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071A -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차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차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071A
KR20200071071A KR1020207010533A KR20207010533A KR20200071071A KR 20200071071 A KR20200071071 A KR 20200071071A KR 1020207010533 A KR1020207010533 A KR 1020207010533A KR 20207010533 A KR20207010533 A KR 20207010533A KR 20200071071 A KR20200071071 A KR 2020007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route
navigation
roa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574B1 (ko
Inventor
더 플리스트 브람 얀 야코부스 반
헨드리크 세바스티앤 지졸드
덴 베르헨 지노 요하네스 아폴로니아 반
아나톨리이 사마라
제임스 윌리암 와이어
마아르텐 윔 휩나우
얀 헨드리크 하밍크
Original Assignee
톰톰 인터내셔날 비.브이.
톰톰 네비게이션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톰 인터내셔날 비.브이., 톰톰 네비게이션 비.브이. filed Critical 톰톰 인터내셔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0007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6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the immediate route instructions are output to the driver, e.g. arrow signs for next tu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 사용자를 결정된 경로를 따라 목적지로 안내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에서의 도로들을 보여주는 네비게이션 지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로부터 취해질 상기 하나 이상의 도로들을 보여주는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그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다중 차선 도로상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관련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내의 상기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경로선은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을 나타내는, 단계; 그리고 그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차선 안내 패널 및 상기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차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사용자에게 차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비게이션 장치로 확장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신호 수신 및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소위 PND라고 함) 형태의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러한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통합 네비게이션 시스템(예를 들어, 차량 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사용자에게 차선 정보(예를 들어 도로 네트워크의 분기점(junction)에서 특정 메뉴버(manoeuvre)를 수행하기 위해 차량이 어느 차선 또는 차선들에 있어야하는지에 관한 명령들)를 제공하는 방법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위에서 논의되고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일 예시적 실시예는 휴대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이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 및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들(Portable navigation devices (PNDs))은 잘 알려져 있으며, 그리고 차량 내 또는 다른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들로서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PND는 프로세서, 메모리(휘발성 및 비-휘발성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보통은 둘 모두), 그리고 상기 메모리 내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통합되어 소프트웨어 운영 시스템이 설립될 수 있는 실행 환경을 제공하며, 그리고 추가로 상기 PND의 기능이 제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다양한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이 제공되는 것은 일반적이다.
보통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고 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인터페이스들, 그리고 정보가 사용자에게 중계될 수 있게 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한다. 출력 인터페이스들의 예시적인 예들은 시각적 디스플레이 및 청각적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들의 예시적인 예들은 상기 디바이스의 온/오프 동작이나 다른 특징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버튼들(이 버튼들은 상기 디바이스 그 자체에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디바이스가 차량 내에 설치된다면 운전대 상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임), 그리고 사용자의 말(speech)을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특별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지 오버레이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디바이스들은, 전력 그리고 옵션으로는 데이터 신호들이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커넥터 인터페이스들 또한 종종 포함할 것이며, 그리고 셀룰러 원거리통신들 그리고 다른 신호 및 데이터 네트워크들, 예를 들면, Wi-Fi, Wi-Max GSM 및 유사한 것을 통한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전송기들/수신기들을 옵션으로 포함할 것이다. 이 유형의 PND 디바이스들은 또한 GPS 안테나를 포함하며, 그 안테나에 의해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성-방송 신호들이 수신되고 이어서 프로세싱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PND 디바이스는 전자 자이로스코프들 및 가속도계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전자 자이로스코프들 및 가속도계들은, 현재 각 가속도 및 선형 가속도를 판별하고, 그리고 그 결과, 상기 GPS 신호로부터 유도된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가 설치된 차량의 속도 및 상대적인 변위를 판별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는 신호들을 산출한다. 보통은 그런 특징들은 차량-내 네비게이션 시스템들 내에 대부분 제공되지만, 편리한 경우에는 PND 디바이스들 내에 또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PND들의 유용성은 제1 위치(보통은 시작 위치 또는 현재 위치) 및 제2 위치(보통은 목적지) 사이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그 PND들의 능력에서 주로 명백해진다. 이러한 위치들은 아주 다양한 상이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예를 들면, 우편번호, 거리 이름 및 건물 이름, (유명한 위치들, (운동장이나 수영장 같은) 국지적인 위치들 또는 다른 관심 포인트들과 같은) 이전에 저장된 "잘 알려진" 목적지들, 그리고 선호하거나 최근에 방문했던 목적지들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보통은, 상기 PND는 상기 지도 데이터로부터의 상기 시작 및 목적지 주소 위치들 사이의 "최선" 또는 "최적" 경로를 계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최선" 또는 "최적" 경로는 미리 정해진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며 그리고 반드시 가장 빠르거나 짧은 경로일 필요는 없다. 운전자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의 선택은 매우 복잡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택해진 경로는 기존의, 예측된 그리고 동적으로 그리고/또는 무선으로 수신된 트래픽 및 도로 정보, 도로 속도에 대한 이력 정보, 그리고 도로 선택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대한 운전자 자신의 선호도를 고려할 수 있다(예를 들어, 운전자는 경로에 고속도로나 유료 도로가 포함되지 않도록 지정할 수 있음).
추가로, 상기 디바이스는 도로 및 트래픽 상태들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변한 상태들로 인해서 여정의 나머지 부분이 이루어질 경로를 변경할 것을 제안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트래픽 지연들을 식별하기 위해 그리고 그 정보를 통지 시스템으로 피딩(feeding)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예를 들면, 모바일 전화 데이터 교환, 고정 카메라들, GPS 기단 트래킹)을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유형의 PND들은 보통은 차량의 대시보드나 방풍 유리상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지만, 차량 라디오의 온-보드 컴퓨터의 일부로서 또는 실제로 상기 차량 그 자체의 제어 시스템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는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휴대전화 등과 같은 핸드-헬드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런 경우들에서, 상기 핸드-헬드 시스템의 보통의 기능은 경로 계산 및 계산된 경로를 따른 네비게이션 둘 모두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디바이스 상에서의 소프트웨어 설치에 의해 확장된다.
또한 경로 계획(route planning) 및 네비게이션 기능은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데스크탑 또는 모바일 컴퓨팅 자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omTom International B.V.는 routes.tomtom.com에서 온라인 경로 계획 및 네비게이션 설비를 제공하며, 이 설비는 사용자가 시작 포인트 및 목적지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며, 그러면 사용자의 PC가 접속된 서버가 경로를 계산하고(이것의 양상들은 사용자가 특정할 수 있음), 상기 선택된 시작 포인트로부터 상기 선택된 목적지까지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철저한 네비게이션 지시들의 집합을 생성한다.
PND의 환경에서, 일단 경로가 계산되면, 원하는 계산된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옵션으로는 제안된 경로들의 목록으로부터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한다. 옵션으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일정 경로들, 도로들, 위치들 또는 기준이 회피되어야한다거나 또는 특별한 여정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특정함으로써 상기 경로 선택 프로세스에 개입하거나 또는 그 경로 선택 프로세스를 안내할 수 있다. PND의 경로 계산 모습은 하나의 주요한 기능을 형성하며, 그리고 그런 경로를 따른 네비게이션은 다른 주요한 기능이다.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추가의 중요한 기능은 다음의 이벤트에서의 자동적인 경로 재-계산이다 : 네비게이션 동안에 (우연히 또는 고의적으로) 사용자가 이전에 계산된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이벤트; 실시간 트래픽 상태들이 대안의 경로가 더 편리할 것이라고 지시하며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적절하게 그런 상태들을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는 이벤트; 또는 어떤 이유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가 경로 재-계산을 수행하게 하는 이벤트.
사용자 정의 기준으로 경로가 계산되게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의해 경치 좋은 경로가 계산되는 것을 선호하거나, 교통 혼잡이 예상되거나 현재 교통이 혼잡한 도로를 피하기를 원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경로들을 계산할 것이고, 그리고 경로를 따라 (예를 들어 경치가 좋은 것으로 태그되는) 가장 많은 관심 포인트(point of interest)(POI로도 알려짐)를 포함하는 경로들을 더 선호하거나, 또는 특정 도로의 일반적인 교통 상황을 나타내는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그것들로 인한 가능한 혼잡 또는 지연 수준으로 상기 계산된 경로들을 정렬할 것이다. 다른 POI-기반 경로 계산 및 교통 정보-기반 경로 계산 및 네비게이션 기준 또한 가능하다.
비록 경로 계산 및 네비게이션 기능들이 PND들의 전체적인 유용함에 근간이지만, 상기 디바이스를 순전히 정보 디스플레이만을 위해, 또는 "자유-운전"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현재 디바이스 위치에 관련된 지도 정보만이 디스플레이되며, 그리고 어떤 경로도 계산되지 않으며 그리고 그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어떤 네비게이션도 수행되고 있지 않다. 이동하기를 원하는 경로를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으며 그리고 네비게이션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 그런 동작 모드가 종종 적용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유형의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들이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신뢰성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계산된 경로에 따른 네비게이션 동안, 그러한 PND들이 사용자를 선택된 경로를 따라 해당 경로의 끝(즉, 원하는 목적지)으로 안내하기 위해 시각적 지시들 및/또는 청각적 지시들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PND들이 네비게이션 동안 스크린상에서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정보는 스크린 상에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이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지도 정보는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고 그리고 이에 따라 디바이스가 차량 내 네비게이션에 사용되고 있는 중이라면 사용자 또는 사용자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낸다.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은 일반적으로 현재 디바이스 위치를 나타내며, 현재 디바이스 위치 근처에 있는 현재 도로와 주변 도로들의 지도 정보와 함께 센터링되며, 그리고 다른 지도 특징들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추가적으로, 네비게이션 정보는, 옵션으로 디스플레이된 지도 정보의 위의, 아래의 또는 한쪽의 상태 바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정보의 예들은 사용자가 취해야하는 현재 도로로부터 다음 항로변경(deviation)까지의 거리를 포함하며, 이 항로 변경의 특성은 특정 유형의 항로변경을 암시하는 추가 아이콘, 예를 들어 좌회전 또는 우회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기능은 또한 사용자가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게 하는 가청 지시들의 내용, 지속 시간 및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100 m에서 좌회전"과 같은 간단한 지시는 상당한 처리 및 분석을 요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터치스크린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에 장착된 원격 제어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음성 활성화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결정된 경로를 따라갈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지시들을 제공하는 다수의 전형적인 방법들이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지시들은 일반적으로 턴-바이-턴 지시들이라고 한다. 대부분은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따라야할 경로를 나타내는 그래픽 아이콘들과 함께,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위의 세계 표현,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로 네트워크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의존한다. 세계의 표현은 일반적으로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로 생성된 이미지일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일반적인 표현은 2차원(2D) 뷰이며, 이러한 2차원 뷰에서, 이미지는 z-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서와 같이 생성되며(도 4c 참고), 이 때, 피치 각도는 0°고, 이로써,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주변의 영역의 조감도를 보여준다. 그러한 뷰의 예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고,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는 아이콘(401)으로 도시되고, 따라가야할 미리 결정된 경로는 경로 라인(403)으로 도시된다. 이 뷰에서, 카메라는 경로를 따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x-y 평면(즉, z축에 수직하고, 따라서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일반적인 표현은 높은 위치에 위치하지만 예를 들어 30°의 피치 각도(카메라가 표면의 평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90° 피치 각도, 도 4c 참조)를 갖는 카메라로부터 이미지가 생성되는 3차원(3D) 표현이며, 이로써,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주위의 영역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그러한 뷰의 예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고, 카메라가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뒤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즉 x-y 평면에 위치하며, 이로써,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405)이 뷰에 도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뷰에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경로 라인(407)으로 도시된 미리 결정된 경로를 따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추적할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의 시야각은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따라(또는 미리 결정된 경로의 길을 따라) 센터링된다.
