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505B1 -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505B1
KR102341505B1 KR1020200053497A KR20200053497A KR102341505B1 KR 102341505 B1 KR102341505 B1 KR 102341505B1 KR 1020200053497 A KR1020200053497 A KR 1020200053497A KR 20200053497 A KR20200053497 A KR 20200053497A KR 102341505 B1 KR102341505 B1 KR 10234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user terminal
keypad
braille keypa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143A (ko
Inventor
임순범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3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5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6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가 개시된다. 상기 점자 키패드는,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BRAILLE KEYPAD FOR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WITH BRAILLE KEYPAD ATTACHED TO SCREE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 인식용 사용자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이 널리 보급되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스크린에 시각적 시그널에 따라 입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이용은 제한되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후술할 도 1에 도시된 피쳐폰(Feature phone)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IT 기술 발전을 온전히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3382호(2014.11.19.)는 시각장애인도 촉감으로는 입력 기준의 경계를 확인할 수 없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한글, 영문자, 숫자, 기호 등 터치스크린에서 제공되는 사용 키를 신속 정확하게 입력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터치스크린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터치 입력을 기본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낮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점자 키패드에 배치된 점자를 통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확인된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정확히 입력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제1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에 점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에 점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점자 키패드에 배치된 점자를 통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확인된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정확히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쳐폰의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 및 이에 상응한 기능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쳐폰의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피쳐폰의 키패드를 터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에서 활용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키패드(1)는 복수의 키(11, 12, 13)를 포함한다. 복수의 키(11, 12, 13)는 누름 입력으로 동작하는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키(11, 12, 13)는 문자, 숫자, 특수기호를 입력하는 물리키(11), 방향을 입력하는 물리키(12) 및 특수명령을 입력하는 물리키(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복수의 키(11, 12, 13)에 대응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이하, 점자 키패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점자 키패드(2)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키 유닛은 문자, 숫자, 특수기호 입력키(21), 방향키(22) 및 특수명령 입력키(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숫자, 특수기호 입력키(21), 방향키(22) 및 특수명령 입력키(23)는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키 유닛은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점자부 및 입력부의 구조에 대한 예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은 점자 키패드(2)에 포함되는 도 2의 문자, 숫자, 특수기호 입력키(21)의 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점자 키패드(2)의 일면에는 복수의 키 유닛(221, 22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키 유닛(221, 222) 중 적어도 하나는 점자부(2211, 2221) 및 입력부(2212, 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자부(2211) 및 입력부(2212)는 서로 연접하고, 점자부(2221) 및 입력부(2222)도 서로 연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212, 2222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31)는 점자부(2211)의 점자를 터치하여 원하는 점자 키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32)는 점자부(2221)의 점자를 터치하여 원하는 점자부(2221)의 점자가 원하는 점자 키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부(2222)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3)의 일 영역을 터치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에서, 점자 키패드(2)는 방향키(복수의 방향키 유닛)(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키(22)는 점자 키패드(2)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방향키 유닛(22)일 수 있다.
