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961A - 버너장치 - Google Patents

버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961A
KR20200059961A KR1020180145354A KR20180145354A KR20200059961A KR 20200059961 A KR20200059961 A KR 20200059961A KR 1020180145354 A KR1020180145354 A KR 1020180145354A KR 20180145354 A KR20180145354 A KR 20180145354A KR 20200059961 A KR20200059961 A KR 20200059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er
heating member
burner device
control unit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이주희
박창권
김은택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961A/ko
Publication of KR2020005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6Protecting flame and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6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with provision for a retention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9/00Pilot flame igniters
    • F23Q9/02Pilot flame igniters without interlock with main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너장치는 연료를 공급하는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을 통해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기와, 상기 점화기에 의해 점화된 연료에 의해 연소실에 화염이 형성되도록 연료를 공급하는 메인 노즐, 그리고 상기 점화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점화기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응축수를 제거 가능한 열에너지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너장치{BURNER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기에 부착된 그을음을 제거 가능한 버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너장치는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열에너지는 배기가스를 승온시키거나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의 점화를 위해 파일럿 연료 및 파일럿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가 사용된다.
하지만, 파일럿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의 작동은 계속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버너장치의 작동 초기에만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점화기의 표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이의 작동시 보다 낮은 온도에 노출된다. 따라서, 점화기의 표면에 응축수가 맺히게 된다.
또한, 점화기의 표면에 이의 작동시 발생된 그을음이 부착된다.
이러한 점화기의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 및 그을음은 점화기의 누전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점화기에 발생되는 누전에 의안 아크발생은 점화기가 원래의 설계에 맞게 파일럿 연료를 효과적으로 점화시키기 위해 점화되는 것이 아니라 이의 누전에 따른 아크발생위치가 상이하게 되어 파일럿 연료의 점화를 효과적으로 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점화기에 부착되는 그을음 또는 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버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너장치는 연료를 공급하는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을 통해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기와, 상기 점화기에 의해 점화된 연료에 의해 연소실에 화염이 형성되도록 연료를 공급하는 메인 노즐, 그리고 상기 점화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점화기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응축수를 제거 가능한 열에너지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에너지 공급부는 상기 점화기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에너지 공급부는 상기 점화기를 향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점화기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5cm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유체 공급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를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버너장치는 상기 가열부재의 제어 시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기의 작동이 중지된 이후, 상기 가열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기의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파일럿 노즐로 연료의 공급이 중지된 경우, 상기 가열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재를 기설정된 시간만큼 작동시킨 후, 상기 가열부재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너장치는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점화기에 부착되는 글을음 또는 이에 생성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버너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를 설명한다.
버너장치(1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 노즐(200)과 점화기(300)와 메인 노즐(400) 그리고 열에너지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파일럿 노즐(200)은 버너장치(101)로 연료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버너장치(101)는 바디(100)를 포함하고, 이의 내부에는 연소실이 형성된다. 파일럿 노즐(200)은 바디(100)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노즐(200)은 바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소실을 침범하지 않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0) 내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된 연소실(110)이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일럿 노즐(200)은 바디(100) 일측에 배치되어 바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바디(100)의 일측에 돌출 설치된 설치영역(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점화기(300)는 파일럿 노즐(200)을 통해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점화기(300)는 파일럿 노즐(200) 보다 상부의 바디(100) 일측에 설치되어 파일럿 노즐(200)의 끝단으로 분사되는 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점화기(300)는 파일럿 노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노즐(400)은 연료를 연소실로 향해 공급한다. 또한, 메인 노즐(400)은 점화기(300)에 의해 점화된 연료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가 화염을 형성하도록 연료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노즐(400)은 파일럿 노즐(20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노즐(400)의 일단은 연소실(110)과 상대적으로 파일럿 노즐(200)의 일단보다 인접하도록 긴 길이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노즐(400) 보다 파일럿 노즐(200)이 바디(100)의 외주면과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인 노즐(400)로부터 공급된 연료는 연소실에 화염을 형성하고, 점화기(300) 및 파일럿 노즐(200)로부터 공급된 연료는 점화되어 메인 노즐(400)로부터 공급된 연료가 점화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열에너지 공급부(500)는 점화기(300)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점화기(300)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응축수를 제거 가능하다. 