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182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182A
KR20200061182A KR1020180146643A KR20180146643A KR20200061182A KR 20200061182 A KR20200061182 A KR 20200061182A KR 1020180146643 A KR1020180146643 A KR 1020180146643A KR 20180146643 A KR20180146643 A KR 20180146643A KR 20200061182 A KR20200061182 A KR 2020006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sub
emitting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희
유동희
박지영
최혜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1182A/en
Publication of KR2020006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1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09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01L27/3213
    • H01L27/3244
    • H01L51/5012
    • H01L51/5048
    • H01L51/5237
    • H01L51/527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provided with a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pixel adjacent to the first sub-pixel;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first sub-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electrode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ing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b-electrode and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sub-electrod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first bank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electrode and the second sub-electrode and separating the first sub-pixel from the second sub-pixel.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omprises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includes a first patter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hole blocking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sidues of a photoresist (PR) or a shield (SL) and a stripper solution can be easily removed such that deterioration of devic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출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 발광 표시장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마이크로 발광 표시장치, 양자점 발광 표시장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micro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used.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의 적색, 녹색, 청색 화소 형성 시, FMM 기술을 이용할 경우 증착 마스크의 처짐에 대한 문제로 마스크 쉐도우에 의해 중소형 패널 제작이 가능하나, 대면적 적용은 어렵다. 반면, 포토 레지스트를 이용한 포토 공정은 유기발광층의 적색, 녹색, 청색 미세 패턴 형성이 가능하며, FMM 대비 대면적 패널 제작이 가능한 기술이다. 그러나, 포토 레지스트를 이용한 포토 공정은 포토레지스트(PR)나 쉴드(SL) 잔유물이 유기발광층에 잔막형태로 남을 경우, 소자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와 같이 초고해상도를 요구하는 표시장치일 경우 더 심화된다.In the case of forming red, green, and blue pixel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manufacture a small/medium sized panel by a mask shadow as a problem of sagging of a deposition mask when using FMM technology,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a large area. On the other hand, the photo process using a photoresist is a technology capable of forming red, green, and blue fine pattern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manufacturing a large area panel compared to FMM. However, in the photo process using a photoresist, when the residue of the photoresist (PR) or the shield (SL) remains in the form of a residual film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device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This problem is exacerbated for display devices that require ultra-high resolution, such as a head-mounted display.

본 출원은 유기발광층의 소자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devic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서브 화소 및 제1 서브 화소에 인접하는 제2 서브 화소를 구비한 기판, 기판 상에 구비되며 제1 서브 화소에 구비된 제1 서브 전극 및 제2 서브 화소에 구비된 제2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제1 서브 전극 상에 배치된 제1 유기발광층 및 제2 서브 전극 상에 배치된 제2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제1 서브 전극 및 제2 서브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서브 화소 및 제2 서브 화소를 구분하는 제1 뱅크를 포함하고, 제1 유기발광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하고, 정공차단층은 전자수송층과 사이에 구비된 제1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pixel adjacent to the first sub-pixel, a first sub-electrode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a first sub-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second sub electrode provided in 2 sub pixels,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b electrode, and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sub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first bank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electrode and the second sub-electrode to distinguish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is a hole injection layer, It includes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blocking layer may include a first patter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본 출원에 따른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유기층 중 포토 공정이 이루어지는 유기층의 상면에 요철 형태의 패턴부를 구비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PR)나 쉴드(SL)의 잔유물 및 스트리퍼 용액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층의 소자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uneven pattern portion on an upper surface of an organic layer in which a photo process is performed among a plurality of organic layers constitu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so that a foreign material such as a residue of a photoresist (PR) or a shield (SL) and a stripper solution Since it can be easily re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devic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described below, or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and description.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j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수계 스트리퍼가 패턴부에 접촉된 것을 나타낸 도 2g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수계 스트리퍼와 패턴부의 접촉각과 패턴부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4b는 패턴부의 폭 감소에 따른 수계 스트리퍼와 패턴부의 접촉각 감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헤드 장착형 표시(HMD)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A to 2J are schematic manufacturing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G showing that the water-based stripper is in contact with the pattern por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4A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FIG. 3 for explaining a contact angle of a water-based stripper and a pattern portion and a width of a pattern portio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B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reduction in a contact angle between a water-based stripper and a pattern portion according to a reduction in the width of the pattern portion.
5A to 5C relate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by referring to example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xample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be complete,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is appl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include','have','consist of', etc. mentio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man'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as a singular number, the plural number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top','~upper','~bottom','~side', etc.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direct' is used.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different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tervenes" may be,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artially or tota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may be possible, and each of the examples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n associative relationship. .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j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S. 2A to 2J are schematic manufacturing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내지 도 2j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기판(2), 회로 소자층(3), 제1 전극(4), 제1 뱅크(5), 유기발광층(6), 제2 전극(7), 봉지층(8), 및 제2 뱅크(9)를 포함한다. 유기발광층(6)은 패턴부를 더 포함한다.1 to 2J,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substrate 2, a circuit element layer 3, a first electrode 4, a first bank 5, and an organic It includes a light emitting layer 6, a second electrode 7, an encapsulation layer 8, and a second bank (9).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further includes a pattern portion.

상기 기판(2)은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 유리 기판(glass substrate), 또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2)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ubstrate 2 may be a plastic film, a glass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substrate such as silicon. The substrate 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상기 기판(2) 상에는 제1 서브 화소(21), 제2 서브 화소(22), 및 제3 서브 화소(23)이 구비되어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서브 화소(22)는 제1 서브 화소(21)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3 서브 화소(23)는 상기 제2 서브 화소(22)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화소(21), 제2 서브 화소(22), 및 제3 서브 화소(23)는 상기 기판(2)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On the substrate 2, a first sub-pixel 21, a second sub-pixel 22, and a third sub-pixel 23 are provided. The second sub-pixel 22 according to an exampl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sub-pixel 21. The third sub-pixel 23 according to an exampl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second sub-pixel 22. Accordingly, the first sub-pixel 21, the second sub-pixel 22, and the third sub-pixel 23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substrate 2.

도 1을 참조하면, 제1 서브 화소(21)는 적색(R)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22)는 녹색(G)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23)는 청색(B)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이트를 포함한 다양한 색의 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서브 화소 영역들(21, 22, 23)의 배열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sub-pixel 21 emits red (R) light, the second sub-pixel 22 emits green (G) light, and the third sub-pixel 23 is It may be provided to emit blue (B)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emit light of various colors including white.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of the sub-pixel regions 21, 22 and 23 can be variously changed.

상기 제1 서브 화소(21), 상기 제2 서브 화소(22), 및 제3 서브 화소(23) 각각은 제1 전극(4), 유기발광층(6) 및 제2 전극(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ub-pixel 21, the second sub-pixel 22, and the third sub-pixel 23 includes a first electrode 4, an organic emission layer 6, and a second electrode 7 It may be provid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발광된 광이 상부 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ion)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상기 기판(2)의 재료로는 투명한 재료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made of a so-called top emision method in which the emitted light is emitted toward the top, and thus,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2 is not only transparent but also opaque One material can be used.

상기 회로 소자층(3)은 기판(2)의 일면 상에 마련된다.The circuit element layer 3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2.

상기 회로 소자층(3)에는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31, 32, 33), 각종 신호 배선들, 및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는 회로 소자가 서브 화소 영역(21, 22, 23) 별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신호 배선들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전원 라인, 및 기준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31, 32, 33)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 화소 영역들(21, 22, 23)은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정의된다.The circuit element layer 3 is provided with circuit elements including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31, 32 and 33, various signal wires, and a capacitor for each sub-pixel region 21, 22, and 23. The signal wires may include a gate line, a data line, a power line, and a reference line, and the thin film transistors 31, 32, and 33 may include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sensing thin film transistor. have. The sub-pixel regions 21, 22, and 23 are defined by a cross structure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switched according to a gate signal supplied to the gate line to supply a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data line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전원 라인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데이터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극(4)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o generate a data current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line and serves to supply the first electrode 4.

상기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편차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게이트 라인 또는 별도의 센싱 라인에서 공급되는 센싱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를 상기 기준 라인으로 공급한다.The sensing thin film transistor serves to sense a threshold voltage deviation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at causes a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and the current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responsive to a sensing control signal supplied from the gate line or a separate sensing line. Is supplied to the reference line.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The capacitor serves to maintain the data voltage suppli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for one frame, and is connected to a gate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respectively.

제1 트랜지스터(31), 제2 트랜지스터(32), 및 제3 트랜지스터(33)는 회로 소자층(3) 내에 개별 서브 화소(21, 22, 23) 별로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제1 트랜지스터(31)는 제1 서브 화소(21) 상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전극(41)에 연결되어서 제1 서브 화소(21)에 해당하는 색의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first transistor 31, the second transistor 32, and the third transistor 33 are arranged in the circuit element layer 3 for each sub-pixel 21, 22, 23. The first transistor 31 according to an exampl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b-electrode 41 disposed on the first sub-pixel 21 to drive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pixel 21. Voltage can be applied.

일 예에 따른 제2 트랜지스터(32)는 제2 서브 화소(22) 상에 배치되는 제2 서브 전극(42)에 연결되어서 제2 서브 화소(22)에 해당하는 색의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istor 32 according to an examp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b-electrode 42 disposed on the second sub-pixel 22 to drive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b-pixel 22. Voltage can be applied.

일 예에 따른 제3 트랜지스터(33)는 제3 서브 화소(23) 상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전극(43)에 연결되어서 제3 서브 화소(23)에 해당하는 색의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third transistor 33 according to an example is connected to the third sub-electrode 43 disposed on the third sub-pixel 23 to drive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third sub-pixel 23 Voltage can be applied.

