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663A -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 - Google Patents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663A
KR20200058663A KR1020180142841A KR20180142841A KR20200058663A KR 20200058663 A KR20200058663 A KR 20200058663A KR 1020180142841 A KR1020180142841 A KR 1020180142841A KR 20180142841 A KR20180142841 A KR 20180142841A KR 20200058663 A KR20200058663 A KR 20200058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rgo screen
space
cover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395B1 (ko
Inventor
박희상
이원종
성창모
류태욱
류승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395B1/ko
Priority to US16/452,098 priority patent/US10974654B2/en
Publication of KR2020005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 차량(100)의 트렁크(100-1)에 적용된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1)은 카고 스크린(10)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수납함(30), 수납함(30)의 상부로 결합되는 수납커버(40), 수납함(30)의 측면으로 결합되는 러기지 사이드 월(50), 러기지 사이드 월(50)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열고 닫는 상하이동 셔터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셔터(60)를 갖춘 소물 트레이(20)를 포함함으로써 카고 스크린(10)의 폭 크기 제한과 러기지 사이드 트림 해체 및 수납함 입구 사이즈 축소 등과 같은 단점이 모두 해소되면서 수화물 크기에 맞춘 카고 스크린의 수납위치 이동 및 러기지 트레이(150) 사용시 카고 스크린(10)의 수납부위 외부노출 방지로 트렁크(100-1)의 공간 활용도롤 높이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Side Shutter Storage Type Cargo Screen Unit and Vehicle Thereby}
본 발명은 카고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내부의 휠 하우스 뒤쪽 공간(즉, 좌우의 휠 하우스와 후방도어의 사이 공간)에 의한 수납구조 제약 없이 카고 스크린이 사용되는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을 적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특히 레저용 차량의 트렁크는 카고 스크린을 적용하고, 상기 카고 스크린은 휠 하우스 뒤쪽 공간(즉, 좌우의 휠 하우스와 후방도어의 사이 공간)의 소물 트레이와 연계된 탈장착 구조를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소물 트레이는 공구와 잭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카고 스크린은 트렁크 내부의 수화물 공간을 가리는 커버 시트가 롤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둥글게 말아지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롤러 바의 좌우 엔드부(즉, 좌우 끝부위)가 러기지 사이드 트림으로 가려진 소물 트레이 공간에 수납(즉, 끼움 고정)됨으로써 사용시 커버 시트가 펼침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카고 스크린은 소물 트레이와 연계된 탈장착 구조로 사용시 고정 상태에서 펼쳐진 시트 커버로 트렁크 내부의 물건을 실외에서 볼 수 없도록 하고, 특히 뒷좌석과 연통되어 개방된 트렁크의 수화물 공간을 외관상 깔끔하게 처리하여 준다.
국내공개특허 10-2010-0069334(2010.07.19)
하지만 상기 카고 스크린과 상기 소물 트레이의 탈장착 구조는 하기와 같은 구조적 개선점을 필요로 한다.
첫째, 카고 스크린은 트렁크 상부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나 카고 스크린 폭이 시트 폭(즉, 후방시트 열)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휠 하우스 뒤쪽 공간에서 소물 트레이 공간을 점유하는 추가 공간으로 카고 스크린의 좌우 양쪽 부위가 수납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소물 트레이 공간은 트렁크 내부 레이아웃 상 시트 폭 보다 더 바깥쪽에서 협소 공간으로 위치함으로써 카고 스크린의 사용시 소물 트레이 공간을 가리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트레이 상단부가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상단 트레이 제거는 카고 스크린 끝단부위(즉, 롤러 바의 좌우 엔드부) 노출을 가져옴으로써 외관 불량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넷째, 카고 스크린의 사용시 상단 트레이가 제거된 소물 트레이의 상부 공간을 상단 커버로 가려 외관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으나 상단 커버 조립공간을 위한 구조 변경이 필요함으로써 소물 트레이의 수납입구사이즈 축소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수납입구사이즈 축소는 수납 입구 폭을 좁게 하면서 잭 및 공구 고정용 별도의 홀더(즉, 고정물)를 필요로 함으로써 수납 입구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공구 및 잭의 조립 공정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특히 조립 공정이 어려운 이유는 중량이 많이 나가는 공구와 잭의 조립중 취급 부주의는 공구와 잭의 날카로운 끝단부위에 의한 표면 긁힘으로 조립된 러기지 사이드 트림 표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로 인한 외관불량 방지를 위해 작업자에게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섯째, 조립고정을 어렵게 하는 작업자의 과도한 주의력은 강제적이거니 억지스러운 조립을 유발함으로써 상품성 저하로 나타나는 불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소물 트레이의 측면부위에 내부공간을 열고 닫는 상하이동식 셔터구조로 적용함으로써 후방 시트폭 보다 큰 폭을 갖는 카고 스크린의 끝단부위에 대한 수납이 용이하면서도 트렁크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러기지 트레이 사용시에도 외부노출로 인한 미관저하가 방지될 수 있고, 특히 카고 스크린 수납을 위한 러기지 사이드 트림 해체 및 수납함 입구 사이즈 축소가 필요 없으면서 소물 트레이 측면을 따른 카고 스크린의 수납위치 이동으로 카고 스크린을 수화물 크기에 맞춘 조절도 가능한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고 스크린 유닛은 화물을 가리도록 말려진 