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636A -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636A
KR20200062636A KR1020180148262A KR20180148262A KR20200062636A KR 20200062636 A KR20200062636 A KR 20200062636A KR 1020180148262 A KR1020180148262 A KR 1020180148262A KR 20180148262 A KR20180148262 A KR 20180148262A KR 20200062636 A KR20200062636 A KR 20200062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entilation
blind
ventilation window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102018014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2636A/ko
Publication of KR2020006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2009/285Means for actuating a rod (being tilt rod or lift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녹색건축을 이루기 위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미닫이 방식으로 외부창문과 내부창문을 구성하고 있는 이중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창문 유리창의 실내측에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외부창문의 상부와 하부에 미세먼지 방지필터가 설치된 방진망이 결합된 환기창을 설치하여, 일사차단과 이중창문 사이의 공기층 대류현상 유도로 냉방에너지 절약 및 열전도차단을 통한 난방 에너지 절약과 프라이버시 보호와 블라인드 작동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하부 미세먼지 방진망이 설치된 환기창을 통해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실내공기질을 보호하면서 환기를 유도하여, 지구온난화 방지와 거주자의 건강을 보호하면서도 외부 빗물등의 침입을 막는 추가 기능 등 적은 설치공간으로도 생활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만드는 다목적인 환경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녹색건축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 시스템 {Multi purpose green building window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녹색건축을 이루기 위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미닫이 방식으로 외부창문과 내부창문을 구성하고 있는 이중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창문 유리창의 실내측에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외부창문의 상부와 하부에 미세먼지 방지필터가 설치된 방진망이 결합된 환기창을 설치하여, 일사차단과 이중창문 사이의 공기층 대류현상 유도로 냉방에너지 절약 및 열전도차단을 통한 난방 에너지 절약과 프라이버시 보호와 블라인드 작동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하부 미세먼지 방진망이 설치된 환기창을 통해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실내공기질을 보호하면서 환기를 유도하며 외부 빗물 등의 침입을 막아 생활공간을 쾌적하게 만드는 등 적은 설치공간으로 다목적인 환경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녹색건축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현상과 환경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절약 대책과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대책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건축물 외벽은 벽체와 창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창문을 통해서 이루어야 하는 대표적으로 중요한 기능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전도를 적게 해서 난방부하를 저감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난방단열기능, 둘째, 일사차단을 통해서 냉방부하를 저감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냉방단열기능, 셋째, 조망확보 및 프라이버시 보호기능, 넷째, 벌레 등의 해충 침입방지 기능, 다섯째, 황사와 미세먼지 유입 방지 및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환기기능, 여섯째, 도난, 위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범기능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대표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경제성, 편리성, 내구성, 안전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아래에 기술하는 특허문헌 1에는 블라인드가 결합된 이중창 구성이, 특허문헌 2에는 유리창 사이에 블라인드가 내장된 복층 유리창 구성이, 특허문헌 3에는 실내측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방지창문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 블라인드가, 외부창의 실외측으로 방충망창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복층 유리창 사이에 블라인드가 내장되어 있고 유리창 외부에 실내쪽으로 조작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실내측 2개의 창문레일에 미닫이 방식의 미세먼지 방지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들을 참고하여 창문의 기능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창문의 기본적인 기능인 난방부하 저감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하고자 2중창문시스템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벌레 등의 해충 침입을 막기 위해 창문의 외부에 방충망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다른 중요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기존 이중창문시스템이 수행하지 못하는 다른 기능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래 특허문헌 1의 도면에서 제시하는 내용은 일사차단을 통해서 냉방부하 저감을 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하고자 외부창문과 내부창문 사이에 블라인드 설치공간을 만들어서 블라인드를 설치하는 중간 블라인드 창문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내용은 프라이버시 보호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일사차단을 통해 냉방부하를 일부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의 