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016A -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016A
KR20200066016A KR1020180153035A KR20180153035A KR20200066016A KR 20200066016 A KR20200066016 A KR 20200066016A KR 1020180153035 A KR1020180153035 A KR 1020180153035A KR 20180153035 A KR20180153035 A KR 20180153035A KR 20200066016 A KR20200066016 A KR 20200066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coating
wound
sensitive
woven fabric
co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459B1 (ko
Inventor
임정남
오현주
함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4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59Accessories for dressings provided with visual effects, e.g. printed or colored
    • A61F13/00017
    • A61F13/00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6Wetness-indicators or colour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53Wound bandages coloured or with decoration pattern or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4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sensing physical parameters
    • A61F2013/00948Ph, e.g.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창상피복재; 및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에 위치하고,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유가 섬유 형성용 고분자 및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Covering materials for wound capable of pH det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전기 장치 없이, 상처 부위의 pH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미생물이나 자외선, 화학물질과 같은 여러 가지 유해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수분증발을 억제함으로써 탈수를 방지하고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우리 몸 중 가장 큰 표면적을 차지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한편, 산업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심한 화상, 외상, 창상, 욕창 및 피부질환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가능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이때, 일차 봉합이 불가능한 창상은 피부 이식이 불가피한 심한 결함을 남기기도 한다.
따라서, 손상된 피부 조직의 복구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창상피복재를 이용한 상처치료는 필수적이다.
한편, 정상 피부의 pH는 pH 4.8 내지 6.0 정도의 약산성을 띰으로써 박테리아 침입을 막는 등의 기능을 갖지만, 체액은 중성을 나타낸다. 상처 치유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상처가 치유되는 경우 pH는 약염기에서 중성, 이후 약산성으로 변하지만, 잘 낫지 않는 상처의 경우는 보다 오랫동안 염기성으로 남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만성 환자의 상처에서 추출한 삼출물의 pH가 6 내지 7.5인 경우, 상처가 잘 아물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처에서 추출한 삼출물의 pH가 7.5 내지 8일 경우, 염증 반응이 계속되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처 치료 관리 분야에서 피부의 외상 정도가 심한 중증 혹은 만성 환자의 경우, 상처 부위의 pH는 상처의 치유 상태를 확인하는 지표가 될 수 있어 pH 변화를 빠르게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처 부위에서는 자연 치유 과정에서 다양한 반응들이 일어나는데 산소방출, 혈관형성, 단백질 분해 활동, 박테리아 독성과 같은 경우 pH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상처 부위의 상태를 추측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처 부위의 pH를 확인하기 위하여, 창상피복재의 재료를 염색법을 이용해 pH 감응 염료를 결합시키는 방식이나, 창상피복재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였다.
이때, “염색법”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염색 공정을 진행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적용 가능한 소재가 제한적일 수 있고, 침염(dip dyeing) 방식을 사용할 경우 지시약으로 사용하는 염료의 함량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날염(printing) 방식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바인더를 넣어 줌으로써 사용한 염료의 양 대비 pH 감지 능력이 떨어지기 쉽고 고함량을 로딩할 경우 삼출액의 흐름을 막거나 유연성이 떨어지기 쉽다. 또한, 통상 섬유 직경이 수십 마이크로미터인 직물이나 부직포 소재를 기재로 사용할 경우 나노섬유대비 유연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쉽고, 침염 방식으로 염료를 부가할 경우 감응 속도가 떨어지기 쉽다. 필름을 기재로 사용할 경우 유연성이 떨어지기 쉽고 다른 기재와 복합화하는 것이 제한적이며 삼출물의 흐름을 방해하기 쉽다.
창상피복재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창상피복재 위에 센서를 장착해 전기적 신호와 수집된 데이터를 보여주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전원 장치가 필요해 사용이 불편하고 가격이 비싸질 수 있다.
