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566A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566A
KR20200064566A KR1020180150795A KR20180150795A KR20200064566A KR 20200064566 A KR20200064566 A KR 20200064566A KR 1020180150795 A KR1020180150795 A KR 1020180150795A KR 20180150795 A KR20180150795 A KR 20180150795A KR 20200064566 A KR20200064566 A KR 2020006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portion
beverag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135B1 (ko
Inventor
홍종욱
Original Assignee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150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11331A1/ko
Priority to KR1020180150795A priority patent/KR1021521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튜브를 이용하여 내측의 음료를 빨아먹을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은 경우에도 내측의 음료를 배출하여 먹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튜브를 이용하여 내측의 음료를 흡입하여 먹을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은 경우에도 내측의 음료를 배출하여 먹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최근 들어 물, 주스 또는 커피 등과 같이 다양한 음료를 보관할 수 있으며, 이동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음료용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는 단순한 컵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빨대 또는 튜브 등을 이용하여 내부의 음료를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튜브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살펴보면, 튜브 등으로 음료용기 내측의 음료를 흡입하여 먹는 경우에 상기 음료용기를 역위치, 즉 뒤집어서 사용하게 되면 내측의 음료가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튜브가 상기 음료용기의 바닥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게 되면 상기 튜브의 하단부로 음료가 투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기술의 튜브가 없는 음료용기를 살펴보면, 상기 음료용기의 경우 내측의 음료를 먹기 위해서는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어서 사용해야 하며,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내측의 음료를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를 구비한 음료용기에서 상기 음료용기를 정위치에 두고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모두 내부의 음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측에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배출하는 제1 튜브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상기 제1 튜브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출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회동가능한 제1 회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를 향해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하는 배출하우징 및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에 형성된 배출홀을 밀폐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제1 튜브로 상기 저장음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하우징은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상기 제1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제1 유입홀과 제1 연결홀을 연결하는 배출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상기 제1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회동부재는 상기 뚜껑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차단부 및 상기 회동축에서 상기 차단부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위치에 따라 중력에 의해 상기 차단부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하우징의 제1 유입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을 수평으로 구획하여 상부에 버퍼공간을 제공하는 제1 격벽과, 상기 버퍼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2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제3 회동부재 및 상기 버퍼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며,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3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는 제4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 회동부재와 제4 회동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함께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격벽의 제2 연결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내부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내부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 중에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뚜껑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제5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내측 상부에 상기 제1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의 하부에 상하로 승하강 하는 제1 승하강부재 및 제2 승하강부재를 구비하고, 하부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정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2 유입홀과 상기 몸체부의 역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3 유입홀이 형성된 전환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이 차단되며,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하우징의 제2 유입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를 구비한 음료용기에서 상기 음료용기를 정위치에 두고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모두 내부의 음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외부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따른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0)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또는 배치)된 경우이고, 도 3은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정위치'라 함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몸체부(100)가 바닥 또는 지면을 향하는 위치 또는 상기 몸체부(100)가 바닥 또는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져서 위치된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위치'라 함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몸체부(100)를 뒤집어서 상기 음료용기(1000)의 뚜껑(200)이 바닥 또는 지면을 향하는 위치 또는 상기 뚜껑(200)이 바닥 또는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져서 위치된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료용기(1000)는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측에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110)을 제공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200),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를 배출하도록 상기 뚜껑(200)에 연결되는 제1 튜브(610) 및 상기 저장공간(110)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를 상기 제1 튜브(610)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출유닛(9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00)는 먼저 몸체부(1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내측에 저장공간(110)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공간(110)에 물, 주스(juice), 커피(coffee) 등과 같은 각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도면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100)는 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제작의 용이성 등을 위하여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00)의 개구된 상부에는 뚜껑(200)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110)으로 음료를 투입하거나 세척 등의 경우에는 상기 뚜껑(200)을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음료용기(10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200)을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0)도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뚜껑(200)에는 상기 저장공간(110)에 수용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1 튜브(610)가 연결된다. 