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72A -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472A
KR20200063472A KR1020180149163A KR20180149163A KR20200063472A KR 20200063472 A KR20200063472 A KR 20200063472A KR 1020180149163 A KR1020180149163 A KR 1020180149163A KR 20180149163 A KR20180149163 A KR 20180149163A KR 20200063472 A KR20200063472 A KR 20200063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evaporator
temperature
refrigeration
expans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670B1 (ko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주)퓨처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처시스텍 filed Critical (주)퓨처시스텍
Priority to KR102018014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6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25B41/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39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flow
    • B60H2001/3242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flow of a refriger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 B60H2001/3254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t an expa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응축기 및 증발기를 독립된 구동 모터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냉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응축기(11)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1 제어 유닛(113); 증발기(13)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2 제어 유닛(133); 팽창 밸브(12)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냉매의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 모듈(14); 및 센서 모듈(14)에서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작동을 조절하는 메인 제어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11) 및 증발기(13)는 센서 모듈(14)로부터 전송된 공통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Description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Refrigerating Vehicle Based on Detecting a Temperature and a Pressur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응축기 및 증발기를 독립된 구동 모터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냉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동 탑차를 위한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의 효율적인 작동을 위하여 전력 공급 방식, 탑차의 단열 구조 및 냉동 공간의 상태에 따른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의 작동 수준이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냉장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전력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냉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독립적인 배터리 모듈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냉동 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외부 환경의 영향을 최소로 하는 단열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온도가 변화되는 환경에서 정해진 온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냉매의 흐름이 정밀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전자식 제어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WO 2002/14724는 냉동 또는 냉장고의 고성능화에 따른 냉각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전동식 전환 밸브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05-0099799는 압축기의 흡입 과열도와 압축기의 토출 온도를 함께 고려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개도 변경 값을 결정하는 냉동 사이클의 전자 팽창 밸브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냉동 공간의 온도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팽창 밸브의 제어와 함께 응축기 및 증발기의 작동이 팽창 밸브와 연동되어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서로 관련성을 가지면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작동에 따른 효과의 발생이 지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하게 냉동 공간의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회복되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냉동 공간 또는 정해진 영역에서 냉매의 상태를 탐지하고 그에 기초하여 냉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WO 2002/14724(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2002년02월21일 공개) 전동식 전자밸브 및 냉동고와 냉장고용 냉동 사이클 장치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05-0099799(엘지전자 주식회사, 2005년10월17일 공개)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자 팽창밸브 제어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 공간의 상태 및 정해진 구간에서 냉매의 상태를 탐지하여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의 작동이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냉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응축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1 제어 유닛; 증발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2 제어 유닛; 팽창 밸브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냉매의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에서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작동을 조절하는 메인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는 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된 공통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통 매개변수는 유량이 되고, 제1 제어 유닛 및 제2 제어 유닛에 의하여 각각 순환 팬의 작동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공통 매개변수를 선택하는 단계; 응축기 및 증발기의 상태 정보를 탐지하고, 공통 매개변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탐지된 상태 정보 및 획득된 공통 매개변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응축기 및 증발기의 