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661A -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661A
KR20200061661A KR1020180147222A KR20180147222A KR20200061661A KR 20200061661 A KR20200061661 A KR 20200061661A KR 1020180147222 A KR1020180147222 A KR 1020180147222A KR 20180147222 A KR20180147222 A KR 20180147222A KR 20200061661 A KR20200061661 A KR 2020006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ischarge
fluid
pressure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661A/ko
Publication of KR2020006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61/0025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1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는: 엔진에 연동되고,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가 구비되는 베인펌프; 베인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도록 제1 토출부에 연결되고, 변속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라인압 라인에 연결되는 제1 토출라인; 베인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도록 제2 토출부에 연결되고, 토크컨버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윤활라인에 연결되는 제2 토출라인; 라인압 라인의 라인압을 제어하도록 제1 토출라인에 설치되는 레귤레이터부; 및 제2 토출라인과 제1 토출라인 또는 레귤레이터부에 연결되고, 제2 토출라인의 유체를 레귤레이터부와 윤활라인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BINARY HYDRAULIC APPARATUS FO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저속 운전시 라인압 라인의 유량을 증대시키고, 라인압 라인의 압력 상승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변속할 수 있도록 변속기가 설치된다. 변속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압장치가 설치된다. 유압장치에는 변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되는 기계식 펌프가 구비된다. 변속기의 구동 속도에 따라 기계식 펌프의 펌핑 능력이 가변된다. 기계식 펌프에는 라인압 라인과 윤활라인이 연결되고, 라인압 라인과 윤활라인은 레귤레이터 밸브에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변속기가 저속으로 구동되면, 기계식 펌프의 펌핑 능력이 저하됨에 따라 라인압 라인의 압력이 저하되므로, 유압장치의 라인압이 요구되는 압력보다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변속기의 저속 구동시 기계식 펌프의 펌핑 능력이 저하되므로, 라인압 라인의 압력 상승이 지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51152호(2018. 05. 16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저속 운전시 라인압 라인의 유량을 증대시키고, 라인압 라인의 압력 상승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는: 엔진에 연동되고,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가 구비되는 베인펌프; 상기 베인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도록 상기 제1 토출부에 연결되고, 변속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라인압 라인에 연결되는 제1 토출라인; 상기 베인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도록 상기 제2 토출부에 연결되고, 토크컨버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윤활라인에 연결되는 제2 토출라인; 상기 라인압 라인의 라인압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 토출라인에 설치되는 레귤레이터부; 및 상기 제2 토출라인과 상기 제1 토출라인 또는 상기 레귤레이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토출라인의 유체를 상기 레귤레이터부와 상기 윤활라인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2 토출라인과 상기 제1 토출라인 또는 상기 레귤레이터부에 연결되는 스위칭 라인; 및 상기 제2 토출라인과 상기 스위칭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라인과 상기 윤활라인 중 어느 하나에 유체를 공급하는 스위칭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는 상기 스위칭 밸브를 유압에 의해 제어하도록 상기 스위칭 밸브와 상기 제1 토출라인에 연결되는 제어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라인의 라인압이 기 설정된 제1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 밸브는 상기 제2 토출라인의 유체를 상기 스위칭 라인에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는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유체를 상기 윤활라인에 유동시키도록 상기 레귤레이터부와 상기 윤활라인에 연결되는 감압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라인의 라인압이 기 설정된 제2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1 토출라인의 일부 유체를 상기 윤활라인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저속 운전시 스위칭부가 제2 토출라인의 유체를 제1 토출라인 또는 레귤레이터부에 공급하므로, 엔진의 저속 운전시 라인압 라인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신속하게 증가시키고, 라인압 라인에서 압력 상승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라인의 유압에 의해 스위칭 밸브가 제어되므로,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의 제조 단가를 감소시키고,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토출라인의 라인압이 제2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레귤레이터부가 윤활라인으로 일부 유체를 유동시키므로, 레귤레이터부와 제1 토출라인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인펌프의 구동 토크를 감소시키고, 엔진의 구동력이 주로 차량의 주행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스위칭부의 스위칭 밸브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제2 토출라인의 유체가 스위칭 라인을 통해 제1 토출라인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제2 토출라인의 유체가 스위칭 밸브에서 스위칭 라인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베인펌프의 유체가 제1 토출라인과 제2 토출라인으로 이원화되어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제2 토출라인의 유체가 스위칭 밸브에서 윤활라인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의 레귤레이터부의 유체가 감압라인을 통해 제2 토출라인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스위칭부의 스위칭 밸브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는 베인펌프(20), 제1 토출라인(30), 제2 토출라인(40), 레귤레이터부(50) 및 스위칭부(60)를 포함한다.