상기 제1 튜브(610)는 상기 뚜껑(200)을 관통하여 상기 음료용기(10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610)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110)에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를 상기 제1 튜브(610)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출유닛(900)이 구비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튜브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살펴보면, 튜브 등으로 음료용기 내측의 음료를 흡입하여 먹는 경우에 상기 음료용기를 역위치, 즉 뒤집어서 사용하게 되면 내측의 음료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튜브가 상기 음료용기의 바닥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게 되면 상기 튜브의 하단부로 음료가 투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기술의 튜브가 없는 음료용기를 살펴보면, 상기 음료용기의 경우 내측의 음료를 먹기 위해서는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어서 사용해야 하며,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내측의 음료를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를 구비하여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내측의 음료를 흡입하여 먹을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음료용기를 뒤집은 경우에도 내측의 음료를 배출하여 먹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900)은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300, 36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유닛(900)은 상기 저장공간(110)에서 상기 제1 튜브(6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제1 회동부재(360)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를 향해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하는 배출하우징(6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900)은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에 형성된 배출홀(611)을 밀폐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홀(611)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611)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로 상기 저장음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하우징(600)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내측, 또는 상기 저장공간(1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튜브(61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을 향해 길게 연장된 제2 튜브(5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하우징(600)은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서 음압이 결리는 경우에 상기 제2 튜브(510)를 통해 유입된 음료를 상기 제1 튜브(610)를 향해 음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배출하우징(600)은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튜브(610)를 향해 음료를 제공하지 않는 역할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하우징(6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공간(110)의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입홀(6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홀(622)에 전술한 제2 튜브(5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튜브(510)의 상단부에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벨로우즈(512)를 구비하여 상기 제2 튜브(510)의 하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튜브(61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내측 공간에는 회동 가능한 제1 회동부재(3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부재(360)가 상기 몸체부(100)의 정위치 또는 역위치의 위치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제1 연결홀(612)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여 상기 제1 튜브(610)를 향해 음료를 공급 또는 음료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상기 배출하우징(600)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동할 수 있는 제1 회동축(361)과, 상기 제1 회동축(36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홀(61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플레이트(363)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100)가 도 2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상기 제1 연결홀(612)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제1 유입홀(622)과 제1 연결홀(612)을 연결하는 배출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해 회동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홀(612)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튜브(510), 제1 유입홀(622), 상기 배출하우징(600) 및 제1 연결홀(612)을 거쳐 상기 제1 튜브(610)에 연결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음료용기(1000)를 정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의 내측에 음압이 걸리게 되어, 전술한 배출유로를 통해 음료가 상기 제1 튜브(610)의 상단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상기 제1 연결홀(612)을 차단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0)가 도 3과 같이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360)는 중력에 의해 하부를 향해 회동하게 되어, 상기 제1 연결홀(612)을 차단플레이트(363)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로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2 튜브(510) 및 배출하우징(600)을 통해서 음료가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튜브(610)에 직접 형성된 배출홀(611)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홀(611)은 상기 제1 튜브(6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홀(611)은 상기 음료용기(1000)의 내측에서 상기 뚜껑(200)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음료용기(1000)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최대한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홀(611)이 상기 뚜껑(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튜브(610)에는 걸림턱(6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630)은 상기 배출홀(611)과 