도면에서 제시하는 중간블라인드 방식은 블라인드의 열고 닫는 방식이 매우 불편해서 블라인드의 실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창문을 작동하기가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해서 외부창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나 외부창문과 내부창문 사이에 쌓이게 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해 외부창문을 열거나 외부창문에 설치될 수 있는 환기창을 작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외부창문보다 실내측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작동이 불편한 경우는 편리하게 적정한 시점마다 환기나 창문 사이에 쌓인 더운 공기의 배출을 하지 않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블라인드를 보다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두 번째로 외부환경만이 아니라 실내공기질도 매우 안 좋은 상황으로 정기적으로 환기를 시켜 주어야 한다. 그런데 외부환경은 인체에 치명적인 위험을 일으키는 황사, 미세먼지 증가 등 지속적으로 심각하게 악화되고 있어서 환기의 어려움이 있는 상황으로, 창문의 기능 중 환기의 중요성은 매우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결과로 인체에 치명적인 황사, 미세먼지 등의 실내 유입을 막기 위해서 방진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창문시스템에서는 방진망 설치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기존 외부 방충망에 방진망을 혼용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일부 외부창문을 개방하여 창문레일 사이에 방진망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방충망과 방진망의 혼용설치에 따른 방진망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거나 외부창문을 개방하여 설치하는 경우는 외부창문의 밀폐기능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방충망과 방진망의 혼용설치에 대한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진망이 외부 방충망과 함께 설치되는 경우는 1일 24시간동안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실내환기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도 외부환경의 황사나 미세먼지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는 상황이다. 이런 경우는 방진망의 기능이 급속히 떨어지게 되고, 실내로의 먼지유입을 막지 못하거나 오히려 먼지유입을 촉진하게 되어 결국 실내공기질을 악화시키거나 방진망 교체시기가 빨라져서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방충망과 함께 설치된 방진망은 단계별 방진기능이 아닌 1단계만으로 방진기능을 수행하는 관계로 방진망에 맞지 않는 외부 이물질 충격 등으로 방진망의 기능저하 및 손상이 빨라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진망은 망 사이가 촘촘한 필터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시야확보에 매우 불리한 구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방진망을 창문에 그대로 설치하는 것은 먼지유입을 억제하고자 함이나 다른 한편 창문의 중요한 역할인 시야 및 조망확보가 불가능해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외부방충망과 함께 혼합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조망확보를 위해서 방진망 겸용 방충망을 열 수도 없는 상황으로 거주환경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외부에 설치되는 방진망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내 방진망 창문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따른 방법은 상기 지적한 조망권 확보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또한 기존 창문틀에 별도로 미세먼지 방지를 위한 방진망창문이 결합하는 창문레일을 추가로 필요로 하고 있어 창문틀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세 번째 내구성과 유지관리의 편리성은 창문을 적용하여 설치하는데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이다. 그런 관점에서 특허문헌 2의 경우에 유리창 사이에 블라인드가 내장되어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견고한 구조재와는 달리 쉽게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소비재의 특성을 갖고 있는 블라인드임에도 사용자의 선호도가 바뀌거나 내장 블라인드가 고장시에 한쪽 유리창 전체를 철거해서 수리해야 한다는 점과 일반 사용자가 직접 수리하기가 어렵다는 점 등 수리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실제 사용하는 과정에서 복층 유리창 사이에 결로가 생길 수 있는 취약함을 갖고 있다. 그러기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고 유지관리 및 교체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처럼 상기 창문의 기능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각 기능별로 설치공간이 추가되며 창호가 두꺼워지는 것이 아니라 적은 설치공간에서도 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 절약과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실내 공기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나 고장 및 교체시 보다 쉽게 수리,교체할 수 있는 개선된 창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62067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092902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905955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미닫이 방식으로 외부창문과 내부창문을 구성하고 있는 이중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창문 유리창의 실내측에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외부창문의 상부와 하부에 미세먼지 방지필터가 설치된 방진망이 결합된 환기창을 설치하여, 일사차단과 이중창문 사이의 공기층 대류현상 유도로 냉방에너지 절약 및 열전도차단을 통한 난방 에너지 절약과 프라이버시 보호와 블라인드 작동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하부 미세먼지 방진망이 설치된 환기창을 통해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실내공기질을 보호하면서 환기를 유도하여, 지구온난화 방지와 거주자의 건강을 보호하면서도 외부 빗물등의 침입을 막는 추가 기능 등 적은 설치공간으로도 생활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만드는 