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772A -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772A
KR20200059772A KR1020180144895A KR20180144895A KR20200059772A KR 20200059772 A KR20200059772 A KR 20200059772A KR 1020180144895 A KR1020180144895 A KR 1020180144895A KR 20180144895 A KR20180144895 A KR 20180144895A KR 20200059772 A KR20200059772 A KR 20200059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active
substrate
electrode layer
antifo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781B1 (ko
Inventor
정정열
오재원
남영석
이충엽
송경환
오승태
심재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4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7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41Exposure; Apparatus therefor in the presence of a fluid, e.g. immersion; using fluid cooling means
    • G03F7/2043Exposure; Apparatus therefor in the presence of a fluid, e.g. immersion; using fluid cooling means with the production of a chemical active agent from a fluid, e.g. an etching agent; with meterial deposition from the fluid phase, e.g. contamination resi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08Hygiene, e.g. preventing apparatus pollution, mitigating effect of pollution or removing pollutants from apparatus
    • G03F7/70916Pollution mitigation, i.e. mitigating effect of contamination or debris, e.g. foil tr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고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위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며 테플론 코팅을 수행하여 위 격자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격자층 표면에너지를 저감시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고,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층이 감소하면 전극층 패턴에 전위차를 주어 전류를 흘려보내 적은 에너지로 표면으로부터 전기 분해된 기체를 생성하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METHOD FOR IMPROVING ANTIFOULING PERFORMANCE OF ACTIVE ANTI-FOULING SURFACE USING ACTIVE GAS GENERATION}
본 발명은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고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위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며 테플론 코팅을 수행하여 위 격자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격자층 표면에너지를 저감시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고,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층이 감소하면 전극층 패턴에 전위차를 주어 전류를 흘려보내 적은 에너지로 표면으로부터 전기 분해된 기체를 생성하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행하는 선박에는 파도의 발생에 의한 조파저항, 선저의 형상에 기인하는 압력 형상저항이나 물의 점성에 의한 마찰저항이 작용한다. 조파저항이나 형상저항은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해 대폭 저감되어 있으나, 마찰저항은 선체 전체 저항의 60%~80%를 차지하고 있어 에너지 절약을 위해 마찰저항의 저감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마찰저항의 저감방법으로서는 선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윤활법이나 해수 등의 유체 중에 폴리머를 첨가하는 방법 연구되었다.
국내 특허 공개 2015-0090911호 공보(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는 수중에서 공기 등의 기체와의 친화성이 장기에 걸쳐 지속되어 소량의 공기 공급으로 높은 마찰저항 저감 효과를 나타내며, 항행 중이라도 정치 조건하에서도 방오기능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 그 조성물로 형성되는 도막, 그 도막이 형성된 마찰저항 저감 선박 및 그 마찰저항 저감 선박의 표면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문헌의 기술은 대부분 항력 감소에 대한 것으로 방오성능에 대한 효율성은 검토되지 않았다. 또한 해양 환경과 같은 가혹한 수중 환경에서의 지속적인 방오 성능 유지 방법에 대한 고려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기판에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형성하고 여기에 능동 기체 생성 방법을 결합함으로써, 능동 기체 발생의 장점과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장점을 결합하여 방오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표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은 화학적 표면개질기법을 통해 기판에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산화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테플론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격자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격자층 표면에너지를 저감시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층이 감소하면 상기 전극층 패턴에 전위차를 주어 전류를 흘려보내서 기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 패턴 형성 단계는, 기판에 폴리머를 스핀코팅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가 코팅된 기판에 전극층 패터닝을 위해 프린팅된 전극층 패턴 마스크를 통해 자외선을 노광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에 의해 노광된 폴리머를 현상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가 제거된 기판에 금 임자를 증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금 입자가 증착된 기판에 남아있는 폴리머를 현상에 의해 제거하여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폴리머를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코팅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가 코팅된 기판에 격자층 패터닝을 위해 프린팅된 격자층 패턴 마스크를 통해 자외선을 노광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에 의해 노광된 폴리머를 현상에 의해 제거하여 상기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는, 테플론 용액 0.5~5 wt%를 1000~3000 rpm으로 30~60s 동안 스핀 코팅하여 표면에너지가 낮은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은, 기판의 상단부에 가로로 전극층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로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위에 세로로 격자층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생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극층 패턴에 전원공급기의 음극 (-극)을 연결하고, 액체에 양극 (+극)을 연결한 후 전위차를 주어 1mA ~ 20mA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격자층의 높이 두께만큼 기체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생성하는 단계에 의해 생성된 기체에 의해 파울링 물질(박테리아 등)의 부착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의하면, 화학적 표면개질기법을 통해 기판에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산화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테플론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격자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격자층 표면에너지를 저감시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층이 감소하면 상기 전극층 패턴에 전위차를 주어 전류를 흘려보내서 기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기판에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은 기체에 의해서 표면이 보호될 수 있게 해 주는 데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에 생성된 기체에 의해 표면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며, 표면으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기체는 박테리아 등이 표면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기판에 마이크로/나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판을 고온 알칼리(Hot alkali) 계열의 솔루션에 담가 마이크로/나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코팅 공정, (b)는 노광 공정, (c)는 현상 공정, (d)는 증착 공정, (e)는 제거 공정을 나타낸다.
