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221A -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221A
KR20200070221A KR1020207006473A KR20207006473A KR20200070221A KR 20200070221 A KR20200070221 A KR 20200070221A KR 1020207006473 A KR1020207006473 A KR 1020207006473A KR 20207006473 A KR20207006473 A KR 20207006473A KR 20200070221 A KR20200070221 A KR 2020007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touch
information
control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095B1 (ko
Inventor
강태호
Original Assignee
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호 filed Critical 강태호
Publication of KR2020007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기능키의 입력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되고, 제스쳐 모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각종 패턴을 그림으로써, 연동된 외부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TV, 에어컨, DVD 플레이어, 스피커 등의 외부기기들 각각이 리모컨이 할당되어 있었고, 사용자는 각각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해당 외부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였다.
최근 들어, 외부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IoT 시대가 시작됨에 따라서 상기 외부기기 이외에도 전등, 냉장고, 보안시설 등이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많은 외부기기들 각각에 리모컨을 할당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할당한다 하여도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끼치게 될 것이다.
또한, 외부기기마다 필요한 버튼이 다른 상황에서 무작정 하나의 리모컨으로 통합할 경우, 리모컨 조작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키의 입력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외부기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키의 입력정보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이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로 변경되며, 제스쳐 모드를 이용하여 각종 패턴을 그려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상에 그려진 도형들의 속성 정보, 및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으로 그려진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인 경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구획 도형의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위치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기능키 입력부; 사용자의 터치 입력정보를 입력받되,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또는 제스처로 입력된 입력정보를 인식하되, 상기 입력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포함하는 것인, 터치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키입력 모드에서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각인 또는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기능키 조작에 따라서 리모컨이 연동되는 기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을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은, 스마트 리모컨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제어부가 사용자의 기능키 조작에 따라서 리모컨이 연동되는 기기를 변경하고, 터치 스크린을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터치 스크린의 제스쳐 모드에서, 터치 인식부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리모컨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기능키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키입력 모드에서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각인 또는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키의 입력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으로 다양한 외부기기와 연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키의 입력정보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이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로 변경되며, 제스쳐 모드를 이용하여 각종 패턴을 그려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리모컨에 패턴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상에 그려지는 둘 이상의 도형의 형상, 크기, 각 도형간의 상대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리모컨이 각종 잠금 장치와 연결되어, 일관된 패턴형태가 아닌 다양한 패턴을 통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의 상면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기능키와 터치스크린에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에 키패드부가 더 포함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의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각종 도형이 순차적으로 그려지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그려진 도형이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에 따라서 통신방식을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를 통해 각종 외부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5a가 실제 적용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의 상면도이고, 도 2는 사용자가 기능키와 터치스크린에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에 키패드부가 더 포함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의 블록도이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10)은, 기능키 입력부(11), 터치 스크린(40), 터치 인식부(120), 제어부(130), 잠금 해제부(140), 무선 통신부(150) 및 지문 인식부(160)를 포함한다.
도 1은 스마트 리모컨(10)의 상면도이고,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리모컨(10)의 상면에 기능키 입력부(11)와 터치 스크린(40)이 형성되어 있다.
기능키 입력부(11)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기능키(13), 제2기능키(15) 및 제3기능키(17)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4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정보를 받되,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가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각인되어 있거나 부착되어 있다.
터치 인식부(120)는 터치 스크린(40) 상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또는 제스처로 입력된 입력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입력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터치되어 그려진 1개 이상의 도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어부(130)는 터치 인식부(120)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30)는 위의 정보들과 함께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를 포함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가로선(430)이 먼저 그려지고, 점(410)이 나중에 그려진 경우와, 점(410)이 먼저 그려지고 가로선(430)이 나중에 그려진 두 가지의 케이스가 동일한 제어신호가 발생(입력순서 정보 미포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입력순서 정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발명의 실시자가 상황에 따라서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순서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기능키 조작에 따라서 스마트 리모컨(10)이 연동되는 기기를 변경하거나, 터치 스크린(40)을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기능키 입력부(11)의 기능키 중 하나가 탭되면, 해당 기능키에 설정된 기기와 연동되도록 하며, 입력정보에 따라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설정된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능키 중 하나가 더블탭되면, 터치 스크린(40)을 제스쳐 모드 또는 키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서로 다른 기능키 조합에 따라서 스마트 리모컨(10)을 서로 다른 기기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기능키(13)가 탭되면 스마트 리모컨(10)이 TV와 연동되도록 하며, 제1기능키(13)가 더블탭되면 터치 스크린(40)이 제스쳐 모드에서 키입력 모드, 또는 키입력 모드에서 제스쳐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기능키(15)가 탭되면 스마트 리모컨(10)이 DVD와 연동되도록 하고, 제3기능키(17)가 탭되면 스마트 리모컨(10)이 에어컨과 연동되도록 한다.