일 예에 따른 제1 서브 화소(21), 제2 서브 화소(22), 및 제3 서브 화소(23) 각각은 각각의 트랜지스터(31, 32, 33)를 이용하여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층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서브 화소(21), 상기 제2 서브 화소(22), 및 제3 서브 화소(23) 각각의 유기발광층은 소정의 전류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ub-pixel 21, the second sub-pixel 22, and the third sub-pixel 23 according to an example, the gate signal is input from the gate line using each of the transistors 31, 32, 33 When possible, a predetermined current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of the data line. Accordingly, the organic emission layers of the first sub-pixel 21, the second sub-pixel 22, and the third sub-pixel 23 may emit light with a predetermined brightnes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urrent.

제1 전극(4)은 상기 회로 소자층(3)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전극(4)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b),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상기 제1 전극(4)은 애노드(anode)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은 제1 서브 전극(41), 제2 서브 전극(42), 및 제3 서브 전극(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4 is form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3. The first electrode 4 according to an example is a stacked structure of aluminum and titanium (Ti/Al/Ti), a stacked structure of aluminum and ITO (ITO/Al/ITO), an APC alloy, and a stacked structure of APC alloy and ITO I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such as (ITO/APC/ITO). APC alloys are alloys of silver (Ag), palladium (Pb), and copper (Cu). The first electrode 4 may be an anode. The first electrode 4 may include a first sub-electrode 41, a second sub-electrode 42, and a third sub-electrode 43.

제1 서브 전극(41)은 제1 서브 화소(21)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서브 전극(41)은 회로 소자층(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전극(41)은 회로 소자층(3)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1 트랜지스터(31)의 소스 전극에 접속된다.The first sub-electrode 4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21. The first sub-electrode 41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3. The first sub-electrode 41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31 through a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the circuit element layer 3.

제2 서브 전극(42)은 제2 서브 화소(22)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서브 전극(42)은 회로 소자층(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브 전극(42)은 회로 소자층(3)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2 트랜지스터(32)의 소스 전극에 접속된다.The second sub-electrode 42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22. The second sub-electrode 42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3. The second sub-electrode 42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32 through a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the circuit element layer 3.

제3 서브 전극(43)은 제3 서브 화소(23)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서브 전극(43)은 회로 소자층(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서브 전극(43)은 회로 소자층(3)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3 트랜지스터(33)의 소스 전극에 접속된다.The third sub-electrode 43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sub-pixel 23. The third sub-electrode 43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3. The third sub-electrode 43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33 through a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the circuit element layer 3.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전극(41, 42, 43)은 상기 유기발광층(6)에서 발광된 광을 상부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전극(41, 42, 43)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되는 투명 전극과 상기 반사물질로 형성되는 반사 전극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사 전극의 아래에 별도의 투명 전극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전극(41, 42, 43) 각각이 별도의 투명 전극, 반사 전극, 및 투명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made of an upper emission method, and thus, the first to third sub-electrodes 41, 42 and 43 emit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emission layer 6. It may include a reflective material for reflecting upward.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sub-electrodes 41, 42, and 43 may be formed of a stacked structure of a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a reflective electrode formed of the reflective material.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transparent electrode is additionally provided below the reflective electrode, so that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electrodes 41, 42, and 43 is a separate transparent electrode, a reflective electrode, and a transparent electrode in turn. It may be made of a stacked three-layer structure.

이 때, 상기 제1 서브 화소(21)에 구비된 반사 전극, 상기 제2 서브 화소(22)에 구비된 반사 전극,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23)에 구비된 반사 전극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lective 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21, the reflective electrode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22,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provided in the third sub-pixel 23 are all made of the same material.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서브 화소(21)에 구비된 투명 전극, 상기 제2 서브 화소(22)에 구비된 투명 전극,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23)에 구비된 투명 전극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전극(7)에 대한 각 서브 전극들(41, 42, 43)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각 서브 화소(21, 22, 23)에 구비된 투명 전극들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가 마이크로 캐버티(microcavity) 특성을 이용하여 구현될 경우, 상기 투명 전극들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캐버티 특성은 상기 제1 전극(4)의 반사 전극과 상기 제2 전극(7) 사이의 거리가 각 서브 화소(21, 22, 23)에서 방출되는 광의 반파장(λ/2)의 정수배가 되면 보강간섭이 일어나 광이 증폭되며, 상기와 같은 반사 및 재반사 과정이 반복되면 광이 증폭되는 정도가 지속적으로 커져서 광의 외부 추출 효율이 향상되는 특성을 말한다. 표시장치가 마이크로 캐버티 특성을 갖도록 구현될 경우, 상기 제2 전극(7)은 반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Similarly, the transparent 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21, the transparent electrode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22,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provided in the third sub-pixel 23 are all made of the same material. It can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provided in each of the sub-pixels 21, 22 and 23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ub-electrodes 41, 42 and 43 with respect to the second electrode 7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using microcavity characteristics,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icrocavity characteristic i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ve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4 and the second electrode 7 is a half wavelength (λ/2) of light emitted from each sub-pixel (21, 22, 23). When it is an integer multiple, reinforcement interference occurs to amplify the light, and when the above reflection and re-reflection processes are repeated, the degree of amplification of light continuously increases, thereby improving the external extraction efficiency of light. When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to have micro-cavity characteristics, the second electrode 7 may include a translucent electrod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뱅크(5)는 제1 서브 전극(41)과 제2 서브 전극(42) 사이에 구비된다. 일 예에 따른 제1 뱅크(5)는 제1 서브 화소(21)과 제2 서브 화소(22)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뱅크(5)는 서브 화소 즉, 발광부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뱅크(5)가 형성된 영역은 광을 발광하지 않으므로 비발광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뱅크(5)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s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4)과 제1 뱅크(5) 상에는 유기발광층(6)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gain, the first bank 5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electrode 41 and the second sub-electrode 42. The first bank 5 according to an example is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sub-pixel 21 from the second sub-pixel 22. The first bank 5 serves to define a sub-pixel, that is, a light emitting unit. In addition, since the region in which the first bank 5 is formed does not emit light, it may be defined as a non-light emitting unit. The first bank 5 is formed of an organic film such as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phenolic resin, a polyamise resin, or a polyimide resin. Can b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4 and the first bank 5.

도 1을 참조하면, 제1 뱅크(5)는 상면(51) 및 경사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2)은 제1 경사면(521), 및 제2 경사면(52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bank 5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51 and an inclined surface 52. The inclined surface 52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521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522.

제1 뱅크(5)의 상면(51)은 제1 뱅크(5)에서 상측에 위치된 면이다.The upper surface 51 of the first bank 5 is a surface positioned above the first bank 5.

제1 뱅크(5)의 제1 경사면(521)은 상기 상면(51)에서부터 제1 서브 전극(41)의 상면(41a)으로 연장되는 면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521)과 상기 제1 서브 전극(41)의 상면(41a)은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는 표시장치가 고해상도로 구현됨에 따라 뱅크의 폭이 좁아져서 50°이상 90°미만일 수 있다. 상기 뱅크의 폭은 서브 화소 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521 of the first bank 5 is a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51 to the upper surface 41a of the first sub-electrode 41. Accordingly,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1 and the upper surface 41a of the first sub-electrode 41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50° or more and less than 90° because the width of the bank is narrowed as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high resolution. The width of the bank may be narrowed as the spacing between sub-pixels is narrowed.

제1 뱅크(5)의 제2 경사면(522)은 상기 상면(51)에서부터 제2 서브 전극(42)의 상면(42a)으로 연장되는 면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경사면(522)과 상기 제2 서브 전극(42)의 상면(42a)은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522)과 상기 제2 서브 전극(42)의 상면(42a)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 경사면(521)과 상기 제1 서브 전극(41)의 상면(41a)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2 of the first bank 5 is a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51 to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second sub-electrode 42. Accordingl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2 and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second sub-electrode 42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2 and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second sub-electrode 42 is equal to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1 and the upper surface 41a of the first sub-electrode 41. It can be the same.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제2 뱅크(9)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nk 9.

상기 제2 뱅크(9)는 제2 서브 전극(42)과 제3 서브 전극(43) 사이에 구비된다. 일 예에 따른 제2 뱅크(9)는 제2 서브 화소(22)과 제3 서브 화소(23)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뱅크(9)는 서브 화소 즉, 발광부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뱅크(9)가 형성된 영역은 광을 발광하지 않으므로 비발광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뱅크(9)는 상기 제1 뱅크(5)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4)과 제2 뱅크(9) 상에는 유기발광층(6)이 형성된다.The second bank 9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b-electrode 42 and the third sub-electrode 43. The second bank 9 according to an example is for distinguishing the second sub-pixel 22 from the third sub-pixel 23. The second bank 9 serves to define a sub-pixel, that is, a light emitting unit. In addition, the region where the second bank 9 is formed does not emit light, and thus may be defined as a non-light emitting unit. The second bank 9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ank 5. The organic emission layer 6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4 and the second bank 9.

도 1을 참조하면, 제2 뱅크(9)는 상면(91) 및 경사면(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92)은 제1 경사면(921), 및 제2 경사면(92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bank 9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91 and an inclined surface 92. The inclined surface 92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921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922.

제2 뱅크(9)의 상면(91)은 제2 뱅크(9)에서 상측에 위치된 면이다.The upper surface 91 of the second bank 9 is a surface positioned above the second bank 9.