일부 복잡한 분기점(junction)의 경우, 사용자에게 다가오는 분기점의 개략도와 함께 3D 안내 뷰(guidance view)의 조합을 나타내서, 메뉴버(manoeuvre)를 더 자세히 도시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뷰의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안내 뷰(500)는 스크린의 좌측에 도시되고, 분기점 뷰(501)는 스크린의 우측에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 뷰(500)는 라인(502)에 의해 따라가야할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며, 아이콘(503)에 의해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며, 그리고 화살표(504)에 의해 다음 분기점에서 행해지는 메뉴버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분기점 뷰(501)에서, 화살표들(508)은 원하는 메뉴버를 완료하기 위해 사용자가 어느 도로의 차선에 있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안내 모드에 대한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출원인은 분기점을 향한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움직이는 이미지(즉, 안내 뷰(500))와 함께 분기점의 정적 이미지(즉, 분기점 뷰(501))를 사용하는 것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인식했다.
네비게이션(또는 안내) 지시들을 제공하는 다른 방법은 "증강 현실"을 위해 디바이스의 전방의 영역을 보여주는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들에 대한 지시들을 중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추가의 세부사항은, 예를 들어, 2006년 12월 14일에 공개된 TomTom International B.V의 WO2006/132522 A1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와 유사하게, 그리고 카메라 이미지 위에 지시들을 중첩하고 그 결과적인 조합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대신, 사용자가 자신의 시야에서 지시들을 볼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표면에) 지시들을 HUD(heads-up display)의 일부로서 투사하는 것 또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해되는 바와 같이, 특히 복잡한 분기점들 및 교차로들의 경우에, 이러한 방식으로 지시들을 디스플레이한다고 해서 다가오는 분기점의 구성 또는 분기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메뉴어들에 대한 충분한 통찰력을 사용자에게 항상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출원인은 여전히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지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개선된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다중 차선 도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도로들을 포함하는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 사용자를 결정된 경로를 따라 목적지로 안내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다중 차선은 적어도 하나의 도로 분기점과 관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로 분기점에서,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1 세트 내의 차량들은 제1 출구 도로를 통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를 벗어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2 세트 내의 차량들은 상기 다중 차선 도로에서 계속 주행하거나 제2 출구 도로를 통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를 벗어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에서의 상기 도로들을 보여주는 네비게이션 지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로부터 취해질 상기 하나 이상의 도로들을 보여주는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은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다중 차선 도로상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관련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는, 단계;
적어도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경로선은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을 나타내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차선 안내 패널 및 상기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양상들 또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다중 차선 도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도로들을 포함하는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 사용자를 결정된 경로를 따라 목적지로 안내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다중 차선은 적어도 하나의 도로 분기점과 관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로 분기점에서,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1 세트 내의 차량들은 제1 출구 도로를 통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를 벗어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2 세트 내의 차량들은 상기 다중 차선 도로에서 계속 주행하거나 제2 출구 도로를 통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를 벗어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수단;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에서의 상기 도로들을 보여주는 네비게이션 지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로부터 취해질 상기 하나 이상의 도로들을 보여주는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은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는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다중 차선 도로상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관련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생성되는, 수단;
적어도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2 경로선은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을 나타내는,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차선 안내 패널 및 상기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2 양상 및 추가 양상들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방법은 시스템 또는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또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의 시스템 또는 장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또는 모든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는 언급된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단계는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네비게이션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된 양상들 또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일반적으로 그렇게 하기 위해 구성된(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들의 세트로 프로그래밍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세트(또는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어진 단계는 임의의 다른 단계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세트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단계는 프로세서들의 세트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유익하고(instructive) 정보를 제공하는(informative)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소를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양상들이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및/또는 서버)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기 위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지시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도 확장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이나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과 함께 상기 장치나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상기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하는, 그런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캐리어로 대응하여 확장된다. 그런 컴퓨터 소프트웨어 캐리어는 ROM 칩, CD ROM 또는 디스크와 같은 비-일시적 물리적 저장 매체일 수 있으며, 또는 유선을 통한 전자 신호, 광학 신호 또는 위성이나 유사한 것으로의 라디오 신호와 같은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에 의해 읽혀질 때에 그 기계로 하여금 본 발명의 양상들이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작동하게 하는 지시어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네비게이션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모바일 네비게이션 장치는 안내 기능, 그리고 옵션으로 경로 계획 기능을 제공하는 주요 목적을 갖는 전용 장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네비게이션 장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기와 같은 위치 결정 수단을 갖는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전화일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덜 바람직한 실시예들이지만,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네비게이션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현재 위치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획득되며, 그리고 네비게이션 지도, 차선 안내 패널, 제1 경로선 및/또는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모바일 네비게이션 장치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결정된 경로를 따라 목적지까지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그리고 특히 다중 차선 도로상의 도로 분기점에 도달할 때,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상에서 차량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도로 분기점에서, 차량은 (출구 도로를 통해) 도로를 빠져 나가기 위해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1 세트에 있거나, 도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또는 상이한 출구 도를 통해 빠져 나가기 위해)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2 세트에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갈 때,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지도를 포함하는 GUI를 제공받으며, 네비게이션 지도는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오버레이된 제1 경로선과 함께,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의 도로들을 보여주는데, 상기 제1 경로선은 결정된 경로를 따르기 위해 현재 위치로부터 취해질 하나 이상의 도로들을 보여준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GUI는 바람직하게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도 포함할 것이며, 이 아이콘 또한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오버레이된다. 네비게이션 지도, 제1 경로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현재 위치 아이콘은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드는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는 결정된 경로를 따라 여정(journey)의 주요 부분에 대한 이러한 네비게이션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장치가 다중 차선 도로상의 도로 분기점에 접근할 때, 그리고 특히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차선 메뉴버(manoeuvre)가 요구될 수 있는 도로 분기점에 도달할 때, GUI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와 네비게이션 지도의 도로 분기점의 위치 사이의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바닥부로부터 연장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는 차선 안내 패널을 포함하도록 수정되며, 여기서, 상기 경로선은,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할 차선들을 나타내는 제2 경로선과 함께, 상기 경로가 디스플레이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도로 분기점의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표시된다. 즉, 도로 분기점에 접근할 때, 디스플레이는 일반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서 "차선 안내 모드"로 변경된다. 차선 안내 모드에서, 상기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을 나타내는 제2 경로선은 적어도 상기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을 여전히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선 안내 패널상에서 차선 안내 정보(예를 들어, 제2 경로선)를, 그리고 또한 적어도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서 네비게이션 지도의 상세정보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는 패널상에 제공되는 차선 안내 정보는, 여전히 보이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과 함께, 지도의 맥락 내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도로 교차점 이전에 필요한 차선 안내 정보를 보다 자연스럽게 제공받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서) 교차점 너머로 계속되는 경로의 연속부분도 여전히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로 분기점에서 이루어질 메뉴버와 관련한 차선 안내 및 도로 분기점 후에 따라가야 할 경로에 관한 안내를,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분할 화면 안내 및 분기점 뷰 대신에, 단일의 일관성 있는 뷰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를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결정된 경로를 따라 목적지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정보가 제공된다. 도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다중 차선 도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도로들을 포함한다. 다중 차선 도로는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들에 대해, 물리적 분리기(physical divider) 또는 중앙 분리대(central reservation)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다중 차선을 갖는 도로를 의미하므로, 차량들은 도로를 따라 이동할 때 차선들 사이에서이동하거나 또는 차선을 바꿀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차선 도로는 교차로(평면 분기점(at grade junction)) 또는 인터체인지(입체 분기점(grade separated junction)) 같은 하나 이상의 도로 분기점들과 관련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인접한) 차선들의 제1 세트 내의 차량들은 출구 도로를 사용하여 상기 도로를 벗어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인접한) 차선들의 제2 세트에서 도로를 따라 계속 움직일 수 있다(또는 상이한 출구 도로를 통해 도로를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도로 교차점들은 예를 들어 복잡한 고속도로 교차점일 수 있다. 그러나, 도로 교차점은 차선 안내가 요구될 수 있는 임의의 도로 상황일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로 교차점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진행하기 위해 어느 차선에서 주행해야할지 결정해야 하는, 다중 차선 도로를 따르는 임의의 교차점이다. 이에 따라, 도로 교차점은 하나 이상의 출구 차선들, 그리고 또한 분할 지점(또는 결정 지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점에서, 차량은 결정된 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계속 진행하기 위해 올바른 차선에 있어야 한다.