따라서, pH 감지 성능과 유연성이 우수한 창상피복재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별도의 전기 장치 없이, 상처 부위의 pH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유연성이 우수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창상피복재; 및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에 위치하고,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유가 섬유 형성용 고분자 및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가 제공된다.
상기 창상피복재가 흡습성 창상피복재, 보호성 창상피복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 창상피복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상피복재와 대면하지 않는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 상에 추가 창상피복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가 제1 창상피복재, 부직포 기재, 및 제2 창상피복재의 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창상피복재가 흡습성 창상피복재이고, 제2 창상피복재가 보호성 창상피복재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가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의 전체에 위치되거나, 또는 일부에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가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의 일부에만 위치되고, 사각형, 원형, 도트형, 메쉬형, 사선형, 십자형, 글자 표시형, 비정형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형태일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의 pH 감지 범위가 pH 4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가 안토시아닌(anthocyanin), 메틸 오렌지(Methyl orange), 메틸 옐로우(methyl yellow), 메타닐 옐로우(Metanil yellow), 콩고 레드(Congo red), 클로로페놀 레드(Chlorophenol red), 브로모크레졸 그린(Bromocresol Green), 브로모티몰 블루(Bromothymol blue),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 브로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 메틸 레드(Methly red), o-크레졸프탈레인(o-cresolphthalein),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알리자린 옐로우 R(Alizarine yellow R), 티몰프탈레인(Thymolphthalein), 티몰 블루(Thymol blue), 메틸렌 블루(Methlylene blue), 소르비톨(Sorbitol),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크레졸 레드(Cresol red),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의 융점이 5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가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폴리비닐알콜 (Polyvinyl alchohol), 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폴리 메타 아라미드 (Poly m-aramid),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폴리락트산-글리코산 (Poly lactide-co-glycolide),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아닐린 (Polyaniline), 폴리아마이드 (Polyamid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아마이드이미드 (Polyamide-imide), 폴리설폰 (Polysulf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가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비표면적이 3 내지 350 m2/g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기공도가 70 내지 99%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10 내지 1,000nm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두께가 50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일면에 상기 부직포 기재의 색변화에 따라서 감지되는 pH 값을 확인할 수 있는 표준 패턴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섬유 형성용 고분자를 용매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고분자 용액에 pH 감응 염료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에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용매가 증류수, 아세톤, 에탄올,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Dimethylacetamide, DMAc),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아세트산(Acetic acid), 클로로포름(Chloroform), 메틸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이메틸 일산화황(Dimethyl sulfoxide, DMSO),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에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가 열융착 방식, 점착 방식, 초음파 접착 방식, 고주파 접착 방식,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 방식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창상피복재와 대면하지 않는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 상에 추가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표면적 및 기공도가 커 pH 감지 성능이 우수하며 유연성이 우수한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는, 상처 부위의 pH 변화에 따라 색상이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부직포 이용하므로, 별도의 전기 장치를 통한 pH 측정이 아닌, 눈으로 색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저렴하다. 또한, pH를 감지할 수 있는 염료를 혼합한 고분자를 전기 방사 방법을 통해 나노미터 수준의 직경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비표면적이 넓어 감응 속도가 빠르며, 유연성이 우수해 굴곡진 부위에 부착하는 드레싱과 복합화하여도 시술이 용이하며, 다공성을 가지고 있어 상처 부위에서 배출되는 삼출물과 같은 액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나아가, 고분자와의 혼합(blending)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고함량의 염료를 혼합하는 것이 용이하며, 다양한 고분자를 기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는 특히 만성 상처에 적용가능하며, 조직공학을 목적으로 세포 배양할 때 배지의 pH 변화를 관찰하는 목적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에서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구비 부직포의 다양한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에서 그 일면에 부직포 기재의 색변화에 따라서 감지되는 pH 값을 확인할 수 있는 표준 패턴이 더 포함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에 1에서 제조된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의 광학 사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pH 변화에 따른 색상 변화를 관찰한 광학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pH 변화에 따른 색상 변화를 관찰한 광학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pH 변화에 따른 색상 변화를 관찰한 광학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는, 창상피복재; 및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에 위치하고,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유가 섬유 형성용 고분자 및 pH 감응 염료를 포함한다.