권취 상태에서 펼쳐지는 시트 커버를 구비한 카고 스크린; 상기 카고 스크린의 끝부분을 수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향이동으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연통되는 반면 상향이동으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차단되는 수납셔터를 구비한 소물 트레이;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납셔터는 상기 소물 트레이의 측면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소물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을 가리도록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납커버,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을 가리도록 상기 수납함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셔터를 갖춘 러기지 사이드 월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납셔터는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의 절개된 수납셔터 창을 열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반면 상기 수납셔터 창을 막아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차단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과 상기 수납셔터의 결합 구조는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에서 절개된 수납셔터 창의 좌우측 테두리 부위로 돌출된 수납셔터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채널, 상기 수납셔터의 가이드 플랜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 채널은 경사턱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상기 경사턱과 예각으로 면접촉되는 경사면 엔드와 함께 요철구조(凹凸)로 상기 경사턱과 맞물려지는 하강위치 홈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경사턱과 상기 경사면 엔드는 상기 상향이동 후 상기 수납셔터를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차단 상태로 유지시켜 주고, 상기 하강위치 홈은 상기 경사턱과 맞물려 상기 하향이동 후 상기 수납셔터를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연통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납셔터는 사이드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 플랜지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납셔터 가이드와 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납함과 상기 수납커버는 커버 후크로 탈장착되고, 상기 커버 후크는 상기 수납함의 후크 홈과 상기 수납커버의 커버 픽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함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은 러기지 사이드 후크로 탈장착되고, 상기 러기지 사이드 후크는 상기 수납함의 후크 홈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의 월 픽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납커버는 그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 부재는 상기 수납함에서 상기 수납커버가 탈거되도록 상기 수납커버를 잡아 당겨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에는 격자구조의 리브로 강성 보강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카고 스크린 홀더 또는 카고 스크린 레일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카고 스크린 홀더 또는 카고 스크린 레일 홀더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수납 장비의 위쪽부위에서 상기 카고 스크린의 끝부분을 끼워 상기 카고 스크린을 고정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카고 스크린 홀더는 함몰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고 스크린 레일 홀더는 상기 카고 스크린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소물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레일 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말려진 권취 상태에서 펼쳐져 화물을 가려주는 시트 커버가 구비된 카고 스크린의 끝부분을 수납하는 내부공간으로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상부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을 가려주는 수납커버, 상기 수납함의 측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을 가려주는 러기지 사이드 월,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열고 닫는 상하이동 셔터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셔터로 구성된 소물 트레이; 상기 소물 트레이를 좌측 소물 트레이와 우측 소물 트레이의 한 쌍으로 하고, 상기 좌측 소물 트레이를 화물 공간 좌측의 좌측추가공간으로 상기 우측 소물 트레이를 화물 공간 우측의 우측추가공간에 배열한 트렁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좌측추가공간은 좌측 휠 하우스의 뒤쪽으로 이어진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추가공간은 우측 휠 하우스의 뒤쪽으로 이어진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과 상기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의 각각은 상기 수납함을 형성한 일체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체화 구조는 상기 내부공간을 소물 트레이 공간으로 형성해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좌측 휠 하우스와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은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으로 덧대어지고, 상기 우측 휠 하우스와 상기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은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으로 덧대어지며, 상기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과 상기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각각은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을 형성한 일체화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수납 장비가 수용되고, 상기 수납 장비는 잭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추가공간과 상기 우측추가공간의 사이로 러기지 트레이가 위치되고, 상기 러기지 트레이는 상기 소물 트레이에 수납되어 화물을 가린 상기 카고 스크린을 덮어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카고 스크린 유닛은 카고 스크린의 소물 트레이 수납에 측면 셔터 수납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휠 하우스 뒤쪽 공간에 적용된 소물 트레이 공간을 활용하여 공구 및 잭이 수납된 상태에서 카고 스크린 장착이 가능하다. 