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302A -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302A
KR20100060302A KR1020080118852A KR20080118852A KR20100060302A KR 20100060302 A KR20100060302 A KR 20100060302A KR 1020080118852 A KR1020080118852 A KR 1020080118852A KR 20080118852 A KR20080118852 A KR 20080118852A KR 20100060302 A KR20100060302 A KR 20100060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r
terminal
unique inform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934B1 (ko
Inventor
심동호
Original Assignee
심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동호 filed Critical 심동호
Priority to KR102008011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9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2Pre-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04M2203/6045Identity confi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처리방법은, 발신자 통화단말과 수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채널 연결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 채널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통화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여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음성(또는 화상)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서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신자처리

Description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Method for Processing Caller and Mobile Phone, Program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무선단말 105 : 제어부
110 : 화면 출력부 115 : 사운드 처리부
120 : 키 입력부 125 : 배터리
130 : 무선 처리부 135 : IC칩 리더부
140 : IC칩 145 : 입출력 인터페이스
150 : 프로세서부 153 : 칩 메모리부
155 : IC칩 저장정보 157 : 처리부
160 : 저장부 163 : 메모리부
165 : 상태 관리부 167 : 정보 수신부
170 : 정보 확인부 173 : 인증 확인부
175 : 음성 메시지 제공부 177 : 음성 메시지 수신부
180 : 메시지 변환 처리부 183 : 출력 처리부
185 : 통화 처리부 190 : 정보 관리부
195 : 통신사 시스템
본 발명은 발신자 통화단말과 수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와 별도의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확인부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하는 ARS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와, 상기 제공된 ARS 안내 메시지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를 구비하는 발신자 처리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현대사회의 발전은, 현대인에게 휴대폰이라는 새로운 통신수단을 제공하고, 이를 항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휴대폰의 경우, 이제 새로운 광고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그로 인하여 휴대폰으로 수많은 광고가 수신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수많은 광고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060 서비스 등과 같이, 수신자의 궁금증을 유발하여 전화를 걸도록 유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이용료를 징수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ARS 안내 광고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됨으로서, 난해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회의중에 걸려오는 수많은 전화 중 ARS 안내 광고 및 수신자의 궁금증을 유발하여 전화를 걸도록 유도하는 전화의 경우, 회의중에 무시하고자 하나, 영업직 등의 직원들은, 이들이 누구인지 알길이 없어, 다시 전화를 걸게되고 그로 인하여 불필요한 서비스 이용료 납부 등으로 인해 금전적 손해와 정신적 고통을 감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이는 상대가 비밀번호를 알기 이전에는 통화가 불가능하므로, 여러 사람에게 비밀번호를 일일이 알려줘야 하고, 비밀번호 변경시 이를 다시 알려야 하는 많은 불편한 문제가 있는 상황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 통화단말과 수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채널 연결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 채널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통화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여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음성(또는 화상)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서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자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음성(또는 화상)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서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와 별도의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판독하여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문자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의 벨소리를 대신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음성(또는 화상)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서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와 별도의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등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발신자 처리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처리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은, 발신자 통화단말과 수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와 별도의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확인부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하는 ARS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와, 상기 제공된 ARS 안내 메시지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공된 ARS 안내 메시지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판독하여 문자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는 메시지 변환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화통화를 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인증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 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 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1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100) 이외에 다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1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CDMA/WCDMA 기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무선단말(100)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와 키패드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와 안테나와 배터리(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능을 제공하는 모뎀, CPU/MPU(Central Processing Unit/ Micro Processing Unit), 보코더 등의 기능을 내장한 소정의 모뎀칩(예컨대, CDMA/WCDMA의 경우 미국 퀄컴(Qualcomm)사의 MSM 시리즈 모뎀칩 또는 GSM의 경우 TI(Texas Instrument) 모뎀칩 등)과, 각종 메모리 소자, 하나의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기지국 등으로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세기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Poser Amplifier Module;PAM),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고출력 송신 신호가 반대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막아주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F SAW 필터,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회로, 수신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신호로 사용되는 UHF 주파수 합성기,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는 점차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집적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뎀칩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 외에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함께 집적화 되고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100)은 구조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대응하는 제어부(105)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부와, 마이크/스피커에 대응하는 사운드 처리부(115)와, 키패드에 대응하는 키 입력부(120)와, 안테나 및 각종 RF모듈에 대응하는 무선 처리부(130)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응하는 메모리부(163), 및 소정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은 각종 금융(또는 결제)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140)(예컨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금융 IC칩(140) 등)과 상기 IC칩(140)에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읽고/쓰기 위한 IC칩 리더부(13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은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정의 화상정보를 독출하는 카메라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당엄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의 기능 구성부 이외에 더 많은 기능 구성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무선단말(100)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메모리부(163) 및/또는 메모리 소자(또는 칩셋)으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을 위해 무선단말(1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1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루틴은 기본적으로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예컨대, 전원관리 루틴, 채널(순방향/역방향) 관리 루틴, 핸드오프 루틴 등, 도시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무선단말(1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 구성들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에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1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은 소정의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설정된다.