제2 뱅크(9)의 제1 경사면(921)은 상기 상면(91)에서부터 제2 서브 전극(42)의 상면(42a)으로 연장되는 면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921)과 상기 제2 서브 전극(42)의 상면(42a)은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는 표시장치가 고해상도로 구현됨에 따라 뱅크의 폭이 좁아져서 50°이상 90°미만일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921 of the second bank 9 is a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91 to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second sub-electrode 42.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921 and the second sub-electrode 42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50° or more and less than 90° because the width of the bank is narrowed as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high resolution.

제2 뱅크(9)의 제2 경사면(922)은 상기 상면(91)에서부터 제3 서브 전극(43)의 상면(43a)으로 연장되는 면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경사면(922)과 상기 제3 서브 전극(43)의 상면(43a)은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922)과 상기 제3 서브 전극(43)의 상면(43a)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 경사면(921)과 상기 제2 서브 전극(42)의 상면(42a)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surface 922 of the second bank 9 is a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91 to the upper surface 43a of the third sub-electrode 43.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43a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922 and the third sub-electrode 43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922 and the upper surface 43a of the third sub-electrode 43 is equal to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921 and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second sub-electrode 42. It can be the same.

유기발광층(6)은 제1 전극(4) 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유기발광층(6)은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EML), 정공차단층(hole blocking layer, HBL), 및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6)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4.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a hole transporting layer (HTL), a light emitting layer (EML), a hole blocking layer (HBL),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It may inclu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may further include a hole injecting layer (HIL) and an electron injecting layer (EIL).

상기 유기발광층(6)의 정공주입층(HIL), 정공수송층(HTL), 전자수송층(ETL) 및 전자주입층(EIL)은 발광층(EML)의 발광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공수송층(HTL)과 전자수송층(ETL)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이고, 정공주입층(HIL)과 전자주입층(EIL)은 전자와 정공의 주입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The hole injection layer (HIL),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are intended to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re for balancing electrons and holes, and the hole injection layer (HIL) and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are for enhancing the injection of electrons and holes.

보다 구체적으로, 정공주입층(HIL)은 양극 재료로부터 주입되는 정공의 주입에너지 장벽을 낮추어 정공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정공수송층(HTL)은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이 손실되지 않고 발광층으로 수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More specifically, the hole injection layer (HIL) may facilitate hole injection by lowering the injection energy barrier of holes injected from the anode material.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serves to transport holes to the light emitting layer without loss of holes injected from the anode.

발광층(EML)은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의 재결합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층으로, 발광층 내의 결합에너지에 따라 적색, 청색, 녹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발광층을 구성하여 백색 발광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정공차단층(HBL)은 발광층(EML)과 전자수송층(ETL) 사이에 구비되어서 발광층(EML)에서 전자와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mission layer (EML) is a layer that emits light through recombination of holes injected from the anode and electrons injected from the cathode, and can emit red, blue, and green light depending on the binding energy in the emission lay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white light emitting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HBL)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serves to suppress the movement of holes that are not coupled with electrons in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전자수송층(ETL)은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주입층(EIL)은 전자 주입 시 전위 장벽을 낮추어 음극으로부터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serves to transport electrons injected from the cathod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lowers the potential barrier during electron injection to facilitate injection of electrons from the cathode.

제1 전극(4)에 고전위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7)에 저전위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수송층과 전자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되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When a high potential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4 and a low potential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7, holes and electrons are moved to the light emitting layer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respectively, and the light emitting layers combine with each other to emit light. do.

상기 유기발광층(6)은 제1 유기발광층(61), 제2 유기발광층(62), 및 제3 유기발광층(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emission layer 6 may include a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a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62, and a third organic emission layer 63.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은 제1 서브 전극(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은 제1 전극(4), 제1 뱅크(5), 및 제2 뱅크(9)가 형성된 후에 상기 제1 서브 전극(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b-electrode 41.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b-electrode 41 after the first electrode 4, the first bank 5, and the second bank 9 are formed.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발광층(613), 정공차단층(614), 전자수송층(615), 및 전자주입층(616)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611), 상기 정공수송층(612), 상기 발광층(613), 상기 정공차단층(614), 상기 전자수송층(615), 및 상기 전자주입층(616)은 제1 서브 화소(21)에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as shown in Figure 1, a hole injection layer 611, a hole transport layer 612, a light emitting layer 613, a hole blocking layer 614,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electrons It may be provided, including the injection layer 616.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the hole blocking layer 614,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is a first sub-pixel ( 21) may be formed sequentially.

한편,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전자수송층(615), 및 전자주입층(616)은 제1 서브 화소(21) 뿐만 아니라 제2 서브 화소(22) 및 제3 서브 화소(23)에 걸쳐서 전면 증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전자수송층(615), 및 전자주입층(616)은 제2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21), 정공수송층(62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각각과 서로 연결되고, 제2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21), 정공수송층(62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은 제3 유기발광층(63)의 정공주입층(631), 정공수송층(63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각각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may include the first sub pixel 21 as well as the second sub. It may be entirely deposited over the pixel 22 and the third sub-pixel 23. That is,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are the hole injection layers of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61 ( 621), the hole transport layer 62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ole injection layer 621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the hole transport layer 62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Silver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hole injection layer 631, the hole transport layer 63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따라서,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전자수송층(615), 및 전자주입층(61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기발광층(62)의 정공주입층(621), 정공수송층(62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이 될 수 있고, 제3 유기발광층(63)의 정공주입층(631), 정공수송층(63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전자수송층(615), 및 전자주입층(6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에서 공통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62 as shown in Figure 1 ) May be a hole injection layer 621, a hole transport layer 622,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631, a hole transport layer 632,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s a result,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ar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In a common layer.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전자수송층(615), 및 전자주입층(616)은 공통층으로 배치됨에 따라 제1 서브 화소(21)와 제2 서브 화소(22) 사이에 배치된 제1 뱅크(5)를 덮을 수 있고, 제2 서브 화소(22)와 제3 서브 화소(23) 사이에 배치된 제2 뱅크(9)를 덮을 수 있다.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are disposed as a common layer, and thus the first sub-pixel 21 and The first bank 5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b-pixels 22 may be covered, and the second bank 9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b-pixels 22 and the third sub-pixels 23 may be covered. have.

한편,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은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과 정공수송층(612)이 공통층으로 증착된 다음 제1 서브 화소(21)에서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수송층(612) 상에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이 증착되어 패터닝된 후에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전자수송층(615)과 전자주입층(616)이 공통층으로 증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전자수송층(615)과 전자주입층(616)은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을 덮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are deposited as a common layer. The first sub-pixel 21 may be patterned and formed. After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re deposited and patterned on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are patterned. Layer 616 may be deposited as a common layer. Therefore,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overs the emission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은 제2 서브 전극(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은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과 마찬가지로 제1 전극(4), 제1 뱅크(5), 및 제2 뱅크(9)가 형성된 후에 상기 제2 서브 전극(42) 상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6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electrode 42.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like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after the first electrode 4, the first bank 5, and the second bank 9 are formed, the second sub-electrode 42 ).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은 정공주입층(621), 정공수송층(622), 발광층(623), 정공차단층(624),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유기발광층(62)의 상기 정공주입층(621), 상기 정공수송층(622), 상기 전자수송층, 및 상기 전자주입층은 제2 서브 화소(22)에서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각각과 연결되어서 공통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621, a hole transport layer 622, a light emitting layer 623, a hole blocking layer 624,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hole injection layer 621, the hole transport layer 62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second sub-pixel 22, as described above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m and be disposed as a common layer.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의 발광층(623)과 정공차단층(624)은 제2 유기발광층(62)의 정공주입층(621)과 정공수송층(622)이 공통층으로 증착된 다음 제2 서브 화소(22)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의 정공수송층(622) 상에 발광층(623)과 정공차단층(624)이 증착되어 패터닝된 후에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의 전자수송층과 전자주입층이 공통층으로 증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의 전자수송층과 전자주입층은 발광층(623)과 정공차단층(624)을 덮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layer 62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24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are the second hole after the hole injection layer 621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622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are deposited as a common layer. The sub-pixel 22 may be patterned and formed. After the light emitting layer 62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24 are deposited and patterned on the hole transport layer 622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are common It can be deposited as a layer. Therefore,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overs the light emitting layer 62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24.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은 제3 서브 전극(4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은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과 마찬가지로 제1 전극(4), 제1 뱅크(5), 및 제2 뱅크(9)가 형성된 후에 상기 제3 서브 전극(43)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organic emission layer 63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sub-electrode 43.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like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after the first electrode 4, the first bank 5, and the second bank 9 are formed, the third sub-electrode 43 ).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은 정공주입층(631), 정공수송층(632), 발광층(633), 정공차단층(634),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3 유기발광층(63)의 상기 정공주입층(631), 상기 정공수송층(632), 상기 전자수송층, 및 상기 전자주입층은 제3 서브 화소(23)에서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유기발광층(62)의 정공주입층(621), 정공수송층(62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각각과 연결되어서 공통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631, a hole transport layer 632, a light emitting layer 633, a hole blocking layer 634,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hole injection layer 631, the hole transport layer 63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third organic emission layer 63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third sub-pixel 23, as described above. The hole injection layer 621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the hole transport layer 62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common layers to be disposed.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의 발광층(633)과 정공차단층(634)은 제3 유기발광층(63)의 정공주입층(631)과 정공수송층(632)이 공통층으로 증착된 다음 제3 서브 화소(23)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의 정공수송층(632) 상에 발광층(633)과 정공차단층(634)이 증착되어 패터닝된 후에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의 전자수송층과 전자주입층이 공통층으로 증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의 전자수송층과 전자주입층은 발광층(633)과 정공차단층(634)을 덮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layer 63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34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are the third hole after the hole injection layer 631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632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are deposited as a common layer. It may be formed by patterning on the sub-pixel 23. After the light emitting layer 63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34 are deposited and patterned on the hole transport layer 632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are common It can be deposited as a layer. Therefore,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overs the light emitting layer 63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34.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21, 22, 23) 각각에 패터닝되어 배치된 발광층(613, 623, 633)과 정공차단층(614, 624, 634)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이 서로 연결되는 공통층으로 구비되더라도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21, 22, 23) 별로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서브 화소(21)는 적색(R)의 광을 발광하고, 제2 서브 화소(22)는 녹색(G)의 광을 발광하며, 제3 서브 화소(23)는 청색(B)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색의 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he light emitting layers 613, 623, 63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that are patterned and disposed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 pixels 21, 22, and 23. , 624, 63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even if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re provided as common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21, 22, 23 It can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the first sub-pixel 21 emits red (R) light, the second sub-pixel 22 emits green (G) light, and the third sub-pixel 23 emits blue (B) light. It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light of various colors may be emitted.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 및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 각각이 적색(R) 광, 녹색(G) 광, 및 청색(B)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 서브 전극들(41, 42, 43)에 대한 상기 유기발광층들(61, 62, 63)의 배치 순서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 및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 각각이 적색(R) 광, 녹색(G) 광, 및 청색(B) 광을 발광함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62, and the third organic emission layer 63 emits red (R) light, green (G) light, and blue (B) light. When provide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61, 62, 63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electrodes 41, 42, 43 may be variously combined. Each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62, and the third organic emission layer 63 emits red (R) light, green (G) light, and blue (B) light. Accordingly, sinc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not use a color filter, an effect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can be expec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기발광층(61, 62, 63) 각각이 갖는 발광층(613, 623, 633)과 정공차단층(614, 624, 634)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21, 22, 23) 별로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발광층(613, 623, 633)과 정공차단층(614, 624, 634)은 각 서브 화소의 정공수송층(612, 622, 632)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정공차단층(614, 624, 634) 상에 쉴드층(SL) 및 포토레지스트(PR)가 적층된 다음, 포토 공정, PR제거 공정, 드라이 에칭(Dry Etching) 공정, 리프트 오프(Lift0off) 공정을 통해 각 서브 화소(21, 22, 23) 별로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layers 613, 623, and 633 and the hole blocking layers 614, 624, and 63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61, 62, and 63 have first to third sub-pixels 21, 22. , 23) may be patterned for each star.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light emitting layers 613, 623, and 633 and the hole blocking layers 614, 624, and 634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hole transport layers 612, 622, and 632 of each sub-pixel, and the hole blocking layer ( After the shield layer SL and photoresist PR are laminated on 614, 624, and 634, each sub-pixel is processed through a photo process, PR removal process, dry etching process, and lift-off process. It may be formed by patterning (21, 22, 23).

