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216A -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216A
KR20140131216A KR1020130050296A KR20130050296A KR20140131216A KR 20140131216 A KR20140131216 A KR 20140131216A KR 1020130050296 A KR1020130050296 A KR 1020130050296A KR 20130050296 A KR20130050296 A KR 20130050296A KR 20140131216 A KR20140131216 A KR 20140131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tter
signal
information
pow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866B1 (ko
Inventor
변강호
이경우
이호성
권혁춘
정수연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5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866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25324.9A priority patent/CN105210262B/zh
Priority to US14/265,861 priority patent/US10069348B2/en
Priority to CN201810362005.7A priority patent/CN108494074B/zh
Priority to EP19219528.7A priority patent/EP3661068B1/en
Priority to ES19219528T priority patent/ES2930500T3/es
Priority to PL19219528.7T priority patent/PL3661068T3/pl
Priority to EP14166667.7A priority patent/EP2800423B1/en
Priority to PCT/KR2014/003876 priority patent/WO2014178659A1/en
Publication of KR2014013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16A/ko
Priority to US16/058,582 priority patent/US10491053B2/en
Priority to US16/694,478 priority patent/US111281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rush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 신호에 포함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ACH THEREOF }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전기 면도기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과,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이 있다.
현재까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국내외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십 미터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공진 방식은, 2005년 MIT의 Soljacic 교수가 Coupled Mode Theory로 공진 방식 전력 전송 원리를 사용하여 충전장치와 몇 미터(m)나 떨어져 있어도 전기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MIT팀의 무선 충전시스템은 공명(resonance)이란 소리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켰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무선 충전 방식에 대한 연구는 근자에 들어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무선 충전 순위, 무선 전력 송/수신기의 검색, 무선 전력 송/수신기 사이의 통신 주파수 선택, 무선 전력 조정, 매칭 회로의 선택, 하나의 충전 싸이클에서의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통신 시간 분배 등에 대한 표준은 제언되고 있지 않다. 특히,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을 수신할 무선 전력 송신기를 선택하는 구성 및 절차에 대한 표준의 제언이 요구된다.
특히,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소정의 통신 방식의 스택을 수신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소정의 통신 방식의 스택을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 신호에 포함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 및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소정의 통신 방식의 스택을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 예들의 도면이다.
도 14 내지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핸들 값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무선으로 각각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인증된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하여서만 무선으로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전자기파 형태의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패킷(2-1,2-2,2-n)을 처리하거나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PDA, PMP,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공진 방식을 통하여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0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 전력제공장치(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cm 이하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나, 무선 전력 수신에 필요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정보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 제어 정보 등을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송신 신호의 정보에 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각각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에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disabled)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충전 기능의 디스에이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212) 및 통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252) 및 통신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요구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이를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여 교류 파형의 형태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내장된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일정한 교류 파형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아울러,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을 전자기파 형태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추가적으로 공진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의 전자기파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가 공진회로로 구현되는 경우, 공진회로의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L)는 변경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전력 송신부(211)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는 것은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제어부(212)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2)의 세부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통신부(253)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CSMA/CA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통신 방식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통신부(213)에서 수행하는 특정 통신 방식으로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213)는 상기 신호를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데이터 구조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하기의 프레임을 가지는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는 이하에서는 통지(Notice) 신호로 명명될 수도 있다.
frame type protocol version sequence number network ID RX to Report(schedule mask) Reserved Number of Rx
Notice 4bit 1 Byte 1Byte 1Byte 5bit 3bit
<표 1>에서의 프레임 타입(frame type)은 신호의 타입을 지시하는 필드로, <표 1>에서는 해당 신호가 통지(Notice) 신호임을 지시한다. 프로토콜 버전(protocol version) 필드는, 통신 방식의 프로토콜의 종류를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4 비트(bit)가 할당될 수 있다.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 필드는, 해당 신호의 순차적인 순서를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1 바이트(Byte)가 할당될 수 있다.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는, 예를 들어 신호의 송수신 단계에 대응하여 1씩 증가될 수 있다. 네트워크 ID(network ID) 필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를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1 바이트가 할당될 수 있다. 보고를 위한 수신기(Rx to Report)(schedule mask) 필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 보고를 수행할 무선 전력 수신기들을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1 바이트가 할당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보고를 위한 수신기(Rx to Report)(schedule mask) 필드이다.
