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596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596A
KR20200064596A KR1020180150858A KR20180150858A KR20200064596A KR 20200064596 A KR20200064596 A KR 20200064596A KR 1020180150858 A KR1020180150858 A KR 1020180150858A KR 20180150858 A KR20180150858 A KR 20180150858A KR 20200064596 A KR20200064596 A KR 2020006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air
housing
ceiling
vertica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396B9 (ko
KR102200396B1 (ko
Inventor
문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Priority to KR102018015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396B1/ko
Priority to PCT/KR2019/013967 priority patent/WO2020111516A1/ko
Publication of KR2020006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396B1/ko
Publication of KR10220039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39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수직높이를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상부 흡입공기를 정화하여 청정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공기청정부; 및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흡입관으로서, 흡입관의 돌출단은 제1수직높이보다 높은 제2수직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흡입관을 포함하되, 하우징은 흡입관의 돌출단에 형성된 관측 흡입구를 통해 상부 흡입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제2수직높이와 제1수직높이의 비는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개시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되며, 최근 들어, 미세 먼지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내의 경우, 공기의 강제대류가 원활하게 발생하지 않아, 실내의 먼지 내지 오염 물질들은 그 밀도에 따라 특정 높이에 정체되는 경향이 있는데, 종래의 공기청정기의 경우,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바닥 주위 또는 실내의 중간 부분에 대해서는 공기청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천장 주위의 공기에 대해서는 공기 청정이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개시는 실내의 천장에 보다 근접하여 천장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흡입관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통해 실내 전체에 원활한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수직높이를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상부 흡입공기를 정화하여 청정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공기청정부; 및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흡입관으로서, 흡입관의 돌출단은 제1수직높이보다 높은 제2수직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흡입관을 포함하되, 하우징은 흡입관의 돌출단에 형성된 관측 흡입구를 통해 상부 흡입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제2수직높이와 제1수직높이의 비는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는, 흡입관을 통해, 바닥에서 천장부터 실내 전체에 대해 원활하게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높이 센서를 통해 흡입관의 제2수직높이를 조절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흡입관의 제2수직높이를 조절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0)는 하우징(110), 흡입관(120), 및 천장높이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공기청정부(도3의 140) 등 공기청정기(10)를 구성하는 여러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복수의 평면으로 구성된 다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제1수직높이(도3의 H1)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하우징(110)의 제1수직높이(H1)는, 하우징(110)이 일상적인 용도로 배치될 때, 하우징(110)이 배치되는 지면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상면까지의 수직한 높이를 지칭한다.
하우징(110)의 상면이 지면과 평행하지 않거나, 일부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제1수직높이(H1)는 하우징(110)의 상면 상에서 지면으로부터 가장 많이 이격된 지점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1하우징측 흡입구(112), 제2하우징측 흡입구(114), 및 하우징측 토출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측 흡입구(112)는, 흡입관(120)을 통해 전달된 상부 흡입공기(도 3의 2)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연통 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하우징측 흡입구(114)는,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하부 흡입공기(도3의 4)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연통 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흡입공기(2)는, 하우징(110)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 실내의 높이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곳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지칭하며, 반대로, 하부 흡입공기(4)는, 하우징(110)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 실내의 높이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곳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지칭한다.
하우징측 토출구(116)는, 공기청정부(도 3의 140)에 의해 청정된 청정공기(도3의 5)를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연통 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우징측 토출구(116)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그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원형 개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흡입관(120)은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흡입관(120)이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입관(120)은 하우징(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흡입관(120)의 돌출단은 제1수직높이(도3의 H1) 보다 높은 제2수직높이(도 3의 H2)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흡입관(120)의 돌출단의 제2수직높이(H2)는, 하우징(110) 및 흡입관(120)이 일상적인 용도로 배치될 때, 하우징(110)이 배치되는 지면으로부터 흡입관(120)의 돌출단까지의 수직한 높이를 지칭한다.
흡입관(120)은 흡입영역(126), 통로영역(122), 및 연결영역(124)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영역(126), 통로영역(122), 및 연결영역(124)은 서로가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입관(120)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하나의 중공형 관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흡입영역(126)은, 흡입관(120) 상에서, 주위의 공기(도 3의 1)가 흡입관(120) 내로 흡입되는 영역이다.
