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370A -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370A
KR20200067370A KR1020180154157A KR20180154157A KR20200067370A KR 20200067370 A KR20200067370 A KR 20200067370A KR 1020180154157 A KR1020180154157 A KR 1020180154157A KR 20180154157 A KR20180154157 A KR 20180154157A KR 20200067370 A KR20200067370 A KR 20200067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drone
game
collision
dr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593B1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주)퓨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스포 filed Critical (주)퓨스포
Priority to KR102018015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5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1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using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game devices and game servers, e.g. by encrypting game data or authenticating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6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rendering three dimensional images
    • A63F2300/6661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rendering three dimensional image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운영서버; 디스플레이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플레이어용단말기; 및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운영서버는, 3차원좌표를 갖는 가상경기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가상경기장 표시모듈; 상기 가상경기장 내에 상기 플레이어용단말기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및 제2 가상드론을 각각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위치를 각각 판단하는 가상드론 관리모듈;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이 서로 충돌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 중 어느 쪽이 타격한 것인지를 판정하여 타격한 가상드론에 포인트(Point)를 부여하는 제1 및 제2 충돌판정모듈; 을 포함하여 가상경기장과 가상드론을 이용한 온라인 방식으로 드론충돌게임이 진행되므로, 종래의 오프라인 드론충돌경기 대비 복잡한 경기장과 부대시설이 필요하지 않아 다양한 장소에서 드론충돌게임을 할 수 있고, 실제 드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오프라인 드론충돌경기에서 수시로 발생하던 드론 파손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 FOR ONLINE DRONE CLASH GAME}
본 발명은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에서 벌어지는 드론충돌경기(일명: 드론크래쉬)를 온라인 형태로 제공하여 많은 사람들이 복잡한 경기장 및 부대시설 없이도 간편하게 드론충돌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오프라인 드론충돌경기에서 자주 발생하는 드론 파손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벌이 윙윙거리는 소리 또는 낮게 윙윙거리는 소리라는 사전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로 기체에 사람이 타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 조종을 한다는 점에서 무인항공기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즉, 드론은 항공기에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자동 또는 원격으로 비행이 가능하고, 1회용 또는 회수 가능한 무인 항공기라고 볼 수 있다. 무선 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드론은 초기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정찰에 활용되다가 최근 그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고공 촬영, 공기질 측정, 농약 살포 및 배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드론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드론의 가격도 낮아지고 드론을 조종하는 방법 또한 단순화되면서 드론을 취미나 여가 활동으로 즐기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는 실정이다. 그와 더불어 드론을 이용한 다양한 경기가 스포츠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 중에서 드론을 서로 충돌시켜 격추시키거나 포인트를 얻어서 승리를 따내는 드론충돌경기가 오프라인에서 열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프라인 드론충돌경기는 경기를 하기 위한 경기장이 주변안전과 드론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소정 규모의 케이지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에 복잡한 경기장과 부대시설을 갖추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시설을 갖추지 못하면 경기 전에 연습을 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따라서, 드론충돌경기가 한정된 장소에서만 열리게 되고, 이는 드론충돌게임을 대중화시키는데 한계로 작용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의 드론충돌경기는 게임방법의 특성상 경기에 참가한 드론끼리 서로 자주 충돌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드론의 파손이 수시로 발생하여 경제적 손실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7-0138752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복잡한 경기장과 부대시설이 필요 없고, 오프라인 경기 도중에 발생하는 드론 파손의 문제를 방지하면서, 오프라인 드론충돌경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상드론을 조종하여 드론충돌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운영서버; 디스플레이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플레이어용단말기; 및 상기 게임운영서버와 상기 플레이어용단말기를 연결하고, 상기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을 운영 및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운영서버는, X축, Y축, Z축으로 이루어진 3차원좌표를 갖는 가상경기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가상경기장 표시모듈; 상기 가상경기장 내에 상기 플레이어용단말기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및 제2 가상드론을 각각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위치를 각각 판단하는 가상드론 관리모듈;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이 서로 충돌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 중 어느 쪽이 타격한 것인지를 판정하여 타격한 가상드론에 포인트(Point)를 부여하는 제1 충돌판정모듈; 및 상기 제1 충돌판정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이 둘 다 타격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충돌시의 속도를 각각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가상드론에게만 포인트가 부여되도록 하는 제2 충돌판정모듈; 을 포함하는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상드론 관리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3차원좌표를 밀리초 단위로 각각 체크하고, 상기 가상경기장에서 Z축의 양단을 북쪽 및 남쪽으로 X축의 양단을 동쪽과 서쪽으로 지정하고, Z축과 