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664B1 -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664B1
KR102098664B1 KR1020190166719A KR20190166719A KR102098664B1 KR 102098664 B1 KR102098664 B1 KR 102098664B1 KR 1020190166719 A KR1020190166719 A KR 1020190166719A KR 20190166719 A KR20190166719 A KR 20190166719A KR 102098664 B1 KR102098664 B1 KR 102098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eismic
hole
artifact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엠아이티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엠아이티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엠아이티존
Priority to KR102019016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djustable, foldable or easily dismoun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4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using combinations of springs of different k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와이어로프가 종방향 뿐만아니라 횡방향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방진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유물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관에 설치되며, 박스체로 형성되고, 유물이 상부에 배치되는 테이블에 안착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이 개구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물이 안착되는 안착체;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 각각이 상기 거치대와 상기 안착체에 배치되는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 각각이 상기 안착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에 결합되고, 캐스터볼이 형성되는 타단이 상기 안착체에 밀착되는 볼캐스터 지지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RELIC PEDESTAL HAVING A SEISMIC FUNCTION}
본 발명은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쇼케이스 내에 진열된 유물에 가해지는 진동이 흡수되도록 방진하여 유물이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물은 박물관과 같이 관람을 위한 전시장에 비치되어 지는데, 이 경우, 유물은 먼지 및 습기로부터 보호되도록 유리형 쇼케이스에 밀폐되어 비치된다.
한편, 2016년 09월 12일날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은 리히터 규모 5.8지진으로써, 건물 내벽에 금이 갈 정도로 건물의 흔들림이 심하고, 돌담 및 축대가 무너질 정도의 규모에 해당하는 지진으로써, 대한민국 지진 관측 이래 역대적으로 가장 강력한 지진이였다.
이와 같은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대부분의 쇼케이스는 큰 흔들림으로 인하여 유물이 강하게 떨림으로써, 유물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유물이 옆으로 넘어졌을때의 충격으로 인해 유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그에 따라, 유물용 쇼케이스에 설치할 수 있는 내진 장치를 살펴보면, 스프링 및 댐퍼를 이용한 쇼크 업소버와 같은 장치를 쇼케이스의 하부 부근에 설치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쇼크 업소버와 같은 내진 장치는 지지물의 하중이 매우 큰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도자기와 같이 유물의 중량이 매우 적은 상태인 경우, 유물에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진하기 어려운게 현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진에 의해 유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방진하기 위한 내진 장치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8661호인 문헌1을 살펴보면, 문헌1은 지진 발생 시 전달되는 지진파를 흡수할 수 있게 하는 면진 기능을 가지는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문헌1의 전시용 진열장은, 면진기능을 가지는 4개의 단위면진부재들로 이루어진 면진수단; 및 단위면진부재에 대응하는 제 1, 제 2 , 제 3 및 제 4 단위연결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제 1, 제 2 , 제 3 및 제 4 단위연결부재들은 단위면진부재 사이의 거리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단위면진부재들이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되게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단위면진부재들은 제 1, 제 2 , 제 3 및 제 4 단위연결부재들을 매개로 전시용 진열장의 하부기계실 하부에 고정되어 박물관 또는 전시관의 실내바닥에 전시용 진열장을 받쳐 지지하는 면진 기능을 가지는 전시용 진열장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헌1에 개시된 면진 기능을 가지는 전시용 진열장은 진열장을 받치는 연결수단인 높이조절백(문헌1의 도면부호 42a, 42b, 42c, 42d)에 공압을 공급하여 면진을 수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쇼케이스의 면진을 위하여 공압을 쇼케이스에 공급하는 장치는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설비라인, 공압탱크 및, 공기압축기를 별도로 구성해야만 한다.
따라서, 문헌1의 전시용 진열장은 쇼케이스의 제작비용이 매우 고가일 수 밖에 없으며, 쇼케이스가 기설치된 이후에 공압라인의 파손이라도 발생하게 되면, 공압라인의 공압누수에 의한 쇼케이스의 오염이나 소음이 발생하기도 하며, 최악의 경우에는 일부에만 공압이 공급되어 쇼케이스의 균형이 무너짐으로써 유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기도 한다.