추가로, 제어부(130)는 서로 다른 기능키 조합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기기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리모컨(10)과 연동된 기기가 3개일 경우 3개의 기능키로 연동된 기기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지만, 연동된 기기가 4개 이상일 경우에는 기능키의 조합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제1기능키(13)와 제2기능키(15)가 동시에 탭되면, 스마트 리모컨(10)이 스피커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기능키(13)와 제3기능키(17)가 동시에 탭되면, 스마트 리모컨(10)이 전등과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제2기능키(15)와 제3기능키(17)가 동시에 탭되면, 스마트 리모컨(10)이 공기청정기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능키가 입력되거나, 특정 기능키 조합된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스마트 리모컨(10)이 연동되는 기기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모컨(10)이 다수 개의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 인식부(120)는 키입력 모드와 제스쳐 모드일때 수행되는 기능이 분리된다.
터치 인식부(120)는 키입력 모드일 때, 터치 스크린(40) 상에 각인 또는 부착된 문자의 영역을 인식하고, 해당 입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40) 상의 A(1), B(2)가 입력될 경우, AB 또는 12에 해당하는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리모컨(10)이 TV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널 12번으로 전환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TV로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기능키(13)가 한 번 탭되면 제어부(130)가 스마트 리모컨(10)이 TV와 연동되도록 전환하고, 사용자로부터 각인 또는 문자 스티커가 부착된 문자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받음으로써, 채널 변경과 문자 입력을 하는 등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TV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기능키(13)가 두 번 탭되면 제어부(130)가 터치 스크린(40)을 제스쳐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스쳐로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로부터 제1기능키(13)가 두 번 탭되고, 우측 방향의 가로선과 가로선의 우측 위가 터치되는 제스쳐의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제1기능키(13)가 두 번 탭되었기 때문에, 스마트 리모컨(10)의 터치 스크린(40)을 제스쳐 모드로 전환하였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것이다.
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의 가로선이 그려지고, 가로선의 우측 위가 터치되면 채널 업(up), 아래가 터치되면 채널 다운(down)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었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제어부(130)는 위와 같은 제스쳐 입력정보를 수신하면 TV의 채널 업(up)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TV의 채널이 한 단계 업(up)되는 동작이 수행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외부기기와 다양한 제스쳐 정보를 미리 설정해놓음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리모컨(10)의 터치 인식부(120)에 제스쳐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 리모컨(10)과 연동된 각종 외부기기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모컨(10)은 터치 스크린(40)에 각인 또는 부착된 문자와 다른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각인된 키패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스크린(40)이 제스쳐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스쳐 입력정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40)에 각종 도형이 순차적으로 그려지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란, 일반적인 도형과 마찬가지로 점, 선, 면을 포함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40) 상에 그려진 2개 이상의 도형의 형상,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2개 이상의 도형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상대위치 정보, 각 도형이 입력된 순서, 선후관계를 의미하는 입력순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떠한 크기, 형상의 도형들이 입력되느냐, 각 도형들간의 위치관계가 어떻게 되느냐, 각 도형들이 그려진 순서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각각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식된 도형 중의 적어도 하나가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인 경우, 터치 스크린(40)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이 가로선을 포함할 경우 터치 스크린(40)을 가로선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도형이 가로선이라고 하여 가로선을 기준으로 상, 하로 구획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가로선의 좌, 우로도 구획할 수 있는 등 도형의 형상에 따라서 구획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직선인 경우 시작점에서 끝점으로 나아가는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 직상 상, 직선 앞쪽, 직선 뒤쪽 등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으로 구획할 수도 있고, 가로선의 좌측 끝단의 좌측, 가로선의 상하, 가로선의 우측 끝단의 우측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복수의 영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구획 도형이 시작점과 끝점이 도형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이 구획 도형의 시작점 근처에 위치하는지, 또는 끝점 근처에 위치하는지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이 폐곡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터치 스크린(110)을 구획 도형의 내부와 외부로 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이 폐곡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터치 스크린(40)의 공간을 폐곡선의 내부와 외부로 구획할 수 있으며, 직선을 포함하는 경우 직선을 가상으로 연장하여 직선을 기준으로 터치 스크린(40)을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위와 같은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이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예시들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다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각종 경우의 수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 대상(900)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TV, 에어컨, 냉장고, 잠금 장치,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제어 대상(900)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 대상(900)은 에어컨, 냉장고, 잠금 장치와 같이 스마트 리모컨(10)과 무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외부기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리모컨(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과 같은 기기에 함께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장치에 설치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인증, 계좌 이체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는 등,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설정되어 각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속성 정보는 각 도형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방향 정보, 각 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터치라인의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 도형의 꺾인 점의 수, 각 도형이 입력된 시간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도형과 제2도형이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지고, 속성 정보, 상대위치 정보, 입력 순서정보 등이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고 하여도, 제1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제1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압력강도, 제1도형이 그려질 때 터치라인의 터치 가속도 중 하나라도 다를 경우 다른 케이스로 판단되어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원을 제1압력으로 연이어 그린 것과, 제2압력으로 연이어 그린 것은 서로 다른 케이스로 인식되어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대위치 정보는 상기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교차점의 갯수를 포함한다.