도 3는 도 2의 전극 층 패턴 형성 단계에 의해 제조된 전극층 패턴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라미네이션 공정, (b)는 노광 공정, (c)는 현상 공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격자층 패턴 형성 단계에 의해 제조된 격자층 패턴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기 위한 테플론 코팅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테플론 코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능동 방오표면의 도면이고, (b)는 표면의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6의 테플론 코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층 제거를 위한 가속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 생성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도로서, (a)는 전극층에서 생성된 기체가 격자층을 따라 확산되어 표면을 덮는 과정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b)는 도 (a)의 A-A'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 생성과정에서 격자층 패턴을 따라 확산되는 기체의 거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재의 방오성능 확인을 위한 박테리아 파울링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기판에 마이크로/나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고온 알칼리(Hot alkali) 계열의 솔루션에 담가 마이크로/나노구조물을 형성 공정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코팅 공정, (b)는 노광 공정, (c)는 현상 공정, (d)는 증착 공정, (e)는 제거 공정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전극 층 패턴 형성 단계에 의해 제조된 전극층 패턴을 나타낸 상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라미네이션 공정, (b)는 노광 공정, (c)는 현상 공정을 나타내며, 도 5는 도 4의 격자층 패턴 형성 단계에 의해 제조된 격자층 패턴을 나타낸 상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기 위한 테플론 코팅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테플론 코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능동 방오표면의 도면이고, (b)는 표면의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기체 생성 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도로서, (a)는 전극층에서 생성된 기체가 격자층을 따라 확산되어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덮는 것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b)는 도 (a)의 A-A'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 생성과정에서 격자층 패턴을 따라 확산되는 기체의 거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재의 방오성능 확인을 위한 박테리아 파울링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은, 도 1 내지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적 표면개질기법을 통해 기판에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산화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테플론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격자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격자층 표면에너지를 저감시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 및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전극층 패턴에 전위차를 주어 전류를 흘려보내서 기체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의 각 단계 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이크로/나노구조물 형성 단계]
화학적 표면개질기법을 이용하여 기판에 마이크로/나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루션에 기판을 담가 고온에서 일정시간 유지한 후 꺼내는 공정을 포함한다.
한편, 본 예에서는 디핑 방식에 의한 화학적 개질기법의 공정을 사용하였으나, 플라즈마 또는 양극산화 등의 마이크로/나노구조물 생성기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
[전극층 패턴 형성 단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코팅 공정, (b) 노광 공정, (c) 현상 공정, (d) 증착 공정 및 (e) 제거 공정을 포함한다.
(a) 코팅 공정
기판(예컨대, 실리콘 웨이퍼)에 폴리머를 스핀 코팅하여 1~5㎛의 균일한 두께로 코팅한다.
(b) 노광 공정
(a)의 코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폴리머가 코팅된 기판에 전극층 패터닝을 위해 프린팅 된 전극층 패턴 마스크를 통해 자외선을 노광한다.
(c) 현상 공정
(b)의 노광 공정에 의해 노광된 폴리머를 현상에 의해 기판으로부터 제거한다.
