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595A -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595A
KR20200067595A KR1020180154630A KR20180154630A KR20200067595A KR 20200067595 A KR20200067595 A KR 20200067595A KR 1020180154630 A KR1020180154630 A KR 1020180154630A KR 20180154630 A KR20180154630 A KR 20180154630A KR 20200067595 A KR20200067595 A KR 20200067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target user
record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925B1 (ko
Inventor
김경호
이웅규
진석호
Original Assignee
넷마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넷마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넷마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9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은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타겟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VOICE DATA}
아래 실시예들은 음성 데이터 수집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성인식 시스템에서는 음성 인식 기능 향상의 작업을 위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왔으며, 이 경우 음성에 대한 구별없이 정해진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모든 음성을 저장한 후 음성 인식 훈련에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음성 수집 방식을 수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음성 인식 성능이 저하되는 음성을 특별히 구별하여 수집할 수 없으며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입력들이 무차별적으로 저장될 수 밖에 없다. 즉, 발신자에 의한 모든 음성이 입력되어 수집되며, 나중에 운용자가 수집된 음성들을 작업하면서 인식률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음성은 모두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0024795호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0073683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은,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수집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의 텍스트, 상기 음성 데이터의 파일 포맷, 상기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수집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수집에 동의한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위한 예상 소요 시간, 상기 타겟 사용자가 말할 텍스트, 상기 음성 데이터의 제공에 따른 보상 및 녹음 가능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녹음 기능, 다시 듣기 기능 및 다시 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음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녹음 결과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은,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음성 데이터의 수집에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고,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수집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의 텍스트, 상기 음성 데이터의 파일 포맷, 상기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수집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녹음 기능, 다시 듣기 기능 및 다시 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녹음 결과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음성 데이터의 수집에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고,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자가 음성 데이터를 보다 간편하고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용자 역시 보다 간편하게 음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대상을 타겟팅하여 원하는 음성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와 타겟 사용자 단말 간에 수행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을 위한 요청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음성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은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를 통해 복수의 타겟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은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 네트워크(120) 및 복수의 타겟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고,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와 각각의 타겟 사용자 단말(130)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이하 '수집자'라 함)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에 음성 데이터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요구 사항은, 예를 들어 수집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의 텍스트, 녹음 횟수, 음성 데이터의 파일 포맷,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음성 데이터의 수집 기간, 및 음성 데이터 녹음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요구 사항에 매칭되고, 음성 데이터 수집에 동의한 타겟 사용자를 탐색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탐색된 타겟 사용자 단말(130)에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챗봇 메시지, 초대 메시지, 메신저 메시지, 메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 메시지는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와 타겟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선택 창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는 선택 창을 통해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킨 후 타겟 사용자의 단말(130)의 마이크를 활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고, 타겟 사용자나 타겟 사용자 단말(130)은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확인하여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실행되는 경우, 타겟 사용자 단말(130)은 STT(speech to text) 기술을 이용하여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이에 대응하는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가 요구 사항에 기재된 요청 텍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타겟 사용자 단말(130)은 타겟 사용자에게 음성 데이터의 재녹음을 요청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타겟 사용자 단말(130)은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120)를 통해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로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수집자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를 통해 타겟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타겟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집자는 타겟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 타겟 사용자 단말(130)에 음성 데이터의 재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집자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를 통해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는 저장한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여 수집자에게 제공한 타겟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음성 데이터 제공에 따른 보상은, 예를 들어 기프트콘, 게임 캐쉬, 쿠폰 등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음성 인공지능 모델 학습을 위한 음성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편집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수집자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11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 중 자신이 원하는 조건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할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고, 탐색된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간편하게 수집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타겟 사용자도 본 발명에서 제안된 음성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게 녹음하고 수집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요구 사항은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가 타겟 사용자로부터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할 때, 음성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요구 사항은 수집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의 텍스트, 음성 데이터의 파일 포맷,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음성 데이터의 수집 기간 음성 데이터 녹음 환경, 녹음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조건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의 파일 포맷에 대한 조건 사항은 wav, mp3 등이 될 수 있고,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조건 사항은 성별, 연령, 사는 지역 등의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데이터 녹음 환경에 대한 조건 사항은 시끄러운 환경, 조용한 환경 등이 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음성 데이터의 수집에 동의한 사용자들 중에서 해당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챗봇 메시지, 초대 메시지, 메신저 메시지, 메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일 수 있고,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창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는,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위한 예상 소요 시간, 타겟 사용자가 말할 텍스트, 음성 데이터의 제공에 따른 보상 및 녹음 가능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가 선택 창의 선택을 통해 활성화시킬 수 있는 녹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녹음 기능, 다시 듣기 기능 및 다시 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가 녹음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고 타겟 사용자의 단말의 마이크를 활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면, 녹음 인터페이스는 녹음 