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799U -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 Google Patents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799U
KR20120001799U KR2020100009178U KR20100009178U KR20120001799U KR 20120001799 U KR20120001799 U KR 20120001799U KR 2020100009178 U KR2020100009178 U KR 2020100009178U KR 20100009178 U KR20100009178 U KR 20100009178U KR 20120001799 U KR20120001799 U KR 201200017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finger
disposed
fingertip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로
Original Assignee
김양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로 filed Critical 김양로
Priority to KR2020100009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799U/ko
Publication of KR201200017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7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손가락의 각 마디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 및 개수로 구비된 마디부; 상기 마디부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손가락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마디부의 타측면까지 곡면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마디부 중에 손가락 끝 부분에 배치되는 마디부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손가락 끝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부; 상기 마디부 중 손가락 끝 부분에 배치되는 마디부를 제외한 마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일단이 확장된 소켓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부; 스테인리스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상기 마디부 사이를 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디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관절구조를 갖는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Finger Guard for Cooker}
본 고안은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가락 마디를 보호하는 마디부가 연결되어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손가락 마디를 보호할 수 있으며, 손가락 마디와 끝을 보호하여 안전하게 칼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칼을 이용하여 음식을 썰 때에는 한쪽 손으로 음식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칼질을 한다. 그러나 칼질 시에 손가락을 베일 위험이 있고, 손가락을 베인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칼질을 기피할 수 있어, 안전하게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고무장갑이나 면장갑 등을 끼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재질의 특성상 날카로운 칼날로부터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는 없다.
또한, 손가락 마디의 전면에 큰 철판을 대어 손가락을 보호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음식을 잡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칼질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가락과 칼날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손가락을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음식을 잡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아, 효율적으로 칼질을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칼날에 의해 다치기 쉬운 손가락 끝부분을 보호함으로써 안전하게 칼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리스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손가락의 각 마디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 및 개수로 구비된 마디부; 상기 마디부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손가락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마디부의 타측면까지 곡면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마디부 중에 손가락 끝 부분에 배치되는 마디부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손가락 끝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부; 상기 마디부 중 손가락 끝 부분에 배치되는 마디부를 제외한 마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일단이 확장된 소켓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부; 스테인리스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상기 마디부 사이를 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디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관절구조를 갖는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디부는 각 단부가 겹치게 배치되되, 손바닥에 가깝게 배치된 마디부일수록 상단에 배치되며, 상단에 배치된 마디부의 확장부 내에 하단에 배치되는 마디부의 일단이 삽입됨으로써, 연결된 마디부가 회전하면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디부는 착용되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곡면이 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호구를 이용하여 손가락과 칼날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칼질 시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마디를 보호하는 관절부가 연결부로 연결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으므로, 효율적인 칼질이 가능하다.
또한, 칼날에 의해 다치기 쉬운 손가락 끝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 도 1a의 A-A'에 따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와 손가락 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칼질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각각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1)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1)는 세 개의 마디부(10a, 10b, 10c)와 상기 마디부(10a, 10b, 10c)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0), 상기 마디부(10a, 10b, 10c)를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1a, 11b, 11c)를 포함하는 관절 구조를 갖는다. 관절구조를 통해서 손가락 보호구(1)를 착용한 상태로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칼질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마디부(10)는 손가락이 칼날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손가락에 착용되어 손가락을 보호하는데, 상기 마디부(10)는 손가락 뿐만 아니라 음식에도 직접 닿을 수 있고, 물기가 많은 주방에서 사용되므로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나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디부(10)는 착용시 손가락에 밀착될 수 있도록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종방향(손가락 길이방향) 및 횡방향(손가락 두께방향)으로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에는 각각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 및 도 3b에는 각각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1)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 도 1a의 A-A'에 따른 횡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디부(10)는 연결부(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람의 손가락은 각 마디가 관절로 연결되어 있어, 관절을 중심으로 인접한 마디가 회전 운동을 하면서 움직이게 되므로, 손가락 보호구(1)를 착용한 후에도 손가락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 마디부(10)를 회전가능한 연결부(20)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1a 내지 도 2b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마디부(10)의 단부에는 각각 통공(1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공(15)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마디부(10)가 배치되고, 상기 연통된 통공(15)에 연결부(20)를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마디부(10)가 서로 연결되는 단부의 측면에 힌지로 형성되며, 상기 마디부(10)와 마찬가지로 물기에 직접 닿게 되므로 스테인리스나 강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디부(10)는 회전하면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도 3a와 같이 상단 마디부(10a)의 단부가 중간 마디부(10b)의 일단부보다 위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마디부(10b)의 타단부가 하단 마디부(10c)의 일단보다 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디부(10)는 서로 접촉하는 면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측면이 연결부(20)로 연결된다.
또한, 위에 배치되는 마디부(10)의 단부에는 각각 확장부(13)가 구비되어 있어, 하단에 위치하는 마디부(10)의 일단이 상기 확장부(13) 내에 삽입되어 통공이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확장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디부(10)의 단부 지름이 확장된 소켓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확장부(13)는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곡면으로 확장됨으로써 하단에 배치되는 마디부(10)의 단부가 회전할 때 상기 마디부(10)의 단부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겹치는 부분의 마디부(10a, 10b) 중 손바닥에 가까운 쪽의 마디부가 상부에 배될 경우,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마디부(10a, 10b)가 서로 회전하더라도 손가락의 관절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부에 배치된 마디부(10b)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칼질은 위에서 아래로 힘을 주어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도 4b 참조) 상단에 배치된 마디부의 확장부(13) 내에 하단에 배치된 마디부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이 안전하다. 즉, 확장부의 겉면 경사가 칼질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반대로 형성된 경우와 같이 칼날이 확장부의 단부에 걸릴 위험이 없다.
한편, 상기 마디부(10a, 10b, 10c) 중 손가락 끝부분에 착용되는 마디부(10c)에는 손가락 끝을 감싸는 형상의 보호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호부(12)는 상기 마디부(10a)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손톱 아래쪽의 손가락 끝 부분을 보호한다.
상기 고정부(11)는 도 3b와 같이 상기 마디부(10)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손가락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마디부(10)의 타측면까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마디부(10)가 상기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데, 상기 고정부(11)는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 및 형상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디부(10)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마디부(10a)의 단부에는 걸이구(1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손가락 보호구(1)의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각각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1)를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와 손가락 보호구(1)를 착용한 상태에서 칼질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가락 보호구(1)는 칼과 접촉할 수 있는 손가락 하나 이상에 착용될 수 있다. 도 4b에서 보듯이, 손가락 보호구(1)를 착용한 손으로는 음식물을 잡고, 다른 손으로 칼질을 하게 되며, 상기 보호부(12)가 손가락의 끝부분까지 보호하게 되므로 칼질 시 손가락을 베일 염려가 없다.
1 손가락 보호구 10a, 10b, 10c 마디부
11a, 11b, 11c 고정부 12 보호부 13 확장부
14 걸이구 15 통공 20 연결부

