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143A - 조리 기구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구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143A
KR20200064143A KR1020207013989A KR20207013989A KR20200064143A KR 20200064143 A KR20200064143 A KR 20200064143A KR 1020207013989 A KR1020207013989 A KR 1020207013989A KR 20207013989 A KR20207013989 A KR 20207013989A KR 20200064143 A KR20200064143 A KR 20200064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od material
food
ingredient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715B1 (ko
Inventor
이 저우
쥔펑 두
궈주 리
징원 리
푸유 리
쟈잉 장
펑 천
슝 랴오
하오 정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40145.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23120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43533.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37159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540233.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270643U/zh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6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caloric intake, e.g. diet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2043/0733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확정하고,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해당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조리 기구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출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사용량을 조정하도록 안내하고,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의 칼로리가 사용자의 예상에 부합될 수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합리한 수량의 에너지를 섭취하도록 도와줘 사용자의 음식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구 및 그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전기 기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및 해당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부단히 제고됨에 따라, 사람들은 점점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불합리한 음식 습관은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병을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이다. 불합리한 음식 습관은 주로 음식을 먹고 마시는 과정에서 칼로리의 섭취량을 제어하지 못하는 것으로 표현되고, 이로 인해 영양 과잉 및 영양 부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지금까지, 한가지 조리 기구로 식재료의 칼로리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식재료의 칼로리를 이해하도록 도와줘 사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사용량을 조정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조리 기구가 제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으로서, 식재료의 칼로리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사용량을 조정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조리 기구는 중량 측정 장치 및 식재료 및 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확정하고,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상기 식재료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열량 값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와 물이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단위 식재료 중량과 물 중량의 제1 비례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단위 식재료 중량과 물 중량의 제2 비례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제1 비례값과 상기 제2 비례값에 따라 상기 목표 물 추가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과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의 중량의 합 사이의 차이값이 기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기정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물 추가량이 적합함을 제시하는 단계와, 기정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을 경우, 물 추가량을 계속하여 조정하도록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목표 물 추가량 및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식재료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하는 단계와, 기정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식재료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식재료의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한 이후,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식재료의 제2 칼로리를 기록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지능형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제3 칼로리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조리 기구는 중량 측정 장치 및 식재료 및 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와 물이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식재료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하는 단계와, 기정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식재료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리 기구를 더 제공하며, 상기 조리 기구는, 식재료와 물을 담는 용기와, 식재료 및/또는 물이 담겨진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측정 장치와, 상기 식재료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선택 유닛 및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패널과,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칼로리를 확정하고, 상기 식재료의 칼로리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튼 선택 유닛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고, 상기 표시 유닛이 대응되는 목표 물 추가량을 나타내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 기구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실제 물 추가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표시 유닛이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 기구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제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제시 장치가 식재료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하도록 제어하고, 기정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제시 장치가 식재료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을 획득하고,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제3 칼로리를 확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 측정 장치는 상기 조리 기구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중량 센서와, 상기 중량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수집 유닛 및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 유닛은 상기 중량 센서와 상기 표시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 기구는 베이스 부재가 구비되는 조리 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센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조리 기구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중량 센서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리 기구 본체는 하우징 커버 부재 및 패널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패널 커버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수집 유닛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하우징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패널 커버 부재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출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해당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은 조리 기구 내에 담긴 식재료에 대해 칼로리 계산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식재료의 칼로리를 이해하도록 도와줘 사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사용량을 조정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은, 먼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와, 나중에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확정하고,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출한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이 식재료가 용기에 추가된 이후 식재료의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즉, 생 식재료를 통해 익은 식재료의 칼로리값을 예산할 수 있으므로, 해당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사용량을 조정하도록 안내하고,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의 칼로리가 사용자의 예상에 부합될 수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합리한 수량의 에너지를 섭취하도록 도와줘 사용자의 음식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사용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일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다른 일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개략적 구조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개략적 구조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일 선택 가능한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일 선택 가능한 구조의 저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일 선택 가능한 구조의 베이스 부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일 선택 가능한 구조의 측면도이다.
실시예를 결부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의 실현, 기능 특점 및 장점에 대해 진일보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는 소자를 표시한다. 아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아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출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및 해당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조리 기구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되, 조리 기구는 중량 측정 장치 및 식재료 및 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고, 조리 기구는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S1)에서,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한다.