열에너지 공급부(500)는 점화기(300)의 표면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응축수가 제거되도록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는 점화기(300)의 표면에 부착된 그을음을 제거할 수 있어 점화기(300)의 작동시 그을음 또는 응축수에 의한 누전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의 열에너지 공급부(500)는 가열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재(510)는 점화기(300)로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재(510)는 점화기(300) 표면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그을음 또는 응축수가 점화기(300)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재(510)로부터 제공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점화기(300)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점화기(300)가 누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화기(300)가 누전되는 경우 파일럿 노즐(200)로부터 분사되는 연료를 효과적으로 점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의 열에너지 공급부(500)는 가열부재(510)의 작동으로 열에너지를 점화기(300)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의 가열부재(510)는 전기히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510)는 점화기(300)의 5cm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열부재(510)는 점화기(3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5cm 내의 바디(10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재(510)는 점화기(30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점화기(300)로 효과적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재(510)는 점화기(300)를 중심으로 5cm의 반경 내의 바디(10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재(510)가 5cm의 반경을 초과하는 위치에 설치된 경우, 점화기(300)로 효과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어려움이 있다. 만약,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열용량이 큰 가열부재(510)를 설치하는 경우, 이의 바디(100) 일측에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의 제어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열에너지 공급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의 작동이 필요한 시점 또는 가열부재(510)의 작동이 중지되어야 할 시점을 판단하여 가열부재(5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0)는 점화기(300)의 작동이 중지된 이후 가열부재(5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점화기(300)의 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점화기(300)의 작동되다 중지된 이후 가열부재(5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점화기(300)로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점화기(300)의 작동이 중단되어 점화기(300)의 온도가 낮아진 경우,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점화기(300)의 표면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낮은 온도로 형성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0)는 점화기(300)의 작동이 중지되고 파일럿 노즐(200)로 연료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가열부재(5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점화기(300)의 작동 상태 및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 상태를 검출한 정보를 기초로, 점화기(300)의 작동이 중지되고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됨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가 점화되도록 에너지를 공급한 후, 작동이 중지된 점화기(300)에 가열부재(510)를 작동시켜 열에너지를 공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파일럿 노즐(200)로 연료의 공급이 중단되고 이의 연료에 점화를 위한 점화기(300)의 작동이 중지된 겨우, 상대적으로 낮아진 점화기(300) 주변의 온도에 의해 점화기(300) 상에 맺히는 응축수 또는 점화기(300) 상에 부착된 그을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의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를 기설정된 시간만큼 작동시킨 후, 가열부재(51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에는 가열부재(510)의 작동으로 점화기(300)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가열부재(510)의 작동시간이 기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된 가열부재(510)의 작동시간은 작업자 또는 버너장치(101)가 설치되는 설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만 작동된 후, 이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가 점화기(300)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이에 형성된 응축수를 제거한 환경을 형성 후에도 계속 가열부재(510)가 작동되어 가열부재(510)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소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2)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와 열에너지 공급부(500)의 구성 일부가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600)의 제어과정은 열에너지 공급부(500)의 서로 다른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와 일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2)의 열에너지 공급부(500)는 유체 공급부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재(520)는 점화기(300)를 향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재(520)는 점화기(300)를 향해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점화기(300)의 표면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응축수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공급부재(520)는 점화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공급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부재(520)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폐되며 점화기(300)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유체 공급부재(520)는 바디(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점화기(300)를 향해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2)의 가열부재(510)는 유체 공급부재(520)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를 승온시킬 수 있다.
가열부재(510)는 유체 공급부재(520)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를 승온시켜, 점화기로 고온의 유체로부터 전달되는 열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열에너지 공급부(500)는 열에너지를 갖는 유체를 공급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점화기(300)에 부착된 응축수 또는 그을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버너장치(102)의 열에너지 공급부(500) 중 유체 공급부재(520)의 구성을 제외한 가열부재(510)의 제어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부(600)가 제어하는 가열부재(510)의 제어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1)의 동작과정을 서술한다.
엔진(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또는 엔진(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엔진(10)이 작동중인 경우, 제어부(600)는 점화기(300)를 작동시킨다(S110). 구체적으로, 점화기(300)는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준비된다.
제어부(600)는 파일럿 제어밸브를 개방시켜 파일럿 노즐(200)로 연료가 공급되도록 한다(S120). 따라서, 제어부(600)에 의해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된 연료는 점화기(300)에 의해 점화되어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바디(100)에 설치된 화염 검출부재(700)로부터 검출된 정보에 의해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된 연료가 점화기(300)에 의해 화염이 형성되었는지 검출된 정보를 전달받는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된 연료가 점화기(300)에 의해 화염이 형성되었는지 판단한다(S130).
제어부(600)가 화염이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00)는 화염 검출부재(700)로부터 화염 정보가 검출될 때까지 기다린다.
또는, 제어부(600)가 화염이 형성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00)는 메인 노즐(400)로 연료가 공급되도록 메인 제어밸브를 개방시켜 메인 노즐(400)로 연료가 공급되어 파일럿 노즐(200)에 의해 형성된 화염에 의해 점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 노즐(400)로부터 공급된 연료는 바디(100)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에 안정적인 화염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화염 검출부재(700)에 의해 화염이 검출된 경우, 메인 노즐(400)로 연소실을 향해 연료가 분사되도록 제어한다(S210).
