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752A -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752A
KR20200061752A KR1020180147416A KR20180147416A KR20200061752A KR 20200061752 A KR20200061752 A KR 20200061752A KR 1020180147416 A KR1020180147416 A KR 1020180147416A KR 20180147416 A KR20180147416 A KR 20180147416A KR 20200061752 A KR20200061752 A KR 2020006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rice
hot air
blu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992B1 (ko
Inventor
강소정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무화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무화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무화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9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청무화과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쌀과 같이 분쇄하여 열풍건조한 뒤 점도가 개선된 청무화과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Blue fig powd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청무화과 분말의 점도를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무화과는 무화과나무의 열매로서, 일본에서는 1600년대,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을 통해 1930년대 초반에 최초로 재배가 시작되었다.
무화과는 둥근형, 납작한 둥근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품족과 숙성도에 따라 노란색, 녹색, 청색, 등 다양한 외피 색을 가진다.
현재,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무화과의 품종은 약 600여종이다. 지중해 연안국, 유럽과 미국 등 서양에서는 스미르나(smyrna)형이 중심 품종으로, 이는 나무에 달린 채로 완숙되고, 수분이 적은 상태에서 곶감 형태로 수확되어 보관, 수송, 저장 및 유통되고 있는 반면, 한국과 일본, 중국 등 동양에서는 수확기의 많은 강우로 인해 건과의 제조가 부적합한 바, 봉래시(horaish)와 승정도후인(mashui dauphine) 품종을 중심으로 하여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생과로 이용되고 있다.
무화과에는 사과산과 시트르산을 비롯한 유기산과, 암치료에 효과적인 벤즈알데히드와 섬유질 및 단백질이 풍부하고, 이외에도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옥시다아제 등의 효소와 포도당, 과당을 비롯한 당분이 약 10% 함유되어 있어 단맛이 강한 특징을 나타낸다.
무화과는 영양학적으로 이상적인 과일로서, 미국에서는 시금치, 브로콜리와 함께 식이섬유와 칼슘이 풍부한 필수적 건강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과 미네랄을 비롯하여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피신(ficin)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고 장을 편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한편, 무화과는 전남지방 남해안 일부와 제주도 일부에서 무더운 여름철부터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계절적으로 다소 짧은 기간동안 생산되며, 과피가 얇고, 과육이 연하며, 수분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저장과 유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무화과의 저장기간은 상온에서는 약 1 ∼ 2일, 저온에서는 약 4 ∼ 5일로 매우 짧으므로, 저장성이 떨어져 예냉 처리 및 포장 방법의 개발 등 저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홍수 출하되는 시기에는 무화과의 가격이 폭락하고, 판매 잔여량이 발생되기도 하므로, 이 시기에 생산된 무화과는 품질이 우수하더라도 짧은 시간 내에 판매되지 못하는 경우, 전량 폐기되거나, 잼 등의 가공식품으로만 활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주로 생과 또는 냉장 방식 등 신선제품으로 유통되고 있어 판매에 한계가 있다. 더욱이, 생과 또는 냉장방식을 통하여 제공된 무화과를 소비자가 취식하는 경우, 전체 중량의 15∼ 20%를 차지하는 무화과 과피를 제거하고 취식하므로, 과피의 유효 성분을 소비자가 섭취하기 어려우며, 무화과의 전체 수율이 낮아짐에 따라 무화과의 소비효율 또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71462호에는 무화과를 이용한 건조 무화과절편, 통건조 무화과, 곶감형무화과 또는 설탕 절임 무화과 절편 및 그의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건조무화과 절편은 무화과를 절단한 후 동결건조시켜 만들어지고 있으나, 동결건조에 의한 건조방식은 건조시간이 길고 고가의 동결건조기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14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청무화과의 점도를 개선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숙된 청무화과 중 끝이 벌어지지 않은 청무화과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청무화과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쌀을 상온의 물로 수세하고 침지하여 불리는 단계와 쌀과 청무화과를 롤러에 의해 미분쇄하여 분발화하는 분쇄단계단계와 분쇄된 청무화과를 열풍을 가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단계는 50~60℃의 열풍을 가해 상기 청무화과와 쌀로부터 발생된 수분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습건조단계와 상기 배습건조단계 후 70~80℃의 열품을 가해 수분함량을 10중량% 이하로 감소시키는 진공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에 의하면 분말화된 청무화과의 점도가 쌀에 의해 감소되기에 저장성과 유통성이 보다 지속적이며, 당도 역시 그대로 유지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무화과 분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선별단계
먼저, 성숙된 청무화과를 채취한 후 벌어지지 않은 완숙된 청무화과만을 선별한다.
본 발명에서 청무화과는 무화과 나무의 열매를 의미한다. 익어서 성숙된 청무화과는 수확시기에 따라 끝이 벌어진, 즉 숙도(degree of maturity, 熟度)가 95∼100%인 완전성숙된 청무화과와 끝이 벌어지기 전, 즉 숙도가 80∼95%로 완전히 성숙되지 않은 무화과로 분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끝이 벌어지지 않은 청무화과를 이용한다.
끝이 벌어지지 않은 무화과는 완전성숙 청무화과에 비해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갖는다. 끝이 벌어지지 않은 청무화과는 완전성숙청무화과에 비해 열매 껍질 자체에 우유빛의 유액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2. 세척단계
선별 후 선별된 청무화과를 물로 세척한다. 본 발명은 청무화과의 껍질까지 이용하므로 껍질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세척시 무화과가 일그러지지 않도록 흐르는 물로 깨끗이 세척한다.