상기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1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됨으로써, 이동통신 기반 무선 접속 및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운용 및 이에 대응하는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화면 위한 기능 구성부로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LCD 또는 AMOLED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면 출력장치와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와 연계하여 상기 키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 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또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기능처리 화면 및 기능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기능처리 화면 및 기능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에서 사운드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하는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 기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통화연결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엔코딩하여 입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 입력부(1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와, 상기 키 입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키 입력 장치에서 상기 키 버튼을 클릭(또는 입력)하여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입력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의 입력모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키 입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검출된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통화"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모드를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 등)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12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처리부(130)는 상기 무선단말(100)이 CDMA/WCDMA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무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CDMA/WCDMA 모뎀과 각종 RF 모듈(예컨대, 듀플렉서 필터,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 Module; PAM),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아이솔레이터(Isolator), RF/IF SAW 필터, 주파수 상향회로,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 UHF 주파수 합성기 등) 및 안테나와 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위치등록 및/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및/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및/또는 핸드오프(Hand-off) 및/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13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 기능(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수행)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무선 처리부(13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처리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C칩 리더부(135)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칩(140) 규격을 통해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140)(예컨대, 금융IC칩(140), 또는 USIM 등)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또는 명령)를 교환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대응하는 접촉식 IC카드 리더, 및/또는 상기 ISO/IEC 14443 규격에 대응하는 비접촉식 IC카드 리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카드 리더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14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또는 명령)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규격을 참조하면, 고객 무선 단말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140)은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및/또는 입출력(I/O) 등과 같은 접촉점을 통해 IC칩 리더부(135)와 통신(예컨대, 명령 또는 데이터 교환 등)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와, CPU(Central Process Unit), MPU(Micro Process Unit), 및/또는 코프로세서(Coprocessor)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소자로 이루어진 프로세서부(150)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 칩 메모리부(153)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메모리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예컨대, ROM)에는 IC카드 내부 자원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칩 운영 체제(Chip Operating System; COS)가 저장되는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의 전원 공급(VCC) 접촉점을 통해 IC칩 리더부(135)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칩 메모리부(153)에 저장된 COS가 소정의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IC칩(1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클럭 신호(CLK) 접촉점의 클럭주파수(예컨대, 3.57MHz 또는 4.9MHz)를 기반으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140)과 IC칩 리더부(135) 사이의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IC칩(140)의 칩 메모리부(153)에는 상기 USIM 기능(또는 금융 IC칩(140)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카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칩 저장정보(155)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칩 저장정보(155)는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판독 및/또는 사용되어지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저장부(160)와, 상기 프로세서부(150)의 연산 기능과 COS가 제공하는 명령어 셋트에 의해 구동 또는 실행되어 동작하며,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루틴(예컨대, 자바카드(Javacard)의 경우 자바 애플릿(JAVA Applet))으로서 상기 COS의 명령어 셋트와 상호 작용하는 명령호출코드와 프로세서부(150)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처리부(15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특히 상기 처리부(157)는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5)를 거쳐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명령을 근거로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거나, 또는 기록하며, 그 결과 또는 읽어온 정보 또는 데이터를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5)를 거쳐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 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할당된 무선단말(100) 전화번호,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정보, IC칩(140) 고유정보, 동적(또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주소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140)의 칩 메모리부(153)는 ISO/IEC 10202에 기반하는 보안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르면 상기 칩 메모리부(153)는 CSN(Chip Serial Number)와 같은 비밀정보가 저장되는 보호영역과, COS 제어 영역,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영역, 읽기/쓰기 접근 영역,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영역, 및 FAT(File Allocation Table) 관리 영역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을 위한 IC칩 저장정보(155)는 상기 보호영역과 COS 제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ICC 규격에 따르면, 상기 칩 메모리부(153)는 루트 파일(Root File)에 해당하는 하나의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과, 상기 마스터 파일 하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정보에 대한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ATR(Answer To Reset)과, 각각의 ICC 저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과, 그리고 상기 전용 파일 하위에 배치되며 스마트 카드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포함된 요소 파일(Element File; EF)로 이루어진 파일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을 위한 IC칩 저장정보(155)도 상기와 같은 파일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140)이 금융IC칩(140)(또는 금융정보를 구비한 USIM)이라면, 상기 IC칩 저장정보(155)는 전자통장(Electronic Bankbook)과 금융공동망을 포함하는 금융계정(또는 금융상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신용카드(Credit Card) 결제수단, 직불카드(Debit Card) 결제수단, 체크카드(Check Card) 결제수단, 선불카드(Prepaid Card) 결제수단, 전자지갑(Electronic Wallet) 결제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163)는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루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매체에 해당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NAND 또는 NOR 계열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ROM 또는 EP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프로그램(예컨대, 시스템 기본 설정 정보 및/또는 운영체제 루틴 등)가 저장되고, 상기 NAND 또는 NOR 계열의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EEPROM에는 각종 시스템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 및/또는 프로그램(예컨대, 운영체제 루틴, 호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예컨대, 주소록)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등)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3)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할당된 무선단말(100) 전화번호,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동적(또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하나 이상 의 기능 동작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는 상태 관리부(16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상태 관리는,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설정된 통화연결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100)의 상태 관리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한 후, 키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전화 받기를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엔코딩하여 입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상기 호 연결이 완료된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한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을 통해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소정의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67)와,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70)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확인부(17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67)는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소정의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정보 수신부(167)를 통해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 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더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통신사 시스템(195)으로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측의 무선단말(100)과 통신사 시스템(195)간 호 연결 요청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확인부(173)는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지 여부를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 되는 정보는, 발신자 통화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내지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발신자에 대한 개인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이메일주소 등의 상기 무선단말(100) 소유주(즉, 수신자)가 입력하여 저장한(또는 자동 입력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즉,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 제공부(175)와,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 부(175)를 통해 제공된 ARS 안내 음성을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음성 메시지 수신부(17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175)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즉,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상기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제공되는 