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639A -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 - Google Patents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639A
KR20200064639A KR1020180150966A KR20180150966A KR20200064639A KR 20200064639 A KR20200064639 A KR 20200064639A KR 1020180150966 A KR1020180150966 A KR 1020180150966A KR 20180150966 A KR20180150966 A KR 20180150966A KR 20200064639 A KR20200064639 A KR 20200064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raw
purification
tablet
r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407B1 (ko
Inventor
성미숙
정재국
Original Assignee
(주)성도에스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도에스디에프 filed Critical (주)성도에스디에프
Priority to KR102018015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4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FNATURAL RESINS; FRENCH POLISH; DRYING-OILS; OIL DRYING AGENTS, i.e. SICCATIVES; TURPENTINE
    • C09F1/00Obtaining purification, or chemical modification of natural resins, e.g. oleo-resins
    • C09F1/02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 옻칠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정한 품질의 정제칠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생칠의 정제를 위한 정제 기기를 교반 속도와 시간,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제칠 입자의 미세화를 이루는 동시에 화학적인 폴리머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제칠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METHOD FOR REFINING NATURAL LACQUER AND REFINED MACHINE OF NATURAL LACQUER}
본 발명은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 옻칠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옻칠은 동양에서 예전부터 생활용구의 장식이나 보존을 위한 도료로서 널리 이용하여 왔으며, 특히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는 독특한 칠기 문화를 형성시킨 우량한 천연도료로 오늘날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은 1차로 솜이나 천, 또는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며, 그 불순물을 제거한 칠을 생칠이라고 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생칠은 교반과정을 통해 수분을 증발시키고 입자를 고르게 하는 정제과정을 거친다.
생칠의 정제 목적은 불안정한 상태의 옻칠의 성분들을 교반하여 입자가 작고 곱게 하여 안정된 칠로 만들어, 사용하는 용도에 적합하게 가공하기 위해 실시된다. 이때, 행하여지는 교반시간과 교반의 속도 등은 칠 성분들의 입자크기와 수분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이러한 생칠의 정제를 위해 생칠을 교반하여 정제하는 옻 수액의 정제기기가 이용된다. 옻 수액의 정제기기는 정제용기 내에 생칠을 투입하여 생칠을 교반하게 되는데, 이때 생칠이 교반될 때 생칠이 정제용기 내에 고르게 분포하기 위해서는 생칠이 정제용기 내에서 접촉하는 표면적 및 접착력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옻 수액의 정제기기는 정제용기가 단순한 원통형상이 대부분이고, 생칠을 교반하는 교반날개 역시 단순한 수평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생칠의 교반시 정제용기 내의 생칠 전체가 고르게 교반되지 못하고, 교반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생칠의 일부분이 정제용기의 밖으로 넘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한 번에 많은 양의 생칠을 효과적으로 정제할 수 있고, 생칠의 정제를 위한 교반시 표면적과 접착력, 밀착력을 증가시켜 많은 양의 생칠을 균일하게 교반하여 정제칠의 입자크기 및 균질도,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천연 옻 수액의 정제기기를 이미 특허출원하여 등록(등록번호 제10-1852993호)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생칠의 정제 목적은 불안정한 상태의 옻칠의 성분들을 교반하여 입자를 작고(예, 수십 μm) 곱게 하여, 안정된 칠로 만들어 사용하는 용도에 적합하게 가공하는 과정이지만, 이때 행하여지는 교반 시간과 교반 속도 등은 결국 정제 기기의 효율에 따라서 정제 칠의 입자크기 및 입자 균질도, 수분함량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정제칠의 품질이 달라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옻칠은 정제칠을 만들어 활용되는데 현재 하루 이상의 장시간 걸리는 건조 시간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친환경물질인 옻칠의 가치(내구성, 화학적인 안정성, 항균성 등)가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2993호(2018.04.