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764A -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764A
KR20210065764A KR1020190154869A KR20190154869A KR20210065764A KR 20210065764 A KR20210065764 A KR 20210065764A KR 1020190154869 A KR1020190154869 A KR 1020190154869A KR 20190154869 A KR20190154869 A KR 20190154869A KR 20210065764 A KR20210065764 A KR 20210065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ace
management service
availabili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190154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764A/ko
Publication of KR2021006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3User authentication using a call-back technique via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6K2209/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장기렌트차량의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고, 유휴 이벤트에 대응하는 반납동의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의 식별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에 주차된 장기렌트차량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유휴 이벤트로부터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포함하도록 반납동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납동의 인터페이스에 반납동의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실시간 공유를 위한 가용차량으로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VEHICLE UTILIZATION RATE MANAGEMENT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SHARED ECONOMY PLATFORM}
본 발명은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기렌트차량의 유휴기간 설정으로 공유경제의 순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현대사회의 공유경제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운영되는데, 유휴 자원으로 대여 수익을 얻고자 하는 대여자들과 공유 자원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들이 플랫폼을 통해 만남으로써 공유의 순환이 일어나는 구조이다. 플랫폼을 이용한 비즈니스 구조는 개인과 개인을 연결시켜주는 P2P와 차량 공유 플랫폼 기업이 직접 이용자에게 공유 자원을 대여해주는 B2C로 구분할 수 있다. P2P 모델 중 차량 공유 서비스는, 고객이 필요한 시간만큼 플랫폼을 통해서 차량을 예약하고, 플랫폼은 대여자와 이용자 사이를 중개해준다. 이용자는 공유 대상인 차량이 주차된 곳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량 잠금을 해제하고 약속된 시간 동안 차량을 이용한다. 차량이 대부분의 시간을 주차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자원이 쓰이지 않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공유 대상의 가치를 최대화하게 되므로, 대여자의 유휴 상태의 차량을 자원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이 비즈니스 모델은 가장 이상적인 공유경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때, 렌터카 기반으로 차량을 공유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43773호(2015년08월11일 공고)에는, 렌터카 업체의 렌트 차량 중 유휴 렌터카를 카쉐어링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렌터카 업체에서 렌트한 차량을 계약자의 선택에 따라 유휴 기간을 설정하여 공유 차량으로 전환하고, 이와 같은 공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카쉐어링 업체는 렌탈 서비스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영세 렌터카 업체의 공유 차량을 등록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해당 렌터카 업체의 유휴중인 공유 차량을 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P2P 형태의 차량 공유 서비스는 현재 국내에서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81조에 따라 불법으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또, 상술한 B2C 플랫폼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차량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무인 비대면 대여 플랫폼에서는 차량 파손이나 고장이 발생한다고 할지라도 피공유자의 책임인지, 공유자의 책임인지를 정확히 판가름하기 어렵기 때문에 분쟁이 발생할 여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끊임없는 분쟁 및 소송으로 길고 긴 싸움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시간 단위로 유휴 기간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제자리로 돌아와야 공유자가 다시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공유자가 차량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애초에 유휴 기간을 설정하는 일이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규격의 차량관리 ERP API를 통합함으로써, 차량의 기본정보, 상태, 및 가격을 실시간으로 설정가능하고, 차량의 유지관리로 분쟁의 소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게이트 단말과 연동하여 배차, 반차, 및 입출차시 차량을 점검하여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고, 공유자의 이용시간 및 이용위치와, 피공유자의 이용시간 및 목적지를 고려하여 차량을 배정함으로써 차량이 제시간 또는 제기간 내에 공유자의 이용시간 및 위치에 맞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차량의 이벤트를 수신하여 차량 상태를 진단하고 원격에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고, 공유자와 피공유자 간의 신뢰도를 형성시켜 지속적인 공유경제 순환을 가능케 하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장기렌트차량의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고, 