 단백질 (일반적으로 태그 펩티드 (tag peptide)라고 불림)을 단리 또는 정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사실상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이 본 발명의 상기 펩티드에 존재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시로서, 단백질을 단리 또는 정제하는 데 유용한 상기 아미노산 서열은 예를 들어 아르기닌 태그 (Arg-tag), 히스티딘 태그 (His-tag), FLAG-태그, Strep-태그, C-myc-태그와 같이 항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에피토프, SBP-태그, S-태그, 칼모듈린 결합 펩티드 (calmodulin-binding peptide), 셀룰로오스 결합 도메인 (cellulose-binding domain), 키틴 결합 도메인 (chitin-binding domain),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태그 (glutathione S-transferase-tag),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 (maltose-binding protein), NusA, TrxA, DsbA, Avi-태그 또는 β-갈락토시다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본 발명의 펩티드 및 세포에서 펩티드를 내재화하는 능력을 갖는 세포 침투 펩티드의 커플링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세포 침투 펩티드는 이전에 언급된 것 (예: 고상 화학 합성)과 같이 통상적인 합성 방법에 의해 또는 재조합 기술에 의해 수득되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식 (I)의 펩티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콘쥬게이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이라는 표현은 인간 및 비인간 동물에 대해 의도된 조성물 둘 모두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표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투여될 때 다뤄지는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어느 정도 경감시키기에 충분한 펩티드 또는 콘쥬게이트의 양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되는 특정 용량의 화합물은 물론 투여되는 화합물, 투여 경로, 치료되는 특정 병태 및 유사한 고려사항 (consideration)을 포함하여, 케이스를 둘러싼 특정 상황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or carriers)"라는 표현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을 지칭한다. 각 성분은 약학적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화합된다는 (compatible) 의미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해야 한다. 또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면역원성 (immunogenicity), 또는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상응하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비인간 동물의 조직 또는 기관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해야 한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예는 용매 (solvents), 분산매질 (dispersion media), 희석제 (diluent) 또는 다른 액체 비히클, 분산 또는 현탁 (suspension) 보조제 (aids), 표면 활성제 (surface active agents), 등장화제 (isotonic agents), 증점제 (thickening agent) 또는 유화제, 보존제 (preservatives), 고체 결합제 (solid binders), 윤활제 (lubricants) 등이다. 임의의 통상적인 부형제 매질이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효과를 생산하거나 다르게는 약학적 조성물의 임의의 다른 성분 (들)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물질 또는 이의 유도체와 화합할 수 없는 것은 제외하고, 그 사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및/또는 임의의 추가 성분의 상대적인 양은 치료되는 개체의 신원 (identity), 크기 및/또는 병태에 의존하며, 조성물이 투여되는 경로에 추가로 의존하여 변할 것이다.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불활성 희석제 (inert diluents), 분산화제 (dispersing agent) 및/또는 과립화제 (granulating agents), 표면 활성제 및/또는 유화제, 붕해제 (disintegrating agents), 결합제 (binding agents), 보존제 (preservatives), 완충제 (buffering agents), 윤활제 (lubricating agents) 및/또는 오일 (oils)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제 기술자 (formulator)의 판단에 따라 착색화제 (colouring agents), 코팅제 (coating agents), 감미제 (sweetening agents) 및 향미제 (flavouring agents)와 같은 부형제 (excipients)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투여 형태, 예를 들어 고체 또는 액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합한 경로, 예를 들어 경구 (oral), 비경구 (parenteral), 직장 (rectal), 국소 (topical), 비강 내 (intranasal) 또는 설하 (sublingual) 경로로 투여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이들은 바람직한 투여 형태의 제제, 예를 들어 국소 제제 (연고 (ointment), 크림 (creams), 리포겔 (lipogel), 히드로겔 (hydrogel) 등), 점안액 (eye drops), 에어로졸 스프레이 (aerosol sprays), 주사용 용액 (injectable solutions), 삼투 펌프 (osmotic pumps) 등에 필요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것이다.
