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846A -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 - Google Patents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846A
KR20200058846A KR1020180143464A KR20180143464A KR20200058846A KR 20200058846 A KR20200058846 A KR 20200058846A KR 1020180143464 A KR1020180143464 A KR 1020180143464A KR 20180143464 A KR20180143464 A KR 20180143464A KR 20200058846 A KR20200058846 A KR 2020005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 substrate
adhesive
thermoplastic adhesiv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이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진 filed Critical 이혜진
Priority to KR102018014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8846A/ko
Publication of KR2020005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2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은 사용자가 전기 다리미와 같은 발열 기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상의 내측에 부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의를 입었을 때 착용자의 흉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상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 선택의 다양성이 늘어난다.

Description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LINING ATTACHMENT FOR TOP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상의) 내측에 부착되는 부착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옷(브래지어)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를 입어도 유두(BP:bust point)의 형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브래지어(brassiere)는 유방을 중심으로 흉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대표적인 여성용 속옷이다. 그러나 브래지어는 상체를 조이도록 형성되므로 브래지어 착용이 장시간 지속되면 혈액순환에 지장을 주게 되며 착용자가 갑갑함을 느끼게 된다. 관련하여 최근 연구들에서는 브래지어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등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브래지어의 와이어, 호크, 스트랩, 고무 성분이 들어간 원단 등이 장시간 피부와 밀착되는 경우 예민한 피부를 자극하게 되어 피부 트러블이 왕왕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최근에는 노브라(no bra)를 실천하거나 최소한 집안에서는 브래지어를 벗고 생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브래지어와 같은 속옷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를 입는 사람들이 부담스러워 하는 것은 많은 경우 유두(BP: bust point)의 형상(윤곽) 또는 색상이 외부로 드러나거나 투시 형태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일명 니플 패치(nipple patch)가 최근 많이 판매되는 이유다. 그러나 니플 패치는 피부에 직접 가림용 패치를 붙이는 방식이므로 떼어 낼 때 약간의 통증을 수반할 뿐더러, 일부 제품은 접착력이 낮아 재부착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동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니플 패치는 두께가 매우 얇아 니플 패치를 부착하여도 유두 형상 또는 색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니플 패치를 2장 이상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6724호(2018.6.19 등록)
본 발명은 의류(상의) 내측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의 흉부 노출을 방지하는 의류 내측 부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의 가슴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의(top clothes) 내측에 부착되는 섬유 적층체이고, 상기 섬유 적층체는,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양면에 도포되고, 상부면에는 하기 레이어들이 적층되는 베이스 기재; 베이스 기재와 완전히 포개지도록 베이스 기재의 상부면에 접합되며, 폴리스판 양면 조직을 갖는 제1 두께의 제1 레이어; 제1 레이어와 완전히 포개지도록 제1 레이어의 상부면에 접합되며, 접합면이 폴리스판 단면 조직을 갖고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의류 내측 부착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1 레이어의 중량은 250 ~ 280 g/m2이고, 제2 레이어의 중량은 180 ~ 200 g/m2 일 수 있다.
또한,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를 상호 접착시키고,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재를 이루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상기 접착층을 이루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적층체는 세로 방향의 가상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측부 테두리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는 섬유 적층체의 세로 방향 높이를 기준으로 최대 높이 지점과 최소 높이 지점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최대 높이 지점은 측부와 가상 중앙선 사이에서 측부에 보다 가까운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고, 최소 높이 지점은 가상 중앙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적층체의 너비는 36 ~ 38 cm 이고, 세로 방향 높이는 최대 높이 지점을 기준으로 15 ~ 18 c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접착 필름의 일면에는 폴리스판 양면 조직을 갖는 제1 두께의 제1 레이어를 배치하고, 타면에는 접합면이 폴리스판 단면 조직을 갖고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레이어를 배치하는 단계; b)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1 레이어-접착 필름-제2 레이어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c)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양면에 도포되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적층체의 제1 레이어의 외측면이 마주하도록 적층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d)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베이스 기재-적층체의 섬유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내측 부착물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계 d) 이후, e) 섬유 적층체를 기 정해진 형상으로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은 사용자가 전기 다리미와 같은 발열 기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상의 내측에 부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의를 입었을 때 착용자의 흉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상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늘어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은 