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860A - 손가락 보호 장갑 - Google Patents

손가락 보호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860A
KR20140021860A KR1020120088179A KR20120088179A KR20140021860A KR 20140021860 A KR20140021860 A KR 20140021860A KR 1020120088179 A KR1020120088179 A KR 1020120088179A KR 20120088179 A KR20120088179 A KR 20120088179A KR 20140021860 A KR20140021860 A KR 2014002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rotective
elastic member
sewn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6447B1 (ko
Inventor
조순복
Original Assignee
조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복 filed Critical 조순복
Priority to KR102012008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4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41D19/01517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with protection against crushing, e.g. of the finge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에 끼고 물건 또는 동물을 잡을 때에 가해질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손가락도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손가락 보호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의 관절을 신축부재로 감싸되 신출부재를 보호커버로 덮은 상태로 유지하여 외부로 노출시키지 아니하고, 손가락의 측면 또는 다닥면에 가해질 수 있는 위험도 별도의 범퍼로 안전하게 보호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가락 보호 장갑{GLOVES FOR FINGER PROTECTIO}
본 발명은 손에 끼고 물건 또는 동물을 잡을 때에 가해질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손가락도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손가락 보호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의 관절을 신축부재로 감싸되 신출부재를 보호커버로 덮은 상태로 유지하여 외부로 노출시키지 아니하고, 손가락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가해질 수 있는 위험도 별도의 범퍼로 안전하게 보호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을 손으로 잡을 때, 공장에서 기계를 다룰 때, 건설공사 현장에서 작업할 때,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를 탈 때, 운동할 때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손을 보호하기 위해 장갑을 착용한다.
이러한 장갑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위험을 막아 손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이고, 손을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손가락을 움직임일 때에 힘이 들지 않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장갑은 공개특허 제10-2005-0087356호 및 공개특허 제10-2006-0085250호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손가락 관절을 감싸는 부분을 신축성 재질로 구성하여서 손가락을 접을 때에 힘을 덜 들일 수 있게 하고, 공개특허 제10-2006-0085250호에서처럼 손의 특정 부위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패드를 추가 구비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손가락 관절을 감싼 신축성 재질이 외부 위험요인을 충분히 막지 못하여 손을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동물실험을 하기 위해 장갑을 손에 끼고 실험동물을 잡을 때에 날카로운 이빨에 관절 부위를 물리면 이빨이 관통하여 관절에 손상을 줄 수 있고, 날카로운 발톱에 관절 부위를 긁히면 찢겨 관절에 상처를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날카로운 칼날에 베이거나 아니면 송곳에 찔리면 관절을 보호하지 못하고 상처를 줄 수 있다. 이는, 손가락을 접을 때에 손가락 관절만 꺾이고 손가락 마디는 직선에 가깝게 그대로여서 손가락 마디에 가죽이나 두꺼운 천을 덧붙여 보호할 수 있으나 손가락 관절은 가죽이나 두꺼운 천으로 감싸면 굽히기가 어려워 하는 수 없이 보호 강도가 낮더라도 신축성 재질로 형성하기 때문이다.