Rx to Report(schedule mask)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1 0 0 0 0 1 1 1
여기에서, Rx1 내지 Rx8은 무선 전력 수신기 1 내지 8에 대응할 수 있다. 보고를 위한 수신기(Rx to Report)(schedule mask) 필드는 스케쥴 마스크의 번호가 1로 표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리저브드(Reserved) 필드는, 향후의 이용을 위하여 예약된 필드로 예를 들어 5Byte가 할당될 수 있다. Number of Rx 필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 주위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개수를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3 비트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무선 전력 수신부(251)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전력 정보는 유선 충전 단자의 인입, SA 모드로부터 NSA 모드로의 전환, 에러 상황 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미도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3)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술한 표 1의 프레임의 Notic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전력 송신부(211) 및 통신부(213)가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아웃-밴드(out-band) 형식으로 통신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 송신부(211) 및 통신부(213)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인-밴드(in-band)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주관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로의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가입과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한 충전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과정은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 구동부(214), 증폭부(215) 및 매칭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 및 통신부(252,253), 정류부(254), DC/DC 컨버터부(255), 스위치부(256) 및 로드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4)는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214)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의 전압 값은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2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는 증폭부(215)로 출력될 수 있다. 증폭부(215)는 기설정된 이득으로 직류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증폭부(215)는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216)로부터 바라본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출력 전력이 고효율 또는 고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의 제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입력된 교류 전력을 전력 수신부(251)로 송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 및 전력 수신부(251)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는 6.78MHz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측의 제어부 및 통신부(252,25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방향 2.4GHz 주파수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수신부(251)는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부(254)는 전력 수신부(251)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지 다이오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255)는 정류된 전력을 기설정된 이득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255)는 출력단(259)의 전압이 5V가 되도록 정류된 전력을 컨버팅할 수 있다. 한편, DC/DC 컨버터부(255)의 전단(258)에는 인가될 수 있는 전압의 최솟값 및 최댓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DC/DC 컨버터부(255) 및 로드부(257)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제어부(252)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드부(257)는 스위치부(256)가 온 상태인 경우에 DC/DC 컨버터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컨버팅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S401).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환경을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다(S402).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절약 모드(power save mode)에 진입할 수 있다(S403). 전력 절약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이종의 검출용 전력 비콘 각각을 각각의 주기로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도 6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검출용 전력 비콘(power beacon)(404,405)을 인가할 수 있으며,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각각의 전력 값의 크기는 상이할 수도 있다.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하여 통신부를 구동시켜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를 널(Null)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배치에 의한 로드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저전력 모드(S408)로 진입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에 대하여서도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S409).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PTU searching)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0).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BLE 기반의 Advertsement 신호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응답 신호(PRU Respnse)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1). 여기에서 응답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50) 사이의 연결(connection)을 형성(form)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스태틱(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2). 여기에서, PRU 스태틱(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PRU 스태틱 신호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관제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PTU 스태틱(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3).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TU 스태틱(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의 용량(capability)을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PRU 스태틱(static) 신호 및 PTU 스태틱(static) 신호를 송수신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S414,S415).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정류부 후단의 전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부트(Boot) 상태(S427)라고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하고(S416),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인 PRU 제어(PRU control)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7). 전력 송신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RU 제어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충전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정보 및 허여(permiss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경우에 송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주기, 예를 들어 250ms의 주기로 송신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설정을 변경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8,S419).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송신하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전압, 전류,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온(On)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표 3>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eld octets description use units
optional fields 1 defines which optional fields are populated mandatory
Vrect 2 voltage at diode output mandatory mV
Irect 2 current at diode output mandatory mA
Vout 2 voltage at charge/battery port optional mV