여기서, 정공차단층(614, 624, 634) 상에 배치된 쉴드층(SL) 및 포토레지스트(PR)를 스트리퍼(Stripper)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쉴드층(SL) 및 포토레지스트(PR)가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고 잔막 형태로 남을 경우, 발광층(613, 623, 633)이 발광하는 광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베리어로 작용하여서 소자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er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hield layer (SL) and the photoresist (PR) disposed on the hole blocking layer (614, 624, 634) using a stripper solution (shield) SL and the photoresist ( When PR) is not completely removed and remains in the form of a residual film, the light emitting layers 613, 623, and 633 not only block light emitted from light, but also act as a barrier that hinders the movement of electrons, thereby deteriorating device characteristics.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쉴드층(SL)과 접하는 정공차단층(614, 624, 634)이 요철형태의 패턴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정공차단층(614, 624, 634)으로부터 쉴드층(SL) 및 포토레지스트(PR)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정공차단층(614, 624, 634) 상에 쉴드층(SL) 및 포토레지스트(PR)의 잔여물이 남지않도록 하여서 발광층(613, 623, 633)의 소자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대한 표시장치(1)의 제조 공정을 설명할 때 다시 한 번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ole blocking layers 614, 624, and 634 in contact with the shield layer SL are provided to include pattern portions having an uneven pattern, so that the hole blocking layers 614, 624, Shield layer SL and photoresist PR may be easily removed from 634.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leave any residues of the shield layer SL and the photoresist PR on the hole blocking layers 614, 624, and 634, so that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623 and 63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once again when describ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전극(7)은 유기발광층(6)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7)은 제1 서브 화소(21), 제2 서브 화소(22), 및 제3 서브 화소(23)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이다. 제2 전극(7)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gain, the second electrode 7 is disposed on the organic emission layer 6. The second electrode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common layer formed in common with the first sub-pixel 21, the second sub-pixel 22, and the third sub-pixel 23. The second electrode 7 i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or IZO that can transmit light, or magnesium (Mg), silver (Ag), or magnesium (Mg) and silver (ag) It may be formed of a 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n alloy of.

제2 전극(7) 상에는 봉지층(8)이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8)은 유기발광층(6), 및 제2 전극(7)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8)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An encapsulation layer 8 may b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7. The encapsulation layer 8 serves to prevent oxygen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and the second electrode 7. To this end, the encapsulation layer 8 may include at least one inorganic layer and at least one organic layer.

예를 들어, 봉지층(8)은 제1 무기막, 유기막, 및 제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무기막은 제2 전극(7)을 덮도록 형성된다. 유기막은 제1 무기막을 덮도록 형성된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제1 무기막을 뚫고 유기발광층(6), 및 제2 전극(7)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무기막은 유기막을 덮도록 형성된다.For example, the encapsulation layer 8 may include a first inorganic film, an organic film, and a second inorganic film. In this case, the first inorganic film is formed to cover the second electrode 7. The organic film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inorganic film. The organic film is preferably formed to a sufficient length to prevent particles from ent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and the second electrode 7 through the first inorganic film. The second inorganic film is formed to cover the organic film.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전극(7) 상에 배치된 봉지층(8)까지만 도시하였다. 유기발광층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유기발광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색, 상기 녹색 및 상기 청색 컬러필터들이 상기 봉지층(8)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In FIG. 1, only the encapsulation layer 8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de 7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red, green and blu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that emit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the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s are the encapsulation layer 8 It may not be placed on.

도 2a 내지 도 2j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아래와 같은 제조 공정을 통해 정공차단층(614, 624, 634) 각각이 갖는 패턴부로부터 쉴드층(SL) 및 포토레지스트(PR)가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하여서 발광층(613, 623, 633)의 소자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2A to 2J are schematic manufacturing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hield layer SL and the photoresist PR are easily formed from the pattern portions of the hole blocking layers 614, 624, and 634 through the following manufacturing process. It may be provided to be removed so as to prevent deterioration of devic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layers 613, 623, and 633.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2)과 상기 회로 소자층(3) 상에 제1 전극(4), 제1 뱅크(5), 및 제2 뱅크(9)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발광층(613), 및 정공차단층(614)을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21, 22, 23)에 걸쳐서 전면 증착한다.2A and 2B, in a state in which a first electrode 4, a first bank 5, and a second bank 9 are formed on the substrate 2 and the circuit element layer 3,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21, 22, and 23 sequentially form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It is deposited over the entire surface.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정공차단층(614)의 상면에 패턴부를 형성한다. 상기 패턴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기발광층(61)에 형성되는 제1 패턴부(6141), 제2 유기발광층(62)에 형성되는 제2 패턴부(6241), 및 제3 유기발광층(63)에 형성되는 제3 패턴부(63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상기 제1 내지 제3 패턴부(6141, 6241, 6341)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C, a pattern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s illustrated in FIG. 1, the pattern part may include a first pattern part 6161 formed on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a second pattern part 6251 formed on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and a third A third pattern portion 631 formed on the organic emission layer 63 may be included.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pattern portions 6161, 6241, and 6341 are sequentially 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21, 22, 23)에 전면 증착된 정공차단층(614)의 상면에 드라이 에칭 공정으로 요철 형태의 제1 패턴부(6141)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패턴부(6141)는 삼각형 및 반구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차단층(614)의 상면이 드라이 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에칭 가스에 노출되는 시간, 또는 정공차단층(614)의 상면에 분사되는 에칭 가스의 압력을 부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삼각형 및 반구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1 패턴부(614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6141)는 복수의 삼각형이 인접하여 연속되거나 복수의 반구형이 인접하여 연속된 형태, 또는 복수의 삼각형이나 복수의 반구형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불연속적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6141)는 상기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C,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having an uneven shap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ole blocking layer 614 deposited on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21, 22 and 23 by a dry etching process. Can form. For example,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triangular shape and a hemispherical shape. At least one of a triangle and a hemispherical shape by partially adjusting the time at which the top surface of the hole blocking layer 614 is exposed to the etching gas used in the dry etching process, or the pressure of the etching gas spray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ole blocking layer 614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may be formed in one form.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may have a plurality of triangles adjacent to each other, or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hapes adjacent to each other, or a plurality of triangles or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hapes may be discontinuous.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and may be provided in other forms.

