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704A -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 Google Patents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704A
KR20200062704A KR1020180148401A KR20180148401A KR20200062704A KR 20200062704 A KR20200062704 A KR 20200062704A KR 1020180148401 A KR1020180148401 A KR 1020180148401A KR 20180148401 A KR20180148401 A KR 20180148401A KR 20200062704 A KR20200062704 A KR 20200062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device
protected
earthquake
earthquake respons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솔테크
Priority to KR102018014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2704A/ko
Publication of KR2020006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물, 문화재, 석조물과 같은 전시물에 지진대응장치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 전시물은 낚시줄이나 별도의 고정대를 보호대상물 뒤편에 설치하는 등 지진에 대한 대비를 하여 왔다. 하지만 전시물 소유자는 지진격리장치를 사용하게 되면서 이러한 고정물이 필요 없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진대응장치를 적용하는 전시물에 대해 낚시줄이나 별도의 고정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전시대 및 지진대응장치를 제공하여 전시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여 준다.

Description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seismic response devices combined with multiple exhibition halls}
본 발명은 유물, 문화재, 석조물과 같은 전시물을 탑재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면이 돌출된 촉이 구비되는 등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는 전시물을 전시대에 확실하게 고정하지 않으면 지진 시 전도되어 손상이 될 수 있으므로 지진대응장치와 결합하여 보호대상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물, 문화재, 석조물용 지진대응장치(100)라 함은 지진 발생 시 보호대상물 (전시물 : 유물, 문화재, 석조물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지진격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들을 지칭한다.
상기 지진대응장치(100)는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101)과 하판(102)으로 구성되고, 지진격리 기능을 위해 볼 또는 스프링, LM가이드, 롤러 등의 구성요소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진대응장치(100)의 지진격리 기능의 방식은 상판(101)과 하판(102)이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지진격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0-0060866호의 면진장치는 소형의 보호대상물을 지지하여 지진의 진동에너지를 흡수 및 감쇠시킬 수 있어, 지진이 발생된 지반으로부터 대상물을 격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소형 기기에 대한 면진장치의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면진장치 역시 보호대상물을 고정하는 장치가 없기때문에 전도될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진대응장치(100)나 면진장치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시물을 낚시줄(31)이나 별도의 고정대를 보호대상물 뒤편에 설치하는 등 지진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전시주관자는 전시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지진대응장치를 사용하면서 이러한 고정물이 필요 없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08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지진대응장치를 적용하여 지진 충격에 보호대상물인 유물의 충격을 최소화 하되 낚시줄 등 관람객의 시선에 보이는 고정물을 제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시대(200)를 다겹으로 구성하되 1겹의 케이스(140)에서는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단단히 잡아주도록 하고 다른 1겹의 외장구조물(230)에서는 전시 디자인에 맞도록 구비한 전시대(20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시대(200)는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과 핀이나 볼트 등의 고정기구물(210)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지진대응장치(100)와 전시대(200) 간을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시물인 보호대상물(10)을 낚시줄(31)이나 관람객의 눈에 보이는 고정대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진에 대응이 가능하여 보호대상물(10)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전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형태의 전시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지진대응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대와 지진대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 사시도이다. (1단 고정구조물, 2단 고정구조물)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틀 방식의 고정구조물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대 사시도이다.(고정구조물+외장구조물)
도 7a, 도 7b,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진대응장치 상판에 설치되는 바닥재 또는 케이스가 구비된 사시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진대응장치 가림막이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상물을 홀에 끼워 보호재로 고정한 상태의 지진대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하였을 때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전시물과 전시대, 바닥재, 지진대응장치로 구성하여 표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진대응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보호대상물(20)을 지진대응장치(100)에 설치할 경우 전시대(200)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1겹은 케이스(140)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고정기구물(210)로 단단히 잡아주도록 형성하고, 다른 1겹은 전시 디자인에 맞도록 구비한 보호대상물(10)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외장구조물(23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주요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진을 격리하는 지진대응장치(100)를 구성하는 지진대응구동부(110)는 스프링&LM가이드, 볼 & 롤링부, 롤러 방식 등을 적용하여 상판(101)과 하판(102)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기술의 편의를 위하여 볼&롤링부로 구성되어 지진을 격리하여 주는 지진대응구동부(1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전시대(20)는 일반적으로 1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호대상물(10)인 전시물의 형태와 색상에 따라 전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시대(20)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보호대상물(10)인 전시물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 낚시줄이나 고정대를 설치하여 보호대상물(10)을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낚시줄이나 고정대는 관람객의 시선을 불편하게 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보호대상물(10)의 고정 방법은 소형 지진에는 대응이 가능하나 대형지진 발생 시 효과가 없으면서도 관람객의 시선을 불편하게 하여 전시효과를 떨어뜨린다.