Iout 2 current at charge/battery port optional mA
temperature 1 temperature of PRU optional Deg C from -40C
Vrect min dyn 2 Vrect low limit(dynamic value) optional mV
Vrect set dyn 2 desired Vrect (dynamic value) optional mV
Vrect high dyn 2 Vrect high limit (dynamic value) optional mV
PRU alert 1 warnings mandatory Bit field
RFU 3 undefined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표 3에서와 같이 선택적 필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류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소 전압값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적 전압값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 및 경고 정보(PRU ale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 정보는 하기의 표 4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7 6 5 4 3 2 1 0
over voltage over current over temperature charge complete TA detect transition restart request RFU
경고 정보는, 표 4와 같이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유선 충전 단자 인입 감지(TA detect), SA 모드/ NSA 모드 전환(transition), 재충전 요청(restart request) 등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를 충전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가지는 경우 충전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PRU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PRU 제어 신호는 충전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송신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250ms 마다 송신될 수 있거나, 파라미터 변경이 있을 때 송신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기설정된 임계 시간, 예를 들어 1초 이내에는 송신되어야 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S420). 경고 신호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로 송신되거나 또는 PRU 경고(alert) 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표 3의 PRU 경고(alert) 필드에 에러 상황을 반영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상황을 지시하는 단독 경고 신호(예컨대, PRU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래치 실패(Latch faul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22).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널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S42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제어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5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5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5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2 검출 전력(601,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6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601,6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동일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동일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은 가장 소형의 무선 전력 수신기, 예를 들어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상이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이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 각각은 카테고리 1 내지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검출 전력(611)는 카테고리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2)는 카테고리 3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3)는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601,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601,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경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5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5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05).
한편, 임피던스가 변경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5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다만,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물체가 이물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물체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물체를 이물질로 결정할 수 있다.
이물질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latch faul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13). 반면, 이물질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N), 가입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519).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1 전력(631 내지 634)을 제 1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중에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이 회수되는 경우에는(S515-Y)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없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현재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가 에러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13). 한편,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517).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5의 제 2 전력(651,652) 및 제 3 전력(661 내지 665)을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된 경우에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에서 인가하는 전력에 기초한 임피던스 변경에 의거하여 이물질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5 및 6의 실시 예에서의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은 이물질의 배치일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의 배치 이외에도 다양한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기와 교차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의 경우에서도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교차 연결 발생 시,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요구되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수가 요구된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상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교차 연결을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교차 연결을 포함하는 에러 발생 시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제어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7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7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7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에서의 제 2 검출 전력(801,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812,813,814,8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8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801,8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811,812,813,814,8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811,812,813,814,8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811,812,813,814,8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811,812,813,814,8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801,8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801,8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812,813,814,8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812,813,814,8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8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경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7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7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05).