X축을 45°의 제1 가상선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상기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동서남북 중 하나로 판단되도록 하고, 상기 가상경기장에서, Y축의 양단을 위쪽과 아래쪽으로 각각 지정하고, Y축과 Z축 또는 Y축과 X축을 45°의 제2 가상선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상기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하나로 판단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충돌판정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 충돌시, 상기 가상드론 관리모듈에 의해 판단된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2 가상드론의 3차원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1 가상드론이 상기 제2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상드론이 상기 제2 가상드론을 타격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가상드론 관리모듈에 의해 판단된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1 가상드론의 3차원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2 가상드론이 상기 제1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상드론이 상기 제1 가상드론을 타격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어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대형스크린, VR(Virtual Reality)기기, PC모니터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게임운영서버는, 한 명의 플레이어가 연습모드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 중 하나가 임의로 제어되도록 하는 가상드론 운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게임운영서버는, 드론충돌게임 현황을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게임현황 전송모듈; 및 상기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의 알고리즘 및 게임규칙을 편집하기 위해 상기 게임운영서버에 접속되는 관리자 접속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경기장과 가상드론을 이용한 온라인 방식으로 드론충돌게임이 진행되므로 종래의 오프라인 드론충돌경기 대비 복잡한 경기장과 부대시설이 필요하지 않아 다양한 장소에서 드론충돌게임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드론충돌게임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고, 실제 게임 전에 개인적으로 연습을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방식이므로 드론충돌게임에 실제 드론이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의 오프라인 드론충돌경기에서 수시로 발생하던 드론 파손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에서, 플레이어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컨트롤러, 관리자단말기, 시청자의 PC 또는 스마트폰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에서 충돌판정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에서, 플레이어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컨트롤러, 관리자단말기, 시청자의 PC 또는 스마트폰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은, 게임운영서버(10), 플레이어용단말기(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은 가상경기장 내에 제1 및 제2 가상드론을 각각 배치하고, 2명의 플레이어가 각자 자신에게 배정된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을 플레이어용단말기(20)를 통해 온라인으로 조종하여 상대방의 제2 또는 제1 가상드론을 타격하여 점수를 얻고, 이에 제한 시간 내에 더 많은 점수를 획득하면 승리하게 되는 게임이다. 이때, 경기 시간은 1경기당 통상 1분 30초이지만, 상황에 따라 경기 시간을 1분 30초 이상으로 하거나, 1 분 30초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임운영서버(10)는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플레이어용단말기(20)가 접속되면, 플레이어용단말기(20)에 실행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플레이어용단말기(20)로 게임운영서버(10)의 드론충돌게임을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필요시 게임운영서버(10)에는 플레이어DB가 포함되어 등록된 플레이어의 플레이어용단말기(20)만 게임운영서버(10)에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플레이어용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부(21) 및 컨트롤러(2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는 플레이어에게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의 게임현황 및 여러 가지 상태정보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1)는 대형스크린, VR(Virtual Reality)기기, PC모니터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1)가 대형스크린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가 대형스크린인 경우, 2명의 플레이어는 VR기기를 착용하지 않고 눈으로 직접 하나의 대형스크린을 같이 보면서 각각 구비된 컨트롤러(22)를 조작하여 드론충돌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1)의 화면(22)에는 제1 플레이어(20a)가 조종하는 제1 가상드론(1)과 제2 플레이어(20b)가 조종하는 제2 가상드론(2)은 물론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 각각의 체력점수 또는 획득한 포인트를 나타내는 포인트식별부(23, 24)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가 VR기기인 경우, 2명의 플레이어는 각각 하나씩의 VR기기를 착용한 상태로 각각 구비한 컨트롤러(22)를 조작하여 드론충돌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1)가 PC모니터 또는 스마트폰인 경우, 제1 및 제2 플레이어는 각자에게 준비된 PC모니터 또는 스마트폰을 보면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22)는 PC와 연결된 조이스틱 또는 조이패드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1)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 화면에 VR컨트롤러가 같이 표시되도록 하여 플레이어가 VR컨트롤러로 본인에게 배정된 가상드론을 조종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컨트롤러(22)는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된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 중 자신에게 배정된 가상드론으로 상대방의 가상드론을 타격하여 포인트를 얻기 위한 조종장치로서, 본 실시예의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은 2개의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으로 운영되므로 플레이어용단말기(20) 및 컨트롤러(22)도 제1 플레이어(20a)와 제2 플레이어(20b) 각각을 위한 2개가 필요하고, 이때 2개의 컨트롤러(22)가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을 각각 조종하여 드론충돌게임이 진행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컨트롤러(22)는 앞서 디스플레이부(21) 설명시 제시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RC컨트롤러, 스마트패드, 노트북 등 보다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통신망을 통해 게임운영서버(10)와 플레이어용단말기(20)를 연결하고, 전반적으로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을 운영 및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게임운영서버(10)는, 가상경기장 표시모듈(11), 가상드론 관리모듈(12), 제1 충돌판정모듈(13) 및 제2 충돌판정모듈(14)을 포함한다.
