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556B1 -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556B1
KR102433556B1 KR1020210139526A KR20210139526A KR102433556B1 KR 102433556 B1 KR102433556 B1 KR 102433556B1 KR 1020210139526 A KR1020210139526 A KR 1020210139526A KR 20210139526 A KR20210139526 A KR 20210139526A KR 102433556 B1 KR102433556 B1 KR 10243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quipment
vessel
failure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곤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삼원에프에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에프에이(주) filed Critical 삼원에프에이(주)
Priority to KR102021013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3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diagnosing, testing or predicting the integrity or performance of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는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은 기존과 같이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라 특히,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최신의 진단모듈로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고장 진단 이력을 관리한다.
그리고, 특히나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진단포맷은 관리선박의 기상정보와 주변선박항로정보, 장비성능정보를 포함한 상이한 외부요소별로 각각의 정보를 구비한다. 그리고, 또한 상이한 대상/장비별로 대응하는 장비종류와 메이커, 모델, 연식을 포함한 진단모듈 목록별로 상이하게 내부요소(운항상태정보임)와 외부요소를 조합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해서 진단모듈 패치를 각기 만든다.
따라서, 이를 통해 선박 환경 특성상 모니터링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승선원을 배치하는 부분이 어려우나 본 시스템을 도입 시 원격으로 진단하므로 별도의 관리를 위한 승선원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또한 선박 장비의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고장 진단에 대한 범위가 변경이 필요할 경우 해상 운항 중에도 즉시 반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Server for diagnosing default of ship and system thereof}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선박 장비의 이상 징후 및 고장 상태를 측정 할 수 있는 진단모듈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는 선박 장비에 맞는 진단 모듈을 서비스 하여 고장을 사전에 예방보전 할 수 있는 서비스 구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임무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예컨대, 드릴링 선박과 LNG선박, 유조선 등에는, 선박의 위치를 원하는 지점에 지속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동적위치유지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 DPS), 선박에 사용하는 각종 전력소비장치들의 전력소비를 관장하는 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이 있다. 그리고, 또한 선박위치발신장치를 통해 선박의 위치나 속력 등을 전자해도 화면에 표출하여 선박의 운항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인 선박모니터링시스템과 연료가스공급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선박장비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선박장비는 선박의 운항에 있어 필수적인 시스템이기에, 이러한 시스템의 이상 발생은 선박 운항과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
그래서, 선박장비의 결함을 실제 선박에 탑재하기 전에 미리 발견하면 어느 정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기존 선박 장비의 고장 점검은 아래의 표와 같이 3가지 케이스로 확인할 수 있는데, 케이스1, 2의 경우 기관사의 스킬에 영향을 많이 받고, 조치에 필요한 시간을 상당히 소요하여 이미 장비에 문제가 발생 하였을 경우 후속 조치로 이루어지는 사례가 많다.
(사례별 문제점)
Figure 112021119703110-pat00001
또한, 케이스3의 경우 선박에서 고장 진단을 할 수 있으나, 고장에 대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인 하는 승선원이 필요하며, 장비 상태 및 교체 등으로 진단모듈을 패치 해야할 경우 항구에 접안 할 때 엔지니어가 승선을 통해 진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와 같은 정도이다.
(특허문헌 0001) KR102136734 Y1
(특허문헌 0002) KR102136715 Y1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시뮬레이터에 의한 진단이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박 장비 진단에 대한 방법 및 고장 발생 시 조치 방법에 대한 제안이 아직인 상태이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박 데이터를 육상으로 전송하여 장비 진단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례 케이스 2에 해당한다.
개시된 내용은, 기존 기술 등은 선박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안전진단을 하는 기능을 중점으로 하고 있는 반면에, 일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외부정보(기상, 주변선박정보, 장비상태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정보, 항로 충돌 위험성 등)를 진단분석하여 이를 선박과 육상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은,
기존과 같이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라 특히,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최신의 진단모듈로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고장 진단 이력을 관리하기도 한다.