유휴 이벤트에 대응하는 반납동의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의 식별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에 주차된 장기렌트차량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유휴 이벤트로부터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포함하도록 반납동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납동의 인터페이스에 반납동의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실시간 공유를 위한 가용차량으로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차량의 유지관리로 분쟁의 소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게이트 단말과 연동하여 배차, 반차, 및 입출차시 차량을 점검하여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고, 공유자의 이용시간 및 이용위치와, 피공유자의 이용시간 및 목적지를 고려하여 차량을 배정함으로써 차량이 제시간 또는 제기간 내에 공유자의 이용시간 및 위치에 맞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차량의 이벤트를 수신하여 차량 상태를 진단하고 원격에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고, 공유자와 피공유자 간의 신뢰도를 형성시켜 지속적인 공유경제 순환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장기렌트차량의 유휴기간을 설정하고 반납동의를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설정된 유휴기간 및 반납동의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및 가용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및 가용시간 내에 차량을 사용할 피공유자의 요청을 수집하여 제어권을 설정해주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을 주차장 및 해당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에 매핑하여 저장 및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구축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플랫폼과 연동되도록 구축되는 서버일 수 있고, 운전면허증을 통하여 본인확인 및 운전면허증 진위확인을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500)의 실시간 위치 또는 위치 키워드를 이용하여 주차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주차장에 주차된 가용 차량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500)에서 가용 차량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시간을 입력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이용시간이 시작되면 피공유자 단말(500)로 차량의 개폐제어권을 부여하고, 피공유자 단말(500) 상에서 차량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이 출차할 때 게이트 단말(400)을 통하여 외관을 확인하는 서버일 수 있고,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를 확인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차량의 외부 및 내부를 분석하여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보수 단말(미도시)로 유지보수를 의뢰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은,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주차장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은 주차장에서 차량의 입출차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CCTV를 통하여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는,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을 모두 공유받고,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게이트 단말(400)은, CCTV의 영상 데이터를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공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을 공유받는 피공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피공유자의 운전면허증을 등록하고, 보험에 가입하며, 차량을 검색 및 배차를 받고 반차를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운전면허증을 스캔 또는 촬영하고,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보험 안내를 받고 자동화된 서명 프로세스를 진행하며, 실시간 위치 또는 검색어를 전송하여 주차장의 위치와 해당 주차장에 주차된 가용 차량의 리스트를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수신된 주차장 및 차량을 선택하고, 이용시간을 설정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이용시간이 시작되는 경우, 개폐제어권을 부여받아 선택된 차량을 오픈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이용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반납을 하는 경우, 반납 이벤트를 출력하여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이용시간을 연장하는 경우 연장된 시간에 대응하는 비용을 추가로 결제하거나 이미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자동결제시키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차량에 대한 평점이나 리뷰를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추출부(320), 전송부(330), 등록부(340), 매핑부(350), 외관관리부(360), 및 원격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로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은,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의 식별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에 주차된 장기렌트차량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500)은, 피공유자의 실시간 위치 또는 장소 키워드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에서, 차량의 종류 및 이용시간을 만족하는 차량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도 어느 주차장에 주차를 