이때, 상대위치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비율, 두 개 이상의 도형 사이의 거리, 두 개 이상의 도형의 교차각에 대한 정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40) 상에 선(430)과 점(410)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5a, 5b, 5c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선(430)과 점(410)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5a의 (A)에서는 가로선(430)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의 우측 위에 점(410)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의 (B)에서는 가로선(430)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의 좌측 위에 점(410)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는 동일하고,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는 동일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도 5a의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물론이고, 도 5a의 (A)와 다르게, 가로선(430)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의 우측 아래에 점(410)이 그려진다면, 도 5a의 (A)와 또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 적용을 예시하면, 도 5a의 (A)의 경우에는 볼륨을 up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로선(430)의 우측 아래에 점(410)이 그려진다면 볼륨을 down 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a의 (B)와 같이 가로선(430)의 좌측 위에 점(410)이 그려지는 경우 TV의 채널을 up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가로선(430)의 좌측 아래에 점(410)이 그려진다면 채널을 down 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a에서는 가로선(430)이 좌에서 우의 방향으로 그려지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가로선(430)이 우에서 좌의 방향으로 그려지는 것에 대해서 또 다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형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또 다른 예로, 가로선(430)의 길이가 어느정도냐에 따라서 제어신호가 달라질 수도 있으며, 가로선(430)이 그려지는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가로선(430)이 그려진 시간과 점(410)이 그려진 시간 간의 시간간격 정보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선(430)이 그려지고 곧 바로 점(410)이 그려지는 것과, 가로선(430)이 그려지는 시간과 점(410)이 그려지는 시간 간의 간격이 0.5초 정도 발생하는 경우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구획 도형이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선(430)이 터치 스크린(11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가로선(430)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에 그려진 점(4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가 도 5b에 되어 있다.
도 5b의 (A)는 가로선(430)의 좌측에 점(410)이 그려져 있고, 도 5b의 (B)는 가로선(430)의 우측에 점(410)이 그려져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가 가로선(430)을 기준으로 상, 하로 구획하거나, 좌, 우로 구획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b의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c의 (A)에는 가로선(430)의 중간 위에 점(410)이 그려져 있고, 도 5c의 (B)에는 가로선(430)의 중간 아래에 점(410)이 그려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하나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10) 상의 공간을 가로선(430)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이 경우에, 제어부(130)가 가로선(430)을 기준으로 상, 하의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고 가정한다면, 도 5c의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제어부(130)가 가로선(4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의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고 가정한다면, 도 5c의 (A)와 (B)는 같은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130)가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지만, 구획하는 기준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40) 상에 선과 선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6 (A)에서는 가로선(430a)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a)의 우측 위에 상측 방향으로 세로선(430b)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B)에서는 가로선(430a)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a)의 우측 위에 하측 방향으로 세로선(430b)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를 실제 적용해볼 경우, 도 6 (A)와 같은 경우 스마트 리모컨(10)과 연결된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up 하도록 할 수 있고, (B)와 같은 경우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down 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로선(430a)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a)의 좌측 위에 하측 방향으로 세로선(430b)이 그려지는 경우에는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재생곡이 다음 곡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고, 가로선(430a)이 우측 방향으로 그려지고, 가로선(430a)의 좌측 위에 상측 방향으로 세로선(430b)이 그려지는 경우에는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재생곡이 이전곡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와 같이 세로선(430b)이 가로선(430a)을 기준으로 좌측 위에 그려지되 하측 또는 상측으로 그려진 경우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로선(430a)이 좌측방향으로 그려지는 경우에 또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선(430a), 세로선(430b)의 길이,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 등의 정보에 따라서도 제어신호가 달라질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40) 상에 사각형과 점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터치 인식부(120)를 통해 인식된 사각형(450)과 점(410)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사각형(450)과 점(410) 간의 상대위치 정보, 사각형(450)과 점(410) 간의 입력순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다.
