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673A - 공유 ai 스피커 - Google Patents

공유 ai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673A
KR20200067673A KR1020180154772A KR20180154772A KR20200067673A KR 20200067673 A KR20200067673 A KR 20200067673A KR 1020180154772 A KR1020180154772 A KR 1020180154772A KR 20180154772 A KR20180154772 A KR 20180154772A KR 20200067673 A KR20200067673 A KR 2020006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hared
speaker
biometr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상근 오
Original Assignee
(주)이더블유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더블유비엠 filed Critical (주)이더블유비엠
Priority to KR102018015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7673A/ko
Priority to PCT/KR2019/016940 priority patent/WO2020116900A1/ko
Priority to JP2021527117A priority patent/JP2022513436A/ja
Priority to US17/291,953 priority patent/US20220013130A1/en
Publication of KR2020006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4Training, enrolment or model buil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5Feedback of the input spee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공유 AI 스피커로서, 클라우드 상의 랄라잉 파티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 중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어 로컬 인증됨으로써 인증메시지가 상기 접속부에 입력되면, 상기 랄라잉 파티에 FIDO 인증을 도전하고, 인증응답을 받으면, 커런트 사용자를 결정하는 사용자 결정부와, 커런트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결정된 커런트 사용자의 등록된 자료에 따라, 응답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맞춤형 반응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유 AI 스피커 {SHARED AI LOUD SPEAKER}
본 발명은,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공유 AI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I 스피커가 알려져 있다. AI 스피커는, 자연언어 처리 등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이해하고, 빅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를 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응답을 소리로 출력하는 시스템이다.
AI 스피커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사용자를 구분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한 가정에서 할아버지가 명령을 하든, 6살 여자아이가 명령을 하든, AI 스피커는 사용자를 구분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여러 사람에 대해 사용자마다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는 없다.
한편, 사람의 성문에 따라 사용자를 구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실용상 우수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
하기 특허문헌에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모듈(211)과 서비스 제공에서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모듈(212)과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213)을 구비하는 사용자 하드웨어부(210); 상기 사용자 음성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호출어(wake-up-word)를 식별하는 호출어 식별부(220); 인공지능 스피커의 동작 모드로서 아이들 모드(idle mode)와 리퀘스트 대기모드(request standby mode)를 관리하는 동작모드 관리부(230)로서, 인공지능 스피커가 기동하면 동작 모드를 아이들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어 식별부(220)에 의해 호출어가 식별되면 동작 모드를 리퀘스트 대기모드로 진입 설정하며 미리 설정된 리퀘스트 대기시간의 종료 이벤트에 대응하여 동작 모드를 리퀘스트 대기모드로부터 아이들 모드로 되돌리는 동작모드 관리부(230); 동작 모드가 리퀘스트 대기모드인 동안에 상기 마이크 모듈(21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로 입력한 리퀘스트를 식별하는 리퀘스트 식별부(240); 동작 모드가 리퀘스트 대기모드인 동안에 상기 카메라 모듈(213)을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를 바라보고 있는 시선유지 이벤트를 식별하는 사용자 시선식별부(250); 동작 모드가 리퀘스트 대기모드인 동안에 상기 사용자 시선식별부(250)를 통해 시선유지 이벤트가 식별되면 상기 동작모드 관리부(230)를 제어하여 상기 리퀘스트 대기시간을 연장시키는 대화연속성 식별처리부(260); 상기 리퀘스트 식별부(240)에 의해 식별된 과거의 리퀘스트를 하나이상 임시 저장하는 리퀘스트 임시버퍼부(270); 상기 리퀘스트 임시버퍼부(270)에 임시 저장된 하나이상의 과거의 리퀘스트를 참조하면서 상기 리퀘스트 식별부(240)에 의해 식별된 현재의 리퀘스트의 내용을 연결 분석함으로써 상기 현재의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를 식별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212)을 통해 상기 식별된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 식별처리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선 인식에 의한 대화 연속성 식별 기반의 휴먼 인터페이스 처리형 인공지능 스피커'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개 10-2018-0116100 공보
그런데,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AI 스피커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어느 순간에 입력된 소리 데이터가 어느 사용자의 명령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성문에 의한 사용자 구분은 주변 잡음에 의해 SN비가 낮아서 실용상 사용할 수 없다. 상기 특허문헌의 기술에도 다수 사용자의 공유에 대한 기술은 개시도 시사도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AI 스피커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더라도, 어느 한 순간에 그 중 어느 사용자가 명령자인지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공유 AI 스피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느 명령자가 사용허가된 등록 사용자인지를 검증할 수 있는 공유 AI 스피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유 AI 스피커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공유 AI 스피커로서, 클라우드 상의 랄라잉 파티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 중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어 로컬 인증됨으로써 인증메시지가 상기 접속부에 입력되면, 상기 랄라잉 파티에 FIDO 인증을 도전하고, 인증응답을 받으면, 커런트 사용자를 결정하는 사용자 결정부와, 커런트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결정된 