한편, 임피던스가 변경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7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09).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8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8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8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에서와 같이 충전 전력(821)을 인가할 수 있으며, 충전 전력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 모드에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러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준 지점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과전압 또는 과전류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온도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센싱 수단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기준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준 지점의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온도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에러가 도시되었지만, 에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에 대하여서도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사한 과정으로 동작함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713-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11).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713-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15).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과 같이 제 1 전력(831 내지 835)를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 동안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에러 발생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71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15). 한편,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71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719).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의 제 2 전력(851,852) 및 제 3 전력(861 내지 865)을 인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제어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9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추가적으로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무선 전력 네트워크로 가입시킬 수 있다(S903).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에도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905).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가 요구하는 충전 전력의 합계를 전력 수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의 S901 단계 내지 S905 단계에 대한 일 실시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1001,1002) 및 제 3 검출 전력(1011 내지 1015)을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고, 검출 전력(1020)을 유지하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충전 전력(1030)을 인가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시킬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합계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2 충전 전력(1040)을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양자에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S905), 에러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S907). 여기에서, 에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치,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9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충전 전력(1040)의 인가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9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909).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10의 제 1 전력(1051 내지 1055)를 제 1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9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1051 내지 1055)의 인가 중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가 초기 수치로 복귀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면(S9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913).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10과 같이 제 2 검출 전력(1061,1062) 및 제 3 검출 전력(1071 내지 1075)을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충전 전력을 인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에러 발생 시 용이하게 무선 전력 수신기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1100)는 통신부(111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1120) 및 공진기(resonator)(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50)는 통신부(115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1152), 전력 관리 집적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1153), 무선 전력 집적회로(Wireless Power Integrated Circuit; WPIC)(1154), 공진기(resonator)(1155),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집적회로(Interface Power Management IC; IFPM)(1157), 유선 충전 어댑터(Travel Adapter; TA)(1158) 및 배터리(115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0)는 통신부(1151)와 소정의 방식, 예를 들어 BLE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통신부(1151)는 표 3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1100)의 통신부(11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전압 정보,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및 경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의 출력 전력 값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에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가 인가되면,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전압 또는 전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증가될 수 있다.
공진기(1130)로부터의 충전 전력은 공진기(1155)에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공진기(1155)로부터 수신된 충전 전력을 정류하고, DC/DC 컨버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컨버팅된 전력을 통신부(1151)를 구동하거나 또는 배터리(1159)를 충전하도록 한다.