그리고, 특히나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진단포맷은 관리선박의 기상정보와 주변선박항로정보, 장비성능정보를 포함한 상이한 외부요소별로 각각의 정보를 구비한다. 그래서, 또한 상이한 대상/장비별로 대응하는 장비종류와 메이커, 모델, 연식을 포함한 진단모듈 목록별로 상이하게 내부요소(운항상태정보임)와 외부요소를 조합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해서 진단모듈 패치를 각기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해양사고 발생 전/후에 해당하는 정보(운항상태정보 포함)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선박의 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역시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사고 이력을 관리하기도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선박 환경 특성상 모니터링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승선원을 배치하는 부분이 어려우나 본 시스템을 도입 시 원격으로 진단하므로 별도의 관리를 위한 승선원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또한 선박 장비의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고장 진단에 대한 범위가 변경이 필요할 경우 해상 운항 중에도 즉시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고장 및 이상 징후에 대하여 승선원이 즉각 확인이 가능하며, 승선원이 조치가 필요할 경우 별도의 리포트 작성 등의 작업 없이 원격단말유닛부의 기능을 통하여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은 선박의 장비 상태에 적합한(메이커, 모델, 연식 등) 진단 모듈을 선박으로 배포하고, 장비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는 이렇게 고장이 발생할 시에, 승선원 및 육상 담당자에게 모바일로 알림(Push Service)을 전달하여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는 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원격으로 수집하고 이것을 데이터분석을 통해 안전진단 결과를 선박과 육상담당자에게 제공하는 선박안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원격단말유닛부 측에서 항해 및 기관장비로부터 선박의 운항상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육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데이터를 포함한 안전진단분석을 통해 안전진단결과를 평가하고 선박과 육상담당자에게 알림으로서 유사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 전송은 각각의 송수신마다 적절한 암호 포맷으로부터 데이터를 암호하고 전달, 저장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상이한 관리선박별로 설치한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100-1 ~ 100-n)와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20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관리 정보처리장치(200)에서 외부 연계처와 연결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외부정보와 선박관리회사 정보처리장치(300)(또는, 스마트폰 등), 고장수리처 정보처리장치(31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시스템은 각각의 장치에서 상호 간의 연결을 자가망을 통해 수행해서 그룹별로 연동한다. 이때, 상기 자가망은 예를 들어, 와이 파이 등의 무선통신망 또는, 이더넷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렇게 여러 형태의 모니터링을 할 경우에,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200)에서 담당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게이트웨이 등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담당자가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도 모니터링을 손쉽고 간단하게 수행한다.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100-1 ~ 100-n)는 다수의 상이한 관리선박에 각기 설치한 것으로, 선박의 항해 및 기관장비에 관한 운항상태정보를 상기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200)로 전달하여 고장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100-1 ~ 100-n)는 항해/기관 정보와 화물선적 정보, 선박모션 정보 등을 전달한다.
상기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200)는 이러한 선박 장비에서 수집하는 운항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외부정보(기상, 주변선박정보, 장비상태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정보(장비성능정보), 항로 충돌 위험성 등)를 조합하여 진단분석한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경우에 상기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200)는 선박의 장비 상태에 적합한(메이커, 모델, 연식 등) 진단 모듈을 각기 구성해서 선박으로 배포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200)는 이렇게 해서 고장이 발생할 시에는, 승선원 및 육상 담당자에게 모바일로 알림(Push Service)을 전달하여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200)는 I/F부(201)와 데이터베이스(202), 메인 처리부(203), 키신호 입력부(204) 및 표시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I/F부(201)는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100)와 선박관리회사 정보처리장치 등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통신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I/O모듈과 통신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2)는 상기 관리선박의 대상/장비정보와 운항상태정보를 등록하고,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포맷을 등록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진단포맷은 일실시예에 따라 관리선박의 기상정보와 주변선박항로정보, 장비성능정보를 포함한 상이한 외부요소별로 각각의 정보를 구비한다. 그리고, 또한 상이한 대상/장비별로 대응하는 장비종류와 메이커, 모델, 연식을 포함한 진단모듈 목록별로 상이하게 내부요소(운항상태정보임)와 외부요소를 조합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해서 진단모듈 패치를 각기 만든다.
상기 메인 처리부(203)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상기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라 특히, 상기 메인 처리부(203)는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상기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100)에 제공하여 최신의 진단모듈로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100)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등록하여 고장 진단 이력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메인 처리부(203)는 이러한 서비스를 받는 선박을 관리 할 수 있는 웹 서버부와 선박에서 수집 하는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는 처리부와 육상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달 할 수 있는 앱 푸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키신호 입력부(204)는 상기 메인 처리부(203)의 제어에 의해서, 전술한 고장 진단에 관한 각종 설정정보 등을 입력받는다.
상기 표시부(205)는 상기 메인 처리부(203)의 제어에 의해서 이 고장 진단에 관한 각종 UI정보를 관리자 등에게 표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시스템은 먼저 기존과 같이,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와 연결하여 항해 및 기관장비에 관한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리선박의 대상/장비정보와 운항상태정보를 등록한다.