ARS 안내 음성은, 상기 무선단말(100)을 이용하는 수신자의 상황과, 이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ARS 안내 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175)를 통해 ARS 안내 음성이 제공된 후,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177)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통신사 시스템(195)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이거나, 및/또는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성 메시지 수신을 위해, 음성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177)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판독하여 문자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는 메시지 변환 처리부(1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메시지 변환 처리부(18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면, 상기 변환 처리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화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18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변환 처리된 문자 메시지 출력은, 상기 변환 처리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 처리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변환 처리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상기 출력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이를 기반으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과 연계하여 상기 상태 관리부(165)를 통해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를 전환 처리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처리부(18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 모드를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 처리하고,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 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이 영상통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상 입력장치(도시생략)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해 제공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전화통화 연결음(즉, Ring 톤 또는 Ring 톤에 대응하는 벨소리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에 따라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1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 말(1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거부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수신하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1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100) 이외에 다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1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따른 무선단말(100)의 동작 과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단말은,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또는 통화 채널 연결요청)을 수신하고(2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호 연결을 요청(또는 통화채널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한다(20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더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 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통신사 시스템(195)으로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측의 무선단말(100)과 통신사 시스템(195)간 호 연결 요청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210), 상기 단말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 오류정보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단말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고(215), 이후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확인되면(210), 상기 단말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한 다(220).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정보는, 발신자 통화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내지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발신자에 대한 개인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이메일주소 등의 상기 무선단말(100) 소유주(즉, 수신자)가 입력하여 저장한(또는 자동 입력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이 인증된 발신자인 경우(225), 상기 단말은 상 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하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이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225),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195)과 연계하여 발신자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고(230),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여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한다(235).
여기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제공되는 ARS 안내 음성은, 상기 무선단말(100)을 이용하는 수신자의 상황과, 이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ARS 안내 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175)를 통해 ARS 안내 음성이 제공된 후,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177)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통신사 시스템(195)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이거나, 및/또는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성 메시지 수신을 위해, 음성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 수신을 확인한다(240).
만약,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 수신이 확인되면(245),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고, 상기 변환 처리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25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변환 처리된 문자 메시지 출력은, 상기 변환 처리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에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 처리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변환 처리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 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100)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100)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100)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남긴 음성 메시지를 변환 처리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된 문자 메시지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 여부를 입력한다(3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 모드를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 처리하고,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이 영상통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상 입력장치(도시생략)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해 제공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전화통화 연결음(즉, Ring 톤 또는 Ring 톤에 대응하는 벨소리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을 통해 통화 연결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즉, 통화 연결을 거부한 경우)(305), 상기 단말은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등록한다(310).
반면, 상기 단말을 통해 통화 연결을 요청한 경우(305), 상기 단말은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등록한다(3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거부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1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1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수신하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4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4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400) 이외에 다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4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CDMA/WCDMA 기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무선단말(400)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와 키패드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와 안테나와 배터리(4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능을 제공하는 모뎀, CPU/MPU(Central Processing Unit/ Micro Processing Unit), 보코더 등의 기능을 내장한 소정의 모뎀칩(예컨대, CDMA/WCDMA의 경우 미국 퀄컴(Qualcomm)사의 MSM 시리즈 모뎀칩 또는 GSM의 경우 TI(Texas Instrument) 모뎀칩 등)과, 각종 메모리 소자, 하나의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기지국 등으로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세기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Poser Amplifier Module;PAM),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고출력 송신 신호가 반대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막아주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F SAW 필터,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회로, 수신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신호로 사용되는 UHF 주파수 합성기,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는 점차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집적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뎀칩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 외에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함께 집적화 되고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400)은 구조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대응하는 제어부(405)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부(410)와, 마이크/스피커에 대응하는 사운드 처리부(415)와, 키패드에 대응하는 키 입력부(420)와, 안테나 및 각종 RF모듈에 대응하는 무선 처리부(430)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응하는 메모리부(465), 및 소정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4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키 입력부(420)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400)은 각종 금융(또는 결제)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4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440)(예컨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금융 IC칩(440) 등)과 상기 IC칩(440)에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읽고/쓰기 위한 IC칩 리더부(43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400)은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정의 화상정보를 독출하는 카메라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400)은 상기 당엄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의 기능 구성부 이외에 더 많은 기능 구성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부(40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무선단말(400)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메모리부(465) 및/또는 메모리 소자(또는 칩셋)으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을 위해 무선단말(4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4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4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루틴은 기본적으로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예컨대, 전원관리 루틴, 채널(순방향/역방향) 관리 루틴, 핸드오프 루틴 등, 도시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405)에 의해 무선단말(4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 구성들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400)에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4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400)은 소정의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설정된다.
