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242A -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242A
KR20200064242A KR1020180149653A KR20180149653A KR20200064242A KR 20200064242 A KR20200064242 A KR 20200064242A KR 1020180149653 A KR1020180149653 A KR 1020180149653A KR 20180149653 A KR20180149653 A KR 20180149653A KR 20200064242 A KR20200064242 A KR 20200064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unit
module
sh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715B1 (ko
Inventor
이수태
이수규
천상규
이창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8014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7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선박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ng System of Ship Equipment Us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선박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임무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예컨대, 드릴링 선박, LNG선박, 유조선 등에는, 선박의 위치를 원하는 지점에 지속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동적위치유지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 DPS), 선박에 사용되는 각종 전력소비장치들의 전력소비를 관장하는 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 선박위치발신장치를 통해 선박의 위치나 속력 등을 전자해도 화면에 표출하여 선박의 운항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인 선박모니터링시스템(Vessel Monitoring System, VMS), 연료가스공급시스템(Fuel Gas Supply System, FGSS),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 등과 같은 다양한 선박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장비는 선박의 운항에 있어 필수적인 시스템이기에, 이러한 시스템의 이상 발생은 선박 운항과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선박장비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선박장비의 결함을 실제 선박에 탑재하기 전에 미리 발견하면 어느 정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겠으나, 선박의 운항 과정에서 결함이 발견되었을 때, 특히 선박이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해를 항해하고 있는 경우라면, 선박 운항에 차질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이거니와,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련 기술자가 문제가 발생한 선박까지 이동하여 해당 선박에 승선 후 점검을 수행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제공장치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1347호(2016.05.10)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기술(90)은 선박의 평형수처리장치(91) 운전상태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선박평형수처리 제어장치(93)와, 내부통신중계장치(95)와 연결되며 선박 운항지역에서 이동통신망 접속가능영역을 탐지하여 선박이 이동통신망 접속가능영역에 도달하면 외부 인터넷상의 선박 평형수 운전 서버로 자동 접속하여 선박의 평형수 처리시스템 운전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운전관리 및 보수유지 정보를 입력받는 이동통신망 접속장치(97)와, 지상 관제기지에 설치되어 선박 평형수 운전 서버에 접속하여 선박의 운항시 평형수처리시스템 운전상태정보를 수집하고 빅데이터를 분석, 관리하여 평형수처리시스템 운전관리 및 보수유지 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다시 선박 평형수 운전 서버에 저장하는 빅데이터 분석장치(99)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90)에 의해서는 선박이 항구의 근처에 머무르는 동안에만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원해를 항해중인 선박장비에 관한 운영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MRO(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on)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90)에 의할 경우, 항해중인 선박 내에 설치된 각종 장비에 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불가능한바, 문제 발생을 예측하여 사전에 차단할 수 없으며, 문제 발생시 지상 관제기지에서 적절한 조치를 안내할 수도 없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선박 통신은 인공위성을 통한 위성 통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데, 위성통신은 속도가 느리고, 통신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상기 종래기술(90)은 항구 근처에서의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선회한 것으로 보이지만, 상기 종래기술(90)에 의해서는 원해 환경에서의 통신 자체가 불가능해 지는 다른 문제가 생기게 된다.
HILS(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는 가상으로 환경을 구축하여 실제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가상 환경에서 입출력 신호를 통해 장비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장비의 성능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HILS는 항공, 자동차 분야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나, 항공기나 자동차에 장착되는 HILS는 해양에서 운항되는 선박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특수한 상황에 대한 이벤트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출원인은 HILS를 이용하여 선박장비의 진단, 특히 원격 진단에 최적화된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및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1347호(2016.05.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선박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선박에 승선하지 아니하고도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선박장비의 이상 여부를 원격으로 진단하여 해결책을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 운항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웹서버부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입력수단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데이터를 웹서버부가 인지하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웹서버부는, 상기 판단모듈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모듈을 구성하여, 웹서버부가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서버부를 검색하여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웹서버부는, 상기 데이터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데이터표시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선박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클라이언트라도 언제든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서버부로부터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데이터표시모듈은, 추출된 데이터를 선박별로 구분하도록 구성하여, 선박별로 요청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함에 따라, 동일 선주가 복수의 선박을 가지고 있더라도 선박을 기준으로 구분된 정보를 통해 복수의 선박을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버부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애플리케이션서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값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선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불러들여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알고리즘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진단항목데이터를 기준으로 수신된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앞으로 예상되는 문제를 파악하는 등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 비교를 통해 분석된 결과값을 제공하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선박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비교 기준이 되는 진단항목데이터가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추출된 진단항목데이터와 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모듈을 구성하여, 원격지에서도 선박에 발생한 문제를 진단하거나 선박에 발생할 문제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와 연결되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비교모듈을 통해 분석된 결과값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클라이언트라도 운항중인 선박에 발생한 문제 또는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박장비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단말유닛부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와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사하여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서버부와, 상기 선박장비를 그대로 모사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박장비로 송신하고 상기 선박장비로부터 테스트결과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장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해 제공하는 웹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웹서버부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웹서버부는, 상기 판단모듈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웹서버부는, 상기 데이터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데이터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표시모듈은, 추출된 데이터를 선박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서버부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애플리케이션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불러들여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알고리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추출된 진단항목데이터와 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문제발생을 진단 및 예측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와 연결되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격단말유닛부가 선박장비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프로토콜 형태로 통신망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와, 변환부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와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신호변환단계와, 송수신부가 상기 변환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사하여 전달하는 전자기파송신단계와, 서버부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단계와, 웹서버부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해 제공하는 모니터링단계와, 시뮬레이터가 상기 선박장비를 그대로 모사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박장비로 송신하고 상기 선박장비로부터 테스트결과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장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부에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이터요청단계와, 판단모듈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데이터추출모듈이 상기 판단모듈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데이터표시모듈이 상기 데이터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데이터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표시단계는, 추출된 데이터를 선박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선박장비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데이터수신단계 이후에, 애플리케이션서버부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분석단계는, 알고리즘모듈의 추출모듈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불러들이는 진단항목데이터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분석단계는, 알고리즘모듈의 비교모듈이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와 진단항목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비교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분석단계는, 상기 비교분석단계 이후에 알고리즘모듈이 분석된 결과값을 데이터베이스서버부로 보내 데이터베이스서버부가 이를 저장하는 분석값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선박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선박에 승선하지 아니하고도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선박장비의 이상 여부를 원격으로 진단하여 해결책을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 운항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웹서버부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입력수단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데이터를 웹서버부가 인지하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웹서버부는, 상기 판단모듈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모듈을 구성하여, 웹서버부가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서버부를 검색하여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웹서버부는, 상기 데이터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데이터표시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선박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클라이언트라도 언제든지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서버부로부터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표시모듈은, 추출된 데이터를 선박별로 구분하도록 구성하여, 선박별로 요청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함에 따라, 동일 선주가 복수의 선박을 가지고 있더라도 선박을 기준으로 구분된 정보를 통해 복수의 선박을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서버부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애플리케이션서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값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선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불러들여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알고리즘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진단항목데이터를 기준으로 수신된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앞으로 예상되는 문제를 파악하는 등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 비교를 통해 분석된 결과값을 제공하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선박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비교 기준이 되는 진단항목데이터가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추출된 진단항목데이터와 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모듈을 구성하여, 원격지에서도 선박에 발생한 문제를 진단하거나 선박에 발생할 문제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와 연결되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비교모듈을 통해 분석된 결과값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클라이언트라도 운항중인 선박에 발생한 문제 또는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제공장치에 관한 도면.
도 2는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에 관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원격단말유닛부에 관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듀얼밴드모듈에 관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서버부에 관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애플리케이션서버부에 관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알고리즘모듈에 관한 도면.
도 8은 도 6의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관한 도면.
도 9는 도 6의 웹서버부에 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통신이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관제방법에 관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데이터전송단계에 관한 도면.
도 12는 도 10의 통신망선택단계에 관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업데이트가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관제방법에 관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통신망확인단계에 관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통신망확인단계에 관한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에 관한 도면.
도 17은 복수의 선박에서 서버부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의 모니터링단계에 관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관적 관제가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모니터링방법에 관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 데이터제공단계에 관한 도면.
도 21은 도 20의 데이터제공단계에 관한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장비의 원격진단예측방법에 관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진단예측단계에 관한 도면.
