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727A -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727A
KR20200069727A KR1020180157107A KR20180157107A KR20200069727A KR 20200069727 A KR20200069727 A KR 20200069727A KR 1020180157107 A KR1020180157107 A KR 1020180157107A KR 20180157107 A KR20180157107 A KR 20180157107A KR 20200069727 A KR20200069727 A KR 20200069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l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formation
translation support
li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519B1 (ko
Inventor
조훈근
Original Assignee
조훈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근 filed Critical 조훈근
Priority to KR102018015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42Data-driven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은 외국어 원문을 사용자가 설정한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대화 상황, 번역형식이 적용된 번역문으로 번역하는 번역지원 클라이언트; 및 다양한 번역자들로부터 대화자, 대화 상황(지리적, 시대적, 문화적 상황), 번역스타일 중심의 외국어 특성 정보를 포함한 번역문을 수집하고,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에서 설정한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설정한 번역 형식과 가장 유사한 번역특성정보를 갖는 외국어 번역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that provides translation support service that reflec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formation based on the dialogue relationship}
본 발명은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자 장치에는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해당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웹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전자 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 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수십 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번역 처리를 처리하는 번역 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다. 번역 처리 어플리케이션은 문서나, 웹 페이지에 포함된 텍스트들을 다른 언어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번역 관련 어플리케이션(웹) 등은 화자와 청자 간의 특성정보가 반영된 번역물을 제공하지 않아, 실제 대화에서 활용하기엔 다소 부족하다.
이에 본 발명은 화자와 청자 간의 개인특성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제공할 수 있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2192호(2011. 10. 12.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은 외국어 원문을 사용자가 설정한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대화 상황, 번역형식이 적용된 번역문으로 번역하는 번역지원 클라이언트; 및 다양한 번역자들로부터 대화자, 대화 상황(지리적, 시대적, 문화적 상황), 번역스타일 중심의 외국어 특성 정보를 포함한 번역문을 수집하고,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에서 설정한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설정한 번역 형식과 가장 유사한 번역특성정보를 갖는 외국어 번역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번역지원 서비스를 실행시켜,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을 이용하여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 스타일(형식)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번역지원 서비스을 이용하여 번역하고자 하는 외국어 원문을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에서 설정된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형태정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번역문을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에서 상기 번역문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해당 업계 종사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변역 스타일(형식)에 상응하는 다양한 번역문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번역 전문가 또는 비 전문가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번역 스타일(형식)에 부합하는 번역정보를 기초로 번역문을 생성함으로, 종래의 기계적 번역에 비해 보다 풍부하면서 사식적인 느낌의 번역문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번역 설정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대화상대 관리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번역 플랫폼에서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인물들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번역 플랫폼에서 미리 설정된 인물들을 문장별로 설정하여, 번역물을 수집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번역 설정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대화상대 관리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100)은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 및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은 외국어 원문을 사용자가 설정한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 스타일(형식)이 적용된 번역문으로 번역을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는 다양한 번역자들로부터 외국어의 시대적, 지역적, 문화적으로 사용되던 언어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외국어 번역정보를 다양한 카테고리 별로 수집, 분산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에서 설정한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 스타일(형식)에 매칭(또는 적용)되는 언어특성을 갖는 외국어 번역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 및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은 원문 입력부(10), 특성정보 관리부(20), 번역 설정부(30), 대화 상대 관리부(40) 및 번역문 출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문 입력부(10)는 외국어 원문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번역을 진행할 원문(예컨대, 텍스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원문 입력부(10)는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200)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장치, 예컨대, 키패드, 소프트 키패드, 이미지 분석을 사용한 문자 입력 엔진, 음성 인식을 통한 문자 입력 엔진 등으로부터 원문(예컨대, 텍스트)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음성 인식을 통한 문자 입력의 경우 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특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성정보 관리부(20)는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를 관리 및 설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화자는 외국어 원문을 입력하는 사용자일 수 있고, 청자는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수신하는 상대방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가상의 인물일 수 있다.
또한, 특성정보는 화자 및 청자의 성별, 나이, 직업, 출생지, 성격, 종교, 친밀도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화자와 청자의 대화 감정상태를 이모티콘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번역 설정부(30)는 번역문의 번역 스타일(형식)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번역 설정부(30)는 ①번역 스타일 및 ②직역/의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번역 스타일(형식)은 번역문의 번역형태(예컨대, 18세기 전통어, 현대어 등)를 의미한다.
