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717A - 파형관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관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717A
KR20200059717A KR1020180144779A KR20180144779A KR20200059717A KR 20200059717 A KR20200059717 A KR 20200059717A KR 1020180144779 A KR1020180144779 A KR 1020180144779A KR 20180144779 A KR20180144779 A KR 20180144779A KR 20200059717 A KR20200059717 A KR 20200059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guide roller
corrugated
position guid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범
노기철
노환태
Original Assignee
노기범
노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기범, 노기철 filed Critical 노기범
Priority to KR102018014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717A/ko
Publication of KR2020005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ntinuo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4/00Electricity: conductors and insulators
    • Y10S174/08Shrinkabl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의 공급 및 인출이 용이하고, 파형관의 인출시 구부러진 파형관을 물성의 변화없이 일직선으로 곧게 펼 수 있으며, 파형관이 곧게 펴지면서 바로 시공구간에 포설될 수 있는 파형관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롤 형태로 공급된 파형관을 적재한 후, 적재된 파형관을 공급하는 파형관 공급부와, 상기 파형관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파형관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형관을 일직선으로 곧게 펴는 파형관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형관 포설장치{Equipment For Laying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파형관 포설장치로서, 특히 통신용, 송·배전용 전력 케이블을 지중으로 부설하기 위한 지중관로용 파형관을 포설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을 전봇대를 이용하여 공중에 가설하였으나, 근래에는 도로공간에 대한 활용 및 안전이나 미관을 위해 지중에 매설하는 지중화로 이루어지고 있다.
통신용, 송·배전용 전력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함.)의 지중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지중관로에는,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 전선관(이하, "파형관"이라 함.)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파형관(10)은 합성수지를 파상으로 가공하여 굴곡성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롤 형태의 감겨진 상태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파형관(10)의 규격은 일반적으로 파형관(10)의 내경을 기준으로 호칭되는데, 통신용, 송·배전용 전력 케이블의 지중화에는 주로 호칭경이 100 내지 200㎜인 파형관이 많이 사용된다.
이때, 100㎜ 파형관의 경우, 단위 길이는 60m 정도, 중량은 1.4㎏/m 정도되고, 200㎜ 파형관의 경우에는, 단위 길이가 30m 정도, 중량은 5㎏/m 정도로 길이가 길고 매우 무겁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파형관(10)을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다는 것은 파형관의 보관이나 운송 등에 있어서 매우 큰 장점이 된다.
한편, 한국전력공사의 설계기준 등에 의하면, 관로의 경간(맨홀 간 거리)은 직선구간의 경우 250m를 표준으로 하고 있으나, 맨홀의 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실제 관로의 경간이 400 내지 500m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관로의 경간에 따라, 100㎜ 파형관의 경우에는 적어도 7개 이상의 파형관(10)을, 200㎜ 파형관의 경우에는 적아도 14개 이상의 파형관(10)을 연결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지중관로의 시공구간에 포설하기 위하여, 롤 형태로 감겨져 공급된 상기 파형관(10)을 풀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동안 상기 파형관(10)에 휨 변형이 일어나, 도 2의 (a)에서와 같이, 일직선 상태로 펼쳐지지 않고 감겨져 있던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시공구간에 휨 변형이 일어난 상기 파형관(10)의 휘어진 부분이 지면을 향하도록 배설하더라도, 도 2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파형관(10)의 길이 및 자중에 의해 설령 중간부분이 지면에 맞닿아 수평을 이룰 수 있게 되더라도, 양쪽 단부에서는 여전히 휨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없다.
즉, 지중관로의 공사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파형관(10)을 연결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파형관(10)과 파형관(10)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각각 상기 파형관(10)에 휨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파형관(10)과 파형관(10)의 연결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84007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해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을 드럼부에 적재한 후, 상기 드럼부로부터 파형관을 인출시켜 직선형태로 소성 변형시켜 구부러진 파형관(10)을 일직선 상태로 펴는 '파형관 자동포설설비'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36885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해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을 롤 공급부에 적재한 후, 상기 롤 공급부로부터 파형관(10)을 인출시켜 터널식 가열기로 파형관(10)을 직선형태로 열변형시키는 '차량형 파형관 포설장비'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파형관 포설장치들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의 파형관 포설장치에 있어서는, 구부러진 파형관(10)에 열을 가하여 파형관를 직선 형태로 펴고 있다.
이때, 상기 파형관(10)의 두께가 상당히 두껍기 때문에(예를 들면, 200㎜ 파형관의 경우 두께가 14㎜ 정도), 구부러진 파형관(10)을 곧게 펴기 위해서는 상당한 열로 가열하여야 한다.
