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653A - 유리판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653A
KR20200063653A KR1020180149628A KR20180149628A KR20200063653A KR 20200063653 A KR20200063653 A KR 20200063653A KR 1020180149628 A KR1020180149628 A KR 1020180149628A KR 20180149628 A KR20180149628 A KR 20180149628A KR 20200063653 A KR20200063653 A KR 2020006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lass plate
lower mold
glas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740B1 (ko
Inventor
박선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7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열성형시 유리판의 편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유리판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유리판의 성형을 위한 하부 성형틀을 갖는 하부 금형, 하부 성형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홀딩하는 글라스 홀더, 및 유리판의 성형을 위한 상부 성형틀을 갖는 상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판 성형 장치{APPARATUS FOR SHAPING GLASS PLATE}
본 출원은 전자 기기용 커버 글라스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곡면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유리판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용 커버 글라스는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전자 기기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 기기용 커버 글라스는 판 형태를 갖는 2차원 형태에서 곡면부를 갖는 3차원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종래의 유리판 성형 방법은 곡면부를 갖는 하부 금형 상에 유리판을 배치한 후 유리판 상에 곡면부를 갖는 상부 금형을 배치한 다음, 고온의 열성형을 통해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하부 금형의 곡면부와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갖는 3차원 형태를 갖는 커버 글라스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성형 방법은 고온의 열성형시 유리판의 곡면부 형상에 따라 유리판이 한쪽으로 치우지는 편심 현상으로 인하여 성형 품질과 생산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하여 3차원 형태를 갖는 커버 글라스의 생산 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본 출원의 발명자가 본 출원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출원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출원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출원은 열성형시 유리판의 편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유리판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유리판의 성형을 위한 하부 성형틀을 갖는 하부 금형, 하부 성형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홀딩하는 글라스 홀더, 및 유리판의 성형을 위한 상부 성형틀을 갖는 상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열성형시 유리판의 편심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3D 유리판의 성형 품질과 생산성이 증가되며, 이로 인하여 3D 유리판의 생산 단가가 감소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3D(Three-Dimensional) 유리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금형과 글라스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금형과 글라스 홀더 및 높이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또 다른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3D 유리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하부 금형과 글라스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의 높이 조절 부재와 글라스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홀더 지지부와 글라스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의 높이 조절 부재와 글라스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3D(Three-Dimensional) 유리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3D 유리판(10)은 강화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유리판(10)은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재질 또는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3D 유리판(10)은 평면부(11), 제 1 곡면부(13), 및 제 2 곡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1)는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곡면부(13)는 평면부(11)의 제 1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곡면부(15)는 평면부(11)의 제 1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2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3D 유리판(10)은 전자 기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3D 유리판(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3D 유리판(10)의 평면부(1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고, 제 1 곡면부(13)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가장자리, 예를 들어, 좌측 가장자리 상에 배치되며, 제 2 곡면부(13)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가장자리, 예를 들어, 우측 가장자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가장자리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이거나 영상을 표시하는 벤딩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가장자리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3D 유리판(10)의 제 1 곡면부(13)에 부착됨으로써 제 1 곡면부(13)의 곡면 형태와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가장자리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이거나 영상을 표시하는 벤딩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가장자리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3D 유리판(10)의 제 2 곡면부(15)에 부착됨으로써 제 2 곡면부(15)의 곡면 형태와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금형과 글라스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고온의 열성형 방식에 따라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3차원 형태를 갖는 3D 유리판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판 성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3D 유리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하부 금형(100), 글라스 홀더(200), 및 상부 금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100)은 3D 유리판의 외부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과 글라스 홀더(20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금형(100)은 열전도성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금형(100)은 하부 금형 몸체(110) 및 하부 성형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 몸체(110)는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과 글라스 홀더(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금형 몸체(110)는 직육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 성형틀(120)은 3D 유리판의 외부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3D 유리판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성형틀(120)은 제 1 지지부(121), 제 2 지지부(122), 평면 성형부(123), 제 1 곡면 성형부(124), 및 제 2 곡면 성형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121)는 외부로부터 하부 성형틀(120)에 투입되는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 예를 들어, 좌측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지지부(121)의 상면은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제 1 높이로 단차질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122)는 제 1 지지부(121)와 나란하도록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하부 성형틀(120)에 투입되는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 예를 들어, 우측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지지부(122)의 상면은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제 2 높이로 단차질 수 있다. 