상기 방법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일 수 있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계산된다. 목적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여행 이력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출발 시간, 출발 날짜 및 출발지를 사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경로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출발지 및/또는 목적지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가장 빠른 경로, 가장 짧은 경로, 가장 연료 효율적인 경로 등과 같은 사용자 지정 기준에 따를 수 있다.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경로 계산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와 같은 출발지 및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목적지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원격으로, 예를 들어 서버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통신 링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경로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가능한 네트워크(navigable network)(예를 들어, 도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다수의 세그먼트들을 갖는 디지털 지도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디지털 지도(본 명세서에서 전자 지도(또는 때때로 알려진 바와 같이 수학적 그래프)라고도 함)는 사실상 노드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가장 일반적으로 도로 교차로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그리고 그러한 교차로들 사이의 도로들을 나타내는, 그러한 노드들 사이의 선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보다 상세한 디지털 지도들에서, 선들은 시작 노드 및 종료 노드에 의해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최소 3 개의 선들 또는 세그먼트들이 교차하는 도로 교차점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실제적(real)"일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노드들은 무엇보다도 도로의 특정 스트레치(stretch)에 대한 형상 정보, 또는 해당 도로의 일부 특성(예를 들어, 제한 속도)이 변하는 도로를 따른 위치를 식별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실제 노드에 의해 하나 또는 양쪽 단부들에서 정의되지 않은 세그먼트들에 대한 앵커(anchor)들로서 제공된다는 점에서 "인공적"일 수 있다. 실제로 모든 현대 디지털 지도들에서, 노드들과 세그먼트들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로 다시 표현되는 다양한 속성들에 의해 더 정의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노드는 일반적으로 실제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지리적 좌표들(예를 들어, 위도와 경도)을 가질 것이다. 노드들은 또한 교차로에서 한 도로에서 다른 도로로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노드와 관련된 메뉴버 데이터(manoeuvre data)를 가질 것이며; 세그먼트들은 또한 허용되는 최대 속도, 차선 크기, 차선 수, 차선들 사이에 분리기가 있는지 여부 등과 같은 관련 속성들을 가질 것이다. 또한, 전자 지도는 도로 네트워크 내의 도로들의 이름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핸드-헬드 PND, 휴대전화로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에 또는 차량 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휴대 가능하다. 즉, 네비게이션 가능한 네트워크를 가로지를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가 사용자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는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의 현재 위치와 유사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네비게이션 가능한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결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디바이스는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위치 검출 수단, 예를 들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예를 들어, GPS 또는 GLONAS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는 원하는 대로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 예를 들어 지상 비콘(terrestrial beacon), 이동 통신 네트워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위치 결정 수단을 사용하여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이 서버에서 수행되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는) 통신 링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와 연관된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수단은 일반적으로 GPS 또는 GLONASS 수신기와 같은 GNS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획득된 현재 위치, 그리고 옵션으로는 건물들과 같은 세계의 다른 특징들에 기초하여 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에서 도로들을 보여주는 네비게이션 지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네비게이션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이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세계 표현(representation of the world)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생성된 이미지이고, 그리고 디지털 지도 데이터로부터 생성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지도는 도로 네트워크의 개략적 표현을 제공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차선 정보(예를 들어, 차선 수, 도로 마킹 등)를 포함하지 않는다. 네비게이션 지도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 주위의 2차원(2D) 세계 표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여기서, 이미지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위치에(지면 위에) 위치하며 피치 각도가 0°인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것처럼 생성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네비게이션 지도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 주위의 3차원(3D) 세계 표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여기서, 이미지는 장치 주변 영역의 사시도를 나타내기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 뒤에 위치된 예각의 피치 각도(즉, 0° 내지 90° 사이의 피치 각도)를 갖는 높이 있는 카메라(elevated camera)로부터 생성된 것처럼 생성된다. 임의의 예각 피치 각도가 원하는 대로 사용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20° 내지 40°의 각도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30° 의 각도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로부터 취해질 하나 이상의 도로들을 보여주는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상에 제1 경로선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제1 경로선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사용자가 따라가는 중인 결정된 경로를 형성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도로 또는 도로들 위에 겹쳐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경로선은 결정된 경로를 형성하는 네비게이션 지도에 디스플레이된 도로 네트워크의 도로 또는 도로들의 기하학 형상을 따라가야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지도와 같이 제1 경로선은 디지털 지도 데이터로부터 생성된다. 또한, 제1 경로선은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계산되거나 원격 서버로부터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바와 같은) 결정된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제1 경로선은 적어도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 동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제1 경로선 상에 또는 상기 제1 경로선과 함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그 위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결정된 경로를 따라 차량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현재 위치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네비게이션 지도에서 제1 경로선 위에 겹쳐진다.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GUI가 현재 차량 주위 주변을 반영하도록, 네비게이션 지도, 제1 경로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현재 위치 아이콘은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차량(그리고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을 따라가도록 업데이트된다.
본 발명은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그리고 이에 따라 차량)가 결정된 경로를 가로지르고 다중 차선 도로를 따라 주행함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에서 관련 도로 분기점(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인접) 차선들의 제1 세트 내의 차량들이 출구 도로를 사용하여 도로를 빠져나가거나 하나 이상의 (인접) 차선들의 제2 세트에서 도로를 따라 계속 이동할 수 있는 분기점)에 접근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차선 안내 조언이 제공되는 것이 요구되는 도로의 도로 분기점(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분기점으로서, 하나 이상의 (인접) 차선들의 제1 세트 내의 차량들이 출구 도로를 사용하여 도로를 빠져나가거나 하나 이상의 (인접) 차선들의 제2 세트에서 도로를 따라 계속 이동할 수 있는 분기점)에 네비게이션 장치가 접근하는 시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도로상의 관련 도로 분기점으로부터 (제1)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로 분기점의 위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디지털 지도에서 정의된다.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로 분기점의 위치는 분기점의 분할 지점을 포함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지도에서 도로 분기점의 가장 높은 범위(highest extent)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지점은 제1 차선 세트가 제2 차선 세트로부터 분리되는(또는 분할되는) 지점이다. 분할 지점은 도로가 실제로 분할되는 지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분할 지점은 결정된 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계속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올바른 차선에 있어야하는 지점(즉, 더 이상 안전하게 차선 변경을 할 수 없는 지점)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결정된 거리는 다중 차선 도로를 따라 현재 위치로부터 도로 분기점(예를 들어, 지도 내의 분할 지점 또는 도로 분기점의 가장 높은 범위)까지의 거리이다.
그러한 판단이 이루어질 때(즉, 네비게이션 장치가 차선 안내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 디스플레이는 일반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서 차선 안내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결정된 거리는 분기점과 관련된 임계 지점을 나타내는, 선택되거나 프로그래밍된 임계 거리일 수 있으며, 이 거리는 차선 안내 정보가 도로 분기점보다 적절한 거리 앞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선택되어, 사용자가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차선 메뉴버들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미리 결정된 거리는 차선 안내 정보를 도로 교차점보다 적절한 거리 앞에서 제공하기 위해 원하는 임의의 값일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500 m와 1 km 사이, 예컨대 800 m이다. 원칙적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들)는 상이한 도로 분기점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도로 분기점에 대한 미리 결정된 거리는 지도 데이터에 저장될 수 있다. 다중 차선 도로를 따라 모든 도로 교차점들에서 또는 특정 도로 교차점들에서만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따라서 차선 안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차선 메뉴버 또는 스위치가 필요할 수 있는 도로를 따르는 특정 도로 분기점들에 대해서만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선 안내 정보는 사용자가 도로를 빠져나가야 하거나 또는 차선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만 필요할 수 있다. 결정된 경로가 도로를 따라 계속 주행해야하는 것을 포함하여 차선 메뉴버가 필요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를 제공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물론 원할 경우 차선 안내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
실시예들에서, 차선 안내 패널(그리고 차선 안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임의의 관련 정보)은 분기점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다른 출구들 및/또는 분기점들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몇몇 기존 시스템들과 달리, 바람직하게는, 도로 분기점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의 제시는 취해야할 출구 전의 마지막 출구를 지나갈 때까지 연기되지 않으며, 대신에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다고 판단될 때) 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로 상황에 관계없이 분기점 전에 적절한 시간에 사용자에게 정보가 제시될 수 있다.
차선 안내 패널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한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은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 패널과 함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계속 보여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내의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한다.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지도 내의 도로 분기점의 위치는 도로 분기점의 분할 지점(예를 들어, 결정 지점)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부분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도로 분기점의 위치는 네비게이션 지도에서 도로 분기점의 가장 높은 범위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가장 높은 범위인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차선 안내 패널은 도로 분기점의 분할 지점을 커버하고 도로 분기점의 분할 지점 너머로 연장된다(따라서, 분할 지점의 위치 또한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선 안내 패널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와 네비게이션 지도 내 도로 분기점의 위치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즉, 도로 분기점의 위치까지 이어지는 경로의 일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은 일반적으로 분기점 너머의 지도(및 경로)의 연속부분을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로의 연속부분을 보기 위해 분기점 너머의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미리 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지도가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 주위의 3D 세계 표현일 때, 그리고 현재 위치 아이콘이 GUI의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하단에 가까운 경우, 바람직하게는, 차선 안내 패널은 네비게이션 지도 내의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하단부부터 경계선까지 네비게이션 지도의 하부를 덮는다. 경계선은 분할 지점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분할 지점 너머로,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지도 내 도로 분기점의 가장 높은 범위까지, 연장된다. 차선 안내 패널과 디스플레이된 네비게이션 지도 사이의 에지로서 작용하는 경계선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일 수 있으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차선 안내 패널은 GUI의 하부를 형성하는 반면, (커버되지 않은) 네비게이션 지도는 GUI의 상부를 형성한다.
차선 안내 패널은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지도 위에 디스플레이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레이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의 디스플레이는 지도 레이어 위에 렌더링된 차선 안내 패널 레이어를 갖는 레이어들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 안내 패널은 부분적으로 투명할 수 있어서, 네비게이션 지도 중 적어도 일부가 패널 아래에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투명도는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차선 안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차선 안내 정보와 그 아래에 있는 네비게이션 지도 간의 시각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하며, 이로써, 네비게이션 지도는 패널 아래에서(적어도 이러한 영역들에서) 보이지 않는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선 안내 패널의 위치(그리고 특히 차선 안내 패널의 경계선의 위치)가 네비게이션 지도 내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함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의 디스플레이된 영역이 변경될 것이며, 일반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즉, 차선 안내 패널의 위치가 동적이며, 그리고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함에 따라 경계선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하부 에지 또는 하단부를 향하여)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차선 안내 패널의 이동은 지도의 기하학적 형상(geometry)을 기반으로 하며, 그리고 분기점을 향한 차량의 진행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가 분기점에 더 가까이 이동함에 따라, 분기점의 위치, 그리고 이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의 경계선의 위치는 사실상 디스플레이상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향해 이동하며, 그리고 네비게이션 지도의 더 많은 부분이 커버되지 않아서, 분기점 이후의 경로의 연속부분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일반 탐색 모드에서와 같이) 다음 명령을 미리 보고 이에 대해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가 분할 지점을 지나갈 때, 차선 안내 패널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하부 에지로부터)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분기점 전후의 도로 상황을 보다 자연스럽게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일의 일관성있는 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차선들,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인 하나 이상의 차선들을 나타내는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결정하고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 경로선은 일반적으로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세트, 그리고 바람직하게는,상기 차선들의 세트의 하나 이상의 개별 차선들을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차선들은 "유효한" 차선들로 지칭될 수 있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차선은 다양한 적절한 기준에 따라 결정된 경로에 대한 유효한 차선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선은 특정 전방 거리 동안 해당 차선을 따르는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계속 주행할 수 있는 한 유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예를 들어, 차량은 예를 들어 400m 마다 한 번의 차선 변경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분기점에 접근함에 따라, 유효한 차선들의 세트는 (예를 들어 결국 출구 차선(들)만이 유효할 때까지)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유효 차선들의 세트는 본질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차선들만이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예를 들어, 출구 차선에 인접한 가장 바깥쪽 차선만이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데이터는 적어도 차선 안내 패널에서 제2 경로선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시에(예를 들어, 단일 단계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2 경로선 및 차선 안내 패널은 상이한 레이어들로서 생성된 다음, 원하는 시각화를 제공하기 위해 상단의 제2 경로선과 함께 적층된다. 