조리 기구는 용기의 초기 중량을 공장에서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전기 밥솥을 예로 들면, 용기의 초기 중량은 빈 내솥의 중량으로 간주될 수 있다. 사용자가 내솥으로 식재료(예컨대, 쌀)을 담을 경우, 쌀의 중량을 계량하는 기능을 작동시켜,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기정의 시간 간격(예컨대, 10 ms의 시간 간격)으로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측정하며, 즉, 내솥의 초기 중량과 담긴 쌀의 총 중량을 측정하며, 기정의 시간 간격은 상이한 요구에 따라 적응되게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S2)에서,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용기 내에 담긴 식재료의 중량은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과 용기의 초기 중량 사이의 차이값이고,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이 확정된 이후,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식재료를 추가하는 과정에 식재료의 중량을 조회하기에 편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S3)에서,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확정하고,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상기 식재료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쌀을 예로 들어 상술한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사용자가 용기 내에 생 쌀을 추가한 이후, 쌀의 종류(예컨대, 흑미)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단위 중량의 흑미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을 획득하고, 이로써 흑미의 중량 및 단위 중량의 흑미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에 따라 흑미의 제1 칼로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칼로리는 익지 않은 흑미의 중향에 따라 계산된 것이나, 생 흑미와 익은 흑미의 칼로리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니므로,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칼로리는 익은 밥에 따라 계산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이한 조리 기능(예컨대, 밥 취사 기능)에서, 추가된 흑미의 수량 및 익은 밥의 수량은 대응되므로, 익은 밥의 칼로리값을 여러번 측정한 이후, 생 쌀과 익은 쌀밥의 대응되는 비율을 통해 익지 않은 흑미의 칼로리를 확정하고, 익은 쌀밥을 통해 계산된 생 쌀의 칼로리값은 생 쌀의 칼로리값보다 높은 정확성을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출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은 식재료를 용기에 담은 뒤 즉시 식재료의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즉, 생 식재료를 통해 익은 식재료의 칼로리값을 예산할 수 있으므로, 해당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사용량을 조정하도록 안내하고,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의 칼로리가 사용자의 예상에 부합될 수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합리한 수량의 에너지를 섭취하도록 도와줘 사용자의 음식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물 추가량이 보다 정확해지도록,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S4)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한다.
조리 기능은 밥 취사, 죽 취사, 죽밥 취사 등을 포함하며, 조리 기능이 상이함에 따라, 물의 추가 비율도 상이하게 되므로, 물 추가량을 제어하는 제1 단계는 즉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하는 것이다.
단계(S5)에서,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단위 식재료 중량과 물 중량의 제1 비례값을 획득하고, 상이한 조리 기능의 물 추가 비율은 상이하며, 간단히 말해서, 밥 취사의 제1 비례값은 죽 취사의 제1 비례값보다 크며, 즉, 동일한 중향의 쌀에 대해, 밥 취사에 사용되는 물은 죽 취사에 사용되는 물보다 적고, 이어서,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단위 식재료 중량과 물 중량의 제2 비례값을 획득하고, 상이한 식재료의 조리 성질은 상이하며, 간단히 말해서, 찹쌀은 쉽게 익지 않고 대량의 물을 소모하며, 백미는 쉽게 익고 소량의 물을 소모하며, 즉, 동일한 중향의 쌀에 대해, 백미에 사용되는 물은 찹쌀에 사용되는 물보다 적고, 백미의 제2 비례값은 찹쌀의 제2 비례값보다 크며, 마지막으로,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제1 비례값과 상기 제2 비례값에 따라 상기 목표 물 추가량을 계산하고, 백미 취사를 예로 들면, 백미의 중량은 이미 알려지고, 밥 취사 기능에 따라 제1 비례값을 확정하ㄹ 수 있으며, 백미의 종류에 따라 제2 비례값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최종적으로 백미 취사에 수요되는 물의 량을 확정할 수 있다.