상기 뚜껑(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튜브(6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상기 뚜껑(200)의 외부로 잡아당기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턱(630)에 의해 상기 제1 튜브(610)가 상기 뚜껑(20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배출홀(611)이 상기 뚜껑(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611)을 밀폐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홀(611)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611)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로 상기 저장음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동부재(300)는 상기 뚜껑(200)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동축(320)과, 상기 제2 회동축(320)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61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차단부(342) 및 상기 제2 회동축(320)에서 상기 차단부(342)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차단부(342)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축(320)은 상기 뚜껑(200)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고정부(210)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동고정부(21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뚜껑(200)을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유닛(900)이 함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회동고정부(210)는 상기 뚜껑(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회동축(320)에는 상기 배출홀(611)을 차단하는 차단부(342)와, 상기 몸체부(100)의 위치에 따라 중력에 의해 상기 차단부(342)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중부(320)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많이 나가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또는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회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하중부(320)는 제1 연결바(322)에 의해 상기 제2 회동축(3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342)는 제2 연결바(340)에 의해 상기 제2 회동축(3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342)의 형태는 도면에서 대략 구(球, sphere)형의 형상으로 도시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부(342)는 일부가 잘린 반구 형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 또는 절곡된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부(320)는 상기 제2 회동축(320)을 중심으로 상기 차단부(342)의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중부(320)가 상기 차단부(34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하중부(320)가 회동하는 경우에 그 회동력이 상기 차단부(342)에 가장 크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하중부(320)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342)는 반대로 위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튜브(610)의 배출홀(611)을 막아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배출홀(611)을 통해서 음료가 배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도 3과 같이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하중부(320)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회전하며, 상기 차단부(342)는 반대로 위로 회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배출홀(611)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측의 음료가 상기 배출홀(611)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내부의 배출유닛(19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몸체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4는 상기 음료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해당하며, 도 5는 상기 음료용기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1900)은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을 수평으로 구획하여 상부에 버퍼공간(1300)을 제공하는 제1 격벽(120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격벽(1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상부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공간이 버퍼공간(1300)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배출유닛(1900)은 상기 버퍼공간(13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회동부재(1500)와 제4 회동부재(1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와 제4 회동부재(1400)는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함께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공간(1300)의 일측에는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와 제4 회동부재(1400)가 회동할 수 있는 회동고정부(12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가 상기 제1 격벽(1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하게 위치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동부재(1500)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1200)에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1220)을 개방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2 연결홀(1220)을 차단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회동부재(1500)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1520)와, 상기 제3 연결부(15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한 쌍의 제3 차단부(1510, 1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연결부(1520)는 직선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형태 또는 곡선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회동부재(1400)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1200)에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1240)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며,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3 연결홀(1240)을 개방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회동부재(1400)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연결부(1420)와, 상기 제4 연결부(14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한 쌍의 제4 차단부(1410, 1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연결부(1420)는 직선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형태 또는 곡선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의 한 쌍의 제3 차단부(1510, 1530) 중에 하나와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한 쌍의 제4 차단부(1410, 1430) 중에 하나가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의 제3 연결부(1520)가 구부러진 방향과,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제4 연결부(1420)가 구부러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와 제4 회동부재(14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연결홀(1220) 또는 제3 연결홀(1240)을 차단하는 경우에 연결홀을 보다 확실히 차단하여 