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683A -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683A
KR20200058683A KR1020180143074A KR20180143074A KR20200058683A KR 20200058683 A KR20200058683 A KR 20200058683A KR 1020180143074 A KR1020180143074 A KR 1020180143074A KR 20180143074 A KR20180143074 A KR 20180143074A KR 20200058683 A KR20200058683 A KR 20200058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frame
slim
hin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273B1 (ko
Inventor
강신정
변득규
정성빈
배병완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2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이 1차적으로 이루어진 후, 시트백의 각도를 더 눕힐 수 있는 2차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트백이 소정의 각도로 1차 리클라이닝 작동된 후, 시트백의 각도를 더 눕힐 수 있는 2차 리클라이닝 장치를 시트백 및 시트백 프레임 간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시트백의 이중 리클라이닝을 통하여 승객의 컴포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SEAT BACK ANGLE OF SELF-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이 1차적으로 이루어진 후, 시트백의 각도를 더 눕힐 수 있는 2차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휴식 및 취침 등을 고려하여 시트백을 리클라이닝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이 기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현재 차량의 시트에 적용되는 리클라이닝 등의 메카니즘에 더하여 향후 출시될 자율주행 차량에는 승객들의 다자 간 회의 및 대화, 외부 경관 관람, 독서, 휴식, 취침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자세 구현이 가능한 여러가지 메카니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차량의 한정된 실내 공간을 감안하여, 시트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메카니즘 구조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을 위한 메카니즘 구조 등은 그 부피 및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범주 내에서 최대한 단순화시키면도 기능적인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특히, 시트쿠션 틸팅 및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카니즘 등을 적용할 때, 한정된 실내 공간을 감안하여 틸팅 및 리클라이닝 메카니즘을 최대한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승객이 마치 누운 자세에서 편안하게 휴식 및 취침 등을 취할 수 있도록 시트쿠션의 틸팅 작동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메카니즘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백이 소정의 각도로 1차 리클라이닝 작동된 후, 시트백의 각도를 더 눕힐 수 있는 2차 리클라이닝 장치를 시트백 및 시트백 프레임 간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시트백의 이중 리클라이닝을 통하여 승객의 컴포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쿠션 프레임과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1차 리클라이닝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전면부에 배면부가 힌지 연결되는 시트백;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부와 슬림형 시트백의 하단부 간에 장착되어, 슬림형 시트백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슬림형 시트백의 하단부의 전진시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각회전하는 숄더 힌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슬림형 시트백의 배면에 부착되는 골격프레임에 제1회전 힌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전면부에는 제1회전 힌지단과 힌지 체결되는 힌지 지지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리드스크류를 구동축으로 갖는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슬림형 시트백의 하단부에는 모터의 리드스크류 구동축과 힌지 연결되는 제2회전 힌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숄더 힌지부는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소정의 상하길이 범위 및 좌우 폭 방향에 걸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숄더 힌지부는 후방 접힘 및 전방 탄성 복원 동작을 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채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슬림형 시트백의 배면에 부착되는 골격프레임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최상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차량에 적용되는 슬림형 시트에 있어서, 시트백을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하여 1차로 리클라이닝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백의 각도를 더 눕힐 수 있는 2차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에게 보다 안락한 휴식 및 취침 등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시 승객 컴포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승객이 직접 시트백을 가압하여 뒤로 젖히는 동작이 아니라 모터의 힘이 부가됨으로써, 시트백의 2차 리클라이닝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시트백이 2차 리클라이닝 작동 후에 탄성 복원되려는 힘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잡아주기 때문에 2차 리클라이닝 작동 후에도 시트백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주행 진동 등에 의하여 시트백의 떨림 및 소음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의 1단 리클라이닝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의 2단 리클라이닝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는 위치 이동을 비롯하여 스위블 동작 및 리클라이닝 동작 등이 차량의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리고 실내 공간의 활용 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 시트에 비하여 부피가 감소된 구조이면서 슬립 타입의 구조로 제작된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슬림형 시트의 경우 시트쿠션 프레임(10)과 시트백 프레임(20)이 외부로 노출되는 슬림형 판체 구조로 제작되고, 외부로 노출된 시트쿠션 프레임(10) 및 시트백 프레임(20)에 각각 메쉬 커버링을 갖는 슬림형 시트쿠션(12) 및 시트백(22)이 장착된다.