단계(S6)에서,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와 물이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고,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과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의 중량의 합 사이의 차이값이 기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즉, 실제 물 추가량과 목표 물 추가량이 상대적으로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다시 말해서, 실제 물 추가량과 목표 물 추가량 사이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임의의 기정의 역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정의 역치보다 작을 경우, 물 추가량이 적합함을 제시하고, 기정의 역치보다 작지 않을 경우, 물 추가량을 계속하여 조정하도록 제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제 물 추가량이 목표 물 추가량과 동일한지 여부를 간단하게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물 추가량과 목표 물 추가량이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실제 물 추가량과 목표 물 추가량이 근접하기만 하면, 실제 물 추가량이 목표 물 추가량보다 작거나 목표 물 추가량보다 클 경우, 모두 물 추가량이 적합함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이로써, 사용자가 물 추가량에 대해 제어를 진행하기에 편리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도3을 참조하면, 본 특허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동등한 중량의 식재료가 상이한 조리 기능을 경과한 후 상이한 칼로리를 구비하는 것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는 조리된 식재료에 따라 식재료의 칼로리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동등한 중량의 쌀밥이 취사된 후의 중량은 동등한 중량의 쌀죽이 취사된 후의 칼로리는 상이하며, 식재료의 칼로리를 계산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7)에서,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상기 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을 획득한다.
이어서,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목표 물 추가량 및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재료의 칼로리값을 계산함에 있어서 조리 기능을 감안하므로, 식재료와 물의 총중량 및 익은 식재료 단위 중량의 칼로리값에 따라 식재료의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해당 칼로리값은 익은 식재료에 따라 계산된 것이므로, 해당 칼로리값은 더욱 높은 정확성을 구비한다.
나아가, 상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중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8)에서,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식재료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하고, 기정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식재료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한다.
사용자가 식재료가 익기 전에 식재료의 칼로리를 이해하고, 자신의 실제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중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식재료의 칼로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본 특허는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의 칼로리가 사용자의 예상에 부합될 수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 건강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자신의 음식 습관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하여, 식재료의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한 이후, 상기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9)에서, 상기 식재료의 제2 칼로리를 기록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지능형 단말기에 송신하며, 이로써, 지능형 단말기는 사용자가 매번의 식사에서 섭취하는 칼로리값을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음식 습관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
나아가, 본 특허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식재료와 물의 조리 과정에서, 물의 중량이 어느정도 감소되는 것을 감안하여, 식재료 칼로리로 계산한 정확성이 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10)에서,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을 획득하고,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제3 칼로리를 확정한다.
제3 칼로리는 익은 식재료의 중량에 따라 계산된 것이며, 밥 취사를 예로 들면, 익은 쌀밥 단위 중량의 칼로리값은 실험을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단위 중량의 쌀밥의 칼로리값 및 담아낸 쌀밥의 중량에 따라 담아낸 쌀밥의 칼로리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쌀밥을 담아내는 과정에 쌀밥의 칼로리를 정확하게 알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당한 칼로리를 섭취하고 건강한 음식 습관을 유지하도록 돕게 된다.
여기서, 본 특허의 제1 실시예는 생 식재료의 중량을 통해 조리된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예산하고, 조작에 편리하며, 생 식재료의 중량을 조정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으나, 조리 방식을 감안하지 않으므로 인해, 식재료의 추산에는 일정한 오차가 존재하게 되며, 본 특허의 제2 실시예는 조리 방식을 감안하고, 생 식재료의 중량, 물의 중량 및 조리된 식재료 단위 중량의 칼로리에 따라 조리된 식재료의 제2 칼로리를 추산하여 조작에 편리하며, 생 식재료의 중량을 제때에 조정할 수 있으며, 칼로리의 추산이 보다 정확하고, 본 특허의 제3 실시예는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을 통해 조리된 식재료의 칼로리를 계산하며, 칼로리의 계산은 아주 정확하게 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3개의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상이한 기술적 사상이며, 서로 자유로이 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가 조합된 이후, 식재료가 생것인 상태에서 식재료의 중량을 제때에 조정하여 익은 식재료의 칼로리가 사용자의 수요를 마침 만족할 수 있으며,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 사용자가 담아낸 식재료의 중량에 따라 담아낸 식재료의 칼로리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사용자가 합리한 음식을 식사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구체적으로,
내솥이 빈 상태에서의 초기 중량을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식재료를 추가하거나 담아내는 단계와,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고,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와,
사용자가 조리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와 물이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되, 설정된 물 추가량에 도달할 경우 물 추가 단계를 종료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설정된 물 추가량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계속하여 물을 추가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의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의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칼로리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원리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여기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을 진행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가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될 경우, 식재료의 계량을 완료하고 현재의 중량의 식재료에 따라 조리를 진행하고, 나중에 조리된 식재료의 칼로리는 즉 사용자의 요구에 만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식재료의 중량이 사용자의 요구에 만족될 수 있을 때까지 내솥에 식재료를 추가하거나 내솥으로부터 식재료를 담아낸다.