한편,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는 유선 충전 단자가 인입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어댑터(1158)는 30핀 커넥터 또는 USB 커넥터 등의 유선 충전 단자가 인입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159)를 충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7)는 유선 충전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처리하여 배터리(1159) 및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로 출력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는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 또는 유선으로 수신된 전력과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구성 요소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AP(1152)는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보고하기 위한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5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에 연결되는 노드(1156)에는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도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 유선 충전 커넥터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노드(1156)에 기설정된 전압, 예를 들어 5V가 인가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노드(1156)에 인가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유선 충전 어댑터의 인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1150)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방식에서 ATT의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ATT는 단말을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로 분류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의 전달을 정의한 프로토콜이다. 데이터를 전달을 위해서 클라이언트는 통신패킷 마다 할당된 핸들(handle) 값을 인지하여야만 한다. 이 핸들 값은 서버가 결정할 수 있으며, 서버들은 같은 종류의 통신패킷에 대하여 다른 핸들 값을 정의할 수 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통신 연결이 형성되면,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핸들 값을 요청하여 핸들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클라이언트는 서버와 리드(Read) 또는 라이트(Write) 등 통신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비교 예들의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2의 비교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연결(connection) 절차에서,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 및 연결 요청(connection req)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의 신호들의 교환에 의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connection)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무선 전력 수신기(PRU)에 ATT Read by Type Req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ATT Read by Type Req 신호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방식에서 기정의된 UUID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ATT Read by Type Resp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PTU)로 송신할 수 있다. ATT Read by Type Resp 신호는 핸들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ATT Read by Type Resp 신호 및 ATT Read by Type Resp 신호의 송수신에 기초하여, 하나의 신호에 대한 핸들 값을 무선 전력 송신기(PTU)가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비교 예에 의한 도 13의 핸들 값 획득 방법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우선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연결이 형성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방식에서 정의된 GATT Service discovery 및 GATT characteristic Discovery Procedure에 의하여 핸들 값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도 12 및 도 13에 의한 비교 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PTU)가 통신 연결이 형성되고도 소정의 시간 동안 핸들 값을 획득하여, 이에 따른 통신 지연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핸들 값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및 도 13의 비교와는 대조적으로, 도 14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 형성 과정에서, 핸들 값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무선 전력 송신기(PTU)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는 미리 설정된 UUID에 대한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에 핸들 값 10을 부여하고,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B에 핸들 값 12를 부여하고,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C에 핸들 값 14를 부여하고,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D에 핸들 값 16을 부여하는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핸들 값은 소정의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값으로,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 식별자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에 포함된 핸들 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Connection Req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통신 연결 형성 과정에서, 핸들 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이후에 Read 신호, Read Response 신호 또는 write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획득한 핸들 값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의 Read 신호, Read Response 신호 또는 write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핸들 값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 형성 과정에서, 핸들 값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무선 전력 송신기(PTU)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는 미리 설정된 UUID에 대한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에 핸들 값 10을 부여하는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에 포함된 핸들 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수신한 핸들 값 및 기저장된 연산 규칙에 기초하여 UUID에 대하여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무선 전력 수신기(PRU)로부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의 핸들 값이 10이라는 핸들 값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로부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B,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C,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D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2를 더하여 핸들 값을 부여하는 연산 규칙을 기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B에 12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으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C에 14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으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D에 16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Connection Req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통신 연결 형성 과정에서, 핸들 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이후에 Read 신호, Read Response 신호 또는 write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획득하며, 생성한 핸들 값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의 Read 신호, Read Response 신호 또는 write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핸들 값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 형성 과정에서, 핸들 값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무선 전력 송신기(PTU)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는 미리 설정된 UUID에 대한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에 핸들 값 10을 부여하고, 이후의 캐릭터리스틱에 대하여 부여하는 핸들 값의 차이가 3, 3, 3이라는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에 포함된 핸들 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초기 캐릭터리스틱에 대한 핸들 값 및 이후 캐릭터리스틱의 핸들 값 차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초기 캐릭터리스틱에 대한 핸들 값 및 이후 캐릭터리스틱의 핸들 값 차이 정보에 기초하여 UUID에 대하여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무선 전력 수신기(PRU)로부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의 핸들 값이 10이라는 핸들 값 정보 및 이후의 캐릭터리스틱과의 차이가 3, 3, 3 이라는 핸들 값 