한편, 손가락의 측면 및 바닥면을 외부 위험요인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는 데, 상기한 종래기술들에는 이러한 보호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하였다. 예를 들면, 실험동물에 물릴 때에 손가락의 측면은 물론이고 바닥면에도 동물이 이빨에 물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동물실험을 손으로 잡는 중에나 아니면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엄지, 검지 및 중지가 물리기 쉬우므로, 보호하고자 하는 손가락을 감싸되, 제작하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여 장갑의 제작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KR 10-2005-0087356 A 2005.08.31. KR 10-2006-0085250 A 2006.07.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을 원활하게 움직이게 하면서 손가락의 상면은 물론이고 측면 및 바닥면 전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손가락 보호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갖춤에도 그 수단을 장갑에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손가락 보호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가락을 끼우는 손가락부(30)의 마디 상부를 보호재(40)로 구성하고, 손가락부(30)의 관절 상부를 신축재질의 신축부재(50)로 구성하여 손에 끼워 사용하게 한 손가락 보호 장갑에 있어서, 손가락부(30)의 관절 측면 측에서 재봉한 보호커버(60)로 신축부재(50)의 상부를 감쌈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커버(60)는, 신축부재(50)보다 넓은 면적을 갖게 하여 손가락부(30)의 관절를 꺾더라도 신축부재(50)를 노출시키지 아니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부재(50)는 관절 측면까지 이르게 구성되고, 상기 보호커버(60)는 상기 신축부재(50)가 손가락부의 하부와 재봉되는 선상에 재봉되거나 아니면 상기 신축부재(50)가 재봉된 선상도 감싸게 재봉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가락부(30)의 마디 측면에는, 각각 하부로 늘어지게 재봉한 펌퍼(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퍼(70)는, 상기 보호재(40)의 측방향에 상단을 재봉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퍼(70)는, 수축성 재질을 외피로 감싸서 상단을 상기 손가락부(30)의 마디 측면에 재봉한 것이되, 하부로 갈수록 두툼해지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는, 엄지, 검지 및 중지를 감싸는 손가락부에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재(40)와 상기 범퍼(70)의 외피는, 가죽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가락부(3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분할부재(8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손가락 관절을 감싸는 신축부재를 보호커버로 감싸서 신축부재에 가해지는 위험을 막을 수 있고 보호커버를 손가락의 측면 측에 재봉하여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는 재봉된 부분이 없으므로 신축부재의 굽힘을 방해하지 아니하므로 손가락 관절을 원활하게 굽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의 측면에 범퍼를 구비하여 측면에서 가해지는 위험도 막을 수 있고, 더욱이, 범퍼를 하부로 늘어뜨리게 하여 손가락의 측면에서 바닥면을 향해 비스듬히 가해지는 위험 요인이 범퍼를 손가락의 바닥면을 향해 밀리게 하므로, 바닥면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재, 보호커버 및 범퍼를 손가락부의 상부에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 가능하여서, 종래 제작하는 방식으로 손가락부의 하부, 손바닥부 및 손등부를 제작한 후에 손가락부의 상부만 별도 제작하여 재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의 재봉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에서, 검지부의 상부에 대한 재봉과정을 예시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에 있어서, 손가락부(30)의 저면에 분할부재(80)를 접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에 있어서, 분할부재(8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손가락 보호 장갑의 재봉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 검지부의 상부에 대한 재봉과정을 예시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재봉되는 대상의 재봉 위치를 일점 파선으로 도시하여, 재봉에 의해 서로 이어지는 위치를 보였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은 일반적인 장갑처럼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10),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20), 손가락에 끼워져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30)를 포함하여서 손을 끼울 수 있게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목과 아래팔(10')까지 감싸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들에 따르면, 손가락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날카로운 칼날에 의한 베임, 또는 동물의 이빨/발톱에의 물림 등의 위험으로부터 손가락 전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손가락부(30)에는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가락부(30)는 일반적인 장갑의 손가락부와 동일하게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각각 