물론 상기 파형관(10)의 소재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이와 같이 상기 파형관(10)에 상당한 열로 가열하는 경우, 상기 파형관(10)의 물성(物性)에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파형관(10)에 가열하는 과정에서 물성의 변화가 일어나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기 파형관(10)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받는 하중이나 작업과정에 받는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게 된다.
둘째, 상기 파형관(10)의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예를 들면, 200㎜ 파형관의 경우 150㎏f 정도) 통상적으로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를 크레인을 이용해 파형관 공급부에 재치한 다음, 상기 파형관 공급부로 부터 파형관(10)을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형관 공급부에 파형관(10)의 적재 및 파형관(10)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파형관 공급부에 해당하는 통형상의 드럼부에 롤 형태의 파형관를 그대로 적재한 후에 롤의 아래쪽부터 파형관를 인출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파형관의 적재에 있어서는 용이하지만, 인출이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파형관 인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상기 파형관 공급부에 해당하는 롤 공급부는, 좌우 반체로 이루어지고 중앙공간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되어 있는 개방형 드럼으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개방형 드럼의 회전에 의해 파형관이 풀리기 때문에 인출은 용이하지만, 파형관의 적재에 있어서는 좌우 반체로 이루어진 중앙공간을 열고 크레인으로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파형관의 장착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다수의 작업자의 협력이 필요하고, 또한 안전사고 위험 가능성을 내포하게 된다.
세째, 종래의 파형관 포설장치에 의한 파형관 포설과정을 살펴보면, 고정된 위치에서 파형관을 풀고, 파형관이 풀리는 과정에서 구부러진 파형관를 일직선으로 곧게 편 후, 파형관들을 일정한 유휴 공간에 일시 적재하였다가, 다시 터파기가 이루어진 시공구간으로 옮겨 포설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이 많은 도심에서 시행되는 지중관로 공사에 있어서는, 파형관들을 일정 시간동안 보관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 시공구간으로 파형관을 옮기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작업공수, 및 이에 따른 비용의 문제 등이 그 동안 당업계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0984007호 공보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43688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의 공급 및 인출이 용이하고, 파형관의 인출시 구부러진 파형관을 물성의 변화없이 일직선으로 곧게 펼 수 있으며, 파형관이 곧게 펴지면서 바로 시공구간에 포설할 수 있는 파형관 포설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는, 롤 형태로 공급된 파형관을 적재한 후, 적재된 파형관을 공급하는 파형관 공급부와, 상기 파형관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파형관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형관을 일직선으로 곧게 펴는 파형관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기립된 중앙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형관 공급부는, 상기 중앙축부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는, 상기 기판부의 하측에 마련된 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양측으로 마련된 바퀴부와, 양측의 상기 바퀴부를 연결하는 가변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의 상기 파형관 공급부는, 수평축부와, 상기 수평축부의 일단에 마련된 고정형 가이드부와, 상기 수평축부의 일단에 마련된 접이형 가이드부와,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펼져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접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의 상기 파형관 가공부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인입 가이드 롤러부, 복수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 및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파형관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파형관이 상기 파형관 가공부로 인입하는 위치에서 상기 파형관의 인입을 가이드하며, 상기 복수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는, 적어도 4개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가 전후 방향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는, 전후방향의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 사이에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보다 아래쪽에 마련되되, 상기 파형관의 표면에 맞닿아 상기 파형관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 중 상측에 배치된 위치 가이드 롤러부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의 간격(공간)은, 상기 파형관의 외경에 일치하며, 상기 가압부의 가압롤러는, 상기 파형관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형관을 일직선으로 곧게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 형태로 감겨진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공급된 파형관을 파형관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일직선으로 곧게 펴기 때문에, 파형관을 일직선으로 곧게 펴는 과정에서 물성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형관를 적재하는 파형관 공급부의 접이형 가이드부가 수평방향으로 펼져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접이되기 때문에, 적재되는 파형관의 크기에 관게없이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형관 포설장치가 이동식으로 구현이 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파형관이 인출되고, 인출된 상기 파형관은 일직선으로 곧게 펴지면서 터파기가 이루어진 포설구간에 즉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의 사진
도 2는 롤 형태로 감겨져 공급된 파형관의 풀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3 및 4의 파형관 포설장치의 파형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도 3 및 4의 파형관 포설장치의 파형관 가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3 및 4의 파형관 포설장치의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7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의 사진이고, 도 2는 롤 형태로 감겨져 공급된 파형관의 풀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 및 4의 파형관 포설장치의 파형관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3 및 4의 파형관 포설장치의 파형관 가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3 및 4의 파형관 포설장치의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후, 좌/우, 상/하, 내/외 방향은 정면도인 도 4를 기준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에 의한 파형관 포설장치는, 기판부(100)와, 상기 기판부(100)의 중심에 수직으로 기립된 중앙축부(210)의 양측에 마련된 파형관 공급부(200)와,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파형관(10)을 가압에 의하여 직선형태로 펴는 파형관 가공부(500)와, 상기 기판부(100)의 하면 측에 마련된 이동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기판부(100)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파형관(10)의 포설에 필요한 각종 시설물이 재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기판부(100)는 재치된 시설물이 작용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 그 재질이나 두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는, 원형의 드럼 형상으로, 상기 기판부(100)의 중심에 수직으로 기립된 중앙축부(21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2개의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가, 상기 중앙축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롤 형태로 감겨진 2개의 상기 파형관(10)를 적재하고, 또한 2개의 상기 파형관(10)을 동시에 풀어서 공급할 수 있다. 