이때, 점화기(300)의 작동은 중지된다(S220). 즉, 제어부(600)는 연소실 내부에 안정적인 화염이 형성된 경우, 점화기(3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킨다(S230). 즉, 제어부(600)는 파일럿 밸브를 닫아 파일럿 노즐(200)로 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를 작동시킨다(S240).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를 작동시켜 작동이 중지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환경에 있는 점화기(300)에 열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점화기(300) 표면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점화기(300) 표면에 점화기(300)의 작동시 발생하는 그을음이 부착되는 것을 가열부재(510)를 작동시켜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를 작동시킨 후, 이의 작동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250).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의 작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이를 만족할 때까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의 작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만큼 작동된 경우, 가열부재(5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310). 즉, 제어부(600)는 점화기(300)의 응축수 또는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열에너지가 제공되도록 가열부재(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버너장치(101)는 정상 운전단계일 수 있다(S320). 즉, 가열부재(510)가 작동이 중지되었으나, 메인 노즐(400)로 계속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실 내에서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전달받는 신호에 따라 버너장치(101)가 계속 작동되어야 하는지 또는 중지되어야 하는지의 정보를 전달 받는다(S330).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버너장치(101)의 작동이 중지되어야 하는지 판단한다.
버너장치(101)의 작동 중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버너장치(101)의 정상 운전단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버너장치(101)의 작동 중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600)는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한다(S340). 즉, 제어부(600)는 메인 밸브를 닫아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 후, 버너장치(101)가 설치된 엔진(10)의 운전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한다(S350).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엔진(10)의 운전이 정지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버너장치(10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또는, 제어부(600)는 엔진(10)의 운전이 정지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밸브를 닫아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한 채로 엔진(10)의 운전 정지 신호를 수신받을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02)의 동작과정을 서술한다.
엔진(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또는 엔진(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해 엔진(10)이 작동중인 경우, 제어부(600)는 점화기(300)를 작동시킨다(S410). 구체적으로, 점화기(300)는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준비된다.
제어부(600)는 파일럿 제어밸브를 개방시켜 파일럿 노즐(200)로 연료가 공급되도록 한다(S420). 따라서, 제어부(600)에 의해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된 연료는 점화기(300)에 의해 점화되어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바디(100)에 설치된 화염 검출부재(700)로부터 검출된 정보에 의해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된 연료가 점화기(300)에 의해 화염이 형성되었는지 검출된 정보를 전달받는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된 연료가 점화기(300)에 의해 화염이 형성되었는지 판단한다(S430).
제어부(600)가 화염이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00)는 화염 검출부재(700)로부터 화염 정보가 검출될 때까지 기다린다.
또는, 제어부(600)가 화염이 형성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00)는 메인 노즐(400)로 연료가 공급되도록 메인 제어밸브를 개방시켜 메인 노즐(400)로 연료가 공급되어 파일럿 노즐(200)에 의해 형성된 화염에 의해 점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 노즐(400)로부터 공급된 연료는 바디(100)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에 안정적인 화염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화염 검출부재(700)에 의해 화염이 검출된 경우, 메인 노즐(400)로 연소실을 향해 연료가 분사되도록 제어한다(S510).
이때, 점화기(300)의 작동은 중지된다(S520). 즉, 제어부(600)는 연소실 내부에 안정적인 화염이 형성된 경우, 점화기(3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킨다(S530). 즉, 제어부(600)는 파일럿 밸브를 닫아 파일럿 노즐(200)로 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를 작동시킨다(S540).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를 작동시켜 작동이 중지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환경에 있는 점화기(300)에 열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점화기(300) 표면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점화기(300) 표면에 점화기(300)의 작동시 발생하는 그을음이 부착되는 것을 가열부재(510)를 작동시켜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의 작동 후, 유체 공급부재(520)를 동작시킨다(S550). 따라서, 제어부(600)에 의해 작동된 가열부재(510)는 유체 공급부재(520)에 의해 점화기(300)를 향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승온시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를 작동시킨 후, 이의 작동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560).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의 작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이를 만족할 때까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열부재(510)의 작동시간이 기설정된 시간만큼 작동된 경우, 가열부재(5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610). 즉, 제어부(600)는 점화기(300)의 응축수 또는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열에너지가 제공되도록 가열부재(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버너장치(101)는 정상 운전단계일 수 있다(S620). 즉, 가열부재(510)가 작동이 중지되었으나, 메인 노즐(400)로 계속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실 내에서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전달받는 신호에 따라 버너장치(101)가 계속 작동되어야 하는지 또는 중지되어야 하는지의 정보를 전달 받는다(S630).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버너장치(101)의 작동이 중지되어야 하는지 판단한다.