예시적인 희석제는 칼슘 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소듐 카보네이트 (sodium carbonate), 칼슘 포스페이트 (calcium phosphate), 디칼슘 포스페이트 (dicalcium phosphate), 칼슘 술페이트 (calcium sulfate), 칼슘 수소 포스페이트 (calcium hydrogen phosphate), 소듐 포스페이트 락토오스 (sodium phosphate lactose), 수크로오스 (sucrose), 셀룰로오스 (cellulose),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icrocrystalline cellulose), 카올린 (kaolin), 만니톨 (mannitol), 소르비톨 (sorbitol), 이노시톨 (inositol), 소듐 클로리드 (sodium chloride), 건조 전분 (dry starch), 옥수수 전분 (corn-starch), 분말 설탕 (powdered sugar)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과립화제 및/또는 분산화제는 감자 전분 (potato starch), 옥수수 전분 (corn starch), 타피오카 전분 (tapioca starch),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sodium starch glycolate), 점토 (clays), 알긴산 (alginic acid), 구아검 (guar gum), 시트러스 펄프 (citrus pulp), 아가 (agar), 벤토나이트 (bentonite), 셀룰로오스 (cellulose) 및 우드 제품 (wood products), 천연 스펀지 (natural sponge), 양이온 교환 수지 (cation-exchange resins), 칼슘 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실리케이트 (silicates), 소듐 카보네이트 (sodium carbonate),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크로스포비돈 (crospovidone)),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sodium carboxymethyl starch)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sodium starch glycolate)),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methyl cellulose), 가교된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크로스카멜로오스 (croscarmellose)), 메틸셀룰로오스 (methylcellulose), 전호화 전분 (pregelatinized starch) (전분 1500 (starch 1500)), 미세결정질 전분 (microcrystalline starch), 수불용성 전분 (water insoluble starch),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magnesium aluminum silicate) (비검 (Veegum)),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4 차 암모늄 화합물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결합제는 전분 (예: 옥수수 전분 및 전분 페이스트 (starch paste)); 젤라틴 (gelatin); 당 (예: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덱스트로오스, 덱스트린, 당밀 (molasses), 락토오스, 락티톨 (lactitol), 만니톨 (mannitol)); 천연 및 합성 검 (예: 아카시아 (acacia), 소듐 알기네이트 (sodium alginate), 아일랜드 이끼 추출물 (extract of Irish moss), 판와르검 (panwar gum), 가티검 (ghatti gum), 이사폴 껍질의 점액 (mucilage of isapol husks),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arboxymethylcellulose), 메틸셀룰로오스 (me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 (ethylcellulose),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icrocrystalline cellulos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폴리비닐피롤리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비검) 및 낙엽송 아라보갈락탄 (larch arabogalactan)); 알기네이트 (alginates); 폴리에틸렌 옥시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무기 칼슘 염 (inorganic calcium salts); 규산 (silicic acid); 폴리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acrylates); 왁스 (waxes); 물;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보존제는 항산화제 (antioxidants), 킬레이트화제 (chelating agents), 항균 보존제 (antimicrobial preservatives), 항진균 보존제 (antifungal preservatives), 알코올 보존제 (alcohol preservatives), 산성 보존제 (acidic preservatives) 및 다른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항산화제는 알파 토코페롤 (alpha tocopherol),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빌 올레에이트 (ascorbyl oleate),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butylated hydroxyanisole),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utylated hydroxytoluene), 모노티오글리세롤 (monothioglycerol), 포타슘 메타비술파이트 (potassium metabisulfite),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프로필 갈레이트 (propyl gallate), 아스코르브산 소듐 (sodium ascorbate), 소듐 비술파이트 (sodium bisulfite), 소듐 메타비술파이트 (sodium metabisulfite), 및 소듐 술파이트 (sodium sulfite)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킬레이트화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시트르산 일수화물 (citric acid