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765A -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 Google Patents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765A
KR20200070765A KR1020180158265A KR20180158265A KR20200070765A KR 20200070765 A KR20200070765 A KR 20200070765A KR 1020180158265 A KR1020180158265 A KR 1020180158265A KR 20180158265 A KR20180158265 A KR 20180158265A KR 20200070765 A KR20200070765 A KR 2020007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t welding
support
frame
wa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5171B1 (en
Inventor
신종호
이현우
정창호
장윤
최재우
박승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 오바라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 오바라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17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5Monitoring devices
    • B23K11/252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 B23K11/255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the measured parameter being a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B23K11/315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with one electrode moving on a 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9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welds, bonds, sealing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obot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improving the welding quality by being applied to a hemming unit formed on a component of an automobile so as to leave no indentation in a weld part of the hemming unit.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joining the hemming unit applied to the component of the automobile by spot welding, comprises: a support unit installed at a frame and supporting the component during spot welding; an electrode unit which is installed at the frame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and applies a current to the hemming unit of the component to form the weld part; and a grounding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fram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lectrode unit and forms grounding of the component.

Description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One-way spot welding device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본 발명은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압흔 스폿 용접이 가능한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spotless spot welding.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조 과정 중에는 프레스에 의해 성형된 차체 패널 등의 각종 구조물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일체의 차체를 완성하고, 완성된 차체에 대하여 각 부품의 표면에 걸쳐 도장 및 방정 작업을 포함하는 도장 공정을 실시한 다음, 파워 트레인 계통의 부품과 현가, 조향 및 제동 계통 등의 부품을 조립하고, 이어 도어와 트렁크 리드, 후드 등을 조립하는 등의 의장공정을 실시하도록 되어있다. In general,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utomobiles, various structures such as body panels formed by a press are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to complete an integral body, and the finished body includes painting and fixing operations over the surface of each part. After performing the painting process, the power train system parts and parts such as suspension, steering and braking systems are assembled, and then a design process such as assembling the door, trunk lid, hood, etc. is performed.

이러한 자동차의 차체 조립 공정에서 루프(roof), 필러(pillar), 사이드 패널, 차체 도어의 오프닝부 플랜지 등의 차체 부품들을 접합함에 있어 2장의 차체 패널을 접합하는 방법으로 스폿 용접이 많이 사용된다. Spot welding is frequently used as a method of joining two body panels in joining body parts such as a roof, a pillar, a side panel, and a flange of an opening of a body door in the vehicle body assembly process.

이때, 상기 스폿 용접은 차체 패널 표면에 가압력을 가하면서 전기저항에 의해 융착시키는 방식으로, 통상 스폿 용접용 로봇의 암 선단에 설치되는 스폿 용접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spot welding is a method of fusion by electric resistance while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surface of the vehicle body panel, and is usually performed through a spot welding device installed at the arm tip of a robot for spot welding.

이러한 스폿 용접은 양방향 스폿 용접과 편방향 스폿 용접으로 나뉜다. The spot welding is divided into two-way spot welding and one-way spot welding.

상기 양방향 스폿 용접의 경우에는 판재 간 전극의 가압력과 전류, 통전시간에 따라 너겟이 형성되는 방식이다. In the case of the bidirectional spot welding, a nugget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current, and energization time of the electrodes between the plate members.

또한,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은, 예를 들어, 폐단면 관형 부재의 접합에 있어서, 한쪽 방향에서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을 가압하여 너겟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In addition, the one-way spot welding is a method of forming an nugget by forming an electrode in one direction and pressing the electrod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in joining a closed cross-section tubular member.

그러나 상기한 편방향 스폿 용접은 동일한 용저부 위치에 대하여 대향된 위치의 전극을 통해 양방향에서 서로 가압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정확한 포인트에 용접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고, 가압력을 높게 형성할 수 없다.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one-way spot welding is not a method of pressing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through electrodes at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ame bottom position, it cannot be confirmed whether welding is performed at the correct point, and a pressing force cannot be formed high.

더불어,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은 차체 패널 표면을 가압 및 가열을 시킴에 따라 압흔이 발생되고, 이러한 압흔은 차체 패널의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으로 이어진다. In addition, in the one-way spot welding, indentations are generated as the surface of the vehicle body panel is pressed and heated, and these indentations lead to a disadvantage of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vehicle body panel.