따라서, 제2 경로선은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 패널 위에 디스플레이되며, 결국 네비게이션 지도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경로선은, 예를 들어 제1 경로선 및 네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경로선은 제1 경로선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경로선은 제1 경로선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실질적으로 동일한 데이터에 기초하거나 이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로선은 제2 경로선의 위치 및 기하학적 구조가 일반적으로 제1 경로선의 위치 및 기하학적 구조를 따르도록, 그리고 이에 따라 결정된 경로의 위치 및 기하학적 구조를 따르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경로선의 중심선은 제1 경로선의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것이다. 따라서, 제2 경로선의 위치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계산되거나 원격 서버로부터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결정된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지도 및 제1 경로선과 같이, 제2 경로선은 디지털 지도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경로선은 결정된 경로를 형성하는 네비게이션 지도에 디스플레이된 도로 네트워크의 도로 또는 도로들의 기하학적 형상을 따라야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선 안내 정보는 실제 도로 기하학적 형상에 기초하여 그리고 결정된 경로를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도의 맥락 내에서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된 제2 경로선이 네비게이션 지도로의 경로의 연속부분과 정렬되도록, 제2 경로선의 위치(및 기하학적 형상)는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로선은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선 안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제2 경로선은 네비게이션 지도로의 경로의 연속부분을 나타내는 도로 세그먼트들과 정렬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제2 경로선은 제1 경로선을 대체(또는 커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 경로선은 차선 안내 패널상에, 그리고 또한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제2 경로선은 제1 경로선을 대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 경로선은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 및 차선 안내 패널 상에 중첩된다. 즉, 실시예들에서, 제2 경로선은 차선 안내 패널로부터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분기점 너머의 경로의 연속부분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제2 경로선은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서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취해질 하나 이상의 도로들을 보여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로선은 차선 안내 모드 동안 일시적으로 숨겨질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경로선은 경로의 연속부분을 보여주기 위해 차선 안내 모드 동안 적어도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서 계속 보일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차선 안내 패널상의 제2 경로선의 위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서(즉, 차선 안내 패널과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선에서) 제1 경로선의 위치와 정렬되도록 결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 경로선과 제1 경로선은 함께 차선 안내 패널로부터 분기점 너머의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으로 연속되는 경로의 연속부분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경로선은 차선 안내 패널상에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된 제2 경로선이 네비게이션 지도의 제1 경로선과 연결되어, 차선 안내 패널로부터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으로 연장되는 경로의 연속적인 시각화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2 경로선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에서, 제2 경로선은 차선 안내 패널상에 중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차선 안내 패널과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선에서,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제1 경로선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경로선 및 제2 경로선은 결정된 경로를 반영하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제1 경로선 및 제2 경로선은 일반적으로 서로 정렬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차선 안내 패널상에서) 분기점에 접근하는 유효 차선들의 세트의 디스플레이, 그리고 또한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서) 분기점 너머의 경로의 연속부분의 시각화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결정된 경로가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로 계속 이어질 경우, 분기점 너머의 경로의 연속부분 또한 차선 안내 패널에 시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경로에 U턴, 루프(loop) 또는 고가도로(overpass)/아래쪽도로(underpass)가 포함된 경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용 가능한 차선들의 전체 세트는 차선 안내 패널상에 가시화되며, 상기 이용 가능한 차선들의 전체 세트 중에서 제2 경로선은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서브) 세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상기 방법, 상기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의 차선들을 나타내는 차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차선 이미지는 또한 도로 분기점에서 출구 도로(들)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선 이미지는 차선들의 개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실제 도로 마킹들(또는 도로에 기초한 예상되는 도로 마킹들)을 보여주기 위해 차선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로부터 생성된다. 따라서, 차선 안내 패널은 이용 가능한 차선들의 전체 세트의 시각화, 그리고 유효 차선들의 세트의 이용가능한 차선들 중에서 (예를 들어, 제2 경로선의 형태의) 하나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선 안내 패널상의 차선 이미지의 위치는 제1 경로선(및/또는 제2 경로선)의 위치에 기초한다. 왜냐하면, 차선 이미지는 제2 경로선과 정렬될 필요가 있고, 제2 경로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경로선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선 이미지는 제1 경로선 및/또는 제2 경로선의 위치 및 기하학적 형상을 따를 수 있다. 차선 이미지는 제1 경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센터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경로선이 센터링될 수 있으며, 이 때, 차선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2 경로선으로부터 옆으로 연장된다. 차선 안내 패널상의 차선 이미지 및 제2 경로선의 조합은, 결정된 경로를 따르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차선들의 세트에 대한 표시와 함께, 도로 분기점의 분할 지점 직전 및 직후의 다중 차선 도로의 차선들에 대한 정보, 그리고 출구 도로의 차선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차선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앞의 실제 차선 상황을 반영한다. 따라서, 차선 이미지는 동적일 수 있고, 그리고 경로를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차선 상황을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현재 차선 상황은 디지털 지도 데이터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선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서 경계선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세그먼트들로 시각화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와 도로 분기점의 위치 사이의 차선 기하학적 형상에 대한 변경사항들(예를 들어, 도로에 합류하는 새로운 차선 또는 나타나는 출구 차선) 또한 시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에 합류되거나 도로에서 빠져나가는 차선들은 네비게이션 장치가 경로를 따라 분기점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예를 들어 차선 이미지의 그러한 차선들을 페이드-인 및/또는 페이드-아웃시킴으로써, 시각화될 수 있다. 또한, 차선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선들의 기하학적 형상(예를 들어, 만곡(curvature))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차선들이 하나의 차선으로 합쳐진다면, 이는 차선 이미지상에 적절하게 도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선 안내 패널의 면적은 차선 이미지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선 이미지는 차선 안내 패널의 전체 영역보다 작으며, 이 때, 차선 이미지는 제1 경로선 및/또는 제2 경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상에 센터링된다.
상기 제2 경로선은 결정된 경로에 대해 유효한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세트를 단순히 표시(예를 들어, 강조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에서, 제2 경로선은 또한 필요한 차선 메뉴버 또는 차선 변경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로선은 사용자가 커브를 따라가야 하고 (예를 들어, 출구 차선을 따라가기 위해) 필요한 차선 메뉴버를 수행해야함을 나타내기 위해 만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사용하여, 옵션으로 온보드 센서 도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와 조합하여) 차량이 현재 주행중인 차선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차선 안내 패널은 동적인 차선별 안내(lane-level guidan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중 차선 도로 중에서 차량이 주행 중인 현재 차선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차선에서 주행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할 수 없다면, 상기 차선 안내 패널에,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차선 메뉴버(manoeuvre)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선 메뉴버는 제2 경로선(또는 제2 경로선의 일부)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2 경로선은 경로를 따라 계속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세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경롤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차선 메뉴버의 표시와 함께, 사용자가 현재 주행 중인 차선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커브를 따라 현재 차선에서 유효한 차선 또는 차선들로 이동해야 함을 나타내기 위해, 제2 경로선은 만곡되거나, 또는 만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 차선들은 제2 경로선의 만곡된 형상 또는 만곡된 부분의 끝에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점 전후에 경로의 연장부분의 연속적인 시각화를 제공하기 위해, 제2 경로선(즉, 유효 차선들을 보여주는 차선)의 끝은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으로 계속될 수 있거나, 또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의 제1 경로선과 정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 패널은 네비게이션 지도 내에서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커버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기가 생성되어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기는 차선 안내 패널상에서 (즉, 제2 경로선을 따르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특히 차선별 안내가 제공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현재 차선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생성되어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차선 안내 패널에는 도로 및/또는 차선들과 관련된 다양한 추가 속성들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선별 트래픽(이러한 데이터가 이용가능한 경우)을 포함하는 트래픽 정보 또한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목적지까지의 대체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 경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지정 기준(예를 들어, 가장 빠른 경로, 가장 짧은 경로, 가장 연료 효율적인 경로, 특정 도로 스트레치 제외, 특정 도로 스트레치 포함 등)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안 경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기준은 (메인) 경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기준과 상이할 것이다. 대안 경로가 도로 분기점에서 메인 경로와 상이할 때, 예를 들어 메인 경로는 사용자가 분기점에서 다중 차선 도로를 계속 따라갈 것을 요구하고 대안 경로는 사용자가 분기점에서 도로를 벗어날 것을 요구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인 경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상기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결정된 대안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차선들의 세트를 보여주는 제3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경로선은 제2 경로선과 상이한 색 또는 스타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2 개의 경로선들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제3 경로선은 차선 안내 패널에만 디스플레이되거나, 네비게이션 지도로 확장될 수 있다. 제3 경로선이 차선 안내 패널에만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시각적 혼란을 피하기 위해 대안 경로가 네비게이션 지도에서 일시적으로 숨겨질 수 있다.
차선 안내는 일반적으로 분기점의 분할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제공될 수 있으며, 분할 지점 이후에는, 더 이상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진행하기 위해 차선을 (안전하게) 변경할 수 없다.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을 통과한 후에, 예를 들어 분기점의 분할 지점을 통과한 후에, 차선 안내 패널은 더 이상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네비게이션 장치는 네비게이션 지도 및 제1 경로선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즉, 도로 분기점에 대한 접근이 판단되기 전의 방식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네비게잇녀 장치의 현재 위치로부터,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을 통과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네비게이션 지도 및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여러 도로 분기점들이 근접한 곳에 있는 경우(예를 들어, 서로 800m 미만 또는 400m 미만),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선 안내 모드로 계속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차선 안내 패널은 여전히 디스플레이되지만, 차선 안내 패널의 위치는 다음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시프트된다. 이러한 경우, 출구가 다른 출구/지시에 의해 바로 뒤따르는 경우(예를 들어, 400 m 내에서 뒤따르는 경우), 제2 경로선은 일반적으로 제2 출구/지시에 대해 올바른 차선에서 있기 위해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제1 출구에 대한 차선들만을 표시할 것이다.
차선 안내 모드에서, 네비게이션 지도는 일반적으로 2D 표현 또는 3D 표현을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은 대응하는 2D 또는 3D 사시도를 제공하도록 렌더링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네비게이션 지도는 3D 표현을 도시하며, 그리고 차선 안내 패널은 3D 사시도에서 렌더링된다(이로써,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차선 안내 패널은 디스플레이의 전경을 포함하지만, 커버되지 않은 네비게이션 지도는 배경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지도가 네비게이션 장치가 도로 분기점으로부터 제2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다고 판단될 때의 2D 세계 표현일 때, 네비게이션 지도는 대신 3D 표현을 보여주도록 변경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는 장치 주변 영역의 사시도를 보여주기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 뒤에 위치된, 예각(즉, 0° 내지 90°)의 피치 각도를 갖는 높이 있는 카메라(elevated camera)로부터 생성된 것처럼 생성된다. 제2 미리 결정된 거리는 (차선 안내 패널의 생성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제1 미리 결정된 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1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지도는 차선 안내 패널이 생성되기 전에(그리고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2D 표현에서 3D 표현으로 전환된다. 도로 분기점을 통과한 후에 그리고 차선 안내 패널이 디스플레이에서 제거된 후에, 네비게이션 지도는 3D 표현에서 2D 표현으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데이터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상기 방법이 네비게이션 장치상에서 수행될 때,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이 서버상에서 수행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는 통신 링크를 통해 GUI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임의의 형태의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실제로 임의의 위치-인식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상들 또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상기 장치는 사용자에게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전자 지도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전자 지도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장치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동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세트를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장치는 전술된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세트일 수 있다.