제 2 높이는 제 1 높이와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평면 성형부(123)는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 사이에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평면 성형부(123)의 상면은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제 3 높이로 단차질 수 있다. 제 3 높이는 제 1 높이와 제 2 높이보다 깊을 수 있다. 제 1 높이와 제 2 높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제 1 높이와 제 3 높이의 높이 차는 3D 유리판의 전체 두께와 동일하거나 3D 유리판의 전체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성형부(123)는 도 1에 도시된 3D 유리판(10)의 평면부(1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곡면 성형부(124)는 제 1 지지부(121)와 평면 성형부(123) 사이에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곡면 성형부(124)는 3D 유리판의 제 1 가장자리에 형성될 제 1 곡면부의 곡면 형태와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곡면 성형부(124)는 도 1에 도시된 3D 유리판(10)의 제 1 곡면부(13)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곡면 성형부(125)는 제 2 지지부(122)와 평면 성형부(123) 사이에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곡면 성형부(125)는 3D 유리판의 제 2 가장자리에 형성될 제 2 곡면부의 곡면 형태와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곡면 성형부(125)는 도 1에 도시된 3D 유리판(10)의 제 2 곡면부(15)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금형(100)에서, 제 1 지지부(121)의 외측면과 제 2 지지부(122)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는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되는 유리판(FGP)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지지부(121)의 외측면과 상기 제 2 지지부(122)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는 유리판(FGP)의 단변 폭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평면 성형부(12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한 제 1 곡면 성형부(124)와 제 2 곡면 성형부(124) 사이의 최장 거리는 유리판(FGP)이 제 1 및 제 2 지지부(121, 122) 각각에 안착 또는 지지될 수 있도록 유리판(FGP)의 단변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금형(100)은 글라스 홀더(200)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 지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130)는 하부 성형틀(120)에 접하도록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글라스 홀더(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홀더 지지부(130)는 제 1 홀더 지지부(131) 및 제 2 홀더 지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더 지지부(131)는 제 1 지지부(121)와 나란하도록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1)의 외측벽은 제 1 홀더 지지부(131)의 내측면(131a)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더 지지부(133)는 제 2 지지부(122)와 나란하도록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2)의 외측벽은 제 2 홀더 지지부(133)의 내측면(133a)이 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홀더(200)는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고정하거나 홀딩함으로써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이 한쪽으로 치우지는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 홀더(200)는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자중에 의해 고정하거나 홀딩할 수 있다. 이러한 글라스 홀더(200)는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홀딩하므로, 글라스 에지 홀더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글라스 홀더(200)는 제 1 에지 홀더(210) 및 제 2 에지 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지 홀더(210)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홀더 지지부(131)에 배치되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함으로써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에 발생되는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에지 홀더(210)는 제 1 홀더 바디(211) 및 제 1 홀더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더 바디(211)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홀더 지지부(131)에 삽입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홀더 바디(211)는 제 1 방향(X)과 나란하면서 제 1 홀더 지지부(131)에 삽입 가능한 폭 및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된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홀더 바디(211)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지지부(12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더 바디(211)의 두께(또는 높이)는 제 1 홀더 지지부(131)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 1 홀더 바디(211)의 두께가 제 1 홀더 지지부(131)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제 1 에지 홀더(210)가 하부 금형(100)의 전면(111) 위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성형 공정시 상부 금형(300)의 가압을 방해하여 유리판(FGP)의 성형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홀더부(213)는 제 1 홀더 바디(211)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금형(100)의 제 1 지지부(121)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홀더부(213)는 제 1 홀더 바디(211)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금형(100)의 제 1 지지부(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홀더부(213)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지지부(121) 상면과 중첩되도록 제 1 홀더 바디(211)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홀더부(213)는 제 1 홀더 바디(211)의 무게에 따라 하부 금형(100)의 제 1 지지부(121)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지 홀더(230)는 하부 금형(100)의 제 2 홀더 지지부(133)에 배치되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에지 홀더(230)는 제 2 홀더 바디(231) 및 제 2 홀더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홀더 바디(231)는 하부 금형(100)의 제 2 홀더 지지부(133)에 삽입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홀더 바디(231)는 제 1 방향(X)과 나란하면서 제 2 홀더 지지부(133)에 삽입 가능한 폭 및 제 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된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홀더 바디(231)는 하부 금형(100)의 제 2 지지부(122)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더 바디(231)의 두께(또는 높이)는 제 2 홀더 지지부(133)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 2 홀더 바디(231)의 두께가 제 2 홀더 지지부(133)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제 2 에지 홀더(230)가 하부 금형(100)의 전면(111) 위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금형(300)의 가압을 방해하여 유리판(FGP)의 성형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홀더부(233)는 제 2 홀더 바디(231)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금형(100)의 제 2 지지부(122)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홀더부(233)는 제 2 홀더 바디(231)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금형(100)의 제 2 지지부(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홀더부(233)는 하부 금형(100)의 제 2 지지부(122) 상면과 중첩되도록 제 2 홀더 바디(231)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홀더부(233)는 제 2 홀더 바디(231)의 무게에 따라 하부 금형(100)의 제 2 지지부(122)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다.