여기서,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식재료의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하고,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작거나 동일할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고, 사용자에게 식재료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하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특허의 설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수요는 식재료의 칼로리값이 기정의 역치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무게를 증가시키도록 도우며, 이로써,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크거나 동일할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며, 사용자에게 식재료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하고,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식재료의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한다. 다시 말해서, 기정의 역치의 수치와 판단 표준은 상이한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적당히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의 실시예는 조리 기구를 제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조리 기구는 용기(10), 중량 측정 장치(20), 신호 처리 장치(30) 및 제어 패널(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10)는 식재료 및/또는 물을 담도록 구성되고, 중량 측정 장치(20)는 식재료 및/또는 물이 담겨진 용기(10)의 현재 실제 중량을 측정하고, 외부 중력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패널(40)은 선택 유닛과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선택 유닛은 조리 기능 및 식재료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표시 유닛은 식재료의 중량, 물 추가량, 칼로리값 등의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신호 처리 장치(30)는 식재료가 담겨진 용기(10)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10)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10)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칼로리를 획득하고, 상기 표시 유닛을 통해 상기 식재료의 칼로리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리 기구는 예컨대 전기 밥솥 또는 전기 압력솥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밥솥을 예로 들면,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는 즉 쌀과 물을 담기 위한 내솥이고, 전기 밥솥은 하우징 커버, 내솥 및 중량 측정 장치(20)를 포함하고, 내솥은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고, 중량 측정 장치(20)는 하우징 커버 저부에 설치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 밥솥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먼저, 중량 측정 장치(20)는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10)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고, 이어서, 신호 처리 장치(30)는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10)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10)의 초기 중량을 통해 상기 용기(10)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며, 나중에, 신호 처리 장치(30)는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확정하고,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나타낸다.
일 바람직한 방식에 있어서,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특허에서 제출하는 전기 밥솥은 제1 제어 패널(1)과 제2 제어 패널(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패널(1)은 솥뚜껑 상에 설치되고, 제2 제어 패널(2)은 솥 본체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제어 패널(2)은 상기 메인 제어 패널(30)과 상기 제어 패널(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패널(40) 상에는 중량 측정 버튼(41), 칼로리 계산 버튼(42) 및 표시 영역(43)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제어 패널(1) 상에는 전통적인 조리 기능 버튼 및 기능 표시 영역이 구비된다.
본 특허는 제1 제어 패널(1)을 기초로 제2 제어 패널(2)을 추가로 설치하되, 제1 제어 패널(1)은 전기 밥솥의 전통적인 조리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제어 패널(2)은 전기 밥솥의 중량 측정 기능 및 칼로리 계산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므로, 2개의 제어 패널은 각각 상이한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에 아주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제어 패널(2)은 솥 본체의 하우징 커버의 상단부에 설치되므로, 솥뚜껑을 열어 식재료 또는 물을 추가할 경우, 제2 제어 패널(2)은 솥뚜껑과 함께 뒤로 뒤집어져, 조리 기구가 뚜껑이 열린 상태에 처할 경우, 사용자는 제2 제어 패널(2)을 조작하기에 편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여전히 제2 제어 패널(2)을 통해 중량 측정 장치를 제어하여 용기(10) 내부의 식재료의 중량 정보를 검출하고, 식재료의 중량 정보를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전기 밥솥의 중량 측정 기능을 사용하기에 편리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솥뚜껑을 열어 식재료 또는 물을 추가할 경우, 칼로리 계산 기능은 제2 제어 패널(2)을 통해 제어를 진행하기에 편리할 수도 있다.
나아가, 식재료의 중량에 따라 상응한 물 추가량을 계산하여 사용자가 물 추가를 진행하기에 편리할 수 있도록, 본 특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 선택 유닛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30)는 상기 용기(10)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고, 상기 표시 유닛을 통해 상기 목표 물 추가량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표시 유닛이 목표 물 추가량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에게 제시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이한 조리 기능에서 모두 정확한 물 추가량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유닛은 LED 표시 스크린 등일 수 있다.
나아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물 추가량이 보다 정확해지도록, 상기 조리 기구는 제1 제시 장치(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 장치(30)는 상기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10)의 현재 실제 중량과 상기 용기(10)의 초기 중량,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의 중량의 합 사이의 차이값이 기정의 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제시 장치(50)가 물 추가량이 적합함을 제시하도록 제어하고, 기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제시 장치(50)가 물 추가량을 계속하여 조정하도록 제시하도록 더 구성된다.
