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370A -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370A
KR20200062370A KR1020207014932A KR20207014932A KR20200062370A KR 20200062370 A KR20200062370 A KR 20200062370A KR 1020207014932 A KR1020207014932 A KR 1020207014932A KR 20207014932 A KR20207014932 A KR 20207014932A KR 20200062370 A KR20200062370 A KR 2020006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additive
based resin
synthetic fib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592B1 (ko
Inventor
마사타케 모리타
미츠하루 마츠나가
히로키 혼다
토시히로 코무로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는, 하기 지방족 알코올 및 하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방족 알코올은 탄소수 16 내지 32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이다.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는 탄소수 12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특히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가 조제 직후에서 친수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기저귀 등의 위생 제품으로서 체액을 흡수하기 위해 고흡수성 고분자의 표면을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로 피복한 제품이 알려져 있다. 고흡수성 고분자의 표면을 피복하는 합성 섬유에는, 예를 들어 친수성, 스포트 흡수성, 반복하여 체액을 재빨리 흡수하는 내구 친수성 등의 우수한 흡수 특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로서 탄소수 22 내지 40의 탄화수소기에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가 2 내지 10 몰 부가한 에테르 화합물에 대해 개시한다.
일본 특허공표 2004-523666호 공보
그러나 이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를 사용했을 경우, 특히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가 그 제조 직후에 친수성을 발현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히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가 그 제조 직후에 친수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특정한 지방족 알코올 및 특정한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가 정히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하기 지방족 알코올 및 하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가 제공된다. 지방족 알코올은 탄소수 16 내지 32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이다.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는 탄소수 12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이다.
상기 지방족 알코올은 탄소수 18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는 탄소수 16 내지 24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는 상기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1.5 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는 상기 지방족 알코올 및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상기 지방족 알코올을 1 내지 70 질량% 및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30 내지 99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는 또한 하기 지방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유도체는 탄소수 16 내지 24의 모노카르복실산과 1가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탄소수 16 내지 24의 모노카르복실산과 다가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및 탄소수 16 내지 24의 지방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는 상기 지방족 알코올,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상기 지방산 유도체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상기 지방족 알코올을 10 내지 40 질량%,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30 내지 80 질량% 및 상기 지방산 유도체를 1 내지 45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용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상기 첨가제를 1 내지 70 질량% 및 상기 수지를 30 내지 99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가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중에 1.0 내지 7.0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 1과,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를 방사하는 공정 2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를 접합하여 부직포로 만드는 공정 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공정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중에 1.0 내지 7.0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게 되도록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가 그 제조 직후에 친수성을 발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이하, 단순히 첨가제라고도 함)를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하기 지방족 알코올 및 하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방족 알코올은 탄소수 16 내지 32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이다.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는 탄소수 12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이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 제공하는 지방족 알코올인 탄소수 16 내지 32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18 내지 26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를 16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즉, 특히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가 그 제조 직후에 보다 높은 친수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제조 시, 예를 들어 스펀본드법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 시에 발연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내구 친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탄소수 32 이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스포트 흡수성 및 내구 친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탄소수 16 내지 32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데실알코올, 옥타데실알코올, 옥타데세닐알코올, 이소옥타데실알코올, 도코실알코올, 테트라코실알코올, 트리아콘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8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데실알코올, 옥타데세닐알코올, 이소옥타데실알코올, 도코실알코올, 테트라코실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 제공하는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소수 12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이다.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중에서도 탄소수 16 내지 24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탄소수를 12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제조 시, 예를 들어 스펀본드법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 시에 발연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내구 친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소수를 26 이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스포트 흡수성 및 내구 친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 제공하는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는 평균 2.0 몰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1.5 몰 미만이다.