나아가, 공압을 이용하여 지진의 가진력을 방진하기 위해서는 공압을 지속적으로 공급한다고 해서 지진의 가진력이 방진되는 것이 아니라, 가진력의 진폭방향에 따라 공압의 세기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능동형 방진시스템을 구성해야만 하는데, 문헌1의 전시용 진열장은 공압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때에 따라서는 지진 발생시에 지진의 진폭방향과 공압의 투사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방진은 불구하고 공진을 발생시킴으로써, 오히려 더 큰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한편, 문헌2에 개시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76412호인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진동 보호 시스템을 살펴보면, 태양광 발전시스템, 수전반, 배전반, 접속반, 인버터, 제어반(모터,펌프,히터 등),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하는 전기구조물에 적용가능하고, 진동 발생시 전기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하도록 기능하는 면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진동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문헌2의 면진 장치는,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 고정판(문헌2의 도면부호 110); 하부 고정판(문헌2의 도면부호 110)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편 지진동을 흡수하도록 탄성을 갖는 댐핑부(문헌2의 도면부호 120); 댐핑부(문헌2의 도면부호 110)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상부 고정판(문헌2의 도면부호 140); 상부 고정판(문헌2의 도면부호 140)과 하부 고정판(문헌2의 도면부호 11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대 변위 발생시 지진동을 흡수하여 소산시키는 텐션로드(문헌2의 도면부호 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면진 장치는 진동 발생시에 원뿔형 고무 형태의 댐핑부(문헌2의 도면부호 120)에 의해 댐핑 작용을 하면서, 와이어 로프 형태의 텐션로드(문헌2의 도면부호 130)가 탄성적으로 휘거나 변형되면서 지진 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헌2의 면진 장치는 텐션로드(문헌2의 도면부호 130)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동시에 댐핑부(문헌2의 도면부호 120)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종방향으로의 가진력에 대한 상쇄효과가 큰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문헌2의 면진 장치는 텐션로드가 복수 개 구성되되, 서로 간에 대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텐션로드(문헌2의 도면부호 130)가 서로 간에 대향하도록 복수 개 구성되는 이유는 구조물을 받칠 수 있는 강한 힘을 제공하면서,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더불어, 댐핑부(문헌2의 도면부호 120)도 원뿔형으로 구성되고 원뿔의 중심축이 종방향으로 배치됨으로서, 종방향으로의 댐핑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문헌2의 면진 장치는 구조물의 종방향으로 입력되는 가진력을 상쇄시키긴 하나, 횡방향으로의 가진력이 입력되는 경우, 서로 간에 대향하게 배치된 텐션로드(문헌2의 도면부호 130)들끼리 인력을 발생시키고 댐핑부(문헌2의 도면부호 120)도 원뿔형이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횡방향으로 원할하게 휘어지지 않게 구성되므로, 횡방향으로의 가진력을 원할히 상쇄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물 전시용 케이스에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텐션로드(문헌2의 도면부호 130)를 이용하여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텐션로드(문헌2의 도면부호 130) 및 댐핑부(문헌2의 도면부호 120)의 구성이 종방향 뿐만아니라 횡방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방진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한편, 유물 전시용 케이스는 사람의 눈 높이로 유물을 전시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 위치상의 테이블 위에 유물을 전시하게 된다. 이 경우, 지진에 의한 종방향 진동과 횡방향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테이블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횡방향의 진폭이 더욱 크게 형성되어, 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한 유물이 심하게 흔들려 균열이 발생하거나 쓰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유물 전시용 케이스는 유물이 받혀지는 높이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지진 발생시의 횡방향의 진폭이 적어지게 되는데, 맨 아래에 위치한 케이스의 바닥근처에는 횡방향의 진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헌2의 면진 장치를 유물 전시용 케이스의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 횡방향의 진폭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물 전시용 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유물은 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테이블의 하부가 아닌 테이블의 상부에서 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 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문헌2의 면진 장치는 케이스의 하부 가운데 적어도 3곳 이상을 지지해야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보통, 케이스는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4개의 귀퉁이 각각의 하부에 4개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진다.
이 경우, 문헌2의 면진 장치는 배전반과 같은 케이스에 설치되는데, 대부분의 배전반은 케이스의 내측 한쪽 면에 관련 부속물이 설치된다.
따라서, 배전반과 같은 종래의 케이스는 부속물들의 무게 중심이 관련 부속물이 설치된 케이스의 일면 방향으로 쏠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에 문헌2의 면진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부속물이 설치된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쏠림으로 인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이 경우, 지진과 같은 가진력에 의해 횡방향의 가진력을 입력받게 되면, 기울어진 상태에서 횡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므로, 배전반 내측에 설치된 부속물들이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결합위치가 틀어지게 되고, 결합위치의 틀어짐으로 인한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배전반과 같이, 무게 중심의 쏠림이 발생한 경우, 문헌2의 면진 장치는 높이를 조절하여 기기의 전체 무게중심을 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조절할 수 없는 기술적 해결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유물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높이 조절 기능에 의해 안착체의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횡방향의 가진력을 방진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이 필요하다.
한편, 문헌2의 면진 장치는 육안으로 보았을 때, 기계적인 장치들의 결합구조가 육안으로 보이게 되므로, 유물 쇼케이스와 같은 장치에 적용하게 되는 경우, 유물에 대한 미려함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물의 외측에 커버를 덧대어 면진 장치가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보통, 케이스는 금속형 박스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는 문헌2의 면진 장치는 육안으로 보이게 되므로, 유물에 대한 미려함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물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내진 장치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도록 커버를 구성하되, 커버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작비용이 최소로 소요되고, 나아가, 커버가 내진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다른 한편, 유물 쇼케이스는 크기에 따라 하나의 유물을 전시할 수 있는 규격과, 하나의 유물 쇼케이스 내에 여러 가지 유물을 전시할 수 있는 대형 규격등으로 다양한 형태가 있다. 여기서, 하나의 유물 쇼케이스에 여러 가지 유물을 전시하는 대형 규격의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대형 규격의 쇼케이스의 크기에 맞게끔 내진 장치의 크기도 조절해서 설치해야만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쇼케이스의 크기에 따라 내진 장치의 크기를 조절해서 설치하게 되면, 쇼케이스의 제작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나아가, 대형 쇼케이스에 수용되는 각각의 유물은 무게가 각기 다르고, 배치되는 위치도 다르기 때문에, 각기 다른 가진력을 입력받게 되므로, 그에 따른 내진 설계도 다르게 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유물이 배치되는 대형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내진이 필요한 유물에만 선택적으로 내진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또 다른 한편,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는 지진에 의해 가진력을 입력받아 종방향으로 떨리면서 횡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대부분의 쇼케이스는 건물의 바닥면과 결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지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방진을 위하여 문헌2의 면진장치가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지진에 의해 가진력 가운데 종방향의 떨림을 흡수하면서 횡방향으로 가진력을 입력받게 되는데, 이때, 문헌2의 면진장치는 바닥면으로부터 입력되는 횡방향의 가진력을 유물 전시용 케이스로 전달하게 되며, 횡방향 가진력을 입력받은 유물용 쇼케이스는 자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일정 진폭 흔들리게 되고, 자체적으로 떨리는 유물용 쇼케이스는 다시 문헌2의 면진장치측으로 횡방향 가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문헌2의 면진장치는 바닥면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유물 전시용 케이스와 같이 좌우로 유동하여 떨리게 된다.