베인펌프(20)는 엔진(10)에 연동되고, 베인펌프(20)에는 제1 토출부(21)와 제2 토출부(22)가 구비된다. 베인펌프(20)에는 한 쌍의 흡입부(24)가 형성된다. 베인펌프(20)는 변속기(미도시)의 입력축(미도시)에 연결된다. 변속기와 엔진(10)의 구동 속도에 따라 베인펌프(20)의 펌핑 능력이 가변된다. 엔진(10)의 구동력은 차량의 주행과 베인펌프(20)의 구동을 위해 사용된다.
제1 토출라인(30)은 베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도록 제1 토출부(21)에 연결되고, 변속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라인압 라인(32)에 연결된다.
제2 토출라인(40)은 베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도록 제2 토출부(22)에 연결되고, 토크컨버터(미도시)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윤활라인(42)에 연결된다. 윤활라인(42)에는 토크컨버터 밸브(44)가 설치된다.
제1 토출라인(30)과 라인압 라인(32)에는 변속기를 변속시킬 수 있도록 고압의 라인압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토출라인(40)과 윤활라인(42)은 토크컨버터에 윤활 유량을 공급하도록 라인압보다 저압의 윤활압이 형성된다. 또한, 변속기를 변속하기 위해서는 고압의 유체가 요구되고, 변속기와 토크컨버터를 윤활하기 위해서는 저압의 유체가 대량으로 요구된다.
베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제1 토출라인(30)과 제2 토출라인(40)으로 이원화되어 유동되므로, 베인펌프(20)의 구동 토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베인펌프(20)의 구동 토크 손실이 감소되므로, 엔진(10)의 구동력이 베인펌프(20)의 구동을 위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50)는 라인압 라인(32)의 라인압을 제어하도록 제1 토출라인(30)에 설치된다. 레귤레이터부(50)로는 라인압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밸브가 적용된다.
스위칭부(60)는 제2 토출라인(40)과 제1 토출라인(30)에 연결되거나 제2 토출라인(40)과 레귤레이터부(50)에 연결된다. 스위칭부(60)는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를 레귤레이터부(50)와 윤활라인(42)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한다. 스위칭부(60)가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를 제1 토출라인(30) 또는 레귤레이터부(50)에 공급하는 경우, 엔진(10)의 저속 운전시 라인압 라인(32)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신속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라인압 라인(32)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이 신속하게 증가되므로, 변속기의 라인압이 신속하게 상승되고, 라인압 라인(32)에서 압력 상승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60)가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를 윤활라인(42)에 공급하는 경우, 토크컨버터와 변속기에 충분한 윤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스위칭부(60)는 스위칭 라인(61) 및 스위칭 밸브(63)를 포함한다.
스위칭 라인(61)은 제2 토출라인(40)과 제1 토출라인(30)에 연결되거나 제2 토출라인(40)과 레귤레이터부(50)에 연결된다. 스위칭 밸브(63)는 제2 토출라인(40)과 스위칭 라인(61)에 연결되고, 스위칭 라인(61)과 윤활라인(42) 중 어느 하나에 유체를 공급한다.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가 스위칭 라인(61)에 공급되는 경우, 제1 토출라인(30)에서 유체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토출라인(30)에서 유체의 유량이 증가되므로, 엔진(10)의 저속 운전시 제1 토출라인(30)에서 라인압이 신속하게 증가되고, 라인압 라인(32)의 압력 상승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는 스위칭 밸브(63)를 유압에 의해 제어하도록 스위칭 밸브(63)와 제1 토출라인(30)에 연결되는 제어라인(70)을 더 포함한다. 제1 토출라인(30)의 라인압이 기 설정된 제1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스위칭 밸브(63)는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를 스위칭 라인(61)에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제어라인(70)의 유압에 의해 스위칭 밸브(63)가 제어되므로,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의 제조 단가를 감소시키고,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스위칭부(60)는 밸브 하우징(64), 밸브 바디부(65) 및 탄성부재(66)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64)에는 제2 토출라인(40), 스위칭 라인(61) 및 제어라인(70)이 연결된다. 밸브 바디부(65)는 밸브 하우징(64)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밸브 바디부(65)에는 제1 토출라인(30)을 차폐시키는 제1 개폐부(65a)와, 스위칭 라인(61)을 차폐시키는 제2 개폐부(65b)가 형성된다. 탄성부재(66)는 밸브 바디부(65)를 제어라인(70)의 연결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밸브 바디부(65)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어라인(70)은 밸브 바디부(65)의 타측에 연결된다.