특히, 도장작업 후, 차체 외관에 용접작업에 따른 압흔이 제거되지 않고 노출되어 감성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after the paint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nsation qualit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indentation according to the welding operation is not removed on the body exterior.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레이저 브레이징 용접이나 용접부를 감추기 위해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것으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으로 이어진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disadvantage, a separate cover is provided to hide the laser brazing welding or the welding part, but this leads to a disadvantage of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 as additional cost is additionally required.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tem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writte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other than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차의 파트 부품에 형성된 헤밍부에 적용하여 상기 헤밍부의 용접부에 압흔이 남지 않아 용접품질을 향상시키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way spot welding device to improve the welding quality by applying a hemming portion formed on a part part of an automobile, thereby leaving no indentation in the welding portion of the hemm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파트 부품을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용접부를 검사하는 검사부에 의해 상기 용접부의 불량을 판별해낼 수 있어 용접불량을 최소화하고, 전체적인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parts are jo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defects of the welds can be determined by the inspection unit inspecting the welds, thereby minimizing welding defects and reducing the overall cycle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elding device.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의 파트 부품에 적용되는 헤밍부를 스폿 용접으로서 접합할 수 있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폿 용접 시, 상기 파트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파트 부품의 헤밍부에 전류를 인가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파트 부품의 접지를 이루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joining a hemming part applied to a part part of a vehicle as spot welding, the frame is installed on a frame and supports the part parts when spot welding , It is installed on the frame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an electrode portion to form a welding portion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hemming portion of the part component, and is installed on the frame to be parallel to the electrod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including a ground portion forming a ground.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절연을 이루는 절연판, 상기 절연판의 중앙에 고정된 로드를 통해 상기 파트 부품의 굴곡에 따라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블 볼, 상기 스위블 볼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파트 부품에 접촉되는 로케이터, 및 상기 로드에 끼워져 조절나사를 통해 탄성력이 조절되고, 스폿 용접 후, 상기 스위블 볼을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form an insulating plate, a swivel ball rotatably install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part parts through a rod fixed to the center of the insulating plate, the swivel ball It may include a locator installed through and contacting the part part, and an elastic force is adjusted through an adjusting screw fitted to the rod, and after spot welding, the spring to restore the swivel ball.

또한, 상기 지지부와 인접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며, 스폿 용접 후,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용접부의 이면을 스캔함으로써 용접 결함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ame adjacent to the support, and after spot welding, may further include an insp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welding defect is generated by irradiating a laser to scan the back surface of the welding unit.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회전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회전판의 일면에서 상기 전극부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mounted to be coaxial with the electrode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rotating through the rotating motor mounted on the frame.

또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용접부의 이면을 스캔하여 용접 결함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부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spection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to scan the back surface of the weld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a welding defect has occurred.

또한, 상기 검사부는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와 대향되게 장착되고, 스폿 용접 후, 상기 회전 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 상기 전극부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pection unit may be mounted to face the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n one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after spot welding, the rotating plate may be rotated by the rotating motor to be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electrode portion.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구성되는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상기 파트 부품에 따라 높이가 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includes a box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ns mounted inside the box part and installed to vary in height according to the part parts by compression of a spring configured therein. can do.

또한, 상기 지지핀의 상면에는 선단을 덮도록 구성되어 상기 용접부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섬유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 검사부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spection unit formed of a fiber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cover the tip of the support pin to inspect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n.

또한, 상기 검사부는 상기 파트 부품과 지지핀 사이에 개재되어 스폿 용접 시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용접부의 용접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pection un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art part and the support pin to detect a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y when pressure is applied during spot welding, and inspect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unit.

또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파트 부품에 접촉되는 전극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por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rod mounted 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by a first driving portion installed in the frame, and an electrode tip mounted on the tip of the electrode portion and contacting the part component.

또한, 상기 전극팁은 선단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ti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surface is formed in a round shape.