(d) 증착 공정
(c)의 공정에 의해 폴리머가 제거된 기판에 금 입자를 증착(예컨대, 증발 증착)하여 두께 100~500㎚의 두께로 전극층을 패터닝 한다.
(e) 제거 공정
(d)의 공정에 의해 금 입자가 증착된 기판에 남아있는 폴리머를 제거하여 전극층 패턴(P)이 형성된 기판을 획득한다.
도 3는 도 2의 전극 층 패턴 형성 단계에 의해 제조된 전극층 패턴을 나타낸 상면도로서,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전극층 패턴(P)이다.
[격자층 패턴 형성 단계]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위의 [전극층 패턴 형성 단계]에 의해 제조된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 (b) 노광 공정, (c) 현상 공정을 포함한다.
(a) 라미네이션 공정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폴리머를 라미네이션 공정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50um 이상의 두께를 가진 격자층의 경우 라미네이션 공정이 유리하다. 본 예시에서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사용하였으며 SU-8 필름(두께 t = 80 ~ 150um)을 올려둔 후 70 ~ 90ㅀC 의 온도를 유지하며 롤러로 밀어준다.
한편, 본 예에서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사용하였으나 스핀 코팅 공정으로 대처할 수 있다.
(b) 노광 공정
폴리머가 코팅된 기판에 격자층 패터닝을 위해 프린팅 된 격자층 패턴 마스크를 통해 자외선 노광하여(1800 ~ 2200 mJ/㎠) 포토리소그래피를 진행한다.
(c) 현상 공정
자외선에 의해 노광된 폴리머를 현상에 의해 제거하여 전극층 패턴(P)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G)을 형성한다.
도 5는 도 4의 격자층 패턴 형성 단계에 의해 제조된 격자층 패턴을 나타낸 상면도이며, 격자간 간격 w = 80 ~ 150 ㎛이다.
[소수성/초소수성 표면 획득 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기 위한 테플론 코팅 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테플론 코팅을 수행하여 격자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격자층 표면에너지를 저감시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테플론 용액 0.5~5 wt%를 1000~3000 rpm으로 30~60 s 동안 스핀 코팅하여 표면에너지가 낮은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다.
도 7은 도 6의 테플론 코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조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은 기판의 상단부에 가로로 전극층 패턴(P)이 형성되어 있고, 가로로 전극층 패턴(P)이 형성된 기판위에 세로로 격자층 패턴(G)이 형성되어 있다.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층 감소 가속화 과정]
도 8은 도 6의 테플론 코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층 제거를 위한 가속화 과정의 모식도이다.
액체 환경에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에 존재하는 기체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점감 또는 확산되어 사라지거나, 유동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쉽게 제거되어 기체층이 존재하던 자리에 액체로 채워져 풀리 웨팅(fully wetting)된다. 풀리 웨팅된 상황을 가속화하여 모사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였고,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구조물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층을 제거하였다.
[소수성/초소수성 능동 방오표면의 기체 생성 단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중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 생성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도로서, (a)는 전극층에서 생성된 기체가 격자층을 따라 확산되어 표면을 덮는 과정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b)는 도 (a)의 A-A'단면도이다.
전극층 패턴(P)에 전원공급기의 음극(-극)을 연결하고, 액체에 양극(+극)을 연결한 후 전위차를 주어 1㎃ ~ 20㎃의 전류를 흘려보내서 기체를 지속적으로 표면에 공급해 준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층에서 생성된 기체가 전극층 패턴(P)에서 격차층 패턴(G)을 따라 확산되어 표면을 덮는 과정을 보여 준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분에서 생성된 기체 또는 기체 방울이 격자층 패턴(G) 높이까지 충분히 상승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표면을 보호해 준다.
도 10은 도 9의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에서 격자층 패턴을 따라 확산되는 기체의 움직임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생성된 기체는 노란 점선으로 표기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격자층 패턴을 따라 확산된다. 이 때, 전원 공급기의 전위차를 증가시켜 전류값을 올리게 되면 보다 빠른 기체 확산이 가능하다. 본 예시의 능동 방오표면의 구동은 수돗물을 사용하여 5~25 V(0.1~0.3 mA)로 진행하였다.