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0 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제조 시, 예를 들어 스펀본드법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 시에 발연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첨가제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원료가 되는 탄소수 12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도데실알코올, 트리데실알코올, 이소트리데실알코올, 테트라데실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옥타데실알코올, 옥타데세닐알코올, 이소옥타데실알코올, 도코실알코올, 테트라코실알코올, 헥사코실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6 내지 24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데실알코올, 옥타데실알코올, 옥타데세닐알코올, 이소옥타데실알코올, 도코실알코올, 테트라코실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서, 첨가제 중의 상술한 지방족 알코올 및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상술한 지방족 알코올 및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지방족 알코올을 1 내지 70 질량% 및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30 내지 99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규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또한 하기 지방산 유도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유도체는 탄소수 16 내지 24의 모노카르복실산과 1가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탄소수 16 내지 24의 모노카르복실산과 다가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및 탄소수 16 내지 24의 지방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다. 이들 지방산 유도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지방족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부직포 제조 시, 예를 들어 스펀본드법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 시에 발연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유도체의 원료가 되는 탄소수 16 내지 24의 모노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데칸산, 옥타데칸산, 옥타데센산, 이소옥타데칸산, 도코산산, 테트라코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유도체의 원료가 되는 1가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헥실알코올, 옥틸알코올, 도데실알코올, 트리데실알코올, 이소트리데실알코올, 테트라데실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옥타데실알코올, 옥타데세닐알코올, 이소옥타데실알코올, 도코실알코올, 테트라코실알코올, 헥사코실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유도체의 원료가 되는 다가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6 내지 24의 지방산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데칸산 아미드, 옥타데칸산 아미드, 옥타데센산 아미드, 이소옥타데칸산 아미드, 도코산산 아미드, 도코센산 아미드, 테트라코산산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서 첨가제 중에서의 상술한 지방족 알코올,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지방산 유도체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상술한 지방족 알코올,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지방산 유도체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지방족 알코올을 10 내지 40 질량%,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30 내지 80 질량%, 및 지방산 유도체를 1 내지 45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규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가 적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용도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다.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용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하, 단순히 수지 조성물이라고도 함)을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제1 실시 형태의 첨가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상기 첨가제를 1 내지 70 질량% 및 상기 수지를 30 내지 99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로서는,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마스터 배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용 마스터 배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 시, 예를 들어 스펀본드법에 의한 부직포의 제조 시에 부직포 중에서의 첨가제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이하, 합성 섬유 부직포라고도 함)를 구체화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섬유 부직포는 제1 실시 형태의 첨가제가 합성 섬유 부직포 중에 1.0 내지 7.0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펀본드, 멜트 블로운, 스펀본드와 멜트 블로운의 복합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하,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함)을 구체화한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의 첨가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 1과,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를 방사하는 공정 2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를 접합하여 부직포로 만드는 공정 3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첨가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는 공정 1은, 제1 실시 형태의 첨가제가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중에 1.0 내지 7.0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게 되도록 제1 실시 형태의 첨가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직포 제조 시, 예를 들어 스펀본드법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 시에 발연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정에서 첨가제를 균일하게 이겨 넣을 수 있다.
합성 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제조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용융 방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첨가제, 수지 조성물,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첨가제에서 탄소수 16 내지 32의 1가 지방족 알코올 및 탄소수 12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병용하였다.
따라서, 합성 섬유 부직포가 제조 직후에 친수성을 발현할 수 있다. 나아가, 양호한 스포트 흡수성 및 반복하여 체액을 재빨리 흡수하는 내구 친수성 등의 우수한 흡수 특성을 합성 섬유 부직포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제조 시, 예를 들어 스펀본드법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 시에 발연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정에서 첨가제를 균일하게 이겨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의 품질 유지를 위한 안정화제나 제전제로서, 결합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추가로 배합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등을 들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된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에서 부는 질량부를, 또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시험 구분 1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의 조제)
·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실시예 1)의 조제
옥타데실알코올 (A-1) 2.0kg과 모노옥시에틸렌 옥타데실에테르 (B-1) 6.0kg과 cis-13-도코센산 아미드 (C-1) 2.0kg을 80 ℃에서 가온 용해시켜 균일하게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를 얻었다.