이 경우, 문헌2의 면진장치는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의 자체 하중에 의해 바닥면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문헌2의 면진장치와 바닥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부들 부들 떨리면서 흔들리게 되어, 자체적으로 2차 가진력을 형성함으로써 유물이 불규칙적으로 더욱 흔들리도록 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헌2의 면진장치를 바닥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의 자유도가 마찰력에 의해 구속받지 않도록 바퀴와 같은 구름장치를 구성해야 하는데,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의 하부에 구름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가 작은 충격에도 움직이는 상태가 되므로, 관람객이 실수로 건들린 경우에도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가 쉽게 움직여 다른 물체와 부딛히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의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지진 발생시에 쇼케이스가 유동되지 않도록 바닥면과 결합한 상태에서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입력되는 가진력을 방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8661호(2019.08.08 공고) (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6412호(2019.05.10 공고) (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2944호(2018.12.27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와이어로프가 종방향 뿐만아니라 횡방향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방진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물 전시용 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유테이블의 하부가 아닌 테이블의 상부에서 내진기능이 수행되어 횡방향의 진폭이 최대화되는 지점에서 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물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높이 조절 기능에 의해 안착체의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횡방향의 가진력을 방진할 수 있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물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내진 장치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도록 커버를 구성하되, 커버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작비용이 최소로 소요되고, 나아가, 커버가 내진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여러 개의 유물이 배치되는 대형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내진이 필요한 유물에만 선택적으로 내진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의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지진 발생시에 쇼케이스가 유동되지 않도록 바닥면과 결합한 상태에서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입력되는 가진력을 방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유물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관에 설치되며, 박스체로 형성되고, 유물이 상부에 배치되는 테이블에 안착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이 개구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물이 안착되는 안착체;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 각각이 상기 거치대와 상기 안착체에 배치되는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 각각이 상기 안착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에 결합되고, 캐스터볼이 형성되는 타단이 상기 안착체에 밀착되는 볼캐스터 지지체; 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테이블은 바닥면과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하중체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체는 금속재질의 판형 통체형으로 형성되되, 상부 공간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베이스; 및 연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유물이 안착되는 완충패드;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캐스터 지지체는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단에 볼수용영역이 형성되는 볼수용 몸체; 상기 볼수용 몸체의 볼수용영역에 삽입되는 캐스터볼; 및,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캐스터볼과 상기 볼수용 몸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베어링용볼;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는, 양측 각각에 제1와이어로프 삽입구가 형성되며 몸체 일 부분에 제1볼트결합홀이 형성되는 제1측면결합구; 양측 각각에 제2와이어로프 삽입구가 형성되며 몸체 일 부분에 제2볼트결합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2볼트결합홀의 주변에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볼트안착홈이 더 형성되는 제2측면결합구; 및, 일단이 상기 제1측면결합구의 제1와이어로프 삽입구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측면결합구의 제2와이어로프 삽입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와이어로프체; 포함하여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2측면결합구의 제2볼트결합홀과 연통하되, 일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측면결합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결합홀이 외측으로 이어지는 부근에 상기 제1측면결합홀의 영역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는 제2확장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결합구와 상기 거치대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2측면결합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측면결합 조립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결합 조립체는 몸통부가 상기 제2볼트삽입홀을 통과하되 머리부가 상기 볼트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T형 볼트체; 상기 T형 볼트체와 와셔결합하되, 상기 거치대와 상기 제2측면결합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1와셔; 상기 T형 볼트체의 몸통부와 너트결합되되 상기 거치대의 외측에 배치되는 너트부; 및, 상기 T형 볼트체와 와셔결합하되 상기 거치대와 상기 너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와셔;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하부의 중앙 부근을 연통하는 제1높이조절용 통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제1높이조절용 통공과 연동하도록 상부영역에 제2높이조절용 통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용 통공 또는 상기 제2높이조절용 통공에 결합되는 추조립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조립체는 몸체의 일부가 상기 제1높이조절용 통공을 통해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는 연결와이어; 및 상기 연결와이어의 하부에 결합되며 무게가 조절되도록 복수 개의 추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무게추 적층체;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물용 쇼케이스 내짙 장치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유물이 통과될 수 있는 유물통과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유물통과영역이 상기 유물과 닿지 않도록 구성되되, 상기 안착체와 상기 거치대에 밀착되는 커버체;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유물이 배치되는 대형 유물 전시용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내진이 필요한 유물에만 선택적으로 내진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와이어로프가 종방향 뿐만아니라 횡방향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방진기능이 구현되도록 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 테이블이 횡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에도 유물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물 전시용 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테이블의 하부가 아닌 테이블의 상부에서 내진기능이 수행되기 때문에, 횡방향의 진폭이 최대화되는 지점부근에서 방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방진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캐스터 지지체의 높이 조절 기능에 의해 안착체의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횡방향의 가진력을 방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물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내진 장치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도록 커버체를 구성하되, 커버체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작비용이 최소로 소요되고, 나아가, 커버체가 내진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이 유동되지 않도록 바닥면과 고정된 상태에서도 지진 발생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입력되는 가진력을 방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A-A선을 절개하여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물 근처의 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체를 사시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B영역 부근에 결합되는 측면결합 조립체를 분해한 상태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제1와이어로프체 및,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의 제2와이어로프체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와 안착체를 조립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의 설치 방법에 따른 조립 상태도.