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869A - 마스크 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869A
KR20200061869A KR1020180147668A KR20180147668A KR20200061869A KR 20200061869 A KR20200061869 A KR 20200061869A KR 1020180147668 A KR1020180147668 A KR 1020180147668A KR 20180147668 A KR20180147668 A KR 20180147668A KR 20200061869 A KR20200061869 A KR 20200061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inner region
pouch
lotion
pack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348B1 (ko
Inventor
박은경
우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데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to KR102018014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4Adding more than one type of material or article to the sam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별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내부영역과 제2내부영역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파우치로서, 상기 제1내부영역은 마스크 팩을 수용하고, 상기 제2내부영역은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을 수용하며, 상기 제1내부영역과 상기 제2내부영역은 필터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Mask Pack Pouch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 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장수에 추출 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과 마스크 팩을 패키지로 함께 제공하되 내부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상기 건조물로부터 필요한 성분을 추출하여 마스크 팩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 팩 파우치, 상기 파우치에 수용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마스크 팩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마스크 팩(Mask Pack, Mask Sheet, Facial Mask)은 얼굴 모양의 시트에 다양한 영양성분과 보습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화장 용구의 하나로서, 시트 마스크라고도 한다. 마스크 팩을 얼굴에 밀착시켜 다양한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팩은 화장유액을 담지할 수 있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다. 화장 유액은 피부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스크 팩은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어 폐쇄효과(occlusive effect)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스크 팩을 사용하면 화장유액이 피부에 오랫동안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장유액의 피부 침투 효과가 향상되어 탁월한 보습 효과, 피부 미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 팩은 피부에 다양한 영향분과 수분을 빠르고 효율적이며, 간편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마스크 팩은 마스크 시트지를 얼굴 형상으로 재단하여 포장용 파우치 또는 백에 넣은 후 여기에 노폐물 제거, 주름 제거, 미백 효과 등 다양한 효능을 제공하는 원료액을 충진시킨 다음 밀봉, 포장하여 그 포장용 파우치 또는 백 안에서 원료액의 액상 성분이 마스크 시트지에 스며들도록 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 팩은 일정 단위의 1회용 파우치에 액상 성분이 들어있는데, 미리 정해진 액상 성분이, 미리 정해진 양만큼 들어 있도록 개별적으로 포장되어 판매, 유통 및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마스크 팩의 경우 마스크 팩에 함침되는 함침액의 양과 종류가 미리 정해져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할 때 취향에 따라 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마스크 팩 파우치를 개봉할 때 마스크 팩 자체에 이미 액상 성분이 함침되어 있으므로 액체 성분이 흘러내려 사용하기 불편했다. 특히 마스크 팩 성분으로 과일이나 식물 등의 천연 재료 추출물이나 진액(엑기스), 또는 액체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마스크 팩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용 전에 변질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사전에 확인하기도 어려웠다. 특히 온도가 높을 경우 산화하거나 부패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마스크 팩의 지지체의 재질이 순면이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셀룰로오스, 비스코오스 레이온 등의 섬유조직인 경우 천연 액체와 혼합시 천연 액체의 변질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심각하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사용할 때 다양한 함침액을 선택할 수 있고 함침양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즉석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마스크 팩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6-0036412호에는 화장수의 분리 보관이 가능한 마스크 팩 봉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 팩 봉지는 마스크 시트가 미리 화장수에 침전되어 있지 않아 장기 보관에 따른 마스크 팩의 효능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마스크 팩용 봉지에 화장수와 마스크 시트가 분리, 보관되어 화장수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 마스크 시트와 분리 보관되는 것은 화장수일 뿐이며 화장수에 추출 가능한 성분이 포함될 경우에는 가압 시 고형분 일부가 찌꺼기로 남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장수 자체의 변질 우려도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살균 또는 밀폐 포장을 하거나 파라벤, 페녹시에탄올과 같은 방부제를 포함하여야 하는데 살균이나 포장의 번거로움, 방부제사용으로 인한 폐해 등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마스크 시트에 침전물이 묻어 깔끔하게 피부에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36412호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함침량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마스크 팩이 수용된 마스크 팩 파우치,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상기 파우치에 수용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서로 별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내부영역과 제2내부영역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파우치로서, 