개별적으로 끼우는 엄지부(31), 검지부(32), 중지부(33), 약지부(34) 및 소지부(35)를 갖추지만, 엄지부(31), 검지부(32) 및 중지부(33)의 상부(31a, 32a, 33a)는 외부 위험 요인으로부터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엄지부(31), 검지부(32) 및 중지부(33)의 상부(31a, 32a, 33a)만 상기한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구비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을 동물실험 중에 동물을 손으로 잡기 위해 손에 끼는 보호 장갑으로 활용할 용도로 예시한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쥐를 손으로 잡고 동물실험을 할 경우에, 쥐를 손으로 잡는 과정 및 잡은 상태에서 동물실험을 하는 과정 중에 엄지, 검지 및 중지가 쥐에 물리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한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는 엄지부(31), 검지부(32) 및 중지부(33) 외에도 약지부(34) 또는 소지부(35)에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아니면 용도에 따라 5개의 손가락부들 중에 선택된 임의의 손가락부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에는, 각각의 손가락부들(30 : 31, 32, 33, 34, 35)을 상부(31a, 32a, 33a, 34a, 35a)와 하부(31b, 32b, 33b, 34b, 35b)로 분리하여 상부(31a, 32a, 33a, 34a, 35a)와 하부(31b, 32b, 33b, 34b, 35b)를 테두리를 따라 재봉하여 손가락을 끼울 내부공간을 갖게 하되, 하부(31b, 32b, 33b, 34b, 35b)를 손바닥부(20)에 이어진 형태로 하여 손바닥부(20)와 일체형으로 하고, 상기한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구비하지 아니하는 약지부(34) 및 소지부(35)의 상부(34a, 35a)를 손등부(10)에 일체형으로 이어지게 하며, 엄지부(31), 검지부(32) 및 중지부(33)의 상부(31a, 32a, 33a)만 분리 제작하여 손등부(10)에 재봉하게 하였다. 하지만, 5개의 손가락부들 중에 선택한 손가락부에 상기한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구비하게 하면 되므로, 선택하지 아니한 손가락부와 손등부 및 손바닥부의 결합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여준 방식에 한정할 필요 없이 일반적인 장갑의 제작방식 중에 적합한 제작방식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로 구성되는 손가락부의 상부(31a, 32a, 33a)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손가락부의 하부(31b, 32b, 33b)는 일반 장갑처럼 손바닥부(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부(31a, 32a, 33a)에 재봉되는 것이므로, 하부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손가락은 2개의 마디로 이루어지는 엄지를 제외하고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는 3개의 마디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손가락에서 마디 사이는 관절로 이어지고 손등과도 관절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엄지, 검지 및 중지를 끼우는 손가락부의 상부만 상기한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호재(40)는 손가락부(30)의 마디 상부에 해당되어 손가락의 마디 상부를 덮는 구성요소로서, 다른 부위(손가락부의 하부, 손등부 또는 손바닥부)에 비해 강한 재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재(40)의 재질인 강한 재질의 의미는, 다른 부위를 천으로 형성하였을 때에 다른 부위를 형성하는 천에 비해 외부 충격, 베임 또는 물림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손가락의 마디를 보다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는 두꺼운 천 또는 가죽을 의미할 수 있으나, 외부 위험으로부터 다른 부위에 비해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재(40)는 두꺼운 천이나 아니면 가죽처럼 보호 강도가 높은 재질로 함에 따라 통풍이 안 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크기 통풍구(41)를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부재(50)는 손가락 마디 사이의 관절 상부를 덮는 부분으로서 각각의 손가락부(30)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는 보호재(40) 사이를 서로 이어지게 하는 구성요소에 해당되며, 손가락의 관절 움직임에 따라 원활하게 꺾여야 하므로 신축재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재(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호커버(60)에 의해 감싸지므로 강도가 강한 재질로 할 필요는 없고,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신장할 수 있는 재질이면 만족한다. 예를 들면, 천의 형태에 가깝게 제작되는 일명 탄성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재(40)와 신축부재(50)가 서로 이어진 구성은 손가락부 상부의 기본 형태를 형성하게 되어서, 손가락부의 하부에 재봉되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가락부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재(40)와 신축부재(50)로 이어진 손가락부의 상부는 손가락부의 측면(손가락부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폭방향의 면)까지 연장되게 하고, 손가락부의 하부는 손가락부의 측면을 포함하지 아니하게 하여서, 상기 보호재(40)로 손가락부의 측면까지 보호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위험 요인에 취약한 상기 신축부재(50)와 손가락부 하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손가락부의 상부에 추가 구성한다.
