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343B1 -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 Google Patents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343B1
KR101883343B1 KR1020170066318A KR20170066318A KR101883343B1 KR 101883343 B1 KR101883343 B1 KR 101883343B1 KR 1020170066318 A KR1020170066318 A KR 1020170066318A KR 20170066318 A KR20170066318 A KR 20170066318A KR 101883343 B1 KR101883343 B1 KR 10188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nd
present
patient
dental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선
Original Assignee
유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선 filed Critical 유미선
Priority to KR1020170066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Abstract

치과 질환 치료 또는 치아 미백 시에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Mouth Band Of Improved Wearability For Dentistry}
본 발명은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질환 치료 또는 치아 미백 시에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에 관한 것이다.
스케일링, 충치치료, 보철치료, 임플란트 시술 등의 치과 치료 시, 시술자는 환자의 구강 내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환자의 입을 크게 벌리게 한 상태에서 치료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입을 벌리고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입을 오므리거나 움직일 경우, 치료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장시간 동안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하는 환자에게도 상당한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치과 진료 시, 환자의 구강 내 시야 확보와 원활한 작업 수행을 위해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강 개구기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구강 개구기는 환자의 구강 내의 상하 잇몸 부위와 입술 사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구강 개구기를 사용할 경우에 환자의 턱관절에 무리가 가해짐으로써 심할 경우 턱이 벌어지거나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치료를 받는 동안에 억지로 환자가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함으로써 환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료를 위해 환자가 입을 벌리고 있는 경우에, 치과의사는 환자의 구강 내부로 소정의 치과용 기구를 집어넣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나, 종래의 구강 개구기는 원형으로 중앙 부위가 개구 되어 있는 형상으로 상기와 같이 치과용 기구를 구강 내로 삽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양질의 치료를 하는데 있어서 공간상에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치과 치료 시에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치과 치료가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기에 대한 기술적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6039호 (2009.09.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악 지지대;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악 지지대; 및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상기 제2 연결 고리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신축성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성 밴드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을 상호 독립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신축성 밴드는 고무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제2 연결 고리부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실리콘,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악 지지대 및 하악 지지대는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안전한 재질로서 실리콘,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제2 연결 고리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제2 연결 고리부는 상기 신축성 밴드의 크기 및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상악 지지대의 양단부 및 중앙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하악 지지대의 양단부 및 중앙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개구 밴드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치아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악 지지대 및 상기 하악 지지대에는 치료가 필요한 치아를 노출시키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치아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악 지지대 및 상기 하악 지지대에는 길이 방향으로 그루브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악 지지대 및 상기 하악 지지대에는 사용자의 입술 부위를 잇몸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플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악 지지대의 신축성 밴드와 상기 하악 지지대의 신축성 밴드를 연결하는 헤어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는 오로지 신축성 밴드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을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유발시키지 않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는 상악 및 하악을 각각 연결하는 밴드를 적용하여 종래의 개구기와 비교하여 치과 치료시에 치과 기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개구기는 치과 치료 또는 치아 미백을 실시하는 짧게는 수분 내지 길게는 수 십분 동안 입술과 뺨을 포함하여 강제적으로 치아가 개구기를 문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입술과 입술 주위의 근육 뿐만 아니라 턱 관절에 피로를 주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개구기는 개구기를 환자의 치아가 문 상태에서 입술 근육으로 견인 상태를 유지하여 턱 관절 및 입술 주위 근육들이 쉽게 피로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는 독립적으로 착용되는 상악 지지대와 하악 지지대를 단순한 구조의 신축성 밴드를 적용하여 턱 관절 및 근육의 피로도를 덜어줄 수 있다. 또한 강력한 저작력을 이용하고 부수적으로 입술 주위 근육을 이용하는 원리로, 입술 주위 근육이 거의 피로를 못 느끼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밴드(100)는 환자의 상악에 장착되는 상악 지지대(200), 하악에 장착되는 하악 지지대(300) 및 상기 상악 지지대(200)와 상기 하악 지지대(200)에 각각 연결되어 환자의 머리 또는 목 부위에 걸쳐지는 신축성 밴드(210,3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악 지지대(200)와 하악 지지대(300)는 환자의 잇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잇몸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 및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악 지지대(200)는 환자의 상측 잇몸 부위에 밀착되도록 반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 단부에는 최외각 치아의 측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하도록 단면이 'U'자 형상의 안착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환자의 치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05)가 형성되어 있다.