물론, 상기 슬림형 시트쿠션(12) 및 시트백(22)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 이면에 장착되어 골격을 이루는 골격프레임(14,24)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과 시트백 프레임(20)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통상의 리클라이닝 장치(30)에 장착되는 바, 이 리클라이닝 장치(30)의 작동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20) 및 시트백(22)의 1차 리클라이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시트백(22)의 1차 리클라이닝 각도 만으로는 승객이 취침과 같은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하는데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슬림형 시트백의 1차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진 후, 승객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를 제공하고자 슬림형 시트백의 각도를 더 눕히는 2차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전면부에 슬림형 시트백(22)의 배면부를 힌지 체결하여, 슬림형 시트백(22)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각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슬림형 시트백(22)의 배면에 장착된 골격프레임(24)의 상하방향 중간 위치에는 제1회전 힌지단(26)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전면부에는 제1회전 힌지단(26)과 힌지 체결되는 힌지 지지단(28)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힌지 회전단(26)이 힌지 지지단(28)에 대하여 각회전함에 따라 슬림형 시트백(22)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각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슬림형 시트백(22)의 배면에 부착된 골격프레임(24)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단(29)이 돌출 형성되고, 이 힌지 연결단(29)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최상단부에 힌지 체결된다.
특히,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단부에는 2차 리클라이닝 작동시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한 숄더 힌지부(32)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숄더 힌지부(32)는 제1회전 힌지단(26)과 힌지 지지단(28) 간의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슬림형 시트백(22)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각회전하는 동시에 슬림형 시트백(22)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각회전할 때 함께 후방으로 젖혀지며 각회전 작동을 하도록 탄성 재질로 된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숄더 힌지부(32)는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단부에서 소정의 상하길이 범위 및 좌우 폭 방향에 걸쳐 장착되되, 후방 접힘 및 전방 탄성 복원 동작을 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이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통상의 리클라이닝 장치(30)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20)과 슬림형 시트백(22)이 함께 후방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1차 리클라이닝 작동 단계와, 승객이 시트백을 가압하면서 상체를 더 뒤로 젖히면 슬림형 시트백(22)의 상단부가 제1회전 힌지단(26)과 힌지 지지단(28) 간의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더 각회전하는 단계와, 연이어 상기 슬림형 시트백(22)의 골격프레임(24)의 상단부에 형성된 힌지 연결단(29)이 시트백 프레임(20)의 최상단부를 끌고 후방으로 각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숄더 힌지부(32)가 탄성 복원 가능하게 꺽이며 회동하는 단계가 진행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20) 및 슬림형 시트백(22)이 후방으로 더 눕혀지는 2차 리클라이닝이 수동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위와 같이 2차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진 후 승객이 슬림형 시트백(22)을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면, 숄더 힌지부(32)로 채택된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슬림형 시트백(22)이 다시 이전의 1차 리클라이닝 조절 위치로 금방 복귀되어, 승객이 오히려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또한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 작동에 따른 소음 등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슬림형 시트백이 위와 같이 2차 리클라이닝 작동 후에 숄더 힌지부(32)의 탄성 복원력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리클라이닝 작동 후에도 슬림형 시트백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또 다른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하단부와 시트백(22)의 하단부 간에 시트백(22)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거나 후방으로 당겨줄 수 있는 액츄에이터(4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츄에이터(40)는 리드스크류(41)를 구동축으로 갖는 모터(42)로 채택될 수 있고, 그 밖에 전후진력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 타입의 구동수단으로 채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하단부에 리드스크류(41)를 구동축으로 갖는 모터(42)가 장착되고, 상기 시트백(22)의 골격프레임(24) 하단부에 제2회전 힌지단(27)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42)의 리드스크류(41) 구동축과 제2힌지 힌지단(27)을 서로 힌지 체결됨으로써, 모터(42)의 리드스크류(41)의 전후진 운동에 의하여 시트백(22)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회동되거나 반대로 후방으로 당겨지며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이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통상의 리클라이닝 장치(30)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20)과 슬림형 시트백(22)이 함께 후방으로 소정 각도 틸팅되는 1차 리클라이닝 작동 단계와, 승객이 시트백을 후방으로 더 눕히고자 할 경우 스위치(미도시됨)를 온시켜서 상기 모터(42)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터(42)의 구동축인 리드스크류(41)가 전진하면서 슬림형 시트백(22)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단계와, 슬림형 시트백(22)의 하단부가 전방 회동하는 동시에 슬림형 시트백(22)의 상단부가 제1회전 힌지단(26)과 힌지 지지단(28) 간의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더 각회전하는 단계와, 연이어 상기 슬림형 시트백(22)의 골격프레임(24)의 상단부에 형성된 힌지 연결단(29)이 시트백 프레임(20)의 최상단부를 끌고 후방으로 각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숄더 힌지부(32)가 탄성 복원 가능하게 꺽이며 회동하는 단계가 진행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20) 및 슬림형 시트백(22)이 후방으로 더 눕혀지는 2차 리클라이닝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승객이 직접 시트백을 가압하여 뒤로 젖히는 수동 동작이 아니라 모터의 구동력이 부가됨으로써, 시트백의 2차 리클라이닝 작동이 자동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이 시트백이 2차 리클라이닝 작동 후에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모터의 전진 구동력에 의하여 상쇄됨으로써, 2차 리클라이닝 작동 후에도 시트백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이므로, 특히 향후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시 실내 공간 확보와 함께 승객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 구현을 위한 컴포트성을 제공할 수 있다.