차단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한 쌍의 제3 차단부(1510, 1530)와 제4 차단부(1410, 1430)의 형태는 대략 구(球, sphere)형의 형상으로 도시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차단부(1510, 1530)와 제4 차단부(1410, 1430)는 일부가 잘린 반구 형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 또는 절곡된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격벽(1200)의 하면의 제2 연결홀(1220)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51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튜브(610)가 연결되는 뚜껑(1100)에는 제4 연결홀(1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은 평면상에서 동심원으로 배치되어 중첩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 연결홀(1220)이 제4 연결홀(1110)의 직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이 동심원으로 배치되지 않는 경우(직하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의 각 단면적의 적어도 50% 이상이 평면상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연결홀(1220)이 개방된 경우에 상기 제4 연결홀(1110)을 통한 음압이 상기 제2 연결홀(122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이 전술한 배치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한 음압이 상기 제2 연결홀(1220)로 대부분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홀(1220) 및 제2 튜브(510)를 통해 음료를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이 전술한 배치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음압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의 제3-1 차단부(1510)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제4-1 차단부(1430)는 아래로 회동한 상태를 강하게 유지하게 되어, 상기 제3 연결홀(1240)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3 연결홀(1240)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4 연결홀(1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가 상기 제3 연결홀(1240)에서 바로 제4 연결홀(1110)로 투입되어 너무 많은 양의 음료가 한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연결홀(1110)의 직하부에는 상기 제2 연결홀(1220)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3 연결홀(124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3 연결홀(1240)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4 연결홀(1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격벽(1200)에는 안착부(1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50)는 오복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동부재(1500)가 도 4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제3-2 차단부(1530)가 상기 안착부(1250)의 내측으로 수용 및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 회동부재(1500) 및 제4 회동부재(1400)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내부경로(145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내부경로(145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3 회동부재(1500) 및 제4 회동부재(1400)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볼(14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내부에 내부경로(145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경로(1450)의 내측에 하중볼(144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하중볼(1440)이 중력에 따라 상기 내부경로(1450)를 따라 한 쌍의 제4 차단부(1410, 1430) 사이를 왕복하여 상기 제4 회동부재(1400) 및 제3 회동부재(1500)가 회동할 수 있는 회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4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배출유닛(1900)에서 상기 몸체부(100)가 도 4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제4 회동부재(1400)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하중볼(1440)이 상기 내부경로(145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회동부재(1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회동하여,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1240)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회동부재(1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1220)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홀(1220)과 제4 연결홀(1110)이 동심원 배치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한 음압이 상기 제2 연결홀(1220)로 대부분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홀(1220) 및 제2 튜브(510)를 통해 음료를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유입된 음료는 상기 버퍼공간(1300)을 채우고 음압에 의해 상기 제4 연결홀(1110)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도 5와 같이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4 회동부재(1400)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하중볼(1440)이 상기 내부경로(1450)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회동부재(1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회동하여 상기 제1 격벽(1200)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1240)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회동부재(1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제1 격벽(1200)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13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1220)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2 튜브(510)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연결홀(1220)이 상기 제3 회동부재(15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2 튜브(510)를 통해 음료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가 상기 제3 연결홀(1240)을 통해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투입되며,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투입된 음료는 상기 제4 연결홀(1110)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3 연결홀(1240)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4 연결홀(1110)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가 상기 제3 연결홀(1240)에서 바로 제4 연결홀(1110)로 투입되어 너무 많은 양의 음료가 한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29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7은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동부재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의 내측에 하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하중볼의 이동에 의해 회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회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회동부재의 내측에 내부경로를 제작하여 하중볼을 삽입하는 것은 제작하기가 상당히 어려우며, 제작공정 및 제작시간을 현저히 늘리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3 회동부재(1500) 및 제4 회동부재(1400)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제3 회동부재(2500) 및 제4 회동부재(2400)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플레이트(2600, 