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315A -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315A
KR20200069315A KR1020207012150A KR20207012150A KR20200069315A KR 20200069315 A KR20200069315 A KR 20200069315A KR 1020207012150 A KR1020207012150 A KR 1020207012150A KR 20207012150 A KR20207012150 A KR 20207012150A KR 20200069315 A KR20200069315 A KR 20200069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transmitter
terahertz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749B1 (ko
Inventor
로버트 스미스
데이비드 리 라크
마이클 에이치 스미스
Original Assignee
보이스 라이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스 라이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이스 라이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1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7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power transfer
    • H04B5/79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H04B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04L9/0637Modes of operation, e.g. cipher block chaining [CBC], electronic codebook [ECB] or Galois/counter mode [G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6Trust-dependent, e.g. using trust scores or trust relationships

Abstract

본원에는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를 개시하고, 상기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수신기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그에 더하여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입력 포트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
본원은 무선 충전 분야, 특히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RF) 기반의 무선 기술은 세 가지 상이한 기본적인 시스템 기능, 즉 무선 통신(데이터/음성), 무선 센싱(파라미터), 및 무선 전력 전송(에너지)을 가능하게 한다. 앞의 두 가지 잘 알려진 무선 적용은 오늘날 우리의 일상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수많은 사회 및 경제 활동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공개적으로 알려진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mission: WPT)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고 그리고 모바일 장치의 무선 전력 공급(충전)에 있어서 근본적인 원동력 중 하나로 확립되지 않았다.
또한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및 다른 전자 장치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방식에 있어서 일상적으로 필요한 것이 되었다. 이 기기들의 잦은 사용은 상당한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하고, 이는 이 기기들에 장착된 배터리를 쉽게 고갈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기기를 전력원에 자주 연결시켜 그러한 기기를 충전시켜야 한다. 이는 전자 기기를 적어도 하루에 한 번, 또는 수요가 많은 전자 기기라면 하루에 한 번 이상의 충전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한 행위는 번거롭고 그리고 사용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의 전자 기기의 전력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충전기를 들고다닐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에 더하여 사용자는 연결시킬 수 있는 전력원을 찾아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벽 또는 다른 전력 공급원에 연결시켜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행위는 충전 중에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현재 해결법은 IOT 저전력 센서, 그리고 스마트폰, 타블렛 및 재충전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다른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접근법은 사용자가 여분의 배터리를 소지하고 다니고, 그리고 여분의 배터리가 충전이 되어있다는 것 또한 확인해두는 것을 필요로 한다. 태양열 동력의 배터리 충전기 또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태양광 전지는 비싸고, 그리고 어느 유의한 용량큼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데에는 상당 수의 태양광 전지의 배열이 요구될 수 있다. 다른 접근법은 전자기 신호를 사용하여 기기의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에 물리적으로 연결시키기 않고서도 기기의 충전을 허용하는 매트 또는 패드를 수반한다. 예를 들어 (RF) 에너지 수확은 일반적으로 기기를 표적하고 그에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를 활용하고 그리고 지향성 에너지 포켓(pocket of energy) 및 2.4/5.8GHz 무선 주파수 범위에서 가동하는 파형을 활용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기기가 충전되기 위해서 여전히 일정 기간 동안 특정한 위치, 그리고 배향으로 놓이는 것을 필요로 한다. 단일 공급원(single source)의 전자기(EM) 신호의 전력 전송인 것으로 가정했을 때, 1/r2에 비례하는 인자가 EM 신호 전력을 거리(r)에 대해 감소시킨다. 다시 말해, 이는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약화된다. 따라서 EM 송신기로부터 먼 거리에서 수신된 전력은 전송된 전력의 작은 일부이다.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송 전력이 증가되어야 한다. 전송된 신호가 EM 송신기로부터 3 센티미터에서 충분한 수신을 갖는다고 가정했을 때, 용이한 거리인 3 미터에 걸쳐서 동일한 신호 전력을 수신하려면 전송된 전력을 10,000배 증가시키는 것을 수반할 것이다. 그러한 전력 전송은 전송되더라도 에너지 대부분이 의도된 기기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낭비이고, 생체조직에 유해할 수 있으며, 바로 근처에 있는 대부분의 전자 기기와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그리고 열로 소멸될 수 있다. 지향성 전력 전송과 같은 다른 접근법에서는 보통 전력 전송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호를 올바른 방향으로 가르키기 위해서 기기의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기의 위치를 알더라도, 수신기로의 경로 또는 근처에 있는 물체의 반사 및 간섭 때문에 효율적인 전송을 보장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기기를 사용하는 많은 경우에 상기 기기는 움직이고 있어 어려움을 더한다.
그에 더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무선 충전 해결법에는 전력 전송과 관련된 보안이 불충분하다. 특히 전력 전송이 오직 인증된 기기에만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무선 충전기는 일반적으로 해당 무선 충전기와 함께 설계된 특정한 전자 기기를 충전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다시 말해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모두 전력 전송의 파라미터 면에서 한 쌍으로서 정합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에 따라 기존의 무선 충전기의 무선 송신기는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갖는 다수의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또한 충분한 그리고/또는 때맞는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 수신기가 지정된 거리에 배치되어야만 한다. 다시 말해,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사이의 거리의 어느 일탈이라도 비능률 및/또는 전력의 불충분한 전달을 야기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기존의 무선 충전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과정의 모니터링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전력 전달 과정의 작동 상태를 대체로 알지 못한다. 사용자가 전력 전송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수신기의 배터리의 잔량의 변화를 알아차리는 것 뿐이다. 또한 이는 제대로 된 전력 전송을 모니터하고 그리고 그를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무선 충전기 및/또는 수신기 근처에 있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무선 충전 해결법에서는 전력 전송과 관련된 보안 및 인증이 불충분하다. 특히 전력 전송이 오직 권한이 부여되었고 그리고 인증된 기기에만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소형 컴퓨팅 센서(computing sensors) 및 모바일 장치가 일상의 물건 및 환경에 내장된 블록체인 기술 및 사물 인터넷(Internet-of-Things: IoT)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소형 컴퓨팅 센서 및 모바일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은 이들 센서 및 컴퓨팅 장치가 더 작아지고 그리고 더 많아지면서 어려운 과제가 된다.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이 장치들을 직접적으로 플러그를 꽂아 연결하는 것은 불편하고 그리고 대규모로는 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Low-Power and Lossy Networks: LLNs)는 스마트 그리드 및 스마트 시티와 같은 무수한 적용을 갖는다. 손실 링크, 낮은 대역폭, 배터리 작동, 낮은 메모리 및/또는 기기의 처리 능력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LLN과 함께 제시된다. 환경 조건을 바꾸는 것 또한 기기의 통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방해(예를 들어 인근의 나무들의 나뭇잎 밀도, 문 개폐 등), 간섭의 변화(예를 들어 다른 무선 네트워크 또는 기기로부터의 간섭), 매체의 전파 특징(예를 들어 온도 또는 습도 변화 등) 등 또한 LLN에 특유의 문제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LLN은 사물 인터넷으로서, 예를 들어 센서 및 액츄에이터와 같은 고유하게 식별가능한 물건인 "사물"이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상호 접속된 것일 수 있다.
IoT 및 유사한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는 그가 이동하면서 다른 로컬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이동하면서(예를 들어 동네를 가로지르거나, 건물의 다른 층을 오가는 등) 상이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여러 개의 웨어러블 센서(예를 들어 심박계, 혈당 측정기 등)를 가지고 다닐 수 있다. 각각의 이 센서들 및 다양한 네트워크는 물체가 얼마나 빨리 이동하고 있는가에 따라 다수의 자원 주기(resource cycles)를 소모할 수 있는 그 자체의 등록 및 인증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상기에 언급된 문제 및/또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부분은 발명의 요약으로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기술되는 개념 중에서 선정된 것을 더 간단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확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이 요약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용도로 의도한 것 또한 아니다.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가 개시된다. 상기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구성된 수신기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에 근거한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는 무선 전력 전송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트랜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수신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는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수신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트랜시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입력 포트와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앞선 요약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를 제공하고 그리고 오직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에 따라 앞선 요약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것들에 추가적인 특징 및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예는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다양한 특징 조합 및 부조합(sub-combinations)을 유도할 수 있다.
본원에 포함되고 그리고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은 본원의 다양한 구체예를 실례를 사용하여 도시한다. 도면은 출원인이 소유한 다양한 상표 및 저작권의 묘사를 포함한다. 그에 더하여 도면은 제3자가 소유한 다른 표장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오직 실례로서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각자의 소유자에게 소유된 것들을 제외한, 본원에 묘사된 다양한 상표 및 저작권의 모든 권리는 출원인에 귀속되고 그리고 출원인의 소유이다. 출원인은 본원에 포함된 그의 상표 및 저작권의 모든 권리를 유지 및 보유하고, 그리고 소재를 다시 제작할 수 있는 권한은 다른 목적이 아닌 오직 등록된 특허의 재제작과 관련하여 부여한다.
또한 도면은 본원의 특정 구체예를 설명할 수 있는 글 또는 캡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글은 본원에 기술된 특정 구체예를 실례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비제한적이고,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된다.
도 1은 일부 구체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의 블록 선도이다.
도 2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사이의 페어링 데이터의 교환을 도시한다.
도 3은 일부 구체예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수신기로의 전력의 무선 전송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의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수신기로의 전력의 무선 전송에 관하여 사용자 장치에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력의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송신기 및 수신기와 연관된 무선 전력 전송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구체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실행하는 방법의 플로 차트를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구체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실행하는 방법의 플로 차트를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구체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 알림을 전송하는 것으로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실행하는 방법의 플로 차트를 도시한다.
도 9는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이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부 구체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무선 전력 메시 네트워크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무선 전력 메시 네트워크에 블록체인 수신 노드 등록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전력 송신 노드 검증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고유 페어링 요청을 인증, 식별, 및 검증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전력 송신기 노드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전력 송신을 위한 고유 페어링 요청을 탐지하기 위한 인증을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전력 송신기 노드 및 수신기 노드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5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 방법의 플로 차트이다.