해두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추출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유휴 이벤트로부터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유휴기간은 시간, 일, 주, 달, 분기, 년 등의 다양한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장기렌트차량의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고, 유휴 이벤트에 대응하는 반납동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포함하도록 반납동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반납동의 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서명한 사인이나 영상통화 등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사용자를 인증할 때에는, 전송부(330)는, 비대면 실명확인 방식을 기본으로 가져가되, 기본확인과 추가확인으로 구성된 방법을 다중으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분증 확인은 고객이 신분증을 촬영 또는 스캔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출하면 전송부(330)는 신분증 발급기관에 진위여부를 확인한다. 두 번째는, 영상통화이다. 전송부(330)는, 영상통화를 통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육안 및 안면인식기술을 통하여 신분증 상의 사진과 고객의 얼굴을 대조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사용자의 계좌를 이용하여, 타 금융회사에서 실명확인을 거쳐 이미 개설된 계좌로 소액이체를 할 때 기 설정된 암호를 기재, 예를 들어, 1원을 이체하면서 "옥수수콘"과 같은 글자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옥수수콘"이 입력되는 경우, 인증을 완료하는 것이다. 추가 인증 방법으로, 인증기관 등 타 기관에서 신분확인 후 발급한 휴대폰 번호, 공인인증서, 아이핀 등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나열된 것들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방법 중 실시간 영상 통화가 요구될 때, 실시간으로 얼굴 특징을 검출하고 신분증의 얼굴과 대조해야 하는데, 얼굴 검출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영상통화로 실시간으로 인증되어야 하는 만큼 얼굴의 각 특징에 대한 적분 영상을 생성하여 중요도를 추출하는 비올라 존스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학습 과정은, 적분 영상 생성, 다수의 Haar 모양 특징의 생성, 학습 영상으로부터 각 특징의 중요도 측정, 최상위 특징을 이용하여 아다부스트로 학습 후 가장 중요한 특징만 골라내는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스트는, 영상으로부터 적분 영상을 생성하고, 이 영상을 학습 단계에서 미리 뽑아 놓은 특징들의 캐스케이드 구조에 입력으로 인가하고, 특징 값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류를 수행하며, 주어진 영상의 어떤 부분이 얼굴인지 검출해 내는 작업을 수행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얼굴을 인식할 때 특징 기반 방법은, 눈, 코, 입과 같은 얼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특징점을 찾아서 각 점들 사이의 위치나 모양 등을 측정함으로써 얼굴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이때, 특징 기반 방법 중 주성분 분석법은, 다차원 특징 벡터로 이루어진 얼굴 영상에 대하여 해상 영상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면서 차원을 축소시키는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이다. 얼굴 영상의 주성분을 구하여 특징벡터를 주성분 방향으로 사영(Projection) 시키면 차원을 감소할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 특징 기반 방법 중 선형 판별 분석법은, 클래스간 분산 행렬과 클래스 내 분산 행렬간의 비율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특징벡터의 차원을 줄이는 방법 즉, 클래스 분리를 최대화 하는 벡터의 방향을 찾아 그 방향으로 사용을 시켜 차원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이 경우 같은 클래스내의 데이터들은 서로 가깝게 모여 있고 동시에 다른 클래스의 평균 간의 거리는 최대화하는 방향을 찾게 된다. 세 번째로, 구조적 유사성 방법은, 두 이미지 사이의 유사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그 결과는 0과 1사이의 값으로 주어진다. 0의 값은 원 영상과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1의 값은 원 영상과 동일한 영상임을 의미한다.
네 번째로, 멀티구조적유사성방법(Multi-Structural SIMilarity)은, 세 번째의 방법을 이용하되, 얼굴만 비교하지 않고 눈, 코 그리고 입을 같이 비교함으로써 인식률을 올리고자 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로 받은 영상으로부터 비올라 존스 방법을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영역 내에서 다시 코, 양쪽 눈, 왼쪽 눈, 오른쪽 눈, 입을 찾는다. 코의 경우에는 검출된 얼굴 영역 내에서 가운데 원점을 기준으로 가로 세로로 반씩, 즉 얼굴면적의 1/4의 면적에서 비올라 존스 방법을 이용하여 코를 검출한다. 검출된 얼굴영역을 가로로 4등분 할 때에, 위에서 두 번째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하여 비올라 존스 방법을 이용하여 양쪽 눈을 검출한다. 그리고, 양쪽 눈을 검출한 영역을 좌우로 나눠서 각각의 영역 내에서 비올라 존스 방법을 이용하여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검출한다. 마지막으로, 입을 검출하기 위하여 검출된 얼굴영역을 가로로 4등분하여 맨 아래쪽 영역의 가운데 영역, 즉 얼굴전체영역의 1/8면적에서 비올라 존스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실시간으로 신분증의 사진과, 실시간 영상 통화의 얼굴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동일인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등록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반납동의 인터페이스에 반납동의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실시간 공유를 위한 가용차량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공유를 하면서 얻는 이익 대신에, 피공유자가 차량을 험하게 쓰거나 더럽혀서 자신이 치워야 하거나 수고로움을 감수하는 상황이 온다면, 공유로 얻는 이익보다 공유로 인한 정신적 및 물질적 손해가 더 심각해지기 때문에 공유를 애초부터 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을 통하여 공유자와 피공유자 간을 연결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로 각 노드 간에 발생한 트랜잭션이 이행될 수 있도록 신뢰기반 플랫폼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블록체인으로 서로 간의 신뢰가 형성된다면, 장기렌트차량 뿐만 아니라, 개인의 차량도 공유경제에 추가될 수 있다. 