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의 설치 방법에 따른 조립 상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가 대형 쇼케이스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상태의 응용예에 관한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A-A선을 절개하여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물 근처의 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영역을 확대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체를 사시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B영역 부근에 결합되는 측면결합 조립체를 분해한 상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구의 제1와이어로프체 및,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의 제2와이어로프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테이블(10), 거치대(20), 안착체(30),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 및, 볼캐스터 지지체(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측면결합 조립체(70), 추조립체(80) 및, 커버체(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테이블(10)은 유물(1)을 전시하기 위하여 전시관에 설치되며, 박스체로 형성되고, 유물(1)이 상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테이블(10)은 상부에는 밀폐형 유리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폐형 유리부(11)는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테이블(10)의 상부에 배치되되, 테이블(10)과 밀폐형 유리부가 맞닿는 부위가 치합되도록 결합되거나,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부재에 의해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밀폐형 유리부(11)의 내측공간을 밀폐하여 유물(1)이 먼지나 습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한편, 테이블(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유물(1)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유물(1)을 수용하도록 대형 규모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블(10)은 유물(1)을 전시하는 경우에 유물(1)이 관람객들의 눈높이에 맞도록 유물(1)을 일정 높이의 위치에 배치하여, 관람객이 보다 용이하게 유물(1)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테이블(10)은 바닥면에 볼트나 본딩등에 의해 고정되거나, 테이블(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중체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블(10)은 바닥면과 고정되거나, 하중체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에 입력되는 종방향 가진력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미세하게 떨어져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지진 발생시에 입력되는 횡방향 가진력에 의해 테이블(10)이 횡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거치대(20)는 테이블(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이 개구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거치대(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20)는 테이블(10)과 볼트결합에 의해 테이블(10)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대(20)는 후술하는 안착체(30),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 및,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가 결합된 상태로 안착되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거치대(20)는 후술하는 제2측면결합구(42)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제2측면결합구(42)의 제2볼트결합홀(42b)과 연통하되,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측면결합홀(21a)이 더 형성된다. 또한, 거치대(20)의 안착베이스(31)는 제1측면결합홀(21a)이 외측으로 이어지는 부근에 제1측면결합홀(21a)의 영역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는 제2확장결합홈(21b)이 더 형성된다.
안착체(30)는 거치대(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유물(1)이 안착된다. 이와 같은 안착체(30)는 안착베이스(31) 및 완충패드(32)를 포함한다.
안착베이스(31)는 금속재질의 판형 통체형으로 형성되되, 상부 공간에 안착홈(31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착베이스(31)는 후술하는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 및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들이 각각 측면과 하부에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 및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들에 의해 거치대(20)와 디커플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완충패드(32)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연성재질로 형성되며, 안착베이스(31)의 안착홈(31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완충패드(32)는 유물(1)이 안착된다. 이와 같은 완충패드(32)는 유물(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되, 안착베이스(31)로부터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저감시켜 유물(1)이 미세하게 떨리는 것을 방진시키게 된다.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 각각이 거치대(20)와 안착체(30) 사이의 공간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체(30)의 4개의 측면 각각에 구성되어 횡방향 전체면에 대한 횡방향 가진력을 방진시켜, 안착체(30) 및 유물(1)로 가해지는 가진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는 제1측면결합구(41), 제2측면결합구(42) 및, 제1와이어로프체(43)를 포함한다.
제1측면결합구(41)는 금속재질의 통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측면결합구(41)는 양측 각각에 제1와이어로프 삽입구(41a)가 형성되며, 몸체 일 부분에 제1볼트결합홀(4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볼트결합홀(41b)에는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안착체(30)와 볼트결합됨으로써, 제1측면결합구(41)를 안착체(30)와 볼트결합시키게 된다.
제2측면결합구(42)는 금속재질의 통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측면결합구(42)는 양측 각각에 제2와이어로프 삽입구(42a)가 형성되며, 몸체 일 부분에 제2볼트결합홀(42b)이 형성되되, 제2볼트결합홀(42b)의 주변에 T형 볼트체(71)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볼트안착홈(42c)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측면결합구(42)는 측면결합 조립체(70)에 의해 거치대(20)의 내측면과 결합되며, 측면결합 조립체(70)의 결합에 따라 제2측면결합구(4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안착체(30)의 롤링 현상 및 요잉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1와이어로프체(43)는 복수 개의 철심이 서로 간에 꼬인 로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와이어로프체(43)는 일단이 제1측면결합구(41)의 제1와이어로프 삽입구(41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제2측면결합구(42)의 제2와이어로프 삽입구(42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제1와이어로프체(43)는 지진발생시 테이블(10)을 통해 횡방향 가진력을 입력받게 되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이완되어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킴으로써, 횡방향으로 입력되는 가진력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와이어로프체(43)는 소선이 복수 개 감긴 스트랜드(1d)가 중앙심재(1e)를 둘러싸도록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 각각이 안착체(3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는 제1하부결합구(51), 제2하부결합구(52) 및, 제2와이어로프체(53)를 포함한다.
제1하부결합구(51)는 금속재질의 통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하부결합구(51)는 양측 각각에 제3와이어로프 삽입구(51a)가 형성되며, 몸체 일 부분에 제3볼트결합홀(5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3볼트결합홀(51b)에는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안착체(30)와 볼트결합됨으로써, 제1하부결합구(51)를 안착체(30)와 볼트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1하부결합구(51)는 후술하는 제2와이어로프체(53)가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면서, 안착체(3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제2와이어로프체(53)를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하부결합구(52)는 금속재질의 통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하부결합구(52)는 양측 각각에 제4와이어로프 삽입구(52a)가 형성되며, 몸체 일 부분에 제4볼트결합홀(5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4볼트결합홀(52b)에는 후술하는 나사봉(61)이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2하부결합구(52)는 후술하는 제2와이어로프체(53)가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며, 후술하는 볼캐스트 지지체가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제2와이어로프체(53)는 복수 개의 철심이 서로 간에 꼬인 로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와이어로프체(53)는 일단이 제1하부결합구(51)의 제3와이어로프 삽입구(51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제2하부결합구(52)의 제4와이어로프 삽입구(52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2와이어로프체(53)는 지진발생시 테이블(10)을 통해 종방향 가진력을 입력받게 되는 경우, 죄우방향으로 이완되어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종방향으로 입력되는 가진력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2와이어로프체(53)는 소선이 복수 개 감긴 스트랜드(1d)가 중앙심재(1e)를 둘러싸도록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볼캐스터 지지체(60)는 일단이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에 결합되고, 캐스트볼이 형성되는 타단이 안착체(30)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볼캐스터 지지체(60)는 나사봉(61), 볼수용 몸체(62), 캐스터볼(63) 및, 베어링용볼(64)을 포함한다.