monohydrate), 디소듐 에데테이트 (disodium edetate), 디포타슘 에데테이트 (dipotassium edetate), 에데트산 (edetic acid), 푸마르산 (fumaric acid), 말산 (malic acid), 인산 (phosphoric acid), 소듐 에데테이트 (sodium edetate), 타르타르산 (tartaric acid) 및 트리소듐 에데테이트 (trisodium edetate)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완충제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citrate buffer solutions), 아세테이트 완충액 (acetate buffer solutions), 포스페이트 완충액 (phosphate buffer solutions), 암모늄 클로리드 (ammonium chloride), 칼슘 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칼슘 클로리드 (calcium chloride), 칼슘 시트레이트 (calcium citrate), 칼슘 글루비오네이트 (calcium glubionate), 칼슘 글루셉테이트 (calcium gluceptate), 칼슘 글루코네이트 (calcium gluconate), D-글루콘산 (D-gluconic acid),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calcium glycerophosphate), 칼슘 락테이트 (calcium lactate), 프로피온산 (propanoic acid), 칼슘 레불리네이트 (calcium levulinate), 발레르산 (pentanoic acid),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dibasic calcium phosphate), 인산 (phosphoric acid), 삼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tribasic calcium phosphate), 칼슘 히드록시드 포스페이트 (calcium hydroxide phosphate), 포타슘 아세테이트 (potassium acetate), 포타슘 클로리드 (potassium chloride), 포타슘 글루코네이트 (potassium gluconate), 포타슘 혼합물 (potassium mixtures), 이염기성 포타슘 포스페이트 (dibasic potassium phosphate), 일염기성 포타슘 포스페이트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포타슘 포스페이트 혼합물 (potassium phosphate mixtures), 소듐 아세테이트 (sodium acetate), 소듐 비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 소듐 클로리드 (sodium chloride), 소듐 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 소듐 락테이트 (sodium lactate), 이염기성 소듐 포스페이트 (dibasic sodium phosphate), 일염기성 소듐 포스페이트 (monobasic sodium phosphate), 소듐 포스페이트 혼합물 (sodium phosphate mixtures), 트로메타민 (tromethamine),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magnesium hydroxide),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aluminum hydroxide), 알긴산 (alginic acid), 발열원 없는 물 (pyrogen-free water), 생리식염수 (isotonic saline), 링거 용액 (Ringer's solution), 에틸 알코올 (ethyl alcohol),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윤활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agnesium stearate), 칼슘 스테아레이트 (calcium stearate), 스테아르산 (stearic acid), 실리카 (silica), 탈크 (talc), 맥아 (malt), 글리세릴 베하네이트 (glyceryl behanate),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hydrogenated vegetable oils),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소듐 벤조에이트 (sodium benzoate), 소듐 아세테이트 (sodium acetate), 소듐 클로리드 (sodium chloride), 류신 (leucine), 마그네슘 라우릴 술페이트 (magnesium lauryl sulfate),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약제 (medicament)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5 양상에서 본 발명은 신생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보다 구체적으로 췌장암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양상은 또한 신생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또한 신생물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및 약학적 조성물로 치료될 수 있는 신생물 질환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예는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유두종 (papillomas), 선종 (adenomas), 지방종 (lipomas), 골종 (osteomas), 근종 (myomas), 혈관종 (angiomas), 모반 (nevi), 성숙 기형종 (mature teratomas), 암종 (carcinomas), 육종 (sarcomas), 미성숙 기형종 (immature teratomas), 흑색종 (melanoma), 골수종 (myeloma), 백혈병 (leukemia), 호지킨 림프종 (Hodgkin's lymphoma), 기저세포종 (basalioma), 척수종 (spinalioma), 유방암 (breast cancer), 난소암 (ovarian cancer), 자궁암 (uterine cancer), 폐암 (lung cancer), 기관지암 (bronchial cancer), 전립선암 (prostate cancer), 결장암 (colon cancer), 췌장암 (pancreatic cancer), 신장암 (kidney cancer), 식도암 (esophageal cancer), 간암 (hepatocarcinoma), 두경부암 (head and neck cancer) 등을 포함한다. 