앞서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원이 폭넓은 유용성 및 적용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어느 구체예라도 본원의 앞서 개시된 관점 하나 또는 여러 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오직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앞서 개시된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논해지고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되는 어느 구체예라도 본원의 구체예를 실행하기 위해 고려된 최적의 방식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 완전하고 실행 가능한 내용을 제공하기 위해 부가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다른 구체예 또한 논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번안, 변형, 수정, 및 균등한 방식과 같은 많은 구체예는 본원에 기술된 구체예에 의해 함축적으로 개시될 것이고 그리고 본원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원에서 구체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기술되기는 하지만, 본원의 내용은 실례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이고 본원의 모범적인 예시이며, 오직 완전하고 실행 가능한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의 상세한 내용은 본원이 개시하는 어느 특허 청구항에서 제공되는 특허 보호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목적이 아니고, 그렇게 해석되어서도 안 되며, 상기 범위는 청구항 및 그와 균등한 것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청구항 그 자체에 명백하게 제시되지 않은 본원에서 찾을 수 있는 제한을 어느 청구항에 부여하여 해석하는 것으로 특허 보호의 범위가 정의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과정 또는 방법의 단계의 어느 시퀀스(sequence) 및/또는 시간적 순서(temporal order)는 설명을 위한 예시이고 제한적이지 않다. 그에 따라, 다양한 과정 또는 방법의 단계가 시퀀스 또는 시간적 순서대로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그리고 기술되더라도, 어느 그러한 과정 또는 방법의 단계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어느 특정한 시퀀스 또는 순서대로 실행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한 과정 또는 방법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도 다양한 상이한 시퀀스 및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허 보호의 범위는 본원에 제시된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의도했다.
그에 더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각 용어는 본원에서 그러한 용어가 사용된 맥락을 근거로 통상의 기술자가 그러한 용어의 의미로 받아들일 뜻을 나타낸다. 그러한 용어가 사용된 맥락에 근거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가 그러한 용어의 어느 특정한 사전적 정의와 어떤 식으로든 상이한 정도에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의미가 우위를 갖는 것을 의도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각 단수형 관사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를 의미 하지만 문맥적 사용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열거된 항목을 잇는 데 사용되었을 때, "또는"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지만 복수의 열거된 항목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 열거된 항목을 잇는 데 사용되었을 때, "및"은 "열거된 항목 모두"를 의미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참조할 때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번호가 도면 및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본원의 많은 구체예가 기술될 수 있지만, 수정, 번안, 또는 다른 시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요소를 치환, 추가, 또는 수정할 수 있고, 그리고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개시된 방법에 단계를 치환, 재배열, 또는 추가하는 것으로 수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원의 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대신에 본원의 제대로 된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본원은 제목(header)을 포함한다. 이 제목은 참조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되고 그리고 해당 제목 아래에 개시된 주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은 많은 관점 및 특징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많은 관점 및 특징은 전자 기기의 무선 충전의 맥락으로 기술되고 그리고 그에 관한 것이지만, 본원의 구체예는 오직 이 맥락에서만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요
본원은 무선 전력 네트워크(WPN) 응용 프로그램 및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원은 특히 테라헤르츠 전력 전송파를 사용하는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전송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법의 응용 프로그램 및 메커니즘이 앞서 언급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에 따라 모든 개선 및 변형은 본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서브밀리미터 방사선, 테라헤르츠 방사선, 극고주파, T-레이, T파, T-라이트(T-light), T-럭스 또는 THz로도 알려진 테라헤르츠파는 0.3 내지 3 테라헤르츠(THz; 1THz = 1012Hz)의 ITU 지정 주파수대 내에 있는 전자파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일부 구체예에서는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 방법 및 시스템은 많은 수의 수신기 사이의 빠른 전력 전송(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은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에 새로운 인공지능(AI) 인터랙티브 알고리즘 모델을 실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상호작용이 빠르게, 안정적으로 그리고 보안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기반의 무선 전력 네트워크(WPN)의 물리 구조에 최적화를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전력의 전송 및 교환의 완료를 허용하고 그리고 전력 전송 매체가 굉장히 보안된(highly secured) 시나리오에서 실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은 벌크 전력 전송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확장 가능하고 그리고 어디에서든 접속 가능한 인공 지능 및 딥 러닝을 사용하는 WPN을 통해서 관리될 수 있다.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테라헤르츠 송신기의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전력을 전송 및 수신하는 기능을 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상호간에 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둘 다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한 전력 전송 및 수신 기능의 상호간 이용 가능성을 탐지한다면,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연결 및 고유 정합(즉 페어링)이 실행될 수 있다. 연결 및 페어링이 성공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전송기는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력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체예에서는 전력 전송의 개시가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령어(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공하는 음성 명령어)에 근거한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휴대용 테라헤르츠 송신기를 배치하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연결 및 고유 정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및 페어링이 성공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력 및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시스템은 많은 수의 다른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연결 및 페어된 테라헤르츠 송신기, 그리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많은 다른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력을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네트워크(WPN)에 위치한 상기 시스템은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보낸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많은 다른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목적, 기술적 해결 수단 및 이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본원에 기술된 구체적인 구체예는 실례를 사용하여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하고 그리고 청구된 발명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의 유효 거리 내에 배치된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연결 및 고유 정합을 통해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테라헤르츠 수신기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본원은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전력 전송이 필요할 경우, 상기 방법은 테라헤르츠 송신기의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배치하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연결 및 고유 정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함께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각자 제1 노드 및 제2 노드로 부를 수 있다. 고속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이 두 노드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전력 전송은 단방향성(unilateral)이고 그리고 어느 데이터 통신이라도 양방향성(bilateral)일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통신 데이터를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통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기기의 유형을 식별하고, 송신기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리고 모바일 수신기가 얼만큼의 배터리 충전을 필요로 하는지를 탐지하는 등록 과정을 제공하는 구조를 갖는다.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사물 인터넷 기기, 모바일 전자 기기,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타블렛, 게임 콘솔 및 컨트롤러, e북 리더기, 리모컨, 센서(자동차에 있는 것 또는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것), 자율주행차, 장난감의 충전식 배터리, 충전식 조명, 자동차의 부대용품 및 의료 장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테라헤르츠 송신기로부터 전력을 수신(충전)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WPN)에 위치하고 클라우드에서 벌크 데이터가 저장된 그래픽 처리(GPU) 기계 기반의 벌크 저장 데이터베이스(bulk storage database)에 연결될 수 있다. 벌크 저장 데이터베이스는 인공지능(AI), 딥 러닝 및 컴퓨터 학습을 활용하는 다수의 위로 놓이는 비즈니스 기능(overlying business functions)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GPU 기계 기반의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의 관계는 WPN 및 고객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의 마스터-슬레이브 관계일 수 있다. 벌크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다른 저장 장치와 균등한 노드일 수 있고, 그리고 어느 두 개의 노드 사이의 모든 데이터 및 전력 전송은 점대점 조정(point-to-point coordinating) 관계일 수 있다. 그러므로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연결된 WPN에 저장된 데이터 또한 전송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서로로부터 특정 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거리는 테라헤르츠 무선 데이터 통신 및 전력 전송의 유효 거리일 수 있다.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의 통신 가능 구역은 제한되었을 수 있고, 따라서 테라헤르츠 기기는 연결 및 고유 정합, 전력 전송 등이 실행될 수 있도록 유효 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전력 전송의 보안을 보장하도록 서로를 검증할 수 있다. 제1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의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성공적이지 않을 경우, 연결 및 고유 정합 오류 프롬프트가 주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에게 다이얼로그가 제시될 수 있다. 연결 및 고유 정합 실패 후에 사용자는 연결 및 고유 정합을 다시 실행할지 선택할 수 있다. 프롬프트 바디(prompting body)는 제1 송신기 또는 테라헤르츠 수신기일 수 있다. 제1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의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성공적일 경우에는 전력 전송 과정이 실행될 수 있다.
연결 및 페어링이 성공적일 경우,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전력이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의해 테라헤르츠 수신기로 보내질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의 연결 및 페어링이 성공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연결이 성립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력 전송이 실행될 수 있다. 전력 전송은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테라헤르츠(THz)파는 테라헤르츠 레이일 수 있다. 테라헤르츠 레이는 0.1THz에서 10THz(파장은 3mm에서 30um 사이) 사이의 전자기 주파수, 그리고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 사이의 파장 범위를 갖는 전자파일 수 있다. 테라헤르츠(THz) 무선 통신의 더 큰 전송 용량 및 더 나은 지향성의 특징에 근거하여, 테라헤르츠파의 전력 전송 속도는 10Gbps에 이를 수 있다. 그러므로 테라헤르츠파는 전력의 전송 및 구조화된 벌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무슨 통신은 전력 전송을 빠르고, 보안적이고, 그리고 안정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점대점 전력 전송이 실행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동시에 복수의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따라서 전력 전송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본원은 데이터 연결성을 위한 Wi-Fi 네트워크와 유사한 무선 전력 네트워크(WPN)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다수의 수신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전구, 선풍기 등)가 WPN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수의 수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송신기의 이용 가능성을 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Wi-Fi,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수신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교환에 근거하여, 수신기는 그 자체를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인증된 기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와 연관된 고유 코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수신기가 송신기와 페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신기는 전력 전송 요청 내의 고유 코드의 존재에 근거하여 수신기로부터의 전력 전송 요청을 인정할 수 있다.
일부 관점에 따르면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 및 시스템(무선 전력 네트워크)이 개시된다. 테트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 및 시스템은 테라헤르츠 전력 전송파를 사용하는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응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WPN)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테라헤르츠 송신기의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테라헤르츠 송신기의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배치된 것에 대응하여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기능을 상대방이 가졌는지를 자동으로 그리고 상호간에 탐지하고, 그리고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사물 인터넷(IoT), 모바일 전자 기기,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타블렛, 게임 콘솔 및 컨트롤러, e북 리더기, 리모컨, 센서(자동차에 있는 것 또는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것), 장난감의 충전식 배터리, 충전식 조명, 자동차의 부대용품 및 의료 장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만약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 둘 다 상대방이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호간에 탐지한다면,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또한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성공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의해서 전력이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신호를 사용하는 점대점 전송으로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송되고, 그리고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 전력 전송을 계속, 정지, 중단 또는 재시도한다.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관계이고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마스터이다.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성공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의해 사용자 명령에 따른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령 음성에 따라 전력 전송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이는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의해 전력/데이터 전송 과정의 상태가 정상적인지 결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만약 전력 및 AI 사용 가능한(AI enabled) 데이터 전송 과정이 정상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령 음성에 따라 전력/데이터 전송 과정이 제어되고; 그리고 만약 전력 및 AI 사용 가능한 데이터 전송 과정이 비정상적일 경우, 사용자에게 전력/데이터 전송 오류 프롬프트를 제시한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만약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가 정상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사용자에게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 및 파라미터에 대한 프롬프트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실행될 때, 고유 정합 코드를 교환하는 것으로 고유 정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고유 정합 코드가 일치할 경우, 연결 및 고유 정합은 성공적인 것이다.