나사봉(61)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체형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의 제2하부결합구(52)에 형성되는 제4볼트결합홀(52b)과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나사봉(61)은 회전시에 제2하부결합구(52)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착체(30)를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볼수용 몸체(62)는 나사봉(61)이 나사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통체형상으로 형성되어 나사봉(61)의 하단과 나사결합, 끼움결합 또는 용접결합등으로 결합되며, 하단에 상방으로 움푹패인 반구형 오목부인 볼수용영역(6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수용 몸체(62)는 볼수용영역(62a)에 후술하는 캐스터볼(63)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볼수용 몸체(62)는 후술하는 캐스터볼(63)이 볼수용영역(6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원형링 형상의 이탈방지용 캡(62b)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용 캡(62b)은 캐스터볼(63)의 일부 외주연을 덮은 상태에서 볼수용 몸체(62)와 용접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캐스터볼(63)은 구형 볼형상으로 형성되어 볼수용 몸체(62)의 볼수용영역(62a)에 삽입된다. 이 경우, 캐스터볼(63)은 거치대(20)의 일면에 밀착되어 구름 작용을 하기 때문에, 지진에 의해 횡방향으로 가진력이 입력되는 경우, 캐스터볼(63)이 회전에 의해 마찰력이 줄어든 상태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안착체(30)가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캐스터볼(63)은 평면상에서 구름운동을 하기 때문에, 지진발생시에 안착체(30)의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캐스터볼(63)이 구성없이 단순 밀착구조 또는 지지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안착체(30)를 떨리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더불어, 캐스터볼(63)이 거치대(20)의 평면상에서 이동하지 않고, 원호형 받침대와 같이 호형의 면상에서 구름운동을 하게 되면, 캐스터볼(63)의 이동경로가 원호형으로 바뀌게 되어, 지진 발생시에 안착체(30)를 롤링 및 요잉시킴으로써, 유물(1)을 더욱 흔들리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캐스터볼(63)은 평면상의 횡방향직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용볼(64)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캐스터볼(63)과 볼수용 몸체(62)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베어링용볼(64)은 캐스터볼(63)과 볼수용영역(62a) 사이에 배치되어 구름 운동을 함으로써, 베어링용볼(64)의 회전시에 볼수용 몸체(62)와의 마찰력이 줄어든 상태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볼캐스터 지지체(60)는 지진발생시 테이블(10)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에 횡방향 가진력이 입력되는 경우, 거치대(20)와 구름운동을 함으로써, 횡방향 가진력이 안착체(3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안착체(30)와 거치대(20)를 디커플링(decoupling) 시키게 되고, 횡방향 가진력이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로 전달되도록 하여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가 횡방향 가진력을 방진하도록 하도록 한다. 한편, 볼캐스터 지지체(60)는 평면상의 구름운동을 하는 것으로써, 볼캐스터 지지체(60)가 아닌 바퀴와 같이 일방향으로 구름운동을 하는 구성으로 대체하는 것을 고려해 볼 경우, 평면상이 아닌 바퀴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에 자체적인 떨림을 발생시켜 유물(1)이 흔들리게 하거나 넘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함으로, 바퀴와 같이 일방향으로 구름운동하는 이동수단은 채택될 수 있는 해결수단에서 제외되어야만 한다.
측면결합 조립체(70)는 제2측면결합구(42)와 거치대(20)를 결합시키되, 제2측면결합구(4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면결합 조립체(70)는 T형 볼트체(71), 제1와셔(72), 너트부(73) 및, 제2와셔(74)를 포함한다.
T형 볼트체(71)는 몸통부가 제2볼트결합홀(42b)을 통과하되 머리부가 제2측면결합구(42)의 볼트안착홈(42c)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T형 볼트체(71)는 머리부가 제2측면결합구(42)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너트부(73)의 너트결합에 고정되는 경우, 너트부(73)가 너트결합되는 위치에서 제2측면결합구(42)가 고정되도록 거치대(20)와 결합시키게 된다.
제1와셔(72)는 T형 볼트체(71)와 몸통부와 와셔결합하되, 거치대(20)와 제2측면결합구(4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와셔(72)는 거치대(20)에 형성되는 제2볼트삽입홀에 제2측면결합구(42)가 삽입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T형 볼트체(71)와 너트부(73)의 결합시 제2측면결합구(42)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너트부(73)는 T형 볼트체(71)의 몸통부와 너트결합되되, 거치대(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2와셔(74)는 T형 볼트체(71)와 와셔결합하되, 거치대(20)와 너트부(7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와셔(74)는 T형 볼트체(71)와 너트부(73)의 너트결합시에 너트부(73)가 제1측면결합홀(21a)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고, 제1측면결합홀(21a)의 외측 끝단에서 너트부(73)가 체결되도록 하여 제2측면결합구(42)가 거치대(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측면결합 조립체(70)는 제2측면결합구(42)를 거치대(20)에 볼트와 너트 결합으로 거치대(20)에 결합시키되, 제2측면결합구(42)의 높이에 대한 위치를 작업자가 너트부(73)를 조이는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지진 발생시에 안착체(30)와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의 높이에 대한 위치가 불균형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안착체(30)의 요잉현상을 측면결합 조립체(70)의 높이 조절 기능에 의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추조립체(80)는 테이블(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지진발생시에 테이블(10)이 횡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는 경우에 횡방향 가진력을 입력받아 진자 운동을 함으로써, 테이블(10)이 자체적으로 흔들리게 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횡방향 가진력을 방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추조립체(80)는 연결와이어(81) 및, 무게추 적층체(82)를 포함한다.