상술한 점자 키패드(20)는 다양한 점자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자는 문화체육관광부고시에 따른 한국 점자 규정에 따른 점자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키 유닛(411 및 421, 412 및 422, 413 및 423, 511 및 521, 512 및 522, 513 및 523)은 기정의된 방향(B 또는 C)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점자부(411, 412, 413)는 입력부(421, 422, 423)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점자부(511, 512, 513)는 입력부(521, 522, 523)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자부(411, 412, 413)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점자부(511, 512, 513)는 타원형(또는 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키 유닛(411 및 421, 412 및 422, 413 및 423, 511 및 521, 512 및 522, 513 및 523)에 포함된 각각의 입력부(421, 422, 423) 또는 입력부(521, 522, 523)의 형상은 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점자 키패드(60)의 복수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도체는 "ㄱ"자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60)는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 전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점자 키패드(60)에 포함된 복수의 키 유닛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 상의 점자 키패드(60)의 위치에 무관하게 점자 키패드(6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점자 키패드(60)의 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도체(611)는 점자 키패드(61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613)에 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81)가 전도체(811)를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81)의 터치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점자 키패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점자 키패드(90)는 상술한 피쳐폰 키패드와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91)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피쳐폰 키패드(91)에 포함되는 자음 키는 점자 키패드(90)의 동일 위치에서 동일 자음을 입력하는 키 유닛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쳐폰 키패드(91)에 포함되는 모음 키는 점자 키패드(90)의 동일 위치에서 동일 모음을 입력하는 키 유닛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점자 키패드(100)는 간소화된 방향키 기능을 갖는 리모컨이나, 복잡한 기능을 갖는 리모컨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자 키패드(100)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탐색 기능을 갖는 리모컨의 기능에 대응하도록 상하좌우 방향을 갖는 복수의 키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점자 키패드(100)는 음량 조절 또는 채널 탐색 기능을 갖는 리모컨의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점자 키패드(90, 100)는 상술한 도 9의 키패드(90)의 구성 및 상술한 도 10의 키패드(100)의 구성을 모두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90) 및 점자키패드(100)는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 전도체가 배치된다.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점자 키패드(90) 및 점자키패드(100)에 포함된 복수의 키 유닛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 상의 점자 키패드(90) 및 점자키패드(100)의 위치에 무관하게 점자 키패드(90) 및 점자키패드(1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입력부(2212, 2222)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입력부(2212, 2222)는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하여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구성들은 이하 도 12 및 도 13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120)는 점자 키패드(120)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1211 및 1221, 1212 및 1222, 1213 및 1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키 유닛(1211 및 1221, 1212 및 1222, 1213 및 1223)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1211, 1212, 1213) 및 입력부(1221, 1222, 1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221, 1222, 1223)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점자 키패드(120)를 관통하는 제1 전도체(1221, 1222, 1223)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1 전도체(1221, 1222, 1223)를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자부(1211, 1212, 1213)는 입력부(1221, 1222, 1223)의 가장자리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120)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점자 키패드(120)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전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도체는 상술한 도 6의 전도체와 중복되는 구성으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예로, 제2 전도체는, "ㄱ"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도체는 점자 키패드(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 가능하다.
일 예로, 복수의 키 유닛(1211 및 1221, 1212 및 1222, 1213 및 1223)은 기정의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키 유닛(1211 및 1221, 1212 및 1222, 1213 및 1223)에 포함된 각각의 입력부(1221, 1222, 1223)의 형상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키 유닛(1211 및 1221, 1212 및 1222, 1213 및 1223)에 포함된 각각의 입력부(1221, 1222, 1223)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점자 키패드는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전도체로 형성된 복수의 방향키 유닛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130)는 점자 키패드(130)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1311 및 1321, 1312 및 1322, 1313 및 13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키 유닛(1311 및 1321, 1312 및 1322, 1313 및 1323)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1311, 1312, 1313) 및 입력부(1321, 1322, 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321, 1322, 1323)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점자 키패드(120)를 관통하는 제3 전도체(1321, 1322, 1323)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3 전도체(1321, 1322, 1323)를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자부(1311, 1312, 1313)는 입력부(1321, 1322, 1323)의 가장자리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130)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점자 키패드(130)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제4 전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전도체는 상술한 도 6의 전도체와 중복되는 구성으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예로, 제4 전도체는, "ㄱ"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도체는 점자 키패드(13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 가능하다.