다목적인 환경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녹색건축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호 시스템은,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상하 내측으로 0개 이상이며 1개 이하인 방충망레일 이외에 6개 이하의 창문레일들이 수평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실외측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처음 2개의 창문레일에는 각각 유리창과 상기 유리창의 실내측에 블라인드가 설치되어 형성되는 제1 외부창문과 제2 외부창문이 각각 상기 레일들에 미닫이 방식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창문과 제2 외부창문 중 하나 이상의 외부창문에는 환기창이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외부 창문레일 보다 실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0개 이상이며 4개 이하의 창문레일에는 내부창문이 2배수 단위로 구성되어 미닫이 방식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환기창이 설치되어 형성되는 외부창문은, 창문틀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홈이 외측에 형성된 상하 수평창틀과 상기 상하 수평창틀과 결합되는 좌우 수직창틀이 사각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사각형상의 창틀 내측에 두 개의 수평 프레임이 좌우 수직창틀에 결합되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하부 환기창, 블라인드가 결합된 유리창, 상부 환기창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환기창의 하부 수평 프레임 하단에는 다수 개의 블라인드 날개를 갖으며, 상기 블라인드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장치와 상기 블라인드의 감김 및 풀림을 조절하는 개폐로프장치가 연결된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환기창과 상기 상부 환기창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는 환기창 덮개가 포함된 일중 또는 이중으로 구성된 환기창 벽판이 형성되며, 상기 일중 환기창 벽판 실내측에 또는 이중 환기창 벽판 중간에 미세먼지 방지 필터가 결합되는 방진망이 일체로 설치되거나 좌우로 슬라이딩 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하 환기창 덮개는 개폐로프로 서로 연결되어, 하부 환기창 덮개를 열거나 닫을 때 상부 환기창 덮개도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 환기창 개구부의 실외측에는 수평루버가 일체로 구성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환기창이 설치되어 형성되는 외부창문은, 창문틀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홈이 외측에 형성된 상하 수평창틀과 상기 상하 수평창틀과 결합되는 좌우 수직창틀이 사각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사각형상의 창틀 내측에 한 개의 수평 프레임이 좌우 수직창틀에 결합되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환기창, 블라인드가 결합된 유리창 또는 블라인드가 결합된 유리창, 환기창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경우는 블라인드가 결합된 유리창의 상부 창틀이나 상부 프레임 하단에 다수 개의 블라인드 날개를 갖으며, 상기 블라인드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장치와 상기 블라인드의 감김 및 풀림을 조절하는 개폐로프장치가 연결된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환기창의 내측에는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는 환기창 덮개가 포함된 일중 또는 이중으로 구성된 환기창 벽판이 형성되며, 상기 일중 환기창 벽판 실내측에 또는 이중 환기창 벽판 중간에 미세먼지 방지 필터가 결합되는 방진망이 일체로 설치되거나 좌우로 슬라이딩 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환기창 개구부의 실외측에는 수평루버가 일체로 구성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시스템은, 기존 창호시스템이 외부온도에 대한 전도성 단열효과만 얻었던 것과 블라인드가 결합된 창호시스템에서는 거주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일사차단에 따른 냉방에너지 저감의 효과만이 추가되는 것과 달리 냉방에너지 절감과 난방에너지 절감 그리고 거주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및 조망 확보와 해충 및 이물질 등의 침입방지에 추가하여 악화되는 환경문제로 인하여 거주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최소화 시키고 환기시에 빗물차단효과 및 창호작동의 편리성과 유지관리의 수월성을 통해서 거주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측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3-1은 이중창문 사이의 중간층 대류현상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3-2는 실내환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에서 도4-1은 상하부 환기창이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4-2는 상하부 환기창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측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4-1은 상하부 환기창이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4-2는 상하부 환기창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중 미닫이 창호시스템을 예시로써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은, 창문틀(001, 002, 003, 004)과 제1 내부창문(100)과 제2 내부창문(200)으로 이루어진 내부창문, 제1 외부창문(300)과 제2 외부창문(400)으로 이루어진 외부창문 그리고 외부 방충망창(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하 수평 창문틀(003, 004)과 좌우 수직 창문틀(001, 002)은 사각형태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하 창문틀(003, 004) 내측으로는 각각의 창문들과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이 가능하도록 레일들(010, 020, 030, 040, 05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창문(100)과 제2 내부창문(200)은 외측에 상기 상하 창문틀(003, 004)의 창문레일(010, 020)에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된 상하 수평 창틀과 상기 상하 수평창틀에 결합하는 좌우 수직창틀이 사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사각형태의 창틀 내측에는 유리창이 결합하여 형성된다.