270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회동부재(2500)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2520)와, 상기 제3 연결부(25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중플레이트(2700)는 상기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 중에 한 쪽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결부(2520)는 직선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형태 또는 곡선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회동부재(2400)는 상기 회동고정부(1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연결부(2420)와, 상기 제4 연결부(24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한 쌍의 제4 차단부(2410, 2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중플레이트(2600)는 상기 한 쌍의 제4 차단부(2410, 2430) 중에 한 쪽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연결부(2420)는 직선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구부러진 형태 또는 곡선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회동부재(2500)와 상기 제4 회동부재(2400)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회동부재(2500)의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 중에 하나와 상기 제4 회동부재(2400)의 한 쌍의 제4 차단부(2410, 2430) 중에 하나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중플레이트(2700)는 제3 회동부재(2500)의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 중에서 상기 제4 회동부재(2400)와 연결되지 않은 제3 차단부(25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중플레이트(2600)는 제4 회동부재(2400)의 한 쌍의 제4 차단부(2410, 2430) 중에서 상기 제3 회동부재(2500)와 연결되지 않은 제4-1 차단부(24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중플레이트(2700) 및 제2 하중플레이트(26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또는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정위치 또는 역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하중플레이트(2700) 및 제2 하중플레이트(2600)에 의해 상기 제3 회동부재(2500) 및 제4 회동부재(2400)에 회동력을 가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도 6과 도 7의 구성을 가지는 배출유닛(2900)에서 상기 몸체부(100)가 도 6과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한 음압이 상기 제1 하중플레이트(2700) 및 제2 하중플레이트(2600)에 개별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제3 회동부재(2500)와 제4 회동부재(2400)가 동일한 방향, 예를 들어, 도 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력을 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4 회동부재(2400)의 제4-2 차단부(2430)에 의해 상기 제3 연결홀(1240)을 보다 견고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작용한 음압은 상기 제2 연결홀(1220)로 대부분 전달되어 상기 제2 연결홀(1220) 및 제2 튜브(510)를 통해 음료를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 상기 버퍼공간(1300)으로 유입된 음료는 상기 버퍼공간(1300)을 채우고 음압에 의해 상기 제4 연결홀(1110)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와 제4 차단부(2410, 2430)의 형태는 대략 구(球, sphere)형의 형상으로 도시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차단부(2510)와 제4 차단부(2410, 2430)는 일부가 잘린 반구 형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 또는 절곡된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3 차단부(2510)와 제4 차단부(2410, 2430)가 납작한 형태 또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전술한 하중플레이트의 역할, 즉 음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의 위치에 따른 상기 회동부재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제3 회동부재(1500) 및 제4 회동부재(1400)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내부경로 및 상기 내부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하중볼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39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이며, 도 10은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3900)은 상기 뚜껑(3200)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3320)와, 상기 뚜껑(32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배출구(3320)를 차단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1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튜브(610)와 연결되는 제5 연결홀(614)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제5 회동부재(35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3900)의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제2 튜브를 구비하지 않고 추가격벽(3600)에 의해 버퍼공간(3600)을 제공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정위치 및 역위치에 따라 음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뚜껑(3200)에는 상기 몸체부(1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내부의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제1 튜브(610)가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뚜껑(3200)에는 상기 몸체부(100)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33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음료용기(1000)를 정위치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1 튜브(610)를 빨아들여서 음료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1000)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배출구(3320)를 통해 음료를 흡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구(3320)는 상기 뚜껑(3200)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음료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3200)의 하면에는 상기 제5 회동부재(35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3200)의 하면에서 하부를 향해 고정축(340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5 회동부재(3500)에는 상기 고정축(340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3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회동부재(3500)는 제5 연결부(3520)와 상기 제5 연결부(35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5 차단부(3510, 3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제5 차단부(3510, 3530)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뚜껑(3200)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3320)와, 상기 제1 튜브(610)와 연결되는 제5 연결홀(614)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레일(3522)은 상기 제5 연결부(35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연결부(35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래를 향해 볼록한 형태의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몸체부(100)가 도 8 및 도 9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5 회동부재(3500)가 상기 고정축(340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5-1 차단부(3530)가 상기 배출구(3320)를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5-1 