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054A - 안경형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형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054A
KR20200065054A KR1020207013541A KR20207013541A KR20200065054A KR 20200065054 A KR20200065054 A KR 20200065054A KR 1020207013541 A KR1020207013541 A KR 1020207013541A KR 20207013541 A KR20207013541 A KR 20207013541A KR 20200065054 A KR20200065054 A KR 20200065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ing
holding frame
lens
fram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152B1 (ko
Inventor
노리오 세키
Original Assignee
노리오 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리오 세키 filed Critical 노리오 세키
Publication of KR2020006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1)과,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연결하는 브릿지(2)와, 선단측이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는 템플(4)과, 코에 접촉하여 지지시키는 코패드부(5)와,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전방에 대향하도록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을 배치함과 더불어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수단(8)을 마련한 구조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경형의 프레임
본 발명은 안경형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안경형의 프레임으로서, 안경의 렌즈(광학 부재)의 전방에 별도 렌즈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안경형의 프레임으로서, 안경형 웨어러블 단말(스마트 글라스라고도 함)에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안경의 렌즈의 전방에 별도 렌즈를 장착하는 안경으로서는, 예컨대 선글라스를 착탈 가능하게 안경에 장착되는 클립 온 선글라스나, 안경에 장착되는 플립 업 선글라스 등이 있다. 클립 온 선글라스는, 안경을 장착한 상태로 밀어올릴 수 없는 것이며, 또한, 안경으로부터 제거한 후, 분실하기 쉽고, 압박 등에 의해 부서지기 쉬운 것이었다. 한편, 플립 업 선글라스는, 안경과의 사이의 피봇 지지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는 보조 렌즈와, 상기 보조 렌즈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안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마련한 보조 안경이,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30768호에서 제안되어 있다. 이 목적은, 시선을 똑바로 향하게 한 채로도 종류가 다른 시력 교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사용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30768호의 이동 기구가, 금속제 선형체를 문형으로 형성한 슬라이딩 프레임과, 이것을 유지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의 슬라이딩부의 하단이 보조 렌즈의 내측에 매설되어 있어, 상하 이동할 때는 슬라이딩부에 의해 보조 렌즈를 들어올리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보조 렌즈의 외측이 흔들리기 쉬운 것이며, 이동 기구 전체가 시야에 들어와, 거추장스러움이나 성가심을 느끼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30768호에는 보조 렌즈의 부착 수단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하나의 안경형의 프레임으로, 다른 종류의 렌즈나 디스플레이 등의 복수의 광학 부재를 구별하여 쓰는 발상이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30768호 공보
본 발명은, 렌즈의 전방에 별도 렌즈나 디스플레이 등의 광학 부재를 배치하고, 그것을 상하 이동시켜 2종류의 렌즈 등의 광학 부재를 구별하여 쓸 수 있으며, 장착자의 눈의 높이(장착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안경형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은,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와, 선단측이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템플(temple)과, 코에 접촉하여 지지시키는 코패드부와,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의 전방에 대향하는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수단을 마련한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광학 부재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 또는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와, 선단측이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는 템플과, 코에 접촉하여 지지시키는 코패드부로 적어도 구성한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렌즈 유지 프레임의 전방에 대향하도록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렌즈의 전방에 별도 렌즈 등을 배치하고, 그것을 상하 이동시켜 2종류의 렌즈 등을 구별하여 쓸 수 있으며, 장착자의 눈의 높이가 어긋나지 않기(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보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렌즈 등」이란, 렌즈 이외에, 착색 글라스, 도수 없는 글라스, 편광 글라스,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수단은,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되며 대략 J-자형의 전후를 반전시켜 상기 템플의 선단부에 고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베어링과,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 이동 수단은,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되며 대략 J-자형의 전후를 반전시켜 템플의 선단부에 고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베어링과,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렌즈 유지 프레임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렌즈의 전방에 별도 렌즈 등을 배치하고, 그것을 상하 이동시켜 2종류의 렌즈 등이 구별하여 쓰이게 될 때,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의 외측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별도 렌즈 등의 진동이 매우 작아져, 상하 이동이 용이하고 또한 눈이 피로해지지 않는 보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수단은, 가이드홈을 갖는 각기둥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서 상기 템플의 선단부에 고착되는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기둥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에 고착되는 삽입편과,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 