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한 품질의 정제칠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생칠의 정제를 위한 정제 기기를 교반 속도와 시간,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제칠 입자의 미세화를 이루는 동시에 화학적인 폴리머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제칠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생칠을 교반하여 생칠 수분량을 1/3이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1차 정제 단계; 상기 1차 정제 단계 후의 정제칠을 다시 생칠과 같은 수분량으로 맞춘 후 다시 교반을 통해 정제하여 수분량을 다시 1/3 가량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2차 정제 단계; 및 상기 2차 정제된 후의 생칠을 또 다시 생칠과 같은 수분량으로 맞춘 후 또 다시 교반을 통해 정제하여 수분량을 다시 1/3 가량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3차 정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이용한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생칠을 좌우방향으로 1차 교반시키는 제1정제 기기; 1차 교반된 생칠을 상하방향으로 2차 교반시키는 제2정제 기기; 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정제 기기: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와, 베이스판 위쪽에 배치되는 교반공간을 갖는 정제용기와, 정제용기에 채워진 생칠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날개부와, 교반날개부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날개구동부와, 교반날개부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날개구동부와 교반날개부 간에 연결되는 회전축결합 및 교반날개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개부는: 날개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하단부에 결합된 교반플레이트와; 교반플레이트에 테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긁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플레이트의 측부 및 저부에 걸쳐 긁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긁개의 상면부에는 체결홈에 압입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결합 및 교반날개 높이조절부는: 날개구동부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하부가 개방된 커넥터와; 커넥터의 입구 내면에 형성된 홈부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 지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개부의 회전축에는 볼이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 체결홈이 상하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정제 기기는: 챔버와, 챔버를 받쳐주는 지지대와, 챔버의 바닥쪽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제용기와, 챔버 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정제용기에 채워진 생칠을 상하로 교반시키는 교반유닛과, 챔버의 외부 일측부에 장착되어 교반유닛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챔버의 상부에 생칠 교반시 수분이 배출되도록 외기와의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되고, 챔버의 하부에는 정제용기의 출입을 위한 개폐판이 클램프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정제 기기의 교반유닛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둘레에 지지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정제용기 내의 생칠을 교반하는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는 정제용기에 채워진 생칠의 외곽부 및 내부 속까지 교반되도록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호형의 띠상 몸체가 비틀어진 상태의 스파이럴 형태로 구성되어 서포트암에 의해서 회전축의 둘레에 각각 그 지름방향으로 회전축과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생칠을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여 불안정한 상태의 옻칠 성분입자를 작고 균일하게 만들어 안정된 칠을 만들수 있고, 정제 과정에서 수분을 날려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정제칠의 입자크기 및 입자 균질도, 수분함량에 따라 정제칠의 품질이 달라지는데, 반복된 정제과정으로 입자의 크기를 미세화하고 폴리머화를 증가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킨 정제칠을 생산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정제기기를 이용하여 한 번에 많은 양의 생칠을 정제하는 동시에 3차 이상 반복된 정제과정을 진행하여 정제칠을 생산하되, 1차 정제된 정제칠보다 1/3 이상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반복된 정제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정제칠로 색상 옻칠을 제조했을 때 색상의 선명도와 광택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1정제 기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1정제 기기의 교반날개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1정제 기기의 높이조절부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2정제 기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2정제 기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정제시킨 