결과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타겟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타겟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타겟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250)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수집자)는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여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음성 데이터를 녹음한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음성 데이터 재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정상으로 판단된 음성 데이터를 녹음한 타겟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와 타겟 사용자 단말 간에 수행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20)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는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요구 사항은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가 타겟 사용자로부터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할 때, 음성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요구 사항은 수집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의 텍스트, 음성 데이터의 파일 포맷,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음성 데이터의 수집 기간 음성 데이터 녹음 환경, 녹음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25)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는 음성 데이터의 수집에 동의한 사용자들 중에서 타겟 사용자를 탐색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는 타겟 사용자 단말(315)에 음성 데이터 수집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챗봇 메시지, 초대 메시지, 메신저 메시지, 메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요청 메시지,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창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위한 예상 소요 시간, 타겟 사용자가 말할 텍스트, 음성 데이터의 제공에 따른 보상 및 녹음 가능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가 선택 창의 선택을 통해 활성화시킬 수 있는 녹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녹음 기능, 다시 듣기 기능 및 다시 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가 녹음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고 타겟 사용자의 단말의 마이크를 활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면, 녹음 인터페이스는 녹음 결과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 단말(315)이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으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단계(335)에서, 타겟 사용자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창을 선택하여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타겟 사용자는 녹음 인터페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녹음 아이콘을 선택하여 음성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를 녹음한 타겟 사용자나 타겟 사용자 단말(315)은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확인하여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 단말(315)은 STT(speech to text) 기술을 이용하여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이에 대응하는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요구 사항에 기재된 요청 텍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변환된 텍스트가 요청 텍스트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타겟 사용자 단말(315)은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타겟 사용자에게 음성 데이터의 재녹음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타겟 사용자 단말(315)은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에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가 타겟 사용자 단말(315)로부터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계(345)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자는 타겟 사용자 단말(315)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여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 단말(315)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집자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녹음한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음성 데이터의 재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수집자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를 통해 정상으로 판단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310)는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녹음한 타겟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를 활성화시켜 타겟 사용자 단말(315) 보상을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를 녹음한 타겟 사용자가 받는 보상은 기프트콘, 게임 캐쉬, 쿠폰 등이 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을 위한 요청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 수집을 위한 요청 메시지(400)는 챗봇 메시지, 초대 메시지, 메신저 메시지, 메일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요청 메시지(400)는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410)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창(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410)는,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위한 예상 소요 시간, 타겟 사용자가 말할 텍스트, 상기 음성 데이터의 제공에 따른 보상 및 녹음 가능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가 선택 창(420)을 선택하면 음성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 인터페이스(500)는 타겟 사용자가 말해야 하는 텍스트에 대한 가이드(510), 타겟 사용자의 녹음 결과 상태(5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녹음 인터페이스(500)는 녹음하고자 하는 타겟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다시 듣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530), 녹음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아이콘(540) 및 재녹음을 진행하기 위한 아이콘(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는 각각의 아이콘(530, 540, 550)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타겟 사용자가 말해야 하는 텍스트에 대한 가이드(510)에는 예를 들어, “핸드폰 정면에서 “○○아”라고 정확하게 말씀해주세요.”라는 등의 가이드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타겟 사용자의 녹음 결과 상태(520)에는 예를 들어, “저장에 성공하였습니다. 남은 횟수 (5/10)”, “”○○아”라고 정확하게 말씀해주세요.”, “너무 가까이 붙었습니다. 마이크와 떨어지세요.”, “너무 멀리서 떨어졌습니다. 좀 더 가까이 오세요.”, “주변이 너무 시끄럽습니다. 조용한 곳에서 하세요.”라는 등의 가이드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타겟 사용자의 녹음 결과 상태(520)는 STT 기술을 통해 판단된 음성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600)는 통신 인터페이스(610),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600)는 데이터베이스(6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20)에 연결되고,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들, 프로세서(620)가 연산할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62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예를 들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컨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컨대, 하나 이상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쉬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1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의 단말)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6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40)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6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640)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 타겟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 및 수집된 음성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600)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기능 및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고,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6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6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20)는 수집자로부터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데이터베이스(640)에 저장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640)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가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620)는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타겟 사용자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녹음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자가 요청한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다. 타겟 사용자의 단말은 녹음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600)에 전송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600)가 타겟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620)는 음성 데이터의 수신을 수집자에게 알릴 수 있고, 수집자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플레이해 봄으로써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집자는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녹음된 것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음성 데이터의 저장 명령을 실행할 수 있고, 이 경우 프로세서(620)는 저장 명령에 대응하여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6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음성 데이터 수집 시스템
110, 310, 600: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120: 네트워크
130, 315: 타겟 사용자 단말
610: 통신 인터페이스
620: 프로세서
630: 메모리
640: 데이터베이스