그래서, 이러한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관리선박의 고장 진단 정보를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라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관리선박의 기상정보와 주변선박항로정보, 장비성능정보를 포함한 상이한 외부요소별로 각각의 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또한, 상이한 대상/장비별로 대응하는 장비종류와 메이커, 모델, 연식을 포함한 진단모듈 목록별로 상이하게 내부요소(운항상태정보임)와 외부요소를 조합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해서 진단모듈 패치를 각기 만드는 진단포맷을 미리 등록한다.
b) 그리고 나서, 이러한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상기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한다.
c) 그래서, 이러한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최신의 진단모듈로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한 최신의 진단 모듈을 저장하면 해당 진단 모듈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 선박들의 통신부를 통하여 최신의 진단 모듈을 전송하고, 선박 통신부에서는 기존의 진단 모듈을 수신 한 최신의 진단 모듈로 변경하고 완료 한 상태 정보를 다시 전달한다.
d) 다음,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고장 진단 이력을 관리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이러한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하기도 한다.
즉, 선박의 진단 모듈이 장비의 고장을 판단하고, 승선원의 모바일 장치로 푸쉬 알림을 제공하고, 승선원의 고장 조치 요청 시 선박 통신부를 통하여 담당자의 모바일 장치로 푸쉬 알림을 제공하도록 한다.
a)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실행할 경우에,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에서 고장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한다.
b)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관리선박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등록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로 알림(PUSH SERVICE)을 제공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러한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하여 해양사고 전/후에 안전서비스 제공을 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구성은 먼저 해양사고 발생 전/후에 해당하는 정보(운항상태정보 포함)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선박의 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역시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사고 이력을 관리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기존과 같이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라 특히,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최신의 진단모듈로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고장 진단 이력을 관리한다.
그리고, 특히나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진단포맷은 관리선박의 기상정보와 주변선박항로정보, 장비성능정보를 포함한 상이한 외부요소별로 각각의 정보를 구비한다. 그리고, 또한 상이한 대상/장비별로 대응하는 장비종류와 메이커, 모델, 연식을 포함한 진단모듈 목록별로 상이하게 내부요소(운항상태정보임)와 외부요소를 조합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해서 진단모듈 패치를 각기 만든다.
따라서, 이를 통해 선박 환경 특성상 모니터링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승선원을 배치하는 부분이 어려우나 본 시스템을 도입 시 원격으로 진단하므로 별도의 관리를 위한 승선원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또한 선박 장비의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고장 진단에 대한 범위가 변경이 필요할 경우 해상 운항 중에도 즉시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고장 및 이상 징후에 대하여 승선원이 즉각 확인이 가능하며, 승선원이 조치가 필요할 경우 별도의 리포트 작성 등의 작업 없이 원격단말유닛부의 기능을 통하여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적으로, 이러한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는 이렇게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와 담당자 단말기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등을 제공할 경우에, 해당하는 장치에 데이터베이스를 일치하고 연결도 확보하므로, 신속하고 손쉽게 실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메인 처리부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데이터베이스를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고장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의 장치등록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한 테이블을 상호 간에 동일하게 구비하고, 테이블에 대한 정합 관계를 미리 설정 등록한다.
b) 상기 테이블 내에 콘텐츠를 변경할 경우, 상기 정합 관계에 따라서 상대 테이블에 동기화한다.
c) 그리고, 상기 테이블을 동기화할 경우에, 상이한 장비 종류별 데이터 유형마다 콘텐츠를 다원화하여 수행함으로써, 상호 간에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일치한다.
a) 한편 다음으로, 이러한 경우에,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결을 확보하기 위해서, 1차적으로 등록 로컬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을 연결한 경우에는 상이한 관리 작업위치별로 대응하는 설정 관리자 공용 계정으로서 연결한다.
B)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등록 무선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C)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 경우에는 개별 IP 주소로 연결한다. 반면에, 상기 무선 통신망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 이동 통신망의 단말기 식별 번호로 연결하므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한다.
한편으로, 이렇게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와 실시간으로 연결을 할 경우에, 연결의 보안을 위해서 IP테이블을 이용하여 등록 IP의 감시 및 비인가자의 접속에 따른 모니터링(또는, 로그)을 관리하도록 한다.
A) 구체적으로는, 이를 위해 먼저 상기 로컬 통신망의 관리자 공용 계정과 상기 무선 통신망의 개별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등록한 IP 테이블을 미리 구성한다.