차량의 이용시간이 전체기간의 5%로 안된다는 연구, 즉 95%의 시간은 주차에 허비하고 있다는 연구를 보더라도, 차량의 이용률은 심각하게 저조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기반으로 제공하고, 공유차량 신청, 스마트 잠금과 해제, 사용자 위치 로그를 블록체인 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SAL(Secure Access Lock)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위한 도어 개폐 장치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되, 이때 블록체인 기반으로 도어 열림 및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내부에는 모션 센서를 더 장착하여 출입관리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등록부(340)는, 스마트 디바이스 리시버를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관리하고, 백엔드 로직(Back-End Logic)은, 스마트 디바이스 리시버, RESTful API, 신뢰성 평가 모듈, 빅데이터 분석 기반 이종 서비스 자동매칭, 1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사용자, 피고유자, 회원 및 예약 인증, 스마트 잠금 장치의 사용 내용을 기록하고, 블록체인 메인넷은, RDBM(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형 가공, 사용기록, 빠른 합의(Fast Consensus), 라이트 컨펌(Light Confirmation), P2P 블록 전파(Block Propagation), 및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SAL 모듈은, 기존 도어락이나 제품 잠금 장치의 교체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안정성과 효율성 재고를 위하여 물리적 잠금 보안 장치에 연결이 가능하다. SAL 모듈은 이종 자원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의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며, 사용자 스마트 기기와 SAL 모듈간 디바이스 근접 또는 원격 제어를 위한 고정 인터페이스 모듈일 수 있다. SAL 모듈은 스마트 도어락 및 제품 잠금장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유무선 통신(BLE, WiFi, NFC, LAN, PLC) 기능, 기계적 개폐기능, 수동 개폐기능이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Gyro, Vibrator, touch) 장착을 통해 사용자 편의 중심 동작 인터페이스와 도난 파손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과 피공유자 단말(500)에서 SAL 모듈을 설치하고, 스마트 데이터는 dApp으로 수신하고, dApp에서 인증정보, 회원등록정보, 위치정보를 SAL 모듈에 전달하면, dApp에서 사용자 단말(100)과 피공유자 단말(500)의 회원인증 외 스마트 데이터 I/O 리퀘스트, 회원등록정보 등 인증 리퀘스트, 관리자용 리퀘스트를 보내고 모니터링용 정보를 열람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유휴 기간을 설정하고 피공유자 단말(500)은 이용대금을 지불하면서 스마트 컨트랙트가 체결되며, 피공유자 단말(500)은, 차량 이용에 필요한 권한을 부여받아 획득하게 되며, 이용기간이 만료되면 권한이 회수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메인넷은, 블록체인에서 거래가 등록되기 위해서는 마이닝에 걸리는 시간이 존재하므로 빠른 계약 체결 및 거래 확정을 위해 구축된 플랫폼이고, 서비스와 하드웨어가 분리된 비종속 플랫폼으로 유연한 하드웨어 개발도 가능하다.
물론, 상술한 블록체인 메인넷을 이용하지 않고도 블록체인 자체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증명(Proof of Work), 지분증명(Proof of Stake), 위임지분증명(Delegate Proof of Stake), PoI(Proof of Importance),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Tendermint(PBFT+DPoS), Consensus-by-bet 등일 수 있으나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는, 한 방향(Directed)이면서 순환하지 않는(Acyclic) 위상정렬(Topological Order)을 기본으로 하며, 블록체인의 장점인 무결성과 불변성을 유지하면서 확장성을 높인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를 이용할 수도 있다.
매핑부(350)는, 실시간 공유를 위한 가용차량으로 등록된 장기렌트차량의 식별코드와, 장기렌트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장기렌트차량인 경우 대부분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하지 않아 고장이 난 곳도 존재할 수 있고, 외관에 손상이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에 장기렌트차량이 입고된 경우, 매핑부(350)는, 후술될 OBD 및 게이트 단말(400)을 통하여 내부 및 외부의 검사를 실시하고 유지보수 단말(미도시)로 작업을 할당함으로써 수리되지 않은 차량이 피공유자에게 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매핑부(350)는, 단순히 저장만 하는 것에서 끝나지 말아야 한다. 즉, 어느 한 곳에서 배차받고, 다른 한 곳에서 차량을 반차하는 경우, 각 주차장 내의 차량의 수에 불균형이 발생한다. 매핑부(350)에서 매핑을 해서 차량 데이터를 업데이트했는데 해당 주차장에 차량이 한 대도 없거나, 다른 주차장에 몰려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매핑부(350)는 차량의 재배치를 진행해야 하는데, 이때 주차장의 적정재고량을 충족하기 위하여는, 차량 재배치가 어느 시점에 어느 주차장에서 몇 대의 차량을 어느 주차장으로 옮겨야 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이 고려되어야 한다. 차량 재배치는, 정적 재배치와 동적 재배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정적 재배치는 하루에 한번 재배치하는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이용자의 수가 적은 밤 시간대에 진행할 수 있다. 동적 재배치는 하루에 다수회 재배치를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최적의 동적 재배치 운영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정적 재배치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때, 각 주차장에서 적정 재고 수준을 벗어나는 불균형 상태를 최소화하면서, 시간 제약 하에 배달과 수거를 수행하는 차량 경로 문제를 고려할 수 있다.