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과 마주하는 제 1 에지 홀더(210)의 제 1 홀더 바디(211)와 제 2 에지 홀더(230)의 제 2 홀더 바디(231) 각각의 내측면(213a, 223a)은 일정한 각도를 갖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1 홀더 지지부(131)의 내측면(또는 제 1 지지부(121)의 외측벽)(131a)과 제 2 홀더 지지부(133)의 내측면(또는 제 2 지지부(122)의 외측벽)(133a) 각각도 일정한 각도를 갖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홀더 바디(211, 231) 각각의 경사면은 제 1 및 제 2 홀더 지지부(131, 133) 각각의 경사면과 평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홀더 바디(211, 231) 각각은 해당하는 홀더 지지부(131, 13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300)은 3D 유리판의 내부 형상(또는 내면)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하부 성형틀(120) 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금형(300)은 열전도성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하부 금형(1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금형(300)은 상부 금형 몸체(310) 및 상부 성형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금형 몸체(310)는 하부 금형(100) 상에 배치되고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자중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상부 금형 몸체(310)는 하부 금형(100) 상에 배치되는 금형 승강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금형 승강 유닛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금형 몸체(310)는 하부 금형 몸체(110)와 동일한 직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성형틀(320)은 3D 유리판의 내부 형상(또는 내면)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3D 유리판의 내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 금형 몸체(310)의 후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성형틀(320)은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삽입됨으로써 하부 성형틀(120) 상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10)을 3차원 형상의 3D 유리판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성형틀(320)의 전체 높이는 하부 금형(100)의 전면(111)과 평면 성형부(123) 사이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을 수 있다.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상부 성형틀(320)의 폭은 하부 금형(100)의 제 1 곡면 성형부(124)와 제 2 곡면 성형부(125) 사이의 최장 거리보다 유리판(FGP)의 두께만큼 좁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성형틀(320)은 평면 가압부(321), 제 1 곡면 가압부(322), 및 제 2 곡면 가압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 가압부(321)는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과 중첩되도록 상부 금형 몸체(3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평면 가압부(321)의 후면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평면 가압부(321)는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과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면 가압부(322)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곡면 성형부(124)와 중첩되도록 평면 가압부(321)의 제 1 모서리 부분에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곡면 가압부(322)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곡면 성형부(124)와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곡면 가압부(322)의 곡면 형태는 제 1 곡면 성형부(124)의 곡면 형태와 동심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곡면 가압부(323)는 하부 금형(100)의 제 2 곡면 성형부(125)와 중첩되도록 평면 가압부(321)의 제 2 모서리 부분에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곡면 가압부(323)는 하부 금형(100)의 제 2 곡면 성형부(125)와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곡면 가압부(323)의 곡면 형태는 제 2 곡면 성형부(125)의 곡면 형태와 동심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하부 히팅 모듈(400) 및 상부 히팅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팅 모듈(400)은 하부 금형(100)을 지지하고 지지된 하부 금형(100)을 미리 설정된 열성형 공정 온도를 가열함으로써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유리판(FGP)을 열성형 공정에 적합한 상태로 가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히팅 모듈(400)은 복수의 발열 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열 부재(410)는 램프 히터 또는 열선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히팅 모듈(400)은 하부 금형(100)의 후면과 결합되거나 하부 금형(1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하부 히팅 모듈(400)은 유리판 성형 공정시 금형 이송 장치에 의해 로딩되는 하부 금형(1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팅 모듈(500)은 상부 금형(300)을 지지하고 지지된 상부 금형(300)을 미리 설정된 열성형 공정 온도를 가열함으로써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유리판(FGP)을 하부 히팅 모듈(400)과 함께 열성형 공정에 적합한 상태로 가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히팅 모듈(500)은 상부 금형(300)의 전면(또는 상면)과 결합되거나 상부 금형(3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상부 히팅 모듈(500)은 유리판 성형 공정시 금형 이송 장치에 의해 로딩되는 상부 금형(300)의 전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히팅 모듈(500)은 복수의 발열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열 부재(510)는 램프 히터 또는 열선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 상에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안착시킨다. 이 경우,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지지부(121)에 안착되고,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는 하부 금형(100)의 제 2 지지부(122)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홀더(200)를 하부 금형(100)에 배치하여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고정하거나 홀딩한다. 예를 들어, 글라스 홀더(200)의 제 1 에지 홀더(210)를 하부 금형(100)의 제 1 홀더 지지부(131)에 삽입하여 하부 성형틀(120)의 제 1 지지부(121)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글라스 홀더(200)의 제 2 에지 홀더(230)를 하부 금형(100)의 제 2 홀더 지지부(133)에 삽입하여 하부 성형틀(120)의 제 2 지지부(122)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을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에 면접촉시킨다. 이 경우,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이 글라스 홀더(20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이 유리판(FGP)과 면접촉시 유리판(FGP)의 유동 및/또는 유리판(FGP)의 어느 한쪽이 치우치는 편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히팅 모듈(400)과 상부 히팅 모듈(500) 각각을 통해 하부 금형(100)과 상부 금형(300)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열성형 공정에 적합한 상태로 가열한다.