흡입영역(126)은 흡입관(120)의 돌출단을 포함하는 영역이며, 흡입관(120)의 돌출단에는 주위의 공기(1)를 흡입하기 위한 관측 흡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영역(122)은, 흡입관(120) 상에서, 흡입영역(126) 및 연결영역(124)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으로서, 흡입영역(126)으로부터 흡입된 주위의 공기(1)를 상부 흡입공기(2)로서 하우징(110)에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영역(122)은, 흡입관(120) 상에서,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영역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1하우징측 흡입구(122)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영역(122)은 통로영역(122)으로부터 전달되는 상부 흡입공기(2)를, 제1하우징측 흡입구(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흡입관(120)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천장(도 3의 C) 주위의 공기(1)에 충분한 정화가 이루어지거나 천장(C)이 낮아 흡입관(120)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 사용자는 흡입관(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0)의 제1하우징측 흡입구(112)를 통해 직접 외부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입관(120)이 제거된 공기청정기(10)는 제1수직높이(도 3의H1) 주위의 공기를 청정할 수 있다.
천장높이 센서(130)는, 공기청정기(10)가 배치되는 실내에서, 실내의 천장(C)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천장높이 센서(130)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0)는 공기청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부(14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상부 흡입공기(2) 및 하부 흡입공기(4)를 정화하여 청정공기(5)를 생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부(140)에 의해 정화된 청정공기(5)는, 하우징측 토출구(116)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부(140)는 흡입공기(2, 4) 내의 먼지 내지 오염 물질을 청정하기 위해,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1수직높이(H1)을 가지고, 흡입관(120)은 제1수직높이(H1)보다 높은 제2수직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수직높이(H2)와 제1수직높이(H1)의 비는 1.5 이상일 수 있다.
흡입관(120)은 제2수직높이(H2)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수직높이(H2)와 제1수직높이(H1)의 비는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입관(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탈되는 방식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흡입관(8120)의 통로영역(8122)은 단위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도 8의 82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흡입관(8120)은 통로영역(8122)을 구성하는 통로부(820)의 개수를 가감함으로써 흡입관(81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흡입관(120)의 돌출단의 수직높이(H2)를 하우징(110)의 수직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하고, 그 높이 비를 1.5이상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청정기(10)의 흡입이 실내 상에서 보다 높은 곳, 바람직하게는, 실내의 천장(C)과 인접한 곳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실내에서, 먼지 내지 오염 물질의 농도가 높은 천장(C)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청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효율적인 공기 청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1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0)는 천장높이 센서(130), 제어부(410), 흡입팬(420), 및 사용자 단말(430)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높이 센서(130)는 실내의 천장(C)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천장높이 센서(130)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따라서, 천장높이(H3)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센서가 있다면, 천장높이 센서(130)는 그러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410)는 천장높이 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천장높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흡입팬(420)은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어 상부 흡입공기(2)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팬(420)은 음압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천장높이 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천장높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흡입팬(420)의 흡입 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높이 센서(130)에 의해, 천장(C)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관(12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관측 흡입구(121)를 통해 주위의 공기(1)를 흡입하기 위해 보다 큰 흡입 강도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흡입팬(420)의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흡입팬(420)의 흡입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천장높이 센서(130)에 의해, 천장(C)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관(12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고, 관측 흡입구(121)를 통해 주위의 공기(1)를 흡입하기 위해 보다 적은 흡입 강도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흡입팬(420)의 회전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흡입팬(420)의 흡입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제어부(410)가, 천장높이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천장높이(H3)를 기초로 하여, 흡입팬(420)의 흡입 강도를 적정하게 조정함으로써, 흡입팬(420)을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단말(430)은 공기오염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공기오염 정보는 대기오염 물질에 대한 정보를 지칭한다. 대기오염 물질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질소 중 하나 이상이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430)은 개인용 컴퓨터, 태블렛 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430)은 획득한 공기오염 정보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부(4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410)는 사용자 단말(430)로부터 전달된 공기오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2수직높이(H2)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30)로부터 전달받은 공기오염 정보에 오존의 농도가 특히 높다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410)는 오존의 밀도, 분산 특성 등의 성질을 고려하여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제어부(410)가, 사용자 단말(430)로부터 전달받은 공기오염 정보를 기초로 하여,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적정하게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대기오염 물질의 종류, 성질, 농도 등에 따라 적정하게 공기를 청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410)는, 일정한 시간 주기에 따라, 제2수직높이(H2)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관(120)이, 시간이 지남에도, 특정한 제2수직높이(H2)를 유지하는 경우, 제2수직높이(H2)의 주위의 영역은 공기 정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대로, 제2수직높이(H2)로부터 벗어난 영역에서는 공기 정화가 덜 이루어져, 먼지 내지 오염 물질이 정체된 상태일 수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제어부(410)가, 일정한 시간 주기로,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에서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높이 센서(130)를 통해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조절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천장높이 센서(130)를 통해 천장높이(H3)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천장높이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천장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가 조절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흡입관(120)의 높이 조정 초기 단계에서, 천장높이 센서(130)는 천장(C)의 수직높이(H3)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천장높이(H3) 정보는 제어부(41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흡입관(120)의 높이 조정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천장높이 센서(130)로부터 전달된 천장높이(H3) 정보를 기초로 하여,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관(120)은 하우징(110)으로부터 연장되는 흡입관(120)의 길이를 조정하여 제2수직높이(H2)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a)의 흡입관(120)의 높이 조정 초기 단계에서, 흡입관(120)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덜 연장되어, 천장높이(H3)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작은 수직높이(H2a)를 가지고 있으나, 도 5(b)의 힙입관(120)의 높이 조정 단계에서, 흡입관(120)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보다 연장되어, 천장높이(H3)에 보다 가까운 수직높이(H2b)를 가질 수 있다.
