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333A - 전압 조절 회로 - Google Patents

전압 조절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333A
KR20200066333A KR1020207012684A KR20207012684A KR20200066333A KR 20200066333 A KR20200066333 A KR 20200066333A KR 1020207012684 A KR1020207012684 A KR 1020207012684A KR 20207012684 A KR20207012684 A KR 20207012684A KR 20200066333 A KR20200066333 A KR 2020006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
winding
primary winding
secondar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696B1 (ko
Inventor
숀 스피드
마크 바버
Original Assignee
이코노파워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7903958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7903958A0/en
Application filed by 이코노파워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코노파워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6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1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tap transformers or tap changing inductors as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bucking or boosting transformer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imped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Ac-Ac Conversion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압 조절 회로(100)에 관한 것이다. 전압 조절 회로(100)는 제1 단부(132A) 및 제2 단부(132B)를 갖는 1차 권선(132) 및 제1 단부(134A) 및 제2 단부(134B)를 갖는 제1의 2차 권선(134)을 갖는 변압기(130)로서, 1차 권선(132)의 제1 단부(132A)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1차 권선(132)의 제2 단부(132B)는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1의 2차 권선(134)의 제1 단부(134A)는 중성 노드(180)에 접속되고, 1차 권선(132)은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1차 전압을 생성하고, 제1의 2차 권선(134)의 2차 전압은 1차 권선(132)의 1차 전압과 위상차가 있는, 변압기; 및 제1의 2차 권선(134)의 제2 단부(134B)를 1차 권선(132)의 제2 단부(132B)와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제1 스위치(160)로서, 제1 스위치(160)가 접속될 때, 출력 전압은 2차 전압인,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압 조절 회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압 조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절연 변압기 회로를 사용한 전원 전기의 전압 조절에 관한 것이다.
가정 및 사무실로 전달되는 전원 전기는 통상적으로 지정된(specified) 것보다 더 높다. 예를 들어, 호주에서는, 전원 전기(mains electricity)가 220 Vac의 전압을 갖는 것으로 지정되지만, 통상적으로 전원 전기는 255 Vac의 전압으로 전달된다. 더 높은 전압은 기기(즉, 부하)에서 더 높은 전류로 이어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기기에 의해 더 높은 전력이 소비되는 것으로 귀결된다.
더 높은 전압으로 인한 2개의 주요 영향이 있다. 첫째, 더 높은 전압 및 전류는 기기에 전기 스트레스를 가하고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둘째, 증가된 전력은 전력 소비 및 비용의 증가와 동일시된다.
종래의 전압 감소 방법은 입력 전압의 상당한 수정을 수반하고 종종 상당한 에너지 손실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전원 전기의 전압을 감소시키는 데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고효율(즉, 조절 동안 최소의 에너지 손실)인 전압 감소 기술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고효율(즉, 최소 에너지 손실)을 갖는 전압 감소를 제공하고자 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비절연 직렬 변압기를 사용하여 특정 전압(예를 들어, 30 Vac)만큼 전원 전기(mains electricity)의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압 조절 회로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1차 권선, 및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의 2차 권선(a first secondary winding)을 갖는 변압기로서, 1차 권선의 상기 제1 단부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1차 권선의 제2 단부는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1의 2차 권선의 제1 단부는 중성 노드(neutral node)에 접속되고, 1차 권선은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1차 전압을 생성하고, 제1의 2차 권선의 2차 전압은 1차 권선의 1차 전압과 위상차가 있는, 변압기; 및 제1의 2차 권선의 제2 단부를 1차 권선의 제2 단부와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제1 스위치로서, 제1 스위치가 접속될 때, 출력 전압은 2차 전압인,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압 조절 회로가 제공된다.
다른 양태가 또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의 출력 전압 파형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출력 전압 파형을 생성하기 위해 도 1의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의 특정 부분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첨부 도면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단계 및/또는 구성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단계 및/또는 구성은 반대 의도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설명의 목적을 위해 동일한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갖는다.