제1 외부창문(300)과 제2 외부창문(400)은
외측에 상기 상하 창문틀(003, 004)의 창문레일(030, 040)에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된 상하 수평 창틀과 상기 상하 수평창틀에 결합하는 좌우 수직 창틀이 사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사각형태의 창틀 내측에는 유리창(320, 420)이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리창의 실내측으로 블라인드(330, 430)가 설치된다.
외부방충망창(500)은 가장 실외측에 형성되는 창문레일(050)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외부창문(300)을 예시로 설명하지만 상기 제1 외부창문(300)과 제2 외부창문(400) 중 하나 이상의 외부창문에 적용되는 내용으로 상기 사각형태의 창틀 내측에는 좌우 수직 창틀(310, 311)에 결합하는 두 개의 수평 프레임(314, 315)이 결합되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하부 환기창(340), 블라인드(330)가 결합된 유리창(320), 상부 환기창(35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 블라인드(330)가 결합된 유리창(320)은 상하 수평프레임(314, 315)과 좌우 수직창틀(310, 311)이 결합하여 사각형태를 이루고, 상기 사각형태의 내측에 실외측 방향으로 유리창(320)이 결합하며, 상기 상 프레임(315)의 하단에 다수 개의 블라인드 날개를 갖으며, 상기 블라인드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장치와 상기 블라인드의 감김 및 풀림을 조절하는 개폐로프장치가 연결된 블라인드(330)가 설치된다.
도 4는 상기 하부 환기창(340)과 상부 환기창(350)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4-1은 환기창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4-2는 환기창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환기창(340, 35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우 양측에는 실외측 환기창 벽판(342c, 342d, 352c, 352d)과 실내측 환기창 벽판(342a, 342b, 352a, 352b)으로 구성되며, 실외측 환기창 벽판과 실내측 환기창 벽판 사이에는 환기구가 형성되는 중간 부분에 환기창 덮개(341, 351)가 형성된다.
실외측 환기창 벽판(342c, 342d, 352c, 352d)과 환기창 덮개(341, 351)는 외부 온도가 실내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성능이 있는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내측 환기창 벽판(342a, 342b, 352a, 352b)은 환기창 덮개(341, 351)부분이 작동하는 내부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역할을 한다.
실외측 환기창 벽판(342c, 342d, 352c, 352d)과 실내측 환기창 벽판(342a, 342b, 352a, 352b) 사이의 환기창 내부 상하면에는 레일(345, 355)이 형성되며, 환기창 덮개(341, 351)의 상하 외측은 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환기창 내부 레일(345, 355)에 결합하여 좌우로 슬라이딩 된다.
환기창 덮개(341, 351)의 좌우 일측은 환기창 덮개(341, 351)가 슬라이딩 되어 수납되는 빈공간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외측에 레일홈이 형성된 상하 내부 프레임(341b, 341c, 351b, 351c)과 마감부 수직 프레임(341a, 351a)으로 구성되어 사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사각형상의 내부에 미세먼지 방지 필터가 결합된 방진망(343, 353)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 환기창 덮개(341)의 좌우 일측에 방진망(343)이 설치되는 프레임(341a, 341b, 341c)이 구성되면, 상부 환기창 덮개(351)에는 하부 환기창 덮개(341)에 설치된 방진망(343)과 반대 위치에 방진망(353)이 설치되는 프레임(351a, 351b, 351c)이 구성되게 한다.
