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620A -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620A
KR20200067620A KR1020180154666A KR20180154666A KR20200067620A KR 20200067620 A KR20200067620 A KR 20200067620A KR 1020180154666 A KR1020180154666 A KR 1020180154666A KR 20180154666 A KR20180154666 A KR 20180154666A KR 20200067620 A KR20200067620 A KR 2020006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rop
horizontal frame
blowing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영
Original Assignee
이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영 filed Critical 이남영
Priority to KR102018015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7620A/ko
Publication of KR2020006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2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by reversal of direction of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평프레임(11)을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5)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에 수평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물(2)은 통과되되 작물(2)보다 사이즈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는 거름망부재(2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거름망부재(20)를 수평왕복시키는 구동유닛(30);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거름망부재(20)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본체(10)의 타측으로 바람을 토출시키는 송풍유닛(40); 및 상기 구동수단(30) 및 송풍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부재(20)에서 걸러지지 않고 작물과 함께 거름망부재(20)의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이 상기 송풍유닛(40)에서 토출된 바람에 의해 본체(10)의 타측으로 이송되어 작물(2)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이다.

Description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An alien substance removal apparatus for crop}
본 발명은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들깨 등의 작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들깨 등과 같은 작물은 수확할 때 잎이나 돌, 흙과 같은 이물질 등이 들깨에 포함된 상태로 수확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들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대형 선풍기를 틀고 작업자가 삽으로 들깨를 퍼 올린 후 낙하시키면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이 선풍기 바람에 의해 날아가게 되어 이물질이 작물에서 제거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선풍기를 이용하여 들깨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선풍기 바람에 의해 이물질들이 날아가기는 하지만 선풍기 뒤의 공기는 선풍기로 빨려들어가기 때문에 날아가던 이물질들이 선풍기 뒤로 빨려들어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다시 삽으로 들깨를 퍼 올리게 되면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과 선풍기로 빨려들어간 이물질이 합쳐져서 오히려 이물질의 양이 증가되어 일부가 들깨로 다시 낙하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이물질 제거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작업자가 들깨를 계속적으로 퍼 올려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들깨 등의 작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보다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실내외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평프레임(11)을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5)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에 수평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물(2)은 통과되되 작물(2)보다 사이즈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는 거름망부재(2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거름망부재(20)를 수평왕복시키는 구동유닛(30);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거름망부재(20)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본체(10)의 타측으로 바람을 토출시키는 송풍유닛(40); 및 상기 구동수단(30) 및 송풍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부재(20)에서 걸러지지 않고 작물과 함께 거름망부재(20)의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이 상기 송풍유닛(40)에서 토출된 바람에 의해 본체(10)의 타측으로 이송되어 작물(2)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송풍유닛(40)은 상단이 본체(10)의 일측에 수평회동축(4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면에는 복수개의 송풍구(42)가 수평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송풍케이스(41)와, 이 송풍케이스(41)의 내부에 수용된 송풍팬(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 또는 송풍케이스(41)에 구비되어 송풍케이스(41)를 수평회동축(4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송풍각도조절수단(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직사각형의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된 4개의 지지다리(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11)의 폭방향 양단부에 위치된 각각 한 쌍의 지지다리(15) 사이를 막는 막음패널(70)이 더 구비되며, 이 막음패널(7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인접된 지지다리(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71)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막음패널(70)과 인접된 지지다리(15)에는 상기 막음패널(70)의 결합돌기(71) 또는 결합홈과 결합되는 결합홈(19) 또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거름망부재(20)가 자동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작물(2)에서 작물(2)보다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거름망부재(20) 하측으로 낙하되는 작물(2)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이 송풍유닛(40)에서 토출된 바람에 의해 날려 작물(2)에서 크고 작은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삽으로 작물을 퍼 올려서 선풍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자동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이 본체(10)의 상단에 구비된 거름망부재(20)의 하측으로 낙하된 이물질이 본체(10)에 의해 송풍유닛(40)의 후방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이물질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유닛(40)의 송풍조사각도를 작물(2)의 종류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무게가 가벼운 작물(2)의 경우 송풍유닛(40)에서 토출된 바람에 의해 거름망부재(20) 상측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지지다리(15)를 4개로 하여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면서도 측방을 막음패널(70)로 착탈가능하게 막음으로써, 실외에서 사용할 때 외부바람에 의해 거름망부재(20) 하측으로 낙하되는 작물(2)과 이물질이 날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소적 제약이 덜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송풍케이스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는 본체(10), 거름망부재(20), 구동유닛(30), 송풍유닛(40) 및 제어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다리(15)를 포함한다. 