·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실시예 2 내지 19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조제
실시예 1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의 조제와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2 내지 19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첨가제를 조제하였다. 각 예의 첨가제 조제 시에 사용한 지방족 알코올,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지방산 유도체의 종류, 첨가제 중에서의 각 성분의 함유 비율 (%)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A-1 : 옥타데실알코올,
A-2 : 도코실알코올,
A-3 : 테트라코실알코올,
A-4 : 헥사데실알코올,
A-5 : 트리아콘틸알코올,
ra-1 : 옥틸알코올,
ra-2 : 테트라콘틸알코올,
B-1 : 모노옥시에틸렌 옥타데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
B-2 : 모노옥시에틸렌 도코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1.0),
B-3 : 모노옥시에틸렌 테트라코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
B-4 : 옥시에틸렌 옥타데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35),
B-5 : 옥시에틸렌 도코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35),
B-6 : 모노옥시에틸렌 도데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
B-7 : 모노옥시에틸렌 헥사코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
B-8 : 옥시에틸렌 옥타데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60),
B-9 : 옥시에틸렌 옥타데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95),
rb-1 : 모노옥시에틸렌 옥틸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
rb-2 : 모노옥시에틸렌 트리아콘틸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
rb-3 : 옥시에틸렌 옥타데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3.20),
rb-4 : 옥시에틸렌 옥타데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40),
rb-5 : 옥시에틸렌 옥타데실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3.68),
C-1 : cis-13-도코센산 아미드,
C-2 : 옥타데실옥타데실레이트,
C-3 : 소르비탄 모노옥타데실레이트,
C-4 : 글리세린 모노옥타데실레이트,
rc-1 : 도데실도데실레이트,
rc-2 : 도트리아콘탄아미드,
rc-3 : 폴리옥시에틸렌(10 몰) 옥타데칸아미드
를 나타낸다.
시험 구분 2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조제와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조제 및 부직포 제조성의 평가)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조제
시험 구분 1에서 조제한 각 예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10.0kg을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MFR=30) 10.0kg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압출 성형기로 200 ℃로 가온 용융시킴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50 질량% 함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인 마스터 배치를 얻었다.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실시예 19)의 조제
시험 구분 1에서 조제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10.0kg을 폴리프로필렌 수지 (MFR=30) 10.0kg과 혼합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를 50 질량% 함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인 혼합물을 얻었다.
·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조제
상기와 같이 조제한 각 예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를 50 질량%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4.0 질량%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가 2.0 질량%)가 되도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MFR=30)와 혼합시켰다. 추가로 이 혼합물을 240 ℃에서 용융 방사시켜 열 엠보싱 롤러 가공함으로써 20gsm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 (합성 섬유 부직포)를 조제하였다.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성 평가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발연 평가 및 균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합성 섬유 부직포 자체의 평가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제조 직후 친수성, 스포트 흡수성 및 내구 친수성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표 1에서 "부직포 중에서의 첨가제의 첨가량 (%)"은 합성 섬유 부직포 중에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의 배합량 (%)을 나타낸다. 또한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는 Agilent제 7890B GC System에 Agilent제 DB-1 122-1032 칼럼을 이용함으로써 산출하였다.
· 발연 평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때 발연 여부를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발연 평가 기준
◎ (우수) : 발연이 약간 보이지만, 극히 미량으로 적다.
○ (양호) : 발연이 보여지지만 적다.
X (불량) : 발연이 많고 방사가 곤란.
· 균일성 평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때 균일하게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는지 여부를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균일성 평가 기준
◎ (우수) : 방사 시에 섬유 끊어짐은 보이지 않고, 또한 섬유의 굵기도 균일하고 첨가제가 균일하게 첨가되어 있다.
○ (양호) : 방사 시에 섬유 끊어짐은 보이지 않지만, 첨가제가 균일하게 섞여 있지 않기 때문에, 섬유의 굵기에 불균일이 보여진다.
X (불량) : 첨가제가 균일하게 첨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빈번하게 섬유 끊어짐이 발생해 버린다.
시험 구분 3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평가)
·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평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평가 항목으로서 제조 직후 친수성, 스포트 흡수성 및 내구 친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제조 직후 친수성의 평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조제 직후에 수평판 위에 놓고 뷰렛을 이용하여 10mm의 높이에서 0.4ml의 0.9 % 생리식염수를 적하시키고, 적하한 생리 식염수가 완전히 흡수되어 버리는 데 걸리는 시간, 즉 투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평가 기준으로 제조 직후 친수성을 평가하였다.
· 제조 직후 친수성의 평가 기준
◎ (우수) : 투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 초 미만.
○ (양호) : 투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 초 이상이며 3 초 미만.
X (불량) : 투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3 초 이상.
· 스포트 흡수성의 평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20 ℃에서 60 % RH의 항온실 내에서 24 시간 조습시켰다. 그 후, 수평판 위에 놓고 청색으로 착색시킨 물방울 0.05ml를 10mm의 높이에서 시린지를 사용하여 적하시켜 흡수시켰다. 그 후, 적하 흔적에 대해 섬유 방향과 섬유 수직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고, 하기 평가 기준으로 스포트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 스포트 흡수성의 평가 기준
◎ (우수) : 섬유 방향과 섬유 수직 방향의 길이가 모두 10mm 미만.