차이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로부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B,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C,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D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3, 3, 3의 핸들 값 차이를 적용하여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B에 13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으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C에 16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으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D에 19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Connection Req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통신 연결 형성 과정에서, 핸들 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이후에 Read 신호, Read Response 신호 또는 write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획득하며, 생성한 핸들 값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의 Read 신호, Read Response 신호 또는 write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핸들 값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 형성 과정에서, 핸들 값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무선 전력 송신기(PTU)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는 핸들 값을 계산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실시 예에서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는 핸들 값 차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초기 캐릭터리스틱 이후의 캐릭터리스틱에 대하여 3, 3, 3의 핸들 값 차이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라는 핸들 값 차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핸들 값을 계산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Connection Req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PRU)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이 형성된 이후에, ATT Read By Type Req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PTU)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무선 전력 송신기(PTU)에 ATT Read by Type Resp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ATT Read by Type Resp 신호는 초기 캐릭터리스틱의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실시 예에서, ATT Read by Type Resp 신호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의 핸들 값이 10이라는 정보를 초기 캐릭터리스틱의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ATT Read by Type Resp 신호에 의하여 수신된 초기 캐릭터리스틱의 핸들 값 정보 및 통신 연결 형성 절차에서 수신된 핸들 값을 계산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나머지 캐릭터리스틱들에 대하여서도 핸들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무선 전력 수신기(PRU)로부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의 핸들 값이 10이라는 핸들 값 정보를 파악하고, 이후의 캐릭터리스틱과의 차이가 3, 3, 3 이라는 핸들 값 차이 정보에 기초하여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A 이후의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B,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C,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D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3, 3, 3의 핸들 값 차이를 적용하여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B에 13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으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C에 16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으며,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s) D에 19의 핸들 값을 부여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Connection Req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PTU) 및 무선 전력 수신기(PRU)는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통신 연결 형성 과정에서, 핸들 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이후에 Read 신호, Read Response 신호 또는 write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획득하며, 생성한 핸들 값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의 Read 신호, Read Response 신호 또는 write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핸들 값 차이 정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핸들 값 패턴 정보로 변경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 신호에 포함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 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저에너지 방식에서 설정된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UUID에 대한 핸들 값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UUID의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 각각에 대한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UUID의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의 핸들 값 정보 및 다른 캐릭터리스틱과의 핸들 값 차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UUID의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의 핸들 값 정보 및 다른 캐릭터리스틱과의 핸들 값 차이 정보에 기초하여, UUID의 전체 핸들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UUID의 핸들 값을 계산하는 연산 규칙을 기저장하는 단계; 및
    수신된 UUID에 대한 핸들 값 정보 및 상기 연산 규칙에 기초하여, UUID의 전체 핸들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캐릭터리스틱들 사이의 핸들 값 차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연결이 형성된 이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초기 캐릭터리스틱에 대한 핸들 값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캐릭터리스틱에 대한 핸들 값 정보 및 상기 캐릭터리스틱들 사이의 핸들 값 차이 정보에 기초하여, UUID의 전체 핸들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9.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 및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검색 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저에너지 방식에서 설정된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UUID에 대한 핸들 값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UUID의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 각각에 대한 핸들 값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UUID의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의 핸들 값 정보 및 다른 캐릭터리스틱과의 핸들 값 차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의 신호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캐릭터리스틱들 사이의 핸들 값 차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연결이 형성된 이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초기 캐릭터리스틱에 대한 핸들 값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50296A 2013-05-03 2013-05-03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05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296A KR102055866B1 (ko) 2013-05-03 2013-05-03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US14/265,861 US10069348B2 (en) 2013-05-03 2014-04-30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810362005.7A CN108494074B (zh) 2013-05-03 2014-04-30 无线功率发送器、无线功率接收器及其控制方法