또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구동부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파트 부품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 댐퍼스프링을 통해 충격력을 흡수하는 댐퍼, 상기 댐퍼에 연결되는 부스바, 및 플랙시블한 섬유다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스바를 감싸도록 장착되고, 양단부가 상기 부스바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접지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portion is mounted through a second dr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rame, the second driving portion is installed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part part, a damper absorbing the impact force through the damper spring on both sides, the damper It may include a busbar connected to the, and a flexible fiber bundle form is mounted to surround the busbar, both ends may include a grounding cable fixed to each side of the busbar.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장착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과 대응되게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가 장착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양측 댐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mper may include an upper plate mounted on the second driving unit, a lower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d mounted with the busbar, and both damper springs mounted on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have.

또한, 상기 접지 케이블은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진 섬유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cab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iber bundle made of copper (Cu) material.

또한, 상기 접지부는 상기 댐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댐퍼의 타측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댐퍼스프링의 압축변화에 따라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리미트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por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amper is a limit switch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ground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damper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limit switch, the limit switch is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change of the damper spring It may further include a limit pin configured to sens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차의 파트 부품에 형성된 헤밍부를 접합하는 것으로, 용접부에 압흔이 남지 않아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join a hemming portion formed in a part part of an automobi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elding quality because no indentation remains in the weld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헤밍부를 접합하면서, 검사부를 통해 상기 용접부의 용접상태를 검사할 수 있어 용접불량을 최소화하고, 전체적인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welding the hemming portion,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portion can be inspected through the inspection portion, thereby minimizing welding defects and reducing the overall cycle time.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effects obtained or predicted du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predi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within a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적용되는 지지부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support applied to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sided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적용되는 지지부의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일측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of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upport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pplied to Figure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sided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는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이 프레스 또는 롤러 공정을 통해 헤밍(Hemming)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파트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art component in which an inner panel and an outer panel are formed by hemming through a press or roller process.

즉,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는 상기 파트 부품에 형성된 헤밍부에 편방향 용접을 통해 상기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을 접합하는 것이다. That is,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is to joi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through one-way welding to the hemming portion formed in the part part.

이러한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는 파트 부품의 일측에 접지부를 통하여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트 부품의 용접부에 전극부를 접촉하여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의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용접 접합할 수 있다.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is welded by using electric resistance heat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by applying an electric current by contacting an electrode portion to the welding portion of the part component while grounding through a ground portion on one side of the part component. Can be joined.

더불어,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는 상기 아웃터 패널에 압흔이 생기지 않으면서 헤밍부 결합 강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e-way spot welding device can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hemming portion without indentation in the outer panel.

또한,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는 폐단면 구조의 용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can be welded in a closed cross-section structure.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파트 부품의 헤밍부에 용접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용접 대상물을 용접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o welding to the hemming portion of the part part,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if welding objects of various types and uses are wel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세워 놓고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단부, 하부 상당 및 상면으로 정의하고,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단부, 하부, 하단, 및 하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following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one-sided spot welding apparatus stand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is defined as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part is directed to the lower side. The part can be defined as the bottom, bottom, bottom and bottom.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의 기준 위치 및 파트 부품의 용접 방향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definition of the above direction is a relative meaning, and since the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one-way spot welding device and the welding direction of the part parts,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direction is necessarily the reference direc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1)는 전체 장치의 주요 구성을 탑재하기 위한 프레임(10)이 지지대(11) 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메인부재(13)에 장착 브라켓(13)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member 13 in which the frame 10 for mount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entire apparatus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11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s installed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13).

즉,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1)는 상기 장착 브라켓(13)을 통해 지지대(11)에 고정되는 정치식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장착 브라켓(13)이 로봇의 암선단에 연결되어 로봇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파트 부품에 스폿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에 적용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one-way spot welding device 1 can be applied to a stationary formula fixed to the support 11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13, the mounting bracket 13 is connected to the arm tip of the robot to the robot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method of performing spot welding on the part parts by moving by.

이러한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1)는 상기 장착 브라켓(15)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17)을 통해 프레임(10)이 설치된다.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frame 10 through a connecting bracket 17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15.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1)는 지지부(20), 전극부(50), 및 접지부(60)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installed on the frame 10 includes a support portion 20, an electrode portion 50, and a ground portion 60.