여기서, 추조립체(80)는 거치대(20) 및 테이블(10)에 연결되기 위하여, 거치대(20)는 하부의 중앙 부근을 연통하는 제1높이조절용 통공(22)이 더 형성되고, 테이블(10)은 제1높이조절용 통공(22)과 연동하도록 상부영역에 제2높이조절용 통공(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연결와이어(81)는 'Y'자형으로 형성되며, 'Y'자형의 상부 양단이 제1높이조절용 통공(22)을 통해 거치대(20)와 결합된다. 이 경우, 거치대(20)의 제1높이조절용통공에는 연결와이어(81)의 상부 양단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높이조절용통공의 양측으로 거치대(20)와 볼트결합되는 볼트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와이어(81)는 상부 양단이 볼트의 몸통에 감겨짐으로써, 거치대(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와이어(81)는 'Y'자형의 하부 일단이 테이블(10)의 무게 중심과 동일하거나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무게추 적층체(82)는 복수 개의 무게추가 적층되어 무게추의 갯수에 따라 무게추 적층체(82)의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연결와이어(81)의 하단에 배치되는 걸림구에 의해 연결와이어(81)의 하부 끝단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조립체(80)는 지진발생시에 테이블(10)이 횡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 테이블(10)의 무게중심 부근에 배치된 상태로 테이블(10)의 횡방향 진동에 맞추어 진자운동을 함으로써, 테이블(10)의 횡방향 가진력을 줄이는 방진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추조립체(80)는 테이블(10)의 무게 및 강성에 따라 무게추 적층체(82)의 개수를 가변하여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방진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체(90)는 천이나 부직포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버체(90)는 상부에 유물(1)이 통과될 수 있는 유물통과영역(91)이 형성되며, 커버체(90)가 유물(1)과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구성되되, 안착체(30) 및 거치대(20)에 밀착된다. 여기서, 커버체(90)는 유물통과영역(91)이 완충패드(32)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거치대(2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기 위하여 외측의 일부가 절개한 상태에서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체(90)는 안착체(30)와 거치대(20)를 덮도록 구성되어 관람객들이 안착체(30)의 내측과 거치대(20)를 육안으로 보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착체(30)와 거치대(20)에 의해 유물(1) 관람에 대한 미려함이 저감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체(90)는 유물(1) 관람에 대한 미려함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유물(1)과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진발생시에 테이블(10) 및 거치대(20)기 횡방향으로 흔들려 커버체(90)가 흔들리게 되는 경우, 커버체(90)의 움직임에 의한 간섭에 의해 유물(1)이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를 테이블(10)에 시공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의 볼캐스터 지지체(60)를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와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안착체(30)의 하부에 볼트 결합시킨 후, 볼캐스터 지지체(60)가 거치대(20)에 안착되도록 안착시킨다.
다음, 작업자는 거치대(20)와 안착체(30) 사이에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를 배치한 후,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를 거치대(20)와 안착체(30) 각각에 볼트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를 테이블(10)의 상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등으로 거치대(20)를 테이블(10)의 상부면과 결합시키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수평대등을 이용하여 안착체(30)의 수평을 체크한 상태에서 안착체(30)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제1높이조절용 통공(22) 및, 제2높이조절용 통공(12)을 통해 공구를 삽입한 후, 공구로 볼캐스터 지지체(60)를 회전시켜 볼캐스터 지지체(6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안착체(30)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안착체(30)의 완충패드(32)에 안착되는 유물(1)은 수평을 유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작업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높이조절용 통공(22) 및, 제2높이조절용 통공(12)에 추조립체(80)를 결합시켜, 테이블(10)의 무게 중심 부근에 추조립체(80)의 무게추 적층체(82)가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 작업자는 커버체(90)의 유물통과영역(91) 중심과 완충패드(3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커버체(90)가 안착체(30)의 상부를 덮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체(90)의 측면이 거치대(20)의 측면을 덮도록 커버체(90)를 안착시키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불평형 진동 모터(14)를 테이블(10)에 내측면에 임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불평형 진동 모터(14)를 회전시켜, 테이블(10)이 떨리도록 하는 테스트 가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안착체(30)의 상부면에 진동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진동센서와 연동하는 진동측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테이블(10)의 가진시에 안착체(30)가 진동을 어느 정도 흡수하는지를 테스트 할 수 있다.
이때, 안착체(30)는 롤링이나 요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작업자는 볼캐스터 지지체(6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측면결합 조립체(70)의 결합높이를 조정하여 안착체(30)에 롤링현상이나 요인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정하게 된다.