재배치 차량의 경로 문제는 외판원 문제(Travelling Salesman Problem)에 기반하는데, 각 고객 지점(Node)의 배달(Delivery) 혹은 수거(Pick-up), 수요 고객이 존재하는 TSPDP(Travelling Salesman Problem with Delivery and Pickup) 모델이다. 이에 따르면, 외판원은 각 고객 지점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창고(depot)에서 출발하여 각 노드를 한 번씩 방문하여 창고로 돌아오는 순회(tour) 중간에 배달 혹은 수거 동작을 수행한다는 이론이다. 이때, 배달과 수거가 혼합된 차량 경로 결정 문제(Vehicle Routing Problem with Simultaneous Pickup and Delivery)나, 시간 제약(Time Window)이 있는 배달과 수거가 혼합된 차량 경로를 메타 휴리스틱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메타 휴리스틱 방법론 중 타부 탐색(Tabu Search) 알고리즘과 모의 담금질(Simulated Annealing)의 기법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배달과 수거를 수행하는 차량의 총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차량의 최적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예를 들어, 큰 크기의 문제를 무게중심 개념을 이용하여 작은 클러스터로 나눈 후 최적 경로를 구하는 CRA, FCSO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주차장이 비어있거나 완전히 채워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VND(Variable Neighborhood Descent)가 내장된 VNS(Variable Search)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메타 휴리스틱은, 차량의 불균형이 발생한 주차장을 방문할 수 있는 후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차량 재배치 외에도, 고객이 스스로 재배치에 참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차량이 B 주차장으로 가야 하는 경우, B 주차장이 목적지인 고객에게 프라이빗 할인가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금전적 인센티브를 대가로 제공할 대,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 매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후회 최소화의 접근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가격 정책을 채택하는 인센티브 시스템인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차량의 경로 뿐 아니라 각 주차장의 적정 재고를 관리하는 방안으로 재배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UDF(User Dissatisfaction Function) 모델을 이용할 수도 있고, 특정 패턴을 따르는 이용자의 수요를 확률론적인(Stochastic)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각 주차장에서 재배치가 필요한 긴급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매겨 재배치하는 단기적 재배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요와 공급의 조절, 이에 더하여 플랫폼이 사용자와 피공유자의 니즈까지 부합하는 경우 공유경제의 활성화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의 입출차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이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촬영하는 CCTV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관관리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400)로부터 입출차 이벤트가 발생하고, CCTV를 통하여 기 저장된 차량의 번호플레이트가 인식되는 경우, CCTV의 영상을 인식된 차량의 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외관관리부(360)는, 딥러닝 영상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외관의 파손 종류 및 파손 정도를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관관리부(360)는 수집한 CCTV의 영상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할 때, 실제 파손된 이미지 데이터 셋(Data Set)을 이용하여 이후 유지관리 인력에게 유지관리 작업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CCTV의 영상을 모두 수집하는 경우 컴퓨팅 자원의 소모가 극심해지게 되므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CCTV의 영상을 수집하도록 한다. 이때, 클라우드 환경에서 신경망 학습의 데이터셋을 실제 현장의 이미지들을 기반으로 학습하고 업데이트함으로써 영상분석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경망 학습이 가능한 추상화된 가상화 머신(Virtual Machine)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사양이나 구축한 클라우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가상화 인스턴스, Docker 컨테이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포드 등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인큐베이팅 플랫폼은 특정 지능형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사용자에게 하나의 카메라에 하나의 인큐베이터를 배정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수천 대의 카메라가 관리되는 외관관리부(360)에서는 지능형 영상감시가 필요한 카메라마다 하나의 인큐베이터를 할당하여 관리하게 된다. 인큐베이팅 플랫폼의 목적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셋에서 온라인 심층 학습을 통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지능형 영상 시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B 주차장에 A 차량의 외관을 확인하고 싶다고 가정하면, 외관관리부(360)는 A 차량의 재식별 서비스를 시작하고, 카메라별로 인큐베이터를 할당받을 수 있다. 이때, 인큐베이팅 플랫폼은 현장의 실제 감시영상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온라인 심층 학습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데이터 셋 및 온라인 학습을 위한 GT 반자동 태깅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외관관리부(3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찌그러짐, 긁힘, 도색 벗겨짐, 깨짐 등을 확인함으로써, 부품을 교체해야 할 정도인지, 판금이나 도색 또는 덴트만 하면 될 정도인지 등을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심층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입력계층(Input Layer)과 출력계층(Output Layer) 사이에 복수개의 은닉계층(Hidden Layer)들로 이뤄진 앞먹임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을 이용할 수 있다. 