상기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1)는 접합하고자 하는 파트 부품의 하부가 상기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파트 부품의 상부에서 전극부(40)에 의해 용접 접합되며, 상기 접지부(50)에 의해 상기 파트 부품의 접지를 이룰 수 있다.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is welded by the electrode part 40 from the top of the part part, with the lower part of the part part to be joined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20, and the ground part The grounding of the part part can be achieved by (5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 장치(1)의 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절연을 이루는 절연판(2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support portion 20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ing plate 21 mounted on one side of the frame 10 to form insulation.

이때, 상기 절연판(21)은 스폿 용접 시, 프레임(10)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insulating plate 21 is to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through the frame 10 when spot welding.

이러한 절연판(21)은 베크라이트(Bakelite) 또는 MC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sulating plate 21 may be made of Bakelite or MC nylon material.

상기 절연판(21)의 중앙에는 로드(23)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된 로드(23)를 통해 스위블 볼(25)이 설치된다. A rod 23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insulating plate 21, and a swivel ball 25 is installed through the fixed rod 23.

또한, 상기 스위블 볼(25)을 통해 상기 파트 부품과 접촉되는 로케이터(27)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locator 27 in contact with the part component through the swivel ball 25 is installed.

이때, 상기 스위블 볼(25)은 상기 로케이터(27)와 함께 상기 파트 부품의 굴곡에 따라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swivel ball 25 is rotatably installed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part part together with the locator 27.

예를 들어, 상기 스위블 볼(25)은 중심을 기준으로 25

Figure pat00001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wivel ball 25 is based on the center 25
Figure pat00001
It can rotate in a radius.

이러한 스위블 볼(25)은 로드에 끼워지는 조절나사를 통해 탄성력이 조절되는 스프링에 의해 회전 후,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swivel ball 25 is configured to be resilient after rotation by a spring whose elastic force is adjusted through an adjusting screw fitted to the rod.

이러한 지지부(20)는 상기 파트 부품의 하측에서 상기 파트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 part 20 serves to support the part part under the part part.

즉, 상기 지지부(20)는 이하에서 설명할 전극부(4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파트 부품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것이다. That is, the support portion 20 is to support the part parts are not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electrode portion 40 to be described below.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부(20)와 인접하도록 검사부(3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n inspection unit 30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1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upport unit 20.

상기 검사부(30)는 스폿 용접 후, 상기 용접부의 이면을 스캔하여 용접 결함의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fter the spot welding, the inspection unit 30 may be formed by scanning the back surface of the welding unit and inspecting whether welding defects are generated.

다시 말해, 상기 검사부(30)는 용접부에 초음파를 전달하여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의 에너지량, 진행시간 등을 분석하여 용접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inspection unit 3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welding unit by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to the welding unit and analyzing the energy amount and duration of ultrasonic waves reflected from the defects present therein.

이러한 검사부(30)는 자기장 센서를 이용하여 스폿 용접 시 발생하는 융합 부분인 너켓(nuget)의 형성 유무를 센싱 또는 판독하는 과정으로 용접부의 품질을 검사할 수 있다. The inspection unit 30 may inspect the quality of the welded part by sensing or rea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mation of a nugget, which is a fusion part generated during spot welding using a magnetic field sensor.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1)의 상기 지지부(20)와 검사부(30)는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 회전 모터(41)를 통해 회전하는 회전판(40)의 상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각각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inspection portion 30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rough a rotating motor 41 mounted on the frame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rotating plate 40, each may b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relative to the center.

다시 말해, 상기 회전판(40)은 상기 회전 모터(41)를 통해 회전하며, 일측에는 지지부(2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검사부(30)가 설치된다. In other words, the rotating plate 40 rotates through the rotating motor 41, a support portion 20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an inspection portion 3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이러한 회전판(40)은 필요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전극부(40)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20) 또는 검사부(30)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구동된다. The rotating plate 40 is rotated as necessary, so that the support portion 20 or the inspection portion 30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portion 40 is driven coaxially.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1)의 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박스부(28)와, 상기 박스부(28)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지지핀(29)을 포함한다. 4 and 5, the support part 20 of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x part 28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10,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ins 29 mounted inside the box portion 28.