도 24는 도 23의 비교분석단계에 관한 도면.
도 25는 도 24의 비교분석단계에 관한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선박장비의 운용기록전송방법에 관한 도면.
도 27은 원격단말유닛부의 설치위치에 관한 도면.
도 28은 도 26의 운용데이터모바일전송단계에 관한 도면.
도 29는 도 26의 운용기록제공단계에 관한 도면.
도 30은 클라이언트가 선박의 원격관제를 위해 선박장비의 원격관제시스템에 접속하는 화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1은 웹페이지 상에서 선박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현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2는 웹페이지 상에서 지도 위에 표시된 선박들 가운데 특정 선박의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3은 웹페이지 상에서 특정 선박의 상세정보가 표현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4는 선박장비의 원격진단을 통해 진단 또는 예측된 문제에 관한 경고 메세지 화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5는 발견된 문제에 관해 해결방안을 제시해 주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2는 선박장비의 원격관제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선박장비의 원격관제시스템(1)은, 원격지에서도 선박장비를 관리, 통제, 모니터링하고, 진단 및 예측, 운용기록 전송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선박장비의 원격관제시스템(1)에 의하면 원격지에 있는 관제센터 등에서도 실시간으로 근해 또는 원해를 항해 중인 선박의 선박장비의 운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문제발생시 선박이 위치해 있는 곳까지 관련 기술자를 파견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예견되는 문제를 사전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효율적인 운용기록 전송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박장비의 원격관제시스템(1)은, 원격단말유닛부(10), 변환부(30), 송수신부(50), 모바일디바이스(60), 서버부(70), 시뮬레이터(8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원격단말유닛부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선박장비(D)에 연결되어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형식인 프로토콜로 만들어, 특정 통신 방식을 통하여 서버부(70)로 전송하고, 서버부(70)로부터 송신된 프로토콜을 변환해 상기 선박장비(D)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선박장비(D)는 선박의 위치를 원하는 지점에 지속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동적위치유지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 DPS), 선박에 사용되는 각종 전력소비장치들의 전력소비를 관장하는 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 선박위치발신장치를 통해 선박의 위치나 속력 등을 전자해도 화면에 표출하여 선박의 운항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인 선박모니터링시스템(Vessel Monitoring System, VMS), 연료가스공급시스템(Fuel Gas Supply System, FGSS),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이러한 상기 선박장비(D)에 연결이 되어 선박장비(D)에 관한 각종 운용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연결모듈(11), 측위모듈(12), 분류모듈(13), 저장모듈(15), 프로토콜생성모듈(17), 듀얼밴드모듈(19)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모듈(11)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를 상기 선박장비(D)와 같은 주변 장치와 연결하는 구성으로, 연결방식으로는 유무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11)에 의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상기 선박장비(D)에 접속하여 선박장비(D)의 운용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후술할 모바일디바이스(60)와도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 저장된 상기 선박장비(D)에 관한 운용데이터를 모바일디바이스(60)로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11)은, 상기 선박장비(D)의 제어로직 변경 및 설정값 변경, 버그 수정 등으로 인하여 상기 선박장비(D)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경우, 사람이 직접 선박에 방문하여 상기 선박장비(D)에 유선 연결을 통해 업데이트를 시킬 필요 없이, 원격지에서도 상기 선박장비(D)의 원격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상기 선박장비(D)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의 연결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즉, 상기 연결모듈(11)을 통해 관제센터 등의 원격지에서도 상기 선박장비(D)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 볼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도 상기 선박장비(D)의 시스템 업데이트가 가능해진다. 상기 연결모듈(11)이 선박장비(D)로부터 운용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측위모듈(12)은, 선박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위치데이터란, 선박의 위치, 선박의 항해방향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선박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측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선박의 위치는 위도와 경도 등의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측위모듈(12)은 이러한 위치확인수단에 연결되어 측정된 선박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해 내고, 추출된 선박의 위치데이터를 후술할 분류모듈(13)을 통해 저장모듈(15)에 보내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류모듈(13)은, 상기 연결모듈(11) 및 상기 측위모듈(12)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모듈(11)을 통해 추출된 상기 선박장비(D)의 운용데이터 및 상기 측위모듈(12)을 통해 추출된 선박의 위치데이터 등을 데이터의 형식,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의 저장 여부, 데이터의 표시 여부 등에 따라 분류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상기 분류모듈(13)을 통해 상기 운용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후술할 저장모듈(1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15)은, 상기 분류모듈(13)과 연결되어, 상기 분류모듈(13)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저장모듈(15)에 저장된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송신에 적합한 프로토콜의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은, 상기 저장모듈(15)과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들 가운데에 송신을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데이터를 프로토콜로 만드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이란,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규칙을 가리킨다.
도 4는 도 3의 듀얼밴드모듈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은,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과 연결되어, 생성된 프로토콜을, 후술할 변환부(30) 및 송수신부(50)를 통해 서버부(7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통신망을 결정해 원격단말유닛부(10)와 서버부(70)를 통신연결시키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은 사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통신망으로는 위성통신망과 모바일통신망이 있다. 즉,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은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을 통해 생성된 프로토콜을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것인지, 모바일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것인지를 구분하여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을 결정한다.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의 프로토콜 전송방식 결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정해질 수도 있겠지만, 바람직하게는 특정 통신망 연결가능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듀얼밴드모듈(19)에 의한 통신을 듀얼밴드통신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은, 통신결정모듈(191), 통신연결모듈(193)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결정모듈(191)은, 통신망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통신망을 결정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시스템상의 특정 로직에 의해 통신망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의해 통신망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통신결정모듈(191)은, 신호전송모듈(1911), 신호수신모듈(1913), 통신망선택모듈(1915)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전송모듈(1911)은, 선박의 좌표정보를 가지고 반응신호를 보내는 구성을 말한다. 선박의 위치는 상기 측위모듈(12)에 의해 위도와 경도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송모듈(1911)은 상기 측위모듈(12)에 의해 측정된 선박의 좌표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해당 좌표에서 연결 가능한 통신망을 찾기 위한 반응신호를 주변에 보내게 된다.
상기 신호수신모듈(1913)은, 상기 반응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신호전송모듈(1911)을 통해 주변에 반응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되돌아 오는 응답신호를 통해 연결 가능한 통신망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호수신모듈(1913)은 이러한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통신망선택모듈(1915)이 연결가능한 통신망 가운데에서 어느 한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망선택모듈(1915)은, 수신된 응답신호를 평가하여 통신망을 선택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신호수신모듈(1913)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운데에서는 신호가 강한 것, 신호가 약한 것도 있으며, 위성통신망도 있고, 모바일통신망도 있을 수 있다. 상기 통신망선택모듈(1915)은 사전에 정해진 로직에 따라 수신된 응답신호를 평가하여 그 가운데 최적의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통신망은 위성통신망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비용이 저렴한바, 상기 통신망선택모듈(1915)은, 모바일통신망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모듈(193)은, 상기 통신결정모듈(191)에 의해 결정된 통신망으로 원격단말유닛부(10)와 서버부(70)를 통신연결시키는 구성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망선택모듈(1915)의 판단을 근거로 원격단말유닛부(10)와 서버부(70)를 통신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통신연결모듈(193)은, 모바일통신모듈(1931), 위성통신모듈(1933)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통신모듈(1931)은, 모바일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을 통해 전달받은 프로토콜을 서버부(70)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통신모듈(1931)은 위성통신모듈(1933)에 우선하여 적용될 수 있다. 즉, 모바일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연근해 지역에 선박이 위치할 경우에는 위성통신모듈(1933)을 통해 위성통신망 접속이 가능하더라도 상기 위성통신모듈(1933)에 우선하여 상기 모바일통신모듈(1931)이 활성화되며, 모바일통신망 접속이 불가능한 원해 지역에 선박이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위성통신모듈(1933)을 통해 프로토콜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성통신모듈(1933)은, 위성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을 통해 전달받은 프로토콜을 서버부(70)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성통신모듈(1933)은 모바일통신망 접속이 불가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선박의 위치에 상관없이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선박장비와 관련된 데이터를 받아볼 수 있도록, 선박이 모바일통신망이 미치지 않는 원해에 있을 때는 상기 위성통신모듈(1933)이 활성화되어 위성통신망을 통해 프로토콜의 송수신이 가능해 진다.