팬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팽창 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의 팬은 독립적으로 작동이 조절되고, 팽창 밸브의 유동은 원형 단면적의 지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는 공통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냉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냉동 공간의 상태에 따라 증발기의 작동 조건을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냉동 공간의 온도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에서 응축기의 작동이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유량 조절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에서 증발기의 작동이 제어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동 탑차의 냉동 공간의 냉동 상태를 조절하는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는 응축기(11)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1 제어 유닛(113); 증발기(13)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2 제어 유닛(133); 팽창 밸브(12)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냉매의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 모듈(14); 및 센서 모듈(14)에서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작동을 조절하는 메인 제어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11) 및 증발기(13)는 센서 모듈(14)로부터 전송된 공통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는 냉동차, 냉동 탑차 또는 이와 유사한 냉동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냉동 또는 냉장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냉동 시스템은 냉매의 액화 및 기화로 인한 열 교환에 기초하고, 냉매의 유동 및 상변화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냉동 공간의 온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응축기(11)로 냉매가 유입되어 냉매가 유도관을 통하여 유동되면서 냉각이 되면서 고압 액체 상태로 될 수 있고, 응축 과정에서 열 교환이 될 수 있다. 열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응축기 팬(111)이 작동될 수 있고, 응축기 팬(111)은 제1 제어 유닛(113)에 의하여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응축기 팬(111)은 응축기 주변의 공기 순환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냉매의 상태를 탐지하는 제1 상태 탐지 유닛(CP1)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태 탐지 유닛(CP1)에 의하여 응축기(11)로 유입되거나, 응축기(1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양, 온도 또는 압력이 탐지되어 센서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센서 모듈(14)은 전송된 탐지 정보로부터 응축기 팬(111)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1 제어 유닛(113)으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제어 유닛(113)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동 모터(112)의 작동 수준을 조절하여 응축기 팬(11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기 팬(111)의 작동 상태에 냉매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냉매의 순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응축기(11)에서 응축이 된 냉매는 팽창 밸브(12)로 이송될 수 있고, 팽창 밸브(12)는 예를 들어 온도 감응 방식 또는 전자식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전자식 팽창 밸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팽창 밸브(12)에서 유량이 조절되어 증발기(13)로 공급된 냉매는 기화가 되면서 냉각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13)로 유입되는 냉매의 상태가 제2 상태 탐지 유닛(CP2)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탐지된 정보는 센서 모듈(14)로 전송되어 처리될 수 있다. 냉동 공간의 내부 공기가 순환되면서 냉동 공간의 내부 온도가 조절될 수 있고, 냉동 공간의 공기 순환을 위하여 순환 모터(132)에 의하여 작동되는 순환 팬(131)이 설치될 수 있다. 순환 팬(131)의 작동 여부는 제2 제어 유닛(13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유입되는 냉매의 상태 또는 냉동 공간의 상태에 기초하여 순환 팬(131)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증발기(13)로 유입되는 냉매의 상태는 예를 들어 온도, 압력 또는 유량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탐지된 냉매의 상태가 센서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모듈(14)은 순환 팬(131)의 작동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제2 제어 유닛(13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 유닛(133)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순환 모터(132)의 작동 수준을 조절하여 순환 팬(13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순환 팬(131)은 응축기 팬(111)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각각의 작동은 제1 제어 유닛(113) 및 제2 제어 유닛(13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응축기(11), 팽창 밸브(12) 및 증발기(13)에서 탐지된 정보는 센서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고, 센서 모듈(14)은 탐지된 정보를 제1 제어 유닛(113) 및 제2 제어 유닛(133)으로 전송할 수 있고, 각각 응축기 팬(111) 및 순환 팬(131)의 작동 수준이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4)에서 탐지된 정보는 메인 제어 모듈(15)로 전송될 수 있다. 메인 제어 모듈(15)은 응축기 팬(111)의 작동 수준을 결정하는 제1 작동 데이터(161) 및 순환 팬(131)의 작동 수준을 결정하는 제2 작동 데이터(162)를 생성하여 각각 제1 제어 유닛(113) 및 제2 제어 유닛(133)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4)에 작동 인자 추출 유닛(141)이 설치되어 응축기 팬(111), 순환 팬(131) 및 팽창 밸브(12)의 작동 수준을 결정하는 공통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매개변수는 냉매의 유량의 될 수 있고, 응축기(11), 팽창 밸브(12) 및 증발기(13)에서 냉매의 유동이 각각 탐지되어 제1 제어 유닛(113) 및 제 2제어 유닛(13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구간에서 냉매의 유량이 공통 매개변수가 되어 응축기(11), 팽창 밸브(12) 및 증발기(13)의 작동이 서로 관련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냉매의 유량은 응축기(11), 팽창 밸브(12) 및 증발기(13)에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고, 응축기(11) 및 증발기(13)에서 응축기 팬(111) 및 순환 팬(131)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냉매가 정해진 조건으로 증발기(13)로 유도되어 냉각 공간이 효율적으로 냉각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냉매의 유량에 따라 응축기 팬(11) 및 순환 팬(131)의 작동 수준을 조절하여 냉매가 정해진 온도 및 압력 조건으로 증발기(13)로 유입되고, 냉각 공간에서 순환이 되도록 한다.