상기 제1내부영역은 마스크 팩을 수용하고, 상기 제2내부영역은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을 수용하며, 상기 제1내부영역과 상기 제2내부영역은 필터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상기 마스크 팩 파우치에 화장수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는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과 마스크 팩을 분리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팩을 실제 사용할 때 마스크 팩 파우치에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입함으로써 마스크 팩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쉽게 추출하여 마스크 팩에 원하는 성분을 함침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함침량을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양 만큼 함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에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넣고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의 정면도,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는 서로 별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내부영역(20)과 제2내부영역(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내부영역(20)은 마스크 팩(40)을 수용하고, 상기 제2내부영역(30)은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50)을 수용하며, 상기 제1내부영역(20)과 제2내부영역(30)은 필터(10)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기 마스크 팩 파우치는 그 자체가 화장수를 포함하지 않으며,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 마스크 팩 파우치에 화장수를 주입하여 상기 건조물로부터의 추출성분이 마스크 팩에 화장료로 적용된다. 따라서 마스크 팩이 화장수를 미리 함유함에 따른 시트의 변질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없고 이에 따라 방부제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서, 화장수란 피부를 부드럽게 하거나 피부에 수분 또는 유분을 공급하는 화장 목적의 액체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10)는, 상기 마스크 팩 파우치에 화장수, 예를 들면,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입하면 상기 건조물(50)로부터 추출물이 화장수로 유입되고 이 추출물 중 고형분을 걸러낸 후 나머지 성분을 제1내부영역(20)으로 통과시킨다. 추출이나 압착 과정에서 생겨나는 찌꺼기나 침전물 등의 고형분은 필터(10)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2내부영역(30)에 그대로 남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는 상기 건조물(50)로부터 추출성분을 추출하고 이 중 고형분을 여과하고 나머지 성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 백에 해당한다.
상기 필터(10)는 이와 같이 마스크 팩 파우치의 내부를 적어도 두 개의 영역, 즉, 제1내부영역(20)과 제2내부영역(30)으로 분리할 뿐 아니라, 화장수를 주입하는 경우 그러한 액체 성분을 통과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필터(10)는,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50)을 압착하면 이로부터 찌꺼기나 침전물 등의 고형분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러내는 동시에 액체 성분을 통과시켜 제1내부영역(2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도 2, 도 3 참조).
상기 필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부영역(20)과 제2내부영역(30) 사이에서 칸막이를 형성하여 두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10)는 그 자체가 별도의 필터 백을 형성하여 제1내부영역(20)과 제2내부영역(30)을 분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 백 내부가 제1내부영역(20)을 형성하고 그 외부가 제2내부영역(30)을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필터 백 내부가 제2내부영역(30)을 형성하고 그 외부가 제1내부영역(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 필터 백 내부가 제2내부영역(30)을 형성하여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50)을 수용하고 상기 필터 백 외부가 제1내부영역(20)을 형성하여 마스크 팩(40)을 수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의 마스크 팩 파우치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부영역(20)은 마스크 팩(40)을 수용한다. 상기 마스크 팩(40)은 보관을 위하여 통상 접힌 상태로 제1내부영역(20)에 포함되어 있으나 접히지 않은 상태로 들어 있을 수도 있다. 제1내부영역(20)의 크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마스크 팩(40)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팩(40)은 제1내부영역(20) 내에 1장이 수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마스크 팩(40)로서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 2장 이상이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 팩(40)은 지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재질은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입할 경우 건조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질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직포, 면, 하이드로겔, 천연 소재를 이용한 바이오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호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부직포는 직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섬유를 평행하거나 정해지지 않은 방향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원료 섬유로는 셀룰로오스 섬유; 텐셀, 코튼, 펄프 등의 천연 섬유; 비스코오스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마스크 팩 재질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면은 천연 섬유로서 피부 자극이 적고 흡수성과 밀착력이 부직포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분산매로 하는 투명한 겔로서 유효 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피부에 수분을 장시간 공급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천연소재로 된 마스크 팩이 인기를 끌고 있다.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최근에 사용되는 소재로서 발효기간을 거쳐 만들어진다. 즉, 발효 과학을 이용해 천연 유래 코코넛 겔로 만들어진다. 바이오셀룰로오스는 매우 얇고 투명해, 피부에 부착하면 빈틈없이 밀착되는 한편 부드럽다는 장점이 있다. 붙이고 있는 동안에도 피부가 숨을 쉴 수 있고 얼굴 라인을 조여서 밀착력이 우수하다.