나아가, 식재료 칼로리를 계산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특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30)는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표시 유닛이 상기 칼로리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식재료의 종류를 감안할 뿐만 아니라, 조리 기능이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칼로리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므로, 식재료 칼로리의 계산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한 원리는 조리 기구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나아가, 식재료 칼로리를 계산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신호 처리 장치(30)는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을 획득하고,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칼로리를 확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하는 것은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이므로, 식재료 중량을 이용하여 칼로리를 계산할 경우에 보다 높은 정확성을 구비한다. 상세한 원리는 조리 기구 제어 방법의 제3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나아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자가 자신의 수요에 따라 식재료의 중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 기구는 제2 제시 장치(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30)는 상기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상기 신호 처리 장치(30)로 상기 제2 제시 장치(60)가 경보 제시를 발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작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신호 처리 장치(30)로 상기 식재료의 칼로리를 기록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칼로리는 3가지 경우를 포함하고, 첫번째 경우는 생 식재료의 중량 및 생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계산한 제1 칼로리이고, 두번째 경우는 생 식재료의 중량, 생 식재료의 종류 및 조리 기능에 따라 조리된 식재료의 종류(예컨대, 쌀밥인지 죽밥인지)를 예측하여 조리된 식재료 단위 중량의 칼로리값과 생 식재료의 중량 및 추가된 물의 중량을 통해 추산된 제2 칼로리이며, 세번째 경우는 담아낸 익은 식재료의 중량 및 익은 식재료 단위 중량에 구비되는 칼로리에 따라 직접적으로 계산된 식재료의 제3 칼로리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시 장치와 상기 제1 제시 장치는 버저 또는 조명 제시 장치 등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자신의 음식 습관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하여, 상기 조리 기구는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30)에 기록된 상기 식재료의 칼로리를 지능형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있어서, 용어 "구비", "포함" 또는 그의 임의의 기타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고자 하며, 이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체 또는 시스템은 이러한 요소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기타의 요소를 포함하기도 하며,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체 또는 시스템 고유의 요소를 포함하기도 함을 설명하고자 한다. 추가 한정이 없을 경우, 어구 "하나의 ...... 를 포함"으로 한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체 또는 시스템에 별도로 존재하는 기타의 동일한 요소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번호는 단지 설명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예의 우열을 대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상술한 실시예의 방법은 소프트웨어 및 필요한 범용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나, 많은 경우에 앞자는 보다 바람직한 실시 방식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 기술에 대해 공헌을 기여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여러개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단말기 장치(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현재에 본 특허의 조리 기구의 중량 특정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도9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측정 장치(20)는 조리 기구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중량 센서(130a)와, 중량 센서(13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제어 모듈은 수집 유닛(140a)과 표시 유닛(150a)을 포함하며, 수집 유닛(140a)은 중량 센서(130a)와 표시 유닛(15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중량 센서(130a)로 감지하는 것은 조리 기구의 내부 라이너의 중량인 것이 아니라 조리 기구의 중량이므로, 중량 센서(130a)는 조리 기구의 내부에 설치되지 않아 제품의 제조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량 센서(130a)로 감지한 중량은 조리 기구의 중량 및 조리 기구의 내부 라이너에 추가한 식품 재료의 중량을 포함한다.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의 조리 기구는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찜통 등의 주방 용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선택 가능한 구현에 있어서, 중량 센서(130a)는 제1 세트의 도선(131a)을 통해 수집 유닛(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집 유닛(140a)과 표시 유닛(150a)은 분리될 수 없는 일체형 설치일 수 있으며, 분립형 설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 유닛(140a)과 표시 유닛(150a)은 분립형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어 모듈을 수집 유닛(140a)과 표시 유닛(150a)의 이러한 분립형 구조로 설치하는 것은 중량 센서(130a), 수집 유닛(140a) 및 표시 유닛(150a) 삼자가 최종 조립 전의 모듈화 장착을 구현하기에 유리하여, 최종 조립 전 및 최종 조립 후의 품질 검사에 편리하여 제품의 제조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선택 가능한 구현에 있어서, 수집 유닛(140a)은 제2 세트의 도선(141a)을 통해 표시 유닛(150a)과 연결된다. 중량 센서(130a)는 하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즉, 하나보다 많음)로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 부재(120a) 상에 여러개의 중량 센서(130a)이 설치될 경우, 각 중량 센서(130a)은 제1 세트의 도선(131a)을 통해 수집 유닛(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집 유닛(140a)은 제2 세트의 도선(141a)을 통해 표시 유닛(15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로써 선에 대한 플러그 인의 횟수를 감소하고, 선 연결의 난이도가 저감시킨다.
