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685A -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 Google Patents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685A
KR20200059685A KR1020180144714A KR20180144714A KR20200059685A KR 20200059685 A KR20200059685 A KR 20200059685A KR 1020180144714 A KR1020180144714 A KR 1020180144714A KR 20180144714 A KR20180144714 A KR 20180144714A KR 20200059685 A KR20200059685 A KR 20200059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bite block
hand
bite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134B1 (ko
Inventor
정지환
정세환
Original Assignee
정지환
정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환, 정세환 filed Critical 정지환
Priority to KR102018014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134B1/ko
Priority to PCT/KR2019/015825 priority patent/WO2020106008A1/ko
Publication of KR2020005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5/00Mouth op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은,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단부에 착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사람 또는 애완동물이 입으로 물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마감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 전체 또는 손의 일부에 착용하도록 구비되며, 장애인 또는 애완견 등과 같은 대상의 구강 작업을 위해 착용 부위를 구강 내로 삽입 또는 구강 근처에 위치시켜 일부 손가락으로 구강을 벌리게 함과 동시에 나머지 손가락으로 턱 부위를 고정함으로써 양치질이나 구강 내 관찰 등과 같은 구내 작업이 용이하고, 마감재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하여 구강 내부로 삽입된 손가락을 다치지 않고, 몸체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여 대상이 물 수 있게 하여 이빨 역시 보호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WEARABLE BITE BLOCK}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람 또는 애완동물 등에게 사용되는 바이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트 블록은 치과 치료시 환자의 입이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입 안의 상하악구치(上下顎臼齒) 간에 삽입하는 치과 의료용품의 일종이다.
여기서, 바이트 블록은 치과 치료를 위해 환자가 입을 벌리고 있는 경우 치과의사는 환자의 구강 내부로 소정의 치과용 기구를 집어넣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하는 동안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닫을 경우에 대비해 신속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양질의 치료를 하는 데 있어서 시간과 공간상에 제약을 받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트 블록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59900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02855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는 바이트 블록을 구강 내에 삽입할 때 사용자가 한 손으로 바이트 블록의 손잡이나 수직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행하므로, 다른 한 손으로 대상의 입을 벌리면서 구강 내 관찰이나 칫솔질 등과 같은 구내 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59900호(2004.08.13) 한국공개특허 제2016-0028551호(2016.03.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손 전체 또는 손의 일부에 착용하도록 구비되며, 소아, 장애인 또는 애완견 등과 같은 대상의 구강 작업을 위해 착용 부위를 구강 내로 삽입하여 한 손으로 대상의 입 벌림과 턱을 잡을 수 있도록 한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은,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단부에 착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사람 또는 애완동물이 입으로 물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마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마감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손에 착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장갑 및 밴드형태의 손 삽입부 또는 인체의 일부에 삽입되도록 인체 일부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단부에 스트립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감재는 고무재, 실리콘재 및 개껌의 재료가 되는 소가죽 내피 등을 포함하는 가죽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재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 전체 또는 손의 일부에 착용하도록 구비되며, 장애인 또는 애완견 등과 같은 대상의 구강 작업을 위해 착용 부위를 구강 내로 삽입 또는 구강 근처에 위치시켜 일부 손가락으로 구강을 벌리게 함과 동시에 나머지 손가락으로 턱 부위를 고정함으로써 양치질이나 구강 내 관찰 등과 같은 구내 작업이 용이하고, 마감재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하여 구강 내부로 삽입된 손가락을 다치지 않고, 몸체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여 대상이 물 수 있게 하여 이빨 역시 보호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에서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중 몸체 및 마감재가 손 삽입부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에서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중 몸체 및 마감재가 손 삽입부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100)은 몸체(110) 및 마감재(120)를 포함하며, 손가락 단부에 끼워지도록 골무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100)은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에 착용하는 것으로 예시하며, 엄지손가락에 한정하지 않고 나머지 손가락에도 택일적으로 착용 가능하다.
몸체(110)는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손가락 단부에 착용하도록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110)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구비된다.