상기 변환부(30)는, 일측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송수신부(5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부(70)로 송신할 때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고, 서버부(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신호는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 전달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변환부(30)에 관하여 이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30)는 RS-485 통신방식의 MOD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50)는,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변환부(30)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대기 중에 방사하여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을 통해 생성된 프로토콜이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의 상기 위성통신모듈(1933)을 거쳐 상기 변환부(30)와 상기 송수신부(50)를 통해 전파될 경우에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서버부(70)에 전달되고,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의 상기 모바일통신모듈(1931)을 거쳐 상기 변환부(30)와 상기 송수신부(50)를 통해 전파될 경우에는, 모바일통신망을 통해 서버부(7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50)에 관하여 이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안테나(Antenna)가 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추출된 운용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는 내부에 데이터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이 될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추출한 대용량의 운용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원격단말유닛부(10)의 연결방식에 대해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연결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연결도 포함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선박의 엔진룸과 같은 하층부에 깊숙이 위치할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외부와의 통신연결이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추출한 운용데이터는 임시적으로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 상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가 서버부(70)와 통신연결되었을 때, 임시 저장한 운용데이터를 서버부(7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에 임시 저장된 운용데이터는 대용량인바, 이를 상대적으로 값이 비싸고 전송속도도 느린 위성통신망을 이용해 서버부(70)로 전송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므로,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에서 서버부(7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는,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망으로 연결되었을 때로 제한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는, 연결가능한 통신망을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를 통신연결하는 통신연결수단과, 상기 통신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상기 서버부(70)가 통신연결되었을 때, 연결된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상기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망으로 연결되었다고 확인한 경우 운용데이터 송신을 진행시키는 대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망으로 연결되었을 때에만 운용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서버부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서버부(7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프로토콜을 송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통신망에는 위성통신망과 모바일통신망이 포함된다. 상기 서버부(7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부(70)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송된 프로토콜을 수신하여 원격지에서도 선박의 선박장비에 관한 운용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으며, 반대로 특정 프로토콜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 송신하여 원격지에서도 선박의 선박장비를 제어하거나 시스템 업데이트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상기 서버부(70)는,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 웹서버부(75)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5의 애플리케이션서버부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는, 일측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연결되어 수신된 프로토콜을 데이터 단위로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로 데이터를 삽입하며, 진단 및 예측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 및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하고, 진단 및 예측 알고리즘이 탑재된 서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는, 데이터송수신모듈(711), 데이터분리모듈(713), 데이터분류모듈(715), 데이터삽입모듈(717), 알고리즘모듈(719)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은, 일측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로부터 선박장비(D)의 데이터 구성정보를 읽어오고, 통신망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타측이 데이터분리모듈(713)에 연결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분리모듈(713)로 전달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은 위성통신망 또는 모바일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반대로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데이터 송수신 방식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은, 통신연결수단(7111), 감지수단(7113), 대기수단(7115)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연결수단(7111)은, 연결가능한 통신망을 검색하여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상기 서버부(70)를 통신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통신연결이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상기 서버부(7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 또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상기 서버부(7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반대로 말하면 상기 서버부(70)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 또는 상기 서버부(70)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 것을 말한다. 상기 연결가능한 통신망의 예로는, 바람직하게는 위성통신망 또는 모바일통신망이 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7113)은, 상기 통신연결수단(7111)을 통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상기 서버부(70)가 통신연결되었을 때, 연결된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전술한 내용에 따르면 상기 연결가능한 통신망으로는 위성통신망과 모바일통신망이 있는바, 상기 감지수단(7113)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상기 서버부(70)가 연결된 통신망이 위성통신망인지 모바일통신망인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대기수단(7115)은, 상기 감지수단(7113)을 통해 서버부(70)와 원격단말유닛부(10)가 모바일 통신망으로 연결되었다고 확인한 경우 데이터 송신을 진행시키고, 상기 감지수단(7113)을 통해 서버부(70)와 원격단말유닛부(10)가 모바일 통신망으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확인한 경우 데이터 송신을 모바일 통신망으로 연결될 때까지 중단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데이터를 주고 받는 행위에는 통신망을 이용하는 비용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위성통신망의 경우 모바일통신망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통신 속도도 느린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선박의 운용데이터 등과 같이 대용량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는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고 통신 속도도 빠른 모바일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는바,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은 상기 대기수단(7115)을 구성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상기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망으로 연결되었을 때에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분리모듈(713)은,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을 통해 수신된 프로토콜을 데이터 단위로 분리하는 구성을 말한다. 선박장비(D)의 각종 운용데이터는 서버부(70)로 전송시 하나의 프로토콜로 만들어져 서버부(70)로 들어올 수 있는데, 서버부(70)로 들어온 하나의 프로토콜은 실질적으로는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데이터분리모듈(713)은 수신된 프로토콜로부터 데이터를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분리모듈(713)의 일측은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과 연결이 되며, 그 타측은 후술할 데이터분류모듈(715)과 연결이 되고, 프로토콜에서 분리된 데이터들은 데이터분류모듈(715)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분류모듈(715)은, 상기 데이터분리모듈(713)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분리모듈(713)을 통해 분리된 데이터를 분류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데이터분리모듈(713)은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를 분리하는 기능을 하며, 분리된 데이터들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체계적으로 저장되기 위해서는 이들을 분류하는 과정이 필요한바, 상기 데이터분류모듈(715)은 프로토콜로부터 분리된 데이터들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는 구성이다. 분류 기준에 대해 이를 특정한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의 종류, 형식 등을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삽입모듈(717)은, 일측은 상기 데이터분류모듈(715)에 연결되고 타측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분류모듈(715)을 통해 분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7은 도 6의 알고리즘모듈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알고리즘모듈(719)은, 서버부(70)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일측은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모듈(719)은 상기 데이터송수신모듈(711)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731)를 불러들여 비교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값을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재 선박장비(D)의 운용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을 진단하고, 앞으로 예견될 문제를 예측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러한 상기 알고리즘모듈(719)은, 추출모듈(7191), 비교모듈(7193), 솔루션제공모듈(7195), 검증모듈(7197)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모듈(7191)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731)를 추출하는 구성을 말한다. 추출된 진단항목데이터(731)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비교 기준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비교모듈(7193)은, 추출된 진단항목데이터(731)와 서버부(70)에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문제발생을 진단 및 예측하는 구성을 말한다. 발생한 문제를 찾는 것이 진단이며, 발생할 문제를 찾는 것이 예측에 해당한다. 상기 비교모듈(7193)을 통한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선박의 원격 진단 및 예측이 가능해 진다.
상기 솔루션제공모듈(7195)은, 진단 및 예측을 통해 발생 및 예견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솔루션제공모듈(7195)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데이터들로부터 해결방안을 서치해, 복수의 해결방안에 순위를 두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해결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복수의 해결방안에 순위를 매기는 방법에 관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7197)은, 상기 솔루션제공모듈(7195)을 통해 제공된 해결방안으로 진단 및 예측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검증모듈(7197)을 통한 문제해결확인 방법으로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선박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선박에 탑승중인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를 통해 문제가 해결되었는지에 관한 질의를 보내고,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는, 일측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와 연결되고, 타측은 웹서버부(75)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에 제공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는 웹서버부(75)와 연결이 되는바, 관제센터 등 선박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클라이언트라도 웹서버부(75)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관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는, 진단항목데이터(731), 지도데이터(733), 위치데이터(735)를 포함한다.
상기 진단항목데이터(731)는, 선박의 운항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물론이거니와, 선박에 포함된 장치들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및 앞으로 예견된 문제들이 있는지 등을 발견하는데 필요한 선박점검사항과 관련된 데이터를 말한다. 상기 진단항목데이터(73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시 불러들여져서 근해 또는 원해를 운행하는 선박을 원격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상기 알고리즘모듈(719)은 상기 서버부(70)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진단항목데이터(731)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선박에 발생한 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관한 해결방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를 검색해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지도데이터(733)는, 선박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이 지도상의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 안내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 상에 저장된 지리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말한다. 후술할 웹서버부(75)는 상기 지도데이터(733)를 불러와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여 선박이 표시된 지도상의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 안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는 지도가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 상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위치데이터(735)는, 선박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위모듈(12)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측위모듈(12)은 선박에 마련된 위치측정수단을 통해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게 되고, 수집된 위도, 경도 등의 좌표들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위치데이터(735)로 저장된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상기 위치데이터(735)는 웹서버부(75)를 통해 지도상에 실시간으로 항해 중인 선박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웹서버부(7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와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로부터 가져와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웹에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HTML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웹서버부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웹서버부(75)는, 판단모듈(751), 데이터추출모듈(753), 데이터표시모듈(755), 설정모듈(757)을 포함한다.