상기 대화 상대 관리부(40)는 청자의 프로필 등록, 설정, 변경 등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 상대 관리부(40)는 상대방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이모티콘으로 가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번역문 출력부(50)는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문 번역형태에 부합하는 언어특성을 갖는 번역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상기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번역문 출력부(50)는 TTS(Text to Speech) 기술과 연동되어 텍스트인 번역문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고 화자의 특성을 통해 성별, 나이에 따라 다른 음성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는 번역정보 수집부(310), 번역정보 관리부(320), 번역 실행부(330) 및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 제공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번역정보 수집부(310)는 다양한 종류의 외국어 문장의 번역문을 다수의 번역가에게 번역의뢰를 요청하여 번역된 번역문을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번역정보 수집부(310)는 다양한 외국어의 원문의 번역문을 요청하되, 번역문의 표현이 해당 대화자(화자, 청자), 대화 상황(지리적, 시대적, 문화적 상황), 번역형식 중심으로 외국어 특성 정보를 반영되도록 번역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번역정보 관리부(320)는 번역정보 수집부(310)에서 수집된 번역의 특성정보를 관리 하는 부분으로 디지털 컨텐츠 내 인물, 대화 상황, 번역형식들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번역 실행부(330)는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200)과 연동되며,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200)의 설정정보, 예컨대,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성별, 나이, 직업, 출생지, 성격, 종교 등에 대한 정보) 및 번역문의 번역형식(①번역 스타일 및 ②직역/의역)에 기초하여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요청한 외국어 원문에 사용된 단어, 구, 문장에 적합한 특성정보를 갖는 번역정보를 번역정보 관리부(32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 및 조합하여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200)에 입력된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생성한다.
참고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번역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앞에서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의 설명은 일 예시일 뿐 다른 형태로도 데이터를 가공 및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번역정보 관리부(320)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는 번역 플랫폼(400)으로부터 수집한 번역문을 기반으로 데이터마이닝, 기계학습, 강화학습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번역지원 클라이언트를 통해 요청한 외국어 원문의 번역을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 제공부(340)는 번역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원에서 개시하는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은 ①번역지원 클라이언트 및 ② 번역 플랫폼로 구분될 수 있다.
번역 플랫폼은 디지털 컨텐츠를 번역하여 번역문을 수집하는 플랫폼이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외국어의 번역을 요청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은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상기 번역 플랫폼(400)은 번역자의 단말에서 실행되는 플랫폼일 수 있다.
상기 번역 플랫폼(400)은 CAT(Computer-assisted translation)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속에 포함된 외국어를 번역하고, CAT의 문맥 설정 기능을 언어학적인 접근을 통해 대화자(화자, 청자), 대화 상황(지리적, 시대적, 문화적 상황), 번역형식 중심으로 외국어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번역 플랫폼(400)은 번역정보 수집부(310)와 연동될 수 있고, 번역정보 수집부(310)에서 요청한 번역물 원문 및 번역특성정보(해당 외국어의 언어적 특징, 시대적 상황, 문화적 사용 표현, 직역/의역 등)를 번역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기능, 언어별 터치 자판 기능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일 수 있다.
또한, 번역 플랫폼(400)은 디지털 컨텐츠의 번역물 종류가 영상물일 경우, 영상물 번역(동영상 자막 파일) 도구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물 번역 도구는 번역 자막이 표시되는 동영상 프레임의 구간을 설정 및 설정된 프레임 구간에서 번역 자막이 실행되도록 편집하기 위한 편집기능을 갖는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또한, 번역을 하는 구간에 있는 영상 이미지를 수집하여,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에서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통해 찍은 대화자의 나이 및 성별을 빠르게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한다.
한편,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는 번역 실행부(300)에서 생성한 번역문의 내용과 유사한 대화 상황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방법(S700)은 도 1에 도시된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에서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을 실행시켜,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S710)하면, 사용자는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에서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형태정보를 설정(S720)한다.
이후, 번역하고자 하는 외국어 원문(텍스트 또는 음성)을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에 입력하면, 입력된 외국어 원문은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S730)된다.
이후,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는 외국어 원문의 언어적 특성, 설정된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형태정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번역정보(단어, 구, 문장 등)를 추출 및 조합하여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생성하여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로 제공(S740)하고, 사용자 단말의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은 번역문을 사용자에게 출력(S750)한다.