[소수성/초소수성 및 방오성능이 향상된 소재의 방오성능 확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재의 방오성능 확인을 위한 박테리아 파울링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능동 방오표면을 이용한 방오성능의 개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박테리아 파울링 실험을 수행하였다. 파울링 실험은 지구상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액체 환경에서 초기단계 파울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인 박테리아(P.aeruginosa)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박테리아 파울링 실험은 오염물질의 오손 가속화 실험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테리아 파울링 실험은 평평한 표면인 순수 표면(bare surface)으로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a)과, 기체층이 사라져 소수성을 잃어버린 웨팅된 초소수성 표면(b)과, 전극층 패턴(P)에서 지속적으로 기체가 생성되는 능동 방오표면(c) 세 가지를 대상으로 24시간동안 진행되었다.
박테리아가 배양된 고농도 배지에 준비된 시편을 담근 후 24시간 이후에 꺼내어 형광염색(fluorescence dye)하여 표면에 부착된 박테리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부착된 박테리아는 형광 염색되어 녹색으로 나타나고 부착되지 않은 부분은 검은색으로 보여 진다.
순수 표면(a)에서 가장 많은 박테리아 파울링이 발생하였으며, 웨팅된 초소수성 표면(b)은 그보다 파울링이 덜 발생하였으나 능동 방오표면에 비하여 많은 박테리아 파울링이 발생하였고, 기체층이 사라져 웨팅된 바닥 부분에서도 파울링이 발생하였다.
반면, 지속적으로 기체층이 생성된 능동 방오표면(c)의 바닥 부분은 박테리아에 의한 파울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능동 방오표면에서 우수한 방오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에 의하면, 표면개질을 통해 기판에 마이크로/나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테플론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격자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격자층 표면에너지를 저감시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에서 상기 전극층 패턴에 전위차를 주어 전류를 흘려보내서 기체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기판에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은 기체에 의해서 표면이 보호될 수 있게 해 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에 생성된 기체에 의해 표면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해주며, 표면으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기체는 박테리아 등이 표면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준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G: 격자층 패턴
P: 전극층 패턴

Claims (8)

  1. 화학적 표면개질기법을 통해 기판에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산화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에 전극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테플론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격자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격자층 표면에너지를 저감시켜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의 기체층이 감소하면 상기 전극층 패턴에 전위차를 주어 전류를 흘려보내서 기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 패턴 형성 단계는,
    기판에 폴리머를 스핀코팅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가 코팅된 기판에 전극층 패터닝을 위해 프린팅된 전극층 패턴 마스크를 통해 자외선을 노광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에 의해 노광된 폴리머를 현상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가 제거된 기판에 금 임자를 증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금 입자가 증착된 기판에 남아있는 폴리머를 현상에 의해 제거하여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폴리머를 스핀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코팅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가 코팅된 기판에 격자층 패터닝을 위해 프린팅된 격자층 패턴 마스크를 통해 자외선을 노광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에 의해 노광된 폴리머를 현상에 의해 제거하여 상기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격자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는,
    테플론 용액 0.5~5 wt.%를 1000~3000rpm으로 30~60s 동안 스핀코팅하여 표면에너지가 낮은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초소수성 표면은,
    기판 상단부에 가로로 전극층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로 전극층 패턴이 형성된 기판 위에 세로로 격자층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생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극층 패턴에 전원공급기의 음극 (-극)을 연결하고, 액체에 양극 (+극)을 연결한 후 전위차를 주어 1mA ~ 20mA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격자층의 높이 두께만큼 기체를 생성시키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를 생성하는 단계에 의해 생성된 기체에 의해 파울링 물질(박테리아 등)의 부착이 억제되는,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KR1020180144895A 2018-11-21 2018-11-21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KR10212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95A KR102120781B1 (ko) 2018-11-21 2018-11-21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95A KR102120781B1 (ko) 2018-11-21 2018-11-21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72A true KR20200059772A (ko) 2020-05-29