커런트 사용자의 등록된 자료에 따라, 응답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맞춤형 반응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등록된 자료는, 각 사용자마다 소정량이 상기 공유 AI 스피커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되어 있고, 상기 커런트 사용자가 결정되면, 상기 임시저장된 자료가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자료보다 우선 사용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사용자의 동작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 또는 다수의 정전용량 센서가 집합되어 이루어진 정전용량 센서 집합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결정부에서, 2 이상의 사용자의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에의 생체정보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재입력 촉구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AI 스피커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더라도, 어느 한 순간에 그 중 어느 사용자가 명령자인지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공유 AI 스피커가 제공된다.
그리고 어느 명령자가 사용허가된 등록 사용자인지를 검증할 수 있는 공유 AI 스피커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AI 스피커의 예시 시스템 블럭 다이어그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AI 스피커를 이용하는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재나 모듈이 다른 부재나 모듈의 전후좌우 상하에 연결된다 함은, 직접 연결되는 것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제3의 부재나 모듈이 끼워져서 개재되어 연결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나 모듈은, 그 기능을 분할하여 2 이상의 여러 부재나 모듈로 나뉘어 구현될 수 있고, 반대로, 각각 기능을 가지는 2 이상의 여러 부재나 모듈은, 그 기능을 통합하여 하나의 부재나 모듈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전자적 기능블럭은,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그 소프트웨어가 전기회로를 통해 하드웨어로 구현된 상태로 실현되어도 좋다.
<기본구성>
본 발명의 공유 AI 스피커(20)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공유 AI 스피커이다.
상기 공유 AI 스피커(20)는, 접속부(22)와, 사용자 결정부(24)와, 맞춤형 반응부(26)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22)는, 클라우드 상의 랄라잉 파티(30)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10)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구성부이다. 상기 접속부(22)는, 상기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로서, 양자는 예컨대 USB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져도 좋고, 예컨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져도 좋고, 기타 어떠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지더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결정부(24)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이 어느 사용자의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FIDO 인증에 의해 커런트 사용자를 결정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10) 중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어 로컬 인증됨으로써 인증메시지가 상기 접속부(22)에 입력되면, 상기 랄라잉 파티(30)에 FIDO 인증을 도전하고, 인증응답을 받으면, 그 사용자를 커런트 사용자로 결정하게 된다.
상기 맞춤형 반응부(26)는, 커런트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결정된 커런트 사용자의 등록된 자료에 따라, 응답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8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AI 스피커를 함께 이용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어느 한 순간에 음성명령을 인식해야 하는 사용자는 오직 하나로 결정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 사용자가 결정되면, 그 사용자의 연령, 성별, 사용빈도, 과거 대화내역 등을 참조하여, 현재의 음성명령에 대한 진의를 더욱 분명히 하여, 적절한 응답을 결정하고, 이를 출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AI 스피커를 공유하는 경우에, 어느 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해 그 사용자의 과거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응답을 적절히 출력할 수 있다.
<임시메모리>
이 경우에, 임시메모리(28)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등록된 자료는, 각 사용자마다 소정량이 상기 공유 AI 스피커의 메모리(28)에 임시저장되어 있고, 상기 커런트 사용자가 결정되면, 상기 임시저장된 자료가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자료보다 우선 사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메모리(28)는 버퍼 역할을 하며, 현재의 다수의 사용자들의 AI 처리를 위해 서버의 자료에 접속할 필요 없이, AI 스피커 자체에서 사용자의 과거 데이터를 불러내서, 그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응답을 즉시성 있게 행할 수 있다.
<동작인식 구성>
한편, 각 사용자의 동작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 또는 다수의 정전용량 센서가 집합되어 이루어진 정전용량 센서 집합체(29)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정전용량 센서는, 정전용량의 강약과 변화에 따라 검출치가 달라지는 정전용량 센서가 다수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어, 예컨대 사람의 신체 수분과 미약전류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사람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카메라나 정전용량 센서 집합체는, 다수의 사용자의 동작을 추적할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다수의 사용자가 체조나 요가 동작을 할 때, 어느 특정 사용자의 동작이 잘못된 경우에, 이를 AI 스피커가 패턴에 벗어난 것으로 판정하고, 경고메시지 또는 수정을 요하는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의 경합시 처리>
상기 사용자 결정부(24)에서, 2 이상의 사용자의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10)에의 생체정보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재입력 촉구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경합이 일어난 경우에, 명백하게 커런트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서로 인위적 순서를 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공유 AI 스피커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0: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
20: AI 스피커
22: 접속부
24: 사용자 결정부
26: 맞춤형 반응부
28: 임시메모리
29: 카메라 또는 정전용량 센서 집합체
30: 클라우드 상의 릴라잉 파티