도 2d 내지 도 2f를 참조하면, 정공차단층(614)의 제1 패턴부(6141) 상에 쉴드층(SL) 및 PR층을 순차적으로 도포한 후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을 패터닝할 곳에 개구가 위치되도록 마스크(M, 도 2e에 도시됨)를 위치시킨 후 상기 개구를 통해 패터닝할 부분을 노광한다. 이에 따라, 상기 PR층에서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을 패터닝할 영역은 현상액에도 식각되지 않도록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현상액을 이용하여 PR층을 제거하는 1차 제거공정을 수행하면,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화소(21) 상에만 PR층이 식각되지 않고 남게된다. 상기 PR층은 포토레지스트층일 수 있다.2D to 2F, after sequentially applying the shield layer SL and the PR layer on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of the hole blocking layer 614,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 And a hole (M, shown in FIG. 2E) are positioned so that the opening is positioned where the hole blocking layer 614 is to be patterned, and then the portion to be patterned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ccordingly, in the PR layer, a reg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are patterned may have properties that are not etched by the developer. Accordingly, when the primary removal process of removing the PR layer using the developer is performed, the PR layer remains on the first sub-pixel 21 without being etched as shown in FIG. 2F. The PR layer may be a photoresist layer.

다음, 도 2g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을 패터닝하기 위해 제1 서브 화소(21)를 포함한 나머지 서브 화소(22, 23)의 쉴드층(SL), 정공차단층, 및 발광층 일부를 에칭 가스를 이용하여 식각하거나 스트리퍼 용액을 이용하여 리프트 오프(Lift-off)시켜 제거하는 2차 제거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2차 제거공정에서는 상기 1차 제거공정에 비해 에칭 가스에 노출되는 시간 또는 스트리퍼 용액에 담궈지는 시간을 더 늘림으로써, 쉴드층(SL)을 포함한 정공차단층, 및 발광층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칭 가스에 노출되는 시간 또는 상기 스트리퍼 용액에 담궈지는 시간은 정공수송층(612)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증착된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 및 정공차단층(614)의 제1 패턴부(6141)는 제1 서브 화소(21) 상에만 남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은 스트리퍼 용액에 의해 동시에 패터닝되므로,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의 양 끝단은 서로 일치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과 정공차단층(614)의 양 끝단이 서로 일치하도록 동시에 패터닝하므로, 발광층과 정공차단층을 각각 패터닝할 경우에 비해 제조 공정 수를 줄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2G, the remaining sub-pixels 22 and 23 including the first sub-pixel 21 for patterning the light-emitting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A second removal process of removing the shield layer SL, the hole blocking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by etching using an etching gas or by using a stripper solution to lift off (Lift-off) is performed. In the secondary removal process, a hole blocking layer including the shield layer SL and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 may be removed by increasing the time exposed to the etching gas or the time immersed in the stripper solution compared to the primary removal process. . At this time, the time to be exposed to the etching gas or the time to be immersed in the stripper solution can be adjusted in a range that does not damage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2G, the first evaporated layer 613,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6141 of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re only on the first sub-pixel 21. It can be patterned to remain. Meanwhile, since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are simultaneously patterned by a stripper solution,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are Both ends of the can be form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simultaneously patterned so that both ends of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14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hole blocking layer are It may be provided to reduce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compared to the case of each patterning.

한편, 상기 제1 패턴부(6141)로부터 쉴드층(SL)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리퍼 용액으로 수계 스트리퍼 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스트리퍼 용액은 불소계 스트리퍼 용액에 비해 비용이 약 1/10로 저렴하다. 예컨대, 상기 수계 스트리퍼 용액은 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불소계 스트리퍼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쉴드층(SL)을 제거하는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Meanwhile, an aqueous stripper solution may be used as a stripper solution for removing the shield layer SL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The aqueous stripper solution is less expensive than the fluorine stripper solution at about 1/10. For example, the aqueous stripper solution may be water.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reduce the process cost of removing the shield layer SL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fluorine-based stripper solution,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수계 스트리퍼 용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정공차단층(614)과 쉴드층(SL) 사이에 제1 패턴부(6141)를 구비함으로써 정공차단층(614) 상에 쉴드층(SL)의 잔여물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614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Sinc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es an aqueous stripper solu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6141 is disposed between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nd the shield layer SL. By provid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due of the shield layer SL from remaining on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 도 2h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전술한 도 2b 내지 도 2g의 공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상기 제2 서브 전극(42)의 상면(42a)에 전면 증착된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및 상기 정공수송층(612) 상에 양 끝단이 일치되도록 패터닝된 제2 유기발광층(62)의 발광층(623)과 정공차단층(6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의 정공차단층(624)은 제2 패턴부(62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패턴부(6241)는 전술한 제1 패턴부(6141)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서브 전극(43)의 상면(43a)에는 전면 증착된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이 배치되고, 상기 정공수송층(612) 상에 양 끝단이 일치되도록 패터닝된 제3 유기발광층(63)의 발광층(633)과 정공차단층(6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기발광층(63)의 정공차단층(634)은 제3 패턴부(63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패턴부(6341)는 전술한 제1 및 제2 패턴부(6141, 6241)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2H,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by the processes of FIGS. 2B to 2G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second sub-electrode 42 A hole injection layer 611, a hole transport layer 612, and a light emitting layer of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patterned to coincide at both end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deposited on the surface 623 and a hole blocking layer 624 may be formed. The hole blocking layer 624 of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62 may include a second pattern portion 6251,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6251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described above. It may be provided with. Similarly, a hole injection layer 611 and a hole transport layer 612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deposited on the front surface 43a of the third sub-electrode 43 are disposed, and on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A light emitting layer 633 and a hole blocking layer 634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patterned to coincide at both ends thereof may be formed. The hole blocking layer 634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may include a third pattern portion 6321, and the third pattern portion 6321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pattern portions 6161, 6241).

전술한 도 2b 내지 도 2g의 공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경우, 2b에서는 제1 서브 전극(41) 상에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부터 순차적으로 증착하였지만,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과 정공수송층(612)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21, 22, 23)에 걸쳐서 공통층으로 구비되므로, 제2 서브 전극(42) 상에는 제2 유기발광층(62)의 발광층(623)부터 증착을 시작할 수 있고, 제3 서브 전극(43) 상에는 제3 유기발광층(63)의 발광층(633)부터 증착을 시작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of FIGS. 2B to 2G are repeatedly performed, in 2B, the first organic electrode is sequentially deposited from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on the first sub-electrode 41. Since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of the light emitting layer 61 are provided as a common layer over the first to third sub pixels 21, 22, and 23, the second on the second sub electrode 42 Deposition may be started from the emission layer 623 of the organic emission layer 62, and deposition may be started from the emission layer 633 of the third organic emission layer 63 on the third sub-electrode 43.

다음, 도 2i 및 도 2j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 정공차단층(614), 제1 패턴부(6141), 제2 유기발광층(62)의 발광층(623), 정공차단층(624), 제2 패턴부(6241), 및 제3 유기발광층(63)의 발광층(633), 정공차단층(634), 제2 패턴부(6341)을 덮도록 전자수송층(615), 전자주입층(616), 제2 전극(7), 및 봉지층(8)이 순차적으로 전면 증착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일부 완료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2I and 2J,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nd the first pattern unit (1)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6141), the light emitting layer 623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the hole blocking layer 624, the second pattern portion 6161,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633, the hole blocking layer 634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the second electrode 7, and the encapsulation layer 8 are sequentially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to cover the second pattern portion 6321, thereby partially comple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여기서, 제1 유기발광층(61)의 정공주입층(611), 정공수송층(612), 전자수송층(615), 전자주입층(616)은 제1 서브 화소(21), 제2 서브 화소(22), 및 제3 서브 화소(23)에 걸쳐서 전면으로 증착되는 공통층이므로, 제2 유기발광층(62)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이 될 수 있고, 제3 유기발광층(63)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이 될 수 있다.Here, the hole injection layer 611, the hole transport layer 61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616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61 are the first sub-pixel 21, the second sub-pixel 22 ), and since it is a common layer deposited over the entirety of the third sub-pixel 23, it may b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62, and a third organic emission layer It may be a hole injection layer (63), a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21, 22, 23)에 걸쳐 전면 증착되는 전자수송층(615)은 상기 제1 패턴부(6141), 상기 제2 패턴부(6241), 상기 제3 패턴부(6341) 각각의 상면과 측면, 및 상기 발광층들(613, 623, 633) 각각의 양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that is entirely deposited over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21, 22, and 23 includes the first pattern part 6161, the second pattern part 6421, and the third pattern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parts 6321 may be disposed to cover both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layers 613, 623, and 633.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유기발광층(6)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을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21, 22, 23)를 모두 덮는 공통층으로 구비함으로써, 각 서브 화소 별로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을 패터닝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어서 완성된 표시장치의 택트 타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are all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21, 22, and 23. By providing a common layer to cover,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patterning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for each sub-pixel, thereby reducing the tact time of the completed display device. Can have

한편,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기발광층(61)의 발광층(613), 정공차단층(614), 및 제1 패턴부(6141)는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의 발광층(623), 정공차단층(624), 및 제2 패턴부(6241)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전극(41)과 제2 전극(7)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더라도 제2 서브 화소(22) 쪽으로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아서 제2 서브 화소(22)에서는 광을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전극(42)과 제2 전극(7)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더라도 제1 서브 화소(21) 쪽으로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아서 제1 서브 화소(21)에서는 광을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j,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1,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 623), the hole blocking layer 624,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625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even when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b-electrod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7, no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toward the second sub-pixel 22, so that the second sub-pixel 22 does not emit light. Can be. Likewise, even if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ub-electrode 42 and the second electrode 7, no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toward the first sub-pixel 21, so that the first sub-pixel 21 may not emit light. have.