상기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4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4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됨으로써, 이동통신 기반 무선 접속 및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410)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각 동작모드 운용 및 이에 대응하는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화면 위한 기능 구성부로서,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LCD 또는 AMOLED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면 출력장치와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405)와 연계하여 상기 키 입력부(42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또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기능처리 화면 및 기능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41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기능처리 화면 및 기능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415)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각 동작모드에서 사운드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하는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415)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통화연결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엔코딩하여 입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처리부(415)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무선단말(400)에서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415)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 입력부(4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와, 상기 키 입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키 입력장치에서 상기 키 버튼을 클릭(또는 입력)하여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입력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의 입력모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키 입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키 입력부(420)는 상기 검출된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4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405)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420)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통화"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400)의 동작모드를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420)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 등)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42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처리부(430)는 상기 무선단말(400)이 CDMA/WCDMA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무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CDMA/WCDMA 모뎀과 각종 RF 모듈(예컨대, 듀플렉서 필터,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 Module; PAM),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아이솔레이터(Isolator), RF/IF SAW 필터, 주파수 상향회로,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 UHF 주파수 합성기 등) 및 안테나와 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405)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의 각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위치등록 및/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및/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및/또는 핸드오프(Hand-off) 및/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43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 기능(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수행)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무선 처리부(43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400)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처리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C칩 리더부(435)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칩(440) 규격을 통해 무선단말(4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440)(예컨대, 금융IC칩(440), 또는 USIM 등)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또는 명령)를 교환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대응하는 접촉식 IC카드 리더, 및/또는 상기 ISO/IEC 14443 규격에 대응하는 비접촉식 IC카드 리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카드 리더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44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또는 명령)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규격을 참조하면, 고객 무선 단말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440)은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및/또는 입출력(I/O) 등과 같은 접촉점을 통해 IC칩 리더부(435)와 통신(예컨대, 명령 또는 데이터 교환 등)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45)와, CPU(Central Process Unit), MPU(Micro Process Unit), 및/또는 코프로세서(Coprocessor)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소자로 이루어진 프로세서부(450)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 칩 메모리부(453)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메모리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예컨대, ROM)에는 IC카드 내부 자원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칩 운영 체제(Chip Operating System; COS)가 저장되는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445)의 전원 공급(VCC) 접촉점을 통해 IC칩 리더부(435)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칩 메모리부(453)에 저장된 COS가 소정의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IC칩(4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클럭 신호(CLK) 접촉점의 클럭주파수(예컨대, 3.57MHz 또는 4.9MHz)를 기반으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440)과 IC칩 리더부(435) 사이의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IC칩(440)의 칩 메모리부(453)에는 상기 USIM 기능(또는 금융 IC칩(440)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카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칩 저장정보(457)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칩 저장정보(457)는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판독 및/또는 사용되어지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저장부(463)와, 상기 프로세서부(450)의 연산 기능과 COS가 제공하는 명령어 셋트에 의해 구동 또는 실행되어 동작하며,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루틴(예컨대, 자바카드(Javacard)의 경우 자바 애플릿(JAVA Applet))으로서 상기 COS의 명령어 셋트와 상호 작용하는 명령호출코드와 프로세서부(450)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처리부(4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특히 상기 처리부(460)는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445)를 거쳐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명령을 근거로 상기 저장부(463)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거나, 또는 기록하며, 그 결과 또는 읽어온 정보 또는 데이터를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445)를 거쳐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463)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저장부(463)에 저장되는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할당된 무선단말(400) 전화번호,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정보, IC칩(440) 고유정보, 동적(또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주소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440)의 칩 메모리부(453)는 ISO/IEC 10202에 기반하는 보안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르면 상기 칩 메모리부(453)는 CSN(Chip Serial Number)와 같은 비밀정보가 저장되는 보호영역과, COS 제어 영역,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영역, 읽기/쓰기 접근 영역,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영역, 및 FAT(File Allocation Table) 관리 영역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을 위한 IC칩 저장정보(457)는 상기 보호영역과 COS 제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ICC 규격에 따르면, 상기 칩 메모리부(453)는 루트 파일(Root File)에 해당하는 하나의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과, 상기 마스터 파일 하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정보에 대한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ATR(Answer To Reset)과, 각각의 ICC 저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과, 그리고 상기 전용 파일 하위에 배치되며 스마트 카드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포함된 요소 파일(Element File; EF)로 이루어진 파일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을 위한 IC칩 저장정보(457)도 상기와 같은 파일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440)이 금융IC칩(440)(또는 금융정보를 구비한 USIM)이라면, 상기 IC칩 저장정보(457)는 전자통장(Electronic Bankbook)과 금융공동망을 포함하는 금융계정(또는 금융상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신용카드(Credit Card) 결제수단, 직불카드(Debit Card) 결제수단, 체크카드(Check Card) 결제수단, 선불카드(Prepaid Card) 결제수단, 전자지갑(Electronic Wallet) 결제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465)는 상기 무선단말(4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루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매체에 해당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NAND 또는 NOR 계열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ROM 또는 EP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프로그램(예컨대, 시스템 기본 설정 정보 및/또는 운영체제 루틴 등)가 저장되고, 상기 NAND 또는 NOR 계열의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EEPROM에는 각종 시스템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 및/또는 프로그램(예컨대, 운영체제 루틴, 호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예컨대, 주소록) 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등)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465)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할당된 무선단말(400) 전화번호,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동적(또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와,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는 상태 관리부(46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400)의 상태 관리는,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에 설정된 통화연결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400)의 상태 관리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한 후, 키 입력부(420)를 통해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전화 받기를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엔코딩하여 입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상기 호 연결이 완료된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한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을 통해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처리부(415)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무선단말(400)에서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소정의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470)와,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473)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확인부(47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470)는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소정의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확인부(473)는 상기 정보 수신부(470)를 통해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더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통신사 시스템(495)으로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측의 무선단말(400)과 통신사 시스템(495)간 호 연결 요청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확인부(475)는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지 여부를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정보는, 발신자 통화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내지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발신자에 대한 개인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이메일주소 등의 상기 무선단말(400) 소유주(즉, 수신자)가 입력하여 저장한(또는 자동 입력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즉,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 거나, 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 제공부(477)와,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477)를 통해 제공된 ARS 안내 음성을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음성 메시지 수신부(4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477)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즉,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상기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제공되는 