'U'자 형상의 안착부(220)는 환자의 치아 및 잇몸 형태를 고려하여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시에 환자에게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턱 관절에 특별한 무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상악 지지대(200)의 중심 부위 및 양측 단부 부위에 제1 연결 고리부(201,202,20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 밴드(210)가 제1 연결 고리부(201,202,203)을 차례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의 머리 뒷 부분을 탄력적으로 감싸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악 지지대(300)는 환자의 하측 잇몸 부위에 밀착되도록 반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 단부에는 최외각 치아의 측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하도록 단면이 'U'자 형상의 안착부(320)가 형성되어 있고, 환자의 치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3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 형상의 안착부(220)는 환자의 치아 및 잇몸 형태를 고려하여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높이 다른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시에 환자에게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턱 관절에 특별한 무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하악 지지대(300)의 중심 부위 및 양측 단부 부위에 제2 연결 고리부(301,302,30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 밴드(310)가 연결 고리부(301,302,303)을 차례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의 목 뒷 부분을 탄력적으로 감싸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연결 고리부(201,202,203) 및 제2 연결 고리부(301,302,303)은 환자의 입술 부위에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밴드(100)는 환자의 상악치(10) 배열 부위에 장착되는 상악 지지대(200), 하악치(20) 배열 부위에 장착되는 하악 지지대(300) 및 상기 상악 지지대(200)와 상기 하악 지지대(200)에 각각 연결되어 환자의 머리 또는 목 부위에 걸쳐지는 신축성 밴드(210,3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의 일측 단부에는 환자의 잇몸을 감싸면서 고정시키도록 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제1 안착부(220) 및 제2 안착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의 재질은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치아를 고정하고, 타액에 부식이 안되도록 일정한 강도를 가지면 내부식성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식성을 가지는 금속재질(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고, 'U'자 형상의 제1 안착부(220) 및 제2 안착부(320)의 내면에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상악치(10)이 하악치(20)의 일부를 덮는 형상 및 상악치(10)의 잇몸 면적과 하악치(20)의 잇몸 면적을 고려하여, 상악 지지대(200)의 높이(h1)는 하악 지지대(300)의 높이(h2)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악 지지대(300)의 높이(h2)는 환자의 구강에 장착된 상태로 이물감을 주지 않으면서 편안하게 장착되도록 상악 지지대(200)의 높이(h1) 보다 상대적으로 대략 1 내지 5mm 크기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의 착용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환자는 구강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치(10)이 노출되도록 가이드홈(205)를 통해 삽입하여 상악 지지대(200)를 착용한다. 여기서, 환자의 상악치(10)의 최외각 치아의 후면 잇몸에는 'U' 자 형상의 제1 안착부(220)가 감싸는 형상으로 장착된다. 이 때, 신축성 밴드(210)은 사용자의 머리 뒷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 하악치(20)가 노출되도록 가이드홈(305)를 통해 삽입하여 하악 지지대(300)를 착용한다. 여기서, 환자의 상악(20)의 최외각 치아의 후면 잇몸에는 'U' 자 형상의 제2 안착부(320)가 감싸는 형상으로 장착되고, 신축성 밴드(310)은 사용자의 목 후면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환자는 신축성 밴드(210, 310)의 조절 클립(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 모양에 맞도록 길이를 조정하면서 당기게 되면 환자의 상악치(10) 및 하악치(20)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자연스럽게 환자의 구강이 벌려지면서 치과 치료 준비가 완료된다.