제 5 양상의 특정 구체예에서, 신생물 질환은 췌장암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데이터로부터 본 발명의 펩티드, 콘쥬게이트 및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대사 (metabolic), 신경계 (neurologic) 및 염증성 질환과 같은 다른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포함한다 (comprise)"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 첨가제,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한다"라는 단어는 "구성된다 (consisting of)"의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발명의 설명을 검토할 때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학습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도면은 예시로서 제공되며, 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및 바람직한 구체예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어세이 (assay) 1과 관련된 도 1은 2 개의 상이한 농도에서 모의 처리된 (mock treated) 세포와 비교하여 인간 췌장 종양 세포 (BXPC3)의 성장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펩티드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2 개의 막대 다이어그램이다. y- 축은 처리 72 시간 후 세포 수를 100 % 값에 따르는 (accorded) 모의 처리된 세포 수의 백분율로써 나타낸다. (A) 세포를 20 μM 농도의 펩티드로 처리하였다. 첫 번째 컬럼 (CONTROL)은 모의 처리된 세포에 해당하고, 두 번째 컬럼 (P1)은 N-말단이 아세틸화되고 C-말단이 아미드화된 (amidated) P1 펩티드에 해당하고; 세 번째 컬럼 (P1C)은 N-말단이 아세틸화되고 C-말단이 아미드화된 말단 시스테인을 갖는 P1 펩티드의 변이체 (variant)에 해당하고; 네 번째 컬럼 (P2)은 N-말단이 아세틸화되고 C-말단이 아미드화된 P2 펩티드에 해당하고; 다섯 번째 컬럼 (P2C)은 N-말단이 아세틸화되고 C-말단이 아미드화된 말단 시스테인을 갖는 P2 펩티드의 변이체에 해당하고; 여섯 번째 컬럼 (P1A)은 N-말단이 유리되고 (free)(아세틸화되지 않음) C-말단이 아미드화된 P1C 펩티드의 변이체에 해당하고; 일곱 번째 컬럼 (P1B)은 N-말단이 아세틸화되고 C-말단이 아미드화되고, 이소류신 (isoleucine)이 발린 (valine)으로 치환된 P1C 펩티드의 변이체에 해당한다. (B) 세포를 40 μM 농도의 펩티드로 처리하였다. 첫 번째 컬럼 (CONTROL)은 모의 처리된 세포에 해당하고,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컬럼은 각각 P1, P1C, P1A 및 P1B 펩티드로 처리된 세포에 해당한다. 펩티드의 서열은 실시예 2에 추가로 상세히 기재하였다.
어세이 2와 관련된 도 2는 모의 처리된 세포와 비교하여 다양한 농도에서 인간 탯줄 1 차 내피 세포 (human umbilical cord primary endothelial cell: HUVEC)에 대한 P1C 펩티드 (Ac-CFEISKY-NH2)의 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다이어그램이다. y-축은 처리 72 시간 후 세포의 수를 100 % 값에 따르는 모의 처리된 세포 수 (대조군)의 백분율로써 나타낸다. 첫 번째 컬럼 (DMSO)은 펩티드가 용해된 비히클 (vehicle)로 처리된 세포에 해당한다. 두 번째 내지 다섯 번째 컬럼은 각각 10, 20, 30, 40 μM 농도로 P1C 펩티드를 처리한 세포에 해당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펩티드의 합성.
펩티드는 자동 펩티드 합성기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수행되는 고전적인 Fmoc/tBu 전략에 따라 고상 합성 (SPPS) 기술을 사용하여 화학적 합성에 의해 합성되었다.
Rink-아미드 수지를 합성을 위해 사용하였고,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중 첨가제로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1-hydroxybenzotriazole: HOBt)과 함께 N,N'-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DIPCDI)를 Fmoc-아미노산 커플링을 위해 사용하였다. 탈보호를 DMF 중 20% 피페리딘 (piperidine)의 용액으로 수행하였다.
아세틸화된 서열의 경우, 수지를 건조시키기 직전에 DMF 중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isopropylethylamine: DIEA)과 함께 아세트산 무수물 (AC2O)의 용액을 사용하여 고체상에서 아세틸화를 수행하였다. 건조된 펩티딜 수지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칵테일로 처리하여 수지로부터 펩티드를 절단하였다. 수득된 펩티드 크루드 (crudes)를 TFA와 함께 H20/아세토니트릴 (캔 (can)) 정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예비 역상 HPLC (preparative reverse phase HPLC)로 정제하고 순수한 분획 (fractions)을 동결건조시켰다. HPLC 분석 결과는 하기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펩티드 식별 MS 스펙트럼 (Identification MS spectrum) 펩티드 순도
P1 827.6 u.m.a. 90.54%
P1A 887.4 u.m.a. 97.54 %
P1B 915.5 u.m.a. 97.45 %
P1C 930.7 u.m.a. 97.00 %
P2 678.4 u.m.a. 94.14 %
P2C 781.5 u.m.a. 99.12 %
실시예 2: 세포 배양 및 본 발명의 펩티드로 세포 처리
세포 배양
인간 췌장의 1 차 선암종 (primary adenocarcinoma)으로부터의 BXPC3 세포주는 바르셀로나의 생의학 연구소 (Biomedical Research lnstitute: IRB)에서 제공받았고, 인간 탯줄 1 차 내피 세포 (HUVEC)는 조사자 (investigator)가 직접 수득하여 실험실에서 액체 질소에 저장하였다. BXPC3 세포를 10 % 소 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및 항생제 (antibiotics)가 보충된 RPMI-1640 배양 배지 (Gibco)에서 유지시켰다. HUVEC 세포를 20 % 소 태아 혈청, 내피세포 성장 보충제 (endothelial cell growth supplement: ECGS), 헤파린 (Hep) 및 항생제가 보충된 M199 배양 배지 (Gibco)에서 유지시켰다. 배양물 (cultures)을 5 % CO2를 함유하는 37 ℃의 습한 환경으로 세포 인큐베이터 (incubator)에서 유지시켰다.