더욱이, 몸체(110)는 착용한 바이트 블록(100)이 손가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손(손 날)에 둘러 연결할 수 있는 스트립부재(도면에 미도시)가 단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스트립부재는 일 예로 몸체(110)의 외주면 단부에 대향된 구멍을 뚫고 그 양쪽 구멍에 양단부를 묶을 수 있다.
여기서, 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에 바이트 블록(100)을 삽입하는 경우, 삽입되는 엄지손가락의 단부에 의해 가동되면서 손가락의 후단 양쪽을 가압하여 바이트 블록(100)이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도록 외부 몸체(111), 내부 몸체(112), 밀림부재(114), 연결부재(115) 및 가압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몸체(111)는 외면에 마감재(120)로 마감되고 내부에 중공 형성되며, 후단 내주면에 경사면(111a)이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111a)은 손가락의 단부가 밀림부재(114)를 가압하면서 밀림부재(114)에 의해 후진하는 연결부재(115)에 형성된 절곡부(115b)의 이동 경사면(115a)이 접촉하면 할수록 절곡부(115b)가 외부 몸체(111)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내부 몸체(112)는 내부에 중공 형성되면서 외부 몸체(111)의 내부에 이중관 형태로 위치되며, 외부 몸체(111)와의 후단 사이에 위치된 절곡부(115b)가 출몰하도록 개구부(113)가 형성된다. 이렇게, 내부 몸체(112)가 외부 몸체(111)와 이중관 형태로 구비되므로 내부 몸체(112)의 외벽과 외부 몸체(111)의 내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밀림부재(114)는 한 쌍이 대칭 배치되되, 내부 몸체(112)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는 일단은 엄지손가락 삽입 방향으로 볼록하게 각각 돌출되고, 타단은 외부 몸체(111)와 내부 몸체(112) 사이 공간 내에 위치된 연결부재(115)의 단부와 제2축(H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며, 중간 지점은 내부 몸체(112)의 선단에 제1축(H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연결부재(115)는 외부 몸체(111)와 내부 몸체(112) 사이 공간 내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일단(도 4 기준 우측)은 밀림부재(114)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도 4 기준 좌측)에 형성된 절곡부(115b)가 개구부(113)를 통해 내부 몸체(112)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며, 절곡부(115b)와의 모서리에 이동 경사면(115a)이 형성된다.
가압부재(116)는 절곡부(115b)의 단부에 고정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절곡부(115b)의 이동시 엄지 손가락의 후단 양쪽을 가압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몸체(110) 내부에 엄지손가락을 삽입하여 엄지손가락의 단부가 밀림부재(114)의 단부를 가압하여 밀리도록 하면 제1축(H1)을 기점으로 연결부재(115)가 밀림부재(114)에 의해 후진하게 되고, 연결부재(115)에 연결된 절곡부(115b)는 이동 경사면(115a)이 외부 몸체(111)에 형성된 경사면(111a)에 밀착되기 시작하여 이동 경사면(115a)이 경사면(111a)에 좀 더 밀착되면, 절곡부(115b)가 이동 경사면(115a)이 경사면(111a)을 따라 내부 몸체(112)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곡부(115b)의 단부에 구비된 가압부재(116)가 손가락 후방 양쪽을 가압하게 된다.
마감재(120)는 몸체(110)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사람 또는 애완동물 등의 대상이 입으로 물었을 때 다치지 않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마감재(120)는 고무재, 실리콘재 및 가죽재질(개껌의 재료가 되는 소가죽 내피 등) 등의 다양한 재질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한편, 마감재(120)는 사각 기둥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뼈다귀, 생선, 과일 등의 사물이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뼈다귀, 생선, 과일 등의 그림이 프린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100)은 도 3을 참조하여 엄지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견의 구강 내 관찰 또는 칫솔질 등의 구내 작업을 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검사자가 엄지손가락에 바이트 블록(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견의 구강 내에 삽입하여 애완견의 구강이 벌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사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입을 벌린 애완견의 턱을 정확히 잡게 된다.