또한, 인식된 도형 중에서 사각형(450)이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이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40) 상의 공간을 사각형(450)을 기준으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도 8에서는 제어부(130)가 터치 스크린(40) 상의 공간을 사각형(450) 내부와 외부로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구획 도형(사각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점(410)이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8 (A)에서는 점(410)이 사각형(450)의 내부에 있고, 도 8 (B)에서는 점(410)이 사각형(450)의 외부에 있기 때문에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8에서는 사각형(450)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490)이 좌측 아래이고, 시계방향으로 시작하여 끝점(490)과 시작점(490)이 동일하게 종료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만약, 시작점(490)이 사각형(450)의 다른 모서리에서 시작되었거나, 시작점으로부터 그려진 방향이 시계 반대방향일 경우에는 도 8와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각형(450)이 아닌,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 등의 도형이 그려질 수 도 있고, 점이 아닌 다른 도형이 그려질 수도 있고, 하나의 점이 아닌 복수 개의 점이 그려질 수도 있는데, 이 중 하나라도 달라질 경우 각기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모컨(10)은 무수히 많은 경우의 수 각각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할당하고,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원과 원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9 (A)와 같이, 큰 원(470a)이 먼저 그려지고, 큰 원(470a) 내에 작은 원(470b)이 그려지는 경우와, 도 9 (B)와 같이, 작은 원(470b)이 먼저 그려지고, 작은 원(470b)이 안에 포함되도록 하는 큰 원(470a)이 그려지는 경우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두 도형 간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동일하므로, 도 9의 (A)와 (B)는 동일한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제어신호 발생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의 (A)는 큰 원(470a)이 작원 원(470b)보다 먼저 그려졌고, (B)는 작은 원(470b)이 큰 원(470a)보다 먼저 그려졌기 때문에, 두 도형 간의 입력순서 정보가 달라서, 도 9의 (A)와 (B)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 상에 원과 원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위에서 상대위치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위치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교차점의 갯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A)와 (B)는 비슷한 크기와 형상의 원(470)이 그려졌고, 둘 다 2개의 교차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위치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비율, 두 개 이상의 도형 사이의 거리, 두 개 이상의 도형의 교차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들이 포함될 경우, 도 10의 (A)와 (B)는 두 개의 원(470)이 겹치는 비율이 다르고, 두 개의 원(470)의 거리가 다르고, 두 개의 원(470)의 교차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위치 정보에 어떠한 정보가 포함되느냐에 따라서, 제어신호의 판단기준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40)에 그려진 도형이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리모컨(10)은 잠금 기능 또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기기와 연결되며, 제어부(130)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면,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복수 개의 도형 중에서 하나 또는 연속된 둘의 도형의 조합된 형상이 숫자의 형상을 이루는지 판별하고, 판별 결과 숫자의 형상인 경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11 (A)와 같이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복수 개의 도형 중에서, 하나 또는 연속된 둘의 도형의 조합된 형상이 숫자의 형상을 이루는지 판별하고, 판별 결과 5, 3, 2, 7의 형상인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기기의 잠금 비밀번호가 "5327"에 해당하는 경우에 도 11 (A)와 같은 터치 입력을 받았을 경우, 제어부(130)는 잠금 해제부(140)가 해당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잠금 장치, 잠금 기기, 애플리케이션의 잠금 해제에는 이와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보다 보안성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 각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형이 그려진 순서 정보, 각 숫자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암호 해제 조건과 일치할 경우, 잠금 해제부(140)가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이 적용된 경우, 도 11 (A)와 같이 단순하게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형상의 도형을 그리는 것만으로는 잠금을 해제하지 못한다.