다음으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이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상부 히팅 모듈(500)과 함께 상부 히팅 모듈(500)을 하강시켜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을 이용해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GFP)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이 상부 성형틀(320)의 가압에 의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 쪽으로 가압됨으로써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GFP)이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부 금형(300)이 가열된 유리판(FGP)을 가압하여 성형할 때, 글라스 홀더(200)에 의해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의 치우침이 제한됨으로써 유리판(FGP)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편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에 대한 상부 금형(300)의 하강 및 가압이 완료되면,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은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과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하부 성형틀(120)의 형상과 상부 성형틀(320)의 형상에 대응되는 3차원 형상을 갖는 3D 유리판(10)으로 성형된다. 이때,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과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 사이에 개재된 3D 유리판(10)의 양 끝단은 글라스 홀더(200)의 제 1 및 제 2 홀더부(213, 233) 각각에 의해 유동과 변형이 제한됨에 따라 성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글라스 냉각 공정을 통해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된 3D 유리판(10)을 냉각시킨 후, 상부 금형(300)과 함께 상부 히팅 모듈(500)을 상승시키고,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서 3D 유리판(10)을 언로딩함으로써 3D 유리판(10)의 열성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 및 방법은 글라스 홀더(200)에 의해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이 한쪽으로 치우지는 편심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3D 유리판의 성형 품질과 생산성이 증가되며, 이로 인하여 3D 유리판의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금형과 글라스 홀더 및 높이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에 높이 조절 부재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높이 조절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과 글라스 홀더(200) 사이에 배치된 높이 조절 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부재(250)는 유리판(FGP)의 성형전에는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하고, 유리판(FGP)의 열성형 공정에서는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의 성형 형상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 부재(250)는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의 유동 및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이 한쪽으로 치우지는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250)는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 및 제 1 높이 조절 부재(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는 하부 금형(100)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글라스 홀더(200)의 제 1 에지 홀더(210)와 하부 금형(100)의 제 1 지지부(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는 제 1 플레이트(251a) 및 제 1 승강 가이더(25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51a)는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마련된 제 1 지지부(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플레이트(251a)는 하부 성형틀(120)에 유리판(FGP)이 안착된 이후에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 상에 배치됨으로써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하고,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의 유동 및 변형을 제한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플레이트(251a)는 제 1 에지 홀더(210)의 제1 홀더부(213)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251a)는 제 1 홀더부(213)와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제 1 홀더부(213)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플레이트(251a)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251a)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승강 가이더(251b)의 전체 높이는 제 1 홀더부(213)의 전체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의 승강을 위해, 제 1 에지 홀더(210)는 제 1 홀더부(213)에 마련된 제 1 슬릿(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릿(215)은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와 마주하는 제1 홀더부(213)의 하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슬릿(215)의 높이(또는 깊이)는 제 1 승강 가이더(251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제 1 승강 가이더(251b)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는 하부 금형(100)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글라스 홀더(200)의 제 2 에지 홀더(230)와 하부 금형(100)의 제 2 지지부(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는 제 2 플레이트(253a) 및 제 2 승강 가이더(253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253a)는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마련된 제 2 지지부(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플레이트(253a)는 하부 성형틀(120)에 유리판(FGP)이 안착된 이후에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 상에 배치됨으로써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하고,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의 유동 및 변형을 제한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플레이트(253a)는 제 2 에지 홀더(230)의 제 2 홀더부(233)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제 2 플레이트(253a)는 제 2 홀더부(233)와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제 2 홀더부(233)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승강 가이더(253b)는 제 2 플레이트(253a)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 2 플레이트(253a)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승강 가이더(253b)의 전체 높이는 제 2 홀더부(233)의 전체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의 승강을 위해, 제 2 에지 홀더(230)는 제 2 홀더부(233)에 마련된 제 2 슬릿(2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릿(235)은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와 마주하는 제 2 홀더부(233)의 하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슬릿(235)의 높이(또는 깊이)는 제 2 승강 가이더(253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제 2 승강 가이더(253b)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250)는 글라스 홀더(2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250)는 글라스 홀더(2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높이 조절 부재(251, 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는 제 1 플레이트(251a), 제 1 승강 가이더(251b), 및 복수의 제 1 지지 핀(25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51a)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글라스 홀더(200)의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하도록 제 1 플레이트(251a)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플레이트(251a)를 지지하고 제 1 플레이트(251a)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승강 가이더(251b)의 전체 높이는 제 1 홀더부(213)의 전체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지지 핀(251c) 각각은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제 1 홀더부(213)에 배치됨으로써 제 1 승강 가이더(251b)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홀더부(213)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지지 핀(251c) 각각에 의해 매달려 지지될 수 있다.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의 승강을 위해, 제 1 에지 홀더(210)는 제 1 홀더부(213)에 마련된 제 1 홈부(217)와 제 1 관통홀(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217)은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와 중첩되는 제 1 홀더부(213)의 전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홈부(217)의 높이(또는 깊이)는 제 1 홀더부(213)의 전체 두께의 절반일 수 있다.