테스트될 상이한 펩티드를 50 mM의 농도로 DMSO에 쉽게 용해시킨 후, Dulbecco's PBS에서 5 mM 중간 희석액 (intermediate dilution)을 제조하고, 이를 2 회 짧은 주기로 초음파 처리하여 펩티드를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러한 후자의 희석물로부터, 10, 20, 30 및 40 uM 농도로 상이한 처리 (treatments)를 보충된 배지에서 제조하였다. 상이한 처리를 이중 (double) 농도로 제조하고, 이들 100 μl를 웰에서 세포 성장 배지의 동일한 부피에 첨가하여 상기 개시된 최종 농도에 도달시켰다.
세포 처리
상이한 펩티드로 하기 설명된 프로토콜에 따라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BXPC3 세포의 경우 트립신 0.25 %-EDTA로 및 HUVEC 세포의 경우 트립신 0.25 %-EDTA로 트립신/EDTA 소화 (digestion)에 의해 세포를 재현탁 (resuspended)시켰다. 배양 배지에 재현탁되면, 트리판 블루로 1:1 희석한 후 이들을 Newbauer's 챔버 (chamber)에서 계수하였다. 이러한 염색은 현탁액 내의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알 수 있게 한다. 계수로부터, 세포 (BXPC3의 경우 5000 세포/100 ㎕/웰 및 HUVEC의 경우 10000 세포/100 ㎕/웰)의 적합한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세포를 세포 인큐베이터 내의 배양물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시켰다. 24 시간 인큐베이션 후,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펩티드의 100 ㎕/웰의 이중 농축 용액을 첨가하였다.
세포 인큐베이터에서 세포를 유지함으로써 처리를 72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어세이에 사용된 펩티드의 서열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펩티드 서열 서열번호
P1A CFEISKY-NH2 SEQ ID NO: 1
P1B CH3-C(O)-CFEVSKY-NH2 SEQ ID NO: 2
P1C CH3-C(O)-CFEISKY-NH2 SEQ ID NO: 3
비교 목적을 위한 펩티드 서열 서열번호
P1 CH3-C(O)-FEISKY-NH2 SEQ ID NO: 4
P2 CH3-C(O)-VFSTAL-NH2 SEQ ID NO: 5
P2C CH3-C(O)-CVFSTAL-NH2 SEQ ID NO: 6
72 시간 후, 배양 배지를 디캔테이션 (decantation)으로 제거하고, 세포를 DPBS로 2 회 세척한 다음, 세포를 100 μl의 4 %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30 분 동안 고정시켰다. 이어서, 100 μl의 mQ H2O로 2 회의 세척을 수행하고, 즉시 증류수 (distilled water)에서 제조된 50 μl의 0.25 % 바이올렛 크리스탈 용액 (Violet Crystal solution)을 첨가하고 실온 (RT)에서 30 분 동안 유지시켰다. 염색 시간의 완료 시, 증류수로 수 회 세척하여 과량의 바이올렛 크리스탈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플레이트를 37 ℃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켰다.
웰 당 광학 밀도 값 (optical density values)은 590 nm 필터를 사용하는 Biotek SynergyTM2 다중 검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판독 (reading)을 스캔하여 수득하였으며, 웰 당 평균 값을 수득하였다.
결과
펩티드의 암 성장 억제 활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인 비트로 증식 어세이
본 발명의 펩티드의 항암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인간 췌장 종양 세포주 BXPC3에 대해 증식 어세이 (proliferation assays)를 수행하였다.
도 1-A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BXPC3 세포가 20 μM 최종 농도의 펩티드로 처리될 때, P1C 펩티드 (서열번호 3)는 100 % 값을 따르는 모의 처리된 세포의 성장과 관련하여 암세포 성장을 40 % 감소시켰다. P1C 펩티드의 카르복시-말단 아세틸화가 상실된 경우-펩티드 P1A (서열번호 1)- 또는 이소류신 잔기가 발린 잔기로 치환된 경우-펩티드 P1B (서열번호 2)- 펩티드의 현저한 억제 능력이 여전히 유지되었다. 펩티드가 40 μM 최종 농도로 적용된 경우 (도 1-B) 이들의 성장 억제 효과는 훨씬 더 높았다. 