상기 창상피복재는 창상이나 화상 등의 상처에서 발생하는 혈액 내지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거나 습윤한 환경을 유지하고 동시에 상처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의료용 기재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창상피복재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상처부위에 대한 거부반응이 없어야 하고, 상처 보호, 오염 방지, 삼출액 흡수, 출혈 또는 체액 손실 방지 등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상기 창상피복재로서 갖춰야 요구 특성으로는“삼출액과 독성 요소를 제거할 수 있을 것”, “창상 표면의 습윤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을 것”, “가스 교환이 용이할 것”, “2차 감염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할 것”, “추가적인 외상없이 제거될 수 있을 것”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부직포형, 필름형, 폼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원재료는 합성 고분자, 천연 고분자, 생체유래 물질 등의 다양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창상피복재는 그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흡습성 창상피복재와 보호성 창상피복재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흡습성 창상피복재는 상처 부위에 직접 대면하여, 상처 주변에 있는 정상 피부의 침연 등을 방지하고, 삼출액과 독성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높은 투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투습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흡습성 창상피복재로는 부직포형, 폼형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부직포형으로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부직포, 알지네이트 부직포, 셀룰로오스 부직포, 키토산 부직포 등이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보호성 창상피복재는 생활방수, 박테리아 침투 방지를 하는 등 2차 감염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고분자 필름형(예를 들어, 폴리우레판 필름 등), 고분자 시트형(예를 들어, 하이드르겔 시트 등)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흡습성 창상피복재, 보호성 창상피복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 창상피복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는 창상피복재(1), 및 상기 창상피복재(1)의 일면에 위치하고,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2)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는 창상피복재(3), 및 상기 창상피복재(3)의 일면에 위치하고,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2)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비교하면, 도 1에서는 상기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2)는 상기 창상피복재(1)의 상면에 위치하고, 도 2에서는 상기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2)는 상기 창상피복재(3)의 하면에 위치한다. 이때, 도 1에서 상기 창상피복재(1)의 하측이 상처부위라고 할 때, 상기 창상피복재(1)는 상처 부위와 직접 대면하고 있으며, 전술한 창상피복재의 유형 중에서 흡습성 창상피복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상기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2)의 하측이 상처부위라고 할 때, 상기 창상피복재(3)는 상처 부위에 직접 대면하지 않고 있으며, 전술한 창상피복재의 유형 중에서 보호성 창상피복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는 제1 창상피복재(1),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2), 및 제2 창상피복재(3)의 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창상피복재는 상처 부위와 직접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흡습성 창상피복재이고, 제2 창상피복재는 보호성 창상피복재일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2)는 상처 부위에 직접 대면하여 삼출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흡습성 창상피복재(1)와, 외부의 2차 감염을 방지하는 보호성 창상피복재(3)의 사이에 개재한다. 상기 흡습성 창상피복재(1)는 삼출물 등을 흡수하여 함액하게 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함액된 삼출물 등이 상기 흡습성 창상피복재(1)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2)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직포 기재(2)를 구성하는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는 삼출액과의 접촉 결과, 삼출액의 pH에 따라서, 소정의 색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때, 색 변화를 보고, 삼출액 pH 조건, 구체적으로는, 상처부위의 실제 상황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직포 기재는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의 전체에 위치되거나, 또는 일부에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 기재가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의 전체에 위치하는 경우, 감응 속도가 빨라지고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가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의 일부에만 위치하는 경우, 투명성이 우수해 상처 부위 관찰이 유리한 창상피복재와 복합화할 경우 투명성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는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의 일부에만 위치되고, 다양한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그 형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도트형, 메쉬형, 사선형, 십자형, 글자 표시형, 비정형,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글자 표시형이라 함은, 예를 들어 “caution”이라는 글자가 