알루미늄 호일은 얼굴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히팅기능이 있어 침투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호일에 의하여 유효성분의 증발을 억제함으로써 유효성분이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되는 지지체의 재질이나 종류, 원재료에 따라 다양한 사용감과 효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사용되는 마스크 팩(40)은 지지체 그 자체로 사용될 수도 있고, 특정 성분이 코팅된 지지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체에 코팅되는 특정 성분은 잔탄 검, 메뚜기콩 검, 구아 검 등의 검류; 셀룰로오즈 또는 셀룰로오즈 유도체; 비타민 C, 카로테노이드, 비타민 E, 치자, 녹두, 감초, 나팔꽃씨, 구기자, 약쑥, 백련초 등을 들 수 있으나 화장품 원료로 사용가능한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코팅은, 예를 들면, 밀착성과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지체를 검류나 셀룰로오즈, 셀룰로오즈 유도체 등에 침지한 후 건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류는 점도를 제공하여 피부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검류 외에도 점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코팅은, 비타민 C나 카로테노이드 등의 강력한 유효 물질을 지지체에 직접 코팅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체에 특정 성분이 미리 코팅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코팅된 성분 자체가 건조되어 있으므로 화장수가 미리 함침된 경우와 달리 변질의 우려가 적다.
마스크 팩(40)의 지지체 상에 아무것도 코팅되지 않은 경우, 마스크 팩 파우치를 개봉한 후 여기에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센스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스크 팩(40)의 지지체 상에 상술한 특정 성분이 이미 코팅되어 있는 경우, 마스크 팩 파우치를 개봉한 후 여기에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만을 주입하거나 물과 에센스를 함께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부영역(30)에는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50)이 들어 있다.
상기 건조물(50)은 화장수에 의하여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물질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건조물은 화장수에 침지되거나 화장수가 주입될 경우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건조물은 수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단순 건조물이거나 동결 건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물은 분말, 여과물, 발효여과물, 추출물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보관시 변질 우려가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건조물은 예를 들면 식물, 과일, 차류, 해조류 및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어 화장품으로 사용가능한 미네랄류, 비타민류, 동물성 원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결 건조된 과일을 들 수 있다.
상기 건조물(50)로는 예를 들면 사과, 배, 오렌지, 귤, 포도, 복숭아, 알로에, 메론, 참외, 감, 수박, 석류 등과 같은 과일을 들 수 있다. 과일로는 동결 건조된 과일이 바람직하다.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50)로는 과일이 일반적이나, 과일 외에 물이나 에센스를 주입할 경우 액상의 유효성분이 추출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가시오가피, 갈근, 감초, 계지, 고삼, 괴화, 금은화, 산야초, 콩, 달맞이꽃, 당귀, 대나무, 도인, 마늘, 마치현, 맥문동, 면화자, 뮤게, 반하, 백굴채, 백급, 백작약, 백지, 백차, 버드나무, 병풀, 삼백초, 상백피, 생지황, 수세미, 신선초, 알로에, 약쑥, 어성초, 올리브, 라임, 쇠비름, 유칼립투스, 목단, 마트리카리아꽃, 상황버섯, 오매, 옥죽, 유칼립투스, 인삼, 자근, 자몽, 자소엽, 쟈스민, 정향, 지황, 목련나무, 병출, 광과감초, 검정콩, 차전초, 창포, 천궁, 천문동, 천상초, 카모마일, 크랜베리, 티트리, 팝, 호두, 황금, 황련, 옥용산, 감잎, 구기자, 들죽, 레몬, 루이보스, 바오밥, 복분자, 브로콜리, 오미자, 유자, 율피, 파슬리, 검정콩, 당근, 바질, 백련초, 백봉령, 산수유, 선인장, 송이, 올리프잎, 은행잎, 죽여, 토마토, 톳, 하수오, 카모마일, 야생팬지, 아이비, 알로에베라, 기타 한약재 중 1 이상의 식물; 녹조류, 홍조류, 갈조류, 미세조류 중 1 종 이상의 해조류; 커피, 녹차, 마테차, 카모마일차 등의 차류; 또는 기타, 꿀, 녹용, 쌀눈, 쌀겨, 멘톨, 미네랄, 캡사이신, 센텔라이시아티가, 알부틴, 닥나무,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감마아미노부티랙엑시드, 콜라겐, 비타민, 루테인, 코엔자임 Q10, 바이오페린, 달팽이 점액 여과물, 커큐민, 엽산, 글로코사민, 아미노산, 코코넛 오일, 알란토인, 팜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 오일, 쉐어버터, 스쿠알란, , 로즈마리잎오일, 라벤더오일, 칼슘, 오메가3, 요오드, 아연, 마스네뮤, 셀렌, 망간, 철분, 유산균, 글루코만난, 게르마늄, 크롬, 셀레늄, 휴먼올리고 펩타이드-1 중 1종 이상 기타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어 화장품으로 사용 가능한 동물성 및 무기물질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추출물, 분말, 동결 건조물, 여과물, 발효여과물도 가능하다. 특히, 동결 건조물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팩은 이러한 유효 성분이 피부에 더 잘 흡수되도록 도움을 준다.