정제칠과 정제 전의 생칠 간의 입자 크기를 비교한 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생칠을 좌우방향으로 1차 교반시키고, 제2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생칠을 상하방향으로 2차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안정한 상태의 옻칠 성분입자를 작고 균일하게 만들어 안정된 정제 칠을 만들 수 있고, 정제 과정에서 수분을 날려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이용한 생칠 정제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이용한 정제 과정은 교반을 통해 생칠 수분량을 약 1/3이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 크기는 1/10 정도 줄어들게 하는 1차 정제 단계와, 1차 정제 단계 후의 정제칠을 다시 생칠과 같은 %의 수분으로 맞춘 후 다시 교반을 통해 정제하여 수분량을 다시 1/3 가량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2차 정제 단계와, 또 다시 2차 정제된 후의 생칠을 또 다시 교반하는 정제 과정을 반복하여 수분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크기를 더 감소시키는 3차 정제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생칠 정제 방법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1차 정제 단계
생칠을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상기한 제1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반속도(예, 60 rpm)로 교반시키되, 건조를 위하여 원적외선 조명을 생칠에 조사하면서 교반하고, 교반 시간은 수분량이 1/3 정도 감소할 때까지 진행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불순물을 제거한 생칠을 상기한 제1정제 기기의 정제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60rpm으로 5시간 교반 후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량이 27.79%로 목표로 한 수분량에 못 미쳐서 스탠드 조명과 원적외선 조명을 조사하면서 9시간을 더 교반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수분양이 8.17%가 되었으며, 이는 최초 생칠에 포함된 수분량이 1/3로 감소된 것이며, 결국 총 정제시간 14시간으로 수분량 8.17%인 1차 정제칠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1차 정제 단계 후에 건조시간 측정을 위해서 유리필름에 일정한 양을 도포한 후, 필름을 항온/항습기(20℃, 80%)에서 지촉 건조시간(5h) 과 경화 건조시간(9h)을 측정하였고, 그리고 광택도를 통상의 기기로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참고로, 상기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한 불순물을 제거 방법은 일례로서, 생칠 2kg을 먼저 스타킹으로 걸러주는 과정과, 솜을 2×2~3×3(cm)정도의 크기로 찢어서 생칠에 넣고 약간 뻑뻑해 질 때까지 골고루 솜에 칠이 스며들도록 저어주는 과정과, 이를 유산지로 덮어둔 후 빛이 들어가지 않게 은박지로 씌운 후 하루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과, 하루 숙성된 생칠을 면보에 올려놓고 끝까지 비틀어서 짜주는 과정과, 면보로 걸러진 생칠을 약봉지 소재에 다시 한번 걸러주면 상기한 1차 정제를 위한 0차 정제(불순물 제거)된 생칠이 준비될 수 있다.
2차 정제 단계
1차 정제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1차 정제칠에 물을 첨가하여 생칠과 같은 초기 수분량을 만들고, 다시 1차 정제방법과 같이 소정의 교반속도(50 rpm)와 시간동안 스텐드 조명 및 원적외선을 1차 정제칠에 조사하면서 수분량이 1/3 정도 감소하는 시점까지 2차 정제 단계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1차 정제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1차 정제칠에 증류수를 첨가하되, 1차 정제 단계 전의 생칠의 점도 및 수분량과 비슷한 수준이 될 때까지 첨가하는 과정, 예를 들어, 증류수 250ml와, 교반속도 50rpm으로 스탠드 조명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며 7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분량이 9.84%인 2차 정제칠을 얻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2차 정제 단계를 통해 얻어진 2차 정제칠에 대해서도 1차 정제칠에 대한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지촉건조시간(2h)과 경화 건조시간(3h), 그리고 광택도를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3차 정제 단계
2차 정제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2차 정제칠에 물을 첨가하여 생칠과 같은 초기 수분량을 만들고, 2차 정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서 소정의 교반속도(50 rpm)와 시간 동안 스텐드 조명 및 원적외선을 2차 정제칠에 조사하면서 수분량이 1/3 정도 감소하는 시점까지 3차 정제 단계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서, 2차 정제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2차 정제칠에 증류수를 첨가하는 과정(예, 2차 정제칠 약 900g)에 증류수 350ml를 첨가하여 수분량 31.27%의 정제칠을 만드는 과정과, 계속해서 교반속도 50rpm으로 교반시키면서 스탠드 조명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며 7시간 동안 교반한 후 교반속도를 40rpm으로 낮춰 30분 동안 더 교반하여 수분량 10.99%인 3차 정제칠을 얻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3차 정제 단계를 통해 얻어진 3차 정제칠에 대해서도 1차 정제칠에 대한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지촉건조시간(1h)과 경화 건조시간(2h), 그리고 광택도를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Sample 수분량 [wt%] 건조시간 광택 [60°]