다른 관점에 따른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사물 인터넷(IoT) 수신기, 모바일 전자 기기,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타블렛, 게임 콘솔 및 컨트롤러, e북 리더기, 리모컨, 센서(자동차에 있는 것 또는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것), 장난감의 충전식 배터리, 충전식 조명, 자동차의 부대용품 및 의료 장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관점에 따르면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테라헤르츠 송신기의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배치하고, 그리고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연결 및 고유 정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성공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의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배치된 것에 대응하여,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의해 점대점 전송을 전달함과 동시에 구조화된 테이터 통신을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자동으로 보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보내질 구조화된 데이터 통신은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연결 및 고유 정합 전에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의 부재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무효성(invalidity)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의 연결 및 고유 정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가졌는지의 여부를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만약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가능을 가졌을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작업 명령을 수락하는 것으로 각자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연결 및 고유 정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만약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가능을 갖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 프롬프트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성공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력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력, 그리고 데이터 전송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데이터 전송 과정의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만약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가 정상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데이터 전송 과정을 제어하고; 그리고 만약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사용자에게 전력 전송 오류 프롬프트를 제시한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만약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가 정상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사용자에게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 및 파라미터의 프롬프트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은,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송신기 사이에 연결 및 고유 정합이 실행될 때, 고유 정합 등록 코드(registration unique match codes)를 교환하는 것으로 고유 정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고유 정합 등록 코드가 일치한다면 연결 및 고유 정합은 성공적인 것이다. 등록 과정은 기기가 네트워트에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다른 관점에 따른 복수의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물 인터넷(IoT) 수신기, 모바일 전자 기기,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타블렛, 게임 콘솔 및 컨트롤러, e북 리더기, 리모컨, 센서(자동차에 있는 것 또는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것), 장난감의 충전식 배터리, 충전식 조명, 자동차의 부대용품 및 의료 장비 등.
일부 구체예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시스템은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와 연결되고 그리고 그와 고유 정합된 테라헤르츠 송신기하고, 상기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점대점 전력 전송과 동시에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력을 보내고, 테라헤르츠 송신기의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배치된 것에 대응하여 무선 젼력 전송은 빠르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일어난다.
또한 제1 송신기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 모두에 AI 사용 가능한 기능 3개가 제공된다: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
상기 제1 기능은 테라헤르츠 트랜시버 및 WPN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탐지 계층(hardware detection layer)이다. 상기 테라헤르츠 트랜시버는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전송파를 사용하여 데이터 및 전력을 수신 및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WPN은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2 기능은 WPN을 통해서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고 그리고 우선적으로 전력 및 수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AI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이다.
상기 제3 기능은 음성 명령을 이해하는 인터랙티브 음성(interactive speech understanding voice commands)이고 여기서 WPN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를 통해서 수신기와 통신할 것이다. 만약 오류가 있다면 음성 명령을 통해 최대 효율성을 내기 위해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무효화(invalidation)를 고치는 방법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시스템 및 제2 기능은 WPN을 사용하는 테라헤르츠 클라우드 기반의 통신 인터페이스, 테라헤르츠 프로토콜 스택, 전력 패킹(power-packing), 및 보안 엔진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의 네트워크 AI 사용 가능 시스템 및 저장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또한 개시된 시스템은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수신기가 건강(health)을 보고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그리고 수신 명령은 WPN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개시된 시스템은 수신기 제조사가 OS 레벨에서 무선 전력 칩 고유 정합을 식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통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는 테라헤르츠 트랜시버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전력 전송을 보내도록 제어한다.
또한 개시된 시스템은 (WPG) 프로토콜 스택과의 테라헤르츠 송신기 통신이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시스템은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이 WPN 파일 시스템 및 테라헤르츠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에 해당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시스템은 시스템(WPN) 및 저장 드라이브가 WPN에서 저장 매체의 수신 데이터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시스템은 전력 전송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저장 드라이브는 WPN 상에서 저장 매체에 패킹 그리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시스템은 모바일 장치가 WPN에서 충전되고 그리고 사용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록 과정을 성립하는 것으로 WPN이 전력 전송 과정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WPN을 위한 메커니즘은 송신기가 지능적으로 모바일 수신기의 위치를 찾고, 기기의 유형을 식별하고, 송신기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리고 모바일 수신기가 필요로 하는 배터리 충전량을 탐지하는 능력을 갖는 것을 허용한다. 이 정보를 사용하여 WPN은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 및 파라미터를 더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 따른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시스템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복수의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IoT) 수신기, 모바일 전자 기기,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웨어러블 장치, 타블렛, 게임 콘솔 및 컨트롤러, e북 리더기, 리모컨, 센서(자동차에 있는 것 또는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것), 장난감의 충전식 배터리, 충전식 조명, 자동차의 부대용품 및 의료 장비 등.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IOT 저전력 센서 및 모바일 기기와 같은 기기에 전력을 전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선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있는 기기는 특정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등록 및 전력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네트워크 등록 요청은 특정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는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를 특정한 노드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분산된 블록체인와 비교하는 것으로 특정 노드에 대한 정보의 인증, 식별, 및 검증의 실행을 야기한다. 상기 기기는 특정 노드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에 업데이트 그리고 특정 노드에 대한 정보의 검증을 야기한다. 상기 기기는 특정 노드 및 어느 다른 관련된 노드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을 사용한다.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는 모바일 기기, 개인 컴퓨터, 및 워크스테이션, 또는 센서 같은 다른 기기 등과 같은 종단 노드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링크 및 세그먼트로 상호 접속된 지리적으로 분산된 노드 집합이다. 비구조화된 또는 전방향 무선 메시 네트워크, 구조화된 무선 메시 네트워크, 피어 투 피어(P2P),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광역 네트워크(WAN)에 이르는 많은 유형의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하다. 비구조화된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서 각 메시 노드는 일반적으로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고 그리고 전송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다른 메시 노드들과 통신할 수 있다. 구조화된 무선 메시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각 노드 위치에서 다수의 라디오 및 다수의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계획된 네트워크이다. 피어 투 피어(P2P) 컴퓨팅 또는 네트워킹은 피어 간에 작업 또는 작업량을 분할하는 분산된 응용 프로그램 아키텍쳐이다. 피어는 균등하게 특권을 가지고, 응용 프로그램에서 대등한 참여자이다. 그들은 노드의 피어 투 페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고 한다. LAN은 일반적으로 건물 또는 캠퍼스와 같은 동일한 대략적인 물리적 위치에 위치한 지정된 사설 통신 링크에 있는 노드를 연결한다. 반면에 WAN은 일반적으로 통신 사업자 전화선, 광 경로(optical light paths), 동기식 광 네트워크(SONET),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링크 등과 같은 장거리의 통신 링크에 지리적으로 분산된 노드를 연결한다. 그에 더하여 모바일 Ad-Hoc 네트워크(MANET)는 무선 링크로 연결된 모바일 라우터(그리고 관련 호스트)의 자동 구성 네트워크로 여겨지고, 이의 조합(union)은 임의적인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일종의 무선 ad-hoc 네트워크이다.
또한 무선 주파수(RF) 기반의 무선 기술은 세 가지 상이한 기본적인 시스템 기능, 즉 무선 통신(데이터/음성), 무선 센싱(파라미터), 및 무선 전력 전송(에너지)으로 이루어진다. 앞의 두 가지 잘 알려진 무선 적용은 오늘날 우리의 일상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거의 모든 사회 및 경제 활동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적어도 공개적으로는 알려지지 않은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전송(WPT)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고 그리고 IOT 및 모바일 기기의 무선 전력 공급(충전)에 있어서 근본적인 원동력 중 하나로 확립되기 전이다.
서브밀리미터 방사선, 테라헤르츠 방사선, 극고주파, T-레이, T파, T-라이트(T-light), T-럭스 또는 THz로도 알려진 테라헤르츠파는 0.3 내지 3 테라헤르츠(THz; 1THz = 1012Hz)의 ITU 지정 주파수대 내에 있는 전자파로 이루어진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identity) 및 트랜잭션 플랫폼에 있어서, 개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사진)가 암호화될 수 있고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 및 트랜잭션 플랫폼에 사용자로서 개인을 등록시키는 것에 일부로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사이에 트러스트 관계가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트러스트 관계의 기록은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와 사용자가 트러스트 관계를 형성한 다른 사용자 사이의 트랙잭션은 인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의 기록 또한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다. 인증은, 예를 들어,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에 접속하는 다단계 검증 과정을 수반할 수 있다. 트랜잭션 및 신원 정보는 다른 정보와 함께 개인의 경제적 정체성(economic identity)에 기여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 경제적 정체성(그리고 개인의 경제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근본적인 정보)을 저장하는 것은 그들의 경제적 또는 지리적 사정과는 무관하게 사람들이 접속할 수 있는 보안적인 플랫폼을 낳는다.