또한,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는 번역문의 내용과 유사한 상황을 도 9를 참조, 스크린샷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를 번역문과 함께 번역지원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S710 이전에 번역 플랫폼(400)을 이용하는 다수의 번역자 단말로 다양한 종류의 외국어 원문 및 번역특성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번역특성정보(번역을 요청한 외국어의 언어적 특징, 시대적 상황, 문화적 사용 표현, 직역/의역 등)가 고려된 번역문을 수집하는 과정(S70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701 단계는 번역자가 번역 플랫폼을 실행시켜, 번역플랫폼 서버에 접속한 후, 번역 플랫폼에 번역할 대상이 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등록하고 번역 원문을 제공받고, 상기 번역 플랫폼을 이용하여,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 속의 등장인물 혹은 가상의 인물을 등록하고 인물간의 관계를 설정한 후, 번역 원문 속 각 문장에 화자와 청자들을 설정하고, 번역자에 의해 인물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생산된 번역물 수집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변역 스타일(형식)에 상응하는 정확한 번역문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번역 전문가 또는 비 전문가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번역 스타일(형식)에 부합하는 번역정보를 기초로 번역문을 생성함으로, 종래의 기계적 번역에 비해 보다 풍부하면서 사식적인 느낌의 번역문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200: 번역지원 클라이언트
300: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
310: 번역정보 수집부
320: 번역 정보 관리부
330: 번역 실행부
340: 번역지원 서비스 플랫폼 제공부
350: 이미지 제공부
400: 번역 플랫폼
10: 번역자 단말

Claims (8)

  1. 외국어 원문을 사용자가 설정한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대화 상황, 번역형식이 적용된 번역문으로 번역하는 번역지원 클라이언트; 및
    다양한 번역자들로부터 대화자, 대화 상황(지리적, 시대적, 문화적 상황), 번역스타일 중심의 외국어 특성 정보를 포함한 번역문을 수집하고,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에서 설정한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설정한 번역 형식과 가장 유사한 번역특성정보를 갖는 외국어 번역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는
    상기 외국어 원문을 입력하는 원문 입력부;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및 프로필 정보를 생성, 관리 및 설정하는 특성정보 관리부;
    번역문 번역형태(번역 스타일, 직역/의역)를 설정하기 위한 번역 설정부;
    상기 청자를 등록 및 관리하는 대화 상대 관리부; 및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화자와 청자의 특성정보 및 상기 번역문 번역형태에 부합하는 언어특성을 갖는 번역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상기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하는 번역문 출력부를 포함하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정보는 성별, 성격, 태도 및 화자와 청자 간의 감정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번역특성정보는 상기 외국어 언어적 특징, 시대적 상황, 문화적 사용 표현, 직역/의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한 설정정보이고,
    상기 프로필 정보는 사진 촬영 혹은 STT(Speech to Text)를 통해 생성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는
    번역문의 내용과 부합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는
    다양한 외국어의 원문의 번역문을 요청하되, 번역문의 표현이 해당 대화자(화자, 청자), 대화 상황(지리적, 시대적, 문화적 상황), 번역형식 중심으로 외국어 특성 정보를 반영되도록 번역문을 요청하여 번역된 번역문을 수집하는 번역정보 수집부;
    번역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번역의 특성정보를 관리 하는 부분으로 디지털 컨텐츠 내 인물, 대화 상황, 번역형식들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번역정보 관리부; 및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와 연동되며,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의 설정정보(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성별, 나이, 직업, 출생지, 성격, 종교 등에 대한 정보) 및 번역문의 번역형식(①번역 스타일 및 ②직역/의역))에 기초하여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외국어 원문에 사용된 단어, 구, 문장에 적합한 특성정보를 갖는 번역정보를 상기 번역정보 관리부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 및 조합하여 번역문을 생성하는 번역 실행부를 포함하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6. 사용자 단말에서 번역지원 클라이언트를 실행시켜,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a) 단계;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 스타일(형식)을 설정하는 b)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번역지원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번역하고자 하는 외국어 원문을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c) 단계;
    상기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에서 설정된 화자 및 청자의 특성정보 및 번역형태정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번역문을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외국어 원문의 번역문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d) 단계; 및
    상기 번역지원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번역문을 출력하는 f)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번역자로부터 번역문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번역문을 수집하는 단계는
    번역지원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된 번역 원문 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의 등장인물 혹은 가상의 인물간의 관계, 상기 번역 원문 내의 각 문장에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고려하여 번역한 번역물을 번역 플랫폼에서 수집하는 단계인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생성한 번역문의 내용과 유사한 상황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방법.