쌀의 경우 상온의 물로 세척하고 침지하여 불린다.
3. 분쇄단계
수분함유율이 30~40%인 불린 쌀 및 청무화과를 롤러의 간격이 서로 다른 2단롤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쇄시킨다. 압착 분쇄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수냉을 통해 열이 발생하지 않게 유지한다.
4. 건조단계
1차적으로 배습을 위해 분쇄된 쌀과 청무화과에 대해 50~60℃의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상기 1차 배습건조된 쌀과 청무화과에 대해 열풍건조장치에 의해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70~80℃의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이 2차 열풍건조를 통해 수분함량이 거의 없는 미세분말을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완숙된 청무화과 중 끝이 벌어지지 않은 청무화과를 선별하는 선별단계;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청무화과를 물로 세척하는 세척단계;
    쌀에 대해서 물로 세척하고 침지하여 불리는 단계;
    상기 세척된 청무화과와 쌀에 대해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청무화과와 쌀에 대해 1차 열풍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청무화과와 쌀에 대해 2차 열풍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차 열풍건조는 배습을 위해 50~60℃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2차 열풍건조는 미세분말화를 위해 70~80℃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KR1020180147416A 2018-11-26 2018-11-26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KR10226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16A KR102261992B1 (ko) 2018-11-26 2018-11-26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16A KR102261992B1 (ko) 2018-11-26 2018-11-26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52A true KR20200061752A (ko) 2020-06-03
KR102261992B1 KR102261992B1 (ko) 2021-06-09

Family

ID=7108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416A KR102261992B1 (ko) 2018-11-26 2018-11-26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9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62B1 (ko) 2006-05-12 2007-10-30 전라남도 무화과를 이용한 건조 무화과절편, 통건조 무화과, 곶감형무화과 또는 설탕 절임 무화과 절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95950A (ko) * 2009-02-23 2010-09-01 삼호농업협동조합 무화과 씨리얼 바 및 그 제조방법.
JP2016096736A (ja) * 2014-11-18 2016-05-30 ネピュレ株式会社 果実粉末
KR101707656B1 (ko) * 2014-12-12 2017-02-16 전현호 건 무화과 제조방법
KR20170064091A (ko) * 2015-11-30 2017-06-09 샬롬산업(주) 유자즙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70073895A (ko) * 2015-12-21 2017-06-29 경상남도 식물성 부재료를 포함하는 팽화과자 제조용 과립 및 이를 이용한 쌀 팽화과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62B1 (ko) 2006-05-12 2007-10-30 전라남도 무화과를 이용한 건조 무화과절편, 통건조 무화과, 곶감형무화과 또는 설탕 절임 무화과 절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95950A (ko) * 2009-02-23 2010-09-01 삼호농업협동조합 무화과 씨리얼 바 및 그 제조방법.
JP2016096736A (ja) * 2014-11-18 2016-05-30 ネピュレ株式会社 果実粉末
KR101707656B1 (ko) * 2014-12-12 2017-02-16 전현호 건 무화과 제조방법
KR20170064091A (ko) * 2015-11-30 2017-06-09 샬롬산업(주) 유자즙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70073895A (ko) * 2015-12-21 2017-06-29 경상남도 식물성 부재료를 포함하는 팽화과자 제조용 과립 및 이를 이용한 쌀 팽화과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992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vans et al. Mango production, global trade, consumption trends, and postharvest processing and nutrition
Gubb et al. 10 Onion Pre-and Postharvest Considerations
Levi et al. Intermediate moisture tropical fruit products for developing countries* I. Technological data on papaya
CN102119712A (zh) 一种保持鲜果风味和色泽的半干荔枝或龙眼的制备方法
CN102972705B (zh) 一种荔枝干加工方法
Maiti et al. Postharvest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e
KR101707656B1 (ko) 건 무화과 제조방법
Mohammed et al. Postharvest physiology and storage of golden apple (Spondias cythera sonnerat or Spondias dulcis forst): a review
KR20170113967A (ko) 고구마 말랭이의 제조방법
Sidhu Tropical fruits: guava, lychee, papaya
KR102261992B1 (ko) 청무화과 분말 제조방법
Mandal et al. Preparation of raisin from grapes varieties grown in Punjab with different processing treatments
KR20160069398A (ko) 감을 이용한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말랭이 또는 곶감말랭이
KR101338753B1 (ko) 무화과 퓨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무화과 퓨레
KR101907680B1 (ko) 생대추를 이용한 대추과자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1557552B1 (ko) 대추 품질 향상을 위한 생대추 건조방법
Kamal et al. Low cost technology of drying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CN102630747B (zh) 一种鲜切芒果的制备方法
CN104799211A (zh) 猕猴桃脆片的制备方法
Majomot et al. Effect of Hot Water Treatment and Evaporative Cooling on Some Postharvest Characteristics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cv.‘Sweet Cayenne’)
KR20200097155A (ko)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Hafizov Research of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of persimmon fruits as an object of drying
Sridhar et al. Different drying methods for fig
Oyebanji et al. Effect of pre-drying treatments on utilizability of sweet potato tubers for production of chips for confectionery flour
CN104054889A (zh) 一种保山甜柿果脯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