제2내부영역(30)의 크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건조물(50)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에는 화장료 또는 화장수가 들어있지 않거나 이미 건조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보관 시에도 마스크 팩과 화장료 또는 화장수 간의 화학작용으로 인한 변질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마스크 팩 파우치의 재질은 상호 융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전, 후면에 인쇄가 가능한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스크 팩 파우치의 가장자리에는 밀봉부(60)가 있다. 상기 밀봉부(60)는 마스크 팩 파우치의 테두리를 따라 밀봉되어 내부에 공간을 제공한다. 밀봉은 열접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스크 팩 파우치의 가장 자리 중 개봉부를 제외한 모든 가장자리는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팩 파우치의 가장 자리 중 한 부분에는 개봉부가 있다. 개봉부는 지퍼 잠금 방식 또는 와이어 잠금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지퍼 잠금 방식은 서로 맞물리는 지퍼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어 지퍼를 열면 파우치을 개봉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방식이다. 와이어 잠금 방식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자석에 의하여 서로 붙어 있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외력을 가하여 쉽게 떼어내거나 붙일 수 있는 구조 방식이다. 와이어 잠금 방식은 개폐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마스크 팩 파우치의 입구가 밀봉될 수 있으므로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을 포장하면 그 자체가 잘 변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도 3, 도 5, 도 6의 마스크 팩 파우치는 필터(10)가 내부 공간을 앞, 뒤 두 부분으로 분리하고 필터(10)는 그 경계가 되는 위치에 중간 차단 막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구조이다.
반면, 도 4의 마스크 팩 파우치는 내부에 필터 백이 들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 백 내부는 제2내부 영역(30)을, 필터 백 외부는 제1내부 영역(2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 파우치는 상기 제1내부영역, 상기 제2내부영역과 별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3내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3내부영역은 화장수를 수용한다. 마스크 팩 파우치 내에 마스크 팩, 건조물이 수용된 공간과 별개의 공간에 화장수가 수용되므로 화장수로 인한 변질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하나의 파우치 안에 화장수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3내부영역은 제1내부영역, 또는 제2내부영역, 또는 제1내부영역과 제2내부영역 모두와 칸막이로 경계를 이루되 이 칸막이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붕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관시에는 화장수가 다른 영역에 수용된 물질과 서로 혼합되지 않다가 사용시에는 외력을 가하면 칸막이가 붕괴되어 제3내부영역에 수용된 화장수가 제1내부영역, 제2내부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은 부직포나 미용 필름 등의 지지체를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켜 마사지할 안면 부위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얼굴 모양이나 원형 등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되고 있다. 마스크 팩은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눈과 입 부위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얼굴에 덮었을 때 들뜨지 않고 코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눈과 입 부분이 뚫려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마스크 팩은 이렇게 형성된 지지체를 기본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서 필요한 화장료 등이 함침된 함침액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마스크 팩의 제조 및 사용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 및 사용 방법을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팩 사용자는 마스크 팩 파우치를 개봉한 후 마스크 팩 파우치 내부에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입한다.
마스크 팩 파우치의 제1내부 영역(20)과 제2내부 영역(30)에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채운다. 사용되는 물로는 정제수, 탄산수, 알칼리 수, 수소 수, 육각수, 광천수, 용암수, 해양심층수, 온천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센스 성분으로는 마스크 팩을 포함하여 화장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폴리올(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등), 점증제(검류, 아크릴레이트 등), 보습제(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피부보호제(식물추출물, 콜라겐, 토코페롤), 방부제,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미백기능성), 아데노신(주름 기능성 원료), 기타 약재, 꽃잎, 곡식류, 과실류의 추출물, 천연 오일, 합성 오일, 콜라겐, 비타민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채운 다음, 마스크 팩 파우치의 입구, 즉, 개봉부를 닫은 후 이들을 채운 마스크 팩 파우치를 눌러 압착한다.