도 11 (B)와 같이 7의 형상에 해당하는 도형을 좌측 상단에 그리고, 2의 형상에 해당하는 도형을 우측 하단에 그리고, 5의 형상에 해당하는 도형을 우측 상단에 그리고, 3의 형상에 해당하는 도형을 좌측 하단에 그릴 경우, 잠금 해제부(140)가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5327"에 해당하는 숫자정보를 입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5, 3, 2, 7이 해당하는 위치에 도형을 그림은 물론, 각 숫자의 순서까지도 정확하게 터치해야 하므로, 도 11 (A)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40)에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모컨(10)은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부(140)는 제어부(130)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되, 터치 스크린(40) 상에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터치 스크린(40)과 지문 인식부(160)의 위치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지문인식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홈버튼이 터치 스크린(40)과 별도로 구비되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40)을 통해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는 도 5 (A)와 우측 방향의 가로선(430)을 터치 입력하고, 가로선(430)의 우측 상단에 점(410)을 터치 입력한다는 점에서 제어부(130)를 통해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부(160)를 적용할 경우, 도 12는 점을 터치 입력할 때 사용자의 지문을 찍는다는 점에서 도 5 (A)와 상이하기 때문에, 도 5 (A)는 제어신호만 동일하고,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문 인식부(160)가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것은 도 12와 같이 점의 형상의 도형을 그릴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해제부(140)는 터치 스크린(40) 상에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활용하므로,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도형을 그릴때에도 사용자가 손가락의 지문을 모두 이용하여 선 또는 면을 그릴 경우, 지문정보가 인식되어 잠금 해제부(140)가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예시하고 있는 것이 도 13으로, 도 13에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40)에 원(470)의 형상의 도형이 그려지고, 원(470)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점(410a, 410b)의 형상의 도형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원을 그릴때 터치펜을 이용하거나 손 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원(470)을 그리게 되고, 지문 인식부(160)는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원(470) 내부와 외부에 순차적으로 점(410a, 410b)의 형상의 도형이 그려지면, 제어부(130)는 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잠금 해제부(140)는 단순하게 제어신호가 일치하면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지문 인식부(16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할 경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타인이 해당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을 알고 있다 하여도,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을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앞선 방법들에 비해서 보안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데, 도 13과 같이 원을 그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킬 수도 있고, 내부의 점 또는 외부의 점을 그릴때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시킬 수도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에 따라서 통신방식을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모컨(10)은 제어신호가 스마트 리모컨(10)과 연결된 외부기기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해당 외부기기로 무선 송신하여 해당 외부기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무선 통신부(150)는 Wifi, NFC, Bluetooh, 적외선 등 다양한 방식의 통신 방식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신호가 해당하는 외부기기가 통신 가능한 방식을 판단하여 해당 통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리모컨(10)이 각종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고,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여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외부기기가 해당 제어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리모컨(10)이 실적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모컨(10)은 다양한 Wifi, NFC, 적외선,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방식이 사용이 가능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외부기기가 사용하는 통신방식으로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다양한 외부기기와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800)를 통해 각종 외부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5b는 도 15a가 실제 적용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800)와 연결된 경우, 허브 외부기기(800)로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해당 허브 외부기기(800)가 타 외부기기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허브 외부기기(800)로 TV가 설정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TV는 에어컨, 냉장고, 스피커, 전등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 리모컨(10)의 무선 통신부(150)는 허브 외부기기(800)인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TV가 TV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외부기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각종 외부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도 15b의 (A)는 터치 스크린에 원(470)이 그려지고, 원(470) 내부 영역에 두 개의 점(410)이 터치되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전등 턴온(Turn On)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 TV)는 전등으로 턴온(Turn On)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등을 켜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15b의 (B)는 터치 스크린에 원(470)이 그려지고, 원(470) 외부 영역에 두 개의 점(410)이 터치되어 그려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전등 턴오프(Turn Off)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 TV)는 전등으로 턴오프(Turn Off)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등을 끄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컨(10)의 터치 스크린(40)에 각종 패턴을 입력하기만 하면, 제어부(130)가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허브 외부기기(800)로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가 해당하는 제어 대상(900)으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각종 제어 대상(900)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에어컨을 턴온할 수 있다. 동그라미 원 대신에 삼각형을 그리고 삼각형의 안쪽에 두개의 점이 터치하면, 제어부(130)는 에어컨을 턴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 TV)는 에어콘으로 턴온(Turn On)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에어콘을 켜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삼각형이 그려지고, 삼각형 외부 영역에 두 개의 점(410)이 터치되면, 기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에어콘 턴오프(Turn Off)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허브 외부기기(800, TV)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허브 외부기기(800, TV)는 에어콘으로 턴오프(Turn Off)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등을 끄게 된다.