상기 박스부(28)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다. The box portion 28 forms a space therein,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mounted on the frame 10.

또한, 상기 지지핀(29)은 상기 박스부(28)의 내부에 장착되어 하부에 장착된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상기 파트 부품에 따라 높이가 변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in 29 is mounted inside the box portion 28 and is configured to vary in height according to the part part by compression of a spring mounted at the bottom.

즉, 복수개의 상기 지지핀(29)은 상기 파트 부품과 접촉되어 상기 파트 부품의 표면 상태에 따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그 높이가 각각 변하게 된다. That is, a plurality of the support pins 29 are in contact with the part parts, the height of each of which is changed while the spring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part parts.

이러한 지지핀(29)의 상면에는 선단을 덮도록 플랙시블한 섬유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 검사부(30)가 설치된다. An inspection portion 30 made of a flexible fiber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n 29 to cover the tip.

이때, 상기 검사부(30)는 상기 파트 부품과 지지핀(29) 사이에 개재되어 스폿 용접 시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용접부의 용접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spection part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part part and the support pin 29,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during spot welding, a change in capacitance can be detected to inspect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part.

이러한 검사부(30), 즉, 섬유 압력 센서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전도성 직물 사이의 폴리우레탄 유전층이 변형될 때 나타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해 압력을 측정한다. The inspection unit 30, that is, the fiber pressure sensor measures the pressure by sens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that appears when the polyurethane dielectric layer between the conductive fabrics is deformed when pressure is applied.

상기 섬유 압력 센서는 힘이 가해지는 모든 부위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ber pressure senso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the pressure of all areas where force is applied.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부(50)는 상기 지지부(20))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다. 6 and 7, the electrode part 50 is installed on the frame 10 to linearly reciproc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20.

좀더 상세하게 상기 전극부(50)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 구동부(70)에 의해 상기 지지부(20)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전극봉(51)을 포함한다. In more detail, the electrode part 50 includes an electrode rod 51 that is mounted to linearly reciproc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20 by a first driving part 70 installed in the frame 10.

또한, 상기 전극부(50)는 상기 전극봉(51)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파트 부품에 접촉되는 전극팁(53)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part 50 includes an electrode tip 53 mounted on the tip of the electrode rod 51 and contacting the part component.

이때, 상기 전극팁(53)은 선단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나,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 tip 53 is preferably formed in a round shape at the front end surface, but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or a truncated cone shape.

이러한 전극부(53)는 상기 파트 부품의 헤밍부에 전류를 인가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The electrode portion 53 is configured to apply a current to the hemming portion of the part component to form a welding por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 구동부(70)는 고압과 저압으로 이루어진 2개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공압 회로로 구성된다. The first driving unit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pneumatic circuit including two regulators composed of high pressure and low pressure.

이때, 상기 제1 구동부(70)에는 압력전환솔이 구성되어 상기 압력전환솔의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2개의 레귤레이터의 압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drive unit 70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witching brush is configured to switch the pressure of the two regulators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pressure switching brush.

그리고 상기 접지부(60)는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전극부(5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ground part 60 is installed in the frame 10 in parallel with the electrode part 50.

상기 접지부(60)는 상기 파트 부품의 헤밍부에 접촉되어 접지 전류를 인가한다. The ground portion 60 is in contact with the hemming portion of the part component to apply a ground current.

이러한 접지부(60)는 댐퍼(61), 부스바(63), 및 접지 케이블(65)을 포함한다. The ground portion 60 includes a damper 61, a bus bar 63, and a ground cable 65.

즉, 상기 접지부(60)의 댐퍼(61)는 제2 구동부(71)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 구동부(7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That is, the damper 61 of the ground portion 6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71 and is installed to be elevat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71.

이러한 댐퍼(61)는 양측 스프링을 통해 충격력을 흡수한다. The damper 61 absorbs impact force through both springs.

상기 댐퍼(61)의 형상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댐퍼(61)는 제2 구동부(71)의 하측에 장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판(61a)과 하부판(61b)을 포함한다. When the shape of the damper 61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amper 61 includes a rectangular upper plate 61a and a lower plate 61b mounted under the second driving unit 71.