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제 1 홈부(217)의 폭은 제 1 지지 핀(251c)의 길이보다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승강 가이더(251b)의 상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 1 지지 핀(251c) 각각은 제 1 홀더부(213)에 마련된 제 1 홈부(21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 1 지지 핀(251c)과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홈부(217)에 삽입되어 제 1 홀더부(213)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지지 핀(251c)과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가 제 1 홀더부(213)의 전면으로 돌출될 경우, 열성형 공정시 상부 금형(300)의 가압을 방해하여 유리판(FGP)의 성형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19)은 제 1 승강 가이더(251b)와 중첩되는 제 1 홈부(217)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제 1 관통홀(219)의 폭은 제 1 지지 핀(251c)의 양 끝단 가장자리가 제 1 홈부(217)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 1 지지 핀(251c)의 길이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제 1 승강 가이더(25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승강 가이더(251b)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관통홀(219)에 삽입되어 복수의 제 1 지지 핀(251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는 제 2 플레이트(253a), 제 2 승강 가이더(253b), 및 복수의 제 2 지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는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높이 조절 부재(251, 253) 각각은 해당하는 에지 홀더(210, 230)의 홀더부(213, 23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열성형 공정시 에지 홀더(210, 230)와 함께 하부 금형(1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본 출원은 높이 조절 부재(200)만을 하부 금형(100) 상에 배치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또 다른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250)는 글라스 홀더(2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250)는 글라스 홀더(2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높이 조절 부재(251, 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는 제 1 플레이트(251a), 제 1 승강 가이더(251b), 제 1 지지 바(251d), 및 복수의 제 1 체결 부재(251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51a)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글라스 홀더(200)의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하도록 제 1 플레이트(251a)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플레이트(251a)를 지지하고 제 1 플레이트(251a)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승강 가이더(251b)의 전체 높이는 제 1 홀더부(213)의 전체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 바(251d)는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와 결합되어 제 1 홀더부(213)에 배치됨으로써 제 1 승강 가이더(251b)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홀더부(213)에 배치된 제 1 지지 바(251d)에 의해 매달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 부재(251e) 각각은 제 1 지지 바(251d)를 관통하여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의 상면에 체결됨으로써 제 1 승강 가이더(251b)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체결 부재(251e) 각각은 스크류 또는 볼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의 승강을 위해, 제 1 에지 홀더(210)는 제 1 홀더부(213)에 마련된 제 1 홈부(217)와 제 1 관통홀(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홈부(217)는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와 중첩되는 제 1 홀더부(213)의 전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홈부(217)의 높이(또는 깊이)는 제 1 홀더부(213)의 전체 두께의 절반일 수 있다.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제 1 홈부(217)의 폭은 제 1 지지 바(251d)의 길이보다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승강 가이더(251b)와 결합된 제 1 지지 바(251d)는 제 1 홀더부(213)에 마련된 제 1 홈부(21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지지 바(251d)와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홈부(217)에 삽입되어 제 1 홀더부(213)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 1 지지 바(251d)와 제 1 홀더부(213)를 관통한 제 1 승강 가이더(251b)가 제 1 홀더부(213)의 전면으로 돌출될 경우, 열성형 공정시 상부 금형(300)의 가압을 방해하여 유리판(FGP)의 성형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19)은 제 1 승강 가이더(251b)와 중첩되는 제 1 홈부(217)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제 1 관통홀(219)의 폭은 제 1 지지 바(251d)의 양 끝단 가장자리가 제 1 홈부(217)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 1 지지 바(251d)의 길이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제 1 승강 가이더(25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승강 가이더(251b)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승강 가이더(251b)는 제 1 관통홀(219)에 삽입되어 제 1 지지 바(251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는 제 2 플레이트(253a), 제 2 승강 가이더(253b), 제 2 지지 바, 및 복수의 제 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는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높이 조절 부재(251, 253) 각각은 해당하는 에지 홀더(210, 230)의 홀더부(213, 23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열성형 공정시 에지 홀더(210, 230)와 함께 하부 금형(1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본 출원은 높이 조절 부재(200)만을 하부 금형(100) 상에 배치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g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 상에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안착시킨다. 이 경우,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지지부(121)에 안착되고,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는 하부 금형(100)의 제 2 지지부(122)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부재(250)를 하부 금형(100)에 배치하여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고정하거나 홀딩한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 부재(250)의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를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 상에 안착시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높이 조절 부재(250)의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를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 상에 안착시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부재(250)가 글라스 홀더(20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높이 조절 부재(250)를 하부 금형(100)에 배치하는 공정을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홀더(200)를 하부 금형(100)에 배치된 높이 조절 부재(250) 상에 배치하여 높이 조절 부재(250)를 고정하거나 홀딩한다. 예를 들어, 글라스 홀더(200)의 제 1 에지 홀더(210)를 하부 금형(100)의 제 1 홀더 지지부(131)에 삽입하여 높이 조절 부재(250)의 제 1 높이 조절 부재(251)를 고정하고, 글라스 홀더(200)의 제 2 에지 홀더(230)를 하부 금형(100)의 제 2 홀더 지지부(133)에 삽입하여 높이 조절 부재(250)의 제 2 높이 조절 부재(253)를 고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부재(250)가 글라스 홀더(20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높이 조절 부재(250)는 글라스 홀더(200)와 함께 하부 금형(10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을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에 면접촉시킨다. 이 경우,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이 높이 조절 부재(250)와 글라스 홀더(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이 유리판(FGP)과 면접촉시 유리판(FGP)의 유동 및/또는 유리판(FGP)의 어느 한쪽이 치우치는 편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히팅 모듈(400)과 상부 히팅 모듈(500) 각각을 통해 하부 금형(100)과 상부 금형(300)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열성형 공정에 적합한 상태로 가열한다.