160℃ 지촉건조 경화건조
생칠 31.13% 6h 11h 64.6
1차 정제 8.17% 5h 9h 93.5
2차 정제 9.84% 2h 3h 101.3
3차 정제 10.99% 1h 2h 103.1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1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생칠을 1차 정제하는 단계와, 1차 정제된 정제칠을 2차 정제하는 단계와, 2차 정제된 정제칠을 3차 정제하는 단계를 진행한 결과, 위의 표 1에서 보듯이, 지촉 건조시간 및 경화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광택도에 있어서도 3차 정제칠의 경우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기한 1차 정제 단계 후의 정제칠, 2차 정제 단계 후의 정제칠, 3차 정제 단계 후의 정제칠에 대한 입자크기를 나노입자 분석기(nano-particle size analy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아래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Speed [rpm] Time [min] Particle size [㎛]
생칠 - - 10 - 100
정제칠1 60 840 1-10
정제칠2 50 420 0.50 -1
정제칠3 50 450 0.370
위의 표 2에서 보듯이, 생칠은 평균 수십 ㎛ 이었지만, 1차 정제칠은 10 ㎛ 이하, 2차 정제칠은 1 ㎛ 이하, 3차 정제칠은 0.370 ㎛ 로 측정되었는 바, 결국 상기한 1차 내지 3차 정제 단계를 통하여 옻칠 성분입자를 작고 균일하게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3차 정제시킨 정제칠과 정제 전의 생칠 간의 입자 크기 및 옻칠의 균질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제전 생칠과 3차 정제된 정제칠을 유리필름에 일정한 두께(60㎛)로 도포한 후, 필름을 항온/항습기에서 건조시킨 다음 정제 전후의 입자를 전자현미경(X500) 으로 관찰하였는 바, 도 6에서 보듯이 3차 정제시킨 정제칠의 입자가 미세하면서도 균질하게 만들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단계에 걸친 정제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가지면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정제칠을 생산할 수 있고, 색상의 선명도와 광택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제기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1정제 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1정제 기기의 교반날개부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1정제 기기의 교반날개 높이조절부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의 제1정제 기기(100)는 베이스판(110), 복수의 수직지지대(120), 장착플레이트(130), 회전축결합 및 교반날개 높이조절부(140), 정제용기(160), 교반날개부(170) 및 날개구동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지면에 놓이는 판으로서,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대(120)는 장착플레이트(130)를 베이스판(110)과 이격시켜 배치시키기 위하여 베이스판(110)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130)는 교반날개부(170) 및 날개구동부(180)가 장착되는 플레이트로서, 복수의 수직지지대(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즉 복수의 수직지지대(120)의 길이만큼 이격된다.
상기 정제용기(160)는 불순물이 제거된 생칠을 수용하는 교반공간(160a)을 갖는 구조로 구비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정제용기(160)는 외관이 원통 형상이고, 원통형상의 수직한 단면으로 볼 때 정제용기(160)의 내부의 측면(161)은 안쪽방향, 즉 정제용기(160)의 중심부를 향해 굴곡진 곡면형상이고, 정제용기(160)의 내부 바닥면(162)은 정제용기(160)의 원통형상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형상을 가지며, 또한 정제용기(160)의 상단부의 높이는 교반날개부(170)의 교반플레이트(172)의 최대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교반날개부(170)는 정제용기(160)에 채워진 생칠을 교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축(171) 및 회전축(171)의 하단부에 결합된 교반플레이트(172), 그리고 교반플레이트(172)에 테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긁개(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교반날개부(170)는 회전축(171)이 회전축결합부(140)에 결합되어 장착플레이트(130)의 아래에서 교반플레이트(172)가 정제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교반날개부(170)는 교반플레이트(172)의 정면에서 볼 때 교반플레이트(172)의 상단부를 제외한 상단부 아래로 연장된 둘레는 정제용기(160) 내부의 측면(161) 및 바닥면(16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교반플레이트(172)에 테두리부에는 정제용기(160)의 내부 측면 및 내부 바닥면에 교반 대상인 생칠이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 2에서 보듯이 생칠을 긁어줄 수 있는 긁개(17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교반플레이트(172)의 측부 및 저부에 걸쳐 긁개(173)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174)이 