도 1은 입력 필터(120), 출력 필터(140), 직렬 변압기(130), 제1 스위치(160) 및 제2 스위치(170)를 갖는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100)를 나타낸다.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100)의 입력 전압은 입력 노드(110) 및 중성 노드(180)에 인가된다.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100)의 출력 전압은 출력 노드(150)와 중성 노드(180) 사이에 제공된다.
직렬 변압기(130)는 1차 권선(132), 제1의 2차 권선(a first secondary winding, 134) 및 제2의 2차 권선(a second secondary winding, 136)을 포함한다. 점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권선(132) 및 제1의 2차 권선(134)의 권선 극성은 180° 위상차가 있다. 또한, 점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권선(132) 및 제2의 2차 권선(136)의 권선 극성은 동위상(즉, 0°의 위상 시프트)이다.
(1차 권선(132)의 1차 전압에 의해 유도되는) 제1의 2차 권선(134)에서의 2차 전압은 1차 권선(132)과 제1의 2차 권선(134) 사이의 권선의 비에 의존한다. 1차 권선(132)과 제1의 2차 권선(134) 사이의 비는 제1의 2차 권선(134)의 턴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제1의 2차 권선(134)의 턴 수는 탭(미도시)을 사용하여 변화될 수 있다.
스위치 보호 디바이스, 다이오드 브릿지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는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입력 노드(110)는 필터(120)에 접속된다. 필터(120)는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100)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입력 전압의 고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이다. 저역 통과 필터(120)의 차단 주파수는 입력 노드(110)에서의 노이즈가 회로(100)에 최소의 영향을 갖도록 보장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입력 필터(120)는 능동 조절 동안 필요에 따라 그 특성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커패시턴스를 갖는다. 일 구성에서, 입력은 전원 전기이다. 다음으로, 필터(120)는 1차 권선(132)의 제1 단부(점으로 표시됨)(132A)에 접속된다. 1차 권선(132)의 제2 단부(132B)는 출력 필터(140)에 접속되고, 이는 차례로 출력 노드(150)에 접속된다. 출력 필터(140)는 출력 전압을 평활화하고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100)로부터 발생하는 원하지 않는 고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이다. 저역 통과 필터(140)의 차단 주파수는 (이후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제어 신호(310 및 320)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50/60 Hz 초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의 2차 권선(134)의 제1 단부(점으로 표시됨)(134A)는 중성 노드(180)에 접속된다. 제1의 2차 권선(134)의 제2 단부(134B)는 스위치(160)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스위치(160)는 1차 권선(132)의 제2 단부(132B)에 접속된다.
스위치(160)가 폐쇄(즉, 접속)될 때, 제1의 2차 권선(134)의 제2 단부(134B)는 1차 권선(132)의 제2 단부(132B)에 접속된다. 스위치(170)는 이 스테이지에서 개방(즉, 접속 해제)되어야 한다. 스위치(160)가 폐쇄되는 것과 동시에 스위치(170)가 폐쇄되면, 1차 권선(132)과 제1의 2차 권선(134)을 가로지르는 단락이 실질적으로(effectively) 존재한다. 즉, 스위치(160 및 170)가 동시에 폐쇄될 때, 입력 노드(110)와 중성 노드(180)를 가로지르는 단락이 존재한다.
도 4a는 스위치(160)가 폐쇄되고 스위치(170)가 개방될 때 1차 권선(132)과 제1의 2차 권선(134) 사이의 접속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4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위치(160)가 폐쇄되고 스위치(170)가 개방될 때, 제2 단부(132B)에서의 전압은 제1의 2차 권선(134)의 2차 전압이고 출력 노드(150)에서의 출력 전압은 출력 필터(140)에 의해 필터링되는 제1의 2차 권선(134)의 2차 전압이다.