수평프레임(11)은 직사각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평프레임(11)의 장변부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며 장변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거름망부재(20)를 가이드해주는 가이더(12)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더(12)는 수평프레임(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수직바(13)에 의해 수평프레임(11)보다 상측에 이격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양단부가 수평프레임(11)의 양측 장변부에 도시안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롤러(14)가 수평프레임(11)의 장변부를 따라 이격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다리(15)는 본체(1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데 수평프레임(11)의 양측 장변부 전체를 지지하는 형태도 가능하지만, 경량화를 위해 수평프레임(11)의 각 꼭지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프레임(11)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다리(15)에는 바퀴(18)가 구비된다. 바퀴(18)가 달린 지지다리(15)에는 지지다리(15)를 바닥에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이 위치고정수단은 지지다리(15)에서 수평돌출된 수평돌출부(16)에 위치고정볼트(17)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고정볼트(17)가 하강되어 바닥에 접촉되면 지지다리(15)가 위치고정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상기 거름망부재(20)는 들깨 등과 같은 작물(2)은 통과되되 작물(2)보다 큰 잎이나 돌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러한 거름망부재(20)는 평평한 망체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면이 개방된 프레임의 저면에 망체(21)가 구비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작물(20)을 거름망부재(20)에 일시에 올릴 수 있다. 그리고 거름망부재(20)는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에 구비된 지지롤러(14)에 안착된다.
상기 구동유닛(30)은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며 거름망부재(20)를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유닛(30)은 실린더나 기어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캠기구가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유닛(40)은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거름망부재(20)보다 하측에 구비된 송풍케이스(41)와, 이 송풍케이스(41)에 수용되어 상기 거름망부재(20)의 직하방으로 바람을 토출시키는 송풍팬(44)을 포함한다. 송풍케이스(41)는 수평프레임(11)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된 지지다리(15)에 결합되되 상단이 수평회동축(4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송풍케이스(41)의 일면에는 송풍팬(44)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토출되는 송풍구(42)가 형성된다.
한편, 송풍각도조절수단(50)은 본체(10) 또는 송풍케이스(41)에 구비되어 송풍케이스(41)를 수평회동축(4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송풍각도조절수단(50)은 본체(10)의 지지다리(15)에 구비되어 송풍케이스(41)의 하측을 지지다리(15)에서 이격되게 밀어내도록 전진하는 볼트 또는 푸시바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송풍케이스(41)의 송풍구(42)가 수직면에 대해 약간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송풍구(42)에서 토출된 바람이 상향되어 거름망부재(20)에서 낙하되는 작물이나 이물질이 거름망부재(2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게나 크기가 제각각인 작물의 종류에 따라 송풍각도를 조절하여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0)은 구동유닛(30) 및 송풍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며,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의 일측에 작동버튼 등으로 구현된다. 경우에 따라, 송풍각도조절수단(50)도 작동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물질을 제거한 들깨와 같은 작물을 받아낼 수 있는 천이나 포대(1)를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의 직하방에 펼쳐놓고, 본체(10)의 위치조절볼트(17)를 하강시켜 본체(1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포대(1)는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되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벗어나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름망부재(20)에 수확한 들깨와 같은 작물을 담고 구동유닛(30)에 의해 거름망부재(20)를 왕복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거름망부재(20)에는 작물과 섞여있으며 거름망부재(20)의 망눈보다 사이즈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작물은 거름망부재(20)를 통과하여 거름망부재(20)의 직하방으로 낙하된다. 이때, 낙하되는 작물에는 거름망부재(20)의 망눈보다 작은 흙먼지 등과 같이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이 섞여서 낙하되는데, 송풍유닛(40)에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의 타단으로 날아간다. 이에 따라, 거름망부재(20)에서 낙하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거름망부재(20)에서 낙하되는 작물만 포대(1)에 안착된다.
한편, 본체(10)의 위치조절볼트(17)를 상승시켜 본체(10)를 바퀴(18)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포대(1)에서 작물(2)이 적재되지 않은 부분으로 위치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된 본체(10)를 위치고정볼트(17)를 하강시켜 고정시키고 작물(2)을 거름망부재(20)에 넣고 상기와 같이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하면 길게 연장된 포대(1)에 이물질이 제거된 작물(2)이 적재된다.
그리고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는 본체(10)의 측방을 막는 막음패널(70)을 더 포함한다. 이 막음패널(70)은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양단부에 마감패널(70)을 본체(10)의 지지다리(15)에 고정시키는 결합돌기(71) 또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막음패널(7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 인접된 지지다리(15)에는 마감패널(70)의 결합돌기(71) 또는 결합홈과 결합되는 결합홈(19)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결합홈(19)은 지지다리(15)에서 니은자 형상의 절곡바가 결합되는 상향 개구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한편,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의 길이방향 일단의 송풍유닛(40)의 송풍케이스(41)의 하측을 막는 보조막음패널(80)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막음패널(70)이 송풍유닛(40)의 송풍팬(44)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에 대해 본체(10)의 좌우 양측을 막으므로, 거름망부재(20)에서 낙하되는 작물(2)이 상기 바람에 의해 날릴 때 본체(10)의 외부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직하방에 깔리는 포대(1)에 작물(2)이 효과적으로 모여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천 또는 포대 2 : 작물
10 : 본체 11 : 수평프레임
15 : 지지다리 20 : 거름망부재
30 : 구동유닛 40 : 송풍유닛
50 : 송풍각도조절수단 60 : 제어유닛
70 : 막음패널