ARS 안내 음성은, 상기 무선단말(400)을 이용하는 수신자의 상황과, 이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ARS 안내 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477)를 통해 ARS 안내 음성이 제공된 후,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480)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통신사 시스템(495)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이거나, 및/또는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성 메시지 수신을 위해, 음성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48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 처리하는 벨소리 변환 처리부(48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를 벨소리로 변환 처리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상기 벨소리 변환 처리부(483)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벨소리로 변환 처리하면, 상기 변환 처리된 벨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48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변환 처리된 벨소리 출력은, 상기 변환 처리된 벨소리를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스피커를 동작시키기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변환 처리된 벨소리를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상기 출력된 벨소리를 확인한 수신자가, 이를 기반으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과 연계하여 상기 상태 관리부(467)를 통해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를 전환 처리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4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처리부(48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4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무선단말(400)의 동작 모드를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 처리하고,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스피 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4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이 영상통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화상 입력장치(도시생략)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4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400)을 통해 제공된 벨소리를 확인한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전화통화 연결음(즉, Ring 톤 또는 Ring 톤에 대응하는 벨소리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에 따라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4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4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거부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4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수신하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4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4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4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400) 이외에 다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4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따른 무선단말(400)의 동작 과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5에서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400)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단말은,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또는 통화 채널 연결요청)을 수신하고(5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호 연결을 요청(또는 통화채널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한다(50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 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더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통신사 시스템(495)으로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측의 무선단말(400)과 통신사 시스템(495)간 호 연결 요청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510), 상기 단말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 오류정보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단말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고(515), 이후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확인되면(510), 상기 단말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520).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정보는, 발신자 통화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내지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발신자에 대한 개인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이메일주소 등의 상기 무선단말(400) 소유주(즉, 수신자)가 입력하여 저장한(또는 자동 입력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이 인증된 발신자인 경우(525), 상기 단말은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하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이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525),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495)과 연계하여 발신자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고(530),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여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한다(535).
여기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제공되는 ARS 안내 음성은, 상기 무선단말(400)을 이용하는 수신자의 상황과, 이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ARS 안내 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477)를 통해 ARS 안내 음성이 제공된 후,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480)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통신사 시스템(495)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이거나, 및/또는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성 메시지 수신을 위해, 음성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 수신을 확인한다(540).
만약,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 수신이 확인되면(545),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벨소리로 변환 처리하고, 상기 변환 처리된 벨소리를 상기 단말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55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를 벨소리로 변환 처리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변환 처리된 벨소리 출력은, 상기 변환 처리된 벨소리를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스피커를 동작시키기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변환 처리된 벨소리를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400)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400)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400)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6에서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400)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남긴 음성 메시지를 변환 처리한 벨소리 출력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된 벨소리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 여부를 입력한다(6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4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무선단말(400)의 동작 모드를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 처리하고,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4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400)이 영상통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화상 입력장치(도시생략)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4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400)을 통해 제공된 벨소리를 확인한 수신자가 음성(또 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전화통화 연결음(즉, Ring 톤 또는 Ring 톤에 대응하는 벨소리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을 통해 통화 연결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즉, 통화 연결을 거부한 경우)(605), 상기 단말은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등록한다(610).
반면, 상기 단말을 통해 통화 연결을 요청한 경우(605), 상기 단말은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등록한다(6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4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 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거부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4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4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4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수신하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7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7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700) 이외에 다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7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CDMA/WCDMA 기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무선단말(700)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와 키패드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와 안테나와 배터리(7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능을 제공하는 모뎀, CPU/MPU(Central Processing Unit/ Micro Processing Unit), 보코더 등의 기능을 내장한 소정의 모뎀칩(예컨대, CDMA/WCDMA의 경우 미국 퀄컴(Qualcomm)사의 MSM 시리즈 모뎀칩 또는 GSM의 경우 TI(Texas Instrument) 모뎀칩 등)과, 각종 메모리 소자, 하나의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기지국 등으로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세기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Poser Amplifier Module;PAM),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고출력 송신 신호가 반대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막아주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F SAW 필터,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회로, 수신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신호로 사용되는 UHF 주파수 합성기,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는 점차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집적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뎀칩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 외에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함께 집적화 되고 있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700)은 구조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대응하는 제어부(705)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부(710)와, 마이크/스피커에 대응하는 사운드 처리부(715)와, 키패드에 대응하는 키 입력부(720)와, 안테나 및 각종 RF모듈에 대응하는 무선 처리부(730)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응하는 메모리부(763), 및 소정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7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키 입력부(720)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700)은 각종 금융(또는 결제)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7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740)(예컨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금융 IC칩(740) 등)과 상기 IC칩(740)에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읽고/쓰기 위한 IC칩 리더부(73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700)은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정의 화상정보를 독출하는 카메라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근거리 장치와 근거리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700)은 상기 당엄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의 기능 구성부 이외에 더 많은 기능 구성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부(70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무선단말(700)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메모리부(763) 및/또는 메모리 소자(또는 칩셋)으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을 위해 무선단말(7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7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7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루틴은 기본적으로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예컨대, 전원관리 루틴, 채널(순방향/역방향) 관리 루틴, 핸드오프 루틴 등, 도시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705)에 의해 무선단말(7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 구성들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700)에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7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700)은 소정의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설정 세부 상태, 파일롯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동기 채널 획득 세부 상태 및 타이밍 변환 세부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국 초기화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설정된다.