이동 수단은, 가이드홈을 갖는 각기둥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서 상기 템플의 선단부에 고착되는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기둥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의 하부에 고착되는 삽입편과,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렌즈 유지 프레임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한 것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 이동 수단을 이용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부호 1은 렌즈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이고, 이 렌즈 유지 프레임(1)은 렌즈의 외주를 도면 중과 같이 둘러싸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무테 안경의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렌즈 유지 프레임(1)의 형상으로서는, 대략 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이나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렌즈 유지 프레임(1)에 의해 유지되는 렌즈로서는, 오목 렌즈, 볼록 렌즈, 판유리(도수 없는 안경이나 편광판), 착색 유리(선글라스 등),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안경형 웨어러블 단말의 디스플레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광투과 부재가 이용된다.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는, 투과형(시스루형)의 안경형 웨어러블 단말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광투과 부재이고, 도시하지 않는 투사부로부터 투사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는, 예컨대, 프리즘, 미러, 하프 미러, 홀로그램 소자 등의 광학 소자를 내부에 포함한다. 또한, 투사부는, 렌즈 유지 프레임(1)에 유지되어도 좋고, 후술하는 브릿지(2)나 템플(4)에 유지되어도 좋다. 렌즈의 형상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원형, 타원형이나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렌즈는 개별이 아니고, 1장의 렌즈에 일체화시킨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면 부호 2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1)을 연결하는 브릿지이고, 이 브릿지(2)의 부착 위치는,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상부에 마련되지만, 상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면 부호 4는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외측에 힌지(3)를 통해 선단측이 절첩 가능하게 렌즈 유지 프레임(1)에 부착되는 템플이다. 또한, 상기 템플(4)의 형상은, 도면 중과 같은 막대형뿐만 아니라, 고글과 같은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하면, 후술하는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에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부착하였을 때에는, 스위치나 전원 코드 등의 다종의 부품을 설치하기 쉬운 것이 된다.
도면 부호 5는 코에 접촉하여 지지시키는 코패드부이다.
도면 부호 6은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전방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이고, 이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은 렌즈 유지 프레임(1)과 대략 같은 재질로 또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의 크기는, 렌즈 유지 프레임(1)과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에 의해 유지되는 렌즈로서는, 렌즈 유지 프레임(1)에서 유지되는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도면 부호 7은 한 쌍의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을 연결하는 가동 브릿지이다.
도면 부호 8은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수단이고, 이 상하 이동 수단(8)으로서,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되며 대략 J-자형의 전후를 반전시켜 템플(4)의 선단부(4a)에 고착되는 지지축(81)과, 이 지지축(81)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에 연결되는 베어링(82)과,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을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83)와, 베어링(82)이 지지축(8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구(84)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 부재(83)로서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는 구체 등의 돌기가 지지축(81)을 압박하는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베어링(82)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구체와 스프링을 삽입하고, 이들이 돌출하지 않도록 나사 등으로 막아, 구체의 일부가 베어링(82) 내부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구체의 일부와의 맞물림을 위한 함몰 구멍(81a)을 도 3b와 같이 지지축(81)의 상부에 마련한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도 2는 별도의 상하 이동 수단(8A)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상하 이동 수단(8A)에는, 가이드홈(85a)을 갖는 각기둥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서 템플(4)의 선단부(4a)에 고착되는 지지 기둥(85)과, 이 지지 기둥(85)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의 하부에 고착되는 삽입편(86)과,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을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83)가 있다. 상기 지지 기둥(85)을 각기둥형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각통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가이드홈(85a)의 길이는,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이 상하 이동하는 거리보다 약간 길게 해 두면 좋다.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83)는, 볼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것이면, 다른 것이어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 3a 및 도 3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에 도 3a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상태는, 안경을 장착한 통상의 사용 시이다. 이 경우,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상방에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이 배치되고, 이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이 낙하하지 않도록 스토퍼 부재(83)에 의해 유지된다.