형성되고, 긁개(173)의 상면부에는 체결돌기(175)가 형성되는 바, 체결돌기(175)를 체결홈(174)에 압입함으로써, 교반플레이트(172)에 대한 긁개(173)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교반날개부(170)의 교반플레이트(172)가 회전하면서 정제용기(160)에 채워진 생칠을 교반할 때, 정제용기(160)의 내측면 및 바닥면에 눌러붙는 생칠을 긁개(173)가 긁어줌으로써, 생칠에 대한 교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결합 및 교반날개 높이조절부(140)는 볼조인트를 이용하여 교반날개부(170)가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구동부(180)의 구동축(183)에 장착되는 하부가 개방된 커넥터(141)과, 커넥터(141)의 입구 내면에 형성된 홈부에 스프링(143)을 매개로 탄성 지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부(170)의 회전축(171)에는 다수개의 볼 체결홈(176)이 상하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에, 상기 교반날개부(170)의 회전축(171)을 상기 커넥터(141)내로 삽입 체결하되, 커넥터(141)의 입구 내면에 장착된 볼(142)이 회전축(171)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 체결홈(176) 중 하나에 삽입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교반날개부(170)가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날개부(170)의 높이를 볼 조인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교반플레이트(172)에 체결된 긁개(173)가 정제용기(160)의 내측면 및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개구동부(180)는 장착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구비되어 교반날개부(17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날개구동부(180)는 회전모터(181) 및 회전모터(18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제어부(182)로 구성되고, 회전모터(181)의 구동축(183)에는 상기와 같이 회전축결합 및 교반날개 높이조절부(140)의 커넥터(141)가 일체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의 제1정제 기기에 의한 생칠 정제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정제용기(160)의 교반공간(160a) 내에는 불순물이 제거된 생칠이 투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날개구동부(180)를 작동시켜서 교반날개부(170)의 회전축(171) 및 교반플레이트(172)를 회전시킨다. 이때, 정제용기(160)의 내부에 투입된 생칠의 양에 따라 속도제어부(182)를 통해 설정된 회전모터(181)의 속도로 교반날개부(170)는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교반날개부(170)가 회전하면서 생칠은 교반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칠에 함유된 수분은 증발되며, 생칠의 입자는 점차 고르게 된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부(170)의 교반플레이트(172)가 회전하면서 정제용기(160)에 채워진 생칠을 교반할 때, 정제용기(160)의 내측면 및 바닥면에 눌러붙는 생칠을 긁개(173)가 긁어줌으로써, 생칠에 대한 교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정제 기기(100)를 이용하면, 교반날개부(170) 회전에 의한 생칠의 교반과정이 진행될 때 정제용기(160)의 내부의 측면(161)은 바닥의 중심부방향으로 굴곡진 곡면을 형성하고 있고, 바닥면(162)은 정제용기(160)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형상을 가지므로 교반날개부(170)가 생칠을 교반할 때 교반날개부(170)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작용하여도 생칠은 정제용기(160)의 중심부를 향하여 모이게 되며, 생칠이 정제용기(160)의 내면에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가하며, 접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날개부(170)의 회전에 의한 생칠의 교반은 정제용기(160) 내에 투입된 생칠의 투입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진행되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생칠의 정제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의 제1정제 기기는 생칠을 좌우방향(위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교반시키되, 한 번에 많은 양의 생칠을 효과적으로 정제할 수 있고, 생칠의 정제를 위한 교반시 표면적과 접착력, 밀착력을 증가시켜 많은 양의 생칠을 균일하게 교반하여 정제칠의 입자크기 및 균질도,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생칠을 좌우방향(위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교반시킨 후, 옻칠 성분입자를 보다 작고 균일하게 만들어 매우 안정된 정제 칠을 만들기 위하여 그리고 정제 과정에서 수분을 더 날려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정제칠의 입자 크기를 더 미세화하고 폴리머화를 증가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킨 정제칠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제1정제 기기에서 정제 완료된 생칠을 제2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반향)으로 2차 교반시키는 과정이 더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정제 기기에 의하여 생칠이 좌우방향(위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만 교반된 