구현에 무관하게,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네비게이션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 저장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가 설립될 수 있는 실행 환경을 제공하도록 협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이 제공되어, 상기 장치의 기능이 제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다양한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신호 수신 및 처리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출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에게 정보가 중계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들)는 시각적인 디스플레이에 추가로 청각적인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그 장치의 온/오프 동작 또는 다른 특징들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장치는 휴대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portable navigation device; PND)로도 지칭되는 모바일 네비게이션 장치이다.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는 적절하다면 사용자/운전자 및/또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일치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통합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차량내 통합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장치는 특정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응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배열된 적합한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또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면, 휴대전화나 랩탑일 수 있으며, 또는 데스크탑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상들 또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실행가능한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로 하여금 이러한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세트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방법의 양상들 또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비 일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들 중 임의의 양상은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들 및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임의의 또는 모든 특징들을 이들이 서로 상반되지 않는 범위까지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이러한 실시예들의 이점들이 제시되며,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들 각각의 추가의 상세 내용들 및 특징들은 동반하는 종속항들에서 그리고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다른 곳에서 정의된다.
도 1은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예시적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예시적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의 전자 컴포넌트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예시적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를 장착 및/또는 도킹하는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종래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예시적 2D 안내 뷰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b는 종래의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예시적 3D 안내 뷰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c는 그러한 뷰들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각각의 피치 및 뷰 각도들을 정의한다.
도 5는 종래의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들에서 복잡한 분기점들에 사용될 수 있는, 다가오는 분기점의 개략도와 3D 안내 뷰의 조합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6e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분기점에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차선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a 내지 도 6d의 곡선 경계선과 대조적으로) 직선 경계선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의 대안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 다수의 레이어들을 적층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디스플레이를 차선 안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도시하는데, 도 9a는 기본 네비게이션 안내 뷰를 도시하며, 도 9b 및 도 9c는 차선 안내 패널의 생성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9d는 완료된 전환을 도시한다.
도 10은 차선 안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경로선이 (추가적으로) 차선 변경 메뉴버를 나타내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 도 11b, 도 11c는 차선 변경 메뉴버들의 시각화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차선 안내 패널에 대안적인 경로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차선 안내 패널에서 아래쪽 도로(underpass)와 고가도로(overpass) 상황들을 시각화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이제, 특히 PN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시들은 PND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대신에 경로 계획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임의 유형의 처리 디바이스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원과 관련하여,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는 그러한 디바이스가 PND, 차량에 내장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또는 실제로 경로 계획 및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스크톱 또는 휴대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모바일 전화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ortable digital assistant; PDA)와 같은) 컴퓨팅 자원으로서 구현되든 관계없이 임의 유형의 경로 계획 및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를 (제한 없이)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하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의 교시들은 사용자가 한 지점에서부터 다른 한 지점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네비게이팅해야 할지에 관한 지시사항들을 찾지 않고 단지 소정의 위치의 뷰 또는 현재 또는 다가오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환경에서 더 유용성을 갖는다. 그러한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destination)" 위치가, 사용자가 네비게이팅하기 시작하고자 하는 해당 출발 위치를 가질 필요가 없으며, 이 때문에 본원 명세서에서 "목적지" 위치 또는 실제로는 "목적지" 뷰에 대한 참조들이, 경로의 생성이 필수적이라거나 "목적지"로의 주행이 이루어져야 한다거나, 또는 실제로는 목적지의 존재가 해당 출발 위치의 목적지를 필요로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위의 단서들을 고려하여, 도 1은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 가능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GPS는 무제한의 사용자들을 위한 지속적인 위치, 속도, 시간 및 어떤 경우에는 방향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위성-무선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다. 이전에 NAVSTAR로서 알려진, GPS는 매우 정확한 궤도들을 그리면서 지구를 도는 복수의 위성들을 통합한다. 이러한 정확한 궤도들에 기반을 두고, GPS 위성들은 임의 개수의 수신 유닛들에 대해 자신들의 위치를 릴레이할 수 있다.
GPS 시스템은 특히 GPS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장착된 디바이스가 GPS 위성 신호들에 대한 무선 주파수들을 스캐닝하기 시작할 때 구현된다. 한 GPS 위성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이한 기존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해 그러한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위성 신호들을 획득할 때까지 신호들의 스캐닝을 계속할 것이다(여기서 유념할 점은 위치가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다른 삼각 기법들을 사용하여 단지 2개의 신호만을 가지고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기하학적인 삼각 측량(geometric triangulation)을 구현할 경우에, 수신기는 3개의 알려진 위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위성들에 대한 자기 자신의 2-차원 위치를 결정한다. 이는 공지의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제4의 위성 신호의 획득은 수신 디바이스가 공지의 방법으로 동일한 기하학적인 계산을 통해 자신의 3-차원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위치 및 속도 데이터는 무제한의 사용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실시간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시스템은 참조번호 100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나 있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구(104)를 중심으로 궤도를 도는 복수의 위성들(102)을 포함한다. 각각의 위성(102)의 궤도는 다른 위성들(102)의 궤도들과 동기적(synchronous)일 필요가 없고, 사실상 비동기적일 가능성이 있다. GPS 수신기(106)는 다양한 위성(102)으로부터 확산 스펙트럼 GPS 위성 신호들(108)로서 GPS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확산 스펙트럼 신호들(108)은 각각의 위성(102)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송되며, 매우 정확한 원자시계로 달성되는 매우 정확한 주파수 표준을 이용한다. 각각의 위성(102)은 자신의 데이터 신호 전송의 일부로서 상기 특정한 위성(102)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관련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이해되겠지만, 상기 GPS 수신기(106)는 자신의 2-차원 위치를 삼각 측량에 의해 계산하도록 상기 GPS 수신기(106)에 대한 적어도 3개의 위성(102)으로부터 확산 스펙트럼 GPS 위신 신호들(108)을 획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총 4개의 위성(102)으로부터의 신호들(108)을 결과적으로 초래하는, 추가 신호의 획득은 상기 GPS 수신기(106)가 자신의 3-차원 위치를 공지의 방식으로 계산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는 블록 컴포넌트 형식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전자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블록도가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많은 대표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것뿐이라는 것이다.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하우징(미도시) 내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은 입력 디바이스(204)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에 연결된 프로세서(202)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디바이스(204)는 키보드 디바이스,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패널 및/또는 정보를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어떤 공지된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은 예를 들면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임의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204)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은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을 포함하여 통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에 통합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의 일부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선택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가상 버튼 중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는 출력 디바이스(208), 예를 들면 가청 출력 디바이스(예컨대, 라우드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208)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에 대한 가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디바이스(204)는 입력 음성 명령들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에서, 프로세서(202)는 연결부(210)를 통해 입력 디바이스(204)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부(210)를 통해 입력 디바이스(204)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 연결부(212)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6) 및 출력 디바이스(208) 중 적어도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202)는 연결부(216)를 통해 메모리 자원(21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부(220)를 통해 입력/출력(I/O) 포트(218)로부터/로 정보를 수신/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I/O 포트(218)는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외부의 I/O 디바이스(222)에 연결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 자원(214)은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디지털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I/O 디바이스(222)는 예를 들면 이어피스(earpiece)와 같은 외부 청취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I/O 디바이스(222)에 대한 연결부는 또한 핸즈-프리 작동을 위한 그리고/또는 음성 활성화 작동을 위한, 예를 들면 이어피스 또는 헤드폰에 연결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예를 들면 모바일 폰에 연결하기 위한 카 스테레오 유닛과 같은 다른 어떤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유선 또는 무선 연결부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모바일 폰 연결부는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및 인터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예를 들면 인터넷 또는 다른 어떤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연결부(226)를 통한 상기 프로세서(202) 및 안테나/수신기(224) 간의 작동 가능한 연결을 더 보여주고, 여기서 상기 안테나/수신기(224)는 예를 들면 GPS 안테나/수신기일 수 있다. 참조번호 224로 지정된 안테나 및 수신기는 예시를 위해 개략적으로 결합된 상태에 있지만, 상기 안테나 및 수신기는 개별적으로 위치한 컴포넌트들일 수 있고, 상기 안테나는 예를 들면 GPS 패치 안테나 또는 헬리컬 안테나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전자 컴포넌트들이 종래의 방식으로 전원(미도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겠지만,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구성들은 본원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 등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범위는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의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면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또는 보트와 같은 차량에 공지된 방식으로 연결 또는 "도킹(docking)"될 수 있다. 이때, 그러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용 네비게이션 용도를 위해 도킹 위치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통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50) 및 도 2의 다른 컴포넌트들(내부 GPS 수신기(224), 마이크로프로세서(202), 전력 공급원(미도시), 메모리 시스템(214)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유닛일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흡입 컵(254)을 사용하여 차량 대시보드, 창 등에 자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아암(252) 상에 안착 가능하다. 이러한 아암(252)은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가 도킹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의 일 예이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면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를 상기 아암(252)에 스냅 연결함으로써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아암(252)에 도킹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아암(252)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및 상기 도킹 스테이션 간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예를 들면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상의 버튼(미도시)이 눌려질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를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 및 연결해제하기 위한 다른 동일하게 적합한 디바이스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면 공지된 블루투스 기법을 통한 디지털 연결과 같은) 디지털 연결을 확립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모바일 전화, PDA, 및/또는 모바일 전화 기법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통해 서버와 "모바일" 또는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네트워크 연결은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종종 단독으로 주행하고 그리고/또는 차량 내에서 주행할 때 이동하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및 서버(302) 간에 확립되고 그럼으로써 정보에 대한 "실시간" 또는 적어도 가장 "최신"의 게이트웨이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과 같은) 인터넷을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자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서버와 같은 다른 한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 연결의 확립은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TCP/IP 계층 프로토콜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CDMA, GSM, WA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표준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내 모바일 전화 기법 또는 모바일 전화를 통한 데이터 연결을 통해 달성되는 인터넷 연결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상기 서버 및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간 인터넷 연결이 확립된다. 이는, 예를 들면 모바일 전화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및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연결(GPRS 연결은 통신 운영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고속 데이터 연결이어서, GPRS는 인터넷 연결 방법임)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면 공지된 방식으로 기존의 블루투스 기법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결과적으로는 인터넷 및 서버와의 데이터 연결을 더 이룰 수 있으며, 여기서 데이터 프로토콜은 GPRS, 예를 들면, GSM 표준의 데이터 프로토콜 표준과 같은 다양한 표준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면, 안테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옵션으로는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내부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자체 내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자체의 모바일 전화 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내 모바일 전화 기법은 위에서 특정한 바와 같은 내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면 필요한 모바일 전화 기법 및/또는 안테나가 완비된 삽입 가능한 카드(예컨대,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SIM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내 모바일 전화 기법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한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및 상기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GPRS 전화 설정에 대해, 블루투스 가능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바일 전화 모델, 제조업체 등의 스펙트럼과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모델/제조업체 특정 설정은 예를 들면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다수의 상이한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일반적인 통신 채널을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및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상기 서버 및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간에 통신 채널을 통한 접속이 확립될 때 통신할 수 있다(여기서 유념할 점은 그러한 접속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데이터 접속, 인터넷에 의한 개인용 컴퓨터를 통한 직접적인 접속일 수 있다는 것임).