또한, 상기 댐퍼(61)는 상기 상부판(61a)과 하부판(61b) 사이의 양측에 설치되는 댐퍼스프링(61c)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amper 61 includes a damper spring 61c installed on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plate 61a and the lower plate 61b.

이러한 댐퍼(61)는 상기 댐퍼스프링(61c)에 의해 상기 상부판(61a)과 하부판(61b)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되면서, 상기 접지부(60)의 위치가 변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The damper 6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61a and the lower plate 61b is changed by the damper spring 61c,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ound portion 60 is changed.

또한, 상기 부스바(63)는 상기 댐퍼(61)의 하측에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bus bar 63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damper 61.

또한, 상기 접지 케이블(65)은 상기 부스바(63)의 외측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부스바(63)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ground cable 65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bus bar 63 whil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bus bar 63.

상기 접지 케이블(65)을 플랙시블한 섬유다발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ground cable 65 is made of a flexible fiber bundle.

이때, 상기 접지 케이블(65)은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진 섬유다발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ound cable 65 may be a fiber bundle made of copper (Cu) material.

이러한 접지부(60)는 댐퍼스프링(61c)이 가압되면, 상기 상부판(61a)과 하부판(61b) 사이의 거리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67)와 리미트 핀(69) 사이의 거리가 결정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67)와 리미트 핀(69) 사이의 거리에 따른 신호에 의해 상기 접지 케이블(65)의 가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When the damper spring 61c is pressurized, the distance between the limit switch 67 and the limit pin 69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61a and the lower plate 61b. It is configured to check the pressing state of the ground cable 65 by a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imit switch 67 and the limit pin (69).

이때, 상기 접지 케이블(65)의 가압 상태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70, 7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70 and 71 may be controlled by the pressing state of the ground cable 65.

즉, 상기와 같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67)의 신호를 통해 전극부(50)와 접지부(61)의 하강 신호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That is, the falling signal of the electrode unit 50 and the ground unit 61 may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of the limit switch 67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67)는 상기 댐퍼(61)의 하부측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리미트 핀(69)에 의해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position of the limit switch 67 can be determined by the limit pin 69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damper 61.

상기 리미트 핀(69)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limit pin 69 is configur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67)는 접지부(60)의 가압 완료 신호를 판별하여 전체적인 사이클 타임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The limit switch 67 serves to reduce the overall cycle time by determining the pressuriz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ground portion 60.

즉, 상기 접지부(60)는 차종에 따라 다른 가압 위치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67)에 의해 가압 완료 신호를 판별하며, 상기 전극부(50)와 접지부(60)가 가압 완료 신호를 받으면, 즉시 통전되어 용접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ground portion 60 has different pressing positions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the pressing completion signal is determined by the limit switch 67, and the electrode portion 50 and the ground portion 60 are pressurized completion signals. When received, it can be energized and welded immediately,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ycle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1)는 자동차의 파트 부품에 형성된 헤밍부에 적용하는 것으로, 상기 헤밍부에 형성된 용접부에 압흔을 남기지 않아 용접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용접부를 검사하는 검사부(30)에 의해 상기 용접부의 불량을 판별해낼 수 있다. Therefore,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emming portion formed in a part part of an automobile, and improves welding quality by leaving no indentation in the welding portion formed in the hemming portion. The defect of the welded por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inspecting portion 30 inspecting the welde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1)는 접합하고자 하는 상기 파트 부품의 굴곡 및 높이 등에 상관없이 전극부(50) 및 접지부(60)를 적용할 수 있어 공용화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de part 50 and the ground part 60 regardless of the bend and height of the part parts to be joined, so that it can be shared. D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1: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10: 프레임
11: 지지대 20: 지지부
21: 절연판 23: 로드
25: 스위블 볼 27: 로케이터
28: 박스부 29: 지지핀
30: 검사부 40: 회전판
41: 회전 모터 50: 전극부
51: 전극봉 53: 전극팁
60: 접지부 61: 댐퍼
61a: 상부판 61b: 하부판
61c: 댐퍼스프링 63: 부스바
65: 접지 케이블 67: 리미트 스위치
69: 리피트 핀 70: 제1 구동부
71: 제2 구동부
1: One-way spot welding device 10: Frame
11: Support 20: Support
21: insulating plate 23: rod
25: swivel ball 27: locator
28: box 29: support pin
30: inspection unit 40: rotating plate
41: rotary motor 50: electrode portion
51: electrode rod 53: electrode tip
60: grounding portion 61: damper
61a: top plate 61b: bottom plate
61c: Damper spring 63: Bus bar
65: grounding cable 67: limit switch
69: repeat pin 70: first drive
71: second driving unit