다만, 2개의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는 동일한 구조로 대칭적으로 마련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형관 공급부와 상기 중앙축부(210) 사이에 마련된 수직회전부(221)에 의해, 상기 중앙축부(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는, 상기 수직회전부(221)로부터 연장된 수평축부(220)와, 상기 수평축부(220)의 양단에 마련된 고정형 가이드부(230) 및 접이형 가이드부(240)와, 상기 고정형 가이드부(230)와 접이형 가이드부(240) 사이에 마련된 받침부(260), 및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를 구동하는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수평축부(220)는, 상기 수직회전부(221)에 의해 상기 중앙축부(210)에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 적재된 상기 파형관(10)이 풀려 나갈 때, 특별한 동력이 없이도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가 상기 중앙축부(210)에 대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파형관(10)이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로부터 용이하게 풀려 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축부(220)의 내측 단부(즉, 중앙축부(210) 쪽 단부)에는 상기 고정형 가이드부(230)가 마련되고, 외측 단부에는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형 가이드부(230)는, 상기 수평축부(220)의 내측 단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복수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 적재된 상기 파형관(10)이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형 가이드부(230)는, 상기 수평축부(220)의 내측 단부에 고정되어, 적재된 상기 파형관(10)이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소재, 형상 및 크기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형 가이드부(230)가 복수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판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는, 상기 수평축부(220)의 외측 단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복수의 봉의 상기 수평축부(220)의 외측 단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복수의 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는, 상기 구동부(250)에 의하여 상기 수평축부(220)의 외측 단부에 대해 회동하여 수평방향으로 펼져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접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 상기 파형관(10)을 적재할 때에는,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수평방향으로 펼져져 상기 파형관(10)을 적재를 용이하게 하며,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 상기 파형관(10)이 적재된 후에는,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수직방향으로 접이되어,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 적재된 상기 파형관(10)이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260)는, 상기 수평축부(220)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고정형 가이드부(230)와 접이형 가이드부(240)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받침부(260)의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형 가이드부(2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타측 단부가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에는 고정됨으로써,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회동할 때, 상기 받침부(260)도 함께 상기 고정형 가이드부(230)에 대해 회동이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50)에 의해,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회동하여 수평방향으로 펼져질 때, 실선으로 표시된 상기 받침부(260)도 함께 하방으로 회동하여 외측이 하향 경사됨으로써,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와 상기 받침부(260) 사이에 걸림턱이 생기지 않고,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의 면과 상기 받침부(260)의 면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파형관(10)이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걸림없이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50)에 의해,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회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이될 때에는,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받침부(260)도 함께 상방으로 회동하여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 적재된 상기 파형관(10)이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50)는,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 실린더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250)에 연결된 축이 유압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할 때,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는 회전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250)에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링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250)에 연결된 축이 유압에 의해 외측으로 빠져 나오면서,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를 위로 밀어 올려 수직방향으로 접이시키는 한편, 상기 구동부(250)에 연결된 축이 유압에 의해 내측으로 줄어 들면서,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를 아래로 끌어 내려 수평방향으로 펼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는,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휘어진 상기 파형관(10)을 가압에 의하여 직선형태로 펴기 위한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510)와, 상기 본체부(510)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유압부(540) 및 가압부(5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유압부(540) 및 가압부(550)는 상기 본체부(510)의 양 측면에 동일하게 마련된다는 점에서, 일 측면에 마련된 구성으로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는,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상기 파형관(10)이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로 인입하는 위치에서 상기 파형관(10)의 인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롤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를 구성아는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형관(10)의 외주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의 오목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파형관(10)은 그 외주면이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의 오목 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로 가이드 된다.