또한 하부 환기창(340)의 방진망 수직 프레임(341a) 외측에는 상부 환기창(350)의 환기창 덮개(351) 수직 외측과 연결하는 연결줄(a)을 결합하고, 하부 환기창(340)의 환기창 덮개(341) 수직 외측에는 상부 환기창(350)의 방진망 수직 프레임(351a) 외측과 연결하는 연결줄(b)을 결합하여, 하부 환기창 덮개(341)를 좌우 일측으로 슬라이딩 하여 하부 환기창 방진망(343)이 작동할 수 있게 환기구를 개방하면 연결줄(a)의 당기는 작동으로 상부 환기창 덮개(351)가 다른 일측으로 슬라이딩 하여 상부 환기창(350)도 환기구가 개방되어 상부 환기창 방진망(353)이 작동하게 한다. 또한 환기창 덮개를 닫을 경우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다른 연결줄(b)이 당기는 작동을 하여 상부 환기창 덮개(351)도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또한 연결줄(a,b)은 상부 환기창(350) 하부와 하부 환기창(340) 상부를 통과하여 연결하며 블라인드가 설치된 유리창(320)의 실내측에 위치하게 한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블라인드(330) 하단부 수평바의 좌우 양 끝에는 각각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에 상부 환기창(350)과 하부 환기창(340)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줄(a, b)을 각각 통과시켜 블라인드가 흔들려서 창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환기창 덮개(341, 351)가 설치되는 환기구의 실외측에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빗물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루버(344a, 354a)나 유공판을 설치하고, 벌레나 황사 등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방충망(344b, 354b)을 설치한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상술한 환기창의 평면구성은 수평으로 삼분할 하여 두 번째 분할면인 중간 부분을 환기구로 구성하는 경우이고, 오분할하여 두 번째와 네 번째 분할면을 환기구로 구성할 수 있고, 칠분할하여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분할면을 환기구로 구성하는 등 분할면수에 따라 다양한 환기구를 구성할 수도 있고, 실외측에 짝수 방식인 미닫이 방식으로 덮개를 만들고 실내측에 방진망을 설치하는 방식도 가능한 것은 자명한 일이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환기창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창문을 좌우로 이분할하여 일측은 실내측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유리창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환기창을 설치한다. 이때 환기창 덮개의 개폐방법은 상술한 수평 환기창에서 좌우로 환기창 덮개를 슬라이딩하여 개폐하는 것과 달리, 세로 방향의 환기창에서는 상하로 환기창 덮개를 개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시스템이 작동하는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도 3-1은 내부창문(100)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창문(300)의 하부 환기창(340)과 상부 환기창(350)이 개방된 모습이다. 외부 일사 조건에 따라 내부창문(100, 200)과 외부창문(300, 400) 사이에 열이 축적되면 대류현상에 따라 열이 상부 환기창(35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일사차단을 통해 냉방부하를 절약할 수 있고, 열전도 차단을 통해 난방부하를 절약할 수 있으며 프라이버시를 보호와 조망확보를 할 수 있는 블라인드(330)는 상하 환기창(350, 340) 사이에 펼쳐져 있기에 실내에서 환기창(340, 350)의 작동 상태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작동을 하고자 할 경우도 좌우 수직 창틀(310, 311) 내측으로 형성되는 블라인드(330)를 먼저 작동해야 하는 불편이 없이 바로 환기창(340, 350)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환기창(340)만 작동하여도 상부 환기창(350)이 자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높다. 또한 블라인드(330)나 설치공간이 특수한 방식으로 제작되지 않는 일반적인 방식과 블라인드를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중에 쉽게 수리,교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기를 위해서 외부창문(300, 400)을 개방할 필요가 없어서 도난이나 외부침입 등의 위험을 미리 방지하는 방범효과가 있다.