버너장치(101)의 작동 중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버너장치(101)의 정상 운전단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버너장치(101)의 작동 중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600)는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한다(S710). 즉, 제어부(600)는 메인 밸브를 닫아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 후, 버너장치(101)가 설치된 엔진(10)의 운전이 정지되었는지 판단한다(S810).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엔진(10)의 운전이 정지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버너장치(10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또는, 제어부(600)는 엔진(10)의 운전이 정지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밸브를 닫아 메인 노즐(400)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한 채로 엔진(10)의 운전 정지 신호를 수신받을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엔진(10)의 운전 정지에 따라 버너장치(101)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 제어부(600)는 유체 공급부재(52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820). 즉, 가열부재(510)의 작동이 중지되어도 계속 작동을 유지하던 유체 공급부재(520)의 작동을 엔진(10)의 운전 정지에 따라 중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열부재(510)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도, 유체 공급부재(520)가 계속 작동될 수 있어, 점화기(300)에 부착된 그을음을 제거하거나 점화기(300)에 응축수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제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버너장치(101)는 점화기(300)에 응축수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너장치(101)는 점화기(300) 표면에 부착된 그을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버너장치(101)는 점화기(300)의 누전에 의해 기존에 설계된 위치 외에서 누전에 의한 스파크에 의해 파일럿 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가 점화되어 이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 101,102: 버너장치
200: 파일럿 노즐 300: 점화기
400: 메인 노즐 500: 열에너지 공급부
510: 가열부재 520: 유체 공급부재
600: 제어부 700: 화염 검출부재

Claims (9)

  1. 연료를 공급하는 파일럿 노즐;
    상기 파일럿 노즐을 통해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기;
    상기 점화기에 의해 점화된 연료에 의해 연소실에 화염이 형성되도록 연료를 공급하는 메인 노즐; 및
    상기 점화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점화기에 부착된 그을음 또는 응축수를 제거 가능한 열에너지 공급부
    를 포함하는 버너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열에너지 공급부는 상기 점화기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버너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열에너지 공급부는 상기 점화기를 향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버너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점화기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5cm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유체 공급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를 승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가열부재의 제어 시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버너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기의 작동이 중지된 이후, 상기 가열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기의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파일럿 노즐로 연료의 공급이 중지된 경우, 상기 가열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재를 기설정된 시간만큼 작동시킨 후, 상기 가열부재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KR1020180145354A 2018-11-22 2018-11-22 버너장치 KR20200059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54A KR20200059961A (ko) 2018-11-22 2018-11-22 버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54A KR20200059961A (ko) 2018-11-22 2018-11-22 버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61A true KR20200059961A (ko) 2020-05-29

Family

ID=7091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54A KR20200059961A (ko) 2018-11-22 2018-11-22 버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9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9961A (ko) 버너장치
KR101621829B1 (ko)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소시스템
JP3843599B2 (ja) 触媒燃焼装置
JP4176686B2 (ja) パイロットバーナを持った燃焼装置
JP2933876B2 (ja) 多缶設置ボイラの運転制御方法
JPS6347963B2 (ko)
JP6904163B2 (ja) 水素ガスバーナー装置
JP7477442B2 (ja) 燃焼装置
JP3820755B2 (ja) 触媒燃焼装置
JP5777210B2 (ja) パイロット燃焼を行うボイラ
JP3717132B2 (ja) 都市ガスガバナステーションにおける温水バス式ガスヒーター用ガスバーナー
JP2010007965A (ja) ボイラ着火装置およびボイラ着火方法
KR100422866B1 (ko) 예혼합식 콘덴싱 보일러에서의 초기점화시 염 안정화장치및 그 방법
FI72594B (fi) Likstroemsdriven styranordning foer en gasbraennare.
KR920005387Y1 (ko) 가스 연소기
JPH06229519A (ja) 熱板加熱式ガスバーナ
JP2014238243A (ja) シングルエンド型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及びその燃焼方法
JPH087237Y2 (ja) 石油燃焼器の点火装置
FI104516B (fi) Höyrystysöljypolttimen palotilan valvontamenetelmä, lämpötilan mittausmenetelmä ja -laite sekä höyrystysöljypoltin
JPH074646A (ja) 燃焼装置
KR0169234B1 (ko) 강제배기식 가스보일러의 점화방법
KR100413284B1 (ko) 축열식버너용 점화장치
KR20200058968A (ko) 버너장치
JP2631180B2 (ja) 熱板加熱式ガスバーナの空気吸引構造
KR20100001160U (ko) 보일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