스위치(160)가 폐쇄되고 스위치(170)가 개방될 때, 1차 권선(132)에 전류가 흘러 변압기(130)의 코어에서 제1 플럭스를 생성한다. 그 후, 제1 플럭스는 제1의 2차 권선(134)에 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하며, 이는 제1 플럭스와 반대인 제2 플럭스를 생성한다. 제1 플럭스와 제2 플럭스가 반대이므로, 순수한 결과는 변압기(130)의 코어에서의 플럭스의 감소를 초래하고, 이는 1차 권선(132) 양단의 1차 전압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스위치(160)가 개방(즉, 접속 해제)될 때, 제1의 2차 권선(134)의 제2 단부(134B)는 1차 권선(132)의 제2 단부(132B)로부터 접속 해제된다. 스위치(170)는 이 스테이지에서 폐쇄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제1의 2차 권선(134)에 대한 개방 회로를 초래하며, 이는 제1의 2차 권선(134) 양단의 2차 전압이 생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4b는 스위치(160 및 170)가 개방일 때 1차 권선(132)과 제1의 2차 권선(134) 사이의 접속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160)가 개방될 때, 출력 노드(150)에서의 출력 전압은 실질적으로(effectively) 입력 필터(120), 1차 권선(132) 및 출력 필터(140)에 걸친 전압 강하에 의해 감소된 입력 전압이다. 양쪽(160 및 170) 모두 개방된 상황은 이상적이지 않으며 스위치(160 및 170)의 교대 폐쇄의 천이 동안에만 발생한다.
1차 권선(132)과 제2의 2차 권선(136) 사이의 접속이 이하 설명된다. 제2의 2차 권선(136)의 제1 단부(점으로 표시됨)(136A)는 중성 노드(180)에 접속된다. 제2의 2차 권선(136)의 제2 단부(136B)는 스위치(170)에 접속된다. 스위치(170)는 차례로 중성 노드(180)에 접속된다.
스위치(16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스위치(170)가 폐쇄(즉, 접속)될 때, 제2의 2차 권선(136)의 제2 단부(136B)는 중성 노드(180)에 접속된다. 이 구성은 제2의 2차 권선(136)의 단락을 초래한다. 그 후, 단락된 제2의 2차 권선(136)의 임피던스가 1차 권선(132)에 반영된다. 이는 단락된 제2의 2차 권선(136)으로부터 반영된 임피던스로 인해 1차 권선이 제로의 공칭 임피던스(nominal impedance)를 갖는 것을 초래한다. 제2 단부(132)에서의 전압은 실질적으로(effectively) 입력 전압이며, 출력 노드(150)에서의 출력 전압은 실질적으로(effectively) 출력 필터(140)에 의해 필터링되는 입력 노드(110)에서의 입력 전압이다. 스위치(170)가 폐쇄될 때, 스위치(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권선(132) 및 제1의 2차 권선(134)에 걸쳐 단락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되어야 한다.
도 4c는 스위치(170)가 폐쇄되고 스위치(160)가 개방될 때 1차 권선(132)과 제2의 2차 권선(136) 사이의 접속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4c에 보이는 바와 같이, 출력 전압은 실질적으로(effectively) 입력 노드(110)에서의 입력 전압이다.
아래의 표 1은 입력 노드(110)에서 인가된 입력 전압, 출력 노드(150)에서의 출력 전압, 및 스위치(160 및 170)의 상태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스위치(160) 스위치(170) 입력 노드(110)에서의 입력 전압 제1의 2차 권선(134)에서의 2차 전압 출력 노드(150)에서의 출력 전압
폐쇄 개방 Vin Vs Vs (220 - 도 2b 참조)
개방 폐쇄 Vin 0 Vin (실질적으로 210 - 도 2b 참조)
개방 개방 Vin 0 Vin
(실질적으로 210 - 도 2b 참조)
폐쇄 폐쇄 Vin Vs NA
일 예에서, 250 Vac의 입력 전압이 입력 노드(110)와 중성 노드(180)에 인가된다. 1차 권선(132)과 제1의 2차 권선(134) 사이의 권선의 비가 필요한 전압 강하를 전달하기 위해 계산되며, 그 후 1차 권선(132)에 의해 유도된 제1의 2차 권선(134)의 위상차 2차 전압은 1차 전압의 턴의 비이다. 예를 들어, 1차 권선(132)과 제1의 2차 권선(134) 사이의 권선 비가 10 대 9인 경우, 1차 권선(132)에 의해 유도된 제1의 2차 권선(134)의 위상차 2차 전압은 1차 전압의 9/10이다. 따라서, 이 예에서 제1의 2차 권선(134)의 위상차 2차 전압은 225 Vac이다.