눈에 띄게 하여 시인성을 더 강조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감지 가능한 창상피복재에서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구비 부직포의 다양한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한 부직포 기재가 창상피복재의 상면을 전부 피복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일부에만 위치하고 있으며, 그 형태도, 사각형, 십자형, 메쉬형을 각각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H 감응 염료의 pH 감지 범위는 pH 4 내지 10, 또는 pH 5 내지 10, 또는 pH 6 내지 9일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는 최소 1종 이상이 나노섬유에 혼합될 수 있으며, 염료의 pH 감지 범위에 따라 2 종 이상의 pH 감응 염료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안토시아닌 등과 같이 pH 감지 범위가 넓은 pH 감응 염료는 산성과 염기성 모두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적용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로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 메틸 오렌지(Methyl Orange), 메틸 옐로우(Methyl Yellow), 메타닐 옐로우(Metanil Yellow), 콩고 레드(Congo Red), 클로로페놀 레드(Chlorophenol Red), 브로모크레졸 그린(Bromocresol Green), 브로모티몰 블루(Bromothymol Blue),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 브로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 메틸 레드(Methyl Red), o-크레졸프탈레인(o-Cresolphthalein),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알리자린 옐로우 R(Alizarine Yellow R), 티몰프탈레인(Thymolphthalein), 티몰 블루(Thymol Blue), 메틸렌 블루(Methlylene Blue), 소르비톨(Sorbitol),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크레졸 레드(Cresol Red),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pH 감응 염료로는 천연 채소류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이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따르면, pH 감응 염료는 고분자 용액에 혼합하여 전기 방사를 통하여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일부 pH 감응 염료의 경우, 화학적 개질을 통해 고분자와 결합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의 융점은 50 내지 300℃, 또는 5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의 융점이 이러한 범위를 가지는 경우, pH 감응 염료를 포함한 나노섬유 부직포를 우레탄 필름과 같은 창상피복재의 다른 구성 요소와 복합화시 열융착이나 초음파 접착과 같이 간단한 공정으로 부착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는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여 나노섬유로 전기 방사할 수 있는 소재라면 제한되지 않고, 그 예로는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폴리비닐알콜 (Polyvinyl alchohol), 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폴리 메타 아라미드 (Poly m-aramid),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폴리락트산-글리코산 (Poly lactide-co-glycolide),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아닐린 (Polyaniline), 폴리아마이드 (Polyamid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아마이드이미드 (Polyamide-imide), 폴리설폰 (Polysulf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의 함량은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부, 또는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의 함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pH 감응도가 확보될 수 있고, 전기 방사 과정에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 공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비표면적은 3 내지 350 m2/g, 또는 4 내지 35 m2/g, 또는 7 내지 30 m2/g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비표면적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pH 감응도가 개선되고, 전기 방사 과정에서 나노섬유 부직포의 섬유 직경이 너무 가늘어져 제조 공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기공도는 70 내지 99%, 또는 80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기공도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인체의 상처 부위에서 나오는 삼출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부직포 기재의 형태가 유지되어 창상피복재 제조 공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두께는 50 내지 500 ㎛,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시인성이 개선되고 공정상 취급이 용이하며, 유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10 내지 1,000nm, 또는 100 내지 800nm, 또는 120 내지 450nm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전기 방사 공정이 용이하고, pH 응답 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일면에 상기 부직포 기재의 색변화에 따라서 감지되는 pH 값을 확인할 수 있는 표준 패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 패턴으로서, 도 5a를 참조하면, 연속적인 색변화에 다른 대응 pH 값이 기재되어 있고, 도 5b를 참조하면, 특정 pH 값에 대응되는 표준 색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은,
섬유 형성용 고분자를 용매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고분자 용액에 pH 감응 염료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에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살펴보겠다.