테스트된 다른 펩티드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암 세포 성장의 억제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독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인 비트로 증식 어세이
암 세포에서 가장 높은 성장-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펩티드 P1C의 투여 (어세이 1 참조)는 정상 비형질전환 (non-transformed) 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독성의 부재는 적용된 펩티드의 용량 (10 μM에서 40 μM까지의 최종 농도, 도 2의 컬럼 2 내지 5)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이 비형질전환 세포에서 독성이 낮고 암 세포에서 높은 성장 억제 활성을 갖는 항암제로서 본 발명 펩티드의 높은 치료적 잠재력을 명백히 입증한다.
인용 목록
Copolovici D. M. et al., "Cell-Penetrating Peptides: Design, Synthesis, and Applications", ACS Nano, 2014, 8(3): 1972-1994;
Ford K.G. et al., "Protein transduction: an alternative to genetic intervention?" Gene Therapy, 2001; 8:1-4; 및
Tandrup Schmidt S. et al., "Liposome-Based Adjuvants for Subunit Vaccines: Formulation Strategies for Subunit Antigens and Immunostimulators", Pharmaceutics, Mar. 2016 ; 8(1).
SEQUENCE LISTING <110> Suigeneris Farmacosmetics S.L. <120> ANTICANCER PEPTIDES AND USES THEREOF <130> P3947PC00 <150> EP17382667 <151> 2017-10-05 <160> 6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EPTIDE <220> <221> MOD_RES <222> (7)..(7) <223> AMIDATION <400> 1 Cys Phe Glu Ile Ser Lys Tyr 1 5 <210> 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7)..(7) <223> AMIDATION <400> 2 Cys Phe Glu Val Ser Lys Tyr 1 5 <210> 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7)..(7) <223> AMIDATION <400> 3 Cys Phe Glu Ile Ser Lys Tyr 1 5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6)..(6) <223> AMIDATION <400> 4 Phe Glu Ile Ser Lys Tyr 1 5 <210> 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6)..(6) <223> AMIDATION <400> 5 Val Phe Ser Thr Ala Leu 1 5 <210> 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6)..(6) <223> AMIDATION <400> 6 Cys Val Phe Ser Thr Ala Leu 1 5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의 펩티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CaCbCCCdCeFEX1SKYCfCgCHCiCj (I)
    상기에서,
    펩티드의 N-말단 기는 화학식 -NHR1의 모노라디칼(monoradical)이고,
    펩티드의 C-말단 기는 화학식 -C(O)-R2의 모노라디칼이고;
    R1은 수소 및 -C(O)-(C1-C2O)알킬로부터 선택된 모노라디칼이고;
    R2는 -OH 및 -NR3R4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모노라디칼이고;
    R3 및 R4는 수소 및 (C1-C10)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 내지 "j" 중 하나 이상이 1 인 경우, "a" 내지 "j"는 0 내지 1의 정수이고; 및
    X1은 임의의 아미노산을 나타낸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X1은 Ala, Ile, Leu, Phe, Val, Pro, 및 Gly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펩티드.
  3.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1은 Ile 또는 Val인 것인 펩티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C(O)(C1-C10)알킬인 것인 펩티드.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C(O)-CH3인 것인 펩티드.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NR3R4인 것인 펩티드.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3 및 R4는 수소인 것인 펩티드.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j" 중 하나는 1이고 나머지는 0인 것인 펩티드.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가 1이고 "b", "c", "d", "e", "f", "g", "h", "i" 및 "j"는 0인 것인 펩티드.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펩티드.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펩티드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conjugate).
  12.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화학식 (I)의 펩티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청구항 1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콘쥬게이트를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excipient), 희석제(diluent) 또는 담체(carrier)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펩티드, 청구항 11에 정의된 바와 같은 콘쥬게이트, 또는 청구항 12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약학적 조성물.