스위치(160)가 폐쇄되고 스위치(170)가 개방될 때, 제2 단부(132B)에서의 전압은 225 Vac(즉, 제1의 2차 권선(134)의 2차 전압)이다. 스위치(160)가 개방되고 스위치(170)가 폐쇄될 때, 제2 단부(132B)에서의 전압은 250 Vac이다(필터(120) 및 1차 권선(132)에 걸친 전압 강하는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함). 스위치(160)가 개방되고 스위치(170)가 개방될 때, 제2 단부(132B)에서의 전압은 250 Vac이다(필터(120) 및 1차 권선(132)에 걸친 전압 강하는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함).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160 및 170)는 교대로 폐쇄되어서, 제2 단부(132B)에서의 전압을 변경시킨다. 이 예에서, 제2 단부(132B)에서의 전압은 225 Vac(스위치(160)가 폐쇄되고 스위치(170)가 개방될 때)와 250 Vac(스위치(160)가 개방되고 스위치(170)가 폐쇄될 때)) 사이에서 교번된다. 따라서, 노드(150)에서의 출력 전압은 제2 단부(132)에서의 평균 전압이며, 여기서 평균 전압은 제2 단부(132B) 및 출력 필터(140)에서 225 Vac 및 250 Vac의 각각의 전압의 지속 시간에 의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160, 170)는 동시에 폐쇄되지 않는다.
도 2a는 스위치(160 및 170)가 폐쇄/개방 시퀀스에서 스위칭되고 있을 때(도 3에 나타낸 제어 신호와 연관됨), 제2 단부(132B)에서의 출력 전압 파형을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전압 파형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10으로 표시된 레벨에서의 전압은 실질적으로(effectively) 입력 노드(110)에서의 입력 전압이다. 스위치(160)가 폐쇄될 때, 전압은 참조 번호 220으로 표시된 레벨로 떨어진다.
도 3은 제1 제어 신호(310)가 스위치(160)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제2 제어 신호(320)가 스위치(170)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2개의 제어 신호(310 및 320)를 나타낸다. 제1 제어 신호(310)가 하이(high)일 때, 스위치(160)는 폐쇄된다. 스위치(160)는 제1 제어 신호(310)가 로우(low)일 때 개방된다. 제2 제어 신호(320)가 하이일 때, 스위치(170)는 폐쇄된다. 스위치(170)는 제2 제어 신호(320)가 로우일 때 개방된다.
제1 및 제2 제어 신호(310, 320)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이다. 제1 제어 신호(310)의 펄스 폭(312)은 스위치(160)가 폐쇄된 지속 시간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2 단부(132B)에서의 전압 강하는 제1 제어 신호(310)의 펄스 폭(312)에 의해 조절된다.
제1 제어 신호(310)에 의한 스위치(160)의 폐쇄는 돌입 전류 및 전압 스파이크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돌입 전류 및 전압 스파이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제어 신호(310)는 제1 제어 신호(310)가 하이 레벨에서 유지되기 전에 펄스(31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펄스 폭(312)의 시작에서 펄스화된다.
펄스(314)의 수, 각 펄스(314)의 폭, 및 펄스(314)의 주파수는 전압 조절 회로(100)의 부하에 의존하여 변하기 때문에, 제1 제어 신호(310)의 펄스(314)는 부하 적응적이다. 펄스(314)의 수, 각 펄스(314)의 폭 및 펄스(314)의 주파수는 또한 전압 조절 회로(100)의 전력 효율을 결정한다. 회로(100)의 출력 전압이 더 높은 부하에 의해 사용되고 있을 때, 펄스(314)의 수는 증가된다.