또한 도 3-2는 내부창문(100)도 개방하여 실내 환기를 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술한 내용과 같이 외부방충망(500)이나 환기창(340, 350) 실외측에 설치된 방충망(344b, 354b)으로 1차 먼지필터 기능을 하고 환기창(340, 350) 내부에 설치된 미세먼지 방지 방진망(343, 353)을 통해 2차 먼지필터 기능을 하여 실내공기질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방진망(343, 353)의 수명을 길게 하여 자원절약을 할 수 있게 되며, 환기창의 실외측에 설치된 빗물막이 루버(344b, 354b)나 판을 통해 비가 오는 경우에도 환기를 할 수 있어 생활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통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001, 002, 003, 004 : 녹색건축 기능성 창호시스템 창문틀
010, 020, 030, 040, 050 : 창문레일
100, 200 : 제1 내부창문, 제2 내부창문
300, 400 : 제1 외부창문, 제2 외부창문
500 : 외부 방충망창
340, 350 : 하부 환기창, 상부 환기창
341, 351 : 하부 환기창 덮개, 상부 환기창 덮개
342, 352 : 하부 환기창 벽판, 상부 환기창 벽판
343, 353 : 하부 환기창 방진망, 상부 환기창 방진망
330, 430 : 블라인드
a, b : 연결줄

Claims (5)

  1.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상하 내측으로 0개 이상이며 1개 이하인 방충망레일 이외에 6개 이하의 창문레일들이 수평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실외측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처음 2개의 창문레일에는 제1 외부창문과 제2 외부창문이 각각 상기 레일들에 미닫이 방식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창문과 제2 외부창문 중 하나 이상의 외부창문에는 환기창이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외부 창문레일 보다 실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0개 이상이며 4개 이하의 창문레일에는 내부창문이 2배수 단위로 구성되어 미닫이 방식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창문과 제2 외부창문은 각각 유리창과 상기 유리창의 실내측에 블라인드가 설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기창이 설치되어 형성되는 외부창문은,
    창문틀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홈이 외측에 형성된 상하 수평창틀과 상기 상하 수평창틀과 결합되는 좌우 수직창틀이 사각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사각형상의 창틀 내측에 두 개의 수평 프레임이 좌우 수직창틀에 결합되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하부 환기창, 블라인드가 결합된 유리창, 상부 환기창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환기창의 하부 수평 프레임 하단에는 다수 개의 블라인드 날개를 갖으며, 상기 블라인드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장치와 상기 블라인드의 감김 및 풀림을 조절하는 개폐로프장치가 연결된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환기창과 상기 상부 환기창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환기창 덮개가 포함된 일중 또는 이중으로 구성된 환기창 벽판이 형성되며, 상기 일중 환기창 벽판 실내측에 또는 이중 환기창 벽판 중간에 미세먼지 방지필터가 결합되는 방진망이 일체로 설치되거나 좌우로 슬라이딩 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하 환기창 덮개는 개폐로프로 서로 연결되어, 하부 환기창 덮개를 열거나 닫을 때 상부 환기창 덮개도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KR1020180148262A 2018-11-27 2018-11-27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KR20200062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62A KR20200062636A (ko) 2018-11-27 2018-11-27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62A KR20200062636A (ko) 2018-11-27 2018-11-27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36A true KR20200062636A (ko) 2020-06-04

Family

ID=7108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62A KR20200062636A (ko) 2018-11-27 2018-11-27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263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902B1 (ko) 2009-06-15 2011-12-12 (주)휴그린하이테크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장치
KR101762067B1 (ko) 2016-04-01 2017-08-04 이선중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KR101905955B1 (ko) 2016-05-27 2018-11-21 백성득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902B1 (ko) 2009-06-15 2011-12-12 (주)휴그린하이테크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장치
KR101762067B1 (ko) 2016-04-01 2017-08-04 이선중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KR101905955B1 (ko) 2016-05-27 2018-11-21 백성득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708B1 (ko)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KR200490118Y1 (ko) 창호용 방풍 방음 시스템
KR101076408B1 (ko) 차양의 교체가 용이한 다중유리 블라인드 창짝
KR20200129507A (ko) 친환경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KR101472189B1 (ko) 고층용 환기구조를 구비한 창호
KR20120040339A (ko) 커튼월형 창호
KR20200062636A (ko) 다목적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KR20200082596A (ko) 친환경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JP4170959B2 (ja) 建築物の外壁構造及び二重窓ユニット
JP4411246B2 (ja)
KR101981600B1 (ko) 빗물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창구조
KR20200058731A (ko) 녹색건축 기능성 창호시스템
KR20170018264A (ko) 창호 시스템
KR102385788B1 (ko) 덧댐 창호 시스템
JP3172548U (ja) 換気機能付き内窓
KR20200117145A (ko) 방진창이 결합된 방충망 창
KR20200104076A (ko) 친환경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KR20200053098A (ko)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KR20210003374A (ko) 방진창문 결합형 창호시스템
KR20200023765A (ko)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KR20200129508A (ko) 방진창문 결합형 창호시스템
KR20200141137A (ko) 친환경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KR20200122011A (ko) 방진창문 결합형 창호시스템
KR20200108625A (ko) 친환경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KR101581676B1 (ko) 온실의 지붕창용 방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