탄성부재(66)는 제1 토출라인(30)의 압력이 제1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가 윤활라인(42)으로 유동되도록 탄성 변형(수축)된다. 또한, 탄성부재(66)는 제1 토출라인(30)의 압력이 제1 설정압력 이하가 되면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가 스위칭 라인(61)으로 유동되도록 탄성 변형되지 않는다. 탄성부재(66)의 탄성력은 제1 설정압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66)의 탄성력은 제1 토출라인(30)의 라인압이 1-4bar를 초과할 때에 탄성부재(66)가 수축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는 레귤레이터부(50)의 유체를 윤활라인(42)에 유동시키도록 레귤레이터부(50)와 윤활라인(42)에 연결되는 감압라인(80)을 더 포함한다. 제1 토출라인(30)의 라인압이 기 설정된 제2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레귤레이터부(50)는 제1 토출라인(30)의 일부 유체를 감압라인(80)을 통해 윤활라인(42)으로 배출시킨다. 예를 들면, 제1 토출라인(30)의 라인압이 16bar 이상이 되면, 레귤레이터부(50)는 제1 토출라인(30)의 일부 유체를 윤활라인(42)으로 배출시킨다.
제1 토출라인(30)의 라인압이 제2 설정압력을 초고하는 경우, 레귤레이터부(50)가 윤활라인(42)으로 일부 유체를 배출시키므로, 레귤레이터부(50)와 제1 토출라인(3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토출라인(30)의 부하가 감소됨에 따라 베인펌프(20)의 구동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엔진(10)의 구동력이 베인펌프(20)의 구동을 위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0)의 구동력이 차량의 주행에 사용되므로, 엔진(10)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제2 토출라인의 유체가 스위칭 라인을 통해 제1 토출라인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제2 토출라인의 유체가 스위칭 밸브에서 스위칭 라인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토출라인(30)의 유체는 제어라인(70)을 통해 스위칭부(60)의 스위칭 밸브(63)에 압력을 가한다. 제1 토출라인(30)의 압력이 제1 설정압력(예: 3.5bar)이 탄성부재(66)의 탄성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 밸브(63)의 밸브 바디부(65)는 이동되지 않는다. 이때, 밸브 바디부(65)가 스위칭 라인(61)을 개방시키므로,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는 스위칭 밸브(63)와 스위칭 라인(61)을 통해 레귤레이터부(50)에 유입된다. 또한,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는 윤활라인(42)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제1 토출라인(30)의 압력이 제1 설정압력(예: 3.5bar) 이하인 경우,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가 스위칭부(60)의 스위칭 라인(61)을 통해 제1 토출라인(30) 또는 레귤레이터부(50)에 유입되므로, 라인압 라인(32)의 라인압이 신속하게 상승되고, 라인압 라인(32)의 압력 상승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엔진(10)이 저속 운전되는 경우, 베인펌프(20)가 저속으로 구동됨에 따라 제1 토출라인(30)과 제2 토출라인(40)에 유체가 공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베인펌프의 유체가 제1 토출라인과 제2 토출라인으로 이원화되어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에서 제2 토출라인의 유체가 스위칭 밸브에서 윤활라인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엔진(10)의 운전 속도가 증가되면, 제1 토출라인(30)과 제2 토출라인(40)으로 유체가 토출된다.