전압 조절 회로(100)의 역률은 또한 펄스 폭(312)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펄스 폭(312)은 출력 전압 파형을 실질적으로(effectively) 변경시킨다.
제어 신호(310 및 320)의 스위칭은 프로세서 또는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CPLD)(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신호(310, 320)의 듀티 사이클에서의 변화가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 신호(310 및 320)는 통상적으로 8 kHz에서 동작하며, 이는 저역 통과 필터(120 및 140)에 의해 제거될 것이다. 그러나, 제어 신호(310 및 320)는 상이한 스위칭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전압 조절 회로(100) 및 관련 구성 요소는 최대 전류로 제한된다. 전류가 최대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전압 조절 회로(100)가 셧 다운되고 바이패스 릴레이(bypass relay)(미도시)가 활성화되어 전압 조절 회로(100)를 바이패싱한다. 이는 전압 조절 변압기 회로(100)가 보호되고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표 1에서, 스위치(160, 170)는 동시에 폐쇄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스위치(170)의 폐쇄-에서-개방(closing-to-opening)으로부터 스위치(160)의 개방-에서-폐쇄(opening-to-closing)로 천이할 때, 제2 제어 신호(320)는 제1 제어 신호(310)가 하이(즉, 스위치(160) 폐쇄)로 가기 전에 로우 레벨(즉, 스위치(170) 개방)로 간다. 두 제어 신호(310 및 320)가 모두 로우 위치에 유지되는 미리 정해진 기간(322)은 양쪽 스위치(160, 170)가 절대로 동시에 폐쇄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로우로 가는 제2 제어 신호(320)와 하이로 가는 제1 제어 신호(310) 사이에서 유지된다. 또한, 제어 신호들(310 및 320) 모두가 로우일 때의 천이 기간은 스위칭 천이가 감쇠될 수 있게 하는 완화 시간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스위치(160)의 폐쇄-에서-개방(closing-to-opening)과 스위치(170)의 개방-에서-폐쇄(opening-to-closing) 사이의 천이시에, 제1 제어 신호(310)는 제2 제어 신호(320)가 하이(즉, 스위치(170) 폐쇄)로 가기 전에 로우 레벨(즉, 스위치(160) 개방)로 간다. 제어 신호(310 및 320)가 모두 로우 위치에 유지되는 미리 정해진 기간(324)은 양쪽 스위치(160 및 170)가 절대로 동시에 폐쇄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로우로 가는 제1 제어 신호(310)와 하이로 가는 제2 제어 신호(320) 사이에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압(150)은 출력 필터(140)에 의해 결정되는 제2 단부(132B)에서의 출력 전압 파형의 평균 및 제어 신호(310 및 320)에 의해 결정되는 각각의 전압(210 및 220)의 지속 시간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설명된 구성은 전압 조절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만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한정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단어는 "어떤 것을 주로 포함하지만 반드시 그것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닌" 또는 "갖는" 또는 "포괄하는(including)"을 의미하며 "어떤 것만으로 구성되는"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포함하다(comprise)" 및 "포함하다(comprises)"와 같은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단어의 변형은 그에 따라 변화된 의미를 갖는다.