먼저, 본 발명의 부직포 기재를 제조하기 위해 전기방사법을 사용한다. 섬유 형성용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하여 고분자 용액을 준비한다. 섬유 형성용 고분자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고분자 용액 제조에 사용하는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비제한적인 예로서 증류수, 아세톤, 에탄올,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Dimethylacetamide, DMAc),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아세트산(Acetic acid), 클로로포름(Chloroform), 메틸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이메틸 일산화황(Dimethyl sulfoxide, DMSO),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용액에서 고분자의 함량은 전체 고분자 용액 중 5 내지 20 중량%, 또는 8 내지 15 중량%로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중량%를 조절하는 경우, 균일하게 용해되면서 적정한 점도를 가져 취급이 용이한 전기방사 용액을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 방사 특성이 개선되고, 제조한 섬유의 직경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고분자 용액에 pH 감응 염료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pH 감응 염료는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부, 또는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의 함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pH 감응도가 확보될 수 있고, 전기 방사 과정에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 공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pH 감응 염료의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매에 섬유 형성용 고분자를 불순물이 없도록 완전히 용해시키고, 여기에 pH 감응 염료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정도 교반시킨 후 전기방사용 혼합용액을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를 제조한다.
통상적인 전기방사 시스템 및 이론에 의하면 전기방사 공정은 고전압 하에서 수행되어야 하고, 정전방사의 특성상 챔버 내부의 공기 조건도 상당히 중요하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공정에 의해 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방사 챔버의 환경(온도, 습도)에 민감한 정전기적 공정상의 특성으로 인해 섬유의 형태에 미세한 변화가 생기게 되고 재현성 있는 소재를 만들기 힘들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방사장치로는 (+)전하 고전압 발생기와 집적드럼 및 정량토출 펌프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에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18G 내지 24G 노즐을 끼운 실린지를 1개 이상, 또는 2개 이상 장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공정인자 중 섬유형태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용액의 농도, 인가 전압, 방사 거리, 유체 속도, 집전판의 회전 속도 등에 따른 각각의 섬유 부직포를 제조 후 구조 및 형태를 분석하고 재현성이 가장 좋은 전기방사조건을 구하여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방사는, 인가전압 5 내지 100 kV, 용액의 방사속도(유체속도) 0.1 내지 10 ul/min, 방사거리 3 내지 50 ㎝, 집전판의 회전속도 10 내지 1,000rpm의 전기방사 조건으로 수행한다.
상기 전기 방사 결과 얻어진 나노섬유 웹을 그대로 부직포 기재로 적용할 수 있고, 또는 전기 방사 결과 얻어진 나노섬유 웹에서 잔류 용매를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한 부직포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잔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진공 오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에 창상피복재를 결합한다.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에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가 열융착 방식, 접착제를 이용한 점착방식, 초음파 접착 방식, 고주파 접착 방식 등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상피복재와 대면하지 않는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 상에 추가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1) 부직포 기재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아세트산의 혼합 용매(중량비 = 45/45/10)에 폴리카프로락톤(PCL)을 14 중량%가 되도록 용해하여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였다. 고분자 용액에 폴리카프로락톤 100 중량부 기준으로 15 중량부가 되도록 안토시아닌계 염료(CAS#11029-12-2, Xian Baichuan Biotech사)를 추가하고, 2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여 혼합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때, 안토시아닌계 염료의 pH 감지 범위는 pH 0 내지 14이었다.
이후 상기 혼합 용액을 전기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드럼 집전판에 3mL 방사한 결과,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였다, 이때, 전기 방사시에 인가전압은 15 kV, 방사 거리(실린지 팁과 집전판의 거리)는 15cm, 방사 속도(유체 속도)는 25 ul/min, 드럼형 집전판의 회전 속도는 300 rpm로 조절하였고, 전기 방사시 온도와 습도는 각각 30℃, 50% RH였다. 그 후 형성된 나노섬유 웹을 진공 오븐을 사용해 상온 24 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고, 잔류 용매를 제거하여, pH 감응 염료가 혼입된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부직포 기재의 비표면적은 15m2/g이고, 기공도는 87%이고, 두께는 70㎛이고, 신도는 300%이고,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230nm이었다.