가상경기장 표시모듈(11)은 X축, Y축, Z축으로 이루어진 3차원좌표를 갖는 3차원 가상공간으로서의 이미지인 가상경기장이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상경기장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길이×폭×높이가 8×8×4(m)이지만, 본 발명은 온라인 방식이므로 가상경기장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축소하거나 확장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3차원좌표는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관계없는 절대좌표(월드좌표라고도 함)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가상드론 관리모듈(12)은 상기 가상경기장 내에 플레이어용단말기(20)의 컨트롤러(22)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이 각각 표시되도록 하고,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의 진행방향과 위치를 각각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은 2개의 플레이어용단말기(20)와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 플레이어(20a, 20b)가 자신들의 컨트롤러(22)를 이용하여 배정된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1, 2)을 조종하여 상기 가상경기장 내에서 드론충돌게임이 진행되어 디스플레이부(1)에 실시간으로 그 현황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가상등록 관리모듈(12)은 가상경기장 내에서 움직이는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의 3차원 좌표를 연속적으로 체크하여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의 위치와 진행방향을 1/1000초 단위로 확인하여 저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드론충돌게임은, 2명의 플레이어가 각각 조종하는 가상드론이 상대방의 가상드론을 타격하여 포인트를 얻고 이렇게 획득한 포인트가 누적되어 제한시간 내에 최종적으로 더 많은 포인트를 얻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따라서 누가 더 포인트를 많이 얻느냐가 게임의 관권이 된다. 이때, 각 플레이어 별로 게임 시작 전에 기본체력점수를 제공하고, 가상드론의 타격에 의해 플레이어가 포인트를 얻을 때마다 상대편의 체력점수를 깍아 제한 시간 내에라도 최종적으로 체력점수가 0이 되는 경우 해당 드론이 완전 파손되거나 추락하는 것으로 설정하여 경기에서 패하는 것으로 경기운영방식을 정할 수도 있다. 이때, 체력졈수가 0이 되면 시각적, 극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1)에 체력점수가 0이 된 가상드론이 추락하거나 폭발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인트는 드론이 어떤 형태로 타격했는지에 따라 획득하는 포인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가상드론을 향해 직선으로 비행하여 정면에서 타격을 하는 스트레이트 공격은 조종 난이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1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고, 상대방의 가상드론의 아래 부분으로 비행하다 아래에서 위쪽으로 올려치며 상대방의 가상드론을 타격하는 일명 어퍼컷 공격과 상대방의 가상드론의 윗부분으로 비행하다 위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찍는 일명 다운컷 공격은 조종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기 때문에 각각 +2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포인트 배정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게임의 난이도 및 상황에 따라 관리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에서는, 제1 가상드론과 제2 가상드론이 충돌할 때, 어느 쪽이 타격을 한 것인지를 판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이러한 가상드론 충돌시 어느 쪽이 타격한 것인지를 적절히 판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제1 충돌판정모듈(13)과 제2 충돌판정모듈(14)이다.
제1 충돌판정모듈(13)은 제1 가상드론(1)과 제2 가상드론(2)이 충돌할 때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의 각각의 위치와 진행방향에 근거하여 어느 쪽 가상드론이 타격한 것인지를 판정하고, 이러한 판정결과에 따라 타격한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1, 2)에 포인트(Point)를 부여하게 된다.