Claims (11)

  1. 전압 조절 회로에 있어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1차 권선, 및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의 2차 권선(first secondary winding)을 갖는 변압기로서,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제1 단부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제2 단부는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의 2차 권선의 상기 제1 단부는 중성 노드에 접속되고,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1차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의 2차 권선의 2차 전압은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1차 전압과 위상차가 있는, 변압기; 및
    상기 제1의 2차 권선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제2 단부와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제1 스위치로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접속될 때, 상기 출력 전압은 상기 2차 전압인,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압 조절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2의 2차 권선(a second secondary winding)으로서, 상기 제2의 2차 권선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중성 노드에 접속되는, 제2의 2차 권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 조절 회로는 상기 제2의 2차 권선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중성 노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접속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접속 해제될 때, 상기 출력 전압은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상기 입력 전압이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접속 해제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접속될 때, 상기 출력 전압은 상기 2차 전압인, 전압 조절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제1 단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입력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전압 조절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필터는 저역 통과 필터인, 전압 조절 회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 전압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상기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출력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전압 조절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필터는 저역 통과 필터인, 전압 조절 회로.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압 조절 회로로서, 제3항 내지 제6항이 제2항을 인용할 때,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또는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를 더 포함하는, 전압 조절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펄스 폭 변조 신호들인, 전압 조절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제1 펄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펄스들의 각각의 시작은 상기 전압 조절 회로에서 전압 스파이크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제2 펄스들을 포함하는, 전압 조절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들은 상기 전압 조절 회로의 부하에 의존하는, 전압 조절 회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상기 제1 펄스들의 각각의 폭은 상기 출력 전압의 역률을 제어하는, 전압 조절 회로.
KR1020207012684A 2017-09-29 2018-08-31 전압 조절 회로 KR102530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903958 2017-09-29
AU2017903958A AU2017903958A0 (en) 2017-09-29 A voltage regulation circuit
PCT/AU2018/000157 WO2019060941A1 (en) 2017-09-29 2018-08-31 VOLTAGE REGULATION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333A true KR20200066333A (ko) 2020-06-09
KR102530696B1 KR102530696B1 (ko) 2023-05-09

Family

ID=6402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684A KR102530696B1 (ko) 2017-09-29 2018-08-31 전압 조절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19518B2 (ko)
EP (1) EP3688547A4 (ko)
JP (1) JP7229234B2 (ko)
KR (1) KR102530696B1 (ko)
CN (1) CN111373342B (ko)
AU (1) AU2018223037B1 (ko)
CA (1) CA3076829A1 (ko)
WO (1) WO2019060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1415B (zh) * 2021-07-13 2022-06-24 全球能源互联网研究院有限公司 低频输电调压方法、系统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907A (ko) * 2010-06-03 2011-12-09 오현택 파형개선과 전력절감기능을 가지는 고효율자동전압조정기
JP2020025456A (ja) * 2016-10-18 2020-02-13 イーサーダイ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therdyne Technologies Inc 可変サイズエリアに亘る複数の受信デバイスへの無線電力移送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6942A (en) * 1954-03-30 1958-12-30 George A Rubissow Apparatus for direct current constant voltage power supply
US4763347A (en) * 1983-02-02 1988-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system, blower apparatus and methods
US4060757A (en) * 1976-09-17 1977-11-29 General Electric Co. Inverters having a transformer-coupled commutating circuit
US4352055A (en) * 1980-10-24 1982-09-28 Oneac Corporation AC Variable voltage source utilizing pulse width modulation
SU940147A1 (ru) * 1980-12-15 1982-06-30 Войсковая часть 13991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S59165925A (ja) * 1983-03-09 1984-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Ac/dc多重送電線網の送受電装置
US4692686A (en) * 1985-08-20 1987-09-08 Thomas Charles E Low-distortion line voltage regulator
US5272615A (en) * 1992-05-01 1993-12-21 Wert Harry E Digital controlled inverter and method
JP2996377B2 (ja) * 1993-07-10 1999-12-27 永田 勝彦 交流入力電圧に応じて単巻変圧器の降圧比を制御する装置
JP2912996B2 (ja) * 1996-03-29 1999-06-28 株式会社リムシス 節電装置における制御回路
DE60229260D1 (de) * 2001-07-05 2008-11-20 Power One Inc Induktivitätsstrommessung in isolierten schaltreglern und damit zusammenhängende verfahren
ES2198209B1 (es) * 2002-04-16 2005-04-01 Universidad De Oviedo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equipos electronicos de tomas multiples con transformador compensador para regulacion de tension alterna mediante conmutacion rapida dura con tension limitada.