상태이므로, 제1정제 기기에서 교반된 생칠 내에 미세 기포 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바, 이에 후술하는 제2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반향)으로 2차 교반시키는 과정이 더 진행함으로써, 옻칠 성분입자를 보다 작고 균일하게 만들어 매우 안정된 정제 칠을 생산할 수 있고, 정제 과정에서 수분을 더 날려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정제칠을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의 제2정제 기기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의 제2정제 기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옻 수액의 제2정제 기기(200)는 챔버(210)와, 챔버(210)를 받쳐주는 지지대(250)와, 챔버(210)의 바닥쪽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제용기(220)와, 챔버(210) 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정제용기(220)에 채워진 생칠을 교반시키는 교반유닛(230)과, 챔버(210)의 외부 일측부에 장착되어 교반유닛(23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210)는 상부에 생칠 교반시 수분이 배출되도록 외기와의 통풍을 위한 통풍구(212)가 형성되고, 챔버(210)의 하부에는 정제용기(220)의 출입을 위한 개폐판(214)이 클램프(216)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상기 개폐판(214)을 분리한 상태에서 그 위에 생칠이 채워진 정제용기(220)를 안착시킨 다음, 정제용기(220)를 챔버(210)의 아래쪽에서 그 내부로 진입시킨 후, 클램프(216)를 이용하여 챔버(210)에 대해 개폐판(214)을 잠금시킴으로써, 챔버(210) 내에 정제용기(220)가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유닛(230)은 모터(24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232)과, 이 회전축(232)의 둘레에 지지되어 회전축(232)과 함께 회전하면서 정제용기(220) 내의 생칠을 교반하는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는 정제용기(220)에 채워진 생칠의 외곽부 및 내부 속까지 교반되도록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호형의 띠상 몸체가 비틀어진 상태의 스파이럴 형태로 구성되고, 서포트암(238)에 의해서 회전축(232)의 둘레에 각각 그 지름방향으로 회전축(232)과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방향에서 보아 각각의 양단이 일정각도, 예컨대 약 90도 정도 어긋난 상태로 서포트암(238)에 의해 회전축(232)에 지지되며, 상호간에는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형태를 취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름방향에서 볼 때는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가 대향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일정간격 만큼 이격되어 어긋나게 되는데, 이는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에 의해 정제용기(220) 내의 생칠이 중간부분으로 모아지면서 교반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한 교반을 추구하기 위함에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정제 기기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정제 기기(100)에 의하여 좌우방향(위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만 교반된 생칠을 제2정제 기기(200)의 정제용기(220)에 채운다.
이어서, 상기 개폐판(214)을 분리한 상태에서 그 위에 생칠이 채워진 정제용기(220)를 안착시킨 다음, 정제용기(220)를 챔버(210)의 아래쪽에서 그 내부로 진입시킨 후, 클램프(216)를 이용하여 챔버(210)에 대해 개폐판(214)을 잠금시킴으로써, 챔버(210) 내에 정제용기(220)가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240)를 구동시킴으로써, 회전축(232) 및 이 회전축(232)에 장착된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가 회전을 하되, 상하방향(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반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정제용기(220) 내에 채워진 생칠 즉, 제1정제 기기에서 1차 교반된 생칠을 교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에 의하여 교반되는 생칠이 각 교반블레이드(234,236)를 타고 넘어가면서 뒤섞이게 되어, 내부의 미세기포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정제 과정에서 증발되는 수분은 상기 챔버(210)의 통풍구(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1정제 기기(100)에서 정제 완료된 생칠을 제2정제 기기(200)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반향)으로 2차 교반시키는 과정이 더 진행함으로써, 옻칠 성분입자를 보다 작고 균일하게 만들어 매우 안정된 정제 칠을 만들 수 있고, 그리고 정제 과정에서 수분을 더 날려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정제칠의 입자 크기를 더 미세화하고 폴리머화를 증가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정제칠을 생산할 수 있다.
한편 긁개(173)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긁개(173)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긁개(173)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긁개(173)의 수명이 증대된다.