탈중앙화(decentralization)의 트렌드는 사회를 재형성하는 거대하게 밀려오는 혁신을 나타낸다. 탈중앙화된 응용 프로그램 플랫폼(스마트 컨트랙트)은 "자동 실행(self-executing)" 그리고 "자기 집행적(self-enforceable)" 트랜잭션이고 그리고 단일점(single point)를 통과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대신에 피어 투 피어(P2P) 네트워크로 알려진 많은 점들이 연결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서 다양한 트랜잭션을 하기 위한 투명하고, 감사 가능하고, 유효하고(enforceable), 그리고 감당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신뢰 기관(trusted third party)"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현재 새로운 사회 규범 및 기대와 함께 새로운 종류의 블록체인 트랙잭션 및 탈중앙화된 응용 프로그램이 부상하고 있다. 암호화폐 및 스마트 컨트랙트는 함께 이 새로운 세상의 중추로서의 역할을 한다. 한편으로는 우리는 암호화폐의 발명과 함께 가치의 창출, 트랜잭션, 및 저장의 과정이 근본적으로 바뀐 돈의 진화를 보고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는 자동 실행 그리고 자기 집행적이도록 합의가 블록체인 상에서 구조화될 수 있어서 광범위한 이득 및 적용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계층의 간이화를 도입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 토큰(user tokens) 또는 애플리케이션 코인(application coins)으로도 불리는 유틸리티 토큰은 회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미래적인 접근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에 따른 개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한 테라헤르츠 수신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등록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등록 요청은 무선 전력 전송의 개시를 위한 인증, 식별, 및 검증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특정한 테라헤르츠 수신 노드에 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노드 유형, 그룹 식별자, 고유 수신 노드 식별자, 또는 노드가 등록을 요청하는 네트워크의 표시(indication)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으로의 업데이트는 특정한 수신 노드에 대한 인증, 식별, 및 검증에 근거한 특정한 테라헤르츠 수신 노드의 신뢰 수준(trust level)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특정한 노드에 대한 인증 정보와 블록체인의 비교는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와 노드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블록체인에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 사이의 비교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특정한 테라헤르츠 수신 노드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을 사용하고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의 개시를 위해 하나 이상의 노드를 사용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요청은 공개 암호 키(public encryption key)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에 있는 다른 노드들 중 특정한 하나에 관한 디지털 서명된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 공개 암호 키가 요청을 인증하는 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기기에 의해 특정한 노드의 위치 프로파일이 결정되고, 그리고 기기에 의해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이 특정한 노드의 위치 프로파일을 포함하게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른 기기를 통해서 특정한 노드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기기로 특정한 노드의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것; 그리고 결정된 위치, 기기의 유형의 신원을 비교하는 것,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것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의 개시를 위해 모바일 수신기가 필요로하는 충전량을 탐지하는 것.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는 네트워크에 있는 테라헤르츠 수신기/수확기(harvester)이다.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테라헤르츠 전력 송신기/라우터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테라헤르츠 전력 송신기/라우터 장치는 클라우드 네트워크에서 세계적으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라헤르츠 전력 송신기/라우터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결합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전력 전송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GPU 프로세서 및 상기 GPU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AI 실행 가능 과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과정이 특정한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등록 요청을 수신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실행될 경우, 상기 네트워크 등록 요청은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를 특정한 노드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분산된 블록체인과 비교하는,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의 검증의 실행을 야기하고,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의 검증에 근거하여 블록체인에 업데이트하고 그리고 특정한 노드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을 사용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노드 유형, 그룹 식별자, 고유 노드 식별자, 또는 노드가 등록을 요청하는 네트워크의 표시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으로의 업데이트는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의 검증에 근거한 특정한 노드의 신뢰 수준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와 블록체인의 비교는 특정한 노드에 대한 정보와 노드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블록체인에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 사이의 비교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다른 노드들 중 특정한 하나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다른 노드들 중 특정한 하나와 연관된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에서의 신뢰 수준에 근거하여 요청을 처리하는 것으로 특정한 노드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을 사용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요청은 공개 암호 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과정이 실행되었을 때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에 있는 다른 노드들 중 특정한 하나에 관한 음성 및 생체인식 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전력 전송 요청을 인증하기 위해 공개 암호 키를 사용하도록 더 작동 가능하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과정이 실행되었을 때 특정한 노드의 위치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그리고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이 특정한 노드의 위치 프로파일을 포함하게 만들도록 더 작동 가능하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을 사용한다. 상호작용 계층(layer of Interaction)은 기기로 특정한 노드의 위치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것; 그리고 결정된 위치, 기기의 유형의 신원을 기기로 비교하는 것, 송신기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의 개시를 위해 모바일 수신기가 필요로하는 충전량을 탐지하는 것으로 특정한 노드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의 행동을 제어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른 상기 장치는 테라헤르츠 전력 송신기/라우터이다.
개시된 구체예는 사물 인터넷(IoT) 기기, 모바일 전자 기기,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타블렛, 게임 콘솔 및 컨트롤러, e북 리더기, 리모컨, 센서(자동차에 있는 것 또는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것), 자율주행차, 장난감의 충전식 배터리, 충전식 조명, 자동차의 부대용품 및 의료 장비 등으로의 원거리장 전력 전달을 위한 모든 블록체인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 및 메커니즘과 관련된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은 일부 구체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100)의 블록 선도이다. 수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트랜시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전송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무선 전력 전송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00)는 수신기 트랜시버(102)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수신기 처리 장치(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분석에 근거하여 수신기(100)가 수신 가능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저장 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00)는 수신기 트랜시버(102)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전력 출력 포트(1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출력 포트(108)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입력 포트와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출력 포트(108)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 특성 데이터는 수신기 인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 인증 데이터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수신기(100)를 인증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는 송신기 인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상기 송신기 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를 인증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의 무선 전력 수신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인증에 근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100)는 수신기 처리 장치(104)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음성 명령을 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음성 명령을 분석하기 위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음성 명령의 분석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 수신기(100)의 무선 통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무선 전력 전송은 테라헤르츠 방사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트랜시버와 페어링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상기 페어링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 연결을 성립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의 무선 전력 전송은 무선 전력 전송 연결에 근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는 수신기(100)의 수신기 유형, 수신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거리, 및 수신기(100)가 요청한 전력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및 수신기 유형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송신기 유형,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와 연관된 전송 전력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송신기 유형, 전송 전력 수준 및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전력 전송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전력 수준 각각의 분석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는 수신기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수신기(100)가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했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생성되는 부하의 측정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제1 주파수대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기 트랜시버 및 제2 주파수대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기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주파수대는 테라헤르츠 주파수보다 더 낮은 주파수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주파수대는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무선 전력 전송을 보내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의 분석에 근거하여 수신기(100)가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전송 가능한 능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수신기(100) 사이의 무선 전력 전송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분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분석에 기반하여 알림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수신기(100)와 연관된 사용자 장치에 알림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 처리 장치(104)는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분석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00)는 수신기(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은 입력에 근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등록 요청은 고유 수신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무선 전력 전송과 연관된 분산된 블록체인을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등록 요청을 분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등록 요청의 분석에 근거하여 분산된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수신기(100)에 등록 응답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등록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100)는 도메인과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등록 요청을 도메인과 연관된 분산된 블록체인과 비교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등록 응답의 전송은 상기 분석에 근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는 고유 수신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무선 전력 전송 요청에 근거하여 분산된 블록체인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상기 접속의 결과에 근거하여 수신기(100)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상기 인증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 요청을 수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은 상기 수락에 근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분산된 블록체인은 수신기(100)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00)의 인증은 신뢰 수준에 근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수신기(100) 사이의 무선 전력 전송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분산된 블록체인에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분석하는 분산된 블록체인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회수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분석에 근거하여 수신기(100)의 행동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행동에 근거하여 수신기(100)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수신기(100)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분산된 블록체인에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수신기(100)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 요청은 지리적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분산된 블록체인에 수신기(100)의 지리적 위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더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송신기가 더 개시된다. 송신기는 수신기(100) 같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 무선 전력 전송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102)는 무선 전력 전송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송신기 트랜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송신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기 처리 장치는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송신기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신기(예를 들어 수신기(100)와 같은 것)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더 개시된다. 상기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고정형(statoinary) 컴퓨터 장치(데스크톱), 모바일 컴퓨터 장치(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등), IoT 기기, 웨어러블 컴퓨터 장치(예를 들어 피트니스 밴드(fitness band), 스마트 글래스, VR 헤드셋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트랜시버(예를 들어 수신기 트랜시버(102)와 같은 것)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트랜시버는 무선 전력 전송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수신기 트랜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수신기 처리 장치(예를 들어 수신기 처리 장치(104)와 같은 것)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처리 장치는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수신기가 수신 가능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능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저장 장치(예를 들어 수신기 저장 장치(106)와 같은 것)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수신기 트랜시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전력 출력 포트(예를 들어 전력 출력 포트(108)와 같은 것)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출력 포트는 전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입력 포트와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출력 포트는 전자 기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경우에서 전자 기기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그리고 전자 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전력 출력 포트는 상기 배터리에 전기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일부 구체예에 따라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송신기(202) 및 무선 수신기(204) 사이의 페어링 데이터의 교환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구체예에서 송신기(202) 및 수신기(204) 모두 하나 이상의 주파수대(예를 들어 테라헤르츠 주파수)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및/또는 수신의 기능성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트는 송신기(202) 및 수신기(204) 각각과 연관된 고유 식별자(즉 WPN-ID)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호간의 기능성의 탐지에 근거하여, 수신기(204)는 페어링 데이터(예를 들어 전력 전송 요청)를 송신기(202)에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신기(202)는 수신기(204)에 해당되는 페어링 데이터(예를 들어 응답)를 전송할 수 있다. 한 경우에서는 페어링을 성립하기 위해 송신기(202) 및 수신기(204) 사이에 상호간에 알려진 코드가 교환될 수 있다(블루투스의 페어링 과정과 유사). 그 뒤에 무선 전력 전송이 개시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구체예에 따른 복수의 기기의 유형 및/또는 송신기(302)로부터 복수의 수신기(304-308)까지의 복수의 거리(310-314)에 근거하여 송신기(302)로부터 복수의 수신기(304-308)로의 전력의 무선 전송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의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302)는 복수의 유형과 일치하고 그리고 복수의 거리(310-314)에 위치한 수신기(304-308)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신기(302)는 제일 먼저 수신기와 일치하는 기기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 경우에 기기 유형은 수신기로부터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송신기(203)는 송신기(302)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 경우에 송신기(302)는 기기 유형에 관한 정보와 함께, 수신기로 송신기 안테나(316)에 존재하는 부하량을 계산하는 것으로 상기 거리를 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기 유형 및 거리에 근거하여, 송신기(302)는 무선 전력 전송의 파라미터(예를 들어 주파수, 전압, 전류, 단계(phase), 역률 등)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일부 구체예에 따라 수신기의 기기 유형 및 송신기(302)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송신기(302)의 파라미터를 그에 맞춰 변화시키는 것(adaptively varying)을 기반으로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실행하는 해당 방법(700)의 플로 차트를 도시한다. 단계 702에서 상기 방법(700)은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요청은 수신기와 연관된 기기 유형을 포함한다. 단계 704에서 상기 방법(700)은 수신기 및 송신기 사이의 통신에 근거하여 송신기 및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06에서 상기 방법(700)은 기기 유형 및 거리에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송신기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08에서 상기 방법(700)은 조정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송신기로부터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 전력은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달된다.