심층 신경망은 일반적인 인공신경망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비선형 관계(Non-Linear Relationship)들을 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 식별 모델을 위한 심층 신경망 구조에서는 각 객체가 이미지 기본 요소들의 계층적 구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심층 신경망은 표준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으로 학습하는데, 가중치(Weight)들은 확률적 경사하강법(Stochastic Gradient Descent)으로 갱신될 수 있으며, 학습률(Learning Rate), 비용함수(Cost Function)의 파라미터가 이용될 수 있다. 비용함수의 선택은, 학습의 형태(지도학습, 기계학습, 강화학습)와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클래스 분류 문제(Multiclass Classification Problem)에 지도학습을 수행할 때 일반적으로 활성화 함수와 비용함수는 각각 소프트맥스(Softmax) 함수와 교차 엔트로피 함수(Cross Entropy Function)으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부(370)는, 장기렌트차량을 선택하고, 이용시간을 설정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공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용시간 내에 OBD(On-Board Diagnostics) 및 Restful API 통신을 이용하여 장기렌트차량의 현재위치, 주행거리, 및 연료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장기렌트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명령은 콜백(CallBack) 방식으로 요청시 파라미터를 보낸 콜백 URL을 통하여 명령이행의 유효성이 검증될 수 있다. 이때,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토콜 구조인데, HTTP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구성 요소를 엄격히 분리하여 구현의 단순화와 확장성을 높인 아키텍처다. REST는 웹에 개방된 자원들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웹 응용으로 정착되었으며, 이러한 REST 아키텍처 스타일에 따라 정의되고 이용되는 서비스나 응용 프로그램을 RESTful 웹 서비스라고 한다. RESTful 웹 서비스는 자원을 등록하고 저장해두는 중간 매개체 없이 자원 제공자가 직접 자원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ROA(Resource Oriented Architecture)로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와 대비될 수 있다. 또, REST의 기본요소는 리소스, 메소드, 메시지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RESTful API 설계시 리소스는 명사를 사용하여 직관적이고 단순하게 설계하며 자원의 집합이나 한 개의 자원을 나타낸다. 메소드는 HTTP에 여러 가지 메소드 중 CRUD에 해당하는 4가지 메소드만 사용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메시지는 XML, JSON, HTML, 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에는 성능과 안전·편의성 향상을 위해 ECU(Electric Control Unit),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ACU(Airbag Control Unit), ABS(Anti-lock Braking System) 등과 같은 제어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데, 각 제어 모듈은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의 데이터 값을 공유함으로써 전체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ECM)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이용한다. 이때, ECM은, 차량 운행중 배출가스 제어 부품이나 차량 전자 제어 시스템을 자가진단하게 되며, 고장으로 판정되면 고장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저장하고 고장 경고등(MIL)이 켜지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OBD-II(On-Board Diagnosis)시스템이라 한다. 이때, OBD-II는 OBD에서 배기가스규제가 추가된 시스템인데, 이를 본 발명에서 이용하게 되면, 진단 기능 및 차량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차량의 진단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에 문제가 생겼을 때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때, 진단 기능은, ELM 실행, 유틸리티 실행, 센서 출력, 데이터 파형, 데이터 출력, 고장진단 출력 등을 포함하고, 차량 접속 기능은, 차량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OBD는, OBD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OBD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AP를 경유하여 원격제어부(370)로 OBD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P는 차량의 OBD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받은 OBD 정보를 원격제어부(370)로 전송할 수 있다. OBD는 차량에서 시동을 거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면서 작동이 시작된다. 이때, OBD는 포팅된 코드에 의해 엔진 RPM과, 차량의 속도정보를 차량으로부터 획득하고, 이동거리는 S=VT라는 공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3가지의 차량 OBD 정보를 구분하기 위하여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기기 간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OBD의 작동을 확인하기 이전에, 시리얼 통신의 정상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도 있으며, OBD에서 진단하는 차량진단모드는 이하 표 1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ode Description
MODE 1 Show current data
MODE 2 Show freeze frame data
MODE 3 Show stored Diagnostic Trouble Codes
MODE 4 Clear Diagnostic Trouble Codes and stored values
MODE 5 Test result, oxygen sensor monitoring
MODE 6 Test results, other component/system monitoring
MODE 7 Show pending Diagnostic Trouble Codes
MODE 8 Control operation of on-board component/system
MODE 9 Request vehicle information
