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735B1 - 치과용 혀 보호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혀 보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735B1
KR101337735B1 KR1020110077666A KR20110077666A KR101337735B1 KR 101337735 B1 KR101337735 B1 KR 101337735B1 KR 1020110077666 A KR1020110077666 A KR 1020110077666A KR 20110077666 A KR20110077666 A KR 20110077666A KR 101337735 B1 KR101337735 B1 KR 101337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ooth
protector
clam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597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11007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7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치료 시 고속 핸드피스 등의 치료 기구에 의한 상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혀를 보호하고자 하는 것으로, 일단이 치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벌렸다 놓으면 오므라드는 탄성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며 장변 일측이 치아와 혀 사이에 삽입되고, 장변 타측이 혀를 보호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혀 쪽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져 형성된 혀 차단체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몸체 부위에 조명 장치 또는 치과용 흡입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흡입관을 더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자연스러운 형태로 혀를 분리하도록 하고 있어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고 치아 고정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으로 혀의 위치를 유지시켜 시술자에게는 작업 공간 확보를 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혀 보호기{Tongue Protector}
본 발명은 치과용 혀 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 중 고속으로 회전하는 핸드피스 등에 상처받을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혀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혀는 신체 내의 다른 근육과는 달리 한쪽 끝이 뼈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외부에서 자극을 가할 때 반응하여 밀쳐 내려는 특성이 있다.
치과 치료 중 절삭이나 드릴작업은 핸드피스(handpiece) 기구를 사용하는데, 고속으로 회전하는 바(bar)나 디스크 등에 의하여 혀가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상황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종래의 혀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텐탈미러, 코튼 롤(cotton roll), 러버 댐(rubber dam)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물감이 많고 효과가 작다. 다수치 보철 진료시에 주로 덴탈미러를 사용하여 혀를 치료부위로부터 떼어내면, 혀 근육이 수축되고 긴장되어 떼어내려는 힘에 비례하여 혀가 움직이게 되어 핸드피스에 의하여 상처를 입을 위험이 크다. 또한, 혀가 덴탈미러를 밀어내려는 반작용이 발생하여 균일한 힘으로 혀를 제어하기 어렵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서 제시한 혀 보호를 위한 압박 장치로서, 구강 내의 작업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상, 하부 프레임과 혀 압박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박장치는 작업 공간 생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프레임과 혀 압박기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물리적 힘을 가하도록 하고 있어 환자의 고통이 따르며 장치도 복잡하여 실용적이지 못하다.
도 2는 특허문헌 2에서 제시한 치과용 구강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혀가 구강저에 밀착되도록 하는 혀 보호 몸체와 지지홈을 구비한 혀 보호체와 목구멍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구강밀폐체를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2 역시 혀를 구강저에 밀착하도록 물리적 힘을 가하게 되어 환자에게 고통을 주게 된다.
도 3은 특허문헌 3에서 제시한 구강 보호대로서, 프레임과 보호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호막이 혀를 차단하고 액체가 목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명된 것이나, 프레임과 보호막으로 구성된 장치를 구강 내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환자에게 이물감이 크게 작용하고 장착이 어렵고 불편하다.
도 4는 특허문헌 4에서 제시한 혀 보호용 팁스에 관한 것으로서, 혀 보호부가 혀를 압박하고 타액을 흡입할 수 있는 기능 및 조명 기능이 부가된 것이다. 그러나 혀 보호부가 정면으로 계속 환자의 혀를 압박하여 자극을 주게 되어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바이트 블록과 구강조명기 구성에 의해 술자에게는 작업공간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레임이나 혀를 압박하는 압박장치에 의한 혀 보호기는 환자에게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어 고통을 줄 수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작업 시 설치가 어렵고 실용적이지 못하며 비교적 장시간 치료해야 하는 다수치 보철 치료 등에는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1.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2010-0099098 2.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2010-0105121 3.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998-087815 4. 한국특허, 등록특허공보 10-0936221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고 간단한 구조로서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고 술자에게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혀 보호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작고 간단한 구조로 설치가 용이하고, 치아에 설치하도록 하여 환자가 고통을 느끼지 못하며 자연스럽게 혀를 분리하여 이물감을 최소로 하고, 술자에게는 치료할 다수치에 대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혀 보호기의 구성은, 일단이 치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벌렸다 놓으면 오므라드는 탄성 클램프와 몸체로 구성되며, 몸체는 혀 차단체로서 클램프와 연결되며 장변 일측이 치아와 혀 사이에 삽입되고, 장변 타측이 혀를 보호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혀 쪽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져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클램프는 구강 내 장착이 용이하도록 링형태의 탄성이 있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혀 차단체와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혀 차단체를 따로 만들어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클램프의 일측에 구성된 혀 차단체는 치료해야 하는 치아의 좌/우에 따라 구분하여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혀 차단체에는 타액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어 흡입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배출관이 설치되고, 조명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종래의 혀 보호를 위한 압박 장치 또는 구강 보호대는 복잡하여 실용성이 떨어지고 물리적인 힘을 가해 환자의 입을 벌리고 혀를 압박하는 형태가 대부분으로 고통을 유발하고 장착이 불편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혀 보호기는 치아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으며 혀를 치료부위와 분리하여 가로막도록 하고 있어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면서 혀를 보호하고 술자에게는 쉽게 장착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로서 프레임과 혀 압박기로 구성된 구강 내 사용 가능한 작업 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압박 장치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로서 혀 보호체와 구강밀폐체로 구성된 치과용 구강보호대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로서 프레임과 보호막으로 구성된 구강 보호대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로서 혀 보호용 팁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혀 보호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혀 보호기를 치아에 장착한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혀 보호기를 치아에 장착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혀 보호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고, 비본질적인 요소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혀 보호기의 사시도로서, 일단이 치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벌렸다 놓으면 오므라드는 탄성 클램프(10)와 상기 클램프(10)와 연결되며 장변 일측이 치아와 혀 사이에 세워져 삽입되고, 장변 타측이 혀를 보호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혀 쪽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져 형성된 혀 차단체(20)로 구성된다.
혀 보호기의 클램프(10)는 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지지력을 강화시키며, 혀 차단체(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류로 만들 수 있으나 환자에게 이물감이 없으면 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클램프(10)는 치아의 형태에 맞게 형성할 수 있고 크기별로 형성할 수 있다.
혀 차단체(20)는 다수치의 치료를 요하는 보철치료나 보존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하거나 성별 연령별로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할 수 있고, 장변 일측은 하악의 해부학적 형태를 고려하여 유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끝단은 날카롭지 않게 곡선으로 처리한다. 혀 차단체(20)의 두께는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하며 타액 등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또한, 혀 차단체(20)는 클램프(10)와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교체가 용이하도록 클램프(1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치료할 치아의 좌우에 따라 형상을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안쪽의 어금니에 클램프를 고정하여 장착한 실시예이고, 도 7은 소구치에 장착한 실시예로서, 작업해야 하는 치아의 위치, 설치 용이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 가능함을 보이고 있다. 치과 치료시 앞니 쪽은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하므로 시술이 어려운 어금니 쪽이 본 발명의 주 적용분야이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클램프(10)는 혀 차단체와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따로 만들어 리벳으로 영구 연결 고정할 수 있고 똑딱이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치아에 장착할 때에는 홀더를 사용하여 혀 보호기를 구강 안으로 집어넣고, 설치 치아에 대하여 클램프(10)를 벌렸다 놓으면 클램프의 탄성으로 오므라져 치아에 장착된다.
삭제
삭제
10 : 클램프 20 : 혀 차단체