Claims (3)

  1. 스테인리스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손가락의 각 마디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 및 개수로 구비된 마디부(10);
    상기 마디부(10)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손가락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마디부(10)의 타측면까지 곡면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1);
    상기 마디부(10) 중에 손가락 끝 부분에 배치되는 마디부(10)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손가락 끝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부(12);
    상기 마디부 중 손가락 끝 부분에 배치되는 마디부(10)를 제외한 마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일단이 확장된 소켓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부(13);
    스테인리스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상기 마디부(10) 사이를 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20);
    를 포함하고, 상기 마디부(10)가 상기 연결부(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관절구조를 갖는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부(10)는 각 단부가 겹치게 배치되되, 손바닥에 가깝게 배치된 마디부(10)일수록 상단에 배치되며,
    상단에 배치된 마디부(10)의 확장부(13) 내에 하단에 배치되는 마디부(10)의 일단이 삽입됨으로써, 연결된 마디부(10)가 회전하면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3.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부(10)는 착용되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KR2020100009178U 2010-09-01 2010-09-01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KR201200017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78U KR20120001799U (ko) 2010-09-01 2010-09-01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78U KR20120001799U (ko) 2010-09-01 2010-09-01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99U true KR20120001799U (ko) 2012-03-09

Family

ID=4660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178U KR20120001799U (ko) 2010-09-01 2010-09-01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79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37Y1 (ko) * 2014-12-24 2015-03-10 이종영 손가락 보호대
KR200476538Y1 (ko) * 2014-12-26 2015-03-10 이종영 손가락 보호대
KR20220107839A (ko) * 2021-01-26 2022-08-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손가락 협착 방지 안전 골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37Y1 (ko) * 2014-12-24 2015-03-10 이종영 손가락 보호대
KR200476538Y1 (ko) * 2014-12-26 2015-03-10 이종영 손가락 보호대
KR20220107839A (ko) * 2021-01-26 2022-08-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손가락 협착 방지 안전 골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47B1 (ko) 손가락 보호 장갑
JP2010168699A5 (ko)
KR20120001799U (ko) 주방용 손가락 보호구
EP2850957B1 (en) Element or addition for protecting the fingers of safety gloves
JP2007100282A (ja) 調理手袋
KR102023369B1 (ko) 손목보호대
KR20140008148A (ko) 주방조리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0705351B1 (ko) 손가락 보호구
JP2006291405A (ja) 指保護具
JP4979678B2 (ja) 保護手袋
KR20160128827A (ko) 고무장갑 손가락 끝 부분의 보호캡
KR101563621B1 (ko) 절단작업시 착용하는 손가락 보호용 골무
JP2001279503A (ja) 作業用手袋
KR20160129194A (ko) 작업용 안전장갑
KR100586375B1 (ko) 주방용 손 보호구
US9185955B2 (en) Flexible jewelry cover
KR20130004085U (ko) 볼링 볼 파지용 글로브
KR20100006036U (ko) 손가락 안전장치
CN210189695U (zh) 刀柄及厨用刀具
CN210407210U (zh) 执勤手套
KR20100004616U (ko) 절곡형 손가락 보호구
KR20110103040A (ko) 손가락 보호용 장갑
JP2017036523A (ja) 手袋用指先保護具および手袋
BR202022014146U2 (pt) Protetor das pontas dos dedos aplicado em luvas
KR101147035B1 (ko)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