즉 원은 전등을, 삼각형은 에어컨을 표시하며 서로 다른 이기종 제품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패턴으로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10)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30)가 사용자의 기능키 조작에 따라서 스마트 리모컨(10)이 연동되는 기기를 변경하고, 터치 스크린(40)을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로 변경한다. (S510단계)
S510단계 다음으로, 터치 스크린(40)의 제스쳐 모드에서, 터치 인식부(120)가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한다. (S520단계)
S520단계 다음으로, 제어부(130)가 터치 인식부(120)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S530단계)
이때, 스마트 리모컨(10)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기능키 입력부(11)를 포함하고, 터치 스크린(40)은 키입력 모드에서 키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각인 또는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S530단계는, 하기의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상기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40)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S533단계)
제어부(130)가 상기 구획 도형이 그렬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S537단계)
이때, 속성 정보는 각 도형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방향 정보, 각 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터치라인의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 도형의 꺾인 점의 수, 및 각 도형이 입력된 시간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대위치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비율, 두 개 이상의 도형 사이의 거리, 두 개 이상의 도형의 교차각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리모컨(10)은 잠금 기능 또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부(140)가 상기 제어부(130)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30)가, 상기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복수 개의 도형 중에서, 하나 또는 연속된 둘의 도형의 조합된 형상이 숫자의 형상을 이루는지 판별하고, 판별 결과 숫자의 형상인 경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제어부(130)가 상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 각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형이 그려진 순서 정보, 각 숫자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암호 해제 조건과 일치할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140)가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리모컨(10)은 터치 스크린(40)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부(140)가, 상기 제어부(130)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40) 상에 상기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 통신부(150)가,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스마트 리모컨(10)과 연결된 외부기기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 외부기기로 무선 송신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150)는, Wifi, NFC, Bluetooth, 적외선 등의 통신 방식이 가능하며, 제어신호가 해당하는 외부기기가 통신 가능한 방식을 판단하여 해당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예로, 무선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800)와 연결된 경우, 허브 외부기기(800)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상기 허브 외부기기(800)가 타 외부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스마트 리모컨(10) 제어 방법은, 위에서 도 4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한 스마트 리모컨(10)과 발명의 카테고리만 달리할 뿐, 발명의 설명이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리모컨 11: 기능키 입력부
13: 제1기능키 15: 제2기능키
17: 제3기능키 40: 터치 스크린
50: 키패드부 120: 터치 인식부
130: 제어부 140: 잠금 해제부
150: 무선 통신부 160: 지문 인식부
800: 허브 외부기기 900: 제어 대상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기능키 입력부;
    사용자의 터치 입력정보를 입력받되,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또는 제스처로 입력된 입력정보를 인식하되, 상기 입력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포함하는 것인, 터치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키입력 모드에서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각인 또는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기능키 조작에 따라서 리모컨이 연동되는 기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을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키 중 하나가 탭되면, 해당 기능키에 설정된 기기와 연동되도록 하며, 상기 입력정보에 따라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설정된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능키 중 하나가 더블탭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스쳐 모드 또는 키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기능키 조합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기기가 연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각인 또는 부착된 문자와 다른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각인된 키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도형이 선 또는 면을 포함하는 구획 도형일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공간을 상기 선 또는 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 도형이 그려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그려진 도형의 상기 구획된 복수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각 도형이 그려질 때 최초 터치된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방향 정보, 각 도형이 그려진 터치라인의 굵기 정보, 터치라인의 압력강도, 터치 가속도, 도형의 꺾인 점의 수, 및 각 도형이 입력된 시간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위치 정보는,
    상기 두 개 이상의 도형이 겹치는 교차점의 갯수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잠금 기능 또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복수 개의 도형 중에서, 하나 또는 연속된 둘의 도형의 조합된 형상이 숫자의 형상을 이루는지 판별하고, 판별 결과 숫자의 형상인 경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숫자 정보, 각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형이 그려진 순서 정보, 각 숫자 간의 상대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암호 해제 조건과 일치할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가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해제부는,