둘째, 소물 트레이 상단부위의 수납커버 탈거시 공구 및 잭을 탈거 할 수 있음은 물론 카고 스크린도 탈고 가능한 구조가 구현된다. 셋째, 소물 트레이 상부에서 러기지 사이드 트림 부위에 있는 수납커버는 카고 스크린 수납하지 않을 경우(즉, 카고 스크린 분리) 홀을 통해 차체가 보이는 것을 막아 준다. 넷째, 카고 스크린을 수납하는 소물 트레이의 상부 공간에 대한 외관품질저하를 방지하면서 구조 변경이 필요 없어 공구 및 잭 수납을 위한 수납입구사이즈 축소와 같은 구조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섯째, 소물 트레이에 대한 잭 및 공구 수납 후 러기지 사이드 트림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러기지 사이드 트림 표면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작업자의 과도한 취급주의에 따른 불량 해소로 상품성 저하가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고 스크린과 소물 트레이가 조립된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의 조립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물 트레이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물 트레이를 구성하는 수납함과 수납커버 및 러기지 사이드 월에 적용된 후크 결합 구조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상세 구조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사이드 월과 수납셔터의 분리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이동되는 수납셔터가 러기지 사이드 월에 조립된 상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사이드 월과 수납셔터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이 적용된 차량의 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이 적용된 차량에서 카고 스크린의 수납 절차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이 적용된 차량에서 공구 및 잭 사용 절차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물 트레이의 수납함을 대체한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과 함께 수납커버와 러기지 사이드 월 및 수납셔터를 대체한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예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과 러기지 사이드 트림을 이용하여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이 차량 트렁크에 형성되는 상태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상부공간의 활용성을 높여 주도록 카고 스크린 미 사용시 러기지 트레이가 사용된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카고 스크린 유닛(1)은 화물을 가려주는 카고 스크린(10), 수납 장비(7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카고 스크린(10)의 좌우 양쪽부위를 수납하는 소물 트레이(20)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카고 스크린(10)은 카고 스크린 폭이 시트 폭(즉, 후방시트 열) 보다 크게 형성되고(도 8 참조), 소물 트레이(20)를 이용해 좌우 양쪽 부위가 수납되어 사용 상태로 전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카고 스크린(10)은 커버시트(11), 롤러 어셈블리(13), 롤러 바(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시트(11)는 트렁크 내부에 적재된 수화물의 외부 노출을 차단시켜준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13)는 커버 시트(11)를 둥글게 말아 권취한 상태로 보관하면서 커버 시트(11)를 잡아 당겨 펼쳐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러 바(15)는 좌우 양쪽 끝부위로 롤러 바 엔드(15-1)를 형성하여 소물 트레이(20)로 수납됨으로써 사용시 커버 시트(11)가 펼침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카고 스크린(10)은 통상적인 카고 스크린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롤러 바(15)는 롤러 바 엔드(15-1)가 소물 트레이(20)와 연계되므로 그 형상이 소물 트레이(20)의 구조에 맞춰 변형될 수 있는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물 트레이(20)는 수납 장비(70)가 수용되는 수납함(30), 수납함(30)의 상부를 가려주는 수납커버(40), 수납함(30)의 측면을 가려주는 러기지 사이드 월(50) 및 수납함(30)의 측면을 일부 개방시켜 주는 수납셔터(6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납함(30)은 트렁크 외벽을 이루는 차체트림패널(즉, 도 8의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에 용접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50)은 휠하우스 부위로 덧대진 러기지 트림패널(즉, 도 8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물 트레이(20)는 롤러 바 엔드(15-1)로 롤러 바(15)의 좌우 양쪽 끝부위를 수납하도록 휠 하우스 뒤쪽 공간(도 8 참조)에 놓임으로써 좌측 소물 트레이(20-1)와 우측 소물 트레이(20-2)로 구분되어 쌍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좌측 소물 트레이(20-1)와 상기 우측 소물 트레이(20-2)의 각각은 수납함(30)과 수납커버(40) 및 러기지 사이드 월(50)과 수납셔터(60)를 동일한 구성요소로 함으로써 좌측 소물 트레이(20-1)와 우측 소물 트레이(20-2)는 소물 트레이(20)가 놓이는 위치로 구분되는 명칭일 뿐이다.
일례로 상기 수납 장비(70)는 드라이버와 니플 등과 같은 공구(70-1), 차체를 들어 올리는 소형 리프터로 작용하는 잭(70-2), 잭(70-2)을 수납하고 공구(70-1)용 공구함을 끝으로 묶어 줄 수 있는 홀더(70-3)로 구성된다.