OBD의 송신단에서 OBD 정보를 전송하고, OBD의 수신단에서는 에코 코드를 포팅(Porting)하여 수신한 정보를 그대로 다시 보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원격제어부(370)는, OBD의 수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송신단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시리얼 통신의 동작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기 간 통신을 할 경우에, 송신단으로부터 취득된 OBD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수신단에서는 데이터를 구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원격제어부(370)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취득된 정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정보는 프레임의 OP코드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는 프레임 내에 채워져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수신측의 과부하를 막기 위하여, 원격제어부(370)는, 송신단에서 OBD 정보를 송신할 때 딜레이를 주어 정상적으로 수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 바이트씩 전송하더라도 수신측에서는 전체적으로 프레임 구조가 유지되고, 각각의 정보가 순서대로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또, AP 이전에 와이파이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경우, OBD와 와이파이 모듈 간 UDP 소켓 설정을 통하여 기 정의된 통신을 설정해야 한다. 이때, 와이파이 모듈은 스테이션으로 설정되고, 기 설정된 SSID 암호에 따라 일반 AP와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원격제어부(370)는, 소켓 설정이 끝나면, 시리얼 통신 설정을 통하여 OBD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설정이 끝나면, 와이파이 모듈은, OBD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정상유무를 확인한 후, 정상적인 데이터만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모듈은, 버퍼에 저장된 각각의 OBD 정보를 헤더를 붙여 프레임 구조로 AP로 전송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원격제어부(370)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OP코드 뒤에 실려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원격제어부(370)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원격제어부(370)는, 프레임 구조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정보가 어디에 저장되었는지를 확인 및 추출할 수 있고, 고장진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서,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구축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플랫폼과 연동되도록 구축된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SaaS(Software as a Service) 연동을 이용할 수 있는데, SaaS 연동은 클라우드 서비스 중개(Cloud Service Brokerage)와 유사한 개념으로 SaaS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CSB는 인프라 레이어에서 서로 다른 기술로 구축된 IaaS를 통합 관리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인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클라우드 선정, 서비스 배치, 라이프 사이클 관리, 모니터링, 클라우드 연결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aaS 연동은 서비스 레이어에서 서로 다른 SaaS 간 인증, 서비스 라이프 사이클 관리, 서비스 처리 로그 등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SaaS 연동기술은 Trigger-Action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다양한 SaaS 서비스의 트리거(Trigger)와 액션(Action)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SASP(SaaS Aggregation Service Platform)이 이용될 수 있는데, SASP는 SaaS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여러 외부 서비스 연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유휴기간을 입력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 이외에도, 장기렌트차량의 이동시간, 이동패턴, 주차시간, 주차위치, 주차패턴 등을 분석함으로써 유휴예상시간 및 기간 등을 예측하고, 이 시간에 차량공유를 권유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사람들은 앞날을 예측하지 못한다고 착각하고, 언제든지 무슨 일이 발생할지 모르니 차량은 자신이 보유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지만, 긴 기간 동안 패턴을 분석하는 경우 오차범위 내 안정적인 패턴을 유지하는 구간이 분명히 존재한다. 이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패턴을 분석하는 경우, 어느 기간 또는 시간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권유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예정 계획을 함께 분석하는 경우 정확도는 더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A 사용자가 해외 호텔 및 항공권의 Confirmation 메일을 받았다고 가정하면, A 사용자는 거주지에서 공항으로 간 후, 차량을 해당 기간 동안 거주지 또는 공항에 배치해둘 것이 분명하므로, 이 기간 동안 고객을 최대한 귀찮게 하지 않으면서 알아서 분석 및 권유하는 형식으로, 고객은 컨펌만 하면 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유휴설정을 하는 경우, (b) 반납동의를 확인하고 차량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차량 리스트를 업로드 및 게재하게 된다. 이때, (c) 피공유자 단말(500)에서 차량을 렌트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권을 부여하고 게이트 단말(400)로부터 CCTV를 공유받아 차량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 또, (d)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유휴기간 내 차량의 회전율과 수익율을 산출하여 통계처리할 수 있고, 수요와 공급 간의 공급관리체계 내에서 수요가 많지만 공급은 없는 지역의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유휴차량의 반납을 권유하는 등의 방식으로 수요를 맞출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3b 내지 도 3e와 같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유휴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S4100), 반납 동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S4110), 동의를 받는다(S4130). 그리고,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S4200), 게이트 단말(400)로 차량의 입출차를 감시하도록 하거나, 번호판이 인식되는 경우 CCTV를 공유받도록 요청한다(S4300).