상기 서버는 메모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더 접속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채널을 통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로 그리고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로부터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에 작동 가능하게 더 접속된다. 송수신된 신호는 데이터, 통신 및/또는 다른 전파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는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를 위한 통신 설계에 사용되는 통신 요건 및 통신 기법에 따라 선택되거나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송신기 및 수신기의 기능들은 신호 송수신기 내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서버는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에 더 접속되는데(또는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유념할 점은 상기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가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는 네비게이션 데이터 및 지도 정보의 저장소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서버와는 분리된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상기 서버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세서, 메모리 등과 아울러,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유념할 점은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서버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데 더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는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를 위한 통신 설계에 사용되는 통신 요건 및 통신 기법에 따라 선택되거나 설계되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의 기능들은 단일의 트랜시버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서버 메모리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명령어들을 제공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의 서비스는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요구들을 처리하고 상기 대용량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로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서비스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러한 계산 결과들을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채널은 일반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및 상기 서버를 연결하는 전파 매체 또는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서버 및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모두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 및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채널은 특정한 통신 기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통신 채널은 단일 통신 기법에 국한되지 않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채널은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는 여러 통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채널은 전기, 광 및/또는 전자기 통신 등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신 채널은, 전기 회로, 와이어 및 동축 케이블과 같은 전기 도체, 광섬유 케이블, 변환기, RF(radio-frequency) 파, 대기, 빈 공간 등 중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통신 채널은 예를 들면 라우터, 중계기, 버퍼, 송신기 및 수신기와 같은 중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전형적인 구성에서, 상기 통신 채널은 전화 및 컴퓨터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 채널은 무선 주파수, 마이크로파 주파수,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채널은 위성 통신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들은 주어진 통신 기법에 요구되거나 바람직할 수 있는 신호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들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기법에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및 아날로그 신호 모두는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들은 상기 통신 기법에 바람직할 수 있는 변조, 암호화 및/또는 압축 신호들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원격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광역 통신 네트워크(WAN),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등에 위치한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데스크톱 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 채널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 및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간에 접속된 케이블일 수 있다. 대안으로,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서버 및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간의 인터넷 접속을 확립하도록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및 상기 서버 간에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전화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를 상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인터넷에 대한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를 상기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 정보 다운로드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예를 들면 TCP/IP 접속 및 무선 모바일 접속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서버 및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 간에 이루어진 더 일정하거나 빈번한 접속시 더 동적일 수 있다. 많은 동적 계산에 대해, 상기 서버 내 프로세서는 대량의 프로세싱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210)는 종종 서버에 대한 접속과는 무관하게 많은 프로세싱 및 계산을 처리할 수 있다.
위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프로세서(202), 입력 디바이스(204)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디바이스(204)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6)은 예를 들면 (직접적인 입력, 메뉴 선택 등을 통한) 정보의 입력 및 터치 패널 스크린을 통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양자 모두를 가능하게 하도록 통합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에 통합된다. 그러한 스크린은 예를 들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터치 입력 LCD 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는 또한 예를 들면 오디오 입력/출력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추가 입력 디바이스(204) 및/또는 임의의 추가 출력 디바이스(208)를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5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하며, 도 4a는 2D 네비게이션 안내 뷰를 도시하는데, 따라가는 중인 결정된 경로는 지도 위에 중첩된 경로선(403)에 의해 도시되며, 지도상의 (그리고 경로를 따르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현재 위치는 아이콘(401)에 의해 도시된다. 도 4b는 유사한 3D 네비게이션 안내 뷰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따라 가는 중인 결정된 경로는 경로선(407)에 의해 도시되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200)의 현재 위치는 아이콘(405)에 의해 반영된다.
도 5는 복잡한 분기점에 도달하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의 알려진 디스플레이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안내 뷰(500)를 포함하며, 따라갈 경로(경로선(502)에 의해 표시됨),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아이콘(503)에 의해 표시됨), 그리고 다음 분기점에서 이루어질 메뉴버(화살표 504)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별도의 분기점 뷰(501)를 포함하는데, 화살표들(508)은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버를 완료하기 위해 있어야 하는 도로의 차선들을 나타낸다(즉, "차선 안내(lane guidance)"). 안내 뷰(500) 및 분기점 뷰(501)는 사용자에게 나란히 동시에 제시된다.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안내 뷰(500)가 업데이트된다. 그러나, 분기점 뷰(501)는 본질적으로 정적이다. 즉,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분기점을 향해 이동할 때, 분기점 뷰(501)는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따라서, 분기점 뷰(501)는 안내 뷰(500) 및 분기점에 대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의 실제 위치 둘 모두와 본질적으로 독립적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 전방의 현재 도로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잠재적으로 시각적으로 상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2 개의 서로 다른 뷰들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 정보는 사용자가 정확하게 처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술들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한 시각적 혼란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따라서 궁극적으로 운전자 오류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다 명확하고 보다 직관적인 방식으로, 사용자가 다중 차선 도로의 복잡한 도로 분기점에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러한 차선 안내 정보가 제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술들에 따르면, 차선 안내 정보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는(이 범위는 지도 내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됨) 동적 차선 안내 패널상에서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히,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에 표시되도록, 즉, 경로가 디스플레이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계속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차선 안내 패널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즉, 디스플레이의 하부 에지)와 도로 분기점의 위치 사이에서 네비게이션 지도의 하부를 커버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의 하반부에서 원하는 차선 안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반면, 지도의 분기점을 넘어서 연속되는 부분은 여전히 디스플레이의 상반부에서 시각화될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선 안내 정보는 지도의 맥락 내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술들의 예는 이제 도 6a 내지 도 6e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다중 차선 도로를 따라, 그리고 특히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도 6e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 경로(700)를 따라 분기점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분기점에 접근하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GUI)의 전개(evolution)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가 요구될 수 있는 임의의 도로 상황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6a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전의, 즉 일반 네비게이션 모드 동안의 뷰를 도시하며,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경로를 나타내는 제1 경로선(601)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 네비게이션 뷰를 도시하며, 상기 제1 경로선(601)을 따라, 상기 차량은 네비게이션 지도(600)를 통해 결정된 경로(700)를 따라 이동해야 하며,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600)는 네비게이션 지도 내에서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602)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일단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그리고 이에 따라 차량)가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도로 분기점의 미리 결정된 임계 거리(이 경우, 800 m이지만, 도로 분기점 및/또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음)에 있다고 판단되면, 차선 안내 정보가 요구될 수 있고, 뷰는 필요한 차선 안내 정보를 포함하도록 수정된다. 즉,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차선 안내가 필요할 수 있는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는 차선 안내 조언(lane guidance advice)이 디스플레이되는 차선 안내 모드로 전환된다. 특히, 차선 안내 모드 동안, 차선 안내 패널(610)은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생성되며, 차선 안내 패널(610)은 사용자 앞의 현재 차선 상황, 그리고 차량이 결정된 경로(700)를 따라 계속 주행해야 하는 차선(또는 차선들)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6b는 도 6e에 도시된 결정된 경로(700)를 따라, 도로 교차점 보다 800m 앞에 있는 위치 "B"에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안내 패널(610)에 디스플레이된 차선 이미지(611)는 차량 앞의 현재 차선 상황, 그리고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차량이 주행해야 하는 제2 경로 차선(612)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 패널(610)에 의해 커버되는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범위는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고, 그리고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은 도로 분기점 너머로 계속되는 지도를 도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선 안내 패널 상의) 도로 분기점 전의 차선 안내 정보 그리고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으로 계속되는 경로 모두를 갖는 단일의 일관성 있는 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차선 이미지(611)는 분기점(분기점의 분할 지점) 그리고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사이의 차선 상황(예를 들어 차선 개수, 차선 형상(geometry) 및 차선 분리기(lane divider)의 특성 및 위치를 포함)을 도시한다. 차선 이미지(611)는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이는 (실제) 차선 상황을 본질적으로 반영하는 현재 차선 상황의 시각화를 제공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네비게이션 지도 내에서 결정된 경로를 따라 분기점의 분할 위치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차선 이미지(611)가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도로에 합쳐지는 임의의 새로운 차선들, 분할되거나 합쳐지는 차선들, 또는 도로를 따라 나타나는 임의의 추가의(예를 들어, 출구) 차선들은 예를 들어 차선들을 적절한 확장으로 페이드인/아웃함으로써 시각화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200 m의 확장으로 새로운 차선들이 페이드-인되거나 갈라지는 차선들(diverging lanes)이 페이드-아웃될 수 있으며, 이로써, 차선 이미지는 도로의 다음 200m를 따라 차선 상황을 본질적으로 반영한다. 차선 이미지(611)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도로 중심선(도로 형상을 제공하기 위함), 차선 개수, 차선 연결(lane connectivity) 및 분리기 유형들을 포함하며, 이 정보는 일반적으로 지도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들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바닥부로부터 차선 안내 패널(610)의 상부 에지의 경계선(613)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세그먼트들로서 차선 안내 패널(611)상에 시각화된다. 또한, 차선들의 형상(예를 들어, 만곡(curvature))도 일반적으로 시각화된다. 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d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이미지(611)에는 사용자가 따라가도록 지시된 출구 차선의 만곡이 도시되어 있다.
제2 경로선(612)은 차선 이미지(611)상에,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차량이 주행해야하는 (전체 차선 세트 중) 유효 차선들의 세트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차선은 다양한 적절한 기준에 따라 결정된 경로에 대한 유효 차선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전방 거리에 대한 차선을 따르는 차량이 결정된 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계속 주행할 수 있는 한, 차선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예를 들어 400 m 마다 하나의 차선 변경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로선(612)은 차선 이미지(611)에서, 예를 들어 제1 색상 또는 스타일로 강조 표시함으로써, 전체 차선 세트(예를 들어, 일관성을 위해, 네비게이션 지도(600)에서 도로 색상에 대응하게, 서로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 중 유효 차선들의 세트를 보여줄 수 있다. 시각적 일관성을 위해, 제2 경로선(612)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 동안 사용된 제1 경로선(60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시각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경로선(612)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 현재 차선 안내 모드에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제1 경로선(601)과 상이하게 시각화될 수 있다.
제2 경로선(612)의 위치(및 형상), 그리고 이에 따라 차선 이미지(611)의 위치(및 형상)는 제1 경로선(601)과 유사한 방식으로, 또는 제1 경로선(601)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로써, 제2 경로선(612)은 일반적으로 상기 결정된 경로(700)의 도로 형상을 따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경로선(612)은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으로 계속되는 경로(700)와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의 개략적인 지도와 차선 안내 패널(610) 상에 제시된 차선 안내 뷰를 병합하기 위해, 제2 경로선(612)은 차선 안내 패널(610)로부터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로선(601)은 차선 안내 모드 동안 일시적으로 교체되거나 숨겨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경로선(601)은 차선 안내 모드 동안 적어도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에서 계속 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경로선(612)은 차선 안내 패널(610)에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그리고 차선 안내 패널(610)의 상부 에지의 경계선(613)에서 제1 경로선(601)과 정렬 및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차선 안내 패널(610)로부터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으로 계속되는 경로가 여전히 시각화된다.