압착은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채워져 있으며 상기 건조물이 수용된 제2내부 영역(30)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 부분을 압박하여 누르면 제2내부영역(30)에 있는 건조물(50)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이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빠져나오게 되고 이 성분은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일부와 함께 필터(10)를 통하여 제1내부영역(20)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압착을 하게 되면 필터(10)를 통하여 제1내부영역(20)에는 건조물(50)로부터 빠져나온 추출성분과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존재하게 되고, 제2내부영역(30)에는 건조물(50)로부터의 부유물과 필터를 통하여 제1내부영역(20)으로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추출 성분,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존재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압착 강도 및/또는 압착 횟수를 조절하면 추출양을 조절할 수 있다.
(3) 마스크 팩 파우치를 격렬하게 흔들어 준다.
이 단계는 상기 (2) 압착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2) 압착 단계를 생략하고 수행될 수도 있다.
마스크 팩 파우치를 격렬하게 흔들어 줌으로써 추출 성분과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이동, 특히, 필터를 통한 이동이 더 활발해 질 수 있다. 흔들어 주는 횟수와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물 또는 에센스와 건조물(50)로부터의 추출성분이 제1내부 영역으로 주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4) 마스크 팩 파우치의 제1내부영역(20)에서 마스크 팩을 꺼낸다.
마스크 팩(40)에는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함께 건조물(50)로부터의 추출성분이 함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함침액이 적셔진 마스크 팩을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스크 팩 파우치 내부에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입한 후 마스크 팩 파우치를 눌러서 압착하기 전에 마스크 팩 파우치 입구를 닫은 후 격렬하게 흔들어 주는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미리 격렬하게 흔들어 줌으로써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파우치 안에 균일한 농도로 섞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건조물을 선택하여 마스크 팩에 직접 함침하여 편리하게 원하는 효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함침량 또한,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여 원하는 효능에 적합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압착 횟수와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또한 흔들어 주는 횟수와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어도 두 차례 함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파우치 안에 마스크 팩과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이 모두 들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즉석에서 손쉽게 마스크 팩을 만들 수 있다. 아울러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팩 파우치에 화장수가 미리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관시 화장수의 변질, 또는 화장수와 지지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변질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은 얼굴용 마스크 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눈의 붓기와 피로를 완화시켜주는 눈 전용 마스크 팩, 코의 블랙 헤드 및/또는 화이트 헤드를 제거하는 코 전용 마스크 팩, 입술 각질을 관리해주고 보습을 높여주는 입술 전용 마스크 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마스크 팩은 에센스 등에 함유되는 성분에 따라 수분 공급, 미백, 노화방지, 리프팅, 진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팩에는 다양한 캐릭터 또는 디자인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하는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이 자명하다.
10: 필터
20: 제1내부영역
30: 제2내부영역
40: 마스크 팩
50: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
60: 밀봉부

Claims (19)

  1. 서로 별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내부영역과 제2내부영역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파우치로서,
    상기 제1내부영역은 마스크 팩을 수용하고,
    상기 제2내부영역은 화장수에 추출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건조물을 수용하며,
    상기 제1내부영역과 상기 제2내부영역은 필터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수를 포함하지 않는 마스크 팩 파우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장수는 물, 에센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수를 주입하면 상기 건조물로부터의 추출물이 필터를 통해 상기 제1내부영역으로 유입되는,
    마스크 팩 파우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내부영역과 제2내부영역 사이에서 칸막이를 형성하여 두 영역을 분리하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그 자체가 별도의 필터 백을 형성하여
    상기 필터 백 내부가 제1내부영역을 형성하고 그 외부가 제2내부영역을 형성하거나,
    상기 필터 백 내부가 제2내부영역을 형성하고 그 외부가 제1내부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팩은 상기 화장수를 주입하여 압착할 경우 상기 건조물로부터의 추출물을 함침할 수 있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
  8. 제1항에 있어서,
    입구부가 와이어 형태로 되어 있는
    마스크 팩 파우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은 과일, 식물, 해조류, 차류,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가능한 동물성 물질, 무기물질, 비타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인,
    마스크 팩 파우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은 동결 건조된 과일인
    마스크 팩 파우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은 사과, 배, 오렌지, 균, 포도, 복숭아, 메론, 참외, 감, 수박, 석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마스크 팩 파우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팩은 부직포, 면, 하이드로겔, 바이오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팩은 화장성분이 코팅된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영역, 상기 제2내부영역과 별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3내부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3내부영역은 화장수를 수용하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내부영역은 제1내부영역, 또는 제2내부영역, 또는 제1내부영역과 제2내부영역 모두와 칸막이에 의하여 별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칸막이는 외력에 의하여 붕괴될 수 있는 것인,
    마스크 팩 파우치.