Claims (15)

자동차의 파트 부품에 적용되는 헤밍부를 스폿 용접으로서 접합할 수 있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폿 용접 시, 상기 파트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파트 부품의 헤밍부에 전류를 인가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파트 부품의 접지를 이루는 접지부;
를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joining a hemming portion applied to a part part of an automobile as spot welding,
It is installed on the frame, when the spot welding,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part parts;
An electrode part installed on the frame to linearly reciproc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and applying a current to the hemming part of the part part to form a welding part; And
A grounding part installed on the fram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lectrode part, and forming a ground of the part parts;
One-way spot weld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절연을 이루는 절연판;
상기 절연판의 중앙에 고정된 로드를 통해 상기 파트 부품의 굴곡에 따라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블 볼;
상기 스위블 볼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파트 부품에 접촉되는 로케이터; 및
상기 로드에 끼워져 조절나사를 통해 탄성력이 조절되고, 스폿 용접 후, 상기 스위블 볼을 복원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An insulating plate mounted on one side of the frame to form insulation;
A swivel ball rotatably install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part part through a rod fixed to the center of the insulating plate;
A locator installed through the swivel ball to contact the part part; And
A spring fitted into the rod to adjust the elastic force through an adjustment screw, and to restore the swivel ball after spot welding;
One-way spot weld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인접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며, 스폿 용접 후,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용접부의 이면을 스캔함으로써 용접 결함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부;
를 더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ame adjacent to the support, and after spot welding, by inspecting the back surface of the weld by irradiating a laser to determine whether a welding defect occurs;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회전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회전판의 일면에서 상기 전극부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mounted to be coaxial with the electrode part on one surface of a rotating plate rotating through a rotating motor mounted on the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용접부의 이면을 스캔하여 용접 결함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부가 설치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ng plate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in which an inspection unit is installed to scan the back surface of the welding unit and determine whether a welding defect occu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와 대향되게 장착되고, 스폿 용접 후, 상기 회전 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 상기 전극부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inspection unit
A one-way spot welding device mounted opposite to the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and after spot welding, the rotating plate is rotated by the rotating motor to move to be coaxial with the electrod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구성되는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상기 파트 부품에 따라 높이가 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핀을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One-way spot welding including a box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ns mounted inside the box part and installed to change height according to the part parts by compression of a spring configured therei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의 상면에는
선단을 덮도록 구성되어 상기 용접부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섬유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 검사부가 설치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n
One-sided spot welding device is configured to cover the tip and is provided with an inspection unit made of a fiber pressure sensor for inspecting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파트 부품과 지지핀 사이에 개재되어 스폿 용접 시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용접부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inspection unit
A one-way spot welding device interposed between the part part and the support pin to detect a change in electrostatic capacity when a pressure is applied during spot welding, and to inspect the welding state of the w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파트 부품에 접촉되는 전극팁;
을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portion
An electrode rod mounted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by a first driving portion installed in the frame; And
An electrode tip mounted on the tip of the electrode and contacting the part component;
One-way spot welding devic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팁은
선단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electrode tip
A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face is formed in a roun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구동부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파트 부품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 댐퍼스프링을 통해 충격력을 흡수하는 댐퍼;
상기 댐퍼에 연결되는 부스바; 및
플랙시블한 섬유다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스바를 감싸도록 장착되고, 양단부가 상기 부스바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접지 케이블;
을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und portion
A damper mounted through a second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frame, installed to be able to linearly reciprocate with respect to the part part by the second driving part, and absorbing impact force through both damper springs;
A bus bar connected to the damper; And
A grounding cable made of a flexible fiber bundle and mounted to surround the busbar, and both ends fixed to both sides of the busbar;
One-way spot welding devic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장착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과 대응되게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가 장착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양측 댐퍼스프링;
을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damper
An upper plate mounted on the second driving unit;
A lower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d mounted with the bus bar; And
A damper spring on both sides mounted on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ne-way spot welding devic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케이블은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진 섬유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ground cable
One-way spot we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iber bundle made of copper (Cu) materi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댐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댐퍼의 타측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댐퍼스프링의 압축변화에 따라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리미트 핀;
을 더 포함하는 편방향 스폿 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ground portion
A limit swit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amper to set the position of the ground portion; And
A limit pin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limit switch at the other side of the damper and configured to sense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change of the damper spring;
One-way spot wel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KR1020180158265A 2018-12-10 2018-12-10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KR102575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65A KR102575171B1 (en) 2018-12-10 2018-12-10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65A KR102575171B1 (en) 2018-12-10 2018-12-10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765A true KR20200070765A (en) 2020-06-18
KR102575171B1 KR102575171B1 (en) 2023-09-05