응축기 팬(111), 순환 팬(131)의 작동 수준 및 팽창 밸브(12)의 유동 수준의 조절은 다양한 공통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에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에서 응축기의 작동이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유입 도관(211)을 통하여 응축기(11)로 유도될 수 있고, 응축기(11)의 내부에서 응축 및 냉각되어 배출 도관(212)을 통하여 팽창 밸브로 유도될 수 있다. 유입 도관(211) 및 배출 도관(212)에 각각 제1, 2 온도 센서(CS1, CS2)가 설치되어 유입 및 배출이 되는 냉매의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11)의 표면 상태를 탐지하는 접촉 탐지 유닛(22)이 설치될 수 있고, 접촉 탐지 유닛(22)에 의하여 증발기(11) 내부의 냉매 유동 라인 또는 그에 인접한 외부의 온도 또는 압력이 탐지되어 탐지 처리 모듈(24)로 전송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22)은 응축기 팬(111)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작동 개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탐지 유닛(22)에 탐지된 응축기의 외부 온도가 미리 결정된 수준이 되면 탐지 처리 모듈(24)로 작동 개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작동 중지 신호를 탐지 처리 모듈(24)로 전송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증발기(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이 유량 탐지 유닛(23)에 의하여 탐지되어 탐지 처리 모듈(24)로 전송될 수 있다. 탐지 처리 모듈(24)은 유량 변화 또는 외부의 온도 변화를 제1 제어 유닛(11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유닛(113)은 전송된 정보 또는 응축기 팬(111)의 작동 시간에 기초하여 제1 구동 모터(112)의 작동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축기 팬(111)을 효율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압축기 및 증발기의 작동에 따른 전력 소비가 감소되도록 하면서 온도 변화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에서 전자 팽창 밸브의 유량 조절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팽창 밸브(12)는 전자식 팽창 밸브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팽창 밸브(12)는 밸브 몸체(31); 밸브 몸체(31)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자(321a, 321b)와 회전자(331a, 331b)로 이루어지는 조절 모터; 조절 모터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제어 유닛(35); 및 조절 모터에 연결된 조절 축(341); 및 조절 축(341)에 의하여 유동 수준을 조절하는 밸브(34)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냉매 경로(CP)를 통하여 유동될 수 있고, 냉매 경로(CP)의 유동 수준이 조절 모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냉매 경로(CP)를 흐르는 냉매의 양이 유량 센서(FS)에 의하여 탐지되어 도 1에서 설명된 센서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냉매 경로(CP)를 흐르는 냉매의 양은 냉매 경로(CP)의 원형 단면적의 지름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 경로(CP)를 흐르는 냉매의 양은 밸브(34)의 지름은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냉매의 양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팽창 밸브(12)로부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에서 증발기의 작동이 제어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냉매 라인(CL)을 통하여 냉매가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가 될 수 있고, 냉매 라인(CL)에 유량 센서(FS)가 설치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의 탐지될 수 있다. 증발기의 내부에서 냉매가 기화가 될 수 있고, 순환 팬이 증발기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는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되는 케이스(41); 케이스(41)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 몸체(43); 작동 몸체(43)의 위쪽에 형성된 순환 출구(42); 및 작동 몸체(43)의 아래쪽에 형성된 순환 입구(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몸체(43)의 내부에 냉매 유도 관 및 순환 팬이 배치될 수 있고, 작동 몸체(43)의 표면, 순환 출구(42) 및 냉동 공간에 각각 제1, 2 및 3 탐지 센서(DS1, DS2, DS3)가 설치될 수 있고, 제1, 2 및 3 탐지 센서(DS1, DS2, DS3)에 의하여 온도 또는 압력이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탐지 센서(DS1)에 의하여 작동 몸체(43)의 온도가 탐지될 수 있고, 순환 팬은 기본적으로 작동 몸체(43)의 온도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2, 3 탐지 센서(DS2, DS3)에 의하여 온도 및 압력이 탐지될 수 있다. 제1, 2 및 3 탐지 센서(DS1, DS2, DS3)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온도/압력 처리 모듈(46)로 전송될 수 있다. 온도/압력 처리 모듈(46)은 주기적으로 탐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팬 구동 모듈(47)을 작동시킬 수 있다. 