EP19219528.7A EP3661068B1 (en) 2013-05-03 2014-04-30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480025324.9A CN105210262B (zh) 2013-05-03 2014-04-30 无线功率发送器、无线功率接收器及其控制方法
ES19219528T ES2930500T3 (es) 2013-05-03 2014-04-30 Transmisor de energía inalámbrica, receptor de energía inalámbrica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os mismos
PL19219528.7T PL3661068T3 (pl) 2013-05-03 2014-04-30 Nadajnik mocy przesyłanej bezprzewodowo, odbiornik mocy przesyłanej bezprzewodowo i sposób ich sterowania
EP14166667.7A EP2800423B1 (en) 2013-05-03 2014-04-30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4/003876 WO2014178659A1 (en) 2013-05-03 2014-04-30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058,582 US10491053B2 (en) 2013-05-03 2018-08-08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694,478 US11128182B2 (en) 2013-05-03 2019-11-25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296A KR102055866B1 (ko) 2013-05-03 2013-05-03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882A Division KR102079035B1 (ko) 2019-12-09 2019-12-09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16A true KR20140131216A (ko) 2014-11-12
KR102055866B1 KR102055866B1 (ko) 2019-12-13

Family

ID=5062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296A KR102055866B1 (ko) 2013-05-03 2013-05-03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069348B2 (ko)
EP (2) EP2800423B1 (ko)
KR (1) KR102055866B1 (ko)
CN (2) CN108494074B (ko)
ES (1) ES2930500T3 (ko)
PL (1) PL3661068T3 (ko)
WO (1) WO201417865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32A1 (ko) * 2014-12-16 2016-06-2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전력 전송 커버리지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6108646A1 (ko) * 2014-12-30 2016-07-07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le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018604A1 (ko) * 2015-07-26 2017-02-02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le(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여 대체 통신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160006A1 (ko) * 2016-03-15 2017-09-21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125643A (ko) * 2016-05-04 201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20200069315A (ko) * 2017-10-09 2020-06-16 보이스 라이프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
US11381121B2 (en) 2014-11-03 2022-07-05 Ge Hybrid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coverag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82B1 (ko) * 2014-01-23 2019-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108565920B (zh) * 2014-06-12 2021-07-2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系统、供电装置及飞行器
RU2017106629A (ru) 2014-08-03 2018-09-04 Поготек, Инк. Система носимых камер и устройств, а также способ прикрепления систем камер или других электронных устройств к носимым изделиям
US9635222B2 (en) 2014-08-03 2017-04-25 PogoTec, Inc. Wearable camera systems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 eyewear camera
JP6376919B2 (ja) * 2014-09-22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60157046A1 (en) * 2014-12-01 2016-06-02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ximity estimation
KR102026984B1 (ko) * 2014-12-15 2019-10-07 주식회사 위츠 무선 충전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BR112017013618A2 (pt) 2014-12-23 2018-06-19 Pogotec Inc câmeras, sistemas e métodos para receber energia sem fio
US20160285299A1 (en) * 2015-03-26 2016-09-2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wireless docking discovery
JP2018521345A (ja) 2015-06-10 2018-08-02 ポゴテック インクPogoTec, Inc. ウェアラブル電子機器用の磁気的トラックを備えたアイウェア
US10481417B2 (en) 2015-06-10 2019-11-19 PogoTec, Inc. Magnetic attachment mechanism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US10341787B2 (en) 2015-10-29 2019-07-02 PogoTec, Inc. Hearing aid adapted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JP6632326B2 (ja) 2015-10-29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553124B (zh) * 2016-02-01 2018-05-2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无线充电实现方法
US11558538B2 (en) 2016-03-18 2023-01-17 Opkix, Inc. Portable camera system
KR20170138271A (ko) * 2016-06-07 2017-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작 방법
TWI635756B (zh) * 2016-07-12 2018-09-11 立創智能股份有限公司 建立並監控低功耗藍牙無線網絡之方法
CN106602633A (zh) * 2016-08-15 2017-04-26 舒可士(深圳)科技有限公司 电动牙刷及其无线充电控制方法
JP6761316B2 (ja) * 2016-09-20 2020-09-23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3539285A4 (en) 2016-11-08 2020-09-02 Pogotec,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TELLIGENT BOX
CN107172572B (zh) * 2017-04-25 2018-07-31 西安梦贝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低功耗蓝牙的虚连接方法及利用该方法的无线充电协议
US10524110B1 (en) * 2018-09-19 2019-12-31 Roche Diabetes Care, Inc. Affirmative pair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s
US11300857B2 (en) 2018-11-13 2022-04-12 Opkix, Inc. Wearable mounts for portable camera
US11381328B2 (en) 2019-09-24 2022-07-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tection of variation in load impedance of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JP2023112458A (ja) * 2022-02-01 2023-08-14 豊田合成株式会社 送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412A (ko) * 2010-12-17 201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20130028011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8705B2 (ja) 2004-02-27 2009-09-09 均 北吉 Rfidタグ装置
KR100836634B1 (ko) 2006-10-24 2008-06-1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데이타 통신과 전력 전송이 가능한 무접점 충전장치,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충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KR100971737B1 (ko) 2007-11-30 2010-07-21 정춘길 멀티무접점충전시스템 및 제어방법
US9473209B2 (en) * 2008-08-20 2016-10-18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712324B2 (en) * 2008-09-26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Inductive signal transfer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US8922329B2 (en) * 2009-07-23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charging to extend battery life and improve efficiency
JP5387201B2 (ja) * 2009-07-23 2014-01-15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非接触中継装置、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方法