B) 그리고, 이렇게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로 알람을 제공할 경우에, 해당하는 통신망의 헬로우(HELLO) 메시지를 송신해서 응답 결과 내의 다음 홉(next hop) 스위치 IP 주소를 추출한다.
C) 다음, 이러한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를 스위치 인접지 연결 관계 리스트에서 확인한다.
D)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지 확인하므로, 비인가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
E) 상기 확인 결과,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 경우에 조인/정리(JOIN/PRUNE)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해당하는 통신망과 연결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렇게 고장 진단을 할 경우에, 장비 부품 등에 대해서 사용 만료 여부를 진단하므로, 사용 부품을 원활하게 공급해서 설비를 안정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처리부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메인 처리부는 선박 설비별로 현재 상태정보를 전달받을 경우, 아래의 진단모델로부터 선박 설비와, 구동장치를 상이한 장치유형별로의 기준 구동량 속성정보와 현재 구동량 속성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준 구동량 속성정보와 현재 구동량 속성정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차이값에 해당하는 경우에 정상 진단한다.
반면에, 상기 비교 결과, 기준 구동량 속성정보와 현재 구동량 속성정보의 차이값이 상기 기준 차이값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만료로 진단하여 해당부품을 교환하여 유지보수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진단모델은 아래와 같다.
a) 먼저 선박 설비와 구동장치를 사용 만료 여부에 관하여 진단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구동장치와, 선박 설비 유형과 상태, 주변 상태별로 소요시간과 상태정보를 기초로 해서, 구동량을 운행시간대별로 분류하여 학습하는 모델을 정의한다.
b) 그리고, 다수의 상이한 구동장치와 선박 설비 유형과 상태, 주변상태별로 구동장치동작과, 주변상태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셋을 기초로 해서 구동량 데이터셋을 추출한다.
c) 다음, 이러한 구동량 데이터셋을 다수의 상이한 운행 경로와 운행시간대, 주변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속성화한다.
d) 그리고, 속성화 결과를 기초로 해서, 각각의 학습 모델별로 지속 속성(또는, 패턴)을 나타내는 기간 동안 동일한 구동량을 유지하는 구동량 속성을 결정한다.
e) 그래서, 이러한 결과를 정규화한다.
f)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해서 각각의 학습 모델별로 구동량속성정보를 설정하여, 다수의 상이한 구동장치와 선박 설비 유형과 상태, 주변상태별로 구동량을 예측하는 정보(기준 구동량속성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독립(구동량) 및 종속(기준 구동량속성정보) 변수로 설정한다.
g) 그래서, 이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학습 및 훈련 데이터로 생성한다.
I) 그리고, 이에 따라 이 결과로부터 부품 사용 만료 여부에 관한 모델을 구비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렇게 고장 진단할 경우에, 부품에 대해서 교체 진단을 수행하므로, 정비대상 품목을 적절하게 교체해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장비 등을 운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처리부는 아래의 동작도 수행한다.
먼저, 상기 메인 처리부는 선박설비별로 현재 상태정보를 전달받을 경우, 아래의 진단모델로부터 선박설비와 구동장치를 상이한 장치유형별로의 기준 구동량 특성정보와 현재 구동량 특성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기준 구동량 특성정보와 현재 구동량 특성정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차이값에 해당하는 경우에 정상으로 진단한다.
반면에, 상기 비교 결과, 기준 구동량 특성정보와 현재 구동량 특성정보의 차이값이 상기 기준 차이값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체로 진단하므로, 유지보수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진단모델은 아래와 같다.
a) 먼저, 상기한 진단모델은 선박설비와 구동장치(정비대상 부품)를 교체 진단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구동장치와 선박 설비 유형과 상태, 주변상태별로 소요시간과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해서, 구동량을 운행시간대별로 분류하여 학습하는 모델을 정의한다.
b) 그리고, 다수의 상이한 구동장치와 선박 설비 유형과 상태, 주변상태별로 구동장치동작과 주변 상태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셋을 기초로 해서 구동량 데이터셋을 추출한다.
c) 다음, 이러한 구동량 데이터셋을 다수의 상이한 운행경로와 운행 시간대, 주변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속성화한다.
d) 그리고, 이러한 속성화 결과를 기초로 해서, 각각의 학습 모델별로 지속 특성(또는, 식별)을 나타내는 기간 동안 동일한 구동량을 유지하는 구동량 특성을 결정 한다.
e) 또한, 이러한 결과를 정규화한다.
f) 그래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해서 각각의 학습 모델별로 구동량 특성정보를 설정하여, 다수의 상이한 구동장치와 선박 설비 유형과 상태, 주변 상태별로 구동량을 예측하는 정보(기준 구동량 특성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독립(구동량) 및 종속(기준 구동량 특성정보) 변수로 설정한다.
g)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학습 및 훈련 데이터로 생성한다.