○ (양호) : 섬유 방향과 섬유 수직 방향의 길이가 모두 10mm 이상이며 20mm 미만.
X (불량) : 섬유 방향 또는 섬유 수직 방향 중 어느 것의 길이가 20mm 이상.
· 내구 친수성의 평가
상기 제작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10cm×10cm의 소편으로 재단하고, 20 ℃에서 60 % RH의 항온실 내에서 24 시간 습도조절시켰다. 그 후, 여과지 5 장 위에 습도조절된 부직포를 놓고, 다시 그 위의 중앙에 양쪽 끝이 개방된 내부 직경 1cm의 원통을 수직으로 세우고, 이 원통에 0.9 % 생리 식염수 5ml를 주입하고, 주입한 생리 식염수가 부직포에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후, 부직포를 꺼내 40 ℃×90 분간 송풍 건조하고 나서 다시 상기 순서를 반복함으로써 총 3 회, 생리 식염수가 부직포에 완전히 흡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3 회째에 측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하기 평가 기준으로 내구 친수성을 평가하였다.
· 내구 친수성의 평가 기준
◎ (우수) : 생리 식염수가 흡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3 초 미만.
○ (양호) : 생리 식염수가 흡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3 초 이상이며 5 초 미만.
X (불량) : 생리 식염수가 흡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5 초 이상.
표 1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직포 제조 시에 발연이 적고, 첨가제를 균일하게 이겨 넣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합성 섬유 부직포가 그 제조 직후에 친수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스포트 흡수성과 내구 친수성을 합성 섬유 부직포에 부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하기 지방족 알코올 및 하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지방족 알코올 : 탄소수 16 내지 32의 1가 지방족 알코올.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탄소수 12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알코올이 탄소수 18 내지 26의 1가 지방족 알코올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가 탄소수 16 내지 24의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2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가 상기 1가 지방족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 1.5 몰 미만의 비율로 부가시킨 화합물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알코올 및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상기 지방족 알코올을 1 내지 70 질량% 및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30 내지 99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지방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지방산 유도체 : 탄소수 16 내지 24의 모노카르복실산과 1가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탄소수 16 내지 24의 모노카르복실산과 다가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및 탄소수 16 내지 24의 지방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알코올,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상기 지방산 유도체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상기 지방족 알코올을 10 내지 40 질량%, 상기 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30 내지 80 질량%, 및 상기 지방산 유도체를 1 내지 45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용 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 질량%라 하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를 1 내지 70 질량%,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30 내지 99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가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중에 1.0 내지 7.0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 1과,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를 방사하는 공정 2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를 접합하여 부직포로 만드는 공정 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1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중에 1.0 내지 7.0 질량%의 비율로 함유하게 되도록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는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0207014932A 2018-05-28 2019-05-24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235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1261 2018-05-28
JPJP-P-2018-101261 2018-05-28
JP2018195707A JP6545881B1 (ja) 2018-05-28 2018-10-17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用添加剤、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不織布、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JPJP-P-2018-195707 2018-10-17
PCT/JP2019/020694 WO2019230596A1 (ja) 2018-05-28 2019-05-24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用添加剤、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不織布、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370A true KR20200062370A (ko) 2020-06-03
KR102235592B1 KR102235592B1 (ko) 2021-04-02

Family

ID=6729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932A KR102235592B1 (ko) 2018-05-28 2019-05-24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45881B1 (ko)
KR (1) KR102235592B1 (ko)
CN (1) CN111406092B (ko)
TW (1) TWI692497B (ko)