이때, 부직포 기재의 상기 물성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고, 이하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1) 부직포 기재의 비표면적
부직포 기재의 비표면적은 BET 장비(ASAP2010, Micromeritics, USA)의 액체질소 물리 흡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부직포 기재의 기공도
부직포 기재의 기공도는 Mercury porosimeter (Autopore IV 9500 V1.07, Micromeritics Instrument Corporation, Norcross, GA)를 통해 측정되었다.
3) 부직포 기재의 두께
부직포 기재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Mitutoy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부직포 기재의 신도
부직포 기재의 신도는 인장강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시료폭 10mm, 파지 거리 20mm, 인장속도 20mm/min하여 절단시까지의 신도를 측정하였다.
5) 부직포 기재의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때 섬유 직경을 10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2)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
상기 제조된 pH 감응 염료가 혼입된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pH 감응 염료 혼입 나노섬유 부직포 기재)를 1.5cm×1.5cm 크기로 재단하였다. 재단한 pH 감응 염료 혼입 나노섬유 부직포 기재를 창상피복재로 흡습성 기재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부직포(AQUACEL™, ConvaTec사)의 상면에 위치시켜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광학 사진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조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부직포(10, 창상피복재)의 상면에 pH 감응 염료가 혼입된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11)가 위치되어 있다.
실시예 2
(1) 부직포 기재의 제조
pH 감응 염료인 안토시아닌계 염료를 폴리카프로락톤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H 감응 염료가 혼입된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를 구비한 부직포 기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부직포 기재의 비표면적은 13m2/g 이고, 기공도는 86%이고, 두께는 68 ㎛이고, 신도는 280%이고,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250 nm 이었다.
(2)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부직포 기재 대신에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된 부직포 기재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2)와 동일한 방법으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 부직포 기재의 제조
실시예 2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H 감응 염료가 혼입된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를 구비한 부직포 기재를 제조하였다.
(2)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
상기 제조된 pH 감응 염료가 혼입된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pH 감응 염료 혼입 나노섬유 부직포 기재)를 1cm×1cm 크기로 재단하였다. 재단한 pH 감응 염료 혼입 나노섬유 부직포 기재를 제1 창상피복재로 흡습성 기재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부직포(AQUACEL™, ConvaTec사)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pH 감응 염료 혼입 나노섬유 부직포 기재의 상면에 제2 창상피복재로 보호성 기재인, 점착제가 부착된 폴리우레탄 필름(MED 5500SI,Vancive사)을 부착시켰다. 그 결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부직포와 폴리우레탄 필름 사이에 pH 감응 염료가 함유된 나노섬유를 구비한 부직포 기재가 위치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날염(printing)에 사용되는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바인더로 에틸셀룰로스(Ethyl cellulose) 2g, 가소제로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riethyl citrate) 3g을 용매인 메탄올에 혼합한 뒤 약 6시간 동안 교반한 뒤, 상기 용액에 안토시아닌 염료를 바인더 대비 0.5 중량% 투입한 후 1시간동안 교반하여 날염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 용액을 각 폴리에스테르 직물(ISO 105-F04 폴리에스터 표준 백포)에 전사한 뒤 80°C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이때, 안토시아닌 염료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직물 대비 약 5 중량%였다.
실험예 1; pH에 따른 색상 변화 측정
완충용액(buffer solution)을 이용해 pH 4 내지 10의 용액을 각각 준비하였다.