CN1170359C (zh) * 2002-05-27 2004-10-06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低损耗的升压装置
WO2004114726A1 (en) * 2003-06-20 2004-12-29 748038 Ontario Inc. O/A Ecopower Voltage control system
GB2438880B (en) * 2006-06-06 2008-10-08 Pi Internat Ltd Circuit for adjusting the output voltage of a transformer
US7816894B2 (en) * 2006-06-23 2010-10-19 Electro-Cha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voltage
CN202663612U (zh) * 2012-06-14 2013-01-09 雷锡社 一种无级差式照明节能装置
US20140204614A1 (en) * 2013-01-18 2014-07-24 Carl Monroe Elam Rectified high frequency power supply with low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US10505465B2 (en) * 2013-06-04 2019-12-10 Cms, Inc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an electronic brushless variable transformer for providing a variable AC output
US9712062B2 (en) * 2014-05-07 2017-07-18 Edward Herbert Symmetrical power converter
CN204668955U (zh) * 2015-05-21 2015-09-23 广州开能电气实业有限公司 一种低压配网电能质量综合治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907A (ko) * 2010-06-03 2011-12-09 오현택 파형개선과 전력절감기능을 가지는 고효율자동전압조정기
JP2020025456A (ja) * 2016-10-18 2020-02-13 イーサーダイ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therdyne Technologies Inc 可変サイズエリアに亘る複数の受信デバイスへの無線電力移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0941A1 (en) 2019-04-04
CN111373342B (zh) 2022-02-08
CN111373342A (zh) 2020-07-03
US20200249708A1 (en) 2020-08-06
EP3688547A1 (en) 2020-08-05
JP7229234B2 (ja) 2023-02-27
KR102530696B1 (ko) 2023-05-09
CA3076829A1 (en) 2019-04-04
JP2020535783A (ja) 2020-12-03
AU2018223037B1 (en) 2018-11-08
US11119518B2 (en) 2021-09-14
EP3688547A4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12308B (zh) 静态转换开关以及操作静态转换开关的方法
US6750563B2 (en) Voltage sag and over-voltage compensation device with pulse-width modulated transformer
WO2010000339A1 (de)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netzeingang und arbeits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netzeingangsschaltung
JP2020524470A (ja) 並列同一マルクス発生器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6020726A (en) AC voltage regulator
KR102530696B1 (ko) 전압 조절 회로
US9853552B2 (en) Programming controller parameters through external terminals of a power converter
JP6821573B2 (ja) Dc−dc変換器
JP4276086B2 (ja) リップルの少ない出力を備えた交流−直流変換器
KR101315207B1 (ko) 대기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플라이백 방식의 교류-직류 컨버터를 이용한 전원장치
JP200926110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過電流保護回路
CH708498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alvanischen Trennung und Spannungssymmetrierung in einem bidirektionalen DC-DC-Wandler mit hochfrequentem AC-AC-Übertrager.
US20220181979A1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coupled step-down converter stages
CN105119515A (zh) 电源以及控制电源的方法
DE102019204695A1 (de) Kompensationsschaltung für störströme
KR20210126737A (ko) 직류 펄스 전원 장치, 및 직류 펄스 전원 장치의 주파수 제어 방법
DE10016999A1 (de)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Anschalten einer reaktiven Last an eine Wechselstromquelle
US20150085545A1 (en) Current generator and method for generating current pulses
WO2012155903A1 (de) Inverter
SU1111139A1 (ru) Импульс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DE102013103145B4 (de) Betriebsvorrichtung und Verfahren mit einer Übergangsphase zwischen Zündung und Betriebsphase zum Betreiben einer Entladungslampe
KR20160043055A (ko) 유도성 소자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285323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м частоты
DE19713239A1 (de) Schaltung zur Erhöhung des Wirkungsgrades von Energieübertragungssystemen
WO2018052332A1 (ru) Сетевой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