차단부(3530)가 상기 배출구(3320)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5-1 차단부(3530)와 반대편에 있는 제5-2 차단부(3510)가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5-2 차단부(3510)가 상기 제5-1 차단부(35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하중을 가지게 되므로, 도 8과 같이 상기 제5-2 차단부(3510)가 하부를 향해 회동 및 하강하여 상기 제5 연결홀(614)은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1 차단부(3530)는 상부를 향해 회동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배출구(3320)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배출구(3320)를 통해 상기 제5-1 차단부(3530)가 보이는 경우에 상기 배출구(3320)가 차단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1 차단부(3530)에 'CLOSED' 등과 같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배출구(3320)를 통해 보이는 경우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배출구(3320)가 차단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도 8 및 도 9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가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에 상기 제5 연결홀(614)을 통해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음압이 작용하여, 상기 추가격벽(3600)의 관통홀(3640)을 통해 음료가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공급된다.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공급된 음료는 상기 버퍼공간(3630)을 채우고 상기 제5 연결홀(614)을 통해 상기 제1 튜브(6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도 10과 같이 뒤집혀서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5-2 차단부(3510)가 하부를 향해 회동하여 하강하여 상기 제5 연결홀(614)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5-1 차단부(3530)는 상부를 향해 회동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배출구(3320)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음료는 상기 추가격벽(3600)의 관통홀(3640)을 통해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공급되고, 상기 버퍼공간(3630)으로 공급된 음료는 상기 배출구(3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49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상기 배출유닛(49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 13은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유닛(4900)은 상기 제1 튜브(6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전환하우징(40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제1 튜브(610)와 연결되는 연결공간(40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환하우징(4000)은 상부커버(4005)와 하부몸체(4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4005)와 하부몸체(4300) 사이에 상기 연결공간(401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공간(4010)의 하부에는 상하로 승하강 하는 제1 승하강부재(4200) 및 제2 승하강부재(410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몸체(4300)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가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는 제1 오목부(4340)와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가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는 제2 오목부(43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 및 제2 승하강부재(4100)는 상기 음료용기(1000)의 위치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는 제1 상부걸림부(4230)와, 상기 제1 상부걸림부(423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4220)와, 상기 제1 연장부(42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볼부재(42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는 제2 상부걸림부(4130)와, 상기 제2 상부걸림부(413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제2 연장부(4120)와, 상기 제2 연장부(41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볼부재(41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정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2 유입홀(4342)과 상기 몸체부(100)의 역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3 유입홀(43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제2 유입홀(4342)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51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510)의 상단부에는 결합부(4400)가 형성되어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4400)는 직경이 확장된 확관 형태로 제공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우, 도 12와 같이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4342)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4352)이 차단된다.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의 제1 상부걸림부(4230)는 상기 제1 오목부(434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돌출부(4344)에 의해 상기 제1 오목부(4340)의 내면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제2 유입홀(4342)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 음압은 상기 연결공간(4010) 및 상기 제2 유입홀(4342)을 통해 제2 튜브(510)로 작용하게 된다. 결국, 음료는 상기 제2 튜브(510)의 내부유로(511)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제2 유입홀(4342), 상기 연결공간(4010)을 거쳐 상기 제1 튜브(610)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음료용기(1000)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의 제2 상부걸림부(4130)는 상기 제2 오목부(4350)의 내면에 밀착하여 상기 제3 유입홀(4352)이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튜브(610)를 빨아들이는 경우에도 상기 제3 유입홀(4352)을 통해서는 음압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도 13과 같이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4342)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4352)이 개방된다.
상기 음료용기(1000)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승하강부재(4200)의 제1 상부걸림부(4230)는 상기 제2 유입홀(4342)에 밀착하여 상기 제2 유입홀(4342)을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승하강부재(4100)의 제2 볼부재(4110)는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하면, 또는 상기 하부몸체(430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4354)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환하우징(4000)의 제3 유입홀(4352)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용기(1000)를 뒤집어서 역위치로 사용하는 경우, 내부의 음료는 상기 제3 유입홀(4352)을 통해 상기 연결공간(4010)으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공간(4010)에서 제1 튜브(610)로 공급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몸체부
200..뚜껑
510..제2 튜브
610..제1 튜브
900..배출유닛
1000...음료용기

Claims (15)