  16. 제1항의 마스크 팩 파우치에 화장수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수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건조물을 압착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수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파우치를 교반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계 이후에 상기 파우치를 교반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0180147668A 2018-11-26 2018-11-26 마스크 팩 보관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23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68A KR102239348B1 (ko) 2018-11-26 2018-11-26 마스크 팩 보관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68A KR102239348B1 (ko) 2018-11-26 2018-11-26 마스크 팩 보관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869A true KR20200061869A (ko) 2020-06-03
KR102239348B1 KR102239348B1 (ko) 2021-04-13

Family

ID=7108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668A KR102239348B1 (ko) 2018-11-26 2018-11-26 마스크 팩 보관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4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471A (ja) * 1992-01-22 1993-08-10 Hosokawa Yoko:Kk 容 器
JP2010159087A (ja) * 2008-12-09 2010-07-22 Yushin:Kk 飲料水用ダブルパック包装袋および飲料水・抽出素材共充填型包装構造体
KR20140054054A (ko) * 2011-08-03 2014-05-08 콘텍, 인크. 자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패키지
CN104803082A (zh) * 2014-01-24 2015-07-29 李和伟 一种含有冻干赋型制剂的新型面膜包装用三室袋及其制备方法
JP2015532843A (ja) * 2012-09-24 2015-11-16 コロムブス イー.エーピーエス 使い捨て抽出装置及び使い捨て抽出装置の使用
KR20160036412A (ko) 2014-09-25 2016-04-04 민복기 화장수의 분리 보관이 가능한 마스크팩용 봉지
KR20160109422A (ko) * 2015-03-11 2016-09-21 김효영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KR2018003822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471A (ja) * 1992-01-22 1993-08-10 Hosokawa Yoko:Kk 容 器
JP2010159087A (ja) * 2008-12-09 2010-07-22 Yushin:Kk 飲料水用ダブルパック包装袋および飲料水・抽出素材共充填型包装構造体
KR20140054054A (ko) * 2011-08-03 2014-05-08 콘텍, 인크. 자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패키지
JP2015532843A (ja) * 2012-09-24 2015-11-16 コロムブス イー.エーピーエス 使い捨て抽出装置及び使い捨て抽出装置の使用
CN104803082A (zh) * 2014-01-24 2015-07-29 李和伟 一种含有冻干赋型制剂的新型面膜包装用三室袋及其制备方法
KR20160036412A (ko) 2014-09-25 2016-04-04 민복기 화장수의 분리 보관이 가능한 마스크팩용 봉지
KR20160109422A (ko) * 2015-03-11 2016-09-21 김효영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KR2018003822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48B1 (ko)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677B1 (ko) 활성물질 및 수분의 저장고가 있는 하이드로젤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CN104382799A (zh) 一种具有抗皱紧致和美颜保湿功效的护肤品
KR20140113615A (ko) 키토산을 이용한 diy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3193215U (ja) 乾性パックセット及び有機酸乾性パック
US20180169000A1 (en) Dying agent using natural henna
KR101089879B1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KR101623383B1 (ko) 동결건조분말을 이용한 거즈형 마스크 팩
JP2005225885A (ja) 加圧流体及び粒子に捕捉された化粧学的に活性な液状化合物を用いた、ケラチン物質を化粧学的に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の製法
KR102239348B1 (ko) 마스크 팩 보관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20210023965A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
CN102091008A (zh) 海藻敷面泥
WO2008034699A1 (en) Process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from plant or mineral extracts
KR20190056733A (ko) 티백 마스크
KR101127190B1 (ko) 약초 필링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0891B1 (ko) 마스크 팩 키트
KR101865553B1 (ko) 마스크팩 키트
KR20210060321A (ko) 스틱형 패키지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4873424A (zh) 美白面膜
CN207943313U (zh) 一种新型面膜
KR101828291B1 (ko) 마스크팩 키트
KR101233935B1 (ko)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CN108185056A (zh) 一种医用保健养生茶及其制备方法
KR102146220B1 (ko) 압착된 형태의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포함하는 소형 마스크 팩 파우치
KR102243389B1 (ko) 손 팩
KR100520780B1 (ko) 머드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