Claims (4)

  1. 치과용 혀 보호기에 있어서,
    치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벌렸다 놓으면 오므라드는 탄성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며 장변 일측이 치아와 혀 사이에 삽입되고, 장변 타측은 혀를 보호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혀 쪽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져 형성된 혀 차단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혀 보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홀더를 이용하여 구강 내 장착이 용이하도록 링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혀 보호기
  3. 삭제
  4. 삭제
KR1020110077666A 2011-08-04 2011-08-04 치과용 혀 보호기 KR10133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666A KR101337735B1 (ko) 2011-08-04 2011-08-04 치과용 혀 보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666A KR101337735B1 (ko) 2011-08-04 2011-08-04 치과용 혀 보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597A KR20130015597A (ko) 2013-02-14
KR101337735B1 true KR101337735B1 (ko) 2013-12-06

Family

ID=4789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666A KR101337735B1 (ko) 2011-08-04 2011-08-04 치과용 혀 보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053B1 (ko) * 2016-08-17 2018-02-0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혀 이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28A (ko) * 2006-10-24 2008-04-2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진료용 입술 및 혀 리트랙터
KR100936221B1 (ko) 2009-03-06 2010-01-11 (주) 덴토존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JP2011098194A (ja) 2009-10-05 2011-05-19 Shiro Takanashi 歯科用ミラーおよび歯科用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28A (ko) * 2006-10-24 2008-04-2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진료용 입술 및 혀 리트랙터
KR100936221B1 (ko) 2009-03-06 2010-01-11 (주) 덴토존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JP2011098194A (ja) 2009-10-05 2011-05-19 Shiro Takanashi 歯科用ミラーおよび歯科用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597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0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KR102158126B1 (ko) 저작 치과교정 장치
US20190231476A1 (en) Dental separator and matrix system for producing dental restorations
KR20100099098A (ko) 구강 내 조직 압박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조립체, 및 키트
US20070218417A1 (en) Oral Mucous Membrane Protector for Orthodontic Applications
US7404404B2 (en) Anterior sextant dental bite tray apparatus
JP4217072B2 (ja) ラバーダム
US20200085551A9 (en) Dental suction arrangement
US20180014920A1 (en) Dental suction device
JP2020501837A (ja) 上顎歯列矯正装置
US115174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CN217828109U (zh) 牙科器械及牙科器械套组
CN107752973A (zh) 口腔张开器
KR101337735B1 (ko) 치과용 혀 보호기
JP2022516982A (ja) 解剖学的自己把持歯科用バリアデバイス
RU142538U1 (ru) Держатель сменного гибкого наконечника слюноотсоса
KR102014899B1 (ko) 치아용 보호구
KR101594926B1 (ko) 개구기
US20160331575A1 (en) Device for facilitating nasal breathing for snorers
KR101883343B1 (ko)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RU23049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раббер дама
KR20170111747A (ko)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WO2007123526A1 (en) Dental fil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