I) 그래서, 이를 통해 이 결과로부터 정비대상 부품 교체모델을 구비한다.
100 :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
200 :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Claims (6)

  1.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와 연결하여 항해 및 기관장비에 관한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하는 I/F(Interface)부;
    상기 관리선박의 대상/장비정보와 운항상태정보를 등록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하는 메인 처리부; 및
    상기 메인 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관리선박의 고장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 처리부는,
    a)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관리선박의 기상정보와 주변선박항로정보, 장비성능정보를 포함한 상이한 외부요소별로 각각의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또한, 상이한 대상/장비별로 대응하는 장비종류와 메이커, 모델, 연식을 포함한 진단모듈 목록별로 상이하게 내부요소(운항상태정보임)와 외부요소를 조합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해서 진단모듈 패치를 각기 만드는 진단포맷을 미리 등록하며,
    상기 진단포맷은,
    상기 진단모듈 패치를 통해 장비의 고장이 판단된 경우, 추가적으로 승선원의 모바일 장치로 푸쉬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고, 승선원의 고장 조치 요청 시 선박 통신부를 통하여 담당자의 모바일 장치로 푸쉬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며,
    b) 상기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또는 해양사고 발생 전/후에 해당하는 정보(운항상태정보 포함)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해서,
    c)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최신의 진단모듈로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하며,
    d)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고장 진단 이력을 관리하며,
    e)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실행할 경우에,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에서 고장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여,
    f)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관리선박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등록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로 알림(PUSH SERVICE)을 제공하고, 승선원의 고장 조치 요청 시 선박 통신부를 통하여 담당자의 모바일 장치로 푸쉬 알림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2. 다수의 상이한 관리선박별로 설치하여 각기 항해 및 기관장비에 관한 운항상태정보를 감지, 제공하는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관리선박 정보처리장치 별로 각기 연결하여 항해 및 기관장비에 관한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하는 I/F(Interface)부와 상기 관리선박의 대상/장비정보와 운항상태정보를 등록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진단을 수행하는 메인 처리부 및, 상기 메인 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관리선박의 고장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 처리부는,
    a) 상기 관리선박의 기상정보와 주변선박항로정보, 장비성능정보를 포함한 상이한 외부요소별로 각각의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또한, 상이한 대상/장비별로 대응하는 장비종류와 메이커, 모델, 연식을 포함한 진단모듈 목록별로 상이하게 내부요소(운항상태정보임)와 외부요소를 조합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해서 진단모듈 패치를 각기 만드는 진단포맷을 미리 등록하며,
    상기 진단포맷은,
    상기 진단모듈 패치를 통해 장비의 고장이 판단된 경우, 추가적으로 승선원의 모바일 장치로 푸쉬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고, 승선원의 고장 조치 요청 시 선박 통신부를 통하여 담당자의 모바일 장치로 푸쉬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며,
    b) 상기 관리선박의 운항상태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또는 해양사고 발생 전/후에 해당하는 정보(운항상태정보 포함)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포맷으로부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구성해서,
    c)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최신의 진단모듈로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하며,
    d)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에 관한 결과를 제공받아서 고장 진단 이력을 등록, 관리하며,
    e)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현재 진단모듈 패치를 실행할 경우에,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에서 고장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여,
    f)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관리선박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등록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로 알림(PUSH SERVICE)을 제공하고, 승선원의 고장 조치 요청 시 선박 통신부를 통하여 담당자의 모바일 장치로 푸쉬 알림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처리부는,
    a) 상기 고장 진단을 수행할 경우에, 상기 관리선박의 정보처리장치의 대상/장비 등록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한 테이블을 상호 간에 동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에 대한 정합 관계를 미리 설정 등록해서,
    b) 상기 테이블 내에 콘텐츠를 변경할 경우, 상기 정합 관계에 따라서 상대 테이블에 동기화하고,
    c) 상기 테이블을 동기화할 경우에, 상이한 장비 종류별 데이터 유형마다 콘텐츠를 다원화하여 수행함으로써, 상호 간에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일치한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처리부는,
    a) 상기 데이터베이스 일치에 따라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경우에는, 1차적으로 등록 로컬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을 연결한 경우에는 상이한 관리 작업위치별로 대응하여 설정 관리자 공용 계정으로서 연결하고,
    b)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등록 무선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c)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 경우에는 개별 IP 주소로 연결하고, 상기 무선 통신망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 이동 통신망의 단말기 식별 번호로 연결하므로, 상기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한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 처리부는,
    a) 상기 로컬 통신망의 관리자 공용 계정과 상기 무선 통신망의 개별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등록한 IP 테이블을 미리 구성하고,
    b) 상기 담당자 모바일 단말기로 알람을 제공할 경우에, 해당하는 통신망의 헬로우(HELLO) 메시지를 송신해서 응답 결과 내의 다음 홉(next hop) 스위치 IP 주소를 추출하고,
    c) 상기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를 스위치 인접지 연결 관계 리스트에서 확인하며,
    d)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지 확인하므로, 비인가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e) 상기 확인 결과,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 경우에 조인/정리(JOIN/PRUNE)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해당하는 통신망과 연결한다.