또한, 제3 유기발광층(63)의 발광층(633), 정공차단층(634), 및 제3 패턴부(6341)는 상기 제2 유기발광층(62)의 발광층(623), 정공차단층(624), 및 제2 패턴부(6241)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브 전극(43)과 제2 전극(7)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더라도 제2 서브 화소(22) 쪽으로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2 서브 화소(22)에서는 광을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layer 633, the hole blocking layer 634, and the third pattern portion 631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3 include the light emitting layer 623 and the hole blocking layer 624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2 ),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625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even if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third sub-electrode 43 and the second electrode 7, no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toward the second sub-pixel 22, so that the second sub-pixel 22 does not emit light. Can be.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제1 내지 제3 유기발광층(61, 62, 63) 각각의 발광층, 정공차단층, 및 패턴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하는 인접한 서브 화소 간에 혼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layers, the hole blocking layers, and the pattern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61, 62, and 6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ixing between adjacent sub-pixels emitting color light can be prevented.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수계 스트리퍼가 패턴부에 접촉된 것을 나타낸 도 2g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수계 스트리퍼와 패턴부의 접촉각과 패턴부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며, 도 4b는 패턴부의 폭 감소에 따른 수계 스트리퍼와 패턴부의 접촉각 감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G showing that the water-based stripper is in contact with the pattern por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4A is the water-based stripper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contact angle of the pattern part and the width of the pattern part, and FIG. 4B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reduction of the contact angle of the water-based stripper and the pattern part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width of the pattern part.

도 2g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계 스트리퍼인 물을 이용하여 정공차단층(614)으로부터 쉴드층(SL)을 제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분자(W)가 제1 패턴부(6141)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제1 패턴부(6141)를 삼각형 및 반구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하여서 정공차단층(614)으로부터 쉴드층(SL)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삼각형이 인접하여 연속된 형태로 구비된 제1 패턴부(6141)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2G and 3, when the shield layer SL is removed from the hole blocking layer 614 using water as an aqueous stripper, as shown in FIG. 3, the water molecule W has a first pattern portion ( 6141).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with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in at least one of a triangle and a hemispherical shape to easily remove the shield layer SL from the hole blocking layer 614. Can be.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irst pattern portion 6161 provided in a continuous shape with a plurality of triangles adjacent to each other.

제1 패턴부(6141)는 복수의 돌출부(6141a) 및 복수의 삽입부(614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6161a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6161.

상기 복수의 돌출부(6141a)는 정공차단층(614)이 갖는 본체부(614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본체부(614a)는 상기 정공차단층(614)에서 발광층(613)의 상면에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 상측은 상기 본체부(614a)를 기준으로 발광층(613)이 배치된 쪽과 반대되는 쪽을 의미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6141a) 각각의 크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 분자(W)가 복수의 돌출부(6141a) 각각의 끝단에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므로, 물 분자(W)는 돌출부(6141a)들 각각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평면 상태의 정공차단층에서 물 분자를 제거하려면 약 24시간의 베이킹 시간이 필요하지만, 복수의 돌출부(6141a)가 구비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를 이용하면 일반적인 베이킹 시간의 1/3인 약 8시간 정도만 있으면 상기 돌출부(6141a)들로부터 물 분자(W)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를 이용하면 완성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까지 걸리는 택트 타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61a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614a of the hole blocking layer 614. The body portion 614a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in the hole blocking layer 614. The upper side means a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is disposed based on the main body portion 614a.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61a may be reduced toward the upper side. Accordingly, since the area where the water molecules W contact each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61a becomes small, the water molecules W can be easily removed from each of the protrusions 6161a. A baking time of about 24 hours is required to remove water molecules from the hole blocking layer in a general flat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not provided, bu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6161a When (1) is used, water molecules W can be sufficiently removed from the protrusions 6161a in about 8 hours, which is 1/3 of the normal baking time. Therefore, whe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act tim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completed display device.

상기 복수의 삽입부(6141b)는 상기 돌출부(6141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6141b)들 각각의 크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조 공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쉴드층(SL)은 상기 제1 패턴부(6141)의 상면을 덮도록 증착된 후 후속 공정에 사용되는 수계 스트리퍼 용액에 의해 제1 패턴부(6141)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쉴드층(SL)을 구성하는 유기물은 상기 돌출부(6141a)들을 덮음과 동시에 상기 삽입부(6141b)들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6141b)들 각각에는 소량의 기체 예컨대, 산소(O2) 및 아르곤(Ar) 중 적어도 하나의 기체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쉴드층(SL)의 유기물이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6141b)들 각각에는 기체와 쉴드층(SL)의 유기물이 함께 공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삽입부(6141b)에 쉴드층(SL)과 기체가 함께 채워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쉴드층만이 채워지거나 삽입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상기 쉴드층(SL)을 정공차단층(614)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6161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6161a. The size of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6161b may be formed to decreas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process, the shield layer SL is deposited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6141 by the aqueous stripper solution used in a subsequent process after being deposited to cover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do. Therefore, the organic material constituting the shield layer SL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6161b while simultaneously covering the protrusions 6161a. At this time, since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6161b is filled with a small amount of ga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oxygen (O 2 ) and argon (Ar), when the organic material of the shield layer SL is inserted, the insertion In each of the portions 6161b, a gas and an organic material of the shield layer SL may coexist.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shield layer SL and the gas are filled in the insert portion 6161b,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shield layer is filled or there is no insert portion. (SL) can have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hole blocking layer (614).

한편, 상기 삽입부(6141b)들로부터 쉴드층(SL)이 제거된 후에 후속 공정에서 전자수송층(615)을 구성하는 유기물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전자수송층(615)을 증착시키기 위한 챔버 내부를 진공 상태로 구현함으로써, 삽입부(6141b)들 각각에 기체가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정공차단층(614)과 전자수송층(615)의 결속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n organic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may be inserted in a subsequent process after the shield layer SL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portions 6161b. In this process, by implement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for depositing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in a vacuum state, it prevents the gas from being filled in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6161b, thereby binding the hole blocking layer 614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615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gaps that hinder the movement of electrons.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6141a)들 각각의 폭(L)과 높이(H)는 비례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6141a)의 폭(L)은 상기 본체부(614a)에 접하는 돌출부(6141a)의 길이를 의미하고, 돌출부(6141a)의 높이(H)는 돌출부(6141a)에서 본체부(614a)에 접하는 부분부터 상측 방향의 끝단까지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폭(L)은 도 3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일 수 있고, 높이(H)는 도 3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일 수 있다. 상기 폭(L)이 넓을수록 본체부(614a)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높이(H)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높이(H)가 높아지면, 삽입부(6141b)들 각각의 크기가 커지므로, 상기 삽입부(6141b)들 각각에 채워지는 기체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쉴드층(SL)을 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정공수송층(614) 상에 쉴드층(SL)의 잔여물이 남는 것을 방지하여서 유기발광층(6)의 소자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폭(L)이 너무 넓어지면, 삽입부(6141b)에 기체뿐만 아니라 물 분자(W)까지 삽입될 수 있으므로 오히려 제1 패턴부(6141)로부터 물 분자(W)를 제거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gain, the width L and the height H of each of the protrusions 6161a may be proportional. Here, the width L of the protruding portion 6161a means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6161a contacting the main body portion 614a, and the height H of the protruding portion 6161a is the body portion 614a from the protruding portion 6161a It means the length from the part contacting with to the end in the up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width L may b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FIG. 3, and the height H may be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FIG. 3. The wider the width L, the larger the area supported by the body portion 614a, so that the height H can be increased. When the height H is increased, the size of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6161b increases, so the volume of the gas filled in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6161b can be increased. In this case, since the shield layer SL can be more easily removed as described above, devic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are prevented by preventing the residue of the shield layer SL from remaining on the hole transport layer 614. It can further prevent the fall. However, if the width (L) is too wide, it is possible to insert not only gas but also water molecules (W) into the insertion portion (6141b), rather, it is more preferable to remove the water molecules (W)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6141) It can be difficult.

따라서, 돌출부(6141a)들 각각의 폭은 300 nm - 600 nm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141a)들 각각의 폭(L1)이 300 nm - 600 nm로 구비될 경우 물 분자(W)가 돌출부(6141a) 상측에 얹혀지는 구조 소위 말하는, Cassie-baxter's model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구형태의 물 분자(W)의 접선과 돌출부(6141a)의 상면이 이루는 접촉각(θ)은 150°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50°- 170°사이일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A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부분을 더 확대하면 돌출부(6141a)의 상면 끝단이 평면 형태여서 구형인 물 분자(W)의 접선과 돌출부(6141a)의 상면 끝단이 소정의 접촉각을 이룰 수 있다. Therefore, the width of each of the protrusions 6161a may be provided with 300 nm-600 n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when the width L1 of each of the protrusions 6161a is provided with 300 nm-600 nm, the water molecule W is placed on the top of the protrusion 6161a, so-called structure. Cassie-baxter's model can be implemented. In this case, the contact angle θ formed between the tangent line of the spherical water molecule W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6161a may be 150° or more, and preferably between 150°-170°. FIG. 4A schematically shows a portion A of FIG. 3, and when the portion A of FIG. 3 is further enlarged, the top end of the protrusion 6161a has a flat shape, so that the tangent of the spherical water molecule W and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6161 The end can achieve a predetermined contact angle.

상기 돌출부(6141a)의 상측에 물 분자(W)가 도 4a와 같이 얹혀지므로, 물 분자(W)와 돌출부(6141a)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물 분자(W)가 베이킹에 의해 쉽게 돌출부(6141a)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물 분자(W)와 본체부(614a)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부(6141b)에는 기체가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물 분자(W)가 돌출부(6141a)로부터 더 쉽게 제거될 수 있다.Since water molecules W ar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s 6161a as shown in FIG. 4A,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ater molecules W and the protrusions 6161 is small, so that the water molecules W are easily protruded by baking. ). In addition, since the gas may be filled in the insertion portion 6161b disposed between the water molecule W and the body portion 614a, the water molecule W can be more easily removed from the protrusion 6161a.