또한,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는,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로 인입된 상기 파형관(1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510)의 일면에 적어도 4개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가 전후 방향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되,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와 나란하게 위치하여,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를 거쳐 들어온 상기 파형관(10)이 일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중 상측에 배치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의 간격(공간)은,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로 인입되는 상기 파형관(10)의 외경에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의 가이드에 의해 인입된 상기 파형관(10)은, 도 6의 (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파형관(10)의 표면이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의 본체부(510) 일면의 상하측 마련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파형관(10)은, 표면상으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에 의해 직선으로 펼쳐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10)은 아직 아래쪽으로 휘어진 휨 변형이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파형관(10)이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를 그대로 통과한 경우에는,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도 2에서와 같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형관(10)이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파형관(10)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5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550)는, 전후방향의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사이에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보다 아래쪽에 마련되되, 상기 파형관(10)의 표면에 맞닿아 상기 파형관(10)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55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550)는 상기 유압부(540)의 유압축부(541)에 링크되어, 유압축부(541)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551)가 상기 파형관(10)의 표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즉, 도 6의 (b)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축부(541)가 직선으로 빠져 나옴에 따라, 상기 유압축부(541)의 단부에 링크된 상기 가압부(550)가 상기 유압축부(541)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롤러(551)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형관(10)의 표면을 가압하게 된다.
즉, 아래쪽으로 휘어진 휨 변형을 가지고 있는 상기 파형관(10)이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가압롤러(551)의 가압에 의해 상기 파형관(10)의 휨 변형과 반대방향(즉, 위쪽)으로 휘어지도록 변형을 줌으로써,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사이를 통과한 상기 파형관(10)은 직선으로 곧게 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기판부(100)의 하면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판부(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파형관 포설장치를 이동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바퀴부(320)와 양측 바퀴부(320)를 연결하는 가변축부(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퀴부(320)는 무한궤도식 캐터필러(caterpillar)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기판부(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파형관 포설장치를 이동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캐터필러 대신 4륜 바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퀴부(320)를 구동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통상의 공지기술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양측의 상기 바퀴부(320)를 연결하는 가변축부(310)는, 유압에 의하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동식으로 구현된 파형관 포설장치가 터파기가 이루어진 파형관 포설구간을 이동하면서, 파형관 포설구간에 상기 파형관(10)을 직접 포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축부(310)의 길이가 가변되기 때문에, 장거리에 있는 작업현장으로 상기 파형관 포설장치를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가변축부(310)의 길이를 작게 하여 트럭 등으로 상기 파형관 포설장치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상기 파형관(10)을 포설하는 작업을 할 때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변축부(310)의 길이를 길게 하여, 터파기가 이루어진 포설구간을 이동하면서 상기 파형관(10)을 직접 포설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파형관 포설장치에 의한 작업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롤 형태의 감겨진 파형관(10)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형관 공급부(200)에 적재한다.
이때,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의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240)가 롤 형태로 감겨진 파형관(10)의 중심을 관통시켜, 상기 파형관(10)을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의 받침부(260)에 안착시켜 적재한다.
다음으로,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에 적재된 상기 파형관(10)의 외측으로 드러난 마지막 단부가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의 맨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를 회전시켜 조절한 후, 상기 파형관(10)의 외측으로 드러난 마지막 단부부터 인출을 시작한다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로부터 인출된 상기 파형관(10)의 단부부터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의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520)를 거쳐 복수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53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유압부(540)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부(550)의 가압롤러(551)가 상기 파형관(10)의 표면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550)의 가압롤러(551)는 상기 파형관(10)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을 함으로써, 상기 파형관(10)은 직선으로 곧게 펴지게 된다.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에 의해 곧게 펴진 상기 파형관(10)은 터파기가 이루어진 포설구간에 바로 포설이 되고, 이때 터파기가 이루어진 포설구간에 먼저 놓여진 상기 파형관(10)의 단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형관 포설장치가 터파기가 이루어진 포설구간를 이동한다.
즉, 터파기가 이루어진 포설구간에 먼저 놓여진 상기 파형관(10)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파형관 포설장치가 터파기가 이루어진 포설구간를 이동하면서, 중앙축부(2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가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상기 파형관 공급부(200)로부터 상기 파형관(10)이 인출되고, 인출된 상기 파형관(10)은 상기 파형관 가공부(500)에 의해 직선으로 곧게 펴지면서 터파기가 이루어진 포설구간에 즉시적으로 이루어진다.