상기 판단모듈(751)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구성을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을 할 수 있으며, 해당 웹페이지에서 특정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때, 입력수단(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특정 데이터의 제공을 웹서버부(75)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명령어를 상기 판단모듈(751)이 해석함으로써, 어떠한 데이터가 요청되고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추출모듈(753)은, 상기 판단모듈(751)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서 추출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판단모듈(751)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 데이터가 확인이 되면, 상기 데이터추출모듈(753)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를 검색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해 낸다.
상기 데이터표시모듈(755)은, 상기 데이터추출모듈(753)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추출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가 보기 쉽게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웹페이지상에 선박별로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선주가 복수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선주가 복수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등 어떠한 경우라도, 선박을 기준으로 정보가 제공되는바, 선박별 모니터링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표시모듈(755)은, 지도데이터표시모듈(7551), 선박위치표시모듈(7553), 요청데이터표시모듈(7555)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데이터표시모듈(7551)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로부터 저장된 지도데이터(733)를 불러와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구성을 말한다. 관제센터 등에서 관리 중인 선박은 복수 척일 수 있고, 이 경우 각 선박의 위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항해 중인 선박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지도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도데이터표시모듈(7551)은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기에 앞서 선박이 항해 중인 주변 지역의 해당 지도를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선박위치표시모듈(7553)은, 웹페이지에 표시된 지도데이터 상에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지도데이터표시모듈(7551)을 통해 선박이 항해 중인 주변 지역의 해당 지도가 웹페이지 상에 표시되면, 상기 선박위치표시모듈(7553)을 통해 현재의 선박 위치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선박의 운행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실시간으로 선박의 위치데이터(735)는 상이한 값을 가지게 되는바, 이러한 위치데이터(735)가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되고, 상기 웹서버부(75)의 선박위치표시모듈(7553)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상기 위치데이터(735)를 가져와 지도데이터(733) 상에 표시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웹서버부(75)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보는 것만으로도, 실시간으로 선박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요청데이터표시모듈(7555)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특정 선박의 데이터를 웹페이지에 표시된 지도데이터 상의 해당 선박에 표시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상기 지도데이터표시모듈(7551)과 선박위치표시모듈(7553)을 통해 지도상에서 움직이는 선박이 웹페이지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를 보는 클라이언트는 특정 선박의 세부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요청데이터표시모듈(7555)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선박의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이언트가 특정 선박의 세부 정보를 요청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웹페이지 상에 보이는 특정 선박 상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다 놓는 행위를 특정 선박의 세부 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으로도 볼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757)은, 데이터의 요청방식 또는 웹페이지 상에 표현되는 데이터의 표시방식 등을 설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운행 중인 특정 선박의 세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요청방식은 상기 설정모듈(757)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지도상에 표시된 선박 상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다 놓는 행위를 요청행위로 설정할 경우,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선박 모양의 그림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다 놓기만 해도 해당 선박의 세부 정보가 표시되겠지만, 클라이언트가 지도상에 표시된 선박을 클릭하는 행위를 요청행위로 설정할 경우,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선박 모양의 그림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다 놓기만 해서는 해당 선박의 세부 정보가 표시되지 않고 클릭을 해야지만 세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모듈(757)에 의하면, 요청행위가 인지되어 해당 선박의 데이터를 웹페이지 상에 표현해야 할 경우, 이러한 데이터 표현 방식도 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표현방식에 관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팝업(Pop-Up) 형식이 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터는(80)는, 상기 선박장비(D)를 그대로 모사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박장비(D)로 송신하고 상기 선박장비(D)로부터 테스트결과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장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시뮬레이터(80)는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선박의 선박장비(D)와 통신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시뮬레이터(80)에 의해 선박이 원해를 항해하는 등으로 원격지에 있더라도, 관련 기술자가 선박에 승선하지 않고 선박장비의 이상 여부를 원격으로 진단해 해결책을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선박 운항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통신이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관제방법에 관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데이터전송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듀얼밴드통신이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관제방법(S10)은,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을 통해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을 결정하여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서 상기 서버부(7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듀얼밴드통신이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관제방법(S10)은, 데이터전송단계(S11), 신호변환단계(S13), 전자기파송신단계(S15), 데이터수신단계(S17)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11)는, 원격단말유닛부(10)가 선박장비(D)에 연결되어 운용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운용데이터를 프로토콜 형태로 통신망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11)는, 데이터추출단계(S111), 데이터분류단계(S113), 데이터저장단계(S115), 프로토콜생성단계(S117), 통신망결정및연결단계(S119)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추출단계(S111)는, 연결모듈(11)이 선박장비(D)에 접속하여 선박장비(D)의 운용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연결모듈(11)이 운용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분류단계(S113)는, 상기 데이터추출단계(S111) 이후에, 상기 연결모듈(11)과 연결된 분류모듈(13)이 상기 연결모듈(11)을 통해 추출된 상기 선박장비(D)의 운용데이터를 데이터의 형식,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의 저장 여부, 데이터의 표시 여부 등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단계(S115)는, 상기 데이터분류단계(S113) 이후에, 상기 분류모듈(13)과 연결된 저장모듈(15)이 상기 분류모듈(13)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프로토콜생성단계(S117)는, 상기 데이터저장단계(S115) 이후에, 상기 저장모듈(15)과 연결된 프로토콜생성모듈(17)이 저장된 데이터들 가운데에 송신을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데이터를 프로토콜로 만드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통신망결정및연결단계(S119)는, 상기 프로토콜생성단계(S117) 이후에,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과 연결된 듀얼밴드모듈(19)이 통신망을 결정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상기 서버부(70)를 통신연결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도 12는 도 10의 통신망선택단계에 관한 흐름도로,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망결정및연결단계(S119)는,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을 통해 생성된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을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을 통해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통신망은 크게 모바일통신망과 위성통신망이 있다. 상기 통신망결정및연결단계(S119)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적으로 모바일통신 또는 위성통신을 선택하는 것을 제외하는 개념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통신망결정및연결단계(S119)는, 통신망결정단계(S1191)와 통신망연결단계(S1193)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망결정단계(S1191)는, 통신결정모듈(191)이 통신망을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통신망결정단계(S1191)는, 반응신호전송단계(S11911), 신호수신단계(S11913), 통신망선택단계(S11915)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신호전송단계(S11911)는, 신호전송모듈(1911)이 선박의 좌표정보를 가지고 반응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말한다. 선박에는 GPS 등이 설치되어 선박의 위치 정보가 상기 측위모듈(12)에 의해 실시간으로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도와 경도로 표현된 선박의 좌표정보를 통해 해당 선박의 위치에서 연결가능한 통신망에 반응신호를 보내게 됨으로써, 반응신호를 받게 될 통신망의 종류를 선박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한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호수신단계(S11913)는, 신호수신모듈(1913)이 상기 반응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반응신호전송단계(S11911)를 통해 선박 주변에 반응신호를 보내게 되면, 통신망 연결이 가능한 통신망에서 응답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러한 응답신호를 상기 신호수신모듈(1913)이 수신하게 된다. 이로써, 현재 선박이 위치해 있는 지점에서 연결가능한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신망선택단계(S11915)는, 통신망선택모듈(1915)이 수신된 응답신호를 평가하여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호수신단계(S11913)를 통해 연결 가능한 통신망이 추려진 경우, 상기 통신망선택모듈(1915)은 저장된 로직에 따라 최적의 통신망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위성통신망에 비해 데이터 전송비용이 저렴하고, 속도가 빠른 모바일통신망이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박의 위치해 있는 지점에서 우선적으로 모바일통신망 연결이 시도되고, 연결가능한 모바일통신망이 없을 때 비로소 위성통신망 연결이 시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연결단계(S1193)는, 통신연결모듈(193)이 결정된 통신망으로 원격단말유닛부(10)와 서버부(70)를 통신연결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통신망결정단계(S1191)를 통해 특정 통신망이 선택되었으면, 통신연결모듈(193)은 선택된 해당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서버부(70)를 통신연결시키게 된다. 통신연결모듈(193)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통신모듈(1931)과 위성통신모듈(193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신호변환단계(S13)는, 변환부(30)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호변환단계(S13)를 통해 디지털신호가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거나(Modulation), 아날로그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Demodulation)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3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이를 특정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30)는 RS-485 통신방식의 MOD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송신단계(S15)는, 송수신부(50)가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사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송수신부(50)는,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변환부(30)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대기 중에 방사하여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안테나(Antenna)가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S17)는, 서버부(70)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상기 서버부(7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프로토콜 형식으로 전달이 되는바, 상기 서버부(7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달되는 프로토콜을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프로토콜은 상기 서버부(70)에서 데이터로 분리되고 다시 종류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업데이트가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관제방법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격단말유닛(10)과 상기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망 또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면, 선박이 근해 또는 원해에 위치해 있는지에 상관없이, 선박과 관제센터 간의 자유로운 통신이 가능해 진다. 선박에서는 실시간으로 선박장비(D)에 관한 데이터를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으며, 반대로 관제센터에서는 선박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박장비(D)에는 제어로직의 변경, 설정값의 변경, 버그 수정 등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현재 선박이 위치한 곳까지 관련 기술자가 방문을 하여 기록매체 업데이트를 수행했어야 했는바, 불필요한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초래되었다. 따라서 상기 원격 업데이트가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관제방법(S20)은, 선박의 위치에 상관없이 원격지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선박장비(D)를 업데이트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원격 업데이트가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관제방법(S20)은, 통신연결단계(S21), 통신망확인단계(S23), 데이터전송단계(S25), 업데이트단계(S27)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연결단계(S21)는, 통신연결수단(7111)에 의해 서버부(70)가 원격단말유닛부(10)와 통신연결되는 단계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연결수단(7111)은, 연결가능한 통신망을 검색하여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상기 서버부(70)를 통신연결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상기 통신연결수단(7111)은 바람직하게는 위성통신망과 모바일통신망으로 대변되는 통신망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서버부(70)와 원격단말유닛부(10)가 통신연결되도록 한다.