    상기 제어부가 발생시킨 제어신호와 잠금 해제 정보가 일치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도형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기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연결된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스마트 리모컨과 연결된 외부기기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 외부기기로 무선 송신하여 상기 외부기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Wifi, NFC, Bluetooth,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신호가 해당하는 외부기기가 통신 가능한 방식을 판단하여 해당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 외부기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허브 외부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상기 허브 외부기기가 타 외부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15. 스마트 리모컨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제어부가 사용자의 기능키 조작에 따라서 리모컨이 연동되는 기기를 변경하고, 터치 스크린을 키입력 모드 또는 제스쳐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터치 스크린의 제스쳐 모드에서, 터치 인식부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되어 그려진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각 도형의 형상과 크기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 각 도형 간의 상대위치 정보, 및 각 도형 간의 입력순서 보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리모컨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기능키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키입력 모드에서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각인 또는 부착되어 있는,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KR1020207006473A 2018-12-06 2018-12-06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KR102365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5373 WO2020116683A1 (ko) 2018-12-06 2018-12-06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21A true KR20200070221A (ko) 2020-06-17
KR102365095B1 KR102365095B1 (ko) 2022-02-17

Family

ID=7097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473A KR102365095B1 (ko) 2018-12-06 2018-12-06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5095B1 (ko)
WO (1) WO2020116683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646A (ja) * 2006-05-08 2007-11-22 Sharp Corp 指動作検知制御電子機器
KR20100110568A (ko) * 2009-04-03 201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20120097216A (ko) *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예스미디어텍 무선통화가 가능한 통합 스마트 리모컨
KR20130128143A (ko) * 2012-05-16 2013-11-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동작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60040076A (ko) * 2014-10-02 2016-04-12 (주)직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한 생체인증 방법
KR20160139647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면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80005550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세홍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306A (ko) * 2013-02-06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20160089646A (ko) * 2015-01-20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646A (ja) * 2006-05-08 2007-11-22 Sharp Corp 指動作検知制御電子機器
KR20100110568A (ko) * 2009-04-03 201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20120097216A (ko) *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예스미디어텍 무선통화가 가능한 통합 스마트 리모컨
KR20130128143A (ko) * 2012-05-16 2013-11-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동작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60040076A (ko) * 2014-10-02 2016-04-12 (주)직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한 생체인증 방법
KR20160139647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면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80005550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세홍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683A1 (ko) 2020-06-11
KR102365095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9439A1 (en) Multi-touch keyless entry pad
RU2017113621A (ru) Определение непрерыв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и намер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посредством измерения изменчивости усилий
CN104156652B (zh) 模糊化校验密码的方法及密码校验设备
JP2016538780A (ja) 車両の機能を遠隔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85228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화면 정합을 위한 방법
CN106467065B (zh) 方向盘触控装置及方向盘
CN106043230B (zh) 基于动作的电容式传感器系统
US9747740B2 (en) Simultaneous button press secure keypad code entry
CN103455265B (zh) 受控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移动终端和受控设备
EP3371678B1 (en) Data entry device for entering characters by a finger with haptic feedback
US20140300543A1 (en) Touch pad input method and input device
CN103092512A (zh) 终端和输入面板的位置调整方法
KR101319871B1 (ko) 좌표 인식 장치 및 이 좌표 인식 장치에서 키이 코드를발생하는 방법
CN104156655A (zh) 多义化密码校验方法及密码校验设备
KR20180052598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방법
JP6747941B2 (ja) タッチ式入力装置および操作検出方法
KR102365095B1 (ko)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리모컨 및 스마트 리모컨의 제어 방법
KR101451941B1 (ko) 아이콘 관련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20110030908A (ko) 리모컨의 설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리모컨
KR102365094B1 (ko)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629010B2 (e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transmitter operation
KR101160452B1 (ko) 조합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4056A (ko) 스마트워치 지문 인식 장치
KR101614011B1 (ko) 도어락 장치
CN111258412B (zh) 一种手势操作识别方法及应用该方法的手势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