다음으로,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이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상부 히팅 모듈(500)과 함께 상부 히팅 모듈(500)을 하강시켜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을 이용해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GFP)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이 상부 성형틀(320)의 가압에 의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 쪽으로 가압됨으로써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GFP)이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부 금형(300)이 가열된 유리판(FGP)을 가압하여 성형할 때, 각각이 높이 조절 부재(250)와 글라스 홀더(200)에 의해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의 치우침이 제한됨으로써 유리판(FGP)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편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높이 조절 부재(250)의 제 1 및 제 2 높이 조절 부재(251, 253) 각각은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의 유동 및 변형을 제한하면서 제 1 및 제 2 에지 홀더(210, 230)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슬릿(215, 235; 도 7 참조)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에 대한 상부 금형(300)의 하강 및 가압이 완료되면, 가열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은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과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하부 성형틀(120)의 형상과 상부 성형틀(320)의 형상에 대응되는 3차원 형상을 갖는 3D 유리판(10)으로 성형된다. 이때,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과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20) 사이에 개재된 3D 유리판(10)의 양 끝단은 제 1 및 제 2 높이 조절 부재(251, 253) 각각에 의해 유동과 변형이 제한됨에 따라 성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글라스 냉각 공정을 통해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된 3D 유리판(10)을 냉각시킨 후, 상부 금형(300)과 함께 상부 히팅 모듈(500)을 상승시키고,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서 3D 유리판(30)을 언로딩함으로써 3D 유리판(10)의 열성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 및 방법은 글라스 홀더(200)에 의해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이 한쪽으로 치우지는 편심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3D 유리판의 성형 품질과 생산성이 증가되며, 이로 인하여 3D 유리판의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3D 유리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3D 유리판(30)은 평면부(31), 제 1 내지 제 4 곡면부(33, 35, 37, 39), 및 제 1 내지 제 4 코너 라운딩부(CR1, CR2, CR3, CR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31)는 3D 유리판(30)의 중앙 부분으로서,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곡면부(33)는 평면부(31)의 제 1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곡면부(35)는 평면부(31)의 제 1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2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곡면부(37)는 평면부(31)의 제 3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 4 곡면부(39)는 평면부(31)의 제 3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4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부(31)에서, 제 1 가장자리는 좌측 가장자리, 제 2 가장자리는 우측 가장자리, 제 3 가장자리는 상측 가장자리, 및 제 4 가장자리는 하측 가장자리 각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3D 유리판(30)의 가장자리는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벤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너 라운딩부(CR1, CR2, CR3, CR4) 각각은 인접한 곡면부(33, 35, 37, 39) 사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3D 유리판(30)은 중앙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분이 전체적으로 만곡된 4면 벤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하부 금형과 글라스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고온의 열성형 방식에 따라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3D 유리판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판 성형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하부 금형(100), 글라스 홀더(200), 및 상부 금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100)은 3D 유리판의 외부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과 글라스 홀더(20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금형(100)은 열전도성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금형(100)은 하부 금형 몸체(110) 및 하부 성형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 몸체(110)은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과 글라스 홀더(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금형 몸체(110)은 직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성형틀(150)은 3D 유리판의 외부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3D 유리판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성형틀(150)은 지지부(151), 평면 성형부(152), 및 곡면 성형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51)는 외부로부터 하부 성형틀(120)에 투입되는 유리판(FGP)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51)는 유리판(FGP)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사각 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부(151)의 상면은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제 1 높이로 단차질 수 있다.
상기 평면 성형부(152)는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를 가지도록 지지부(121)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평면 성형부(152)의 상면은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제 2 높이로 단차질 수 있다. 제 2 높이는 제 1 높이보다 깊을 수 있다. 제 1 높이와 제 2 높이의 높이 차는 3D 유리판의 전체 두께와 동일하거나 3D 유리판의 전체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성형부(152)는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30)의 평면부(3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 성형부(153)는 지지부(151)와 평면 성형부(152) 사이에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곡면 성형부(153)는 제 1 내지 제 4 곡면 성형부, 및 제 1 내지 제 4 코너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곡면 성형부 각각은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30)의 제 1 내지 제 4 곡면부(33, 35, 37, 39) 각각과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코너 성형부 각각은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30)의 제 1 내지 제 4 코너 라운딩부(CR1, CR2, CR3, CR4) 각각과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금형(100)은 글라스 홀더(200)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 지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130)는 하부 성형틀(120)에 접하도록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글라스 홀더(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홀더 지지부(130)는 제 1 홀더 지지부(131) 및 제 2 홀더 지지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홀더 지지부(131) 및 제 2 홀더 지지부(133) 각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 홀더 지지부(131) 및 제 2 홀더 지지부(133)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글라스 홀더(200)는 하부 금형(100)에 마련된 홀더 지지부(130)에 배치되어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고정하거나 홀딩함으로써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이 한쪽으로 치우지는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글라스 홀더(200)는 하부 금형(100)의 제 1 홀더 지지부(131)에 배치되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1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하는 제 1 에지 홀더(210), 및 하부 금형(100)의 제 2 홀더 지지부(133)에 배치되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제 2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하는 제 2 에지 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글라스 홀더(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글라스 홀더(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금형(300)은 3D 유리판의 내부 형상(또는 내면)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금형(300)은 상부 금형 몸체(310) 및 상부 성형틀(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금형 몸체(310)은 하부 금형(100) 상에 배치되고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자중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상부 금형 몸체(310)는 하부 금형(100) 상에 배치되는 금형 승강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금형 승강 유닛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성형틀(350)은 3D 유리판의 내부 형상(또는 내면)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3D 유리판의 내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 금형 몸체(310)의 후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성형틀(350)의 전체 높이는 하부 금형(100)의 전면(111)과 평면 성형부(152) 사이의 전체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을 수 있다.