준비한 pH별 완충 용액을 별개의 페트리 디쉬 각각에 0.5mL의 양으로 적가하고, 상기 완충 용액에 창상피복재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부직포가 닿도록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로부터 제조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를 위치시켰다. 그 결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부직포가 먼저 완충 용액에 충분히 적셔지고, 이후 창상피복재의 상면에 위치한 pH 감응 염료 혼입 나노섬유 부직포 기재에도 완충 용액이 침투하여 색상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pH 변화에 따른 색상 변화를 관찰한 광학 사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pH에 따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할 정도로 색상이 잘 구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성 조건에서는 분홍색을 띄었으며, 염기성 조건에서는 푸른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 감응 염료의 함량이 많은 실시예 1의 경우(도 7)가 실시예 2의 경우(도 8) 보다 더 선명한 색상 변화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pH 변화에 따른 색상 변화를 관찰한 광학 사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pH 감응 염료 혼입 나노섬유 부직포 기재(22)가 제1 창상피복재로 흡습성 기재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부직포(21)와 제2 창상피복재로 보호성 기재인 폴리우레탄 필름(23) 사이에 위치한 것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pH에 따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할 정도로 색상이 잘 구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성 조건에서 중성을 거쳐 염기성으로 갈수록 분홍색이 감소하고 점차 푸른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pH 변화에 따른 색상 변화를 관찰한 광학 사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실시예 2의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는 비교예 1의 경우보다 색상 변화가 뚜렷하였다.

Claims (20)

  1. 창상피복재; 및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에 위치하고,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유가 섬유 형성용 고분자 및 pH 감응 염료를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가 흡습성 창상피복재, 보호성 창상피복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 창상피복재를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와 대면하지 않는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 상에 추가 창상피복재를 더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가 제1 창상피복재, 부직포 기재, 및 제2 창상피복재의 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창상피복재가 흡습성 창상피복재이고, 제2 창상피복재가 보호성 창상피복재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기재가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의 전체에 위치되거나, 또는 일부에만 위치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기재가 상기 창상피복재의 일면의 일부에만 위치되고, 사각형, 원형, 도트형, 메쉬형, 사선형, 십자형, 글자 표시형, 비정형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형태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 염료의 pH 감지 범위가 pH 4 내지 10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 염료가 안토시아닌(anthocyanin), 메틸 오렌지(Methyl orange), 메틸 옐로우(methyl yellow), 메타닐 옐로우(Metanil yellow), 콩고 레드(Congo red), 클로로페놀 레드(Chlorophenol red), 브로모크레졸 그린(Bromocresol Green), 브로모티몰 블루(Bromothymol blue),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 브로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 메틸 레드(Methly red), o-크레졸프탈레인(o-cresolphthalein),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알리자린 옐로우 R(Alizarine yellow R), 티몰프탈레인(Thymolphthalein), 티몰 블루(Thymol blue), 메틸렌 블루(Methlylene blue), 소르비톨(Sorbitol),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크레졸 레드(Cresol red),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의 융점이 50 내지 200℃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가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폴리비닐알콜 (Polyvinyl alchohol), 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폴리 메타 아라미드 (Poly m-aramid),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폴리락트산-글리코산 (Poly lactide-co-glycolide),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아닐린 (Polyaniline), 폴리아마이드 (Polyamid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아마이드이미드 (Polyamide-imide), 폴리설폰 (Polysulf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 염료가 상기 섬유 형성용 고분자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부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기재의 비표면적이 3 내지 350 m2/g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기재의 기공도가 70 내지 99%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10 내지 1,000nm 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기재의 두께가 50 내지 500 ㎛인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일면에 상기 부직포 기재의 색변화에 따라서 감지되는 pH 값을 확인할 수 있는 표준 패턴이 더 포함되어 있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17. 