그래서, 전시주관자는 항상 지진에 대응을 하면서도 관람객의 시선에 보이지 않도록 보호대상물인 전시물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원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전시장에서는 지진대응장치(100)를 사용을 하고자 하나 지진대응장치(100)도 지진을 100% 격리하지 않기 때문에 10~40%의 충격이 전시물인 보호대상물(10)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호대상물(10)인 전시물을 완벽하게 고정하면서 고정기구물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일반적인 지진대응장치(100)를 보여주고 있으며 스프링&LM가이드, 볼 & 롤링부 방식, 롤러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상판(101)과 하판(102)의 엇갈리는 방향으로의 지진대응구동부(110)의 운동이 발생되면서 지진격리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보호대상물(10)은 고정물(30)로 고정한 후 외장구조물로(230)로 고정물(30)을 가려주고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지진격리장치(100)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진격리장치(100)를 사용하면서 낚시줄(31) 등과 같은 관람객의 시선을 불편하게 할 수 있는 고정물이 없어도 되도록 발명하였다.
도 3에서는 발명한 전시대(20)와 지진대응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지진대응장치(100)는 지진을 격리하여 전시대(20)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주고 상기 전시대(20)의 고정기구물(210)에서 보호대상물(20)의 하부를 잡아주어 지진 발생 시에도 전시물인 보호대상물(20)의 흔들림을 아주 적게 하여 주어 보호한다.
상기 고정구조물(20)은 다방향에서 가변되어 전시물인 보호대상물(20)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변을 시킬 수 있으며 일례로 4각 프레임(211) 형태에 프레임(211) 중간 중간에 홀과 볼트 형태의 고정기구물(210)을 구비하도록 하여 다방향에서 유물의 하부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기구물(210)은 1겹은 가변형 프레임(211)을 사방에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211)에는 각각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변형볼트(214)를 장착하여 가변형볼트(214)의 단부에 마찰보호대(213)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1겹은 전시 디자인에 맞도록 구비한 보호대상물(10)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외장구조물(230)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외장구조물(230)은 중앙부에는 대호대상물(1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231)이 천공되어 있다.
이때 보호대상물(10)의 하단이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고정기구물(210)의 끝단에는 우레탄과 같은 마찰력이 큰 소재를 부착한 마찰보호대(213)를 사용하면 효과가 더욱 클 것이다. 상기 고정기구물(210)의 끝단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형이외에도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찰보호대(213)가 2개로 분리된 형태의 분리형, 다각형으로 형성된 ㄱ자형, 곡선으로 형성된 호형 등 유물의 하부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기구물(210)은 항상 어떤 형태로든지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01)과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외장구조물(230)은 고정기구물(2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관람객의 눈에 띄지 않도록 형성되고, 항상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01)와 결합된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기구물(210)이 외장구조물(230)과 결합되고, 상기 외장구조물(230)이 지진대응장치(100) 상판(101)과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사항을 모두 포함하여 고정기구물(210) 및 외장구조물(230)이 지진대응장치(100) 상판(101)와 결합된 것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일례이며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다양한 개발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서는 다방향에서 가변적으로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고정하여 주도록 고정기구물(210)을 구성하되 더 견고히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고정하는 다단고정기구물(220)을 발명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고정기구물(210)은 도 3의 발명과 동일하나 수직방향의 다단으로 고정기구물(210)을 구비한다는 것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고정기구물(210)을 상부측에 서로 다른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는 보호대상물(10)의 하부에 촉이 있는 경우 등 보호대상물(10) 하부의 형태가 균일하지 못하면서 다단으로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하부 깊이를 가지는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211)을 다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211)과 프레임(211) 간은 볼트를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하여야 한다. 각 프레임(211)에는 다방향, 다수의 가변구조물이 구비된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틀(240) 방식의 고정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각틀(240)에는 빨리 굳는 액상형 소재 또는 경화재를 혼합한 액상형 소재(241)를 투입한 후, 유물 등의 보호대상물(10)을 안착하여 보호대상물(10)의 하부 형태와 일치하는 고정 받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형재(245)를 유물 등의 보호대상물(10)의 하부에 바르면 보호대상물(10)의 하부와 액상형 소재(241)가 분리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액상형 소재(241)를 사용하지 않고, 젤리 형태의 소재 또는 형태를 잡아 줄 수 있는 고체형 소재(242)나 액체형 소제(243)를 사각틀(240) 안에 투입하고 보호대상물(10)을 안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최대한 유물 등의 보호대상물(10)의 하부와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사각틀(240)은 지진대응장치(100) 상판(121)와 결합된 케이스(14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호대상물(10)의 하부와 결합된 액상형 소재(241)의 하부는 볼트 또는 핀 형태 등의 고정체(300)와 결합하여 일체가 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물 등의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고정구조물인 사각틀(240)로 잡아준 후, 도 5a의 방법을 적용하여 유물 등의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들 조정구조물 및 사각틀(240)은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과 결합하여 유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때 사각틀(240)은 지지판(301)에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301)은 고정체(300)와 결합하여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과 결합하여 구성한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구조물(230)은 고정기구물(210)을 감싸는 형태이며 외장구조물(230)은 관람객이 고정기구물(210)을 볼 수 없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기구물(210) 및 외장구조물(230)은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와 핀형고정물 또는 볼트등의 고정체(300)를 이용하여 고정되어야 한다.