내측에 위치한 제1 레이어와 외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제2 레이어의 두께(중량) 및 조직을 달리하여, 전체적으로 흉부 노출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갖추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는 연질의 조직이 접하도록 제조됨으로써 기존 니플 패치의 단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은 브래지어의 가슴컵 부분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상의 내측에 부착하였을 때 부착물이 자연스럽게 가슴 굴곡에 따라 형태를 잡고, 상의를 접어 보관하는 경우에도 옷의 중심이 잘 잡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이 부착된 상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류 내측 부착물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류 내측 부착물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100)이 부착된 상의(1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100)은 상의(10, top clothes)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 내측 부착물(100)은 상의(10) 내측에 부착되었을 때 상의(10) 착용자의 가슴 부위(흉부)에 접하도록 상의(1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의(10)는 단추로 여미는 셔츠 형태를 제외하고 특정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의(10)는 라운드 티셔츠, 라운드넥 티셔츠, 폴라티셔츠, 브이넥 티셔츠, 민소매 티셔츠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의류 내측 부착물(100)이 부착된 상의(10)를 입으면, 의류 내측 부착물(100)은 사용자의 흉부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유두(BP)의 형상 또는 색상이 외부로 돌출되거나 투시 형태로 노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100)은 사용자가 부착하기를 원하는 상의(10)를 선택한 후에, 해당 상의(10)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대폭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의류 내측 부착물(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100)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의류 내측 부착물(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의류 내측 부착물(100)은 섬유 적층체의 형태를 가지며, 섬유 적층체는 베이스 기재(110), 제1 레이어(120) 및 제2 레이어(130)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재(110)는 최하층에 위치한다. 베이스 기재(110)의 하부면은 상의(10)의 내측에 부착된다(도 3의 b 방향이 상의(10)측 방향임). 베이스 기재(110)의 상부면에는 레이어들(120,130)이 적층된다. 베이스 기재(110)는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기재의 양면에 열가소성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 베이스 기재(110)는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고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 베이스 기재(110)은 열가소성 접착제가 별도의 기재의 양면 전면에 걸쳐 도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기재(110)의 두께는 마이크로미터급 크기를 가질 수 있다(수십~수백 마이크로미터).
여기에서 열가소성 접착제는 일명 핫멜트 또는 핫멜트 접착제로 불리며, 상온에서는 고체상을 갖는다. 열가소성 접착제는 용매에 용해하거나 분산시키지 않고(Solvent free) 열에 의하여 용융시켜 액체 내지 반고형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접착제를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접착제는 열가소성 폴리머로 구성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접착제는 사용시에는 가열 용융하여 각종 피착제에 도포하고, 냉각하여 고화시킴으로써 접착력을 발현시킨다. 이러한 열가소성 폴리머의 예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무정형인 폴리프로필렌(Amorphous polypropylen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s), 폴리아미드(Polyamide)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열가소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기재는 폴리머 필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머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필름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스틸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사이클릭올레핀 공중합체(COC), 액정 고분자(LCP),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에테르) (PPE),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에테르 설폰(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아크릴 계통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베이스 기재(110)의 상부면에는 제1 레이어(120)와 제2 레이어(130)가 순서대로 적층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기재(110)와 완전히 포개지도록 제1 레이어(120)가 베이스 기재(110)의 상부면에 접합된다. 그리고 제1 레이어(120)와 완전히 포개지도록 제2 레이어(130)가 제1 레이어(120)의 상부면에 접합된다. 또한 제1 레이어(120) 및 제2 레이어(130)는 베이스 기재(110)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재단됨으로써, 베이스 기재(110), 제1 레이어(120) 및 제2 레이어(130)가 완전히 포개진 형태를 갖는 일체형으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레이어(120) 및 제2 레이어(130)는 폴리스판(polyspa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스판 재질은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로 폴리에스테르사와 폴리우레탄사가 혼용된 형태(P/PU)를 갖는 원단을 의미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1 레이어(120) 및 제2 레이어(130)는 폴리스판 재질과 마찬가지로 신축성이 우수한 네오프렌(neopren)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폴리스판으로 형성되는 원단은 크게 양면에 폴리스판 조직을 갖는 양면 원단과, 일면에 폴리스판 조직을 갖는 단면 원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양면 원단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단면 원단보다 크므로, 단면 원단에 비해 보다 두껍고 보다 무게감을 가지며 보다 표면 거칠기가 높은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100)은 제1 레이어(120)에 폴리스판 양면 조직을 갖는 원단이 적용되고, 제2 레이어(130)에 폴리스판 단면 조직을 갖는 원단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레이어(120)는 제2 레이어(130)보다 두껍고 무게감을 가지며 보다 표면 거칠기가 높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120)의 제1 두께(t1)는 제2 레이어(130)의 제2 두께(t2)보다 두껍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120)의 제1 두께(t1)는 제2 레이어(130)의 제2 두께(t2)보다 1.4배 내지 1.6배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레이어(120)의 중량은 250~280 g/m2(gsm)이고, 제2 레이어(130)의 중량은 180~200 g/m2(gsm)일 수 있다.