실내의 천장높이(H3)는, 공기청정기(10)가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수직높이(H2)가 천장높이(H3)보다 상당히 낮은 경우, 공기청정기(10)의 천장 주위의 공기(1) 흡입이 원활하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제2수직높이(H2)가 천장높이(H3)와 너무 가까운 경우, 공기청정기(10)이 이동에 의해, 흡입관(120)의 돌출단이 천장(C) 또는 천장(C)에 배치된 물건, 예를 들면, 전등 등에 접촉되거나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천장높이 센서(130)를 통해 천장높이(H3)를 측정하고, 측정된 천장높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흡입관(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천장(C)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된 관지지부(도 6의 610)를 포함하는 데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60)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60)는 관지지부(610)을 포함할 수 있다.
관지지부(610)는 흡입관(6120)의 돌출단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관측 흡입구(61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적 방식 또는 수동적 방식에 의해, 하우징(6110)으로부터 연장되는 흡입관(6120)의 길이가 커질 때, 흡입관(6120)의 제2수직높이(H2)는 천장높이(H3)에 근접할 수 있다.
이때, 흡입관(6120)의 돌출단 상에 배치된 관지지부(610)는 천장(C)과 접촉할 수 있다. 관지지부(610)는 천장(C)과 접촉함으로써 천장(C)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이러한 가압력은 흡입관(6120)에 전달될 수 있다.
흡입관(6120)은, 관지지부(610)에 의해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지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61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60)는, 흡입관(6120)의 돌출단에 배치되는 관지지부(610)과 천장(C)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흡입관(6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이로써, 공기청정기(60)가, 천장(C)을 향해 길게 연장된 흡입관(6120)에 의해,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60)는, 천장(C)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관지지부(610)를 포함함으로써, 흡입관(6120)과 천장(C) 사이의 접촉 내지 충돌로 인해 흡입관(6120)이 파손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흡입관(6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천장높이(H3)와 보다 근접하도록, 높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지지부(610)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지지부(610)는 지지부 본체(612), 중앙 접촉부(616), 및 복수의 주변 접촉부(614) 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 본체(612)의 일면은 흡입관(6120)의 돌출단과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중앙 접촉부(614)는 지지부 본체(614)의 타면 상에서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중앙 접촉부(614)의 일면은 지지부 본체(612)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중앙 접촉부(614)의 타면에는 천장(C)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천장접촉면(614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접촉부(616)는 지지부 본체(612)의 타면 상에서 주변, 구체적으로, 중앙 접촉부(614)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주변 접촉부(616)의 일면은 지지부 본체(612)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접촉부(616)의 타면에는 천장(C)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천장접촉면(61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천장접촉면(6142)의 적어도 일부 및 제2천장접촉면(6162)의 적어도 일부 중 하나 이상은 완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천장접촉면(6142) 또는 제2천장접촉면(6162)이 천장(C)과 접촉 내지 충돌하는 경우에도, 관지지부(610) 또는 흡입관(6120)에 전달되는 충격을 일부 완충함으로써, 관지지부(610) 또는 흡입관(6120)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관지지부(610)가 중앙 접촉부(614) 및 복수의 주변 접촉부(61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관지지부(610)는 복수의 주변 접촉부(616) 없이 중앙 접촉부(614)만 포함하거나, 반대로, 중앙 접촉부(614) 없이 복수의 주변 접촉부(616)만 포함할 수도 있다.