팬 구동 모듈(47)에 의하여 순환 팬이 작동될 수 있고, 순환 팬은 기본적으로 작동 몸체(43)의 표면 온도에 기초하여 작동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순환 팬의 작동 시간이 제2, 3 탐지 센서(DS2, DS3)에 의하여 탐지된 온도 변화 및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 팬의 작동은 제1 탐지 센서(DS1)에서 탐지된 온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에 이르면 개시될 수 있다. 이후 제2 또는 3 탐지 센서(DS2 또는 DS3)에서 탐지된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라 작동 수준이 결정될 수 있고, 압력 및 온도 변화가 작아질수록 작동 수준이 작아지는 피드백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탐지 센서(DS1)는 도 2에서 설명된 접촉 탐지 센서와 마찬가지로 작동 개시 신호 또는 작동 중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위치의 온도 또는 압력이 탐지되어 온도/압력 처리 모듈(46)로 전송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응축기 팬과 순환 팬은 각각의 온도 또는 압력 조건에 따라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냉매의 유동 수준에 기초하여 작동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인 본 발명에 따른 냉동 탑차의 냉동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은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공통 매개변수를 선택하는 단계; 응축기 및 증발기의 상태 정보를 탐지하고, 공통 매개변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탐지된 상태 정보 및 획득된 공통 매개변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응축기 및 증발기의 팬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팽창 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의 팬은 독립적으로 작동이 조절되고, 팽창 밸브의 유동은 원형 단면적의 지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된다. 공통 매개변수는 냉매의 유동 양이 될 수 있고, 냉매의 유동 양은 일정 구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의 유동 양은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 밸브에서 측정이 될 수 있고, 냉매의 유동 양에 따른 냉동 공간에서 냉동 수준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응축기 및 증발기에서 응축기 팬 및 순환 팬을 독립적으로 작동시켜 유동 탐지 구간에서 냉매가 정해진 온도 범위에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냉매의 온도 제어 및 그에 따른 냉동 공간의 냉동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는 공통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냉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냉동 공간의 상태에 따라 증발기의 작동 조건을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냉동 공간의 온도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응축기 12: 팽창 밸브
13: 증발기 14: 센서 모듈
15: 메인 제어 모듈 22: 접촉 탐지 유닛
23: 유량 탐지 유닛 24: 탐지 처리 모듈
31: 밸브 몸체 34: 밸브
35: 회전 제어 유닛 41: 케이스
42: 순환 출구 43: 작동 몸체
44: 순환 입구 46: 온도/압력 처리 모듈
47: 팬 구동 모듈 111: 응축기 팬
112: 제1 구동 모터 113: 제1 제어 유닛
131: 순환 팬 132: 순환 모터
133: 제2 제어 유닛 141: 작동 인자 추출 유닛
161: 제1 작동 데이터 162: 제2 작동 데이터
211: 유입 도관 212: 배출 도관
321a, 321b: 고정자 331a, 331b: 회전자
341: 조절 축 CL: 냉매 라인
CP: 냉매 경로 CP1: 제1 상태 탐지 유닛
CP2: 제2 상태 탐지 유닛 CS1, CS2: 제1, 2 온도 센서
DS1, DS2, DS3: 제1, 2, 3 탐지 센서
FS: 유량 센서

Claims (3)

  1. 냉동 탑차의 냉동 공간의 냉동 상태를 조절하는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응축기(11)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1 제어 유닛(113);
    증발기(13)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2 제어 유닛(133);
    팽창 밸브(12)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냉매의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 모듈(14); 및
    센서 모듈(14)에서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작동을 조절하는 메인 제어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11) 및 증발기(13)는 센서 모듈(14)로부터 전송된 공통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통 매개변수는 유량이 되고, 제1 제어 유닛(113) 및 제2 제어 유닛(133)에 의하여 각각 순환 팬(111, 131)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3. 냉동 탑차의 냉동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공통 매개변수를 선택하는 단계;
    응축기 및 증발기의 상태 정보를 탐지하고, 공통 매개변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탐지된 상태 정보 및 획득된 공통 매개변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응축기 및 증발기의 팬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팽창 밸브의 유동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의 팬은 독립적으로 작동이 조절되고, 팽창 밸브의 유동은 원형 단면적의 지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상태의 조절 방법.