상기 보호커버(60)는, 상기 신축부재(50)의 상부를 감싸도록 재봉되어 상기 신축부재(50)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위험요소를 막는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재(50)는 신장하면서 꺾이는 부분으로서, 신장하여 꺾이더라도 상기 보호커버(60)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호커버(60)는 상기 신축부재(50)보다는 넓은 면적을 갖게 하여 상기 신축부재(50)가 신장하며 꺾이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신축부재(50)를 덮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60)는 손가락부의 길이방향 양단을 재봉하지 아니하고(즉, 상기 보호재에 재봉하지 아니하고), 손가락부의 관절 측면 측에만 재봉되어서, 상기 신축부재(50)의 꺾임 및 신장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커버(60)는 신축부재(50)를 덮은 상태에서 신축부재(50)의 양측 끝단에 맞추어 재봉되어 손가락부의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60)와 신축부재(50) 간의 재봉 선상은 신축부재(50)와 손가락부 하부 사이의 재봉 선상에 일치시키셔 신축부재(50)를 손가락부의 하부에 재봉할 때에 상기 보호커버(60)도 재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커버(60)는 상기 신축부재(50)를 덮으면 되므로, 상기 보호커버(50)의 양측 끝단보다 더 길게 연장한 후에 손가락부의 하부에 재봉하여서 신축부재(50)와 손가락부 하부 사이의 재봉 선상도 감싸게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6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위험 요소로부터 상기 신축부재(50)를 보호하는 것이므로, 가축처럼 보호 효과가 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퍼(70)는 신축부재(50)를 사이에 두고 이어진 상기 보호재(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상단을 재봉하여 하부로 늘어지게 한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범퍼(70)은 손가락부의 마디마다 양측면에 하나씩 구비하되, 하부로 늘어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범퍼(7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을 손가락부의 하부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늘어뜨리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범퍼(70)가 손가락부의 측면측에서 가해지는 외부 위험요소로부터 손가락부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함이고, 더욱이, 손가락부를 상기 신축부재(50)에서 꺾어지게 하면, 범퍼(70)들 간의 틈새, 즉, 보호재의 양 측단에 성기 범퍼(70)를 재봉함에 따라 신축부재(50)의 길이만큼 발생하는 틈새가 좁혀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갑을 손에 낀 상태에서 손가락을 접으면서 실험동물을 잡았을 때에 손가락의 하부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유용하다.
여기서, 상기 범퍼(70)는 수축성 재질을 외피로 감싸서, 눌림에 의해 수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갑을 손에 끼고 실험동물을 잡았을 때에 상기 범퍼(70)의 두께에 의한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범퍼(70)의 외피는 가축처럼 외부 위험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범퍼(7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두툼해지게 하여서, 손가락부의 하부를 집중적으로 보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에 비해 두께가 얇은 상부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접촉으로 상기 보호재(40)에 재봉하게 하여서 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부 위험요소로부터 상기 범퍼(70)로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면접촉으로 재봉한다는 것은 상기 범퍼(70)의 상부가 상기 보호재(40)의 측방향을 소정의 면적으로 덮는 형태로 재봉한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가락부의 상부는 손가락부의 하부에 재봉되어서 손가락부를 형성하게 되고, 물론, 보호재들 중에 손등부에 인접하는 보호재의 단부도 손등부에 재봉된다.
이와 같은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보호장갑은 상부에 가해지는 위험요소를 보호재(40) 및 보호커버(60)로 막고, 손가락부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위험요소를 보호재(40) 및 보호커버(60)의 측면측 면으로 막는다. 특히, 하부로 늘어지게 한 상기 범퍼(70)는 측면에서 가해지는 위험요소를 더욱 안전하게 막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부의 하부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을 손에 끼고 손가락을 접을 때에는, 접히는 손가락 관절을 감싼 상기 신축부재(50)가 신장하며 꺾이게 되므로, 손가락을 접는 데 불편함이 없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60)는 손가락부의 양측면에 재봉되어 신축부재(50)를 덮게 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접는 데 불편함을 주지 아니하면서 신축부재(5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접을 때에, 손가락부의 측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재봉된 범퍼(70)들이 간격을 주이며 서로 인접하게 되므로, 범퍼(70) 간의 간격을 통해 가해질 수 있었던 외부 위험을 막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은 신축부재(50)를 덮는 보호커버(60)를 구비하더라도 손가락을 접는 데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손가락의 측면에 범퍼(70)를 구비하되 신축 가능하게 구비하여 손가락을 접어 물건을 잡을 때에 불편하지 아니하게 하고, 아울러, 손가락의 측면 및 바닥면도 안전하게 보호한다.
한편, 손가락들 중에 엄지 손가락은 두개의 마디와 하나의 관절을 갖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3개의 마디와 두개의 관절을 갖으므로, 상기한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갖춘 손가락부는, 마디의 개수만큼 보호재(40)를 갖추고 마디 개수의 2배수만큼 범퍼(70)를 갖추며, 관절의 개수만큼 각각 신축부재(50) 및 보호커버(60)를 갖춘다. 여기서, 손가락과 손등 사이를 잇는 관절도 상기한 신축부재로 감싸게 하고 이러한 신축부재를 보호커버로 덮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에 있어서, 손가락부(30)의 저면에 분할부재(80)를 접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보호장갑의 바닥면은 상기한 보호재(40) 및 보호커버(60)와 같은 강한 재질로 구성하면 물건을 잡을 때에 잡는 감각을 느끼지 못하고 물건을 잡는 데에도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부의 바닥면을 보호 효과를 높이면서 물건을 잡는 데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분할부재(80)를 서로 간격을 두고 손가락부(20)의 바닥면에 접착한다.