  14. 신생물 질환(neoplastic disease)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펩티드, 청구항 11에 정의된 바와 같은 콘쥬게이트, 또는 청구항 12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약학적 조성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신생물 질환은 췌장암인 것인 사용하기 위한 펩티드, 콘쥬게이트 또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07012579A 2017-10-05 2018-10-04 항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2000710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382667.8A EP3466963A1 (en) 2017-10-05 2017-10-05 Anticancer peptides and uses thereof
EP17382667.8 2017-10-05
PCT/EP2018/077033 WO2019068822A1 (en) 2017-10-05 2018-10-04 PEPTIDES WITH ANTICANCER ACTIVITY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083A true KR20200071083A (ko) 2020-06-18

Family

ID=6018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579A KR20200071083A (ko) 2017-10-05 2018-10-04 항암 펩티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14593B2 (ko)
EP (2) EP3466963A1 (ko)
JP (1) JP7302887B2 (ko)
KR (1) KR20200071083A (ko)
CN (1) CN111164094B (ko)
AU (1) AU2018344475B2 (ko)
BR (1) BR112020006150A2 (ko)
CA (1) CA3077660A1 (ko)
ES (1) ES2952984T3 (ko)
RU (1) RU2020115280A (ko)
WO (1) WO20190688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0203504A3 (en) * 1999-10-18 2005-03-29 Akzo Nobel Nv Modified peptides and peptidomimetics for use in immunotherapy
JP3961306B2 (ja) * 2002-02-06 2007-08-22 月桂冠株式会社 黒麹菌のフェリクローム生合成に関与するクラスター遺伝子
US8865216B2 (en) 2007-08-03 2014-10-2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and composition for making same
US8945898B2 (en) * 2010-07-01 2015-02-03 Dsm Ip Assets B.V. Recombinant host cell with deficiency in non-ribosomal peptide synthase production
US9457096B2 (en) * 2012-07-06 2016-10-04 Consejo Nacional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Y Tecnicas (Concet) Protozoan variant-specific surface proteins (VSP) as carriers for oral drug delivery
GB201220889D0 (en) * 2012-11-21 2013-01-02 Kit Karlsrusher Inst Fuer Technologie Und Inst Fuer Toxikologie Und Genetik And Amcure Gmbh CD44v6-derived peptides for treating metastasizing cancers
CA3017424A1 (en) * 2016-03-15 2017-09-21 Idp Discovery Pharma, S.L. Peptides with anti-cancer activity
CN106831946B (zh) * 2016-12-22 2020-11-10 贵州源熙生物研发有限公司 抗癌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20115280A (ru) 2021-11-08
CN111164094B (zh) 2023-07-07
US11214593B2 (en) 2022-01-04
EP3692051A1 (en) 2020-08-12
EP3692051B1 (en) 2023-06-07
AU2018344475B2 (en) 2024-03-07
EP3692051C0 (en) 2023-06-07
CA3077660A1 (en) 2019-04-11
EP3692051B9 (en) 2023-10-04
JP2020536104A (ja) 2020-12-10
US20200239520A1 (en) 2020-07-30
ES2952984T3 (es) 2023-11-07
JP7302887B2 (ja) 2023-07-04
EP3466963A1 (en) 2019-04-10
BR112020006150A2 (pt) 2020-10-13
CN111164094A (zh) 2020-05-15
WO2019068822A1 (en) 2019-04-11
AU2018344475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6589B2 (ja) 薬物動態特性の改善されたコンプスタチンアナログ
AU2006266609C1 (en) Treatment of tumors
US7671011B2 (en)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lipopeptides
US10456443B2 (en) Peptidyl calcineurin inhibitors
ES2621337T3 (es) Desarrollo de nuevo dominio de transducción macromolecular con mejor permeabilidad celular y método de uso del mismo
JP4926979B2 (ja) Mansの構造に基づくムチン過剰分泌抑制剤及び使用方法
JP6810690B2 (ja) 疾患組織に対する選択性を有するファルマコフォア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生成方法
TW577897B (en) Conjugat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JP2004521911A (ja) 投薬方式
US20030133927A1 (en) Conjugat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US11214593B2 (en) Anticancer peptides and uses thereof
JP3819712B2 (ja) 細胞内信号伝達を攪乱させる合成ペプチド
US20200317733A1 (en) Foxp3-binding peptides and uses thereof
KR20140084191A (ko) 멜라노트란스페린으로부터 유도된 펩티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04094462A2 (en) Methods of peptide preparation
US20090305954A1 (en) Histidine-containing diastereomeric peptides and use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