도 4는 일부 구체예에 따라 송신기(404)로부터 수신기(406)로의 전력의 무선 전송에 관하여 사용자 장치에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력의 무선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400)을 도시한다. 상기 알림은 무선 전력 전송의 작동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 과정 중에 어느 오류가 있다면 알림이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만약 수신기(406)가 기간 내에 충분한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있지 않다면 알림이 생성될 수 있다. 송신기(404) 및 수신기(406)는 WPN 서버(408)에 연결된다. 또한 도 8은 일부 구체예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과 연관된 잘못된 상태의 탐지에 근거하여 사용자 장치에 알림을 전송하는 것으로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실행하는 해당 방법(800)의 플로 차트를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구체예에 따라 송신기(예를 들어 송신기(202)와 같은 것) 및 수신기(예를 들어 수신기(204)와 같은 것)와 연관된 무선 전력 전송 프로토콜 스택(502-504)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자면,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시스템은 테라헤르츠 송신기(예를 들어 송신기(202)와 같은 것)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예를 들어 수신기(204)와 같은 것)를 포함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202)는 테라헤르츠 수신기(204)와 연결 및 페어링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테라헤르츠 수신기(204)에 전력을 보낼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204)는 테라헤르츠 송신기(202)에 의해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204)는 테라헤르츠 송신기(202)의 테라헤르츠 신호 탐색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테라헤르츠 송신기(202)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204)는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기기일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202)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204)에는 사용 가능한 기능 3개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리하게 구별하기 위하여, 테라헤르츠 송신기(202)의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은 각자 506-510으로 표기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수신기(204)의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은 각자 512-516으로 표기된다.
제1 기능(506)은 WPN 저장 매체에 연결된 테라헤르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는 하드웨어 계층(hardware layer)일 수 있고, 상기 테라헤르츠 트랜시버(202)는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WPN 저장 매체는 테라헤르츠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비휘발성 데이터 매체일 수 있다.
제2 기능(508)은 하드웨어 계층과 같은 제1 기능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계층일 수 있다. 제2 기능(508)은 테라헤르츠 통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 테라헤르츠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 파일 시스템 및/또는 저장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라헤르츠 통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는 전력 및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해 테라헤르츠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테라헤르츠 트랜시버는 전력 및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테라헤르츠 프로토콜 스택은 데이터에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라헤르츠 프로토콜 스택은 고유 정합, 재송신, 언패킹 또는 재조합 등과 같은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등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은 데이터를 패킹, 언패킹, 암호화 및 해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전송 효율성 및 보안의 관점에서 원본 데이터를 패킹, 언패킹, 암호화 및 해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기능은 기존의 저장 모드를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반의 저장은 파일 시스템을 위한 저장 매체의 파일 접속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은 벌크 전송 서비스 매니저 또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와 같은 표준 파일 접속 인터페이스를 운영 체제에 있는 최상위(top-level) 기능 계층에 제공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202)가 데이터 파일을 외부적으로 전송할 때,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해 저장 드라이브는 파일 시스템을 위한 저장 매체의 파일 접속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다. 읽힌 뒤에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의 표준 파일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에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된 데이터는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에 의해 패킹 및 암호화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서 흐를 수 있다(flow). 테라헤르츠 통신 프로토콜 스택이 데이터에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 후, 테라헤르츠 통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는 전력 전송을 보내기 위해 테라헤르츠 트랜시버를 제어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저장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테라헤르츠 통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테라헤르츠 트랜시버를 제어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를 얻기 위해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에 의해 해독 및 언패킹될 수 있다.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 및 저장 드라이브를 통해 저장 매체에 기록, 따라서 데이터 저장을 실행할 수 있다.
제3 기능(510)은 사용자 작업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가능하게 하거나, 일시 정지 또는 중단시키는 것과 같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전력 전송 과정 중에 테라헤르츠 송신기(202)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전송 과정의 상태 및 파라미터의 프롬프트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전력 전송 진행, 전력 전송 속도, 오류 명령(error instruction), 남은 시간 또는 파일 경로 등과 같은 관련된 인덱스 일부가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능(508)은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관리할 수 있는 특화된 서비스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은 무선 전력 네트워크(WPN)에서 관리되는 벌크 전력 전송을 칭하는 것일 수 있다. WPN이 관리하는 벌크 전력 전송은 전송될 전력에 우선 순서 계획을 실행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구조화된 벌크 전력 전송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PN 전력 벌크 전송은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많은 벌크 전력을 전송하는 상황에 따라 중요하거나 또는 시급한 전력을 우선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전력을 외부적으로 전송할 때, WPN은 벌크 전력 전송을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를 읽기 위해 파일 시스템의 파일 접속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다. 읽힐 데이터는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에 의해 패킹 및 암호화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서 흐를 수 있다. 테라헤르츠 통신 프로토콜 스택은 데이터에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통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테라헤르츠 트랜시버를 제어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연결된 WPN은 앞서 말한 과정의 역방향(reverse)에 따라 데이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테라헤르츠 통신 인터페이스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를 얻기 위해 데이터 패킹 및 보안 엔진에 의해 해독 및 언패킹될 수 있고, 그리고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 및 저장 드라이브를 통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의 저장을 실행할 수 있다.
종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해서, 벌크 전력 전송(WPN)은 구조화된 벌크 전력 전송 과정을 관리할 수 있고 그리고 구조화된 벌크 전력 처리 및 마이닝의 요구에 응할 수 있다. 전력 전송은 구조화된 벌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 수 있고, 이는 데이터베이스보다는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모바일 인터넷 개발에서는 비구조화된 데이터의 성장률이 구조화된 데이터(예를 들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한 데이터)의 것보다 훨씬 더 크다. 본원의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은 모바일 인터넷 개발 트렌드와 맞는 비구조화된 벌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 수 있고, 그리고 비구조화된 벌크 데이터 처리 및 마이닝의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의 유효 거리 내에 배치된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의 연결 및 신경(neural) 고유 정합을 통해 테라헤르츠 송신기에 있는 전력이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테라헤르츠 수신기에 전송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장치들 사이의 데이터 및 전력의 빠른 전송이 실행되고, 테라헤르츠 WPN에 있는 새로운 데이터 인터랙티브 모델과 정합되고, 그리고 데이터 상호작용을 빠르게, 안정적으로 그리고 보안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WPN을 사용하여 제품의 물리 구조에 최적화가 실행될 수 있고, 따라서 전송 매체가 해제될 수 없는 시나리오에서 데이터의 전송 및 교환이 완료될 수 있게 한다.
도 6은 일부 구체예에 따라 송신기에 대한 탐색 그리고 송신기(예를 들어 송신기(202)와 같은 것) 및 수신기(예를 들어 수신기(204)와 같은 것) 사이의 페어링에 근거하여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실행하는 방법(600)의 플로 차트를 도시한다.