여기서, 종래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는 상호 독립적으로 장착됨으로써, 구강 치료시에 환자에게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구강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치과 치료 시에 보다 치과 기구의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치과 치료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100)는 사용자의 입술 부위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의 일면을 따라 "U" 자 형상의 곡면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플렌지부(250) 및 제2 플렌지부(35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제1 플렌지부(250) 및 제2 플렌지부(350)에 신축성 밴드(210,31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플렌지부(250) 및 제2 플렌지부(350)의 형상은 단면이 'U' 자 형상 또는 "n"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입술이 용이하게 안착된 상태로 치아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1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는 환자의 잇몸과 입술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술이 당겨지면서 자연스럽게 치아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악 지지대(200) 및 하악 지지대(300)의 중심 부위 및 양측 단부 부위에 제1 연결 고리부(201,202,203) 및 제2 연결 고리부(301,302,30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 밴드(210, 310)가 제1 연결 고리부(201,202,203) 및 제2 연결 고리부(301,302,303)을 각각 차례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의 머리 뒷 부분을 탄력적으로 감싸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개구 밴드 200: 상악 지지대
201,202,203: 제1 관통홀 210,310: 신축성 밴드
220: 제1 안착부 250: 제1 플렌지부
300: 하악 지지대 301,302,303: 제2 관통홀
320: 제2 안착부 350: 제2 플렌지부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 단부에 최외각 치아의 측면을 감싸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악 지지대;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 단부에 최외각 치아의 측면을 감싸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악 지지대; 및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상기 제2 연결 고리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신축성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고리부는 상기 상악 지지대의 양단부 및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고리부는 상기 하악 지지대의 양단부 및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악 지지대 및 상기 하악 지지대에는 치료가 필요한 치아를 노출시키도록 개구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악 지지대 및 상기 하악 지지대에는 사용자의 입술 부위를 잇몸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밴드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제2 연결 고리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제2 연결 고리부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지지대의 신축성 밴드와 상기 하악 지지대의 신축성 밴드를 연결하는 헤어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KR1020170066318A 2017-05-29 2017-05-29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KR101883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18A KR101883343B1 (ko) 2017-05-29 2017-05-29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18A KR101883343B1 (ko) 2017-05-29 2017-05-29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343B1 true KR101883343B1 (ko) 2018-07-30

Family

ID=6304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18A KR101883343B1 (ko) 2017-05-29 2017-05-29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3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6879A (en) * 1974-03-12 1975-11-04 Bennett D Cotten Cotton roll holder and lip retractor
JP2009532126A (ja) * 2006-03-31 2009-09-10 インデンティブ・エルエルシー 歯を隔離する方法、器具、システムおよびキット
KR200446039Y1 (ko) 2007-06-29 2009-09-21 강태현 물막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 개구기
CN101822577A (zh) * 2010-05-19 2010-09-08 四川大学 分体式主动口腔开口器
KR101428839B1 (ko) * 2007-09-26 2014-08-08 울트라덴트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구강 내 조직 이격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조립체, 및 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6879A (en) * 1974-03-12 1975-11-04 Bennett D Cotten Cotton roll holder and lip retractor
JP2009532126A (ja) * 2006-03-31 2009-09-10 インデンティブ・エルエルシー 歯を隔離する方法、器具、システムおよびキット
KR200446039Y1 (ko) 2007-06-29 2009-09-21 강태현 물막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 개구기
KR101428839B1 (ko) * 2007-09-26 2014-08-08 울트라덴트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구강 내 조직 이격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조립체, 및 키트
CN101822577A (zh) * 2010-05-19 2010-09-08 四川大学 分体式主动口腔开口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7295A (en) Muscular expansion oral shield appliance
US4708646A (en) Orthodontic device for correcting the bite
US106391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KR20180119521A (ko)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CN111588490B (zh) 壳状牙齿矫治器、牙科矫治系统的设计方法及制作方法
US4431411A (en) Segmented labial bow with lip pads for aid in the correction of Class III malocclusions and malocclusions with underdeveloped maxillas
JP2006528495A (ja) 改良オクルーザルスプリント
KR20180096531A (ko) 저작 치과교정 장치
US4815968A (en) Orthodontic appliance
JP2568904B2 (ja) 筋肉拡大バンパ
CN217828109U (zh) 牙科器械及牙科器械套组
US115174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JP7182792B2 (ja) 睡眠時無呼吸、いびき、ならびに舌および口腔の再構築のための歯科用器具
JP5006890B2 (ja) 歯牙固定具
US6244862B1 (en) Orthodontic appliance
KR20120033385A (ko) 턱관절 교정 패드
KR101592421B1 (ko) 상악 치열 교정 장치
JP3940601B2 (ja) 咬合補助装置
KR101883343B1 (ko) 착용성이 향상된 치과 치료용 개구 밴드
KR101594926B1 (ko) 개구기
CN110547885A (zh) 一种牙齿矫治器
KR101094139B1 (ko) 치과교정기구
CN211834785U (zh) 一种用于正畸过程中佩戴的牙合垫
CN114052950B (zh) 壳状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
JP4326966B2 (ja) 口外器具を有する機能的な歯列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