본 실용신안의 제2 양태의 실시예는 조리 기구를 제공하고, 조리 기구는 조리 기구 본체(100)와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조리 기구의 중량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조리 기구 본체(100a)에는 베이스 부재(120a)가 구비되고, 중량 센서(130a)는 베이스 부재(120a) 상에 설치되고, 제어 모듈은 조리 기구 본체(100a) 상에 설치되고 중량 센서(130a)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9 및 도10은 전기 밥솥의 구조 개략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되, 중량 센서(130a)는 전기 밥솥의 베이스 부재(120a) 상에 설치되고, 중량 센서(130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밥솥 외부에 노출되어 탁상 등의 지지면에 접촉된다. 전기 밥솥이 탁상에 안치될 경우, 중량 센서(130a)는 중량 정보를 감지하고, 해당 중령 정보는 수집 유닛(140a)을 경우하여 표시 유닛(150a)에 전송된 이후, 사용자에게 제1 중량 수치값을 나타낸다. 이때, 전기 밥솥 상의 리셋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1 중량 수치가 리셋되고, 이어서 전기 밥솥 내에 식품 재료를 추가하며, 이때, 표시 유닛(150a)으로 나타내는 제2 중량 수치는 즉 식품 재료의 중량이다.
본 실용신안의 일 선택 가능한 구현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20a) 상에는 여러개의 중량 센서(130a)가 설치되고, 각 중량 센서(130a)는 모두 수집 유닛(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러개의 중량 센서(130a)의 수량은 바람직하게 3개 이상이고, 3개 이상의 중량 센서(130a)는 베이스 부재(120a)가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고, 조리 기구 본체(100a)가 경사지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중량 측정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수의 중량 센서(130a) 중의 각각은 모두 단독으로 수집 유닛(140a)과 연결되고, 이어서, 수집 유닛(140a)은 다시 표시 유닛(150a)과 연결되며, 단 한번의 연결로 정보 전송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각 중량 센서(130a)가 모두 단독으로 표시 유닛(150a)에 대해 통신을 진행하여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없다.
본 실용신안의 일 선택 가능한 구현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20a) 상에는 4개의 중량 센서(130a)가 설치되고, 4개의 중량 센서(130a)는 각각 베이스 부재(120a)의 4개의 지각 상에 설치된다. 도3은 전기 밥솥의 베이스 부재(120a)의 구조 개략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베이스 부재(120a)의 4개의 지각에는 각각 하나의 중량 센서(130a)가 설치되고, 각 중량 센서(130a)는 제1 세트의 도선(131a)을 통해 수집 유닛(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집 유닛(140a)은 다시 제2 세트의 도선(141a)을 통해 표시 유닛(15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 한번의 연결로 정보 전송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용신안의 다른 일 선택 가능한 구현에 의하면, 조리 기구 본체(100a)에는 하우징 커버 부재(160a) 및 패널 커버 부재(110a)가 더 구비되고, 하우징 커버 부재(160a)는 베이스 부재(120a)와 패널 커버 부재(110a)를 연결하고, 수집 유닛(140a)은 베이스 부재(120a) 상에 설치되고, 표시 유닛(150a)은 하우징 커버 부재(160a) 또는 패널 커버 부재(110a) 상에 설치된다.
도12는 전기 밥솥의 일 선택 가능한 구조의 측면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수집 유닛(140a)은 베이스 부재(120a) 상에 조립되고 중량 센서(130a)와 연결 통신되어 제1 소자 부재를 조성하며, 표시 유닛(150a)은 하우징 커버 부재(160a) 상에 조립되고, 표시 유닛(150a)은 하우징 커버와 제2 소자 부재를 조성하며, 이러한 연결 방식은 각 중량 센서(130a)가 모두 단독으로 표시 유닛(150a)에 플러그 인 통신이 필요하지 않아, 선에 대한 플러그 인의 횟수를 감소하고 선 연결의 난이도를 저감시키며 조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수집 유닛(140a)은 표시 유닛(150a)과 플러그 인 통신을 진행하여, 단 한번의 연결로 정보 전송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소자 부재와 제2 소자 부재 사이의 소자 간의 통신 실패율 저감시킬 수 있다.