단계 602에서 상기 방법(600)은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네트워크 아이디(WPN-ID)를 탐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604에서 상기 방법(600)은 하나 이상의 WPN-ID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송신기에 하나 이상의 전력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606에서 상기 방법(600)은 하나 이상의 송신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응답을 얻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 608에서 상기 방법(600)은 하나 이상의 응답에 근거하여 선택된 송신기에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단계 610에서 상기 방법(600)은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선택된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결 및 고유 정합 과정 또한 본원에 기술된다. 상기 과정은 테라헤르츠 송신기를 사용하여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기능의 포함 여부를 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테라헤르츠 신호 또는 파형을 사용하여 둘 이상의 시스템 요소를 고유 정합시킨다.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유효 거리 내에 배치되었을 때,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유효한지를 탐지할 수 있다. 전자는 후자가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를 탐지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상호적일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테라헤르츠 송신기가 유효한지를 탐지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정합되었을 때, 제1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연결 및 고유 정합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각자 작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정합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에게 오류가 제시될 수 있다. 첫 정합 실패 다음에 사용자는 재시도할지 선택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유효한 것일 때, 연결 및 고유 정합이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 실행될 수 있다. 고유 정합은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 사이에서 고유 정합 등록 코드를 교환하는 것으로 실행될 수 있다. 고유 정합 등록 코드 교환은 두 기기가 상호적으로 고유 정합 등록 코드를 검증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 및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고유 정합 등록 코드가 서로의 것과 동일할 때, 두 기기는 상호적으로 검증될 수 있다. 전력 전송을 위한 보안 검증은 전력 전송이 보안적으로 실행되도록 얻을 수 있다. 연결 및 고유 정합 과정은 전력 전송의 보안 및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가 테라헤르츠 무선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탐지되었을 때, 테라헤르츠 수신기의 무효성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는 재시도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원에는 전력 전송을 위한 테라헤르츠 무선 전력 기반의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전송 과정이 더 개시된다. 연결 및 페어링이 성공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전송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과정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테라헤르츠 송신기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송될 전력을 선택한 다음,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사용자에게 전력 전송 과정이 가능하게 할 것인지 프롬프트를 제시할 수 있고,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예'를 선택할 경우 전력 전송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선택된 전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발견한 뒤에 사용자는 전력 전송 과정을 실행 가능하게 하지 않겠다고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바로잡을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과정은 테라헤르츠 송신기를 사용하여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참조를 위한 인덱스는 전송 진행, 전송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력 전송 과정이 정상적인지를 볼 수 있고, 그리고 문제가 있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문제를 고칠 수 있다.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가 정상적일 경우,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데이터 전송 과정을 계속, 일시 정지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사용자에게 전력 전송 오류가 제시 그리고/또는 전력 전송 재시도 프롬프트가 제시될 수 있다. 첫 전력 전송 오류 다음에, 사용자는 전력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 데이터를 재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력 전송 과정을 사용 가능, 일시 정지 또는 중단시키는 것과 같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 및 파라미터에 대한 프롬프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전송 진행, 전력 전송 속도, 오류 명령, 또는 남은 시간 등과 같은 관련된 인덱스의 일부가 프롬프트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또한 테라헤르츠 송신기는 마스터 역할을 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마스터 역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테라헤르츠 수신기를 작동시킬 수 있고, 그리고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력 전송 과정을 사용 가능, 계속, 일시 정지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테라헤르츠 수신기는 전력 전송 과정의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두 테라헤르츠 장치는 송신기를 마스터로 둔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로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체예에서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실행하는 방법은 무선 전력 전송과 연관된 잘못된 상태의 탐지에 근거하여 사용자 장치에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계 802에서 하나 이상의 송신기 및 수신기는 무전 전력 전송 과정의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에 따라서, 단계 804에서 잘못된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수신기가 전력 전송을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사전에 결정된 기간 내에 송신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 했을 경우, 수신기는 잘못된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비슷한 다른 예시에서 송신기는 무선 전송 과정 중에 송신기 안테나 상의 부하를 탐지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탐지에 근거하여 송신기는 정상적인 전력 전송을 방지하고 있는 수신기에서의 잘못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잘못된 상태의 탐지에 근거하여, 806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송신기 및 수신기는 알림을 생성하고 그리고 WPN을 통해서 지정된 사용자 장치에 상기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이 작동할 수 있는 환경(900)을 도시한다. 상기 환경(900)은 안에 복수의 수신기(904-908)(전자 기기)가 있는 방(9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900)은 복수의 수신기(904-908)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테라헤르츠 주파수 사용)하도록 구성된 송신기(9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본원은 블록체인 기반의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 10은 실례로서 하나 이상의 노드/장치(1040), 수신기(1002-1032), 및 무선 전력 메시 네트워크(WPN) 서버(1034)를 포함하고, 이들 모두가 다양한 방법의 통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네트워크(1000)의 도식적인 블록 선도이다. 예를 들어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 PLC 링크 등과 같은 공유 매체(링크(105))를 통해서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드론, 센서,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수신기(1002-1032)에 있는 특정 수신기는 거리, 신호 강도, 현재 작업 상태, 위치 등에 근거하여 수신기(1002-1032)에 있는 다른 수신기와 통신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수신기(1002-1032)는 일부 시행에서는 WAN일 수 있는 네트워크(1036) 상의 무선 전력 메시 네트워크 서버(1034)와 같은 많은 수의 주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1026)는 더 처리하기 위해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또는 WAN을 통해서 센서 데이터를 WPN 서버(1034)에 보낼 수 있다. WPN 서버(1034)는 무선 전력 메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WPNMS) 장치,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취득(SCADA) 장치, 전사적 자원 관리(ERP) 서버, 그 외 네트워크 관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품 또는 서비스로의 접속을 나타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틸리티 토큰은 사물 인터넷(IoT) 기기, 드론, 모바일 전자 기기,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타블렛, 게임 콘솔 및 컨트롤러, e북 리더기, 리모컨, 센서(자동차에 있는 것 또는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것), 자율주행차 등과 같은 수신기(1002-1032)에 있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노드(1040) 및 수신기(1002-1032)는 특정 알려진 유선 프로토콜, 무선 프로토콜(예를 들어 IEEE Std. 802.15. 4, Wi-Fi, 블루투스 등), PLC 프로토콜, 또는 적절할 때는 다른 공유 매체 프로토콜과 같은 미리 정의된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1038)(예를 들어 위치 및/또는 장치/노드 사이에 전송된 메시지)을 교환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노드/장치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정의할 수 있는 규칙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도시하는, IoT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1100)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도시한다. 그에 따라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전력 송신기(1102-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장치(1102-1104)는 로컬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라우터(예를 들어 테라헤르츠 전력 송신기/라우터 등)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IoT 노드 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1106-1108)는 전력 송신기(1102)에 등록되어 제1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수신기(1110-1114)는 전력 송신기(1104)에 등록되어 제2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송신기(1102-1104)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호스트할 수 있는 WAN(1118)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서버(1116)와 통신하고 있을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서버(1116)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자동 실행 코드 조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수신기, 전력 송신기 라우터 등과 같은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장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합의 조건(terms of the agreement)을 규정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특정 조건이 달성되었을 때 어느 행동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더 정의할 수 있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서버와 블록체인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피어 투 피어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은 전력 송신기(1102-1104)에 등록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에 합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블록체인은 전력 송신기, 전력 수신기 등과 같은 네트워크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120)와 같은 새로운 수신기가 전력 송신기(1102)에 등록하려고 시도할 경우, 수신기(1120)는 수신기(1120)에 대한 식별 정보 및/또는 수신기(1120)와 관련된 어느 다른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등록 요청(1122)을 전력 송신기(1102)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요청(1122)은 수신기 ID, 수신기 유형, 하나 이상의 접속 토큰 또는 유틸리티 토큰에 대한 정보, 그룹 ID, 신원 신뢰 수준, 타임 스탬프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송신기(1102)는 노드로부터의 등록 요청(1122)을 처리할 수 있고 그리고 블록체인 서버(1116)에 알림(1124)을 보내는 것으로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을 등록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전력 송신기(1102)는 높은 신뢰 수준(예를 들어 트랜잭션에 근거)으로 블록체인에 이미 등록되고 그리고 존재할 수 있다(예를 들어 레지스트라(registrar)를 통한 업데이트). 전력 송신기(1102)는 알림(1124)에 있는 등록 요청으로부터의 어느 하나의 또는 모든 수신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신기(1102)는 로컬 네트워크로부터 얻었거나 또는 전력 송신기/라우터(1102)에 의해 독립적으로 얻은 노드(1120)에 대한 어느 다른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종단 장치(1102)가 실제로 알림(1124)을 보내는 것을 보장하고, 정보가 본래 노드(1120)에 의해 제공된 것을 보장하는 것 등의 목적으로, 알림(1124)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서명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알림(1124)에 근거하여 많은 수의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어 블록체인 서버(1116), 다른 장치 등)가 수신기(1120)에 대한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서버(1116) 또는 그와 함께 통신하고 있는 또 다른 장치(예를 들어 전력 송신기 등)는 알림(1124)에 포함된 정보를 위한 검증자(validator)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로컬 검증자는 공개 키 분산을 제한하기 위해 검증을 구하고 있는 장치(예를 들어 전력 송신기 1, 수신기 A 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체예에서는 독립형(standalone) 검증자가 검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알림(1124)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검증자는 알림(1124)에 있는 디지털 서명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공개 키를 사용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알림(1124)이 신뢰할 수 있는 전력 송신기(1102)로부터 발송되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블록체인에서 수신기(1120)에 대해 이미 공지되었을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검증자가 수신기(1120)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에 비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서버(1116)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서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그리고 검증에 근거하여 블록체인에 수신기(1120)에 관한 상세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다른 노드/장치 또한 블록체인을 통해서 수신기(1120)에 대한 정보에 접속할 수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수신기(1120)가 다른 로컬 네트워크로 이송할 때, 블록체인의 분산은 이상을 탐지하고(예를 들어 프로파일 정보 또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수신기(1120)에 관한 다른 행동 정보를 수신기(1120)의 관찰된 행동에 비교하는 것으로) 그리고 수신기(1120)에 대한 공유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모든 노드/장치가 수신기(1120)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신기(1102)에 수신기(1120)를 등록했을 때, 수신기(1120)는 전력 송신기(1102)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결과적으로 야기된 전력의 변화 및 수신기(1120)의 전력 수준에 관련된 모든 유사한 업데이트는 블록체인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블록체인으로의 업데이트는 전력 송신기(11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신기(1120) 