다음에 도 3b에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을 손으로 잡아 강하시키면, 베어링(82)이 지지축(8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전방으로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이 온다. 이때,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에 마련된 렌즈가, 예컨대 선글라스이면, 통상의 사용 시의 렌즈에 선글라스를 중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에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가 마련되면, 종래에는 생각되지 않은 많은 종류의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마련한 경우는, 도시하지 않지만,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이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상방에 오면, 전원이 꺼지고, 렌즈 유지 프레임(1)의 전방에서 대향한 상태가 되면, 전원이 켜지는 것 같은 스위치를 구비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에 마련되는 렌즈가, 예컨대 볼록 렌즈(노안경)이면, 종래와 같은 1장의 렌즈의 상부를 원시용으로, 그 하부를 근시용(노안경)으로 이룬 통상의 원근 양용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장착자의 눈의 높이(장착 상태)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 되어, 눈의 피로가 종래품보다 훨씬 감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을 상하 이동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2종류의 렌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은 양측에서 규제되기 때문에, 흔들림이 매우 적고, 또한, 매끄럽게 상하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상하 이동 수단(8)은, 지지축(81)을 상하로 반전시킨 도 4에 나타난 형상의 지지축(87)을 구비해도 좋다.
렌즈 유지 프레임(1)이나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6)은, 렌즈 대신에, 또는 렌즈와 병용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를 유지하여도 좋다. 디스플레이(D)는, 프리즘, 미러, 하프 미러, 홀로그램 소자 등의 광학 소자와,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부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D)로서는, 투과형(시스루형), 비투과형(논시스루형), 망막 주사형, 망막 투영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과형 및 비투과형의 디스플레이(D)는, 예컨대, 액정 패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패널 등의 투사부에서 투사한 화상을 표시한다. 망막 주사형 및 망막 투영형의 디스플레이(D)는, 예컨대, 레이저광을 망막 상에 투사한다.
1: 렌즈 유지 프레임 2: 브릿지
4: 템플 4a: 선단부
5: 코패드부 6: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
8: 상하 이동 수단 81: 지지축
82: 베어링 83: 스토퍼 부재
85: 지지 기둥 85a: 가이드홈
86: 삽입편

Claims (4)

  1. 안경형의 프레임으로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와,
    선단측이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템플과,
    코에 접촉하여 지지시키는 코패드부와,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의 전방에 대향하는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과,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의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 또는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수단은,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되며 대략 J-자형의 전후를 반전시켜 상기 템플의 선단부에 고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베어링과,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수단은,
    가이드홈을 갖는 각기둥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서 상기 템플의 선단부에 고착되는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기둥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에 고착되는 삽입편과,
    상기 가동 렌즈 유지 프레임을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의 상방에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KR1020207013541A 2017-10-20 2018-10-16 안경형의 프레임 KR102469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7-004798 2017-10-20
JP2017004798U JP3214278U (ja) 2017-10-20 2017-10-20 眼鏡状のフレーム
PCT/JP2018/038531 WO2019078214A1 (ja) 2017-10-20 2018-10-16 眼鏡状のフレ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054A true KR20200065054A (ko) 2020-06-08
KR102469152B1 KR102469152B1 (ko) 2022-11-18

Family

ID=6086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541A KR102469152B1 (ko) 2017-10-20 2018-10-16 안경형의 프레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80814B2 (ko)