Claims (4)

  1.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공유 AI 스피커로서,
    클라우드 상의 랄라잉 파티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 중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어 로컬 인증됨으로써 인증메시지가 상기 접속부에 입력되면, 상기 랄라잉 파티에 FIDO 인증을 도전하고, 인증응답을 받으면, 커런트 사용자를 결정하는 사용자 결정부와,
    커런트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결정된 커런트 사용자의 등록된 자료에 따라, 응답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맞춤형 반응부
    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AI 스피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등록된 자료는, 각 사용자마다 소정량이 상기 공유 AI 스피커의 메모리에 임시저장되어 있고,
    상기 커런트 사용자가 결정되면, 상기 임시저장된 자료가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자료보다 우선 사용됨
    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AI 스피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동작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 또는 다수의 정전용량 센서가 집합되어 이루어진 정전용량 센서 집합체가 더 구비됨
    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AI 스피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결정부에서, 2 이상의 사용자의 생체인식 FIDO 인증장치에의 생체정보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재입력 촉구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제어됨
    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AI 스피커.
KR1020180154772A 2018-12-04 2018-12-04 공유 ai 스피커 KR20200067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72A KR20200067673A (ko) 2018-12-04 2018-12-04 공유 ai 스피커
PCT/KR2019/016940 WO2020116900A1 (ko) 2018-12-04 2019-12-03 공유 ai 스피커
JP2021527117A JP2022513436A (ja) 2018-12-04 2019-12-03 共有aiスピーカー
US17/291,953 US20220013130A1 (en) 2018-12-04 2019-12-03 Shared ai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72A KR20200067673A (ko) 2018-12-04 2018-12-04 공유 ai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73A true KR20200067673A (ko) 2020-06-12

Family

ID=7097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772A KR20200067673A (ko) 2018-12-04 2018-12-04 공유 ai 스피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13130A1 (ko)
JP (1) JP2022513436A (ko)
KR (1) KR20200067673A (ko)
WO (1) WO2020116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182B1 (ko) * 2019-04-05 2020-07-17 주식회사 솔루게이트 성문인식을 통한 인공지능 스피커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100A (ko) 2017-04-16 2018-10-24 이상훈 시선 인식에 의한 대화 연속성 식별 기반의 휴먼 인터페이스 처리형 인공지능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704B1 (ko) * 2007-11-02 2009-07-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형 캐디를 이용한 골퍼자세교정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골퍼자세교정방법
KR20140015678A (ko) * 2012-07-06 2014-02-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피드백을 이용한 맞춤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JP6348831B2 (ja) * 2014-12-12 2018-06-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音声入力補助装置、音声入力補助システムおよび音声入力方法
KR102457811B1 (ko) * 2016-11-21 202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을 이용하여 송금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69559B1 (ko) * 2017-04-24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US11425118B2 (en) * 2018-08-06 2022-08-23 Giesecke+Devrient Mobile Security America, Inc. Centralized gateway server for providing access to ser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100A (ko) 2017-04-16 2018-10-24 이상훈 시선 인식에 의한 대화 연속성 식별 기반의 휴먼 인터페이스 처리형 인공지능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3130A1 (en) 2022-01-13
WO2020116900A1 (ko) 2020-06-11
JP2022513436A (ja)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978B2 (en) Operating method for voice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522154B2 (en) Voice signature for user authentication to electronic device
KR20190022109A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WO2019104698A1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多媒体设备及存储介质
US11765234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recording medium supporting task execution using external device
US20160021105A1 (en) Secure Voice Query Processing
WO2021008538A1 (zh) 语音交互方法及相关装置
CN106503786B (zh) 用于智能机器人的多模态交互方法和装置
CN111199032A (zh) 身份认证的方法以及装置
KR20230153385A (ko) 동적 분류기에 기초한 디바이스 동작
US20200043576A1 (en) Continuous user identity verification in clinical trials via voice-based user interface
KR20200067673A (ko) 공유 ai 스피커
CN113342170A (zh) 手势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WO2018117660A1 (en) Security enhanced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N111933137B (zh) 语音唤醒测试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介质和电子设备
WO2020087336A1 (zh) 一种移动平台的控制方法及控制设备
KR20180052858A (ko) 지능형 인형 및 그 동작 방법
CN114120603B (zh) 语音控制方法、耳机和存储介质
US11929079B2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user mod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90294766A1 (en) Authentication based on determined privacy level of command
CN114220420A (zh) 多模态语音唤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62184B2 (en) Authentication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KR20200063673A (ko) 복수의 태스크들을 스케줄링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68901A (ko) 차량의 hmi 모드 제공방법 및 장치
KR20230085791A (ko) 전자 장치 및 이에 의한 차량의 운전자의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