상기 부팅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운영체제 루틴(도시생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관리 루틴(도시생략) 및 이에 대응하는 각종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제어부(705)에 구비된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700)은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시스템 액세스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 등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됨으로써, 이동통신 기반 무선 접속 및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710)는 상기 무선단말(700)의 각 동작모드 운용 및 이에 대응하는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화면 위한 기능 구성부로서,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LCD 또는 AMOLED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면 출력장치와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705)와 연계하여 상기 키 입력부(72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또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기능처리 화면 및 기능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71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 기능처리 화면 및 기능처리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715)는 상기 무선단말(700)의 각 동작모드에서 사운드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하는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을 구비하여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715)는 상기 무선단말(7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통화연결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엔코딩하여 입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처리부(715)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무선단말(700)에서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715)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 입력부(7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와, 상기 키 입력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키 입력장치에서 상기 키 버튼을 클릭(또는 입력)하여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입력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05)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의 입력모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키 입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키 입력부(720)는 상기 검출된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7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705)는 상기 무선단말(7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720)는 상기 무선단말(7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통화"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700)의 동작모드를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720)는 상기 무선단말(7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기능키(예컨대, 메뉴키 등)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72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처리부(730)는 상기 무선단말(700)이 CDMA/WCDMA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무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CDMA/WCDMA 모뎀과 각종 RF 모듈(예컨대, 듀플렉서 필터,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 Module; PAM),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아이솔레이터(Isolator), RF/IF SAW 필터, 주파수 상향회로,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 UHF 주파수 합성기 등) 및 안테나와 이를 구동하는 드라 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705)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의 각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위치등록 및/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및/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및/또는 핸드오프(Hand-off) 및/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73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 기능(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수행)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무선 처리부(73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상기 무선단말(700)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처리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C칩 리더부(735)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칩(740) 규격을 통해 무선단말(7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740)(예컨대, 금융IC칩(740), 또는 USIM 등)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또는 명령)를 교환하는 기능 구성부로서,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대응하는 접촉식 IC 카드 리더, 및/또는 상기 ISO/IEC 14443 규격에 대응하는 비접촉식 IC카드 리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카드 리더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74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또는 명령)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규격을 참조하면, 고객 무선 단말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740)은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및/또는 입출력(I/O) 등과 같은 접촉점을 통해 IC칩 리더부(735)와 통신(예컨대, 명령 또는 데이터 교환 등)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745)와, CPU(Central Process Unit), MPU(Micro Process Unit), 및/또는 코프로세서(Coprocessor)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소자로 이루어진 프로세서부(750)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 칩 메모리부(753)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메모리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예컨대, ROM)에는 IC카드 내부 자원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칩 운영 체제(Chip Operating System; COS)가 저장되는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745)의 전원 공급(VCC) 접촉점을 통해 IC칩 리더부(735)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칩 메모리부(753)에 저장된 COS가 소정의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IC칩(7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클럭 신호(CLK) 접촉 점의 클럭주파수(예컨대, 3.57MHz 또는 4.9MHz)를 기반으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740)과 IC칩 리더부(735) 사이의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IC칩(740)의 칩 메모리부(753)에는 상기 USIM 기능(또는 금융 IC칩(740)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카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칩 저장정보(755)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C칩 저장정보(755)는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판독 및/또는 사용되어지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저장부(760)와, 상기 프로세서부(750)의 연산 기능과 COS가 제공하는 명령어 셋트에 의해 구동 또는 실행되어 동작하며,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루틴(예컨대, 자바카드(Javacard)의 경우 자바 애플릿(JAVA Applet))으로서 상기 COS의 명령어 셋트와 상호 작용하는 명령호출코드와 프로세서부(750)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처리부(75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특히 상기 처리부(757)는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745)를 거쳐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명령을 근거로 상기 저장부(76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거나, 또는 기록하며, 그 결과 또는 읽어온 정보 또는 데이터를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745)를 거쳐 상기 고객 무선 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760)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저장부(760)에 저장되는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할당된 무선단말(700) 전화번호,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정보, IC칩(740) 고유정보, 동적(또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주소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740)의 칩 메모리부(753)는 ISO/IEC 10202에 기반하는 보안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르면 상기 칩 메모리부(753)는 CSN(Chip Serial Number)와 같은 비밀정보가 저장되는 보호영역과, COS 제어 영역,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영역, 읽기/쓰기 접근 영역,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영역, 및 FAT(File Allocation Table) 관리 영역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을 위한 IC칩 저장정보(755)는 상기 보호영역과 COS 제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ICC 규격에 따르면, 상기 칩 메 모리부(753)는 루트 파일(Root File)에 해당하는 하나의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과, 상기 마스터 파일 하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정보에 대한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ATR(Answer To Reset)과, 각각의 ICC 저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과, 그리고 상기 전용 파일 하위에 배치되며 스마트 카드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포함된 요소 파일(Element File; EF)로 이루어진 파일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을 위한 IC칩 저장정보(755)도 상기와 같은 파일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740)이 금융IC칩(740)(또는 금융정보를 구비한 USIM)이라면, 상기 IC칩 저장정보(755)는 전자통장(Electronic Bankbook)과 금융공동망을 포함하는 금융계정(또는 금융상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신용카드(Credit Card) 결제수단, 직불카드(Debit Card) 결제수단, 체크카드(Check Card) 결제수단, 선불카드(Prepaid Card) 결제수단, 전자지갑(Electronic Wallet) 결제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763)는 상기 무선단말(7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루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매체에 해당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NAND 또는 NOR 계열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ROM 또는 EP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프로그램(예컨대, 시스템 기본 설정 정보 및/또는 운영체제 루틴 등)가 저장되고, 상기 NAND 또는 NOR 계열의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EEPROM에는 각종 시스템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 및/또는 프로그램(예컨대, 운영체제 루틴, 호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또는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예컨대, 주소록) 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등)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763)는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할당된 무선단말(700) 전화번호,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동적(또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700)은,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와,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는 상태 관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700)의 상태 관리는,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에 설정된 통화연결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700)의 