한편,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500)로부터 차량이 선택되고 결제가 완료된 경우(S4400~S4430), 이용시간이 시작된 경우(S4500), 개폐제어권을 활성화(Active)시키며(S460), 피공유자 단말(500)에서 차량의 도어를 개방한 경우, 차량의 OBD로부터 데이터를 받기 시작하고(S4630), 게이트 단말(400)로부터 수집되는 CCTV를 확보하기 시작한다(S4610). 그리고,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용시간이 종료되는 경우(S4700) 피공유자 단말(500)의 위치를 통하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S4800), 차량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며(S4900), 수익을 정산하고(S4910)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한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의 식별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에 주차된 장기렌트차량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100).
그리고,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유휴 이벤트로부터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추출한다(S5200).
또,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포함하도록 반납동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S5300),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납동의 인터페이스에 반납동의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실시간 공유를 위한 가용차량으로 등록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사용자의 장기렌트차량의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고, 상기 유휴 이벤트에 대응하는 반납동의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의 식별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에 주차된 장기렌트차량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유휴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유휴 이벤트로부터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유휴기간 설정정보를 포함하도록 반납동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납동의 인터페이스에 반납동의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실시간 공유를 위한 가용차량으로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실시간 공유를 위한 가용차량으로 등록된 장기렌트차량의 식별코드와, 상기 장기렌트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매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의 입출차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이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촬영하는 CCTV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단말로부터 입출차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CCTV를 통하여 기 저장된 차량의 번호플레이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CCTV의 영상을 상기 인식된 차량의 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외관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장기렌트차량을 선택하고, 이용시간을 설정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공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용시간 내에 OBD(On-Board Diagnostics) 및 Restful API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장기렌트차량의 현재위치, 주행거리, 및 연료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장기렌트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명령을 전송하는 원격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명령은 콜백(CallBack) 방식으로 요청시 파라미터를 보낸 콜백 URL을 통하여 명령이행의 유효성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 구축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플랫폼과 연동되도록 구축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154869A 2019-11-27 2019-11-27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65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69A KR20210065764A (ko) 2019-11-27 2019-11-27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69A KR20210065764A (ko) 2019-11-27 2019-11-27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764A true KR20210065764A (ko) 2021-06-04

Family

ID=7639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69A KR20210065764A (ko) 2019-11-27 2019-11-27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57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0286A (zh) * 2022-01-14 2022-04-15 成都宜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出租时段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CN115223092A (zh) * 2022-07-15 2022-10-21 南京福田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大数据场景下的视频监控系统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0286A (zh) * 2022-01-14 2022-04-15 成都宜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出租时段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CN114360286B (zh) * 2022-01-14 2022-10-21 成都宜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出租时段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CN115223092A (zh) * 2022-07-15 2022-10-21 南京福田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大数据场景下的视频监控系统及方法
CN115223092B (zh) * 2022-07-15 2023-11-14 广东万龙科技有限公司 一种大数据场景下的视频监控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2708A1 (en) Securitized and encrypted data for vehicle service concierge (sc) devices and systems that provide and predict improved operations and outcomes
US10043151B1 (en) Locker-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WI647628B (zh) 利用基於位置的資訊來影響商業工作流程的方法和系統以及電腦程式產品
KR102186339B1 (ko)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렌터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868763A (zh) 优化和预测共享车辆环境中的资源可用性
CN105554059A (zh) 基于北斗导航技术的物流运输智能感知与位置服务系统
Cynthia et al. IOT based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EP4121884A1 (en) Available vehicle parking space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US20190266897A1 (en) Drone usage in connected user and connected fleet communication and interface systems
US20210014678A1 (en) Proximity-based shared transportation reservations
Farin et al. A framework for dynamic vehicle pooling and ride-sharing system
KR20130047915A (ko) 공유 차량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04240014A (zh) 一种门禁控制方法及门禁控制平台
US20220327652A1 (en) Multi-modal mobility management solutions framework
US20200019886A1 (en) Digital content communications system for account management and predictive analytics
KR20210065764A (ko)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A3194293A1 (en) Dynamic and predictive adjustment of payment attributes based on contextual data and metadata
Salah Design, simulation, and performance-evaluation-based validation of a novel RFID-based automatic parking system
Chandrahasan et al. Survey on different smart parking techniques
US201901978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han Real time predictive monitoring system for urban transport
US202201082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JP2023545323A (ja) コンテキストデータおよびメタデータに基づく支払い属性の動的で予測的な調整
KR20220126345A (ko) 신분증 및 안면 인식을 이용한 비대면 차량 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Dalkic et al. A self-policing smart parking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1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18

Effective date: 202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