Family

ID=7114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265A KR102575171B1 (en) 2018-12-10 2018-12-10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17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518B1 (en) * 1996-12-17 1999-06-15 Grounding Structure of Robot Welding Gun
KR20050043233A (en) * 2003-11-05 2005-05-11 장희석 High precision micro spot welding machine
KR100499321B1 (en) * 2002-04-26 2005-07-04 정일조 Spot welding apparatus for ear ring pin
KR20130089353A (en) * 2012-02-02 2013-08-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pot welding machine able to evaluate spot welding strength
JP5278879B2 (en) * 2010-02-25 2013-09-04 株式会社向洋技研 Spot welding electrode
KR101448771B1 (en) * 2013-03-26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One side direction spot wel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518B1 (en) * 1996-12-17 1999-06-15 Grounding Structure of Robot Welding Gun
KR100499321B1 (en) * 2002-04-26 2005-07-04 정일조 Spot welding apparatus for ear ring pin
KR20050043233A (en) * 2003-11-05 2005-05-11 장희석 High precision micro spot welding machine
JP5278879B2 (en) * 2010-02-25 2013-09-04 株式会社向洋技研 Spot welding electrode
KR20130089353A (en) * 2012-02-02 2013-08-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pot welding machine able to evaluate spot welding strength
KR101448771B1 (en) * 2013-03-26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One side direction spot wel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171B1 (en)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390B2 (en) Apparatus for clamping panel for vehicle
US48131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the position of a datum reference from an object having dimensional variations within a tolerance range
US10393673B2 (en) Door inspection system for vehicle and inspection method for the same
WO2017096770A1 (en) Driving device of all-directional automatic weld seam flaw detection instrument and application thereof
HUT53962A (en) Scanning device for ultrasonic testing of manufactured details
US10184899B2 (en) Vehicle part inspection device
CN207764168U (en) Steam turbine welded disc turbine rotor automatized ultrasound flaw detection system
KR102575171B1 (en) Side direction spot welding device
KR20150137421A (en) Welding portion inspec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09108655A (en) Terminal bending mechanism and its bending method, automobile coil-winding spot welding assembly line
KR20140144623A (en) Multi-functional robot apparatus for common use
CN220188394U (en) Pipe fitting welding seam detection device with vision detection function
CN108469588A (en) A kind of method for soft package lithium ion power test equipment
CN109108654A (en) Terminal bending mechanism and its bending method, automobile coil-winding spot welding assembly line
CN109916703B (en) Welding spot detection device and welding spot detection method
CN201223992Y (en) Copying device of gantry type welding machine
CN108772650B (en) Accurate positioning device for welding cell module side panel, welding robot and welding method thereof
KR101921594B1 (en)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of spot
CN114354750B (en) Plug weld phased array ultrasonic inspection device
JPH1052761A (en) Resistant welding equipment
CN212228846U (en) Ultrasonic probe wheel test bed
CN110954850A (en) Micro-needle testing equipment framework
US10625366B2 (en) Welding gun and unidirectional weld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CN108941869A (en) Terminal pre-pressing device and automobile coil-winding spot welding assembly line
CN111983017A (en) UT flaw detection mechanism for roller and method for detecting flaw of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