도 14는 도 13의 통신망확인단계에 관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통신망확인단계에 관한 흐름도로,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망확인단계(S23)는, 상기 통신연결단계(S23) 이후에, 상기 서버부(70)가 서버부(70)와 원격단말유닛부(10)를 연결한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말한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는 많은 양은 데이터 소모가 필요한바, 상대적으로 값이 비싼 위성통신망의 경우 많은 지출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는 상기 통신망확인단계(S23)를 통해 위성통신망보다 속도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한 모바일통신망을 이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상기 통신망확인단계(S23)는, 감지단계(S231)와 송신유보단계(S233)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단계(S231)는, 감지수단(7113)이 서버부(70)와 원격단말유닛부(10)가 모바일 통신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감지수단(7113)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상기 서버부(70)가 연결된 통신망이 위성통신망인지 모바일통신망인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상기 감지수단(7113)에 의해 서버부(70)와 원격단말유닛부(10)가 통신 연결되었을 때 통신 연결망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신유보단계(S233)는, 상기 감지단계(S231) 이후에, 대기수단(7115)이 상기 감지수단(7113)을 통해 서버부(70)와 원격단말유닛부(10)가 모바일 통신망으로 연결되었다고 확인한 경우 데이터 송신을 진행시키고, 상기 감지수단(7113)을 통해 서버부(70)와 원격단말유닛부(10)가 모바일 통신망으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확인한 경우 데이터 송신을 모바일 통신망으로 연결될 때까지 중단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송신유보단계(S233)를 통해 상기 서버부(70)가 원격단말유닛부(10)와 모바일통신망으로 연결될 때까지 데이터 송신을 중단시킴으로써, 위성통신망에 의한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바일통신망 연결이 확인되는 즉시 데이터 송신을 진행함으로써, 서버부(70)에서 원격단말유닛부(10)로 대용량 업데이트 파일 등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25)는, 상기 서버부(70)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업데이트 파일이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단계(S27)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상기 서버부(7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서버부(70)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파일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 자체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 연결된 선박장비(D)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는 등 업데이트의 대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장비의 원격 모니터링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선박장비의 원격 모니터링방법(S30)은, 선박장비가 설치된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전송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해 중인 선박을 관제센터 등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선박에 관한 데이터란, 선박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선박의 위치데이터, 선박장비의 운용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이러한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값을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운행을 추적하거나, 현재 상태를 진단해 발견된 문제를 해결하고, 예견된 문제를 인지 및 대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박장비의 원격 모니터링방법(S30)은, 데이터전송단계(S31), 신호변환단계(S32), 전자기파송신단계(S33), 데이터수신단계(S34), 데이터분석단계(S35), 모니터링단계(S36), 진단단계(S37)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31)는, 원격단말유닛부(10)가 선박장비가 설치된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프로토콜 형태로 통신망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31)는, 데이터추출단계(S311), 데이터분류단계(S313), 데이터저장단계(S315), 프로토콜생성단계(S317), 통신망선택단계(S319)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추출단계(S311)는, 원격단말유닛부(10)의 연결모듈(11)이 선박장비(D)의 운용데이터를 추출하고, 원격단말유닛부(10)의 측위모듈(12)이 선박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즉, 상기 데이터추출단계(S311)는, 선박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수집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분류단계(S313)는, 분류모듈(13)이 상기 연결모듈(11) 및 상기 측위모듈(12)과 연결되어, 추출된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데이터추출단계(S311)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형식,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의 저장 여부, 데이터의 표시 여부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단계(S315)는, 상기 데이터분류단계(S313) 이후에, 상기 분류모듈(13)과 연결된 저장모듈(15)이 상기 분류모듈(13)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프로토콜생성단계(S317)는, 상기 데이터저장단계(S315) 이후에, 상기 저장모듈(15)과 연결된 프로토콜생성모듈(17)이 저장된 데이터들 가운데에 송신을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데이터를 프로토콜로 만드는 단계를 말한다. 생성된 프로토콜은 신호체계, 인증, 오류감지 및 수정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선택단계(S319)는, 상기 프로토콜생성단계(S317) 이후에, 상기 프로토콜생성모듈(17)과 연결된 듀얼밴드모듈(19)이 통신망을 다르게 하면서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듀얼밴드모듈(19)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통신망은 크게 모바일통신망과 위성통신망이 있다. 상기 통신망선택단계(S319)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적으로 모바일통신 또는 위성통신을 선택하는 것을 제외하는 개념은 아니나, 모바일통신은 위성통신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통신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바, 바람직하게는 모바일통신이 위성통신보다 우선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변환단계(S32)는, 변환부(30)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호변환단계(S32)를 통해 디지털신호가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거나(Modulation), 아날로그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Demodulation)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3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이를 특정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30)는 RS-485 통신방식의 MOD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송신단계(S33)는, 송수신부(50)가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사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송수신부(50)는,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변환부(30)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대기 중에 방사하여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안테나(Antenna)가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S34)는, 서버부(70)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상기 서버부(7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프로토콜 형식으로 전달이 되는바, 상기 서버부(7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달되는 프로토콜을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프로토콜은 상기 서버부(70)에서 데이터로 분리되고 다시 종류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분석단계(S35)는, 상기 데이터수신단계(S34) 이후에,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현재 운항중인 선박에 발생한 문제나 앞으로 예견되는 문제를 발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분석단계(S35)는, 진단항목데이터추출단계(S351), 비교분석단계(S353), 분석값저장단계(S355)를 포함한다.
상기 진단항목데이터추출단계(S351)는, 알고리즘모듈(719)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731)를 불러들이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진단항목데이터추출단계(S351)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진단항목데이터(731)가 저장되어 있음이 전제될 수 있다. 상기 진단항목데이터(731)는 상기 서버부(70)에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되는 기준 데이터로써, 선박의 실시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교분석단계(S353)는, 알고리즘모듈(719)이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에 수신된 데이터와 진단항목데이터(731)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선박의 운행예정경로가 진단항목데이터(731)라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를 통해 현재 선박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양자를 비교해, 현재 선박의 위치데이터가 선박의 운행예정경로 상에 있으면 정상항해 중이라는 분석값이 도출될 수 있고, 현재 선박의 위치데이터가 선박의 운행예정경로 밖에 있으면 비정상항해 중이라는 분석값이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분석값저장단계(S355)는, 상기 비교분석단계(S353) 이후에 알고리즘모듈(719)이 분석된 결과값을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로 보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가 이를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저장된 분석값은 이후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될 수 있다. 만일 선박의 선박장비가 진단항목데이터(731)의 기준 데이터와 다르게 운용되고 있음이 확인된다면, 상기 비교분석단계(S353)를 통해 분석된 결과값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분석값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언제든 제공될 수 있다.