일 예로, 복수의 키 유닛(1311 및 1321, 1312 및 1322, 1313 및 1323)은 기정의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키 유닛(1311 및 1321, 1312 및 1322, 1313 및 1323)에 포함된 각각의 입력부(1321, 1322, 1323)의 형상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키 유닛(1311 및 1321, 1312 및 1322, 1313 및 1323)에 포함된 각각의 입력부(1321, 1322, 1323)의 형상은 원형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점자 키패드는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전도체로 형성된 복수의 키 유닛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에 점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는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에 점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는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점자 키패드에 배치된 점자를 통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확인된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정확히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점자 키패드는 실리콘, 고무 등 다양한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에 동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들에 있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의 키패드: 1
점자 키패드: 2, 60, 90, 100, 120, 130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자 키패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점자 키패드의 복수의 모서리에는,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는,
    시각 장애인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키패드의 상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에 대한 상기 시각 장애인의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 입력으로 전달 가능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부는,
    상기 입력부의 가장자리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유닛은,
    기정의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유닛에 포함된 각각의 입력부의 형상은 동일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방향키 유닛이 더 배치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10.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제1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점자 키패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점자 키패드의 복수의 모서리에는,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는,
    시각 장애인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키패드의 상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에 대한 상기 시각 장애인의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 입력으로 전달 가능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부는,
    상기 입력부의 가장자리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유닛은,
    기정의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유닛에 포함된 각각의 입력부의 형상은 동일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전도체로 형성된 복수의 방향키 유닛이 더 배치된,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19. 스크린에 점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자 키패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점자 키패드의 복수의 모서리에는,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는,
    시각 장애인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키패드의 상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에 대한 상기 시각 장애인의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 입력으로 전달 가능한, 사용자 단말.
  20. 스크린에 점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접하여 배치되는 점자부 및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는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점자 키패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점자 키패드의 복수의 모서리에는,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는,
    시각 장애인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키패드의 상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점자 키패드를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ㄱ"자로 형성된 복수의 전도체에 대한 상기 시각 장애인의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크린에 터치 입력으로 전달 가능한, 사용자 단말.

KR1020200053497A 2020-05-04 2020-05-04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KR10234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497A KR102341505B1 (ko) 2020-05-04 2020-05-04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497A KR102341505B1 (ko) 2020-05-04 2020-05-04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43A KR20210135143A (ko) 2021-11-12
KR102341505B1 true KR102341505B1 (ko) 2021-12-20

Family

ID=7849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497A KR102341505B1 (ko) 2020-05-04 2020-05-04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98B1 (ko) 2023-10-25 2024-04-02 스마일샤크 주식회사 점자패드와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범용성 확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805B1 (ko) * 2015-05-07 2016-07-1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하이브리드 모바일 키보드 및 그의 스크린 맵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960B1 (ko) * 2010-03-15 2012-06-20 주식회사 유니템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10283A (ko) * 2012-01-13 2012-02-02 (주)이컴앤드시스템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KR20150068883A (ko) *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뉴빛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805B1 (ko) * 2015-05-07 2016-07-1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하이브리드 모바일 키보드 및 그의 스크린 맵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98B1 (ko) 2023-10-25 2024-04-02 스마일샤크 주식회사 점자패드와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범용성 확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43A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335B1 (ko) 접촉 위치 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상대좌표값에 대응하는텍스트를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119997A1 (en) Keyboard comprising swipe-switches performing keyboard actions
KR100993508B1 (ko) 터치 궤적 및 터치 방향의 인식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N106716329B (zh) 具有盲文支持功能的触控荧幕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30169540A1 (en) Moving virtual keyboard
JP2009205303A (ja)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KR101599227B1 (ko)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용 면촉 자판
KR102341505B1 (ko)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CN102841752A (zh) 一种人机交互设备的字符输入方法和装置
US20090073002A1 (en) Lineographic alphanumeric data input system
US20050088415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KR20110061433A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JP201416771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07109B1 (ko)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KR100966142B1 (ko)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20130100765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 입력할 때 간단한 오타 수정 방법 등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170112667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 입력할 때 간단한 오타 수정 방법 등
KR20110085522A (ko) 쌍자음 입력이 용이한 분할 키보드
KR10117172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74376A (ko) 터치인식부를 구비한 키보드
KR100777052B1 (ko) 게임기용 한글 입력장치
KR20150016854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 입력할 때 간단한 오타 수정 방법 등
KR20150016853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 입력할 때 간단한 오타 수정 방법 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