WO (1) WO20192305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817A1 (ko)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양극 스크랩을 이용한 활물질 재사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1464B1 (ja) * 2020-09-28 2021-03-10 竹本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製不織布用処理剤、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製スパンボンド不織布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3666A (ja) 2000-11-22 2004-08-05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湿潤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及び布
JP2006249615A (ja) * 2005-03-11 2006-09-21 Mitsui Chemicals Inc 抗菌性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JP2010018758A (ja) * 2008-07-14 2010-01-28 Sansaara Corporation:Kk 親水性成型品
KR20110044325A (ko) * 2008-08-25 2011-04-2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섬유, 부직포 및 그 용도
KR20160081505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2535A (en) * 1973-11-26 1977-11-23 Shell Int Research Fibre-foam bonding process
DE2924539C2 (de) * 1979-06-19 1983-01-1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Spinnvlies aus Polyolefin-Filament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9536558A1 (de) * 1995-10-02 1997-04-03 Hoechst Ag Hydrophil modifiziertes pulverförmiges hoch- und/oder ultrahochmolekulares Polyethylen
US6146757A (en) * 1998-06-29 2000-11-14 Techmer Pm Wettable polymer fibers, compositions for preparaing sam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DE19851687A1 (de) * 1998-11-10 2000-05-11 Cogni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ydrophilen Ausrüstung von Fasern auf Basis von Polyolefinen oder Polyester unter Einsatz von Alkylethoxylaten
US6239047B1 (en) * 1999-02-19 2001-05-29 Polymer Group, Inc. Wettable soft polyolefin fibers and fabric
JP4431992B2 (ja) * 2006-03-30 2010-03-17 高知県 保湿不織布
JP6012190B2 (ja) * 2012-02-07 2016-10-25 旭化成株式会社 柔軟性に優れる長繊維不織布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3666A (ja) 2000-11-22 2004-08-05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湿潤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及び布
JP2006249615A (ja) * 2005-03-11 2006-09-21 Mitsui Chemicals Inc 抗菌性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JP2010018758A (ja) * 2008-07-14 2010-01-28 Sansaara Corporation:Kk 親水性成型品
KR20110044325A (ko) * 2008-08-25 2011-04-2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섬유, 부직포 및 그 용도
KR20160081505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817A1 (ko)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양극 스크랩을 이용한 활물질 재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06092B (zh) 2021-04-16
TW202003657A (zh) 2020-01-16
CN111406092A (zh) 2020-07-10
WO2019230596A1 (ja) 2019-12-05
JP6545881B1 (ja) 2019-07-17
TWI692497B (zh) 2020-05-01
KR102235592B1 (ko) 2021-04-02
JP2019206682A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27910T2 (de) Benetzbare Polymerfasern
JP6057489B1 (ja) 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用処理剤、その水性液、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の処理方法、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及びサーマルボンド不織布
KR101852243B1 (ko)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102235592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올레핀계 합성 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JPH03119108A (ja) 再湿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および相当する不織布
JP4644318B1 (ja) 透水性付与剤、それが付着した透水性繊維および不織布の製造方法
JP5159534B2 (ja) 透水性付与剤、それが付着した透水性繊維および不織布の製造方法
TWI689647B (zh) 聚烯烴系合成纖維處理劑及聚烯烴系合成纖維
JP7100504B2 (ja) 親水化剤
JP2012102424A (ja) 透水性付与剤、それが付着した透水性繊維および不織布の製造方法
JPWO2005045114A1 (ja) 親水性不織布
KR101427192B1 (ko) 내변색성이 뛰어난 내구 친수성 섬유 및 이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 성형체 및 흡수성 물품
KR101611191B1 (ko) 친수성 코팅제 조성물
JP7364300B1 (ja) 親水化処理剤、不織布、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JP7058378B1 (ja) 不織布及びそ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用の防漏シート
KR101833495B1 (ko)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TWI835606B (zh) 短纖維用處理劑、短纖維用處理劑組合、含有短纖維用處理劑的組成物、短纖維用第1處理劑、短纖維用第2處理劑、含有短纖維用第1處理劑的組成物、含有短纖維用第2處理劑的組成物、合成纖維、及不織布的製造方法
TWI772186B (zh) 聚烯烴系合成纖維製不織布用處理劑、聚烯烴系合成纖維、及聚烯烴系合成纖維製紡黏不織布
KR102672206B1 (ko) 섬유용 처리제, 섬유용 제1 처리제, 섬유용 제2 처리제, 섬유용 제1 처리제 함유 조성물, 섬유용 처리제의 희석액, 섬유의 처리 방법, 및 섬유
KR102152393B1 (ko)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20240015140A (ko) 섬유용 처리제, 섬유용 제1 처리제, 섬유용 제2 처리제, 섬유용 제1 처리제 함유 조성물, 섬유용 처리제의 희석액, 섬유의 처리 방법, 및 섬유
KR20230137372A (ko) 소수성 셀룰로오스 섬유
TW202344734A (zh) 短纖維用處理劑、短纖維用處理劑組合、含有短纖維用處理劑的組成物、短纖維用第1處理劑、短纖維用第2處理劑、含有短纖維用第1處理劑的組成物、含有短纖維用第2處理劑的組成物、合成纖維、及不織布的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