Claims (20)

  1.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수집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의 텍스트, 상기 음성 데이터의 파일 포맷, 상기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수집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수집에 동의한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창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위한 예상 소요 시간, 상기 타겟 사용자가 말할 텍스트, 상기 음성 데이터의 제공에 따른 보상 및 녹음 가능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녹음 기능, 다시 듣기 기능 및 다시 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녹음 결과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11.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음성 데이터의 수집에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3.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고,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수집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의 텍스트, 상기 음성 데이터의 파일 포맷, 상기 타겟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수집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녹음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창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녹음 기능, 다시 듣기 기능 및 다시 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녹음 결과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를 활성화시키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20.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데이터의 수집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음성 데이터의 수집에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요구 사항에 매칭되는 타겟 사용자를 탐색하고,
    상기 타겟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녹음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타겟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 수집 장치.
KR1020180154630A 2018-12-04 2018-12-04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KR10219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30A KR102195925B1 (ko) 2018-12-04 2018-12-04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30A KR102195925B1 (ko) 2018-12-04 2018-12-04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771A Division KR20210000697A (ko) 2020-12-18 2020-12-18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595A true KR20200067595A (ko) 2020-06-12
KR102195925B1 KR102195925B1 (ko) 2020-12-29

Family

ID=7108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630A KR102195925B1 (ko) 2018-12-04 2018-12-04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9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795A (ko) 1997-09-08 1999-04-06 이계철 음성 데이타 자동 수집 장치
KR19990073683A (ko) 1998-03-02 1999-10-05 이계철 안내원에 의한 문의 가입자 음성 수집 장치및 방법
KR20020003854A (ko) * 2001-12-22 2002-01-15 이계철 웹망을 매개한 전화음성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0195A (ko) * 2001-09-03 2003-03-08 김동현 복호화기가 내장된 압축 음성데이터 실시간 재생 시스템
KR20100060302A (ko) * 2008-11-27 2010-06-07 심동호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021218B1 (ko) * 2010-06-25 2011-03-11 주식회사 예스피치 데이터 수집 스케줄링에 따른 발화 음성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9458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애드웹커뮤니케이션 녹취 내용의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795A (ko) 1997-09-08 1999-04-06 이계철 음성 데이타 자동 수집 장치
KR19990073683A (ko) 1998-03-02 1999-10-05 이계철 안내원에 의한 문의 가입자 음성 수집 장치및 방법
KR20030020195A (ko) * 2001-09-03 2003-03-08 김동현 복호화기가 내장된 압축 음성데이터 실시간 재생 시스템
KR20020003854A (ko) * 2001-12-22 2002-01-15 이계철 웹망을 매개한 전화음성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60302A (ko) * 2008-11-27 2010-06-07 심동호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10119458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애드웹커뮤니케이션 녹취 내용의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1218B1 (ko) * 2010-06-25 2011-03-11 주식회사 예스피치 데이터 수집 스케줄링에 따른 발화 음성 수집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925B1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0302B2 (en) Voic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452251B2 (en) Transactional conversation-based computing system
US11435980B2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19468B1 (ko) 상담원의 상담내용을 기반으로 상담 챗봇을 학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66679A1 (en) Music recommend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10241775A1 (en) Hybrid speech interface device
US11551692B2 (en) Digital assistant
KR20190100334A (ko) 문맥상의 핫워드들
US11749276B2 (en) Voice assistant-enabled web application or web page
CN105453025A (zh) 用于已识别语音发起动作的视觉确认
CN103001858B (zh) 即时通信中回复消息的方法、客户端及系统
US20220068272A1 (en) Context-based dynamic tolerance of virtual assistant
US201503108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motion information from user voice
US11488585B2 (en) Real-time discussion relevance feedback interface
US10238333B2 (en) Daily cognitive monitoring of early signs of hearing loss
JP2014513828A (ja) 自動会話支援
US20120053937A1 (en) Generalizing text content summary from speech content
CN114728204A (zh) 包括游戏应用/服务的应用/服务的声音数据的可视化扩展功能
CN111462726B (zh) 一种外呼应答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00016636A (ko)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976997B2 (en) Electronic device outputting hints in an offline stat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user context
US20190294974A1 (en) Voice prompt avatar
CN108231074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语音助手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102836A (zh) 语音控制屏幕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EP3447765B1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operation using voice command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0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10

Effective date: 2020111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