이때, 몸체(110)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엄지손가락을 다치지 않고, 마감재(12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애완견이 물거나 씹어도 이빨이 손상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검사자가 바이트 블록(100)을 물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애완견의 구강 내 관찰 또는 칫솔질 등의 구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대상이 사람 중 장애인인 경우 입 벌리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엄지손가락에 바이트 블록(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턱 부위를 고정하면서 구강내 관찰 또는 칫솔질 등의 구내 작업을 실시한다.
이와 다르게 대상이 애완견인 경우 양치질 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아 주로 애완견의 턱을 잡고 이빨의 바깥쪽만 닦게 되며, 손잡이가 있는 바이트 블록의 경우 한 손으로는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칫솔 등을 파지하고 있으므로 애완견의 턱을 잡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엄지손가락에 착용한 바이트 블록(100)을 구강 내에 위치시킬 수 있어 대상의 입 벌림이 용이하면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대상의 턱을 고정시켜 한 손으로 입 벌림과 턱 고정이 가능하여 구강 내 관찰 또는 칫솔질 등의 구내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200)은 손 삽입부(210), 몸체(220) 및 마감재(230)를 포함하며, 손에 끼워지도록 장갑 형태로 형성되며, 장갑 형태 외에 밴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손에 삽입되는 형태 외에도 인체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인체 일부 삽입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200)은 손에 삽입한 상태에서 몸체(220) 및 마감재(230)가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에 착용하는 것을 예시하며, 엄지손가락에 한정하지 않고 나머지 손가락에도 택일적으로 착용 가능하다.
손 삽입부(210)는 내부에 손이 삽입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장갑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손 삽입부(210)는 엄지손가락 부분에는 몸체(220) 및 마감재(230)로 마감되면서 나머지 손가락 부분이 절개된 반장갑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손 삽입부(210) 중 엄지손가락 부분에 몸체(220) 또는 마감재(230)가 연결된다.
여기서, 몸체(220) 및 마감재(23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몸체(220)의 내부에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엄지손가락에 삽입하면 가압부재가 손가락 후단 양쪽을 가압하도록 외부 몸체, 내부 몸체, 밀림부재, 연결부재 및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몸체(220) 및 마감재(23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손 삽입부(210)의 엄지 손가락 부분에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210)의 후단 내주면 양쪽에 결속홈(232)이 복수 형성되고, 결속홈(232)에 결속되면서 몸체(220) 및 마감재(230)가 손 삽입부(210)에 결합되도록 손 삽입부(210)의 엄지손가락 부분 단부에 고정된 지지부재(222) 내에 복수의 결속부재(224)가 구비된다.
결속부재(224)는 몸체(220)의 후단 내주면 양쪽에 형성된 결속홈(232)에 결속되도록 단부 표면에 경사면을 갖는 결속돌기(224a)가 돌출 형성된다.
결속부재(224)와 지지부재(222)의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인 탄성부재(226)의 양단이 고정된다.