KR1020180149163A 2018-11-28 2018-11-28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3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63A KR102135670B1 (ko) 2018-11-28 2018-11-28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63A KR102135670B1 (ko) 2018-11-28 2018-11-28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72A true KR20200063472A (ko) 2020-06-05
KR102135670B1 KR102135670B1 (ko) 2020-07-20

Family

ID=7108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163A KR102135670B1 (ko) 2018-11-28 2018-11-28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6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46A (ko) * 1999-05-04 2000-12-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WO2002014724A1 (fr) 2000-08-11 2002-02-21 Kabushiki Kaisha Saginomiya Seisakusho Clapet selecteur motorise et dispositif a cycle frigorifique pour combine refrigerateur-congelateur
KR20050099799A (ko)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자 팽창밸브 제어 방법
JP2017532688A (ja) * 2015-03-06 2017-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並びに空調システムの動作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46A (ko) * 1999-05-04 2000-12-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WO2002014724A1 (fr) 2000-08-11 2002-02-21 Kabushiki Kaisha Saginomiya Seisakusho Clapet selecteur motorise et dispositif a cycle frigorifique pour combine refrigerateur-congelateur
KR20050099799A (ko)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자 팽창밸브 제어 방법
JP2017532688A (ja) * 2015-03-06 2017-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並びに空調システムの動作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670B1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385B1 (ko) 모터 하우징 온도 제어장치
EP210256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operating in free cooling mode
US8813511B2 (en)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condenser fans
US20110083450A1 (en) Refrigerant System With Stator Heater
KR101602741B1 (ko) 항온액 순환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US10330106B2 (en) Centrifugal compressor with surge control
EP3324133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2012072920A (ja) 冷凍装置
TWI801460B (zh) 暖通空調(hvac)系統、用於蒸氣壓縮系統之控制方法以及相關機器可讀媒體
JP2013194999A (ja) ターボ冷凍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5412193B2 (ja) ターボ冷凍機
JP2004353916A (ja) 温度制御方法及び空調機
KR102135670B1 (ko) 온도 및 압력 탐지 기반의 냉동 차량의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854882B2 (ja) チリングユニット
CN113108431B (zh) 一种5g用直流空调机柜空调器的控制方法
CN107300262A (zh) 一种智能化冷凝系统及其控制方法
JPH11201563A (ja) 冷却装置
KR102052341B1 (ko) 다양한 냉매에 적용되는 차량용 냉동 시스템을 위한 전자 팽창 제어 밸브 장치
JP2008089222A (ja) ターボ冷凍機の制御方法
KR101414579B1 (ko) 인버터 쇼케이스 시스템
JP2018025166A (ja) 空気圧縮システム
JP2001280259A (ja) 冷媒圧縮機
JP2002221381A (ja) 冷凍機
JP2005283078A (ja) 空気調和機
KR20030054961A (ko) 냉장고의 초기구동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