제1 토출라인(30)의 압력이 제1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제1 설정압력이 탄성부재(66)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66)가 수축됨에 따라 밸브 바디부(65)가 스위칭 라인(61)을 폐쇄시키고 제2 토출라인(40)을 개방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는 윤활라인(42)으로 유동되고, 스위칭 라인(61)으로는 유동되지 않으므로, 베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제1 토출라인(30)과 제2 토출라인(40)에 의해 이원화된다. 유체의 유동이 이원화됨에 따라 베인펌프(20)의 구동 토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엔진(10)의 저속 운전시에는 제2 토출라인(40)의 유체를 레귤레이터부(50)에 공급하여 라인압을 신속하게 상승시키고, 엔진(10)의 운전 속도의 증가시 제1 토출라인(30)과 제2 토출라인(40)을 통해 윤활 유체와 제어 유체를 이원화하여 유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의 레귤레이터부의 유체가 감압라인을 통해 제2 토출라인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귤레이터부(50)의 압력이 제2 설정압력(예: 16bar)을 초과하면, 레귤레이터부(50)의 일부 유체가 감압라인(80)을 통해 윤활라인(42)으로 배출된다. 레귤레이터부(50)의 유압이 감소됨에 따라 제1 토출라인(30)과 베인펌프(20)의 내부 압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베인펌프(20)의 구동 토크가 감소되므로, 엔진(10)의 구동력이 베인펌프(20)의 구동을 위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엔진(10)의 구동력이 차량의 주행을 위해 이용되므로, 엔진(10)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엔진 20: 베인펌프
21: 제1 토출부 22: 제2 토출부
24: 흡입부 30: 제1 토출라인
32: 라인압 라인 40: 제2 토출라인
42: 윤활라인 44: 토크컨버터 밸브
50: 레귤레이터부 60: 스위칭부
61: 스위칭 라인 63: 스위칭 밸브
64: 밸브 하우징 65: 밸브 바디부
65a: 제1 개폐부 65b: 제2 개폐부
66: 탄성부재 70: 제어라인
80: 감압라인

Claims (6)

  1. 엔진에 연동되고,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가 구비되는 베인펌프;
    상기 베인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도록 상기 제1 토출부에 연결되고, 변속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라인압 라인에 연결되는 제1 토출라인;
    상기 베인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도록 상기 제2 토출부에 연결되고, 토크컨버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윤활라인에 연결되는 제2 토출라인;
    상기 라인압 라인의 라인압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 토출라인에 설치되는 레귤레이터부; 및
    상기 제2 토출라인과 상기 제1 토출라인 또는 상기 레귤레이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토출라인의 유체를 상기 레귤레이터부와 상기 윤활라인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2 토출라인과 상기 제1 토출라인 또는 상기 레귤레이터부에 연결되는 스위칭 라인; 및
    상기 제2 토출라인과 상기 스위칭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라인과 상기 윤활라인 중 어느 하나에 유체를 공급하는 스위칭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밸브를 유압에 의해 제어하도록 상기 스위칭 밸브와 상기 제1 토출라인에 연결되는 제어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라인의 라인압이 기 설정된 제1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 밸브는 상기 제2 토출라인의 유체를 상기 스위칭 라인에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유체를 상기 윤활라인에 유동시키도록 상기 레귤레이터부와 상기 윤활라인에 연결되는 감압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라인의 라인압이 기 설정된 제2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1 토출라인의 일부 유체를 상기 윤활라인으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KR1020180147222A 2018-11-26 2018-11-26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KR20200061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22A KR20200061661A (ko) 2018-11-26 2018-11-26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22A KR20200061661A (ko) 2018-11-26 2018-11-26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61A true KR20200061661A (ko) 2020-06-03

Family

ID=7108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22A KR20200061661A (ko) 2018-11-26 2018-11-26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6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230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EP1881222B1 (en) Method of operating a dual clutch transmission hydraulic power control system as well as dual clutch transmission hydraulic power control system
US9829091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a hydraulic control system
US7611002B2 (en) Apparatus for the operation of a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and a therewith corresponding converter bypassing clutch of a transmission apparatus
CN112524242B (zh) 用于自动变速器的液压控制装置
US20160069447A1 (en) Hydraulic circuit for the transmissions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vehicles
KR20200061661A (ko) 변속기용 바이너리 유압장치
US6695589B1 (en) Control for an electric motor driven pump
KR102093113B1 (ko) 하이브리드변속기용 유압장치
US20200166124A1 (en) Vehicle
CN114829807B (zh) 动力传递装置以及动力传递方法
KR101785938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회로
CN110043464B (zh) 一种双作用叶片泵控制系统及设有该系统的变速箱总成
KR20190063857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KR101806095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0211362B1 (ko) 자동 변속기용 라인압 저하 보상장치
KR20050001771A (ko) 변속장치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20230030861A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0372449B1 (ko)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로의 오일공급장치
KR870000373B1 (ko) 엔진회전수에 따른 가변용량형 펌프의 제어장치
KR100506365B1 (ko) 무단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CN117307709A (zh) 用于运行机动车的变速器的液压系统的方法以及控制器
CN117307461A (zh) 用于控制泵系统的方法
KR20210069230A (ko) 자동변속기
KR20190121541A (ko) 자동변속기의 윤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