후술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3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흡입관이 결합부(도 8의 810), 통로부(도 8의 820), 및 결합부(도 8의 830) 등의 단위 관(unit pipe)으로 구성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80)의 측면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예에 따른 공기청정기(80)의 흡입관(8120)은 결합부(810), 하나 이상의 통로부(820), 및 흡입부(83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10), 하나 이상의 통로부(820), 및 흡입부(83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체로서, 흡입관(812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810), 하나 이상의 통로부(820), 및 흡입부(830)는, 흡입관(8120)의 단위 관(unit pipe)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결합부(810)는 하우징(8110)과 연결되는 단위 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810)는 결합부(810)의 일단이 하우징(8110)과 결합되어 하우징(8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로부(820)는, 결합부(810)와 흡입부(830) 사이에서, 흡입관(8120)의 통로영역을 구성하는 단위 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로부(820)는, 통로부(820) 서로 간, 결합부(810), 또는 흡입부(83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830)는 흡입영역(8126)을 구성하는 단위 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부(830) 상에는 관측 흡입구(8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부(830)는, 관측 흡입구(8121)를 통해, 주위의 공기(1)를 흡입관(8120)의 내로 흡입할 수 있는 연통 구멍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80)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 통로부(820A, 820B)는 결합부(810)의 타단 및 다른 통로부의 타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통로부(820A) 및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제2통로부(820B)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통로부(820A)의 일단의 외주면 상에는 외측 나사산(822A)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2통로부(820B)의 타단의 내주면 상에는 제1통로부(820A)의 외측 나사산(822B)와 상보적으로 결합 가능한 내측 나사산(824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통로부(820A)의 외측 나사산(822B)은 제2통로부의 내측 나사산(824B)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통로부(820A) 및 제2통로부(820B)의 나사 결합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입부(830)의 일단의 외주면 상에 외측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1통로부(820A)의 타단의 내주면 상에 흡입부(830)의 외측 나사산과 상보적으로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내측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통로부(820B)의 일단 및 결합부(810)의 일단의 외주면 상에 각각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부(810)이 타단 및 하우징(8110)의 제1하우징측 흡입구(8112)의 내주면 상에 내측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통로부(820B)의 일단과 결합부(810)의 타단, 및 결합부(810)의 일단과 제1하우징측 흡입구(8112)는 각각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810), 하나 이상의 통로부(820), 및 흡입부(830) 사이의 나사 결합은 분리 가능한 결합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서로 간에 이루어진 나사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통로부(820)가 두 개인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로부(820)는 하나이거나 세 개 이상의 개수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청정기(80)가 흡입관(8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조절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흡입관(8120)은 결합부(810), 하나의 통로부(820), 및 흡입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10), 통로부(820), 및 흡입부(830) 사이의 나사 결합은 분리 가능한 결합으로서, 두 개의 통로부(도 8의 820A, 820B) 중 하나가 다른 단위 관과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8에서, 제거된 통로부와 연결되어 있던 다른 단위 관들은, 하나의 통로부가 제거된 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통로부(820B)가 제거되는 경우, 도 8에서 제2통로부(820B)와 연결되어 있단 다른 단위 관, 즉, 제1통로부(820A)와 결합부(830)는, 제2통로부(820B)가 제거된 후, 서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흡입관(8120)은, 두 개의 통로부(820)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짧은 제2수직높이(H2c)를 가질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흡입관(8120)은 결합부(810) 및 흡입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b)에서는, 흡입관(8120) 상에서 모든 통로부(820)가 제거되고, 흡입부(830)가 결하부(810)에 직접 나사 결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흡입관(8120)은, 통로부(820)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짧은 제2수직높이(H2d)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80)는 흡입관(8120)을 복수의 단위 관으로 구성하고 각 단위 관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 청정 상황에 따라, 흡입관(8120)의 제2수직높이(H2)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흡입관(8120)을 구성하는 단위 관의 양단 상에 외측 나사산 및 내측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있고, 외측 나사산과 내측 나사산은 서로 나사 결합 가능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입관(8120)을 구성하는 단위 관의 일단의 외주면 상에는 외측 돌기가 형성되고, 단위 관의 타단의 내주면 상에는 외측 돌기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내측 홈이 형성된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돌기는 내측 홈에 상보적인 끼움 결합함으로써 단위 관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될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4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흡입관이 하우징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9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9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입관(9120)은 하우징(9110)의 후측면에 형성된 제1하우징측 흡입구(9112)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실내의 천장 주위의 공기(1)에 충분한 정화가 이루어지거나 천장이 낮아 흡입관(9120)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 흡입관(9120)을 하우징(9110)의 후측면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9110)은 하우징(9110)으로부터 이탈된 흡입관(9120)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영역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2: 제1하우징측 흡입구 114: 제2하우징측 흡입구
116: 하우징측 토출구 120: 흡입관 121: 관측 흡입구
122: 통로영역 124: 결합영역 126: 흡입영역
130: 천장높이 센서 140: 공기청정부 410: 제어부
420: 흡입팬 430: 사용자 단말 610: 관지지부
810: 결합부 820: 통로부 830: 흡입부

Claims (11)