여기서, 진동센서가 준비되지 못한 경우, 유물(1)을 대체할 수 있는 구조체(미도시)나 물이 담긴 컵(미도시)을 완충패드(32)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테스트 가진력에 의해 안착체(30)의 흔들림을 확인할 수 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작업을 통해 안착체(30)의 내진 기능을 확인한 뒤에, 작업자는 유물(1)을 완충패드(32)에 올린 상태에서, 밀폐형 유리부를 테이블(10)와 결합시켜 유물(1)을 먼지나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물(1)을 수용하는 테이블(10)에 안착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유물(1)을 수용하는 대형 쇼케이스의 테이블(10)에 안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대형 쇼케이스의 테이블(10) 내에 내진이 필요한 유물(1)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여러 개의 유물(1)이 배치되는 대형 유물(1) 전시용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내진이 필요한 유물(1)에만 선택적으로 내진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와이어로프가 종방향 뿐만아니라 횡방향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방진기능이 구현되도록 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 테이블(10)이 횡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에도 유물(1)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유물(1) 전시용 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테이블(10)의 하부가 아닌 테이블(10)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어 내진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횡방향의 진폭이 최대화 되는 지점부근에서 방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방진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볼캐스터 지지체(60)의 높이 조절 기능에 의해 무게중심을 조절하여 안착체(30)의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횡방향의 가진력을 방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유물(1) 쇼케이스에 내진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내진 장치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도록 커버체(90)를 구성하되, 커버체(90)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작비용이 최소로 소요되고, 나아가, 커버체(90)가 내진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는 테이블(10)이 유동되지 않도록 바닥면과 고정된 상태에서도 지진 발생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입력되는 가진력을 방진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테이블 20 : 거치대
21a : 제1측면결합홀 21b : 제2확장결합홈
30 : 안착체 31 : 안착베이스
32 : 완충패드 40 :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
41a : 제1와이어로프 삽입구 41 : 제1측면결합구
41b : 제1볼트결합홀 42c :볼트안착홈
42 : 제2측면결합구 42a : 제2와이어로프 삽입구
43 : 제1와이어로프체 50 :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
51 : 제1하부결합구 51a : 제3와이어로프 삽입구
51b : 제3볼트결합홀 52 : 제2하부결합구
52a : 제4와이어로프 삽입구 52b : 제4볼트결합홀
53 : 제2와이어로프체 60 : 볼캐스터 지지체
61 : 나사봉 62 : 볼수용 몸체
63 : 캐스터볼 64 : 베어링용볼
70 : 측면결합 조립체 71 : T형 볼트체
72 : 제1와셔 73 : 너트부
74 : 제2와셔 80 : 추조립체
81 : 연결와이어 82 : 무게추 적층체
90 : 커버체 91 : 유물통과영역

Claims (7)

  1. 유물(1)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관에 설치되며, 박스체로 형성되고, 유물(1)이 상부에 배치되는 테이블(10)에 안착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이 개구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대(20):
    상기 거치대(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물(1)이 안착되는 안착체(30);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 각각이 상기 거치대(20)와 상기 안착체(30)에 배치되는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 각각이 상기 안착체(3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 및,
    일단이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에 결합되고, 캐스터볼(63)이 형성되는 타단이 상기 안착체(30)에 밀착되는 볼캐스터 지지체(60); 를 포함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바닥면과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하중체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체(30)는
    금속재질의 판형 통체형으로 형성되되, 상부 공간에 안착홈(31a)이 형성되는 안착베이스(31); 및
    연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31a)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유물(1)이 안착되는 완충패드(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캐스터 지지체(60)는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 결합부(5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61);
    상기 나사봉(61)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단에 볼수용영역(62a)이 형성되는 볼수용 몸체(62);
    상기 볼수용 몸체(62)의 볼수용영역(62a)에 삽입되는 캐스터볼(63); 및,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캐스터볼(63)과 상기 볼수용 몸체(62)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베어링용볼(6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와이어로프 결합부(40)는, 양측 각각에 제1와이어로프 삽입구(41a)가 형성되며 몸체 일 부분에 제1볼트결합홀(41b)이 형성되는 제1측면결합구(41); 양측 각각에 제2와이어로프 삽입구(42a)가 형성되며 몸체 일 부분에 제2볼트결합홀(42b)이 형성되되 상기 제2볼트결합홀(42b)의 주변에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볼트안착홈(42c)이 더 형성되는 제2측면결합구(42); 및, 일단이 상기 제1측면결합구(41)의 제1와이어로프 삽입구(41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측면결합구(42)의 제2와이어로프 삽입구(42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와이어로프체(43);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20)는 상기 제2측면결합구(42)의 제2볼트결합홀(42b)과 연통하되, 일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측면결합홀(21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결합홀(21a)이 외측으로 이어지는 부근에 상기 제1측면결합홀(21a)의 영역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는 제2확장결합홈(21b)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결합구(42)와 상기 거치대(20)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2측면결합구(42)의 높이를 조절하는 측면결합 조립체(7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결합 조립체(70)는 몸통부가 상기 제2볼트삽입홀을 통과하되 머리부가 상기 볼트안착홈(42c)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T형 볼트체(71); 상기 T형 볼트체(71)와 와셔결합하되, 상기 거치대(20)와 상기 제2측면결합구(42) 사이에 배치되는 제1와셔(72); 상기 T형 볼트체(71)의 몸통부와 너트결합되되 상기 거치대(20)의 외측에 배치되는 너트부(73); 및, 상기 T형 볼트체(71)와 와셔결합하되 상기 거치대(20)와 상기 너트부(7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와셔(7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는 하부의 중앙 부근을 연통하는 제1높이조절용 통공(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10)은 상기 제1높이조절용 