또한, 장착플레이트(130)의 표면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캅토트리아졸, 페트롤륨술포네이트 및 머캅토벤조티아졸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교반날개부(17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교반날개부(170)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부(17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100 : 제1정제 기기
110 : 베이스판
120 : 수직지지대
130 : 장착플레이트
140 : 회전축결합 및 교반날개 높이조절부
141 : 커넥터
142 : 볼
143 : 스프링
160 : 정제용기
160a : 교반공간
161 : 정제용기의 내측면
162 : 정제용기의 내부 바닥면
170 : 교반날개부
171 : 회전축
172 : 교반플레이트
173 : 긁개
174 : 체결홈
175 : 체결돌기
176 : 볼 체결홈
180 : 날개구동부
181 : 회전모터
182 : 속도제어부
183 : 구동축
200 : 제2정제 기기
210 : 챔버
212 : 통풍구
214 : 개폐판
216 : 클램프
220 : 정제용기
230 : 교반유닛
232 : 회전축
234 : 제1 교반블레이드
236 : 제2 교반블레이드
238 : 서포트암
240 : 모터
250 : 지지대

Claims (5)

  1. 정제 기기를 이용하여 생칠을 교반하여 생칠 수분량을 1/3이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1차 정제 단계;
    상기 1차 정제 단계 후의 정제칠을 다시 생칠과 같은 수분량으로 맞춘 후 다시 교반을 통해 정제하여 수분량을 다시 1/3 가량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2차 정제 단계;
    상기 2차 정제된 후의 생칠을 또 다시 생칠과 같은 수분량으로 맞춘 후 또 다시 교반을 통해 정제하여 수분량을 다시 1/3 가량 감소시키는 동시에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3차 정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이용한 정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정제 단계는:
    불순물을 제거한 생칠을 제1정제 기기의 정제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60rpm으로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와;
    5시간 후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량이 27.79%로 목표로 한 수분량 10%에 못 미치는 경우 40rpm으로 12시간을 더 교반시키는 단계와;
    교반 rpm을 60으로 다시 높이고 열을 가하기 위해 스탠드형 조명을 사용하면서 더 교반하는 단계와;
    스탠드형 조명을 조사하며 6시간을 더 교반한 후 원적외선 조명을 더 조사하면서 1시간을 더 교반하는 단계;
    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이용한 정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정제 단계는:
    1차 정제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1차 정제칠에 증류수와 테레빈(Turpentine)을 첨가하되, 1차 정제 단계 전의 생칠의 점도 및 수분량과 비슷한 수준이 될 때까지 첨가하는 단계와;
    교반속도 50rpm으로 교반시키면서 스탠드 조명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며 7시간 동안 교반한 후 교반속도를 40rpm으로 낮춰 30분 동안 더 교반하는 단계;
    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를 이용한 정제 방법.
  4. 생칠을 좌우방향으로 1차 교반시키는 제1정제 기기(100)가 구비되되,
    상기 제1정제 기기(100)는,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110)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지지대(120)와, 수직지지대(1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130)와, 베이스판(110) 위쪽에 배치되는 교반공간(160a)을 갖는 정제용기(160)와, 정제용기(160)에 채워진 생칠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날개부(170)와, 교반날개부(17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날개구동부(180)와, 교반날개부(17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날개구동부(180)와 교반날개부(170) 간에 연결되는 회전축결합 및 교반날개 높이조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개부(170)는: 날개구동부(180)와 연결되는 회전축(171)과; 회전축(171)의 하단부에 결합된 교반플레이트(172)와; 교반플레이트(172)에 테두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긁개(173)로 구성되며;
    상기 교반플레이트(172)의 측부 및 저부에 걸쳐 긁개(173)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174)이 형성되고, 긁개(173)의 상면부에는 체결홈(174)에 압입되는 체결돌기(175)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결합 및 교반날개 높이조절부(140)는: 날개구동부(180)의 구동축(183)에 장착되는 하부가 개방된 커넥터(141)과; 커넥터(141)의 입구 내면에 형성된 홈부에 스프링(143)을 매개로 탄성 지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142);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개부(170)의 회전축(171)에는 볼(142)이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 체결홈(174))이 상하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정제 기기(100)에 의해 1차 교반된 생칠을 상하방향으로 2차 교반시키도록 제1정제 기기(100)의 일측에는 제2정제 기기(2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정제 기기(200)는:
    챔버(210)와, 챔버(210)를 받쳐주는 지지대(250)와, 챔버(210)의 바닥쪽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제용기(220)와, 챔버(210) 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정제용기(220)에 채워진 생칠을 상하로 교반시키는 교반유닛(230)과, 챔버(210)의 외부 일측부에 장착되어 교반유닛(23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챔버(210)의 상부에 생칠 교반시 수분이 배출되도록 외기와의 통풍을 위한 통풍구(212)가 형성되고, 챔버(210)의 하부에는 정제용기(220)의 출입을 위한 개폐판(214)이 클램프(216)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교반유닛(230)은 모터(24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232)과, 이 회전축(232)의 둘레에 지지되어 회전축(232)과 함께 회전하면서 정제용기(220) 내의 생칠을 교반하는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교반블레이드(234,236)는 정제용기(220)에 채워진 생칠의 외곽부 및 내부 속까지 교반되도록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호형의 띠상 몸체가 비틀어진 상태의 스파이럴 형태로 구성되어 서포트암(238)에 의해서 회전축(232)의 둘레에 각각 그 지름방향으로 회전축(232)과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옻 수액 정제 기기.