또한, 도 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진대응장치(100)는 지진대응구동부(110)가 분리되어 전시대(200)의 하부와 각각 결합될 수도 있고, 지진대응구동부(110) 2개 이상이 판에 결합된 후 판과 전시대(200)의 하부가 결합될 수도 있고, 지진대응구동부(110) 2개 이상이 판에 결합된 후 판 위에 바닥재 또는 케이스(140)가 결합된 후 전시대(20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진대응장치(100)가 관람객으로부터 시선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140)의 하부에는 가림막(400)이 형성되어 지진대응장치(100)를 가려주도록 구성한다.
또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대상물을 고정하는 사각틀(240)의 하부면은 고정체(300)에 의해서 케이스(140)와 결합하여 구성한다.
또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재(130)는 평판 형태 또는 프레임 형태(140)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전시진열장도 전시대(200)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지진대응구동부, 판, 바닥재)과 결합된 형태이다. 전시진열장과 전시대(200)의 하부는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41)와 유격이 없도록 최대한 볼팅 등의 고정체(300)으로 고정한다.
도 8은 관람객이 지진대응장치(100)를 보지 못하도록 하되 지진 발생 시 지진대응장치(100)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는 가림막(400)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가림막(400)은 띠자석(420)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띠자석(400)만 적용할 수도 있으며, 띠자석(400)의 겉면에 얇은 철판 또는 목재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띠자석(400)을 사용하지 않고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방향으로 스윙하는 가림막(400)을 스윙가림막(410)으로 구비할 수 있는 데, 이때는 가림막(400) 자체 또는 지진대응장치(100) 측면 방향 또는 전시대(200) 하부 측면방향에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500)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띠자석(410)을 활용하거나 띠자석(410)에 판을 부착한 방식은 전시대(200)나 지진대응장치(100) 측면에 어떠한 가공을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가림막(410)이 지진대응장치(100)에 장착하여 한쪽 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는 보호대상물(10)의 하부 측면을 가공하여 자석(500)을 장착하거나 전시대(200)가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보다 약간 크게하여 스윙구조를 가지도록 경첩 등이 부착되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틀(240)의 내부를 보호대상물(10)의 하부와 유사하게 홀(247)을 만들고 상기 홀(247)에 보호대상물(10)의 하부가 끼이도록 한다. 이때, 이형재(245)를 유물 등의 보호대상물(10)의 하부에 바르면 보호대상물(10)의 하부와 액상형 소재(241)가 분리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진대응장치(100)에 유물 등의 보호대상물(10)을 전시하였을 때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유물 등의 보호대상물(10)과 전시대(200)의 고정기구물(210), 외장구조물(230), 케이스(140) 및 바닥재(130), 가림막(400), 지진대응장치(100)를 분리 및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표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보호대상물 30. 고정물
31. 낚시줄 100. 지진대응장치
110. 지진대응구동부 111. 볼&롤링부
121. 상판 122. 하판
130. 바닥재 140. 케이스
200. 전시대 210. 고정기구물
211. 프레임 212. 가변구조물
213. 마찰소재 220. 다단고정기구물
230. 외장구조물 240. 사각틀
241. 액상형 소재 242. 고체형 소재
243. 액체형 소재 245. 이형재
247. 홀 300. 고정체(고정볼트, 핀형 고정체)
400. 가림막 410. 스윙가림막
420. 띠자석 500. 자석

Claims (10)

  1. 보호대상물(10)의 하부에 전시대(200)와 지진대응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기구물(210)과 상기 고정기구물(210)을 겉에서 감싸는 외장기구물(23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기구물(210)과 외장기구물(230)이 하부에 있는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와 고정체(300)로 고정되어 지진 발생 시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과 전시대(200)가 같은 방향의 운동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기구물(230)을 목재로 형성하되, 고정구조물(210)은 보호대상물(10)의 하부형태에 맞추어 홀(24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물(210)의 다방향에 가변구조물이 부착되어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다방향에서 고정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물(210)이 