이렇듯 양면 조직을 갖는 원단이 적용된 제1 레이어(120)를 통해 의류 내측 부착물(100)에서 흉부(유두 등)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단면 조직을 갖는 원단이 적용된 제2 레이어(130)가 사용자의 피부(도 3에서 a 방향이 사용자 방향임)에 직접 닿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부드러운(연질) 촉감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만약 제1 레이어(120)와 같이 폴리스판 양면 조직을 갖는 원단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흉부 노출 방지에 요구되는 두께 확보는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촉감이 상대적으로 거칠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이질감 내지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어(120)와 같이 폴리스판 단면 조직을 갖는 원단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할 수 있지만 흉부 노출 방지에 요구되는 두께 확보가 어려워 유두의 형상(윤곽) 등이 외부에 드러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100)에서는 서로 다른 조직을 갖는 제1 레이어(120) 및 제2 레이어(130)를 적층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흉부 노출 방지에 필요한 두께 확보 및 사용자에게 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할 수 있다.
관련하여, 제2 레이어(130)는 단면 조직을 갖는 원단이 적용되므로, 일면에는 폴리스판 조직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폴리스판 조직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폴리스판 조직은 신축성을 가져 다소 빳빳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제2 레이어(130)를 제1 레이어(120)에 접합함에 있어 폴리스판 조직이 형성된 면을 제1 레이어(120)와의 접합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스판 조직이 형성되지 않은 보다 부드러운 면(fine yarn)이 외측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제1 레이어(120)와 제2 레이어(130)의 접합은 접착층(13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130)은 제1 레이어(120)와 제2 레이어(13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레이어(120)와 제2 레이어(130)를 상호 접착시킨다. 접착층(130)은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접착층(130)은 베이스 기재(11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접착제에 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접착층(130)이 베이스 기재(110)와 다른 점은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다. 구체적으로 접착층(130)의 연화 온도(softening temperature)는 베이스 기재(110)의 연화 온도보다 높은 열가소성 접착제 소재로 형성된다. 이유는 의류 내측 부착물(100)을 상의(10)에 부착시킬 때 베이스 기재(110)와 접착층(130)이 모두 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재(110)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70~100℃ 인 경우, 접착층(130)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150~200℃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의류 내측 부착물(100)의 사용예에 관한 부분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의류 내측 부착물(10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류 내측 부착물(100)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류 내측 부착물을 이루는 섬유 적층체는 세로 방향의 가상 중앙선(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측부 테두리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는 섬유 적층체의 세로 방향 높이를 기준으로 최대 높이 지점과 최소 높이 지점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최대 높이 지점은 측부와 가상 중앙선(l) 사이에서 측부에 보다 가까운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고(도 4에서 h1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상부 테두리의 일 지점이 최대 높이 지점임), 최소 높이 지점은 가상 중앙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도 4에서 h2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짐).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의류 내측 부착물(100)은 단순 직선형이 아니라 브래지어의 가슴컵 부분과 유사한 모양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상의(10) 내측에 부착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가슴 굴곡에 따라 형태를 잡고, 상의(10)를 접어 보관하는 경우에도 옷의 중심이 잘 잡히는 장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섬유 적층체의 너비는 약 36~38cm 이고, 세로 방향 높이는 최대 높이 지점을 기준으로 15~18cm일 수 있으며, 이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한국여성의 평균 의류 사이즈(M 사이즈)를 기준으로 할 때 가슴둘레 사이즈가 88~90cm이고 유방 원주가 14~30cm에 해당하므로, 흉부의 전방을 커버하는 섬유 적층체의 경우 36~38cm 가량의 너비와 15~18cm 가량의 높이를 갖는 것이 목적 및 생산 경제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은 우선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접착 필름의 일면에는 폴리스판 양면 조직을 갖는 제1 두께의 제1 레이어를 배치하고, 타면에는 접합면이 폴리스판 단면 조직을 갖고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레이어를 배치한다. 여기에서 제1 두께는 제2 두께의 1.4배 ~ 1.6배에 해당할 수 있고, 제1 레이어의 중량은 250~280 g/m2(gsm)이고, 제2 레이어의 중량은 180~200 g/m2(gsm)일 수 있다. 접착 필름은 제1 연화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레이어의 배치 방법을 예시하면, 접착 필름을 공급하는 제1 롤, 제1 레이어를 공급하는 제2 롤, 제2 레이어를 공급하는 제3 롤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해 제1 레이어-접착 필름-제2 레이어의 순서대로 적층되도록 제1 레이어, 접착 필름 및 제2 레이어를 공급할 수 있다(이상 단계 a).