KR1020180150966A 2018-11-29 2018-11-29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 KR10216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66A KR102163407B1 (ko) 2018-11-29 2018-11-29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66A KR102163407B1 (ko) 2018-11-29 2018-11-29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39A true KR20200064639A (ko) 2020-06-08
KR102163407B1 KR102163407B1 (ko) 2020-10-08

Family

ID=7108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966A KR102163407B1 (ko) 2018-11-29 2018-11-29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99A (ko) * 2020-01-15 2021-07-2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옻칠 제조 장치 및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옻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439A (ko) * 2000-06-16 2001-12-28 김 종 민 교반장치
JP2007009023A (ja) * 2005-06-29 2007-01-18 Meiji Univ 漆系塗料、その製造方法及び漆塗装材
KR20150081488A (ko) * 2014-01-06 2015-07-15 주식회사 옻향 옻칠 정제장치 및 방법
KR20170123445A (ko) * 2016-04-29 2017-11-08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 옻 수액 정제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439A (ko) * 2000-06-16 2001-12-28 김 종 민 교반장치
JP2007009023A (ja) * 2005-06-29 2007-01-18 Meiji Univ 漆系塗料、その製造方法及び漆塗装材
KR20150081488A (ko) * 2014-01-06 2015-07-15 주식회사 옻향 옻칠 정제장치 및 방법
KR20170123445A (ko) * 2016-04-29 2017-11-08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 옻 수액 정제기기
KR101852993B1 (ko) 2016-04-29 2018-04-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 옻 수액 정제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99A (ko) * 2020-01-15 2021-07-2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옻칠 제조 장치 및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옻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407B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1946B2 (en) Production method for a truly spherical ceramic ball by means of a rotational method, and a device therefor
EP2177580A1 (de) Antihaft-Beschichtungen
KR20200064639A (ko) 천연 옻 수액 정제 방법 및 정제 기기
CN112143332B (zh) 一种超疏水涂层及制备方法
CN109293933B (zh) 基于沸石咪唑酯骨架的超疏水自清洁聚合物的制备方法
CN1836794A (zh) 涂膜形成方法以及涂覆制品
JP3840280B2 (ja) 多彩模様被覆組成物
WO2023109364A1 (zh) 一种不粘涂层添加剂、不粘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332702B1 (ko) 옻칠 도막처리제
CN1289577C (zh) 无粉末天然或合成橡胶制品用脱模剂和防粘涂料
CN105754399B (zh) 防霉腻子粉及其制备方法
JP2010222453A (ja) 漆及び漆の製造方法
CN109929454B (zh) 铸铝高盐雾免水洗水性无铬环保成膜剂以及处理形成金属表面保护层的方法和搅拌装置
KR101911882B1 (ko) 주철의 표면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방용기
CN114953690B (zh) 一种具有负离子功能的环保型petg装饰膜
CN110982429B (zh) 一种丝素蛋白涂层的制备方法
TWI651105B (zh) 生醫材料製作方法
KR102382654B1 (ko) 나노옻칠 제조 장치 및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옻칠
KR102424254B1 (ko) 알루미늄 재질의 led 조명등 나노 옻칠방법 및 나노 옻칠 제조장치
CN108528123A (zh) 一种考古文物修复的金箔回贴方法
CN109337582A (zh) 一种环保无毒害防水油漆的制备方法及其施工工艺
RU2337120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щитного покрытия
CN213222175U (zh) 一种涂料加工用的多级内膛反应釜结构
CN108797219A (zh) 一种铝箔纸及其制备方法
JPH10179403A (ja) 調理容器及びその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