도 17은 복수의 선박에서 서버부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상기 서버부(7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어느 한 선박에 관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선박(V1, V2, V3 …Vn)에서 서버부(70)로 다양한 데이터들이 전송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이 서버부(70)로 수신이 되어 저장되면,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부(70)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서버부(7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열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선박별로 구분됨으로써, 동일한 선주가 복수의 선박을 가지고 있고, 해당 선주가 자신이 소유한 복수의 선박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때, 데이터가 중복, 오류, 누락 등이 되는 것 없이, 알아보기 쉽게 선박별로 정리가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모니터링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링단계(S36)는, 웹서버부(75)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해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선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 있더라도, 웹서버부(75)에 접속해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받음으로써, 선박의 상태, 선박의 위치, 선박의 선박장비의 정상작동 유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단계(S36)는, 데이터요청단계(S361), 판단단계(S363), 데이터추출단계(S365), 데이터표시단계(S367)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요청단계(S361)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부(70)에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 등을 통해 서버부(70)의 접속을 시도하게 되고, 권한이 있음을 인정받아 상기 서버부(70)에 접속이 허락된 클라이언트는 입력수단(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에 관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서 추출하라는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명령은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 상에서 특정 도형을 클릭하는 행위가 될 수도 있고, 선박명을 입력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S363)는, 판단모듈(751)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웹서버부(75)는 판단모듈(751)이 포함되어, 클라이언트로부터 어떠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해당 명령어를 해석하여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데이터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추출단계(S365)는, 데이터추출모듈(753)이 상기 판단모듈(751)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판단단계(S363)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데이터가 인식이 되면, 상기 웹서버부(75)의 데이터추출모듈(753)은 특정된 해당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서 검색하게 되고, 검색을 통해 발견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데이터표시단계(S367)는, 데이터표시모듈(755)이 상기 데이터추출모듈(753)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데이터추출단계(S365)를 통해 데이터가 추출이 되면, 상기 데이터표시모듈(755)은 설정된 형식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언제든 볼 수 있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원격지에 있어도 상기 웹서버부(75)를 통해 원해를 항해중인 선박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추출단계(S365)를 통해 추출된 데이터들은 상기 데이터표시단계(S367)에서 선박별로 구분되어 제공됨에 따라, 동일한 선주가 복수의 선박을 가지고 있더라도, 데이터의 혼재 없이, 각각의 선박별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단단계(S37)는, 상기 시뮬레이터(80)가 상기 선박장비(D)를 그대로 모사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박장비(D)로 송신하고 상기 선박장비(D)로부터 테스트결과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장비(D)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관적 관제가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모니터링방법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직관적 관제가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모니터링방법(S40)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송받은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웹페이지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웹서버부(75)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실시간으로 선박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직관적 관제가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모니터링방법(S40)은 데이터전송단계(S41), 신호변환단계(S42), 전자기파송신단계(S43), 데이터수신단계(S44), 데이터제공단계(S45)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41)는, 원격단말유닛부(10)가 선박장비가 설치된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프로토콜 형태로 통신망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호변환단계(S43)는, 변환부(30)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호변환단계(S43)를 통해 디지털신호가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거나(Modulation), 아날로그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Demodulation)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3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이를 특정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30)는 RS-485 통신방식의 MOD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송신단계(S45)는, 송수신부(50)가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사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송수신부(50)는,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변환부(30)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대기 중에 방사하여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안테나(Antenna)가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S47)는, 서버부(70)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상기 서버부(7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프로토콜 형식으로 전달이 되는바, 상기 서버부(7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달되는 프로토콜을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프로토콜은 상기 서버부(70)에서 데이터로 분리되고 다시 종류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데이터제공단계에 관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데이터제공단계에 관한 흐름도로, 이하에서는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여 상기 데이터제공단계(S49)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제공단계(S49)는, 웹서버부(75)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송받은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웹페이지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서버부(70)로부터 웹페이지의 형태로 선박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바, 클라이언트와 선박 간의 거리에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선박의 운항 정보 등이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제공단계(S49)는, 지도데이터표시단계(S491), 선박위치표시단계(S493), 데이터요청단계(S495), 요청데이터표시단계(S497)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데이터표시단계(S491)는, 지도데이터표시모듈(7551)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0)로부터 저장된 지도데이터(733)를 불러와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말한다. 선박의 위치는 위도와 경도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좌표 정보만으로는 클라이언트에게 직관적인 선박의 위치 정보를 인지할 수 없도록 하는바, 특정 좌표의 위치를 지도데이터(733) 상에서 구현해 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도데이터표시단계(S491)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데이터(733)를 불러와 표시한다.
상기 선박위치표시단계(S493)는, 상기 지도데이터표시단계(S491) 이후에, 선박위치표시모듈(7553)이 웹페이지에 표시된 지도데이터 상에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선박의 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지도데이터표시단계(S491)는 저장된 지도를 불러오고 상기 선박위치표시단계(S493)는 측위모듈(12)을 통해 측정된 선박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서버부(70)가 전송받으면 해당 정보를 상기 지도상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서버부(70)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선박의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며, 이러한 업데이트 된 정보를 바탕으로 웹페이지를 통해 보여지는 선박의 위치는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웹페이지에 나타난 지도 상의 선박은 점(Point)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고, 선박 모양을 한 그림의 형태로도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요청단계(S495)는, 클라이언트가 특정 선박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지도상에서 표현된 선박들 가운데 특정 선박에 관한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지도상에서 표현된 선박들로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선박의 위치 정도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지도상에 표현된 선박들 가운데서 특정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행위가 상기 데이터요청단계(S495)라고 볼 수 있다. 데이터의 요청 행위는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웹페이지 상에 보이는 특정 선박 상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다 놓는 행위를 특정 선박의 세부 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으로도 볼 수 있고, 특정 선박을 클릭하는 행위를 특정 선박의 세부 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으로도 볼 수 있는 등, 다양한 모든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요청데이터표시단계(S497)는, 요청데이터표시모듈(7555)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특정 선박의 데이터를 웹페이지에 표시된 지도데이터(733) 상의 해당 선박에 표시하는 단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지도상에 표시된 특정 선박 그림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다 놓는 행위를 하게 되면, 해당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요청한 것으로 인지가 되면서, 해당 선박에 관한 세부 정보가 웹페이지 상에 표시된다. 세부정보가 표현되는 방식에 관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팝업(Pop-Up) 형식이 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장비의 원격진단예측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선박장비의 원격진단예측방법(S50)은, 선박이 항해 중일 때 원격지에 위치한 관제센터 등에서도 선박장비의 상태를 진단해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고, 앞으로 예견되는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선박장비의 원격진단예측방법(S50)은, 데이터전송단계(S51), 신호변환단계(S53), 전자기파송신단계(S55), 진단예측단계(S57), 웹페이지제공단계(S59)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51)는, 원격단말유닛부(10)가 선박장비가 설치된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프로토콜 형태로 통신망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호변환단계(S53)는, 변환부(30)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호변환단계(S53)를 통해 디지털신호가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거나(Modulation), 아날로그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Demodulation)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3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이를 특정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30)는 RS-485 통신방식의 MOD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송신단계(S55)는, 송수신부(50)가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사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송수신부(50)는, 상기 변환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변환부(30)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대기 중에 방사하여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안테나(Antenna)가 될 수 있다.