KR102120781B1 KR102120781B1 (ko) 2020-06-17

Family

ID=7091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895A KR102120781B1 (ko) 2018-11-21 2018-11-21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2227A (zh) * 2020-08-10 2020-12-11 杭州洁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减少阴极表面结垢的方法
CN113717561A (zh) * 2021-08-30 2021-11-30 广东安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卫浴防爆膜的抗污涂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0144A (ja) * 2006-03-21 2009-08-27 マテリアルズ・イノベーション・センター・ビー.ブイ. 海洋構築物のための防汚性繊維被覆
KR20130052603A (ko) * 2010-06-22 2013-05-22 메르스크 올리에 오기 가스 에이/에스 선박의 선체의 마찰항력 저감
US20150344652A1 (en) * 2014-06-03 2015-12-03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Reactive Superhydrophobic Surfaces, Patterned Superhydrophobic Surfaces,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Patterned Superhydrophobic Surfa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0144A (ja) * 2006-03-21 2009-08-27 マテリアルズ・イノベーション・センター・ビー.ブイ. 海洋構築物のための防汚性繊維被覆
KR20130052603A (ko) * 2010-06-22 2013-05-22 메르스크 올리에 오기 가스 에이/에스 선박의 선체의 마찰항력 저감
US20150344652A1 (en) * 2014-06-03 2015-12-03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Reactive Superhydrophobic Surfaces, Patterned Superhydrophobic Surfaces,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Patterned Superhydrophobic Surfac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pp. 936-940, 2016년 12월.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 16, no. 2, pp. 82-87, 2013년 4월.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2227A (zh) * 2020-08-10 2020-12-11 杭州洁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减少阴极表面结垢的方法
CN113717561A (zh) * 2021-08-30 2021-11-30 广东安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卫浴防爆膜的抗污涂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781B1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A twice electrochemical-etching method to fabricate superhydrophobic-superhydrophilic patterns for biomimetic fog harvest
KR102120781B1 (ko) 능동 기체 생성을 이용한 능동 방오표면의 방오성능 향상 방법
Lee et al. Combining the lotus leaf effect with artificial photosynthesis: regeneration of underwater superhydrophobicity of hierarchical ZnO/Si surfaces by solar water splitting
CN105293427B (zh) 一种基于弯月面受限局部电镀的超疏水表面的制备方法
Gao et al. A biomimetic surface with switchable contact angle and adhesion for transfer and storage of microdroplets
US201301221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storing and maintaining superhydrophobicity under liquid
Bing et al. Small structure, large effect: Functional surfaces inspired by salvinia leaves
Wang et al. A contrastive investigation on the anticorrosive performance of stearic acid and fluoroalkylsilane-modified superhydrophobic surface in salt, alkali, and acid solution
CN104195518B (zh) 一种黑色吸光薄膜及其制备方法
CN111944420A (zh) 一种具有仿生协同效应的海洋防污涂层及其制备方法
Zhan et al. Highly floatable superhydrophobic metallic assembly for aquatic applications
KR20130014135A (ko) 나노 패턴된 폴리머 니들 어레이를 갖는 초소수성 투명 박막 및 그 제조방법
CN112300618A (zh) 一种仿生阵列结构表面防污减阻材料
Védie et al. Bioinspiration and microtopography as nontoxic strategies for marine bioadhesion control
CN109461846A (zh) 一种基于喷墨打印的像素界定层及其制备方法
Li et al. Micropatterned amorphous Zr-based alloys coated with silica nanoparticles as superhydrophobic surfaces against abrasion
Zhang et al. Fabrication of durable superhydrophobic surface through silica-dissolution-assisted etching template approach
CN109337105B (zh) 一种亲疏水交互分布微结构表面制备方法
Fenati et al. Antifouling Properties of Liquid‐Infused Riblets Fabricated by Direct Contactless Microfabrication
LING III et al. Effect of topographically patterned poly (dimethylsiloxane) surfaces on pseudomonas aeruginosa adhesion and biofilm formation
US10131570B2 (en) Liquid-based masking layer
Tang et al. Recent Advances in Superhydrophobic Materials Development for Maritime Applications
Li et al. Enhanced Anticorrosion and Antifouling Properties of Lubricant‐Infused Pyramidal Polydimethylsiloxane Coating
KR101431180B1 (ko) 양 친매성 패턴 제작 장치 및 제작 방법
CN107983601A (zh) 一种微图案化润湿性表面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