섬유 형성용 고분자를 용매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고분자 용액에 pH 감응 염료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구비하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에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증류수, 아세톤, 에탄올,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Dimethylacetamide, DMAc),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아세트산(Acetic acid), 클로로포름(Chloroform), 메틸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이메틸 일산화황(Dimethyl sulfoxide, DMSO),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에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가 열융착 방식, 점착 방식, 초음파 접착 방식, 고주파 접착 방식,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 방식에 의해 실시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와 대면하지 않는 상기 부직포 기재의 일면 상에 추가 창상피복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KR1020180153035A 2018-11-30 2018-11-30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35A KR102180459B1 (ko) 2018-11-30 2018-11-30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35A KR102180459B1 (ko) 2018-11-30 2018-11-30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016A true KR20200066016A (ko) 2020-06-09
KR102180459B1 KR102180459B1 (ko) 2020-11-18

Family

ID=7108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035A KR102180459B1 (ko) 2018-11-30 2018-11-30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6538A (zh) * 2020-06-10 2020-09-18 合肥工业大学 一种花青素/pva纳米复合纤维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194A (ko) 2021-11-24 2023-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연성을 갖는 pH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370Y1 (ko) * 2006-05-16 2006-07-25 강정열 창상피복재
JP2014176510A (ja) * 2013-03-14 2014-09-25 Oji Holdings Corp 吸収体用基材
KR20150033237A (ko) * 2013-09-24 2015-04-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외상 치료 및 모니터링용 수화겔 패치
JP2016525907A (ja) * 2013-05-24 2016-09-01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水分表示システム
KR20160141907A (ko) * 2015-06-01 2016-12-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항균 드레싱
KR20170036411A (ko) * 2015-09-24 2017-04-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변색 드레싱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370Y1 (ko) * 2006-05-16 2006-07-25 강정열 창상피복재
JP2014176510A (ja) * 2013-03-14 2014-09-25 Oji Holdings Corp 吸収体用基材
JP2016525907A (ja) * 2013-05-24 2016-09-01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水分表示システム
KR20150033237A (ko) * 2013-09-24 2015-04-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외상 치료 및 모니터링용 수화겔 패치
KR20160141907A (ko) * 2015-06-01 2016-12-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항균 드레싱
KR20170036411A (ko) * 2015-09-24 2017-04-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변색 드레싱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6538A (zh) * 2020-06-10 2020-09-18 合肥工业大学 一种花青素/pva纳米复合纤维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459B1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 et al. Color-changing smart fibrous materials for naked eye real-time monitoring of wound pH
Pakolpakçıl et al. Design and in vivo evaluation of alginate-based pH-sensing electrospun wound dressing containing anthocyanins
EP3004854B1 (en) Moisture indicating system
US10782238B2 (en) Device including a polymeric material for detecting species and stimulus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urečič et al. A multifunctional electrospun and dual nano-carrier biobased system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pH in the wound bed and controlled release of benzocaine
KR102180459B1 (ko) pH 감지 가능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4571502B2 (ja) 分泌物試験物品
JP5053995B2 (ja) 銀コーティング物及び製造方法
CN112236110A (zh) 液体检测制品和其制备方法
US20160041135A1 (en) Core-shell nanofiber-based sensors
WO2012171922A1 (en) Diagnostic device
US20200069482A1 (en) pH Indicator Dressing for Monitoring of Wound and Infection
Wang et al. Electrospun polyurethane-core and gelatin-shell coaxial fibre coatings for miniature implantable biosensors
US20230172496A1 (en) Polymer materials
TWI519324B (zh) Use of medical equipment for carboxymethylcellulose
CN107823692A (zh) 一种创伤敷料复合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KR101524810B1 (ko) 복합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Alsahag et al. Preparation of carboxymethyl cellulose/polyvinyl alcohol wound dressing composite immobilized with anthocyanin extract for colorimetric monitoring of wound healing and prevention of wound infection
EP3402450A1 (en) Device and kit for indicating a ph at a locus
KR100564999B1 (ko) 의료용 점착 테이프
WO2017041384A1 (zh) 用于检测伤口感染程度的智能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13189057B (zh) 透光率随湿度变化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可视化湿敏传感膜
Mecnika et al. Preliminary study on textile humidity sensors
KR20180096050A (ko) 황화수소 가스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120426A1 (zh) 一种医用复合材料及其制造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