또한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는 수신기(1120)가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력의 변화 및 수신기(1120)의 전력 수준에 관련된 모든 유사한 업데이트는 중계 장치에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 블록체인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체예에서는 블록체인이 하나 이상의 수신기의 전력 수준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상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호스트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수신기가 연결되었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력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의 전력 수준을 끊임없이 회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만약 하나 이상의 수신기가 사전에 결정된 전력 수준 이하일 경우, 블록체인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호스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체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가 네트워크에 계속 연결되어 있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 수준을 가지고 있지 않을 가능성 때문에 블록체인이 네트워크 상의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호스트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가 블록체인을 호스트하기 위해 전원을 유지할 만큼 충분한 전력 수준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접속할 수 없을 수 있는 신뢰할 수 없는 블록체인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한 구체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관된 암호화폐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 토큰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수신기는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력 송신기와 연관된 지갑에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를 전송해야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력 송신기의 하나 이상의 지갑에 이체되어야 하는 토큰의 수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가 수신해야 하는 전력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의 이체에 대한 상세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여러 구체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수신기 검증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202)는 수신기(1120)(노드 F)의 제조사와 연관되었을 수 있고 그리고 서버(1202)는 블록체인에서 높은 수준의 신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서버(1202)는 판매 거래의 일부로서 수신기(1120)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블록체인(예를 들어 블록체인(1204))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2)는 수신기(1120)가 1234라는 ID를 가질 수 있고, 노드 유형 XYZ이고, 그리고 ABS 도메인에 판매되었다는 것을 기록할 수 있는 블록체인 업데이트를 보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서버(1202)는 개인 키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디지털 서명할 수도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검증자가 업데이트가 서버(1202)에 의해 실행되었다는 것을 서버(1202)의 해당되는 공개 키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검증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120)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력 송신기(1102)의 로컬 도메인에 등록을 시도한다. 수신기(1120)로부터의 등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력 송신기(1102)는 등록 요청으로부터의 정보 및/또는 송신기/라우터(1102)의 로컬 도메인의 신원과 같은 수신기(1120)에 관한 어느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알림(1208)은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네트워크 등록 트랜잭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신기(1102)는 수신기(1120)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기존의 상세 정보와 같은, 블록체인에 이미 사용할 수 있는 어느 기존의 상세 정보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수신기(1120)로부터의 정보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수신기(1120)가 전력 송신기(1102)의 로컬 도메인에 등록되었을 때, 전력 송신기(1102)는 그에 따라 수신기(1120)와 관련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2c는 수신기(1120)에 대한 신뢰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검증자에 의한 블록체인에 대해 전력 송신기(1102)로부터의 알림(1208)에 존재하는 정보의 비교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서버(1202)는 수신기(1120)의 제조사가 특정한 도메인의 오퍼레이터에게 수신기(1120)를 판매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한다. 그 다음에 검증자는 두 도메인에 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알림(1208)에 보고된 도메인을 기존의 블록체인에 대해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비교된 정보에서 일치 사항을 발견했을 경우, 검증자는 알림(1208)의 정보로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그리고 블록체인에 있는 노드(1120)에 대해 높은 신뢰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1208)에 보고된 도메인이 블록체인에 저장된 기존의 정보와 다를 경우, 검증자는 보고된 도메인과 블록체인에 있는 수신기(1120)에 대한 기존의 정보 사이에 불일치 사항이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검증자는 블록체인에 근거하여 수신기(1120)가 블록체인에 있는 수신기(1120)의 제조사에 의해 이전에 보고된 도메인과 다를 수 있는 도메인에 등록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검증자는 수신기(1120)에 대한 정보로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상기의 불일치 때문에 수신기(1120)에 낮은 신뢰 수준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있는 검증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의 행동을 제어하고 분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관하여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증자 장치는 낮은 신뢰 수준을 가진 수신기가 특정 기능(예를 들어 특정 기기와의 통신 등)을 실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 있어서 특정한 수신기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장치는 요청하는 수신기를 인증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다. 인증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장치는 요청의 처리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서는 블록체인이 하나 이상의 수신기의 위치 프로파일 또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관한 다른 관측과 같은 특정한 수신기에 관한 행동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일부 구체에에서 네트워크에 있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의 현재 행동이 변칙적이거나 또는 달리 예상 밖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행동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여러 구체예에 따라 요청을 인증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수신기(1120)가 전력 송신기와 연관된 로컬 네트워크에 등록될 경우, 수신기(1120)는 하나 이상의 요청 또는 메시지(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보고 등)를 같은 로컬 네트워크에 있거나 또는 원격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1120)가 전력 송신기와 연관된 원격 네트워크에 있는 수신기(1114)에 요청(1302)을 보낼 경우, 수신기(1120)는 요청(1302)의 일부로서 공개 키 또한 보내거나 또는 달리 공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1114)는 수신기(1120)에 수신기(1120)의 공개 키를 요구할 수 있고, 수신기(1120)는 해당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기반의 응답을 통해서 상기 공개 키를 보낼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114)는 수신기(1120)에 관한 블록체인에 있는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 수신기(1120)로부터의 공개 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1114)는 블록체인(1304)에 있는 수신기(1120)에 관하여 디지털 서명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해 공개 키를 사용하는 것으로 수신기(1120)의 신원을 검증 및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수신기(1114)가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 수신기(1114)는 요청(1302)을 취소하거나, 감시 장치(supervisory device)에 경계 경보를 전송하는 것 등과 같은 어느 교정 조치라도 취할 수 있다. 역으로 만약 수신기(1114)가 수신기(1120)의 신원을 인증할 수 있을 경우, 수신기(1114)는 수신기(1120)와의 데이터 세션(data session)을 승인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신기(1114)는 블록체인에 있는 수신기(1120)의 신뢰 수준을 더 분석할 수 있고 그리고 수신기(1120)로부터의 어느 데이터에 대해 더 낮은 무게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여러 구체예에 따라 인증, 식별, 및 검증을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120)는 전력 라우터 장치(1102)의 로컬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전력 송신기(1102)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장치는 수신기(1120)의 관측된 행동을 나타내기 위해 블록체인을 적절할 때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송신기(1102)는 수신기(1120)의 위치 프로파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수신기(1120)가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전송된 데이터의 크기,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 등). 그 다음에 전력 송신기(1102)는 수신기(1120)의 관측된 위치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는 블록체인 업데이트(1402)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120)가 나중에 다른 로컬 네트워크로 이송할 경우, 예를 들어 만약 수신기(1120)가 모바일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경우, 수신기(1120)는 전력 송신기(1102)의 로컬 네트워크로부터 멀어지고 그리고 전력 송신기(1104)의 로컬 네트워크에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상기 수신기(1120)는 전력 송신기(1104)의 로컬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이 이송의 일부로서 전력 송신기(F)의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는 상기 수신기가 이전에 전력 송신기(1102)의 로컬 도메인에 등록되었던 수신기(1120)였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수신기(1120)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에 있는 디지털 서명된 정보를 해독하는 것 등으로). 일부 구체예에서는 변칙적인 여건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전력 송신기(1104)가 수신기(1120)에 관하여 블록체인에 있는 어느 행동 정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1120)가 전력 송신기의 로컬 네트워크에 등록된 후, 전력 송신기(2)는 수신기(1120)의 위치 프로파일을 관측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전력 송신기(1104)는 관측된 위치 프로파일을 전력 송신기(1102)에 의해 블록체인에서 이전에 기록된 것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위치 프로파일에서 불일치 사항이 발견될 경우, 전력 송신기(1104)는 변칙이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어느 교정 조치라도 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위치 차단, 알림 전송 등). 예를 들어 만약 수신기(1120)가 센서라면 그는 센서 데이터를 매 시간마다 특정한 서비스에 보낸다. 만약 수신기(1120)가 정기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갑자기 중단하거나, 또는 센서 데이터를 다른 서비스에 보낼 경우, 전력 송신기(1104)는 수신기(1120)가 비정상적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블록체인에 있는 위치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교정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5는 일부 구체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있는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 방법(1500)의 플로 차트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특화된 컴퓨터 장치는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150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송신기는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1500)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1500)은 단계 1504에서 시작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의 도면과 함께 더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전력 송신기가 특정한 수신기로부터 네트워크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단계 1504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액츄에이터, 또는 IoT 노드 등은 전력 송신기의 로컬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여러 구체예에서 등록 요청은 수신기 유형(예를 들어 센서 유형 등), 그룹 식별자, 고유 수신기 식별자, 수신기가 등록을 요청하는 네트워크의 표시, 또는 특정한 수신기에 대한 어느 다른 정보와 같은 특정한 수신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수신기는 요청에 디지털 서명 또한 적용시킬 수 있고, 이는 상기 장치 또는 어느 다른 관심 장치가 해당되는 수신기의 공개 키를 사용하는 것으로 요청의 내용을 해독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단계 1506에서 상기 전력 송신기는 수신기에 대한 정보의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검증 실행을 야기할 수 있다. 여러 구체예에서 상기 블록체인은 특정한 수신기 및 많은 수의 다른 수신기에 관한 수신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서는, 특정한 수신기의 제조사가 특정한 수신기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최초 진입(initial entry)을 블록체인에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수신기 정보의 검증은 등록 요청으로부터의 정보를 블록체인에 있는 수신기에 대한 어느 기존의 정보와 비교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는 전력 송신기 그 자체가 상기 검증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전력 송신기가 블록체인 서버, 전담 검증 장치(devoted validation device) 등과 같은 다른 검증 장치가 검증을 실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단계 1508에서 상기 전력 송신기는 단계 1506에서의 검증 및 단계 1504에서 수신된 수신기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블록체인으로의 업데이트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전력 송신기가 송신기/라우터일 경우, 상기 라우터는 특정한 수신기가 라우터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블록체인의 업데이트를 야기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특정한 수신기의 신뢰 수준은 상기 업데이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수신기에 대한 특정 정보가 블록체인에 있는 것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블록체인으로의 업데이트는 상기 수신기에 대한 낮은 신뢰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단계 1510에서 상기 전력 송신기는 특정한 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수신기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블록체인이 특정한 수신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잠재적으로 부가적인 수신기에 관한 메타데이터(예를 들어 수신기의 위치 프로파일 등)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전력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가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 식별 및/또는 부가적인 메타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전력 송신기는 그의 로컬 네트워크로부터 송신기가 이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전력 송신기가 블록체인에 근거하여 수신기의 트래픽 흐름을 국한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전력 송신기가 변칙 여건을 탐지하기 위해 블록체인에 있는 수신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상기 방법(1500)은 단계 1512에서 종료될 수 있다.