10 파형관
100 기판부
200 파형관 공급부 210 중앙축부
220 수평축부 221 수직회전부
230 고정형 가이드부 240 접이형 가이드부
250 구동부 260 받침부
300 이동부 310 가변축부
320 바퀴부
400 수평회전부
500 파형관 가공부 510 본체부
520 인입 가이드 롤러부 530 위치 가이드 롤러부
540 유압부 541 유압축부
550 가압부 551 가압롤러

Claims (5)

  1. 롤 형태로 공급된 파형관을 적재한 후, 적재된 파형관을 공급하는 파형관 공급부와,
    상기 파형관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파형관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형관을 일직선으로 곧게 펴는 파형관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포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기립된 중앙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형관 공급부는, 상기 중앙축부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포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하측에 마련된 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양측으로 마련된 바퀴부와, 양측의 상기 바퀴부를 연결하는 가변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포설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 공급부는,
    수평축부와,
    상기 수평축부의 일단에 마련된 고정형 가이드부와,
    상기 수평축부의 일단에 마련된 접이형 가이드부와,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이형 가이드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펼져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접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포설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 가공부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인입 가이드 롤러부, 복수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 및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파형관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파형관이 상기 파형관 가공부로 인입하는 위치에서 상기 파형관의 인입을 가이드하며,
    상기 복수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는, 적어도 4개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가 전후 방향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는, 전후방향의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 사이에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보다 아래쪽에 마련되되, 상기 파형관의 표면에 맞닿아 상기 파형관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가이드 롤러부 중 상측에 배치된 위치 가이드 롤러부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위치 가이드 롤러부의 간격(공간)은, 상기 파형관의 외경에 일치하며,
    상기 가압부의 가압롤러는, 상기 파형관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형관을 일직선으로 곧게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포설장치.
KR1020180144779A 2018-11-21 2018-11-21 파형관 포설장치 KR20200059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79A KR20200059717A (ko) 2018-11-21 2018-11-21 파형관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79A KR20200059717A (ko) 2018-11-21 2018-11-21 파형관 포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17A true KR20200059717A (ko) 2020-05-29

Family

ID=7091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779A KR20200059717A (ko) 2018-11-21 2018-11-21 파형관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1554A (zh) * 2020-06-23 2020-10-13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可折叠制冰排管施放与回收工作台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07B1 (ko) 2009-10-28 2010-09-28 (주)이디에스 엔지니어링 파형관 자동포설설비
KR101436885B1 (ko) 2012-08-10 2014-09-02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차량형 파형관 포설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07B1 (ko) 2009-10-28 2010-09-28 (주)이디에스 엔지니어링 파형관 자동포설설비
KR101436885B1 (ko) 2012-08-10 2014-09-02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차량형 파형관 포설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1554A (zh) * 2020-06-23 2020-10-13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可折叠制冰排管施放与回收工作台及其施工方法
CN111761554B (zh) * 2020-06-23 2023-05-30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可折叠制冰排管施放与回收工作台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014B2 (en)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JP6851050B2 (ja) 管用ライナー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装置
AU2019275536B2 (en) Cable laying method using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KR20200059717A (ko) 파형관 포설장치
EP3219853B1 (en) Deployment apparatus
JP2018531161A6 (ja) 管用ライナー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036847B1 (ko) 강선 삽입장치
CN106938809A (zh) 电缆卷绕装置以及车载移动式检测设备
US3397565A (en) Apparatus for supplying bendable strip material
KR102305697B1 (ko) 다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 시스템
CN206221802U (zh) 用于非开挖定向钻进拖拉管的管道支撑装置
KR100780858B1 (ko)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입구측 가이드롤러 승강장치
KR20180134069A (ko)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MX2012005903A (es) Dispositivo para desenrollar y enderezar tubos metalicos bobinados.
JPS6157723A (ja) 推進配管工法
JPH04314525A (ja) 樹脂パイプ導入方法及び樹脂パイプ導入装置
KR101468939B1 (ko) 관 포설 장치
US201700029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pipes
JP4476853B2 (ja) 管ライニング材の折込装置
KR101197722B1 (ko) 관라이닝재 반전방법
US90744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 pipe into an underground borehole
JP6676125B1 (ja) 鋼管据付装置
JP2923644B1 (ja) トンネルの二次覆工用管の偏心布設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布設方法
JP2623198B2 (ja) ケーブル牽引装置
JP2019113174A (ja) 管更生部材の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