  1.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측에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배출하는 제1 튜브;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상기 제1 튜브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출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내측에 회동가능한 제1 회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를 향해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하는 배출하우징; 및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튜브에 형성된 배출홀을 밀폐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제1 튜브로 상기 저장음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하우징은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상기 제1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제1 유입홀과 제1 연결홀을 연결하는 배출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상기 제1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배출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부재는
    상기 뚜껑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차단부; 및
    상기 회동축에서 상기 차단부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위치에 따라 중력에 의해 상기 차단부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하우징의 제1 유입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을 수평으로 구획하여 상부에 버퍼공간을 제공하는 제1 격벽;
    상기 버퍼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과 연결되는 제2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2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제3 회동부재; 및
    상기 버퍼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버퍼공간과 연결되는 제3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며,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3 연결홀을 개방하도록 회동하는 제4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동부재와 제4 회동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함께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의 제2 연결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내부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내부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 중에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 및 역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력에 따라 상기 제3 회동부재 및 제4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하중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뚜껑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공간의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뚜껑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1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홀을 차단하도록 회동하는 제5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제1 튜브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내측 상부에 상기 제1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의 하부에 상하로 승하강 하는 제1 승하강부재 및 제2 승하강부재를 구비하고, 하부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정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2 유입홀과 상기 몸체부의 역위치 시 음료가 유입되는 제3 유입홀이 형성된 전환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이 차단되며,
    상기 몸체부가 역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유입홀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승하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유입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우징의 제2 유입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튜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1020180150795A 2018-11-29 2018-11-29 음료용기 KR10215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5019 WO2020111331A1 (ko) 2018-11-29 2018-11-29 음료용기
KR1020180150795A KR102152135B1 (ko) 2018-11-29 2018-11-29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95A KR102152135B1 (ko) 2018-11-29 2018-11-29 음료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382A Division KR102152140B1 (ko) 2019-10-21 2019-10-21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66A true KR20200064566A (ko) 2020-06-08
KR102152135B1 KR102152135B1 (ko) 2020-09-04

Family

ID=7085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95A KR102152135B1 (ko) 2018-11-29 2018-11-29 음료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2135B1 (ko)
WO (1) WO202011133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21A (ko) * 1993-09-08 1995-04-15 김기수 우유병용 밸브체
JP3111075U (ja) * 2005-04-06 2005-07-07 パール金属株式会社 飲料容器
KR101084353B1 (ko) * 2011-06-15 2011-11-16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패널 용기 캡
KR101952487B1 (ko) * 2014-01-19 2019-05-10 런웨이 블루, 엘엘씨 용기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540574T3 (da) * 1990-07-24 1996-09-30 Merrell Pharma Inc Antikoagulationspeptider
KR200259327Y1 (ko) * 2001-09-29 2002-01-04 안형식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KR20030089352A (ko) * 2002-05-17 2003-11-21 박창복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21A (ko) * 1993-09-08 1995-04-15 김기수 우유병용 밸브체
JP3111075U (ja) * 2005-04-06 2005-07-07 パール金属株式会社 飲料容器
KR101084353B1 (ko) * 2011-06-15 2011-11-16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패널 용기 캡
KR101952487B1 (ko) * 2014-01-19 2019-05-10 런웨이 블루, 엘엘씨 용기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331A1 (ko) 2020-06-04
KR102152135B1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556B2 (en) Liquid container having single cap
US10549898B2 (en) Tumbler having additive storage space
JP2017524606A (ja) 液体容器付着用の密閉キャップ
JP6663362B2 (ja) カプセル吐出用ポンプ容器
KR102050965B1 (ko) 텀블러
ES2253500T3 (es)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y de distribucion de un producto liquido.
JP2021176780A (ja) 飲料提供デバイス
KR20200064566A (ko) 음료용기
KR20200064896A (ko) 음료용기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JP6292531B1 (ja) 液体用容器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KR101877903B1 (ko)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CN208048529U (zh) 一种倒流壶
KR102337470B1 (ko) 자중 개폐형 위생 물통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KR102174778B1 (ko) 화장품 용기
KR101925636B1 (ko) 유아용 컵
CN209074055U (zh) 一种便于存放泡饮物品的水杯
KR20190038987A (ko) 유아용 컵
KR101844784B1 (ko) 진공텀블러
TWM548145U (zh) 飲料容器
JP6958881B2 (ja) ピッチャー
KR102334927B1 (ko) 버튼 개폐형 위생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