다음으로 핫프레스 공정 또는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제1 레이어-접착 필름-제2 레이어의 적층체를 형성한다. 핫프레스 공정 내지 라미네이팅 공정은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할 수 있는 장치(예컨대 가열롤러)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재를 접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이어-접착 필름-제2 레이어에 접착 필름의 제1 연화온도 이상의 열을 가하여 접착 필름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를 연화시키고,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가 접착 필름에 파묻히는 형태로 접합될 수 있다(이상 단계 b).
다음으로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양면에 도포되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적층체의 제1 레이어의 외측면이 마주하도록 적층체를 배치한다. 상술한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베이스 기재를 공급하는 제4 롤을 통해 상기 적층체의 하부로 베이스 기재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 기재는 제 2 연화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2 연화온도는 상기 접착 필름의 제1 연화온도보다 낮은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화온도는 70~100℃, 제1 연화온도는 150~200℃ 일 수 있다(이상 단계 c).
다음으로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베이스 기재-적층체의 섬유 적층체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단계 b에서와 마찬가지로 핫프레스 공정 또는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베이스 기재-적층체에 제2 연화온도 이상 및 제1 연화온도 미만의 열을 가하여 베이스 기재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를 연화시키고,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베이스 기재에 적층체를 접합할 수 있다. 이 때 핫프레스 공정 등의 가열온도가 제2 연화온도 이상 및 제1 연화온도 미만이므로 본 단계에서는 베이스 기재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만이 연화되고 접착 필름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는 연화되지 않는다. 섬유 적층체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온에 일정 시간 방치하여 열가소성 접착제를 다시 고화시킴으로써 의류 내측 부착물의 적층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베이스 기재의 하부면에는 이형지가 추가될 수 있다. 이형지의 접합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베이스 기재의 하부면에 점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착력은 약하므로 사람이 이형지를 손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이상 단계 d).
다음으로 상기 섬유 적층체를 기 정해진 형상,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의류 내측 부착물의 형태를 갖도록 커팅한다. 커팅 방법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레이저 커팅을 이용할 수 있다(이상 단계 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의류 내측 부착물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먼저 의류 내측 부착물(100)을 부착하기를 원하는 상의(10)를 선택한 후에, 상의(10)의 내측이 바깥으로 위치하도록 상의(10)를 뒤집을 수 있다. 이어 의류 내측 부착물(100)을 상의(10)의 흉부 부분에 배치하여 자리를 잡은 후, 전기 다리미와 같은 가정용 발열 기구로 의류 내측 부착물(100)을 누른다. 전기 다리미에서는 보통 70~100℃ 가량의 온도로 발열되므로 전기 다리미를 통해 열이 전달되어 의류 내측 부착물(100)의 베이스 기재(110)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가 연화되어 상의(10) 내측에 접착된다. 이 때 제1 레이어(120)와 제2 레이어(130) 사이의 접착층(130)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는 베이스 기재(110)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접착제보다 높으므로 전기 다리미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연화되지 않는다. 의류 내측 부착물(100)을 상의(10)에 부착하면, 상의(10)를 입었을 때 착용자의 흉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브래지어와 같은 속옷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10)를 입어도 유두(BP: bust point)의 형상(윤곽) 또는 색상 등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의류 내측 부착물
110: 베이스 기재
120: 제1 레이어
130: 접착층
140: 제2 레이어

Claims (8)

  1. 착용자의 가슴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의(top clothes) 내측에 부착되는 섬유 적층체이고,
    상기 섬유 적층체는,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양면에 도포되고, 상부면에는 하기 레이어들이 적층되는 베이스 기재;
    베이스 기재와 완전히 포개지도록 베이스 기재의 상부면에 접합되며, 폴리스판 양면 조직을 갖는 제1 두께의 제1 레이어;
    제1 레이어와 완전히 포개지도록 제1 레이어의 상부면에 접합되며, 접합면이 폴리스판 단면 조직을 갖고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의류 내측 부착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레이어의 중량은 250 ~ 280 g/m2이고, 제2 레이어의 중량은 180 ~ 200 g/m2인 의류 내측 부착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를 상호 접착시키고,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재를 이루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상기 접착층을 이루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높은 의류 내측 부착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섬유 적층체는 세로 방향의 가상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측부 테두리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는 섬유 적층체의 세로 방향 높이를 기준으로 최대 높이 지점과 최소 높이 지점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최대 높이 지점은 측부와 가상 중앙선 사이에서 측부에 보다 가까운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고, 최소 높이 지점은 가상 중앙선 상에 위치하는 의류 내측 부착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섬유 적층체의 너비는 36 ~ 38 cm 이고, 세로 방향 높이는 최대 높이 지점을 기준으로 15 ~ 18 cm 인 의류 내측 부착물.