KR101711912B1 (ko) 2009-09-16 2017-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효율적인 무선 충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27101B2 (en) * 2009-11-18 2013-04-23 Nokia Corporation Wireless energy repeater
KR20110062841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장치
JP6000131B2 (ja) 2010-03-12 2016-09-2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端末の無線充電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端末
KR20110103297A (ko)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장치
TWI408861B (zh) * 2010-04-26 2013-09-1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Method of data transmission in induction power supply
US10079090B2 (en) * 2010-12-01 2018-09-18 Triune Systems, LLC Multiple coil data transmission system
US20120153739A1 (en) * 2010-12-21 2012-06-21 Cooper Emily B Range adaptation mechanism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054544B2 (en) * 2010-12-22 2015-06-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feed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feed system
JP5807215B2 (ja) * 2010-12-22 2015-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送信側機器ならびにスピーカ
US8824346B2 (en) 2011-02-2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Remote wakeup of application processor of mobile device
US20120223590A1 (en) 2011-03-02 2012-09-06 Qualcommm Incorporated Reducing heat dissipation in a wireless power receiver
JP5854640B2 (ja) * 2011-05-25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受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17360B1 (ko) 2011-10-04 2013-10-11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US9431844B2 (en) * 2012-04-03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control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US9755437B2 (en) * 2012-04-25 2017-09-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charging detection
US10186913B2 (en) * 2012-07-06 2019-01-22 Energou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pocket-forming based on constructive and destructive interferences to power one or more wireless power receivers us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CN102891219A (zh) 2012-10-15 2013-01-23 嘉友联精密机械工程(无锡)有限公司 太阳能电池串放置模板
JP6145864B2 (ja) * 2013-03-05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達装置
JP6230324B2 (ja) * 2013-08-05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76536B1 (en) * 2014-05-23 2018-01-23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groups of antennas to transmit wireless power to different wireless power receiv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412A (ko) * 2010-12-17 201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20130028011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1121B2 (en) 2014-11-03 2022-07-05 Ge Hybrid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coverag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WO2016099032A1 (ko) * 2014-12-16 2016-06-2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전력 전송 커버리지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936194B2 (en) 2014-12-16 2024-03-19 Ge Hybrid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coverag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WO2016108646A1 (ko) * 2014-12-30 2016-07-07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le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018604A1 (ko) * 2015-07-26 2017-02-02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le(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여 대체 통신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827391B2 (en) 2015-07-26 2020-1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substitute communication means by using bluetooth low energy (LE) technique
WO2017160006A1 (ko) * 2016-03-15 2017-09-21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90058506A1 (en) * 2016-03-15 2019-02-21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70125643A (ko) * 2016-05-04 201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20200069315A (ko) * 2017-10-09 2020-06-16 보이스 라이프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10262B (zh) 2018-05-11
CN108494074B (zh) 2021-09-07
EP2800423B1 (en) 2019-12-25
EP2800423A3 (en) 2015-01-07
EP3661068B1 (en) 2022-07-27
EP2800423A2 (en) 2014-11-05
US20140327319A1 (en) 2014-11-06
US20180375388A1 (en) 2018-12-27
KR102055866B1 (ko) 2019-12-13
WO2014178659A1 (en) 2014-11-06
PL3661068T3 (pl) 2022-12-19
ES2930500T3 (es) 2022-12-14
CN105210262A (zh) 2015-12-30
US10491053B2 (en) 2019-11-26
EP3661068A1 (en) 2020-06-03
US11128182B2 (en) 2021-09-21
US20200091781A1 (en) 2020-03-19
US10069348B2 (en) 2018-09-04
CN108494074A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86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180789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무선 전력 수신기 허가 방법
JP6820053B2 (ja) 無線電力送信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87962B1 (ko) 무선 충전에서 수신기 검출을 위한 로드 변화 감지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기
KR10178779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1807335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슬립 모드 설정 방법
KR102363633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102039350B1 (ko)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비정상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0335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02354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534961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10208009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충전 네트워크에서 응급 정보 전송 방법
KR10202845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20140143104A (ko) 무선 충전에서의 수신기 검출을 위한 로드 변화 발생 방법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50057536A (ko)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CN109699195B (zh) 无线电力发送器、无线电力接收器及其操作方法
KR20170035213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20170142085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903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