즉,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손가락부의 바닥면 폭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띠를 복수 개로 마련하여서 손가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접착되므로, 손가락을 접을 때에 불편함을 덜어준다. 여기서, 상기 분할부재(80)는 예를 들면 가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호 장갑에 있어서, 분할부재(8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불규칙적인 형상의 판상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분할부재(80)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복수 개 마련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접착하되, 분할부재(80) 간의 간격을 손가락을 움직이는 데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가능하면 작게 하여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찔리더라도 손가락부의 바닥면이 물체의 찔림에 의해 움푹 들어가게 한다. 이에 따라, 분할부재(80) 간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날카로운 물체가 분할부재(80)에 닿게 되어 더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체의 찔림을 막기 위한 분할부재(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판재로 구성하고 인접하는 분할부재(80)와의 틈새(g)를 일정한 폭을 갖게 하여서 어느 부위를 물체에 찔리더라도 물체가 파고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보호 성능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분할부재들(80) 간의 틈새(g)들은 가능하면 폭이 동일하면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형성하여서, 날카로운 칼날이 틈새(g)를 파고들며 베더라도 틈새(g)가 좁아져 칼날이 파고들어가는 것을 막고, 더불어, 베이는 방향에 놓인 인접한 분할분재의 면에 칼날이 닿게 하여 칼날의 진행방향 쪽도 안전하게 보하게 하는 것이 좋다. 부연하면 분할부재 간의 틈새(g)를 따라 칼날이 진행하여 베더라도 그 틈새(g)를 지나면 인접한 다른 분할부재의 표면 위에 칼날이 지나가게 하여서 칼날의 위험을 막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분할부재(80)는 동물에 물리거나 칼날에 베이어더라도 이를 막을 수 있는 강한 재질이면 만족하며, 예를 들면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처럼 고강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재질처럼 강한 재질로 구성되더라도 작은 조각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접착되므로 손가락을 원활하게 굽힐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부재(80)는 도 5에서는 상기한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를 구비한 손가락부(31, 32, 33)의 하부 바닥면에만 조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손가락(34, 35)의 하부 바닥면 또는 상부 표면에도 추가 조성할 수 있고, 손바닥부(20) 또는 손등부(10)의 표면에도 추가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손등부 20 : 손바닥부
30 : 손가락부 31 : 엄지부 31a : 상부 31b : 하부
32 : 검지부 32a : 상부 32b : 하부 33 : 중지부
33a : 상부 33b : 하부 34 : 약지부 34a : 상부
34b : 하부 35 : 소지부 35a : 상부 35b : 하부
40 : 보호재 41 : 통풍구
50 : 신축부재 60 : 보호커버 70 : 범퍼
80 : 분할부재

Claims (9)

  1. 손가락을 끼우는 손가락부(30)의 마디 상부를 보호재(40)로 구성하고, 손가락부(30)의 관절 상부를 신축재질의 신축부재(50)로 구성하여 손에 끼워 사용하게 한 손가락 보호 장갑에 있어서,
    손가락부(30)의 관절 측면 측에서 재봉한 보호커버(60)로 신축부재(50)의 상부를 감쌈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60)는, 신축부재(50)보다 넓은 면적을 갖게 하여 손가락부(30)의 관절를 꺾더라도 신축부재(50)를 노출시키지 아니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50)는 관절 측면까지 이르게 구성되고,
    상기 보호커버(60)는 상기 신축부재(50)가 손가락부의 하부와 재봉되는 선상에 재봉되거나 아니면 상기 신축부재(50)가 재봉된 선상도 감싸게 재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30)의 마디 측면에는, 각각 하부로 늘어지게 재봉한 펌퍼(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70)는, 상기 보호재(40)의 측방향에 상단을 재봉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70)는, 수축성 재질을 외피로 감싸서 상단을 상기 손가락부(30)의 마디 측면에 재봉한 것이되, 하부로 갈수록 두툼해지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40), 신축부재(50), 보호커버(60) 및 범퍼(70)는, 엄지, 검지 및 중지를 감싸는 손가락부에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40)와 상기 범퍼(70)의 외피는, 가죽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3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분할부재(8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 장갑.