  6. a)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접착 필름의 일면에는 폴리스판 양면 조직을 갖는 제1 두께의 제1 레이어를 배치하고, 타면에는 접합면이 폴리스판 단면 조직을 갖고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레이어를 배치하는 단계;
    b)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1 레이어-접착 필름-제2 레이어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c) 열가소성 접착제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양면에 도포되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적층체의 제1 레이어의 외측면이 마주하도록 적층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d)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베이스 기재-적층체의 섬유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내측 부착물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단계 d) 이후, e) 섬유 적층체를 기 정해진 형상으로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 내측 부착물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를 이루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보다 상기 접착 필름을 이루는 열가소성 접착제의 연화 온도가 높은 의류 내측 부착물 제조방법.
KR1020180143464A 2018-11-20 2018-11-20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 KR20200058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64A KR20200058846A (ko) 2018-11-20 2018-11-20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64A KR20200058846A (ko) 2018-11-20 2018-11-20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846A true KR20200058846A (ko) 2020-05-28

Family

ID=7092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464A KR20200058846A (ko) 2018-11-20 2018-11-20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88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970B1 (ko) * 2023-03-27 2023-11-02 박서연 브라렛
KR20230156613A (ko) 2022-05-06 2023-11-14 강효정 니플가드 의류 및 니플가드 의류 제작방법
WO2024052926A1 (en) * 2022-09-11 2024-03-14 Wang Zixuan Nipple covering apparatus for gar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24Y1 (ko) 2017-03-07 2018-07-13 주식회사 다샵 가슴 노출을 차단하는 상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24Y1 (ko) 2017-03-07 2018-07-13 주식회사 다샵 가슴 노출을 차단하는 상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6613A (ko) 2022-05-06 2023-11-14 강효정 니플가드 의류 및 니플가드 의류 제작방법
WO2024052926A1 (en) * 2022-09-11 2024-03-14 Wang Zixuan Nipple covering apparatus for garments
KR102597970B1 (ko) * 2023-03-27 2023-11-02 박서연 브라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6180B1 (en) Bra with support portions
JP6614382B2 (ja) 伸縮性回路基板および物品
KR20200058846A (ko) 속옷 없이 입을 수 있도록 상의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의류 내측 부착물
US7087806B2 (en) Friction reducing devices
EP1660000B1 (en) Friction reducing devices
TW201233354A (en) Multilayer modular shoe-upper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662800A (zh) 集成到织物支撑物的用于电气设备或电子设备的触觉控制布置
TWM518392U (zh) 膠線結構
JP7014468B2 (ja) ブラジャーのサイドベルト用留め具の固定構造
JP3150824U (ja) 外側モルドと取替可能な内側パッドを配する内外二層式貼着ブラジャー
US8888555B2 (en) Method for joining fabric panels and manufacturing brassieres
CN115298279B (zh) 自粘着片
KR100419298B1 (ko) 부착형 브래지어 및 그 제조방법
WO2007143928A1 (en) Method for joining fabric panels and manufacturing brassieres
CN112888558A (zh) 服装制品及其制造方法
KR20110139633A (ko) 점착식 브래지어
US909001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seamless soft bra-cup
JP2011157669A (ja) ブラジャー
CN219660980U (zh) 一种圆筒无痕上衣
JP3118232U (ja) 着脱自在のバックレス、ストラップレスブラ
CN205040772U (zh) 一种防磨脚的脚贴
CN213961904U (zh) 一种无痕口罩
CN204468935U (zh) 易剥离射出钩搭扣件及安装有此搭扣件的呼吸面罩系统
CN211932664U (zh) 一种温度调节服装
JP6960540B2 (ja) 整形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