상태 관리는,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한 후, 키 입력부(720)를 통해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전화 받기를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의 각 동작모드 중 상기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엔코딩하여 입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상기 호 연결이 완료된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한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을 통해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처리부(715)는 상기 "이동국 통화 대기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무선단말(700)에서 구비된(또는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700)은,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소정의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765)와,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767)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확인부(7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765)는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소정의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확인부(767)는 상기 정보 수신부(765)를 통해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더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통신사 시스템(785)으로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측의 무선단말(700)과 통신사 시스템(785)간 호 연결 요청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확인부(770)는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지 여부를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정보는, 발신자 통화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내지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발신자에 대한 개인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이메일주소 등의 상기 무선단말(700) 소유주(즉, 수신자)가 입력하여 저장한(또는 자동 입력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700)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즉,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 제공부(773)와,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773)를 통해 제공된 ARS 안내 음성을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음성 메시지 수신부(77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773)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즉,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상기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제공되는 ARS 안내 음성은, 상기 무선단말(700)을 이용하는 수신자의 상황과, 이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ARS 안내 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773)를 통해 ARS 안내 음성이 제공된 후,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775)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통신사 시스템(785)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 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이거나, 및/또는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성 메시지 수신을 위해, 음성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700)은,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775)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벨소리 출력 이전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77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775)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정보를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에 따라 상기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777)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 출력은,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스피커를 동작시키기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700)은, 상기 출력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이를 기반으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과 연계하여 상기 상태 관리부를 통해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를 전환 처리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7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처리부(7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7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무선단말(700)의 동작 모드를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 처리하고,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7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이 영상통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화상 입력장치(도시생략)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7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700)을 통해 제공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전화통화 연결음(즉, Ring 톤 또는 Ring 톤에 대응하는 벨소리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700)은,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에 따라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78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7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거부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7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수신하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7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7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7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CDMA/WCDMA 또는 GSM 기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700) 이외에 다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무선단말(700)에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확인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발신자 확인기능에 따른 무선단말(700)의 동작 과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8에서는 상기 도면7에 도시된 무선단말(700)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7에 도시된 단말은, 발신자 통화단말의 요청에 따라 호 연결 요청(또는 통화 채널 연결요청)을 수신하고(8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호 연결을 요청(또는 통화채널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한다(80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더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이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통신사 시스템(785)으로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 확인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자 측의 무선단말(700)과 통신사 시스템(785)간 호 연결 요청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810), 상기 단말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 오류정보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단말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고(815), 이후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확인되면(810), 상기 단말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820).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정보는, 발신자 통화단말에 부여된 전화번호 내지 발신자의 전화번호, 상기 발신자에 대한 개인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이메일주소 등의 상기 무선단말(700) 소유주(즉, 수신자)가 입력하여 저장한(또는 자동 입력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내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 확인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고유정보가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거부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이 인증된 발신자인 경우(825), 상기 단말은 상기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하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이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825),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사 시스템(785)과 연계하여 발신자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연결하고(830),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발신자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여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한다(835).
여기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제공되는 ARS 안내 음성은, 상기 무선단말(700)을 이용하는 수신자의 상황과, 이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ARS 안내 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부(773)를 통해 ARS 안내 음성이 제공된 후, 상기 음성 메시지 수신부(775)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통신사 시스템(785)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이거나, 및/또는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성 메시지 수신을 위해, 음성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 수신을 확인한다(840).
만약,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 수신이 확인되면(845),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8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 출력은,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스피커를 동작시키기 위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및/또는 과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700)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7에 도시된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700)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또는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발신자 인증을 통한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700)에 있어서,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및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9에서는 상기 도면7에 도시된 무선단말(700)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남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된 음성 메시지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 여부를 입력한다(9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700)과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무선단말(700)의 동작 모드를 “통화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 처리하고, 상기 발신자 통 화단말에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7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700)이 영상통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화상 입력장치(도시생략)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무선 처리부(730)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700)을 통해 제공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음성(또는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전화통화 연결음(즉, Ring 톤 또는 Ring 톤에 대응하는 벨소리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을 통해 통화 연결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즉, 통화 연결을 거부한 경우)(905), 상기 단말은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등록한다(910).