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상부 성형틀(350)의 폭은 하부 금형(100)의 곡면 성형부(153) 사이의 최장 거리보다 유리판(FGP)의 두께만큼 좁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부 성형틀(350)은 평면 가압부(351) 및 곡면 가압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 가압부(351)는 하부 금형(100)의 평면 성형부(123)와 중첩되도록 상부 금형 몸체(3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평면 가압부(351)의 후면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평면 가압부(351)는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평판 형태의 유리판(FGP)과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곡면 가압부(353)는 하부 금형(100)의 곡면 성형부(153)와 중첩되도록 평면 가압부(351)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곡면 가압부(353)는 하부 금형(100)의 곡면 성형부(153)와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가압부(353)의 곡면 형태는 곡면 성형부(153)의 곡면 형태와 동심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하부 금형(100)을 지지하면서 가열하는 하부 히팅 모듈(400), 및 상부 금형(100) 상에 배치되어 상부 금형(100)을 가열하는 상부 히팅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히팅 모듈(400)과 상부 히팅 모듈(500)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히팅 모듈(400)과 상부 히팅 모듈(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50)과 상부 금형(300)의 상부 성형틀(350) 각각의 형상이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유리판 성형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이용한 유리판 성형 방법은 도 4a 내지 도 4f에 도시된 유리판 성형 방법과 동일한 성형 공정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30)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부재(250)는 도 7 내지 도 9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높이 조절 부재(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가 높이 조절 부재(250)를 더 포함하는 경우, 글라스 홀더(200)는 도 7 내지 도 9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글라스 홀더(200)로 변경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 부재(250)를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유리판 성형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높이 조절 부재(250)를 포함하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이용한 유리판 성형 방법은 도 10a 내지 도 10f에 도시된 유리판 성형 방법과 동일한 성형 공정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30)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홀더 지지부와 글라스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홀더 지지부(130)는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50)을 둘러싸도록 하부 금형 몸체(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글라스 홀더(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지지부(130)는 사각 띠(또는 액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라스 홀더(200)는 하부 금형(100)에 마련된 홀더 지지부(130)에 배치되어 하부 금형(100)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함으로써 유리판(FGP)의 열성형시 유리판(FGP)이 한쪽으로 치우지는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글라스 홀더(200)는 사각 띠 형태를 갖는 홀더 지지부(130)에 삽입 가능하도록 사각 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글라스 홀더(200)는 하부 금형(100)의 홀더 지지부(130)에 삽입 가능한 형태를 갖는 홀더 바디(201), 및 홀더 바디(201)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금형(100)의 지지부(151)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홀딩하는 홀더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201)는 홀더 지지부(130)에 삽입 가능하도록 사각 띠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또는 도 13에 도시된 홀더 바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홀더부(203)는 하부 금형(100)의 지지부(151)에 안착된 유리판(FGP)의 가장자리 전체를 고정하거나 홀딩하도록 사각 띠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또는 도 13에 도시된 홀더 바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홀더 지지부와 글라스 홀더를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를 이용한 유리판 성형 방법은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50) 상에 평판 형태의 유리판을 안착시킨 후, 사각 띠 형태를 갖는 글라스 홀더(200)를 하부 금형(100)의 홀더 지지부(130)에 삽입시켜 유리판의 가장자리 전체를 고정하거나 홀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a 내지 도 4f에 도시된 유리판 성형 방법과 동일한 성형 공정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30)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부재(250)는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50)에 마련된 사각 띠 형태의 지지부(151) 상에 배치되어 하부 성형틀(150) 상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 전체를 고정하거나 홀딩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250)는 사각 띠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금형(100)의 하부 성형틀(120)에 마련된 지지부(151)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51a), 및 플레이트(251a)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251a)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더(25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 부재(250)는 도 7 내지 도 9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높이 조절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가 높이 조절 부재(250)를 더 포함하는 경우, 글라스 홀더(200)의 홀더부(203)는 도 7 내지 도 9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홀더부(21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 부재(250)를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유리판 성형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높이 조절 부재(250)를 포함하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를 이용한 유리판 성형 방법은 도 10a 내지 도 10f에 도시된 유리판 성형 방법과 동일한 성형 공정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3D 유리판(30)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유리판의 성형을 위한 하부 성형틀을 갖는 하부 금형, 하부 성형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홀딩하는 글라스 홀더, 및 유리판의 성형을 위한 상부 성형틀을 갖는 상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은 글라스 홀더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홀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글라스 홀더는 홀더 지지부에 삽입된 홀더 바디, 및 하부 금형의 지지부와 중첩되도록 홀더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홀딩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홀더부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홀더는 하부 금형의 두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홀더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제 1 가장자리 및 제 1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홀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홀더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 전체를 홀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와 글라스 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홀딩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재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제 1 가장자리 및 제 1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홀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재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 전체를 홀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재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은 글라스 홀더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홀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글라스 홀더는 홀더 지지부에 삽입된 홀더 바디, 및 하부 금형의 지지부와 중첩되도록 홀더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높이 조절 부재를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재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홀더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플레이트에 배치된 승강 가이더를 포함하며, 글라스 홀더의 홀더부는 승강 가이더가 삽입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홀더의 홀더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 및 홈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높이 조절 부재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홀더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승강 가이더, 및 홀더부의 홈부에 배치되어 홀더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승강 가이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홀더의 홀더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 및 홈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높이 조절 부재는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홀더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승강 가이더, 홀더부의 홈부에 배치되어 홀더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승강 가이더를 지지하는 지지 바, 및 지지 바를 승강 가이더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하부 성형틀은 지지부로부터 단차진 평면 성형부, 및 지지부와 평면 성형부 사이의 곡면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상부 금형은 상부 성형틀을 통해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을 하부 성형틀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상부 성형틀은 평면 성형부와 중첩되는 평면 가압부, 및 곡면 성형부와 중첩되는 곡면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유리판 성형 장치는 하부 금형을 가열하는 하부 히팅 모듈, 및 상부 금형을 가열하는 상부 히팅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유리판 11: 평면부