뷰는 일반적으로 제2 경로선(612)에(그리고 이에 따라 제1 경로선(601)에도) 센터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선 이미지(611)에 도시된 차선들이 일반적으로 제2 경로선(612)의 측면 연장부들로서 시각화될 수 있기 때문에, 차선 이미지(611) 또한 디스플레이에 센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선 안내 패널(610)에 제시된 차선 안내 정보는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과 시각적으로 일치하고 실제 도로 상황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일반적으로, 차선 이미지(611) 및 제2 경로선(612)의 위치들은 제1 경로선(601)과 유사하게,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에 의해 계산되는 바와 같이, 결정된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차선 안내 패널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바닥부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일측으로부터 다른측으로 연장되는 경계선(613)까지 연장되고, 그리고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으로부터 차선 안내 패널(610)을 디마킹(demarking)한다. 경계선(613)은 도 6b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일 수 있다. 경계선(613)의 위치, 그리고 이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610)의 범위는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이로써, 차선 안내 패널(610)은 도로 분기점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한다(즉, 차선 안내 정보는 도로 분기점 이전의 경로 일부에 대해 제공된다). 차선 안내 패널(610)이 도로 분기점 보다 얼마나 멀리 사전에 디스플레이되는지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610)은 적어도 초기에 디스플레이를 채울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일부는 커버되지 않을 것이다.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은 이미지의 배경에서 계속 보일 수 있고, 그리고 분기점 너머로(즉, 경계선(613) 너머로) 계속되는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일부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경계선(613)의 위치는 네비게이션 지도(600)에서 분기점의 가장 높은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분기점과 관련된 분할 지점, 즉 사용자가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유효 차선에 있어야 하는 지점을 약간 넘어서 위치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분기점의 가장 높은 범위는 예를 들어 분기점에 대한 볼록 껍질(convex hull)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볼록 껍질은 직선 세그먼트들에 의해 이어질 수 있는 코너 포인트들의 시계 반대 방향의 시퀀스로서 투영 평면에서 계산될 수 있는 분기점을 둘러싸는 볼록 다각형이다. 볼록 껍질 계산을 위한 입력 포인트들은 예를 들어 생성된 모든 경로들을 가로지르고 경로 중심선을 차선폭의 반만큼 오른쪽 및 왼쪽으로 오프셋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이 볼록 껍질은 3D 안내 뷰에서 분기점의 최고점을 신속하게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경계선(613)은 그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볼록 껍질은 한번만 생성될 것이며, 즉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복잡한 분기점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고 판단되어 차선 안내 정보가 요구될 때 생성될 것이며,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도로 분기점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업데이트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경계선(613)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해 다양한 다른 적절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분기점의 최고점은 각각의 렌더링된 프레임 내의 분기점의 모든 좌표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반복(repeatedly iterating)함으로써 그때그때(on the fly) 결정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계산 비용이 더 비쌀 것이다.
차선 안내 패널(610)의 범위는 네비게이션 지도 내의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분기점에 접근함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610)의 위치가 변경, 즉 감소할 것이며, 이로써, 분기점 너머의 점점 더 많은 네비게이션 지도(600)가 커버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분기점에 더 가까워짐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610)과 배경 네비게이션 지도(600) 사이의 경계선(613)의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분기점보다 400m 앞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700)를 따른 지점 "C"에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선(613)의 위치는 (도 6b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의 하부 에지를 향해 이동하여,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량을 향한 움직임을 반영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6d는 분기점보다 200m 앞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 경로(700)를 따른 지점 "D"에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며, 여기서, 경계선(613)의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바닥부쪽으로 훨씬 더 이동하였다. 사용자가 분기점에 도달하고 분기점 너머로 이동함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610)은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의 바닥부 밖으로 이동하여, 뷰를 일반 네비게이션 안내 뷰로 되돌린다.
차선 안내 패널(610)은 네비게이션 지도(600) 위에 생성되어 그것의 일부를 커버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레이어를 포함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가 레이어들의 스택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안내 패널(610)은 차선 안내 패널(610)의 위에 적층되는 차선 이미지(611) 및 제2 경로선(512)과 함께, 네비게이션 지도(600) 위에 렌더링되고 적층될 수 있다. 차선 안내 패널(610)은 부분적으로 투명할 수 있으며, 이로써,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적어도 일부가 패널 아래에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투명도의 레벨은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차선 안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차선 안내 정보 그리고 그 아래에 있는 네비게이션 지도 간의 시각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차선 안내 패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하여, 네비게이션 지도가 패널 아래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차선 이미지(611)는 차선들, 그리고 특히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유효 차선(들)(612)을 보다 명확하게 시각화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차선 분리기 마킹들을 도시한다. 차선 분리기 마킹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이미지(611)의 일부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제2 경로선(612) 위에 적층되는 추가 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 도 8은 단지 디스플레이가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며 다양한 다른 기술들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차선 안내 패널(610)에 디스플레이된 차선 이미지(611) 및 제2 경로선(612)은 단일 단계에서, 예를 들어 차선 안내 패널(610)과 동일한 레이어에서, 생성된 다음, 네비게이션 지도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8에서, 도로 분기점 너머로 계속되는 결정된 경로(700)를 나타내기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기점을 통과한 후 다음 지시에 대해 준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2 경로선(612)은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으로 계속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경로선(601)은 제2 경로선(612)에 의해 일시적으로 숨겨지고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경로선(612)이 차선 안내 패널(610)에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는 것도 고려되며, 이 경우, 분기점 너머로의, 즉, 차선 안내 패널(6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유효 차선(들)(612)으로부터 지도(600) 내 도로 세그먼트들로의, 경로 확장의 스무스하고 연속적인 시각화를 제공하기 위해, 제2 경로선(612)은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620)에서 제1 경로선(601)과 정렬 및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차선 안내 패널(610)은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차선 안내 조언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반면, 경로(700)의 연속 부분은 네비게이션 지도(600)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 동시에 도시된다. 제2 경로선(612)은 (옵션으로 제1 경로선(601)과 조합하여) 이러한 2 개의 뷰들을 병합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도로 분기점 이전에 요구되는 차선 안내 정보, 그리고 또한 분기점 너머로 연속되는 경로의 연속부분의 시각화를 단일의 일관성 있는 뷰로 제공받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경로(700)의 연속 부분을 보고 다음 지시에 대한 준비를 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지도를 미리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정보는 다가오는 도로 상황을 반영하여 자연스럽게(예를 들어, 아래에서 위로) 표시되며, 이 때, 현재 차선 상황은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제시되며, 이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로 분기점 사이의 차선 상황의 중간 변화, 분기점의 분할 지점의 표시가 제시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의 상단에, 배경 네비게이션 지도로 계속되는 경로의 연속부분의 시각화가 제시된다. 적어도 도 5와 비교하여, 이러한 정보는 시각적 혼동 또는 충돌의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보다 직관적인 방식으로 제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차선 안내 정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할 때에만 필요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로 분기점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예를 들어, 적절하게 약 800 m 내에 있을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선 안내 패널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차선 안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거리는 일반적으로 원하는대로 설정될 수 있고, 그리고 상이한 도로 분기점들 및/또는 상이한 사용자 선호도에 대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결정된 경로(700)를 따라 남은 여정 동안, 디스플레이는 일반 네비게이션 안내를 제공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분기점에 접근하는 중일 때 디스플레이가 어떻게 차선 안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지의 예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도 9a는 경로를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도시하는 아이콘(902)과 함께 네비게이션 지도(900) 내의 경로의 연속부분을 도시하는 제1 경로선(901)이 제공되는 기본 네비게이션 안내 뷰를 도시한다.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분기점의 미리 결정된 임계 거리에 있다고 판단될 때), 차선 안내 패널(91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지도(900)의 하부(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902)을 포함함)를 커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하부로부터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차선 안내 패널(910)이 렌더링되는 동안,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경로선(901)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드-아웃되며, 그리고 제2 경로선(912)에 의해 대체되고, 이 경우, 제2 경로선(912)은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한 (3 개의) 현재 유효한 차선들 각각을 나타내는 "차선 튜브"를 포함하고, 이 차선 정보를 분기점 너머로 연장시킨다. 완성된 전환은 도 9d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선 안내 모드 동안 제1 경로선(901)이 계속 보일 수 있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 제2 경로선(912)은 차선 안내 패널(910)에만 렌더링될 필요가 있다. 제2 경로선(912) 또한 제1 경로선(901)과 동일한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제2 경로선(912)은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 패널(910)의 상부 에지의 경계선에서 제1 경로선(901)과 정렬될 것이며, 이로써, 경로의 연속부분이 시각화된다. 그 다음, 도 6a 내지 도 6d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함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전개될 것이다. 따라서, 도로 분기점을 통과한 후에, 그리고 특히 분기점의 분할 지점을 통과한 후에, 차선 안내 정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는 일반 네비게이션 안내 뷰로 돌아갈 것이다. 그러나, 근접한 곳에 여러 개의 분기점들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 서로 800m 이내에 또는 심지어는 400m 이내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차선 안내 모드로 유지되지만, 차선 안내 패널의 위치는 다음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이동된다.
제2 경로선(612)은 단순히,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차선 세트들 중에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현재 유효한 차선 세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제2 경로선(612)은 또한 차선 변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차선 메뉴버가 필요한 경우, 이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로선을 스무스한 곡선(1012)으로 렌더링함으로써 시각화될 수 있다. 특히, 도 10은 차량이 3 개의 가장 왼쪽 차선들 중 하나로 차선 변경해야 하는 예를 도시하며, 이러한 3 개의 가장 왼쪽 차선들은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에 유효하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로선(1012)은 왼쪽으로 만곡되며, 그리고 또한 증가되는 유효 차선들의 수를 나타내기 위해 폭이 증가한다. 차선 메뉴버들의 시각화의 다양한 다른 예들은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되며, 그리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도로를 빠져나가도록 지시받는 사용자, 차선 병합의 예, 그리고 차선 변경의 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메뉴버들은 (예를 들어, 지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차선 연결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된 바와 같이) 차선 메뉴버가 가능하자마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는 사용자가 아직 이용할 수 없는 출구 차선을 통해 도로를 나가야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구에 접근할 때, 경로선은 가장 오른쪽 차선을 강조하여 사용자가 다가오는 출구에 대해 준비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출구 차선이 경로 안내 패널에 나타나고 메뉴버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경로선은 스무스한 곡선으로서 출구 도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할부로 이어지는 블로킹된 마킹들(blocked marking)이 이용가능하자마자, 필요한 차선 메뉴버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로가 합쳐지는 경우, 필요한 차선 메뉴버는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된 마킹들이 끝나기 직전에 종료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차선 메뉴버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선 형상의 변화(예를 들어, 도로에 합쳐지는 새로운 차선, 또는 나타나는 출구 차선)로 인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선 메뉴버들은 사용자에게 (실시간) 차선별 안내(lane-level guidance)를 제공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즉, 차량이 어느 차선을 주행하고 있는지 알려진 경우, 사용자에게는 유효한 차선들의 세트 중 하나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메뉴버의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로부터, 차량이 실제로 주행 중인 차선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GNSS(global navigation system) 수신기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만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의 차선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디바이스와 관련된 카메라, 레이저 또는 다른 이미징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보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실질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이 연구에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선을 검출하고 추적하기 위해, 차량 내 장착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들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는, 예를 들어 다양한 이미지 처리 기술들을 사용하여, 분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GNSS 수신기, 그리고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위치 결정 정보는 사용자에게 차선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차선들의 수, 지리적 위치 및 형상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차선 차도에서 차량이 주행 중인 현재 차선은, 예를 들어,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page 1297-1302. IEEE, (2013)에 발행되고 허준화, 강승남 및 서승우가 저술한 논문 "Multi-lane detection in urban driving environments using conditional random fields"에 명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는 비디오 카메라, 레이더 및/또는 라이다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피드,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장치가 주행 중인 차량 또는 장치의 현재 차선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적절한 알고리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휴대용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와 별개인 다른 디바이스 또는 장치(예를 들어, Mobileye N.V에서 제공하는 Mobileye 시스템)는 이러한 데이터 피드들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차선의 결정을 제공한 다음, 예를 들어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 연결에 의해, 휴대용 네비게이션 장치에게 현재 차선의 결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5년 4월 16일에 공개된 TomTom International B.V의 WO 2015/052312의 논의사항도 참조되며, 그 공개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따라서, 차량이 현재 유효하지 않은 차선에서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차선 안내 패널 상에 적절한 형태의(예를 들어, 곡선) 경로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차선 메뉴버가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차량이 현재 유효한 차선에서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되어 현재 차선 메뉴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해당 차선에 머무르도록 지시하고 임의의 다른 유효 차선들을 나타내는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차선 안내 패널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결정된 경로에 대한 유효 차선들의 세트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대안 경로들에 대한 유효 차선들을 보여줄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 경로에 대한 유효 차선들(1210) 또한 강조될 수 있지만, 현재 경로에 대한 유효 차선들에 대해 상이한 색상 또는 스타일로 강조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혼란을 피하기 위해, 대안 경로에 대한 유효 차선들은 일시적으로 지도에서 숨겨질 수 있다. 그러나, 네비게이션 지도로 계속되는 대안 경로의 연속부분 또한, 원하는 경우, 시각화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아래쪽 도로(underpass) 또는 고가도로(overpass)의 경우 또는 경로가 U턴을 포함하는 경우, 분기점 너머의 경로의 연속부분은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되는 지도의 일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차선 안내 패널에서 경로선의 연장부분을 시각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은 결정 지점 이후의 경로의 연속부분(1301)이 차선 안내 패널에 도시된 차선들 아래를 지나가는 도로 상황의 시각화의 예를 도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14는 경로의 연속부분(1401)이 차선 안내 패널에 도시된 차선 위를 지나가는 도로 상황의 시각화의 예를 도시한다.