도 23은 도 22의 진단예측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예측단계(S57)는, 서버부(70)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프로토콜을 수신하고 수신한 프로토콜을 데이터로 분리 및 분류하여 진단 및/또는 예측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진단예측단계(S57)는, 프로토콜수신단계(S571), 데이터분리단계(S573), 데이터분류단계(S575), 비교분석단계(S577), 분석값전송단계(S579)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토콜수신단계(S571)는, 데이터송수신모듈(711)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송된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실시간으로 선박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부(7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손상, 오류 등을 방지하고자 상기 데이터는 프로토콜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부(70)의 데이터송수신모듈(711)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전송된 프로토콜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분리단계(S573)는, 상기 프로토콜수신단계(S571) 이후에 데이터분리모듈(713)이 수신된 프로토콜을 데이터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를 말한다. 복수의 데이터는 하나의 프로토콜로 수신될 수 있는바, 상기 데이터분리단계(S573)는, 수신된 프로토콜을 분리해 해당 프로토콜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분리해 낸다.
상기 데이터분류단계(S575), 상기 데이터분리단계(S573) 이후에 데이터분류모듈(715)이 분리된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로토콜 내에는 복수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분류에 상관없이 혼재된 상태일 수 있는바, 상기 데이터분류단계(S575)는 분류된 복수의 데이터들을 데이터의 형식,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의 저장 여부, 데이터의 표시 여부 등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을 말한다.
도 24는 도 23의 비교분석단계에 관한 도면이고, 도 25는 도 24의 비교분석단계에 관한 흐름도로, 이하에서는 도 24 및 도 25를 참고하여 비교분석단계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비교분석단계(S577)는, 알고리즘모듈(719)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731)를 불러들여 통신망을 통해 서버부(70)에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를 말한다.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는 선박의 정상 운항과 관련된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현재 운항 중인 선박이 정상운항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 리스트인 진단항목데이터(731)가 저장될 수 있다. 항해중인 선박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를 통해 서버부(70)에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이러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진단항목데이터(731)와 비교함으로써, 문제발생사실을 발견해 내고, 발견된 문제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를 검색하여 해결방안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원해를 항해 중인 선박에 까지 관련 기술자가 가지 않더라도 원격 통신을 통해 선박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미 발생한 문제뿐만 아니라, 앞으로 예견되는 문제도 상기 절차에 의해 인지함으로써, 문제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비교분석단계(S577)는, 진단항목데이터추출단계(S5771), 데이터비교단계(S5773), 해결방안검색및제시단계(S5775), 문제해결확인단계(S5777)를 포함한다.
상기 진단항목데이터추출단계(S5771)는, 알고리즘모듈(719)의 추출모듈(7191)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731)를 추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추출된 진단항목데이터(731)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비교 기준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비교단계(S5773)는, 상기 진단항목데이터추출단계(S5771) 이후에, 알고리즘모듈(719)의 비교모듈(7193)이 추출된 진단항목데이터(731)와 서버부(70)에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문제발생을 진단 및 예측하는 단계를 말한다. 발생한 문제를 찾는 것이 진단이며, 발생할 문제를 찾는 것이 예측에 해당한다. 상기 데이터비교단계(S5773)를 통해 선박의 원격 진단 및 예측이 가능해 진다.
상기 해결방안검색및제시단계(S5775)는, 상기 데이터비교단계(S5773) 이후에, 알고리즘모듈(719)의 솔루션제공모듈(7195)이 진단 및 예측을 통해 발생 및 예견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솔루션제공모듈(7195)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데이터들로부터 해결방안을 서치해, 복수의 해결방안에 순위를 두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해결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복수의 해결방안에 순위를 매기는 방법에 관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문제해결확인단계(S5777)는, 상기 해결방안검색및제시단계(S5775) 이후에, 알고리즘모듈(719)의 검증모듈(7197)이 상기 솔루션제공모듈(7195)을 통해 제공된 해결방안으로 진단 및 예측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검증모듈(7197)을 통한 문제해결확인 방법으로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선박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선박에 탑승중인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를 통해 문제가 해결되었는지에 관한 질의를 보내고,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선박장비의 운용기록전송방법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2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선박장비의 운용기록전송방법(S60)은, 선박장비(D)의 운용기록을 전송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위성통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고 전송 비용이 저렴한 모바일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선박장비의 운용기록을 전송하고자 한다.
도 27은 원격단말유닛부의 설치위치에 관한 도면으로, 도 27을 참고하면, 선박에 위치하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선박의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엔진룸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선교에 위치할 수도 있는데, 선박의 엔진룸에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위치할 경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부(70)로 운용기록의 전송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선박장비의 운용기록전송방법(S60)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 저장된 대용량의 운용기록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임시로 저장해 두었다가 모바일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부(70)로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선박장비의 운용기록전송방법(S60)은, 운용데이터수집저장단계(S61), 운용데이터모바일수신단계(S63), 운용데이터모바일전송단계(S65), 운용기록제공단계(S67)를 포함한다.
상기 운용데이터수집저장단계(S61)는, 원격단말유닛부(10)가 선박장비(D)에 연결되어 운용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선박장비(D)의 운용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함으로써, 선박에서 멀리 떨어진 원격지로도 선박장비(D)의 상태를 알려주는 운용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러한 상기 운용데이터수집저장단계(S61)는, 운용데이터추출단계(S611), 운용데이터가공단계(S613), 운용데이터저장단계(S615)를 포함한다.
상기 운용데이터추출단계(S611)는, 연결모듈(11)이 선박장비(D)에 접속하여 선박장비(D)의 운용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즉, 상기 운용데이터추출단계(S611)는, 선박의 선박장비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수집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운용데이터가공단계(S613)는, 상기 운용데이터추출단계(S611) 이후에, 분류모듈(13)이 상기 연결모듈(11)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모듈(11)을 통해 추출된 상기 선박장비(D)의 운용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운용데이터추출단계(S611)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형식,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의 저장 여부, 데이터의 표시 여부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운용데이터저장단계(S615)는, 상기 운용데이터가공단계(S613) 이후에, 저장모듈(15)이 상기 분류모듈(13)과 연결되어 상기 분류모듈(13)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운용데이터모바일수신단계(S63)는, 모바일디바이스(60)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 의해 추출된 운용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가 선박의 하층부인 엔진룸 등에 위치할 경우, 선박 자체가 모바일통신이 가능한 영역에 도달했다 하더라도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는 서버부(70)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모바일디바이스(60)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 체계적으로 저장된 운용데이터를 유무선을 이용하여 모바일디바이스(60)로 옮기게 되면, 모바일디바이스(60)를 소지한 자가 선박의 하층부에서 벗어나 모바일통신이 가능한 지점에 위치하게 될 때, 모바일디바이스(60)에 옮겨졌던 운용데이터가 모바일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부(70)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도 26의 운용데이터모바일전송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2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운용데이터모바일전송단계(S65)는,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가 서버부(70)와 통신연결되면 모바일디바이스(60)에 수신된 운용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는, 모바일통신망을 통해 서버부에 운용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운용데이터모바일전송단계(S65)는, 통신연결단계(S651), 통신망확인단계(S652), 데이터전송단계(S653)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연결단계(S651)는 모바일디바이스(60)의 통신연결수단이 연결가능한 통신망을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를 통신연결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통신연결단계(S651)는 엄밀히 말하면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가 통신연결은 되나, 운용데이터의 전송은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상기 통신망확인단계(S652)는, 모바일디바이스(60)의 감지수단이 상기 통신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상기 서버부(70)가 통신연결되었을 때, 연결된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의 통신연결망 종류를 확인함으로써, 모바일통신망으로 양자가 연결된 경우에만 대용량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653)는, 모바일디바이스(60)의 대기수단이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상기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망으로 연결되었다고 확인한 경우 운용데이터 송신을 진행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만일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대기수단은 운용데이터 송신을 허락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가 위성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대기수단은 운용데이터 송신을 불허해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으로 연결될 때까지 데이터 전송을 대기시키게 되고, 상기 모바일디바이스(60)와 서버부(70)가 모바일통신연결이 되었을 때야 비로소 운용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9는 도 26의 운용기록제공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29를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운용기록제공단계(S67)는, 상기 운용데이터모바일전송단계(S65) 이후에, 서버부(70)가 운용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운용기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운용기록제공단계(S67)는, 운용데이터서버부수신단계(S671), 운용데이터서버부저장단계(S673), 운용기록생성단계(S675)를 포함한다.
상기 운용데이터서버부수신단계(S671)는,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가 모바일디바이스(60)로부터 전송된 운용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71)는 모바일디바이스(60)와 모바일통신망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운용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운용데이터서버부저장단계(S673)는, 상기 운용데이터서버부수신단계(S671) 이후에,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가 모바일디바이스(60)로부터 수신된 운용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대용량의 운용데이터가 전송됨으로써, 상기 서버부(70)를 통한 운용데이터의 수시 열람이 가능해 진다.