13, 15: 곡면부 100: 하부 금형
120: 하부 성형틀 121, 122: 지지부
123: 평면 성형부 124, 125: 곡면 성형부
130: 홀더 지지부 200: 글라스 홀더
210, 230: 에지 홀더 211, 231: 홀더 바디
213, 233: 홀더부 250: 높이 조절 부재
300: 상부 금형 320: 상부 성형틀
321: 평면 가압부 322, 323: 곡면 가압부
400: 하부 히팅 모듈 500: 상부 히팅 모듈

Claims (18)

  1.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유리판의 성형을 위한 하부 성형틀을 갖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성형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홀딩하는 글라스 홀더; 및
    상기 유리판의 성형을 위한 상부 성형틀을 갖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글라스 홀더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홀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 홀더는,
    상기 홀더 지지부에 삽입된 홀더 바디;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홀딩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유리판 성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홀더는 상기 하부 금형의 두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유리판 성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홀더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제 1 가장자리 및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홀딩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홀더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 전체를 홀딩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와 상기 글라스 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홀딩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제 1 가장자리 및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2 가장자리 각각을 홀딩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 전체를 홀딩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유리판 성형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글라스 홀더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홀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 홀더는,
    상기 홀더 지지부에 삽입된 홀더 바디;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를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된 승강 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 홀더의 홀더부는 상기 승강 가이더가 삽입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홀더의 홀더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승강 가이더; 및
    상기 홀더부의 홈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승강 가이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핀을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홀더의 홀더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승강 가이더;
    상기 홀더부의 홈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승강 가이더를 지지하는 지지 바; 및
    상기 지지 바를 상기 승강 가이더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성형틀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단차진 평면 성형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평면 성형부 사이의 곡면 성형부를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상부 성형틀을 통해 상기 하부 금형의 지지부에 안착된 유리판을 상기 하부 성형틀 쪽으로 가압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틀은,
    상기 평면 성형부와 중첩되는 평면 가압부; 및
    상기 곡면 성형부와 중첩되는 곡면 가압부를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을 가열하는 하부 히팅 모듈; 및
    상기 상부 금형을 가열하는 상부 히팅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리판 성형 장치.
KR1020180149628A 2018-11-28 2018-11-28 유리판 성형 장치 KR102612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28A KR102612740B1 (ko) 2018-11-28 2018-11-28 유리판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28A KR102612740B1 (ko) 2018-11-28 2018-11-28 유리판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53A true KR20200063653A (ko) 2020-06-05
KR102612740B1 KR102612740B1 (ko) 2023-12-12

Family

ID=7108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28A KR102612740B1 (ko) 2018-11-28 2018-11-28 유리판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95B1 (ko) * 2022-02-16 2022-10-12 주식회사 지웰코퍼레이션 유리 가열 성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4329A (en) * 1979-05-18 1980-12-01 Nec Kagoshima Ltd Manufacture of cover glass for display tube
JP2001246419A (ja) * 2000-03-01 2001-09-11 Kyoho Mach Works Ltd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湾曲成形方法および湾曲成形装置
KR20010092818A (ko) * 2000-03-27 2001-10-27 류정열 자동차용 패널의 프레스 가공용 금형 및 금형의 제조 방법
KR200329016Y1 (ko) * 2003-07-04 2003-10-04 주식회사 올팩 전분을 성형하기 위한 발포금형
JP2007015305A (ja) * 2005-07-08 2007-01-25 Inoac Corp 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101652812B1 (ko) * 2015-04-27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성형방법
KR20180038610A (ko) * 2016-10-06 2018-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4329A (en) * 1979-05-18 1980-12-01 Nec Kagoshima Ltd Manufacture of cover glass for display tube
JP2001246419A (ja) * 2000-03-01 2001-09-11 Kyoho Mach Works Ltd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湾曲成形方法および湾曲成形装置
KR20010092818A (ko) * 2000-03-27 2001-10-27 류정열 자동차용 패널의 프레스 가공용 금형 및 금형의 제조 방법
KR200329016Y1 (ko) * 2003-07-04 2003-10-04 주식회사 올팩 전분을 성형하기 위한 발포금형
JP2007015305A (ja) * 2005-07-08 2007-01-25 Inoac Corp 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101652812B1 (ko) * 2015-04-27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성형방법
KR20180038610A (ko) * 2016-10-06 2018-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성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95B1 (ko) * 2022-02-16 2022-10-12 주식회사 지웰코퍼레이션 유리 가열 성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740B1 (ko)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4713B (zh) Led背光模组
KR10213712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683228B2 (en) Apparatus for molding glass substrate
CN102818143B (zh) 大型面光源器件
EP3217215B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4464523A (zh) 曲面显示装置
JP2012237826A (ja) 液晶モジュール
CN103487990A (zh) 液晶显示模块和具有其的液晶显示装置
EP3088948B1 (en) Intermediate holder for a backlight in a display device
KR20200063653A (ko) 유리판 성형 장치
KR101175679B1 (ko) 글라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NZ714694A (en) Mould for manufacturing a multi-curved bent glass panel
CN106461993A (zh) 光源装置和液晶显示装置
US10077203B2 (en) Apparatus for forming window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CN110240392B (zh) 玻璃弯曲模具、包括其的玻璃弯曲装置和弯曲玻璃的方法
CN204903917U (zh) 背光源模组及显示装置
CN106796363B (zh) 显示装置
US9745219B2 (en) Apparatus for forming front glass for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TW201632475A (zh) 用來製造模造玻璃之成型設備
KR20150088471A (ko) 박형 유리기판 성형장치
US9010950B2 (en) Fixing devic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fixing device
CN209814566U (zh) 一种耐高温垫板
CN204462581U (zh) 显示面板的组装装置及液晶显示装置
US9579842B2 (en) Additio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selective thermoforming
CN104965335A (zh) 一种液晶面板固定组件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