차선 안내 모드 동안 사용자에게 다양한 다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또한 사용자에게 현재 속도 제한, 예상 도착 시간, 그리고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다른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개략적인 지도(600)에서 차량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일반적으로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기 때문에, 도면들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차선 안내 패널 상에 (유효 차선들 위의 직선과 같은) 이동 표시기가 제공될 수 있는 것 또한 고려된다. 또한, 차선별 트래픽(lane-level traffic)을 포함하는 트래픽 정보(이러한 데이터가 이용 가능한 경우)도 차선 안내 패널에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지도 및/또는 차선 안내 패널은 2D 뷰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개략적인 지도 및 차선 안내 패널의 시각화는 3D 뷰 또는 사시도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는 지점에서 2D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 있다면, 차선 안내가 필요하므로, 디스플레이는 일시적으로 2D 네비게이션 안내 뷰에서 3D 뷰로 변경될 수 있다. 분기점을 통과하면, 디스플레이는 다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사항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다중 차선 도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도로들을 포함하는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 사용자를 결정된 경로를 따라 목적지로 안내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다중 차선 도로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 분기점(junction)과 관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로 분기점에서,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1 세트 내의 차량들은 제1 출구 도로를 통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를 벗어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2 세트 내의 차량들은 상기 다중 차선 도로에서 계속 주행하거나 제2 출구 도로를 통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를 벗어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에서의 상기 도로들을 보여주는 네비게이션 지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로부터 취해질 상기 하나 이상의 도로들을 보여주는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은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다중 차선 도로상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관련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내의 상기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는, 단계;
    적어도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경로선은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을 나타내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차선 안내 패널 및 상기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도로 분기점 위치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되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내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내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된 네비게이션 지도의 하부 에지로부터 경계선까지 연장하며,
    상기 경계선의 위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도로 분기점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하부 에지를 향해 이동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선의 위치는 상기 제1 경로선의 위치에 기초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제2 경로선은, 적어도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을 분리하는 경계선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상기 결정된 경로의 연속부분과 정렬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선은 상기 차선 안내 패널로부터 상기 차선 안내 패널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부분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로 분기점 너머의 상기 결정된 경로의 연속부분을 보여주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은 상기 제1 경로선과 정렬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경로선과 연결되며,
    적어도 경계선은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커버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을 분리하여, 상기 도로 분기점 너머의 상기 결정된 경로의 연속부분을 보여주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차선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선 이미지는 상기 다중 차선 도로의 차선들을 보여주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선 이미지의 위치는 상기 제1 경로선의 위치 및/또는 상기 제2 경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상기 관련 도로 분기점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상기 관련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는 중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상기 관련 도로 분기점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차선 안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목적지까지의 대안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차선들의 세트를 도시하는 제3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가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도로 분기점으로부터 제2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다고 판단될 때의 2D 세계 표현인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는 대신 3D 표현을 보여주도록 변경되는,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다중 차선 도로의 현재 차선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차선에서 주행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할 수 없다면, 상기 차선 안내 패널에,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차선 메뉴버(manoeuvre)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계속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차선 메뉴버는 상기 제2 경로선의 만곡(curvature) 또는 만곡된 부분으로 표시되는, 방법.
  15. 하나 이상의 다중 차선 도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도로들을 포함하는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 사용자를 결정된 경로를 따라 목적지로 안내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다중 차선 도로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 분기점과 관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로 분기점에서,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1 세트 내의 차량들은 제1 출구 도로를 통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를 벗어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차선들의 제2 세트 내의 차량들은 상기 다중 차선 도로에서 계속 주행하거나 제2 출구 도로를 통해 상기 다중 차선 도로를 벗어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수단;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에서의 상기 도로들을 보여주는 네비게이션 지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로부터 취해질 상기 하나 이상의 도로들을 보여주는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및 상기 제1 경로선은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의 일부를 커버하는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차량이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다중 차선 도로상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재 위치가 관련 도로 분기점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생성되며, 그리고 상기 차선 안내 패널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상기 네비게이션 지도 내의 상기 도로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수단;
    적어도 차선 안내 패널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2 경로선은 상기 결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위해 사용자가 주행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차선들을 나타내는,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상기 차선 안내 패널 및 상기 제2 경로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6.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며,
    옵션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시스템.









KR1020207010533A 2017-09-12 2018-09-11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차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70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14613.5 2017-09-12
GBGB1714613.5A GB201714613D0 (en) 2017-09-12 2017-09-12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lane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GB1717081.2 2017-10-18
GBGB1717081.2A GB201717081D0 (en) 2017-09-12 2017-10-18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lane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PCT/EP2018/074437 WO2019052998A1 (en) 2017-09-12 2018-09-11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RACK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071A true KR20200071071A (ko) 2020-06-18
KR102570574B1 KR102570574B1 (ko) 2023-08-24

Family

ID=6011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533A KR102570574B1 (ko) 2017-09-12 2018-09-11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차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98640B2 (ko)
EP (1) EP3682194B1 (ko)
JP (1) JP7244498B2 (ko)
KR (1) KR102570574B1 (ko)
CN (1) CN111344535A (ko)
GB (2) GB201714613D0 (ko)
WO (1) WO2019052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8521B2 (en) * 2019-01-31 2022-03-29 Uatc, Llc Automated road edge boundary detection
JP7219650B2 (ja) * 2019-03-26 2023-02-08 株式会社Subaru 情報処理装置及び車両の走行状況データ収集システム
CN110779535B (zh) * 2019-11-04 2023-03-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获得地图数据及地图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2284408A (zh) * 2020-10-10 2021-01-29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导航方法、导航装置和车辆
JP7136874B2 (ja) * 2020-11-26 2022-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運転支援装置および車両
WO2022208628A1 (ja) * 2021-03-29 2022-10-06 マクセル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2022184350A (ja) * 2021-06-01 2022-12-13 マツダ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1978265B2 (en) * 2022-03-11 2024-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identification on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CN114719878B (zh) * 2022-04-06 2023-04-2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车辆导航方法和装置、系统、电子设备、计算机介质
CN116056011B (zh) * 2023-01-10 2023-09-15 厦门中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技术的车辆定位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6680A (ja) * 2014-04-21 2015-11-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誘導案内方法、誘導案内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6840B2 (en) * 1998-06-12 2002-03-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avigation device with a three dimensional display
JP4151952B2 (ja) * 2003-01-06 2008-09-1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376510B1 (en) * 2004-11-05 2008-05-20 Navteq North America, Llc Map display for a navigation system
JP4776476B2 (ja) * 2006-09-01 2011-09-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交差点拡大図の描画方法
JP4948944B2 (ja) * 2006-09-06 2012-06-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交差点案内図の描画方法
KR100821503B1 (ko) * 2006-11-08 2008-04-14 팅크웨어(주) 차량 항법 시스템에서의 동적 디스플레이 모드 변경 방법및 그 장치
US20100023257A1 (en) * 2006-12-11 201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Navigation apparatus
JP2008151752A (ja) 2006-12-20 2008-07-03 Nissan Motor Co Ltd 経路案内表示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WO2010005285A1 (en) * 2008-07-11 2010-01-14 Tele Atlas B.V. Apparatus for and method of junction view display
JP4561896B2 (ja) * 2008-07-21 2010-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走行速度通知装置および走行速度通知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2010127685A (ja) * 2008-11-26 2010-06-10 Honda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411548B2 (ja) * 2009-03-26 2014-02-12 株式会社ゼンリン 地図表示システムおよび地図表示方法
US20120191344A1 (en) * 2011-01-26 2012-07-26 Alpin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ane complexity information for navigation system
GB201218680D0 (en) * 2012-10-17 2012-11-28 Tomtom Int Bv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CN103389104B (zh) * 2013-07-17 2015-12-02 北京龙图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与二维导航同步的三维方向性导航方法及其装置
CN105588576B (zh) * 2015-12-15 2019-02-05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车道级导航方法及系统
CN106931988A (zh) * 2015-12-30 2017-07-07 易图通科技(北京)有限公司 显示路牌的真三维导航方法和系统
KR102043067B1 (ko) * 2017-08-08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미러 및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6680A (ja) * 2014-04-21 2015-11-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誘導案内方法、誘導案内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98640B2 (en) 2023-03-07
EP3682194A1 (en) 2020-07-22
GB201714613D0 (en) 2017-10-25
KR102570574B1 (ko) 2023-08-24
US20210372803A1 (en) 2021-12-02
WO2019052998A1 (en) 2019-03-21
JP7244498B2 (ja) 2023-03-22
EP3682194B1 (en) 2022-03-30
CN111344535A (zh) 2020-06-26
GB201717081D0 (en) 2017-11-29
JP2021509169A (ja)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574B1 (ko) 네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차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19044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使用して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286456B1 (ko) 내비게이션 지시사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EP334168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outes
US9739632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US10612935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