통공(22)과 연동하도록 상부영역에 제2높이조절용 통공(12)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용 통공(22) 또는 상기 제2높이조절용 통공(12)에 결합되는 추조립체(8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조립체(80)는 몸체의 일부가 상기 제1높이조절용 통공(22)을 통해 상기 거치대(20)와 결합되는 연결와이어(81); 및 상기 연결와이어(81)의 하부에 결합되며 무게가 조절되도록 복수 개의 추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무게추 적층체(8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유물(1)이 통과될 수 있는 유물통과영역(91)이 형성되며, 상기 유물통과영역(91)이 상기 유물(1)과 닿지 않도록 구성되되, 상기 안착체(30)와 상기 거치대(20)에 밀착되는 커버체(9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KR1020190166719A 2019-12-13 2019-12-13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KR102098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719A KR102098664B1 (ko) 2019-12-13 2019-12-13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719A KR102098664B1 (ko) 2019-12-13 2019-12-13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664B1 true KR102098664B1 (ko) 2020-04-08

Family

ID=7027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719A KR102098664B1 (ko) 2019-12-13 2019-12-13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6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9165A (zh) * 2021-11-26 2022-03-22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放置文物的可拆解式托架
CN115363360A (zh) * 2022-08-26 2022-11-22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定装置及馆藏文物防震座
KR20230107057A (ko) * 2022-01-07 2023-07-14 우홍성 수정 진동자의 진동 저감장치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850A (ja) * 1997-03-04 1998-09-14 Tomohisa Kaneko 装飾品の載置台
JP2007170561A (ja) * 2005-12-22 2007-07-05 Iijima Kenchiku Jimusho:Kk 免震台
JP2011027165A (ja) * 2009-07-24 2011-02-10 Tanaka Seishin Kozo Kenkyusho:Kk 制振装置
JP3175580U (ja) * 2012-02-29 2012-05-17 株式会社武蔵 耐震展示装置
KR101665073B1 (ko) * 2016-04-07 2016-10-1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KR20160003592U (ko) * 2015-04-08 2016-10-18 박강훈 네일아트 견본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네일건조기 커버
KR101785946B1 (ko) * 2017-02-16 2017-10-17 주식회사 삼광산전 내진용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지지 구조
KR20180074181A (ko) * 2016-12-23 2018-07-03 이재권 내진기능이 구비된 가구용 받침다리
KR101932944B1 (ko) 2017-12-12 2018-12-27 (주)지일 쇼케이스의 전시물 보호장치
KR20190048797A (ko) * 2017-10-31 2019-05-09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스퍼터링용 척테이블
KR101976412B1 (ko) 2019-02-01 2019-05-10 주식회사 에코스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진동 보호 시스템
JP6535912B2 (ja) * 2013-11-28 2019-07-03 金剛株式会社 免震台
KR102008661B1 (ko) 2017-12-27 2019-08-08 주식회사 씨원에스 면진 기능을 가지는 전시용 진열장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850A (ja) * 1997-03-04 1998-09-14 Tomohisa Kaneko 装飾品の載置台
JP2007170561A (ja) * 2005-12-22 2007-07-05 Iijima Kenchiku Jimusho:Kk 免震台
JP2011027165A (ja) * 2009-07-24 2011-02-10 Tanaka Seishin Kozo Kenkyusho:Kk 制振装置
JP3175580U (ja) * 2012-02-29 2012-05-17 株式会社武蔵 耐震展示装置
JP6535912B2 (ja) * 2013-11-28 2019-07-03 金剛株式会社 免震台
KR20160003592U (ko) * 2015-04-08 2016-10-18 박강훈 네일아트 견본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네일건조기 커버
KR101665073B1 (ko) * 2016-04-07 2016-10-1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KR20180074181A (ko) * 2016-12-23 2018-07-03 이재권 내진기능이 구비된 가구용 받침다리
KR101785946B1 (ko) * 2017-02-16 2017-10-17 주식회사 삼광산전 내진용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지지 구조
KR20190048797A (ko) * 2017-10-31 2019-05-09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스퍼터링용 척테이블
KR101932944B1 (ko) 2017-12-12 2018-12-27 (주)지일 쇼케이스의 전시물 보호장치
KR102008661B1 (ko) 2017-12-27 2019-08-08 주식회사 씨원에스 면진 기능을 가지는 전시용 진열장
KR101976412B1 (ko) 2019-02-01 2019-05-10 주식회사 에코스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진동 보호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9165A (zh) * 2021-11-26 2022-03-22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放置文物的可拆解式托架
CN114209165B (zh) * 2021-11-26 2023-10-03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放置文物的可拆解式托架
KR20230107057A (ko) * 2022-01-07 2023-07-14 우홍성 수정 진동자의 진동 저감장치
KR102624470B1 (ko) * 2022-01-07 2024-01-11 우홍성 수정 진동자의 진동 저감장치
CN115363360A (zh) * 2022-08-26 2022-11-22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定装置及馆藏文物防震座
CN115363360B (zh) * 2022-08-26 2023-10-31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定装置及馆藏文物防震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664B1 (ko) 내진기능이 있는 유물용 받침대
KR101749580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806505B1 (ko) 내진 서포트
KR102185213B1 (ko) 내진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수배전반
JP6372033B2 (ja) 防振減震装置
US20100264290A1 (en) Modular Device for Multi-Axial Insulation Against Vibration and Impacts, Based on Elastomer
KR101860922B1 (ko) 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971502B1 (ko)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면진 테이블
KR101601803B1 (ko)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102427497B1 (ko)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2190869B1 (ko) 수직 변위 제한 구조의 진동 격리 장치
JP6625460B2 (ja) 変圧器の転倒防止装置
JPS61116142A (ja) 免震・防振構造
WO2015098084A1 (ja) ボイラの支持構造体
KR102112823B1 (ko) 3축 진동 흡수 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수배전반
JP3174106U (ja) 筺体倒壊防止減震装置
KR102247871B1 (ko) 가변구조 내진스토퍼
JP2018195669A (ja) 電力機器用減震装置
US11549564B2 (en) Oscillation damper, in particular for a switch cabinet
JP3184595U (ja) 免震装置
KR102364966B1 (ko) 지진파에 의한 진동감쇠장치
JP2013257027A (ja) 振動減衰装置
JP2006016101A (ja) 水平控え装置
JP2007315559A (ja) 精密機器用の免震装置および精密機器の設置構造
KR102634120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