상기 운용기록생성단계(S675)는, 상기 운용데이터서버부저장단계(S673) 이후에, 웹서버부(75)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운용데이터를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서 운용데이터가 유무선방식으로 모바일디바이스(60)로 옮겨지게 되고, 다시 모바일디바이스(60)에서 모바일통신망에 의해 서버부(70)로 운용데이터가 전송되어, 웹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웹페이지의 형태로 운용기록을 볼 수 있다.
도 30은 클라이언트가 선박의 원격관제를 위해 선박장비의 원격관제시스템에 접속하는 화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운항 중인 선박에서 멀리 떨어진 관제센터 등에서는 관리 대상이 되는 선박을 모니터링하여 선박의 선박장비의 정상운용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웹브라우저를 통해 권한을 요구하는 특정 웹페이지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도 31은 웹페이지 상에서 선박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현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 웹페이지 접속을 인증받은 자는, 도 31에 도시된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이 되는 선박들은 지도데이터 상에서 현재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 화면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선박 위치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에서 상기 서버부(70)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위치데이터에 기반하여 변화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지도상에 표현된 선박들 가운데에서 특정 선박을 지정하여 해당 선박의 상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2는 웹페이지 상에서 지도 위에 표시된 선박들 가운데 특정 선박의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특정 선박을 클릭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서 해당 정보의 상세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도 33은 웹페이지 상에서 특정 선박의 상세정보가 표현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특정 선박에 관한 데이터 요청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위도 및 경도로 표현되는 위치데이터, 선박의 종류, 선박의 소유주, 선박장비의 구성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정보는 팝업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34는 선박장비의 원격진단을 통해 진단 또는 예측된 문제에 관한 경고 메세지 화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알고리즘모듈(719)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현재 선박에 발생한 문제가 있는지 진단하거나, 발생할 문제가 있는지 예측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진단 또는 예측된 문제가 있으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고 메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5는 발견된 문제에 관해 해결방안을 제시해 주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진단 또는 예측된 문제에 대해 상기 솔루션제공모듈(7195)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73)를 검색하여 해당 문제에 관한 해결방안을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련 기술자가 원해에 위치한 선박까지 갈 필요없이 제시된 해결방안에 따라 선박 내에서의 자체해결을 유도할 수 있고, 자체해결로도 불가능한 경우에만 관련 기술자가 파견되는 등의 후속조치를 진행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 및 비용의 낭비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선박장비의 원격관제시스템
10: 원격단말유닛부
11: 연결모듈 12: 측위모듈
13: 분류모듈 15: 저장모듈
17: 프로토콜생성모듈 19: 듀얼밴드모듈
191: 통신결정모듈 193: 통신연결모듈
30: 변환부
50: 송수신부
60: 모바일디바이스
70: 서버부
71: 애플리케이션서버부 711: 데이터송수신모듈
713: 데이터분리모듈 715: 데이터분류모듈
717: 데이터삽입모듈 719: 알고리즘모듈
73: 데이터베이스서버부 731: 진단항목데이터
733: 지도데이터 735: 위치데이터
75: 웹서버부 751: 판단모듈
753: 데이터추출모듈 755: 데이터표시모듈
757: 설정모듈
D: 선박장비

Claims (19)

  1. 선박장비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단말유닛부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와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사하여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서버부와,
    상기 선박장비를 그대로 모사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박장비로 송신하고 상기 선박장비로부터 테스트결과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장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해 제공하는 웹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부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부는, 상기 판단모듈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부는, 상기 데이터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데이터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표시모듈은, 추출된 데이터를 선박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애플리케이션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서버부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불러들여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알고리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추출된 진단항목데이터와 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문제발생을 진단 및 예측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와 연결되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11. 원격단말유닛부가 선박장비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프로토콜 형태로 통신망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와,
    변환부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와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신호변환단계와,
    송수신부가 상기 변환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사하여 전달하는 전자기파송신단계와,
    서버부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단계와,
    웹서버부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해 제공하는 모니터링단계와,
    시뮬레이터가 상기 선박장비를 그대로 모사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박장비로 송신하고 상기 선박장비로부터 테스트결과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장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부에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이터요청단계와, 판단모듈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데이터추출모듈이 상기 판단모듈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데이터표시모듈이 상기 데이터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데이터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표시단계는, 추출된 데이터를 선박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관제 방법은, 상기 데이터수신단계 이후에, 애플리케이션서버부가 상기 원격단말유닛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석단계는, 알고리즘모듈의 추출모듈이 데이터베이스서버부에 저장된 진단항목데이터를 불러들이는 진단항목데이터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석단계는, 알고리즘모듈의 비교모듈이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서버부에 수신된 데이터와 진단항목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비교분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석단계는, 상기 비교분석단계 이후에 알고리즘모듈이 분석된 결과값을 데이터베이스서버부로 보내 데이터베이스서버부가 이를 저장하는 분석값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방법.
KR1020180149653A 2018-11-28 2018-11-28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53A KR102136715B1 (ko) 2018-11-28 2018-11-28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53A KR102136715B1 (ko) 2018-11-28 2018-11-28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42A true KR20200064242A (ko) 2020-06-08
KR102136715B1 KR102136715B1 (ko) 2020-07-24

Family

ID=7108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53A KR102136715B1 (ko) 2018-11-28 2018-11-28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7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1916A (zh) * 2021-05-20 2021-07-3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面向船舶生产制造设备的数据采集分析方法
KR20230003962A (ko) * 2021-06-30 2023-01-06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안전 운항 지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선박 시뮬레이터 연계 시험 방법
KR102540514B1 (ko) * 2022-10-05 2023-06-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스마트선박 육상 해상 디지털트윈 통합 실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556B1 (ko) * 2021-10-19 2022-08-18 삼원에프에이(주)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18A (ko) * 2004-06-19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모듈
KR101621347B1 (ko) 2014-10-31 2016-05-17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시스템 데이터 수집방법과 선박 평형수 처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제공 장치
KR20180045925A (ko) * 2016-10-25 2018-05-08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18A (ko) * 2004-06-19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모듈
KR101621347B1 (ko) 2014-10-31 2016-05-17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시스템 데이터 수집방법과 선박 평형수 처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제공 장치
KR20180045925A (ko) * 2016-10-25 2018-05-08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1916A (zh) * 2021-05-20 2021-07-3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面向船舶生产制造设备的数据采集分析方法
KR20230003962A (ko) * 2021-06-30 2023-01-06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안전 운항 지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선박 시뮬레이터 연계 시험 방법
KR102540514B1 (ko) * 2022-10-05 2023-06-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스마트선박 육상 해상 디지털트윈 통합 실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715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715B1 (ko)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554059B (zh) 基于北斗导航技术的物流运输智能感知与位置服务系统
CN107589695B (zh) 一种列车组故障预测与健康管理系统
KR102150785B1 (ko) 선박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23294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vehicle data
KR101280066B1 (ko) 선박 운항 시스템, 선박 운항정보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236838B1 (ko)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MX2014003168A (es) Una plataforma informatica para el desarrollo y despliegue de aplicaciones y servicios de telemetria de vehiculos guiados por sensores.
JP2010530062A5 (ko)
KR102136734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시뮬레이터에 의한 진단이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EP3769550A1 (en) Situational awareness systems and methods
CN207946855U (zh) 一种管廊巡检系统
CN109274737A (zh) 一种油田勘探开发生产c/s技术架构系统
JP2019507893A (ja) 仮想事故基盤放射線非常の現場探査訓練方法
CN104657448A (zh) 一种基于移动gis的特种设备监管系统
CN104657449A (zh) 一种基于移动gis的特种设备监管方法
CN109978744A (zh) 出行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9587153A (zh) 基于数据流定制的通用生态安全监测数据采集方法与装置
KR102085213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원격진단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702670B (zh) 一种基于移动gis的特种设备监管装置
KR20210065764A (ko)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495310A (zh) 巡检检测方法和相关设备
CN116155717B (zh) 一种智能配网系统及方法
CN116128259B (zh) 一种配网管理系统及方法
CN116989802B (zh) 一种基于gis与bim模型的idc机房巡检计划配置策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