반면, 상기 단말을 통해 통화 연결을 요청한 경우(905), 상기 단말은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등록한다(9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7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 사 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거부하면, 즉시,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거부하면, 상기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 관리는, 상기 무선단말(700)에 구비된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정보 중 상기 무선단말(700)에서 제공하는 ARS 안내 음성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 하지 않으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 일정 횟수 이상을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추가/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에게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수신하면, 즉시,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 삭제시, 상기 무선단말(700)로 걸려온 전화를 상기 무선단말(700) 사용자(즉, 수신자)가 음성(또는 영상) 통화를 일정횟수 이상 수신하면, 상기 거부된 고유정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전화를 걸었을 때,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비인증된 발신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한 후, 발신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 휴대폰을 통해 제공하여, 미리 상대를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전화/광고전화를 걸러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서비스 되고있는 비밀번호 통화 서비스의 경우, 미리 비밀번호를 상대에게 알려주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해야 하는 난해한 문제를 해결하여, 인증된 사용자는 종래와 똑같은 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인증된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를 남기도록 유도하여, 어느 누구나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을 제공한다.

Claims (9)

  1. 발신자 통화단말과 수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채널 연결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 채널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인 경우, 상기 통신사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통화 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 ARS 안내 음성을 제공하여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음성(또는 화상)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서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와 별도의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판독하여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문자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처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메시지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의 벨소리를 대신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처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수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음성(또는 화상)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서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와 별도의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등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처리방법.
  6. 제 1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발신자 통화단말과 수신자 통화단말간 음성(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확인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가 상기 수신자 통화단말에 구비된 전화번호부와 별도의 인증된 고유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확인부;
    인증되지 않은 발신자의 통화단말로 음성 메시지 녹음을 요청하는 ARS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
    상기 제공된 ARS 안내 메시지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처리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ARS 안내 메시지를 통해 상기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판독하여 문자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는 메시지 변환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처리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9. 제 9항에 있어서,
    발신자 통화단말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화통화를 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인증된 발신자 통화단말의 고유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처리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KR1020080118852A 2008-11-27 2008-11-27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055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52A KR101055934B1 (ko) 2008-11-27 2008-11-27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52A KR101055934B1 (ko) 2008-11-27 2008-11-27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302A true KR20100060302A (ko) 2010-06-07
KR101055934B1 KR101055934B1 (ko) 2011-08-09

Family

ID=4236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52A KR101055934B1 (ko) 2008-11-27 2008-11-27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9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46B1 (ko) * 2012-05-29 2013-02-06 주식회사 엔오비즈 무선 이동 전화 단말기의 오토 콜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67595A (ko) * 2018-12-04 2020-06-12 넷마블 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WO2022010158A1 (ko) * 2020-07-06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93976B2 (en) 2020-07-0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09A (ko) * 2003-12-09 2005-06-14 주식회사 에이온미디어 통화연결 제한 시스템 및 제한 방법
KR20070018189A (ko) * 2005-08-09 2007-02-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제한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46B1 (ko) * 2012-05-29 2013-02-06 주식회사 엔오비즈 무선 이동 전화 단말기의 오토 콜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67595A (ko) * 2018-12-04 2020-06-12 넷마블 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WO2022010158A1 (ko) * 2020-07-06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93976B2 (en) 2020-07-0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934B1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934B1 (ko) 발신자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300764B1 (ko) 데이터 통신망과 음성 통신망을 이용한 결제/인증 토큰 발급 방법
KR20120061022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망의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발신측 장치, 착신 단말 및 프로그램
KR20120089388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망의 발신자 인증을 요청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발신측의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20120079044A (ko) 모바일 일회용코드를 이용한 금융거래 제공 시스템
KR101098670B1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종단간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100013363A (ko) 글로벌 플랫폼 기반 아이씨 카드와 그 운영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090080415A (ko) 매체 인증을 통해 일회용 인증코드를 구현하는 무선단말과매체인증 서버 및 일회용 인증 코드 구현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1041112B1 (ko) 외국인 근로자 대상 선불통화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130075761A (ko) 비접촉식 매체 인증을 이용한 네트워크형 오티피 운영 방법
KR20130080029A (ko) 비접촉식 매체 인증을 이용한 네트워크형 오티피 출력 방법
KR20090081756A (ko) 모바일 학생증을 통한 할인 결제 방법과 무선단말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130061163A (ko) 비접촉식 매체를 이용한 프로그램 제어 방법
KR20100136355A (ko) 생체 인식과 연동하는 네트워크 형 오티피 인증을 통한 휴대폰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70033709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스마트 카드 사이의 인터페이싱 방법
KR20100053941A (ko) 영상통화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942608B1 (ko) 무선 일회용 인증 휴대폰의 분실 처리 방법
KR20130027538A (ko) 매체 인증을 통한 서버형 일회용 인증코드 구현 방법
KR101030024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휴대폰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136356A (ko) 생체 인식과 연동하는 씨드 조합 방식의 네트워크 형 오티피 인증을 통한 휴대폰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30023300A (ko) 매체 인증을 통한 일회용 인증코드 구현 방법
KR20130075762A (ko) 네트워크형 오티피 운영 시스템
KR20190104019A (ko) 프로그램 기반의 네트워크 형 오티피 제공 방법
KR20100136344A (ko) 사용자 매체와 연동하는 다중 코드 생성 방식의 네트워크 형 오티피 인증을 통한 휴대폰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00485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수표조회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