KR1020120088179A 2012-08-13 2012-08-13 손가락 보호 장갑 KR10138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179A KR101386447B1 (ko) 2012-08-13 2012-08-13 손가락 보호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179A KR101386447B1 (ko) 2012-08-13 2012-08-13 손가락 보호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60A true KR20140021860A (ko) 2014-02-21
KR101386447B1 KR101386447B1 (ko) 2014-04-17

Family

ID=5026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179A KR101386447B1 (ko) 2012-08-13 2012-08-13 손가락 보호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4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0877A (zh) * 2017-11-27 2018-03-2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简易的宠物牙刷
KR101946903B1 (ko) * 2018-02-10 2019-02-12 조성필 부상 방지용 안전 장갑
WO2019067746A3 (en) * 2017-09-29 2019-05-16 Ringers Technologies Llc Industrial impact safety glove
WO2020106008A1 (ko) * 2018-11-21 2020-05-28 정세환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JP2020180392A (ja) * 2019-04-24 2020-11-05 ミドリ安全株式会社 指先保護具及び作業用手袋
CN112107052A (zh) * 2020-08-20 2020-12-22 佛山市洋芋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防震防护手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508B1 (ko) 2020-09-08 2021-08-26 주식회사 가드원 손가락 단부 보호장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3724B2 (ja) 2004-05-12 2010-10-13 忠明 兼平 防護用作業手袋
KR200365352Y1 (ko) * 2004-07-14 2004-10-20 유대규 주방용 손 보호구
JP2006291405A (ja) * 2005-04-13 2006-10-26 Akiyama Kikai:Kk 指保護具
KR20100006036U (ko) * 2008-12-05 2010-06-15 어수곤 손가락 안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7746A3 (en) * 2017-09-29 2019-05-16 Ringers Technologies Llc Industrial impact safety glove
CN107810877A (zh) * 2017-11-27 2018-03-2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简易的宠物牙刷
KR101946903B1 (ko) * 2018-02-10 2019-02-12 조성필 부상 방지용 안전 장갑
WO2020106008A1 (ko) * 2018-11-21 2020-05-28 정세환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KR20200059685A (ko) * 2018-11-21 2020-05-29 정지환 착용 가능한 바이트 블록
JP2020180392A (ja) * 2019-04-24 2020-11-05 ミドリ安全株式会社 指先保護具及び作業用手袋
CN112107052A (zh) * 2020-08-20 2020-12-22 佛山市洋芋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防震防护手套
CN112107052B (zh) * 2020-08-20 2023-09-19 佛山市洋芋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防震防护手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447B1 (ko)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47B1 (ko) 손가락 보호 장갑
US10314350B2 (en) Glove with impact guard
US20100031411A1 (en) Yoga gloves
CA2851319C (en) Protection element or attachment for safety glove fingers
KR200379193Y1 (ko)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장갑
US10743595B2 (en) Finger guard
US20080222764A1 (en) Flexible finger protectors
KR101713763B1 (ko) 손가락 보호용 안전장갑
US20210007426A1 (en) Protection element or attachment for safety glove fingers
KR101058150B1 (ko) 장갑 및 그의 제조방법
TWM560204U (zh) 手套
KR20120001799U (ko)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KR101566006B1 (ko) 봉제선을 단순화시킨 봉제 장갑
KR101563621B1 (ko) 절단작업시 착용하는 손가락 보호용 골무
JP6720904B2 (ja) 野球用捕球具
KR100977846B1 (ko) 비행 장갑
KR101300398B1 (ko) 오토바이용 방한장갑
JP5248644B2 (ja) 作業手袋
JP3138506U (ja) 作業用手袋
KR20160097103A (ko) 낚시용 장갑
JP2017036523A (ja) 手袋用指先保護具および手袋
KR20160129194A (ko) 작업용 안전장갑
JP6186394B2 (ja) 手指保護具の製法
KR200471041Y1 (ko) 장갑
JP2006028647A (ja) ハンドプロテ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