수직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 고정구조물(210)의 다방향에 가변구조물이 구비되어 다방향 및 다단으로 보호대상물의 하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물(10)의 하부에 사각틀(240)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틀(240)의 내부에 굳어져서 고체화가 되는 액상형 소재(241), 고체형 소재(242), 액체형 소재(243)가 충진되어 보호대상물(10)의 하면과 유사한 형태로 보호대상물(10)의 하면을 고정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대(200)의 하단에 지진대응장치(100)를 구비하되, 상기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에 별도로 목재판 또는 철판이 바닥재(130) 또는 케이스(140)의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기구물(210)과 외장기구물(230)이 핀형 또는 볼트로 형성되는 고정체(300)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대응장치(100) 측면에 가림막(400)을 형성하되, 상기 가림막(400)은 띠자석(420)으로 구비되어 관람객에게 지진대응장치(100)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가림막(400)은 한쪽 방향으로 스윙하는 스윙가림막(410)으로 형성되고, 스윙가림막(410) 또는 지진대응장치(100) 측면에 자석(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대(200)를 다겹으로 구성하되 1겹의 케이스(140)에서는 보호대상물(10)의 하부를 단단히 잡아주도록 형성하고, 다른 1겹의 외장구조물(230)에서는 전시 디자인에 맞도록 구비한 전시대(20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대(200)는 지진대응장치(100)의 상판(121)과 핀이나 볼트 등의 고정기구물(210)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지진대응장치(100)와 전시대(200) 간을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KR1020180148401A 2018-11-27 2018-11-27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KR20200062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401A KR20200062704A (ko) 2018-11-27 2018-11-27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401A KR20200062704A (ko) 2018-11-27 2018-11-27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704A true KR20200062704A (ko) 2020-06-04

Family

ID=7108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401A KR20200062704A (ko) 2018-11-27 2018-11-27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27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696B1 (ko) * 2022-02-23 2022-10-21 주식회사 참솔테크 면진기능을 갖는 스마트 진열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0866A (ko) 2008-11-28 2010-06-07 한국원자력연구원 면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0866A (ko) 2008-11-28 2010-06-07 한국원자력연구원 면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696B1 (ko) * 2022-02-23 2022-10-21 주식회사 참솔테크 면진기능을 갖는 스마트 진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6079A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1774276B1 (ko) 판스프링과 적층식 면진판을 이용한 수배전반 외함용 면진장치
KR101704468B1 (ko) 수직보강부재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20200062704A (ko) 다겹의 전시대와 결합된 지진대응장치
KR101972157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1820473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102098664B1 (ko)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KR101862069B1 (ko) 방진 및 내진용 설비 거치대의 구조.
JP2006153210A (ja) 免震装置
KR20120058283A (ko) 면진 가대
KR101289555B1 (ko) 내진기능을 구비한 함체
KR102061150B1 (ko) 최소 높이 구조의 면진 장치
JP2008267396A (ja) 免震装置及び該免震装置を備えた什器
KR102454855B1 (ko) 면진 기능을 갖는 전시용 진열장
KR101884782B1 (ko) 면진모듈 가림장치를 구비한 면진 진열함
KR20210029350A (ko) 수평조절기능을 구비한 면진장치
KR10175770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20160087447A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863859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KR20210017872A (ko) 가변구조 내진스토퍼
JP3138538U (ja) 耐震用台座とその誤作動防止用段差付楔体
JP2000046105A (ja) 免震台
JP2007078012A (ja) 免震装置
JPH0450368Y2 (ko)
KR102270938B1 (ko) 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