Claims (3)

  1.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수평프레임(11)을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5)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평프레임(11)에 수평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물(2)은 통과되되 작물(2)보다 사이즈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는 거름망부재(2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거름망부재(20)를 수평왕복시키는 구동유닛(30);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거름망부재(20)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본체(10)의 타측으로 바람을 토출시키는 송풍유닛(40); 및
    상기 구동수단(30) 및 송풍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부재(20)에서 걸러지지 않고 작물과 함께 거름망부재(20)의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이 상기 송풍유닛(40)에서 토출된 바람에 의해 본체(10)의 타측으로 이송되어 작물(2)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40)은 상단이 본체(10)의 일측에 수평회동축(4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면에는 복수개의 송풍구(42)가 수평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송풍케이스(41)와, 이 송풍케이스(41)의 내부에 수용된 송풍팬(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 또는 송풍케이스(41)에 구비되어 송풍케이스(41)를 수평회동축(4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송풍각도조절수단(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직사각형의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의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된 4개의 지지다리(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11)의 폭방향 양단부에 위치된 각각 한 쌍의 지지다리(15) 사이를 막는 막음패널(70)이 더 구비되며, 이 막음패널(7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인접된 지지다리(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71)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막음패널(70)과 인접된 지지다리(15)에는 상기 막음패널(70)의 결합돌기(71) 또는 결합홈과 결합되는 결합홈(19) 또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KR1020180154666A 2018-12-04 2018-12-04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KR20200067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66A KR20200067620A (ko) 2018-12-04 2018-12-04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66A KR20200067620A (ko) 2018-12-04 2018-12-04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20A true KR20200067620A (ko) 2020-06-12

Family

ID=7108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666A KR20200067620A (ko) 2018-12-04 2018-12-04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76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463B1 (ko) * 2022-12-12 2023-11-07 진성푸드 주식회사 스마트 건어물 구이 및 선별 장치
CN117161050A (zh) * 2023-07-28 2023-12-05 龙游县金怡热电有限公司 一种固废自动化除杂分类系统
KR20240029125A (ko) * 2022-08-26 2024-03-05 해강물산 주식회사 건조멸치 살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125A (ko) * 2022-08-26 2024-03-05 해강물산 주식회사 건조멸치 살균 시스템
KR102599463B1 (ko) * 2022-12-12 2023-11-07 진성푸드 주식회사 스마트 건어물 구이 및 선별 장치
CN117161050A (zh) * 2023-07-28 2023-12-05 龙游县金怡热电有限公司 一种固废自动化除杂分类系统
CN117161050B (zh) * 2023-07-28 2024-05-07 龙游县金怡热电有限公司 一种固废自动化除杂分类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7620A (ko) 작물용 이물질제거장치
CN208614465U (zh) 一种机械铸造用的打磨设备
CN109127348A (zh) 一种循环式建筑筛沙装置
CN210286064U (zh) 一种用于面粉厂装卸小麦的除尘装置
CN208913841U (zh) 一种纽扣抛光机
CN109822446B (zh) 锌铝合金压铸零件研磨筛选烘干一体生产线
US20230356263A1 (en) Machine, in particular padding machine, to backfill pipelines
CN112090741A (zh) 一种节能型黄豆自动去杂设备
CN107442552A (zh) 建筑垃圾处理设备以及建筑垃圾再生系统
DE69928176T2 (de) Fräs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m Absaugen und Verarbeiten von Staub
CN206885873U (zh) 一种破碎过滤一体式无尘投料站
CN116237237B (zh) 一种具有除杂功能的农产品储存装置
DE202013010625U1 (de) Handgeführtes Bodenschleif- und -reinigungsgerät
CN209365038U (zh) 一种运输系统的进料装置
CN109794829B (zh) 钢箱梁t肋剖口打磨装置
CN111250201A (zh) 石灰石破碎均匀的自动化生产线
CN113786925B (zh) 用于农产品加工的多级自动生产线
CN215542654U (zh) 一种用于梅干丁的筛丁机
CN209491052U (zh) 一种木材加工用粉尘处理装置
CN109124484A (zh) 一种具有均匀撒灰机构的家用便于清理冰面的移动装置
CN211756697U (zh) 便于移动式建筑用黄沙筛分装置
CN108273744B (zh) 一种玉米粒筛选装置
CN208003608U (zh) 一种集装箱式沥青搅拌站的布袋除尘器
KR100697996B1 (ko) 모래가름체
CN106185378B (zh) 一种铺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