반면, 도 4b와 같이 물 분자(W)가 돌출부에 얹혀지지 않고 정공차단층에 접촉되는 구조 소위 말하는, Wenzel 상태가 구현되면, 물 분자(W)와 정공수송층의 접촉면적이 커질 수 있다. 상기 Wenzel 상태에서 베이킹 시간이 24시간이라고 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은 물 분자(W)와 돌출부(6141a)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약 8시간이면 돌출부(6141a)로부터 물 분자(W)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b, if the water molecule (W) is not placed on the protrusion and the so-called Wenzel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in contact with the hole blocking layer is implement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ater molecule (W)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be increased. If the baking time in the Wenzel state is 24 hour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small contact area between the water molecules W and the protrusions 6161a, so that the protrusions are about 8 hours. Since water molecules (W) can be sufficiently removed from (6141a), the manufacturing process time can be reduced.

도 4b에서 100은 본 출원의 발광층(613)에 대응되고, 101은 본 출원의 정공차단층의 본체부(614a)에 대응되고, 102는 본 출원의 제1 패턴부(6141)에 대응되고, 102a는 본 출원의 돌출부(6141a)에 대응되며, 102b는 본 출원의 삽입부(6141b)에 대응될 수 있다.In FIG. 4B, 100 corresponds to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1 corresponds to the body portion 614a of the hole blocking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2 corresponds to the first pattern part 6161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2a may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6161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102b may correspond to the insertion portion 6161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2a)의 폭(L2)은 본 출원의 돌출부(6141a)의 폭(L1)보다 작으며, 돌출부(102a)의 폭(L2)이 작기 때문에 물 분자(W)가 돌출부(102a)에 얹혀지지 않고 본체부(101)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Wenzel 상태에서는 물 분자(W)와 정공차단층(101)의 접촉면적이 클뿐만 아니라 물 분자(W)와 정공차단층(101) 사이에 기체가 채워질 수 없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구형태의 물 분자(W)의 접선과 돌출부(102a)의 상면이 이루는 접촉각(θ1)은 150°미만으로 본 출원의 접촉각(θ)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도 4a와 같은 Cassie-baxter's model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도 4b에 도시된 Wenzel 상태의 구조보다 정공차단층(614)의 본체부(614a) 및 제1 패턴부(6141)로부터 물 분자(W)를 쉽게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b, the width (L2) of the protrusion (102a) is smaller than the width (L1) of the protrusion (6141a) of the present application, because the width (L2) of the protrusion (102a) is small water molecules (W ) May be placed on the body portion 101 without being placed on the protruding portion 102a. Accordingly, in the Wenzel state, not only i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ater molecule W and the hole blocking layer 101 large, but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a gas cannot be filled between the water molecule W and the hole blocking layer 101. Here, the contact angle θ1 between the tangent line of the spherical water molecule W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02a is less than 150°, which is smaller than the contact angle θ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a result, sinc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Cassie-baxter's model structure as shown in FIG. 4A, the body portion 614a of the hole blocking layer 614 than the structure in the Wenzel state shown in FIG. 4B )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6161 to easily remove the water molecules (W).

상기 돌출부(6141a)들 각각의 폭(L1)이 300 nm 미만으로 구비될 경우, 접촉각이 너무 작아져서 정공차단층과 물 분자(W)의 접촉면적이 커지므로 정공차단층으로부터 물 분자(W)를 쉽게 제거할 수 없어서 베이킹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When the width L1 of each of the protrusions 6161a is provided to be less than 300 nm, the contact angle becomes too small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ole blocking layer and the water molecule W, so the water molecule W from the hole blocking lay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king time is prolonged because it cannot be easily removed.

상기 돌출부(6141a)들 각각의 폭(L1)이 600 nm 를 초과하여 구비될 경우, 접촉각이 너무 커져서 정공차단층과 물 분자(W)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부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물 분자(W)가 삽입부까지 채워지므로 오히려 정공차단층에 접촉되는 물 분자(W)의 접촉면적이 더 커져서 베이킹 시간이 더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When the width L1 of each of the protrusions 6161a is provided in excess of 600 nm, the contact angle may be too large, and the size of the inser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hole blocking layer and the water molecule W may be increased. In this case, since the water molecules W are filled up to the insertion portion, the contact area of the water molecules W in contact with the hole blocking layer becomes larger, so that the baking time becomes longer.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돌출부(6141a)들 각각의 폭이 300 nm - 600 nm로 구비되어서 물 분자(W)가 돌출부(6141a) 상측에 얹혀지는 Cassie-baxter's model을 구현함으로써, 물 분자(W)를 돌출부(6141a)로부터 제거하는 베이킹 시간을 줄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idth of each of the protrusions 6161a is 300 nm-600 nm, so that water molecules W ar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s 6161a Cassie-baxter's By implementing the model, it can be provided to reduce the baking time for removing the water molecules (W) from the projection (6141a).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물 분자(W)와 돌출부(6141a)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베이킹 온도인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돌출부(6141a)로부터 물 분자(W)를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 분자(W)를 제거하도록 구비되므로, 100℃로 물 분자(W)를 제거하는 경우에 비해 발광층(613)에 가해지는 열을 줄일 수 있어서 열에 의한 발광층(613)의 손상을 더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ater molecules W and the protrusions 6161a, so that the water from the protrusions 6161a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ypical baking temperature of 100°C. It may be provided to remove the molecule (W). Sinc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to remove water molecules W at a temperature lower than 100° C.,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water molecules W are removed at 100° C. Since the applied heat can be reduced, damag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613 due to heat can be further prevented.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헤드 장착형 표시(HMD) 장치에 관한 것이다.5A to 5C relate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헤드 장착형 표시(HMD)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a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VR(Virtual Reality) 구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c는 AR(Augmented Reality)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5A to 5C relate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5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IG. 5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R (Virtual Reality) structure, and FIG. 5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ugmented Reality (AR) structure.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에 따른 헤드 장착형 표시 장치는 수납 케이스(10), 및 헤드 장착 밴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5A,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storage case 10 and a head mounting band 12.

상기 수납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표시 장치, 렌즈 어레이, 및 접안 렌즈 등의 구성을 수납하고 있다. The storage case 10 houses components such as a display device, a lens array, and an eyepiece therein.

상기 헤드 장착 밴드(12)는 상기 수납 케이스(10)에 고정된다. 상기 헤드 장착 밴드(12)는 사용자의 머리 상면과 양 측면들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헤드 장착 밴드(12)는 사용자의 머리에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테 형태 또는 헬멧 형태의 구조물로 대체될 수 있다.The head mounting band 12 is fixed to the storage case 10. The head mounting band 12 is exemplified to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user's head and both s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d mounting band 12 is for fixing the head mounted display to the user's head, and may be replaced with a frame or a helmet-shaped structure.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에 따른 VR(Virtual Reality) 구조의 헤드 장착형 표시장치(1)는 좌안용 표시 장치(2a)와 우안용 표시 장치(2b), 렌즈 어레이(11), 및 좌안 접안 렌즈(20a)와 우안 접안 렌즈(20b) 를 포함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5B,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 having a VR (Virtual Real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display device 2a for the left eye, a display device 2b for the right eye, a lens array 11, and a left eye. The eyepiece 20a and the right eyepiece 20b may be included.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와 우안용 표시 장치(2b), 상기 렌즈 어레이(11), 및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와 우안 접안 렌즈(20b)는 전술한 수납 케이스(10)에 수납된다.The left-eye display device 2a, the right-eye display device 2b, the lens array 11, and the left-eye eye lens 20a and the right-eye eye lens 20b are housed in the aforementioned storage case 10. .

좌안용 표시 장치(2a)와 우안용 표시 장치(2b)는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2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좌안용 표시 장치(2a)는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우안용 표시 장치(2b)는 우안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와 상기 우안용 표시 장치(2b) 각각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4a에 따른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좌안용 표시 장치(2a)와 우안용 표시 장치(2b) 각각은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다.The left-eye display device 2a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2b may display the same image, in which case the user can watch the 2D image. Alternatively, the left-eye display device 2a may display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2b may display the right-eye image, in which case the user can view a stereoscopic image. Each of the display device 2a for the left eye and the display device 2b for the right eye may be formed of th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FIGS. 1 to 4A described above. For example, each of the left-eye display device 2a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2b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 및 우안용 표시 장치(2b) 각각은 복수의 서브 화소, 회로 소자층(3), 제1 전극(4), 제1 뱅크(5), 유기발광층(6), 패턴부, 제2 전극(7), 봉지층(8), 및 제2 뱅크(9)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서브 화소에서 발광하는 광의 색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서 다양한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The left-eye display device 2a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2b each include a plurality of sub-pixels, a circuit element layer 3, a first electrode 4, a first bank 5,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 A pattern unit, a second electrode 7, an encapsulation layer 8, and a second bank 9 may be included, and various colors may be displayed by combining the color of light emitted from each sub-pixel in various ways. .