이때, 제1 충돌판정모듈(13)에 의해 제1 가상드론(1)과 제2 가상드론(2)이 둘 다 상대방에게 타격을 가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제2 충돌판정모듈(14)에 의해 한번 더 타격 우선 판정을 하게 된다. 제2 충돌판정모듈(14)은 제1 및 제2 가상드론(1, 2)이 서로 충돌할 때의 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속도를 서로 비교하여 제1 가상드론(1)과 제2 가상드론(2) 중에서 상대적으로 충돌시의 속도가 더 빠른 가상드론이 포인트를 받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가상드론 관리모듈(12)과 제1 충돌판정모듈(13)에 의한 가상드론 충돌판정 알고리즘에 대해 더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격하는 가상드론은 제1 가상드론으로 타격을 당하는 상대방의 가상드론은 제2 가상드론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가상드론 관리모듈(12)은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위치를 판단하는 역할을 하고, 이렇게 판단된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충돌판정모듈(13)이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의 타격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드론 관리모듈(12)은 가상경기장의 월드좌표(3차원 절대좌표)를 기준으로 제1 가상드론의 비행에 따른 벨로시티(Velocity)값을 밀리초 단위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즉,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감되는 벨로시티 값의 변화를 통해 제1 가상드론의 비행방향 및 비행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드좌표를 기준으로 Z축과 X축의 값을 각각 45°의 제1 가상선으로 구분하여 제1 가상드론의 비행방향을 Z축과 X축에 대해 4방향으로 단순화하여 저장한다. 이때, 가상드론 관리모듈(12)은, 가상경기장에서 Z축의 양단을 북쪽 및 남쪽으로 X축의 양단을 동쪽과 서쪽으로 지정하고, 이와 같이 지정된 방향은 가상경기장에서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에 따라 변하는 것이 아니다.
즉, 가상드론 관리모듈(12)은 상기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N쪽에 위치하면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은 북쪽으로 판단되고,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S쪽에 위치하면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은 남쪽으로 판단되고,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E쪽에 위치하면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은 동쪽으로 판단되고,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E쪽에 위치하면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은 동쪽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드좌표를 기준으로 Z축과 X축 또는 Z축과 Y축을 45°의 제2 가상선으로 구분하여 제1 가상드론의 비행방향을 6방향 체계로 단순화하여 저장한다. 이때, 가상드론 관리모듈(12)은, 가상경기장에서, Y축의 양단을 위쪽과 아래쪽으로 각각 지정한다.
즉, 가상드론 관리모듈(12)은 상기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위쪽에 위치하면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은 위쪽으로 판단되고,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아래쪽에 위치하면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은 아래쪽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드좌표를 기준으로 제1 가상드론과 제2 가상드론의 3차원좌표값을 밀리초 단위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앞서 월드좌표 기준으로 저장된 제2 가상드론과 제1 가상드론의 위치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모든 축에 대해 제1 가상드론이 제2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의 각도를 계산한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드좌표를 기준으로 Z축과 X축의 값을 각각 45°의 제1 가상선으로 구분하여 제2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을 단순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월드좌표를 기준으로 Z축과 X축 또는 Z축과 Y축을 45°의 제2 가상선으로 구분하여 제2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을 6방향 체계로 단순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개념이므로, 이에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돌판정모듈(13)은, 앞서 계산한 제1 가상드론의 비행방향 값과 제1 가상드론이 제2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면 제1 가상드론이 제2 가상드론을 타격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제2 가상드론에 대한 비행방향과 제2 가상드론이 제1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을 측정하면, 제1 가상드론에 대한 제2 가상드론의 타격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게임운영서버(10)는 가상드론 운전모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드론 운전모듈(15)은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1, 2) 중 하나를 플레이어용단말기(20)의 연결 없이도 임의로 제어되도록 하여, 한 명의 플레이어가 연습모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한 명의 플레이어가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1, 2) 중 하나만 조종하여 배틀 없이 기본 조종 연습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게임운영서버(10)는, 게임현황 전송모듈(16)과 관리자 접속모듈(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임현황 전송모듈(16)은 드론충돌게임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통신망을 통해 PC(41)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42) 등의 시청자용단말기(40)에 전송하여 다수의 시청자가 드론충돌게임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관리자 접속모듈(17)은 관리자용단말기(17a)가 게임운영서버(10)에 관리자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의 알고리즘 및 게임규칙 등을 편집하기 위한 관리자 전용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게임운영서버
11: 가상경기장 표시모듈
12: 가상드론 관리모듈
13: 제1 충돌판정모듈
14: 제2 충돌판정모듈
15: 가상드론 운전모듈
16: 게임현황 전송모듈
17: 관리자 접속모듈
20: 플레이어용단말기
21: 디스플레이부
22: 컨트롤러
30: 제어부

Claims (5)

  1.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운영서버;
    디스플레이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플레이어용단말기; 및
    상기 게임운영서버와 상기 플레이어용단말기를 연결하고, 상기 온라인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을 운영 및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운영서버는,
    X축, Y축, Z축으로 이루어진 3차원좌표를 갖는 가상경기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가상경기장 표시모듈;
    상기 가상경기장 내에 상기 플레이어용단말기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및 제2 가상드론을 각각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위치를 각각 판단하는 가상드론 관리모듈;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이 서로 충돌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 중 어느 쪽이 타격한 것인지를 판정하여 타격한 가상드론에 포인트(Point)를 부여하는 제1 충돌판정모듈; 및