10 : 시트쿠션 프레임
12 : 시트쿠션
14 : 골격프레임
20 : 시트백 프레임
22 : 시트백
24 : 골격프레임
26 : 제1회전 힌지단
27 : 제2회전 힌지단
28 : 힌지 지지단
29 : 힌지 연결단
30 : 리클라이닝 장치
32 : 숄더 힌지부
40 : 액츄에이터
41 : 리드스크류
42 : 모터

Claims (6)

  1. 시트쿠션 프레임과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1차 리클라이닝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전면부에 배면부가 힌지 연결되는 슬림형 시트백;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부와 슬림형 시트백의 하단부 간에 장착되어, 슬림형 시트백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슬림형 시트백의 하단부의 전진시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각회전하는 숄더 힌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 시트백의 배면에 부착되는 골격프레임에 제1회전 힌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전면부에는 제1회전 힌지단과 힌지 체결되는 힌지 지지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리드스크류를 구동축으로 갖는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슬림형 시트백의 하단부에는 모터의 리드스크류 구동축과 힌지 연결되는 제2회전 힌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숄더 힌지부는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소정의 상하길이 범위 및 좌우 폭 방향에 걸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숄더 힌지부는 후방 접힘 및 전방 탄성 복원 동작을 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채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 시트백의 배면에 부착되는 골격프레임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최상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KR1020180143074A 2018-11-20 2018-11-20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KR10217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074A KR102171273B1 (ko) 2018-11-20 2018-11-20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074A KR102171273B1 (ko) 2018-11-20 2018-11-20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683A true KR20200058683A (ko) 2020-05-28
KR102171273B1 KR102171273B1 (ko) 2020-10-28

Family

ID=7092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074A KR102171273B1 (ko) 2018-11-20 2018-11-20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083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시트 백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6687A (en) * 1998-02-12 2000-09-12 Vogtherr; Burkhard Functional chair
JP3144491U (ja) * 2008-03-19 2008-09-04 呉 耀全 シートバック構造
JP2008254593A (ja) * 2007-04-05 2008-10-23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8850A1 (en) * 1995-03-09 1996-09-1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ries capacitor charge pu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6687A (en) * 1998-02-12 2000-09-12 Vogtherr; Burkhard Functional chair
JP2008254593A (ja) * 2007-04-05 2008-10-23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JP3144491U (ja) * 2008-03-19 2008-09-04 呉 耀全 シートバッ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273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4370B2 (en) Vehicle seat
US10377270B2 (en) Seat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EP2109553B1 (en) Vehicle seat
US9873356B2 (en) Seat back interlocking ottoman device and vehicle seat
US8807652B2 (en) Back reclining apparatus interlocking with seat cushion for vehicle
KR102365176B1 (ko) 수납식 차량 시트
JP2016097780A (ja) 回転シート装置
KR102335479B1 (ko) 승합차용 리어 시트 폴딩 장치
JP2018188149A (ja) 回転シート装置
KR101162122B1 (ko) 차량용 회전시트 및 그의 구동방법
CN105730291A (zh) 一种汽车后排座椅调节机构
US10793029B2 (en) Multi-joint seat back for vehicle
KR20200058683A (ko)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KR102141904B1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 조절 장치
US20200262315A1 (en) Vehicle seat with a seat part which can be pivoted about a single pivot axis
KR101407262B1 (ko) 차량용 시트의 틸팅 장치
JP2019196110A (ja) 車両シート制御装置
JPH09109746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CN109305080B (zh) 一种可双向调节的活动式扶手以及座椅
JPH064755Y2 (ja) シート
JP2567451Y2 (ja) 乗物用座席
JP6193820B2 (ja) 乗物用シート
JPS6310990Y2 (ko)
KR200357660Y1 (ko) 승용차용 안락 뒷좌석 장치
CN117656961A (zh) 车辆座椅组件及其状态调节方法、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