실제의 제품에 있어서, 조리 기구의 저부에는 통상적으로 돌출되는 지각이 설치되어 조리 기구 본체(100a)를 지지한다. 베이스 부재(120a) 상에는 여러개의 중량 센서(130a)가 설치될 경우, 본 실용신안의 일 선택 가능한 구현에 의하면, 각 중량 센서(130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부재(120a)에 아래로 돌출된다. 베이스 부재(120a)에 아래로 돌출된 부분은 조리 기구 본체(100a)에 대해 지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중량 센서(130a)도 지각의 작용을 수행하기도 하며, 베이스 부재(120a) 상에 지각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특허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의 내용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동등한 구조 또는 동등한 흐름 변화되거나 기타 관련된 기술 분야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운용되는 것은 모두 동등하게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는 중량 측정 장치 및 식재료 및 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확정하고,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상기 식재료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와 물이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단위 식재료 중량과 물 중량의 제1 비례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단위 식재료 중량과 물 중량의 제2 비례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제1 비례값과 상기 제2 비례값에 따라 상기 목표 물 추가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과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의 중량의 합 사이의 차이값이 기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기정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물 추가량이 적합함을 제시하는 단계와,
    기정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을 경우, 물 추가량을 계속하여 조정하도록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정의 도표를 조회하여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목표 물 추가량 및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단위 중량에 대응되는 칼로리값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 이후,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식재료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하는 단계와,
    기정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식재료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식재료의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한 이후,
    상기 식재료의 제2 칼로리를 기록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지능형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제3 칼로리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11.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는 중량 측정 장치 및 식재료 및 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식재료와 물이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와 물이 담긴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기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의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칼로리를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이후의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식재료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하는 단계와,
    기정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식재료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의 제어 방법.
  12. 조리 기구에 있어서,
    식재료와 물을 담는 용기와,
    식재료 및/또는 물이 담겨진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측정 장치와,
    상기 식재료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선택 유닛 및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패널과,
    상기 중량 측정 장치로 획득한 식재료가 담긴 상기 용기의 현재 실제 중량 및 상기 용기의 초기 중량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확정하고, 상기 식재료의 제1 칼로리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선택 유닛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기능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용기 내의 식재료의 중량, 상기 조리 기능 및 상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목표 물 추가량을 획득하고, 상기 표시 유닛이 대응되는 목표 물 추가량을 나타내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시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실제 물 추가량 및 상기 목표 물 추가량에 따라 사용자의 물 추가 과장에 대해 제시를 진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 및 상기 조리 기능에 따라 상기 식재료가 조리된 후의 제2 칼로리를 예산하고, 상기 표시 유닛이 상기 제2 칼로리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을 획득하고,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중량 및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담아낸 조리된 식재료의 제3 칼로리를 확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제시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식재료의 칼로리가 기정의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정의 역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제시 장치가 식재료 중량을 다시 조정하도록 제시하도록 제어하고,
    기정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제시 장치가 식재료 칼로리가 요구에 부합됨을 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 장치는,
    상기 조리 기구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중량 센서와,