KR1020180157107A 2018-12-07 2018-12-07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07A KR102147519B1 (ko) 2018-12-07 2018-12-07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07A KR102147519B1 (ko) 2018-12-07 2018-12-07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27A true KR20200069727A (ko) 2020-06-17
KR102147519B1 KR102147519B1 (ko) 2020-08-24

Family

ID=7140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107A KR102147519B1 (ko) 2018-12-07 2018-12-07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89B1 (ko) * 2020-09-25 2021-04-01 박명재 강의 콘텐츠를 이용한 외국어 교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3822080A (zh) * 2021-07-23 2021-12-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翻译、对话翻译模型的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WO2022010188A1 (ko) * 2020-07-09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언어를 번역하는 방법
KR102450022B1 (ko) * 2021-10-29 2022-10-04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013A (ja) * 1998-04-06 2000-04-28 Mitsubishi Electric Inf Technol Center America Inc 電子会話装置、会話表現収集方法及び会話促進方法
KR20110112192A (ko) 2010-04-0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문 분석 및 계층적 어구 모델 기반 기계 번역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3038A (ko) * 2012-05-02 2013-1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번역을 위한 존대 표현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0624A (ko) * 2014-08-13 2016-02-24 정재성 번역가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번역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03203B1 (ko) * 2012-02-01 2016-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번역 방법 및 번역 장치
KR20160107000A (ko) * 2015-03-03 2016-09-13 헬로챗 주식회사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07812B1 (ko) * 2016-07-04 2017-12-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상황을 고려한 현지어 소통 지원 서버 및 현지어 소통 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013A (ja) * 1998-04-06 2000-04-28 Mitsubishi Electric Inf Technol Center America Inc 電子会話装置、会話表現収集方法及び会話促進方法
KR20110112192A (ko) 2010-04-0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문 분석 및 계층적 어구 모델 기반 기계 번역 시스템 및 방법
KR101603203B1 (ko) * 2012-02-01 2016-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번역 방법 및 번역 장치
KR20130123038A (ko) * 2012-05-02 2013-1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번역을 위한 존대 표현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0624A (ko) * 2014-08-13 2016-02-24 정재성 번역가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번역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7000A (ko) * 2015-03-03 2016-09-13 헬로챗 주식회사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07812B1 (ko) * 2016-07-04 2017-12-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상황을 고려한 현지어 소통 지원 서버 및 현지어 소통 지원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88A1 (ko) * 2020-07-09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언어를 번역하는 방법
KR102235789B1 (ko) * 2020-09-25 2021-04-01 박명재 강의 콘텐츠를 이용한 외국어 교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3822080A (zh) * 2021-07-23 2021-12-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翻译、对话翻译模型的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450022B1 (ko) * 2021-10-29 2022-10-04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WO2023075274A1 (ko) *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서버,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글로벌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519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519B1 (ko) 대화자 관계 기반 언어적 특성 정보를 반영한 번역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10111780B (zh) 数据处理方法和服务器
US9483582B2 (en)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factual assertions in natural language
US106211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social media content
WO2021000497A1 (zh) 检索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20000046A (ko) 대화형 지능 서비스 제공 챗봇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N109256133A (zh) 一种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297458B2 (ja) 対話コンテンツ作成支援方法
JP6994289B2 (ja) キャラクタ属性に応じた対話シナリオを作成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US11868718B2 (en) Technology name/service name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677859B1 (ko) 지식 베이스를 이용하는 시스템 응답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05286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onizing comments using voice data
CN113343108B (zh) 推荐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064943A (zh) 会议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949777A (zh) 一种基于人群分类的智能语音对话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6089601A (zh) 对话摘要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931002A (zh) 人机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704585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outcome probability of an event based on videos
US11699430B2 (en) Using speech to text data in training text to speech models
JP2014110005A (ja) 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方法
Alves et al. Neural machine translation approach in automatic translations between portuguese language and portuguese sign language glosses
US105797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ulti-lingual and multi-intent capable semantic parser based on automatically generated operators and user-designated utterances relating to the operators
CN112632241A (zh) 智能会话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954447B1 (ko)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 간 연동 기반 텔레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Evchenko et al.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Requests to AP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