  1. 제1수직높이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상부 흡입공기를 정화하여 청정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공기청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흡입관으로서, 상기 흡입관의 돌출단은 상기 제1수직높이보다 높은 제2수직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흡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관의 돌출단에 형성된 관측 흡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 흡입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높이와 상기 제1수직높이의 비는 1.5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2수직높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실내의 천장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천장높이 센서; 및
    상기 천장높이 센서로부터 측정된 천장높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흡입관의 제2수직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흡입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흡입팬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천장높이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천장높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흡입팬의 흡입 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돌출단 상에 배치되는 관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지지부는 상기 천장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천장접촉면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부의 천장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한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제2수직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공기오염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공기오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수직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결합부 및 하나 이상의 통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통로부의 일단은 상기 결합부의 타단 및 다른 통로부의 타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상부 흡입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된 제1하우징측 흡입구;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하부 흡입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측 흡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청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상기 상부 흡입공기 및 상기 하부 흡입공기를 정화하여 청정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80150858A 2018-11-29 2018-11-29 공기청정기 KR102200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58A KR102200396B1 (ko) 2018-11-29 2018-11-29 공기청정기
PCT/KR2019/013967 WO2020111516A1 (ko) 2018-11-29 2019-10-23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58A KR102200396B1 (ko) 2018-11-29 2018-11-29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96A true KR20200064596A (ko) 2020-06-08
KR102200396B1 KR102200396B1 (ko) 2021-01-08
KR102200396B9 KR102200396B9 (ko) 2021-09-17

Family

ID=7085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858A KR102200396B1 (ko) 2018-11-29 2018-11-29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0396B1 (ko)
WO (1) WO20201115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1907A (zh) * 2021-12-08 2022-03-08 天长市泽创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室内污染物浓度识别的移动式空气净化器
JP2022071433A (ja) * 2020-10-28 2022-05-16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316A (ja) * 1995-03-02 1996-09-13 Kansei Corp 空気清浄器
JPH10332182A (ja) * 1997-05-30 1998-12-15 Gastar Corp サーキュレータ
KR20020027962A (ko) * 2000-10-06 2002-04-15 구자홍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회전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8567A (ko) * 2015-09-30 2017-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70094960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540A (ja) * 2001-09-14 2003-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塵装置及び集塵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316A (ja) * 1995-03-02 1996-09-13 Kansei Corp 空気清浄器
JPH10332182A (ja) * 1997-05-30 1998-12-15 Gastar Corp サーキュレータ
KR20020027962A (ko) * 2000-10-06 2002-04-15 구자홍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회전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8567A (ko) * 2015-09-30 2017-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70094960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공기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1433A (ja) * 2020-10-28 2022-05-16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14151907A (zh) * 2021-12-08 2022-03-08 天长市泽创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室内污染物浓度识别的移动式空气净化器
CN114151907B (zh) * 2021-12-08 2023-03-10 天长市泽创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室内污染物浓度识别的移动式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516A1 (ko) 2020-06-04
KR102200396B9 (ko) 2021-09-17
KR102200396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4596A (ko) 공기청정기
KR102527659B1 (ko) 공기청정기
ATE320212T1 (de) Luftzufuhrmittel für einen zyklonenabscheider und staubsauger mit demselben
CN102937302B (zh) 吸排气装置及采用该装置的集成灶
CA2466820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TE517570T1 (de) Kompaktes saugreinigungsgerät für die autarke reinigung von bodenbeläge
CN105042714A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20190081513A (ko) 테이블형 공기 청정기
CN104075389B (zh) 带加湿功能的空气净化装置
KR102125612B1 (ko) 필터가 없는 공기정화기 및 블루투스 스피커가 설치된 시계
CN101612016A (zh) 真空吸尘器
KR101631093B1 (ko) 소음저감형 공기청정기
CN208599347U (zh) 一种空气净化用纳米纤维过滤装置
CN114017372A (zh) 风扇
CN209027025U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220967233U (zh) 一种污水箱及清洁设备
JP2005103412A (ja) 空気清浄機
CN209214065U (zh) 通风管组件及具有其的新风机
KR102058312B1 (ko) 공기 정화용 디퓨져
CN218993565U (zh) 一种组合式空调机组
CN209286888U (zh) 一种便于更换滤芯的新风除霾装置
CN215113097U (zh) 一种小型空气消毒机的工作状态指示结构
KR200306762Y1 (ko)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가구
CN212494312U (zh) 一种高效便捷的无尘服清洗设备
CN208380948U (zh) 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