KR1020210139526A 2021-10-19 2021-10-19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2433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26A KR102433556B1 (ko) 2021-10-19 2021-10-19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26A KR102433556B1 (ko) 2021-10-19 2021-10-19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556B1 true KR102433556B1 (ko) 2022-08-18

Family

ID=8311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526A KR102433556B1 (ko) 2021-10-19 2021-10-19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5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3517A (zh) * 2023-05-17 2023-08-25 青岛哈尔滨工程大学创新发展中心 一种水下载人潜器预防事故设备
CN116976865A (zh) * 2023-09-22 2023-10-31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大数据分析的船舶维修器件调配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598A (ko) * 2006-12-28 2008-07-03 (주)포스텍 선박보조기관용 디젤엔진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KR20110040185A (ko) * 2009-10-13 2011-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과 육상간의 적응적 정보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30012226A (ko) * 2011-07-14 2013-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6715B1 (ko) * 2018-11-28 2020-07-24 주식회사 파나시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598A (ko) * 2006-12-28 2008-07-03 (주)포스텍 선박보조기관용 디젤엔진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KR20110040185A (ko) * 2009-10-13 2011-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과 육상간의 적응적 정보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30012226A (ko) * 2011-07-14 2013-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6715B1 (ko) * 2018-11-28 2020-07-24 주식회사 파나시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3517A (zh) * 2023-05-17 2023-08-25 青岛哈尔滨工程大学创新发展中心 一种水下载人潜器预防事故设备
CN116643517B (zh) * 2023-05-17 2024-02-23 青岛哈尔滨工程大学创新发展中心 一种水下载人潜器预防事故设备
CN116976865A (zh) * 2023-09-22 2023-10-31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大数据分析的船舶维修器件调配管理系统
CN116976865B (zh) * 2023-09-22 2023-12-19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大数据分析的船舶维修器件调配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556B1 (ko) 선박 장비 고장 진단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0652876B1 (ko) 건설기계의 무선전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기계메인터넌스 시스템
US75810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failure reporting
CA2549833C (en) Systems and methods of recording events onboard a vehicle
US6662091B2 (en) Diagnostics/prognostics using wireless links
US8126679B2 (en) Automatic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tics system
RU2497296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между сетью компьютеров в летательном аппарате и сетью компьютеров на земле
KR101236838B1 (ko)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05242A1 (en) Predictive Automated Maintenance System (PAMS)
US20080247549A1 (en) Remote diagnostic system for robots
EP1840755A2 (en) Remote aircraft manufacturing, monitor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81709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bases
US20150078178A1 (en) Software platform for implementation and control of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US202000581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iagnostics and monitoring of heavy equipment
KR20130095813A (ko) 산업용 자동 진단 장치
JP2006349429A (ja) 故障診断装置
KR100322665B1 (ko)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KR20220020093A (ko) 원격 자가진단이 가능한 소방 특장차량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070057649A (ko) 위성 원격 측정 기술을 이용한 고장 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RU2703850C1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180057377A (ko) 사용자 단말, 이를 이용하는 pto 전력전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003029A (zh) 一种地铁列车维护支持系统及方法
KR102575237B1 (ko) 선박 알람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CN103326878A (zh) Hart通信对应设备
KR102504121B1 (ko) Qr코드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