상기 렌즈 어레이(11)는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와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 각각과 이격되면서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와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레이(11)는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의 전방 및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어레이(11)는 상기 우안 접안 렌즈(20b)와 상기 우안용 표시 장치(2b) 각각과 이격되면서 상기 우안 접안 렌즈(20b)와 상기 우안용 표시 장치(2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레이(11)는 상기 우안 접안 렌즈(20b)의 전방 및 상기 우안용 표시 장치(2b)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lens array 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eft eyepiece lens 20a and the left eye display device 2a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left eyepiece lens 20a and the left eye display device 2a. That is, the lens array 1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left eyepiece 20a and behind the left eye display 2a. In addition, the lens array 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ight-eye eye lens 20b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2b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right-eye eye lens 20b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2b. have. That is, the lens array 1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right-eye eyepiece lens 20b and behi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2b.

상기 렌즈 어레이(11)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일 수 있다. 렌즈 어레이(11)는 핀홀 어레이(Pin Hole Array)로 대체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11)로 인해 좌안용 기판(2a) 또는 우안용 기판(2b)에 표시되는 영상은 사용자에게 확대되어 보일 수 있다.The lens array 11 may be a micro lens array. The lens array 11 may be replaced with a pin hole array. The image displayed on the left-eye substrate 2a or the right-eye substrate 2b due to the lens array 11 may be enlarged to the user.

좌안 접안 렌즈(20a)에는 사용자의 좌안(LE)이 위치하고, 우안 접안 렌즈(20b)에는 사용자의 우안(RE)이 위치할 수 있다.The left eye LE of the user may be located in the left eyepiece 20a, and the right eye RE of the user may be located in the right eyepiece 20b.

도 5c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AR(Augmented Reality) 구조의 헤드 장착형 표시 장치는 좌안용 표시 장치(2a), 렌즈 어레이(11), 좌안 접안 렌즈(20a), 투과 반사부(13), 및 투과창(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c에는 편의상 좌안쪽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며, 우안쪽 구성도 좌안쪽 구성과 동일하다. As can be seen in Figure 5c,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f the AR (Augmented Real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ft-eye display device (2a), a lens array 11, a left eyepiece (20a), a transmissive reflector (13) , And a transmission window (14). For convenience, only the left eye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5C, and the right ey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left eye configuration.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 렌즈 어레이(11), 좌안 접안 렌즈(20a), 투과 반사부(13), 및 투과창(14)은 전술한 수납 케이스(10)에 수납된다. The left-eye display device 2a, the lens array 11, the left-eye eyepiece 20a, the transmissive reflecting portion 13, and the transmissive window 14 are accommodated in the aforementioned storage case 10.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는 상기 투과창(14)을 가리지 않으면서 상기 투과 반사부(13)의 일측, 예로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가 상기 투과창(14)을 통해 보이는 외부 배경을 가리지 않으면서 상기 투과 반사부(13)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2a for the left eye may be disposed on one side, for example, an upper side of the transmission reflection part 13 without covering the transmission window 14. Accordingly, the left eye display device 2a may provide an image to the transmissive reflector 13 without obscuring the external background seen through the transmissive window 14.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4a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4a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측 부분, 예로서 봉지층(8) 또는 컬러 필터층(미도시)이 상기 투과 반사부(13)와 마주하게 된다. The left-eye display device 2a may be formed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FIGS. 1 to 4A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n FIG. 1 to FIG. 4A,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a surface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for example, an encapsulation layer 8 or a color filter layer (not shown) faces the transmissive reflector 13.

상기 렌즈 어레이(11)는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와 상기 투과 반사부(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lens array 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eft eyepiece 20a and the transmissive reflector 13.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에는 사용자의 좌안이 위치한다. The left eye of the user is located in the left eyepiece 20a.

상기 투과 반사부(13)는 상기 렌즈 어레이(11)와 상기 투과창(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투과 반사부(13)는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면(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3a)은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에 표시된 영상이 상기 렌즈 어레이(11)로 진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과창(14)을 통해서 외부의 배경과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2a)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모두 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실의 배경과 가상의 영상을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볼수 있으므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 구현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reflection part 13 is disposed between the lens array 11 and the transmission window 14. The transmission reflection part 13 may include a reflection surface 13a that transmits a part of light and reflects another part of light. The reflective surface 13a is formed such that an image displayed on the left eye display device 2a proceeds to the lens array 11.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both the external background and the image displayed by the left-eye display device 2a through the transmission window 14. That is, since the user can view the virtual image and the background of the reality as a single image, augmented reality (AR) can be implemented.

상기 투과창(14)은 상기 투과 반사부(1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The transmission window 14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ransmission reflection unit 13.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 표시장치
2 : 기판 3 : 회로 소자층
4 : 제1 전극 5 : 뱅크
6 : 유기발광층 7 : 제2 전극
8 : 봉지층 9 : 제2 뱅크
10 : 수납 케이스 11 : 렌즈 어레이
12 : 헤드 장착 밴드 6141 : 제1 패턴부
6241 : 제2 패턴부 6341 : 제3 패턴부
1: Display device
2: Substrate 3: Circuit element layer
4: First electrode 5: Bank
6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7 second electrode
8: Encapsulation layer 9: Second bank
10: storage case 11: lens array
12: head mounting band 6141: first pattern portion
6241: second pattern portion 6341: third pattern portion

Claims (18)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에 인접하는 제2 서브 화소를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 화소에 구비된 제1 서브 전극,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구비된 제2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서브 전극 상에 배치된 제1 유기발광층, 및 상기 제2 서브 전극 상에 배치된 제2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서브 전극 및 상기 제2 서브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를 구분하는 제1 뱅크를 포함하고,
제1 유기발광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차단층은 상기 전자수송층과 사이에 구비된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pixel adjacent to the first sub-pixel;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first sub-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electrode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An organic emission layer including a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b-electrode and a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sub-electrod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first bank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electrode and the second sub-electrode to distinguish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i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patter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유기발광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기발광층의 정공차단층은 상기 제2 유기발광층의 전자수송층과 사이에 구비된 제2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기발광층의 발광층, 정공차단층 및 제1 패턴부는 상기 제2 유기발광층의 발광층, 정공차단층 및 제2 패턴부와 서로 이격된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a second patter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display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발광층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은 상기 제1 뱅크를 덮도록 상기 제2 유기발광층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각각과 서로 연결된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so as to cover the first bank.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발광층의 발광층과 정공차단층의 양 끝단은 서로 일치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device having both ends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hole blocking layer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oinciding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는 삼각형 및 반구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된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triangle and a hemispherica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발광층의 정공차단층은 상기 발광층의 상면에 접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접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e blocking layer of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a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a display devi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 각각의 크기는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patter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size of each of the protrusions is reduced to the upper side display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각각의 폭과 높이는 비례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width and height of each of the protrusions are proportio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각각의 폭은 300 nm - 600 nm로 구비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width of each of the protrusions is 300 nm-600 nm display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들 각각의 크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patter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ize of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decreases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쉴드층의 유기물이 삽입되어 제거된 후에 전자수송층의 유기물이 삽입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rganic material of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inserted after the organic material of the shield layer is inserted and removed in the insert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인접하는 제3 서브 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서브 화소에 구비된 제3 서브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제3 서브 전극 상에 배치된 제3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발광층, 상기 제2 유기발광층, 및 상기 제3 유기발광층은 각각 적색(R) 광, 녹색(G) 광, 및 청색(B) 광을 발광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includes a third sub-pixel adjacent to the second sub-pixel,
The first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es a third sub electrode provided in the third sub pixel,
The organic emission layer includes a third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on the third sub-electrode,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red (R) light, green (G) light, and blue (B) light, respectively.
제 12 항에 있어서,
제3 유기발광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유기발광층의 정공차단층은 상기 제3 유기발광층의 전자수송층과 사이에 구비된 제3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기발광층의 발광층, 정공차단층 및 제3 패턴부는 상기 제2 유기발광층의 발광층, 정공차단층 및 제2 패턴부와 서로 이격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a third patter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display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and the third pattern portion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전극 및 상기 제3 서브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서브 화소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를 구분하는 제2 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유기발광층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은 상기 제2 뱅크를 덮도록 상기 제2 유기발광층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각각과 서로 연결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A second bank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b-electrode and the third sub-electrode to distinguish the second sub-pixel and the third sub-pixel,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so as to cover the second bank. Display device.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끝단을 덮도록 구비된 뱅크;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발광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정공차단층은 상기 전자수송층과 사이에 구비된 패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Board;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substrate;
A bank provided to cover an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hole blocking layer i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tter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과 상기 정공차단층의 양 끝단은 서로 일치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 display device having both ends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hole blocking layer coinciding with each oth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삼각형 및 반구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pattern unit is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triangle and a hemispherical shape.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이격되는 렌즈 어레이,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렌즈 어레이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ens array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and a storage case accommodating the substrate and the lens array.
KR1020180146643A 2018-11-23 2018-11-23 Display device KR202000611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43A KR20200061182A (en) 2018-11-23 2018-11-2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43A KR20200061182A (en) 2018-11-23 2018-11-23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182A true KR20200061182A (en) 2020-06-02

Family

ID=7109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643A KR20200061182A (en) 2018-11-23 2018-11-23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118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217B1 (en) Oled micro-cavity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US7893612B2 (en) 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KR102174652B1 (en)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11088208B2 (en) Display apparatus
CN111384107B (en) Display device
US8350464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26658B1 (en) Display device
KR20200014053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85248A (en) Display device
KR102520022B1 (en) Display device
KR102604263B1 (en) Display device
KR20200002673A (en) Display device
WO2022134427A1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20200061282A (en) Display device
KR20200061182A (en) Display device
KR102513769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10001729A (en) Display device
KR20210083715A (en) Display device
KR20200073805A (en) Display device
WO2022239576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00061181A (en) Display device
KR102655936B1 (en) Display device
KR20200061180A (en) Display device
KR20200080742A (en) Display device
KR20200081194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