EP (1) EP3699677A4 (ko)
JP (1) JP3214278U (ko)
KR (1) KR102469152B1 (ko)
CN (1) CN111247477A (ko)
TW (1) TWI686637B (ko)
WO (1) WO2019078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4779B (zh) * 2019-07-02 2023-07-11 深圳视力之星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JP7004358B2 (ja) * 2020-04-07 2022-01-21 則雄 関 累進レンズ用眼鏡のフレーム
JP6882811B1 (ja) * 2020-06-19 2021-06-02 則雄 関 眼鏡フレー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2029A (en) * 1954-12-13 1958-07-08 Roth Aaron Attachment for spectacles
JPH1130768A (ja) 1997-07-11 1999-02-02 Ishida Kogaku:Kk 補助眼鏡および眼鏡
US20120057124A1 (en) * 2005-03-21 2012-03-08 Quexta, Inc Low inventory method of making eyeglasses
KR101262023B1 (ko) * 2013-03-14 2013-05-13 이지윤 문자 추적형 돋보기 안경
CN203720459U (zh) * 2014-01-21 2014-07-16 陶佳敏 一种老花、近视双用眼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9131A1 (de) 1989-03-20 1989-12-14 Friedrich W Mayinger Gegenlichtblende
JPH07140432A (ja) * 1993-11-12 1995-06-02 Seiko Epson Corp 情報表示装置及び眼鏡及び視機能保護具
JPH11305169A (ja) * 1998-04-16 1999-11-05 Daiwa Seiko Inc 釣り用メガネ
US7018035B1 (en) 2000-10-16 2006-03-28 West Coast Trends, Inc. Flip-up eyewear
US7040754B2 (en) * 2003-11-18 2006-05-09 Elte Optiks U.S. L.P. Auxiliary eyewear display mount
JP5408647B2 (ja) 2008-12-12 2014-02-05 スカラ株式会社 眼鏡、及び眼鏡の上下位置調整器具
JP6027820B2 (ja) * 2012-08-21 2016-11-16 Hoya株式会社 双眼拡大鏡
KR20160143748A (ko) * 2014-04-09 2016-12-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결합기로서 펠리클을 갖는 근안 디스플레이 시스템
DE102015219482B4 (de) * 2015-10-08 2017-07-13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Brille mit einem Brillenglas mit einem beweglichen Linsensegment
KR102089884B1 (ko) 2015-12-21 2020-03-16 노리오 세키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JP6171033B2 (ja) * 2016-01-20 2017-07-26 則雄 関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CN205982886U (zh) * 2016-06-16 2017-02-22 张家鼎 一种上下移动可调的棱透镜挂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2029A (en) * 1954-12-13 1958-07-08 Roth Aaron Attachment for spectacles
JPH1130768A (ja) 1997-07-11 1999-02-02 Ishida Kogaku:Kk 補助眼鏡および眼鏡
US20120057124A1 (en) * 2005-03-21 2012-03-08 Quexta, Inc Low inventory method of making eyeglasses
KR101262023B1 (ko) * 2013-03-14 2013-05-13 이지윤 문자 추적형 돋보기 안경
CN203720459U (zh) * 2014-01-21 2014-07-16 陶佳敏 一种老花、近视双用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80814B2 (en) 2022-10-25
TW201923421A (zh) 2019-06-16
WO2019078214A1 (ja) 2019-04-25
JP3214278U (ja) 2017-12-28
EP3699677A1 (en) 2020-08-26
TWI686637B (zh) 2020-03-01
CN111247477A (zh) 2020-06-05
KR102469152B1 (ko) 2022-11-18
US20200333629A1 (en) 2020-10-22
EP3699677A4 (en)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437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469152B1 (ko) 안경형의 프레임
CN108474962B (zh) 远近两用眼镜状的框架
JP5137644B2 (ja) 眼鏡型画像表示装置
KR20190049869A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CN211928304U (zh) 近眼显示设备和近眼显示眼镜组
KR102256265B1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JP6330090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2018040922A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102480181B1 (ko) 안경형의 프레임
JP3210521U (ja) 明視用付加メガネ
TWI727158B (zh) 眼鏡狀之框架
KR102539026B1 (ko) 안경 착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17587769U (zh) Ar眼镜
JP6268263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379266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2005217551A (ja) 眼鏡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071180A (zh) 荧幕前置型光学屏幕
JP2019191387A (ja) 上下反転可能な眼鏡状のフレーム
JP2019197121A (ja) 上下反転可能な眼鏡状の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