    상기 제1 충돌판정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이 둘 다 타격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충돌시의 속도를 각각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가상드론에게만 포인트가 부여되도록 하는 제2 충돌판정모듈; 을 포함하는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드론 관리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3차원좌표를 밀리초 단위로 각각 체크하고, 상기 가상경기장에서 Z축의 양단을 북쪽 및 남쪽으로 X축의 양단을 동쪽과 서쪽으로 지정하고, Z축과 X축을 45°의 제1 가상선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상기 제1 가상선을 기준으로 동서남북 중 하나로 판단되도록 하고, 상기 가상경기장에서, Y축의 양단을 위쪽과 아래쪽으로 각각 지정하고, Y축과 Z축 또는 Y축과 X축을 45°의 제2 가상선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이 상기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하나로 판단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충돌판정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가상드론 충돌시, 상기 가상드론 관리모듈에 의해 판단된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2 가상드론의 3차원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제1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1 가상드론이 상기 제2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상드론이 상기 제2 가상드론을 타격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가상드론 관리모듈에 의해 판단된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1 가상드론의 3차원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제2 가상드론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2 가상드론이 상기 제1 가상드론을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상드론이 상기 제1 가상드론을 타격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대형스크린, VR(Virtual Reality)기기, PC모니터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운영서버는, 한 명의 플레이어가 연습모드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가상드론 중 하나가 임의로 제어되도록 하는 가상드론 운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운영서버는, 드론충돌게임 현황을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게임현황 전송모듈; 및 상기 드론충돌게임용 프로그램의 알고리즘 및 게임규칙을 편집하기 위해 상기 게임운영서버에 접속되는 관리자 접속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KR1020180154157A 2018-12-04 2018-12-04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KR10212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157A KR102129593B1 (ko) 2018-12-04 2018-12-04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157A KR102129593B1 (ko) 2018-12-04 2018-12-04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370A true KR20200067370A (ko) 2020-06-12
KR102129593B1 KR102129593B1 (ko) 2020-07-02

Family

ID=7108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157A KR102129593B1 (ko) 2018-12-04 2018-12-04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5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851A (ja) * 2001-07-27 2003-02-12 Namco Ltd ゲーム情報、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KR20130023458A (ko) * 2011-08-29 2013-03-08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서버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38752A (ko) 2016-06-08 2017-12-18 (주)코아텍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드론 경기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851A (ja) * 2001-07-27 2003-02-12 Namco Ltd ゲーム情報、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KR20130023458A (ko) * 2011-08-29 2013-03-08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서버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38752A (ko) 2016-06-08 2017-12-18 (주)코아텍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드론 경기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593B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2277B2 (en) Program, game system, and movement control method for assisting a user to position a game object
KR100786149B1 (ko) 캐릭터 집단이동 제어방법, 기록매체 및 게임장치
KR102042232B1 (ko) 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렉티브 게임 컨텐츠의 제공 시스템
US20060246974A1 (e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group of characters, recorded medium, and game device thereof
US9833712B2 (en) Game system, server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10559662B (zh) 虚拟环境中的视角切换方法、装置、终端及介质
EP2368612A2 (en) Image generation system and image generation system control method
JP2020110607A (ja) 対話型ゲームフロア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031450A1 (en)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70197146A1 (en) Remote control with relative directional sense to a controlled object
JP5184801B2 (ja) 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US10493363B2 (en) Reality-based video game elements
KR20220139970A (ko) 가상 장면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디바이스,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Zhao et al. The effects of visual and control latency on piloting a quadcopter using a head-mounted display
JP3467487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KR102129593B1 (ko) 온라인 드론충돌게임 운영 시스템
CN111185005B (zh) 跳伞信息提示方法、终端设备、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5068033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2012252659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サーバ
KR101473422B1 (ko) 완구 구동 시스템 및 완구 제어용 애플리케이션
KR102502022B1 (ko) 가상 현실 드론 시뮬레이터
KR102502020B1 (ko) 가상 현실 드론 시뮬레이터
JP694080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02021B1 (ko) 가상 현실 드론 시뮬레이터
JP2020062116A (ja) 拡張現実の技術を用いた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