즉, 몸체(220) 및 마감재(230)를 손 삽입부(210)에 결합시킬 때 결속부재(224)의 결속돌기(224a)에 형성된 경사면이 몸체(220)의 결속홈(232)에 결속되는 과정에서 결속부재(224)가 몸체(22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결속돌기(224a)의 끝 부분이 결속홈(232)을 통과하면 인장된 탄성부재(226)의 복원력에 의해 결속돌기(224a)와 결속홈(232)이 결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200)은 몸체(220)의 내부에 엄지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손 삽입부(210)를 검사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앞선 방법과 동일하게 애완견의 구강내 관찰 또는 칫솔질 등의 구내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바이트 블록
110, 220: 몸체
120, 230: 마감재
210: 손 삽입부

Claims (5)

  1.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단부에 착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사람 또는 애완동물이 입으로 물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마감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손에 착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장갑 및 밴드형태의 손 삽입부 또는 인체의 일부에 삽입되도록 인체 일부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단부에 스트립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감재는 고무재, 실리콘재 및 가죽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KR1020180144714A 2018-11-21 2018-11-21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KR10213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14A KR102134134B1 (ko) 2018-11-21 2018-11-21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PCT/KR2019/015825 WO2020106008A1 (ko) 2018-11-21 2019-11-19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14A KR102134134B1 (ko) 2018-11-21 2018-11-21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85A true KR20200059685A (ko) 2020-05-29
KR102134134B1 KR102134134B1 (ko) 2020-07-15

Family

ID=7077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714A KR102134134B1 (ko) 2018-11-21 2018-11-21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4134B1 (ko)
WO (1) WO2020106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3871B (zh) * 2022-06-02 2024-04-09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六医学中心 一次性使用颞下颌关节前脱位医用器械包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91Y1 (ko) * 2001-08-30 2001-12-20 오오열 보호장갑
KR200345903Y1 (ko) * 2004-01-08 2004-03-25 이은용 애완동물용 이닦이
KR200359900Y1 (ko) 2004-05-25 2004-08-21 (주)포인트닉스 바이트 가이드
KR20130004085U (ko) * 2011-12-27 2013-07-05 강현만 볼링 볼 파지용 글로브
KR20140021860A (ko) * 2012-08-13 2014-02-21 조순복 손가락 보호 장갑
KR20160028551A (ko) 2014-09-03 2016-03-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바이트 블록
KR101814682B1 (ko) * 2017-03-20 2018-01-08 (주)한터사랑기술투자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
JP2019099962A (ja) * 2017-12-06 2019-06-24 尚美 杉本 保護手袋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91Y1 (ko) * 2001-08-30 2001-12-20 오오열 보호장갑
KR200345903Y1 (ko) * 2004-01-08 2004-03-25 이은용 애완동물용 이닦이
KR200359900Y1 (ko) 2004-05-25 2004-08-21 (주)포인트닉스 바이트 가이드
KR20130004085U (ko) * 2011-12-27 2013-07-05 강현만 볼링 볼 파지용 글로브
KR20140021860A (ko) * 2012-08-13 2014-02-21 조순복 손가락 보호 장갑
KR20160028551A (ko) 2014-09-03 2016-03-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바이트 블록
KR101814682B1 (ko) * 2017-03-20 2018-01-08 (주)한터사랑기술투자 손가락 보호용 작업 장갑
JP2019099962A (ja) * 2017-12-06 2019-06-24 尚美 杉本 保護手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134B1 (ko) 2020-07-15
WO2020106008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7584A (en) Toothbrush
TWI367746B (en) Oral care implement
EA010621B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и способы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20170000586A1 (en) Bite Block Lip Protector
US6607549B2 (en) Oral rehabilitation device
US11051604B2 (en) Infant toothbrush
KR102134134B1 (ko)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JP6074227B2 (ja) 口腔開口補助具
KR200407986Y1 (ko) 잇몸 마사지 겸용 칫솔
KR200418244Y1 (ko) 잇몸 맛사지용 로울러
TWM567080U (zh) 3-in-1 tooth stick with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stick structure
JP3125738U (ja) 開口器
JP2009022702A (ja) 口腔内保護手段を備えた舌圧排子
US10898303B2 (en) Three-in-one tooth-cleaning device structured as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pick
US1569165A (en) Tooth-cleansing and gum-massaging device
KR101337735B1 (ko) 치과용 혀 보호기
Reiter et al. Perioperative considerations in dentistry and oral surgery
CN212165943U (zh) 不合作患儿开口器
CN213525054U (zh) 一种口腔专业用内窥镜
JP2005253872A (ja) 指歯ブラシおよび指歯ブラシセット
CN201438973U (zh) 一种持牙线的施用装置
KR200377955Y1 (ko) 골무형 치아 및 잇몸 세정도구
JP2018102726A (ja) 口腔内清掃用具
JP2005192487A (ja) 動物用歯ブラシ
KR101384044B1 (ko) 양면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