상기 방법(1500) 내에 있는 특정 단계들이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선택적일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단계들은 단순히 실례를 사용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고, 원하는 대로 어떤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외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가 도시되었으나, 이 순서는 단순히 예시적일 뿐이고, 그리고 본원의 구체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상기 단계들의 어느 적합한 배열이라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기법은 노드 신원 정보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노드에 대한 다른 메타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관점에서는 전력 송신기/라우터 노드가 노드 대신에 블록체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프록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는 저전력 장치가 자원을 아낄 수 있게 한다. 다른 관점에서는 검증자가 노드에 대한 어느 새로운 정보라도 검증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블록체인에 있는 특정한 노드에 대한 기존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노드 또한 로컬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 노드의 이동, 노드의 신원 확인, 변칙 탐지 실행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블록체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기기 정보를 전하기 위한 블록체인의 용도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구체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원의 구체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다양한 번안 및 변형을 만들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체예는 특정 네트워크 구성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그리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더 넓은 의미에서 구체예는 그렇게까지 제한적이지 않고, 그리고 실제로 다른 유형의 공유 매체 네트워크 및/또는 프로토콜(예를 들어 무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특정 기능들이 특정 기기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묘사되는 반면, 다른 구체예들은 이 기능들이 하나 이상의 장치에 바람직하게 분산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의 설명은 구체적인 구체예를 다룬다. 그러나 기술된 구체예의 일부 또는 모든 이점을 달성하면서도 기술된 구체예에 다른 변형 및 변경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구성요소 및/또는 요소가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을 갖는 유형(비일시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디스크/CD/RAM/EEPROM 등)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게 고려된다. 그에 따라 이 설명은 예시로서 받아들여져야 하고 그리고 본원의 구체예의 범위를 달리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의 목적은 본원의 구체예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의 그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수많은 가능한 변경 및 변형을 만들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트랜시버(receiver transceiver);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수신기 처리 장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저장 장치; 및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전력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무전 전력 전송을 수신하고;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수신기가 수신 가능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능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입력 포트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 출력 포트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특성 데이터가 수신기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상기 수신기 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상기 수신기를 인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가 송신기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가 상기 송신기 인증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를 인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것이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인증을 근거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가 음성 명령을 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가:
    상기 음성 명령을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음성 명령의 분석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무선 통신을 개시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이 테라헤르츠 방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트랜시버와 페어링하고; 그리고
    상기 페어링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 연결을 성립하도록 더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의 무선 전력 전송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연결을 근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가 수신기의 유형, 상기 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거리, 및 상기 수신기가 요청한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거리 및 수신기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송신기 유형,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와 연관된 전송 전력 수준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송신기 유형, 전송 전력 수준, 및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전력 전송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전력 수준 각각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구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가 수신기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상기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발생하는 부하의 측정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거리를 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가 제1 주파수대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기 트랜시버 및 제2 주파수대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기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신기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대는 테라헤르츠 주파수보다 더 낮은 주파수인 것이 특징이고, 상기 제2 주파수대는 테라헤르츠 주파수인 것이 특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가 무선 전력 전송을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특성 데이터의 분석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기가 전송 가능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의 능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수신기 사이의 무선 전력 전송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분석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분석에 근거하여 알림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가 상기 수신기와 연관된 사용자 장치에 알림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분석에 근거하여 무선 전력 전송의 비정상적 상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가 입력을 상기 수신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무선 전력 수신은 상기 입력을 근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가 등록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등록 요청은 고유 수신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무선 전력 전송과 연관된 분산된 블록체인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상기 등록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등록 요청의 분석에 근거하여 상기 분산된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고; 그리고
    등록 응답을 상기 수신기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 트랜시버는 상기 등록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도메인과 연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상기 등록 요청을 상기 도메인과 연관된 분산된 블록체인에 비교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등록 응답의 전송이 상기 비교를 근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특정 데이터가 고유 수신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요청에 근거하여 분산된 블록체인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수신기를 인증하고; 그리고
    상기 인증에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이 상기 승인을 근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된 블록체인이 상기 수신기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의 인증이 상기 신뢰 수준을 근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수신기 사이의 무선 전력 전송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분산된 블록체인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상기 분산된 블록체인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회수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분석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기의 행동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상기 행동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기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기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분산된 블록체인에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수신기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요청은 지리적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가 상기 수신기의 지리적 위치를 상기 분산된 블록체인에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20207012150A 2017-10-09 2018-10-09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 KR102269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69722P 2017-10-09 2017-10-09
US62/569,722 2017-10-09
PCT/IB2018/057826 WO2019073390A1 (en) 2017-10-09 2018-10-09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WIRELESS ENERGY RECEP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315A true KR20200069315A (ko) 2020-06-16
KR102269749B1 KR102269749B1 (ko) 2021-06-29

Family

ID=6610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150A KR102269749B1 (ko) 2017-10-09 2018-10-09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44296B2 (ko)
EP (1) EP3673560B1 (ko)
JP (1) JP6913897B2 (ko)
KR (1) KR102269749B1 (ko)
CN (1) CN111201693B (ko)
DK (1) DK3673560T3 (ko)
ES (1) ES2907010T3 (ko)
HR (1) HRP20220279T1 (ko)
SG (1) SG11202002869XA (ko)
WO (1) WO2019073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10706373B2 (en) 2011-06-03 2020-07-07 Apple Inc. Performing actions associated with task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CN104969289B (zh) 2013-02-07 2021-05-28 苹果公司 数字助理的语音触发器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7A1 (en) 2017-05-12 2018-12-20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11735960B2 (en) 2017-10-09 2023-08-22 Voice Life FZCO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wireless energy transmissions
US11171521B2 (en) 2018-04-03 2021-11-09 Voice Life Inc.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wireless energy reception
US11545855B2 (en) 2017-10-09 2023-01-03 Voice Life Inc.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transaction of energy wirelessly received by the receiver device
JP6816699B2 (ja) * 2017-10-19 2021-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機及び認証システム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AU2019249357A1 (en) * 2018-04-03 2020-10-29 Voice Life Inc.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wireless power reception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1316385B2 (en) * 2018-11-27 2022-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11178151B2 (en) * 2018-12-19 2021-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entralized database identity management system
US11601787B2 (en) 2018-12-31 2023-03-07 T-Mobile Usa, Inc. Using a blockchain to determine trustworthiness of messages between vehicles over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1039317B2 (en) * 2018-12-31 2021-06-15 T-Mobile Usa, Inc. Using a blockchain to determine trustworthiness of message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for a smart city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973894B2 (en) 2019-04-30 2024-04-30 Apple Inc. Utilizing context inform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DK201970510A1 (en) 2019-05-31 2021-02-11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US11227599B2 (en) 2019-06-01 2022-01-18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20220263819A1 (en) * 2019-07-12 2022-08-18 Lg Electronics Inc. Mutual authentication and re-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ing same
JP2022545048A (ja) * 2019-08-16 2022-10-24 オカブ ディートリヒ インダク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電力取引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535113B2 (en) * 2020-05-05 2022-12-27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Transport battery recharging via virtual power plant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043220B1 (en) 2020-05-11 2021-06-22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TWI759794B (zh) * 2020-07-14 2022-04-01 淡江大學 物聯網無線充電感測器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CN112967149B (zh) * 2021-02-03 2024-01-26 广东电力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技术的多方电量统计信息共享方法及系统
TWI741958B (zh) * 2021-03-05 2021-10-01 國立陽明交通大學 最小功率輸入的控制方法
WO2023055820A1 (en) * 2021-09-29 2023-04-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ata transfer with energy harvesting
CN116010804B (zh) * 2023-02-01 2023-07-04 南京邮电大学 基于深度学习与知识迁移的物联网设备小样本识别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776A (ko) * 2006-05-12 2006-06-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ic칩
JP2012522483A (ja) * 2009-03-28 2012-09-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電力領域内での受信機デバイスの追跡
KR20140131216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US20160033254A1 (en) * 2014-07-31 2016-02-04 Ossia, Inc. Techniques for determining distance between radiating objects in multipath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9124B2 (en) * 2006-09-29 2010-11-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Wireless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battery,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wireless power storage device
US8159364B2 (en) * 2007-06-14 2012-04-17 Omnilectric,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P4725610B2 (ja) * 2008-07-16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JP4725612B2 (ja) * 2008-07-16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JP5359184B2 (ja) * 2008-10-22 2013-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US8290436B2 (en) * 2008-10-22 2012-10-16 Ncr Corporation Wireless self-service terminal audio lead through
US9312728B2 (en) * 2009-08-24 2016-04-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hysical and virtual identification in a wireless power network
JP2012205485A (ja) * 2011-03-28 2012-10-2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電子機器、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異常通知方法
KR101781650B1 (ko) * 2011-10-04 2017-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다중 충전을 위한 방법 및 전력 송신기
KR101951358B1 (ko) 2011-12-15 2019-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JP6053439B2 (ja) * 2012-10-05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537357B2 (en) * 2013-05-10 2017-01-03 Energous Corporation Wireless sound charging methods and systems for game controllers, based on pocket-forming
US9866279B2 (en) * 2013-05-10 2018-01-09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which power transmitter should deliver wireless power to a receiving device in a wireless power delivery network
US10103552B1 (en) * 2013-06-03 2018-10-16 Energous Corporation Protocols for authentic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U2656246C2 (ru) * 2013-06-04 2018-06-04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Беспроводная индуктивная передача энергии
US9774208B2 (en) * 2013-06-10 2017-09-26 Cellco Partnership NFC assisted wireless charging
JP6751223B2 (ja) * 2013-10-28 2020-09-02 京セラ株式会社 制御装置
CN103762724B (zh) * 2014-01-03 2017-09-0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无线能量传输方法和系统
JP6273040B2 (ja) * 2014-04-11 2018-01-3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電力送信機及び無線電力送信方法
EP4064521B1 (en) * 2015-03-10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JP6590497B2 (ja) * 2015-03-18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が行う制御方法、受電装置、受電装置が行う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81953A (ja) * 2015-03-23 2016-10-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送電装置及び受電装置
US10181760B2 (en) * 2015-10-19 2019-01-15 Ossia Inc. Techniques for authenticating devices in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EP3384473A1 (en) * 2015-12-03 2018-10-10 Innogy Innovation Gmbh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JP6700911B2 (ja) * 2016-03-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45715B2 (ja) * 2016-12-20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8717B1 (ko) * 2017-08-10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전력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776A (ko) * 2006-05-12 2006-06-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ic칩
JP2012522483A (ja) * 2009-03-28 2012-09-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電力領域内での受信機デバイスの追跡
KR20140131216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US20160033254A1 (en) * 2014-07-31 2016-02-04 Ossia, Inc. Techniques for determining distance between radiating objects in multipath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01693A (zh) 2020-05-26
CN111201693B (zh) 2022-06-10
EP3673560B1 (en) 2021-12-01
KR102269749B1 (ko) 2021-06-29
US10944296B2 (en) 2021-03-09
JP6913897B2 (ja) 2021-08-04
HRP20220279T1 (hr) 2022-05-13
WO2019073390A1 (en) 2019-04-18
ES2907010T3 (es) 2022-04-21
JP2020537471A (ja) 2020-12-17
DK3673560T3 (da) 2022-02-28
EP3673560A4 (en) 2020-09-02
EP3673560A1 (en) 2020-07-01
US20200044485A1 (en) 2020-02-06
SG11202002869XA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749B1 (ko)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
US11303159B2 (en)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wireless power reception
US11171521B2 (en)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wireless energy reception
US11545855B2 (en)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transaction of energy wirelessly received by the receiver device
WO2019127397A1 (en) Technologies for internet of things key management
KR101820323B1 (ko) 전력선 메시지를 사용한 보안 무선 장치 연결
CN109314705A (zh) 使用组加密密钥的用于大规模可伸缩动态多点虚拟私有网络的系统、装置和方法
US20230344271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harnessing terahertz electromagnetic waves for energy generation
WO2023038683A1 (en)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transaction of energy wirelessly received by the receiver device
WO2020099182A1 (en) Security parameter negoti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35960B2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wireless energy transmissions
WO2022146504A1 (en) A receiver device for facilitating wireless energy reception
US20230359498A1 (en) Orchestration of a Service
JP6698501B2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