    상기 중량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수집 유닛 및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 유닛은 상기 중량 센서와 상기 표시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가 구비되는 조리 기구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중량 센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조리 기구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중량 센서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 본체는 하우징 커버 부재 및 패널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패널 커버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수집 유닛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하우징 커버 부재 또는 상기 패널 커버 부재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KR1020207013989A 2018-02-09 2018-08-08 조리 기구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18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40145.XA CN110123120A (zh) 2018-02-09 2018-02-09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CN201810140145.X 2018-02-09
CN201820243533.6U CN208371594U (zh) 2018-02-09 2018-02-09 烹饪器具
CN201820243533.6 2018-02-09
CN201820540233.4 2018-04-16
CN201820540233.4U CN208270643U (zh) 2018-04-16 2018-04-16 一种交流电压检测电路、设备和食物料理机
PCT/CN2018/099361 WO2019153676A1 (zh) 2018-02-09 2018-08-08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143A true KR20200064143A (ko) 2020-06-05
KR102318715B1 KR102318715B1 (ko) 2021-10-28

Family

ID=6754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989A KR102318715B1 (ko) 2018-02-09 2018-08-08 조리 기구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383522A1 (ko)
JP (1) JP6972347B2 (ko)
KR (1) KR102318715B1 (ko)
WO (1) WO2019153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3679B1 (en) 2019-12-12 2022-11-23 Koninklijke Philips N.V. Smart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1882860B2 (en) * 2021-10-21 2024-01-30 Sharkninja Operating Llc Venting for a combination cooking system
CN114732291A (zh) * 2022-03-04 2022-07-12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烹饪控制方法、装置及烹饪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718A (ja) * 1982-05-12 1983-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19980017925A (ko) * 1996-08-31 1998-06-05 배순훈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온도 제어방법
JP2005058373A (ja) * 2003-08-08 2005-03-10 Yamazaki Baking Co Ltd 蒸し枠、蒸し食品および蒸し食品の製造方法
CN1888558A (zh) * 2005-06-27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微波炉
US20180003687A1 (en) * 2012-04-16 2018-01-04 Iceberg Luxembourg S.A.R.L. Dynamic Recip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1711B2 (ja) * 2004-10-25 2009-03-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2864418Y (zh) * 2005-12-26 2007-01-31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烹饪装置
JP2009097809A (ja) * 2007-10-17 2009-05-07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CN101940433B (zh) * 2010-02-22 2012-10-17 谢国华 一种具有称重功能的电加热锅及其称重控制方法
US20130157232A1 (en) * 2011-12-09 2013-06-20 Joel Ehrenkranz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food consumption
JP5950687B2 (ja) * 2012-05-16 2016-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CN204133105U (zh) * 2014-05-08 2015-02-04 泰诺博依斯克有限公司 配有食物重量控制和卡路里计算功能的食品热处理装置
US10971031B2 (en) * 2015-03-02 2021-04-06 Fitl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food nutritional values
CN105115899A (zh) * 2015-08-28 2015-12-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用于冰箱的食物营养和/或热量的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718A (ja) * 1982-05-12 1983-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19980017925A (ko) * 1996-08-31 1998-06-05 배순훈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온도 제어방법
JP2005058373A (ja) * 2003-08-08 2005-03-10 Yamazaki Baking Co Ltd 蒸し枠、蒸し食品および蒸し食品の製造方法
CN1888558A (zh) * 2005-06-27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微波炉
US20180003687A1 (en) * 2012-04-16 2018-01-04 Iceberg Luxembourg S.A.R.L. Dynamic Recip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5242A (ja) 2021-02-18
US20200383522A1 (en) 2020-12-10
KR102318715B1 (ko) 2021-10-28
JP6972347B2 (ja) 2021-11-24
WO2019153676A1 (zh)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5774B2 (en) Cooking device operable to sense an ingredient characteristic and a cooking environment
CN105933451B (zh) 一种智能烹饪方法及其系统
KR20190000908U (ko) 주방 기구들의 유도성 가열 및 무선 급전을 갖는 요리 시스템
CN108008649B (zh) 烹饪器及其检测方法和系统、控制方法和系统
KR102318715B1 (ko) 조리 기구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20058294A (ko) 올바른 식습관과 식사량 조절 유도를 위한 식판
CN107536436A (zh) 一种带图像识别模块的智能电饭煲及智能烹饪系统
US11178993B2 (en) Rice cooker with lid and body control panels
CN104867081A (zh) 一种智能健康管理系统及方法
CN110097945B (zh) 控制烹饪的方法、服务器、烹饪器具及烹饪系统
CN108073906B (zh) 菜品营养成分检测方法、装置、烹饪器具和可读存储介质
CN109431288A (zh) 一种电饭煲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饭煲
WO2020191186A1 (en) Cooking appliance, method, and system
CN110123120A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WO2022016677A1 (zh) 一种智能煎烤机
KR20130117613A (ko) 칼로리 표시기능이 구비된 식판
JP2006153430A (ja) 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10881877A (zh) 一种用于控制调料使用量的装置及方法
CN111417843A (zh) 烹饪辅助设备和方法
CN107550226B (zh) 一种烹饪方法、烹饪系统、烹饪器具内锅及烹饪器具
CN109380986A (zh) 煮饭器
CN207561723U (zh) 分体式烹饪器具
CN113631070B (zh) 用于确定烹饪时间的方法和系统
CN113520168B (zh) 控制方法、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17877965U (zh) 一种厨房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