한편 도 2와 도 3은 소물 트레이(20)를 구성하는 수납함(30)과 수납커버(40) 및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조립 및 분리를 위한 클램프 구성을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소물 트레이(20)는 수납함(30)에 대해 그 상부로 수납커버(40)가 클램프 결합되고 그 측면으로 러기지 사이드 월(50)이 클램프 결합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소물 트레이(20)는 조립 상태에서 수납커버(40)와 러기지 사이드 월(50)로 수납함(30)의 내부 공간이 가려진다.
특히 상기 수납커버(40)는 그립 부재(43)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 부재(43)는 손가락을 이용한 당김 또는 젖힘으로 클램프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수납 장비(70)를 구성하는 공구(70-1)와 잭(70-2) 및 홀더(70-3)가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개방공간을 수납함(30)의 위쪽에 형성시켜 준다. 반면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50)은 수납셔터(60)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셔터(60)는 손가락을 이용한 내림으로 롤러 바(15)의 롤러 바 엔드(15-1)가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개방공간을 수납함(30)의 측면에 형성시켜 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물 트레이(20)의 조립 및 분리를 위한 클램프 구성은 수납함(30)과 수납커버(40)의 수납커버 클램프(41), 수납함(30)과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러기지 사이드 클램프(51)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수납커버 클램프(41)는 커버 후크(41-1)와 커버 인서트(41-2)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 후크(41-1)는 수납함(30)의 후크 홈(35)과 수납커버(40)의 커버 픽서(41a)로 이루어지고, 수납커버(40)의 한쪽면에서 수납함(30)의 상부 테두리쪽으로 위치된다. 상기 커버 인서트(41-2)는 수납함(30)의 보스 홈(36)과 수납커버(40)의 커버 보스(41b)로 이루어지고, 수납커버(40)의 한쪽 측면에서 수납함(30)의 상부 측면쪽으로 위치된다.
특히 상기 커버 픽서(41a)는 탄성 리브(Elastic Rib) 타입 후크 구조 또는 훼스너(Fastener) 구조이고, 상기 커버 보스(41b)는 판 리브(Flat Rib) 타입 돌기 구조이다. 이 경우 상기 커버 보스(41b)는 수납커버(40)의 유연한 재질 특성에 따른 어느 정도의 휘어짐을 이용함으로써 수납커버(40)의 분리와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수납커버 클램프(41)는 커버 후크(41-1)로 수납함(30)에 대한 수납커버(40)의 결합력을 충분하게 유지하므로 커버 인서트(41-2)를 삭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러기지 사이드 클램프(51)는 러기지 사이드 후크(51-1)와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51-2)로 구성된다. 상기 러기지 사이드 후크(51-1)는 수납함(30)의 후크 홈(35)과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월 픽서(50a)로 이루어지고,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측면에서 수납함(30)의 측면을 향해 위치된다. 상기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51-2)는 수납함(30)의 보스 홈(36)과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월 보스(50b)로 이루어지고,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측면에서 수납함(30)의 측면을 향해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러기지 사이드 후크(51-1)와 상기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5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쌍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월 픽서(50a)는 탄성 리브(Elastic Rib) 타입 후크 구조 또는 훼스너(Fastener) 구조이고, 상기 월 보스(50b)는 판 리브(Flat Rib) 타입 돌기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러기지 사이드 클램프(51)는 러기지 사이드 후크(51-1)로 수납함(30)에 대한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결합력을 충분하게 유지하므로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51-2)를 삭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러기지 사이드 클램프(51)는 스크류 조립 또는 융착으로 수납함(30)과 조립 가능하며, 이 경우 수납함(30)의 후크 홈(35)과 보스 홈(36) 및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월 픽서(50a)와 월 보스(50b)는 요구되지 않는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상기 수납함(30)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50) 및 상기 수납셔터(60)의 각각에 대한 상세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함(30)은 수납 하우징(31)과 수납 프레임(32), 커버 포지셔너(33), 후크 홈(35), 보스 홈(36) 및 카고 스크린 홀더(37)를 구성요소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 하우징(31)은 수납함(30)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얇은 판 형상의 패널로 사출 성형되고, 사출 성형시 수납 프레임(32)과 커버 포지셔너(33), 후크 홈(35), 보스 홈(36) 및 카고 스크린 홀더(37)를 함께 형성함으로서 수납함(30)이 일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수납 하우징(31)은 수납 프레임(32)의 어퍼 프레임(32-1)쪽으로 보스 홈(36)이 천공됨으로써 커버 인서트(41-2)를 구성하는 수납커버(40)의 커버 보스(41b)가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 프레임(32)은 수납 하우징(31)의 측면에서 수납함(3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두리로 이루어져 수납 장비(70)를 수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 프레임(32)은 수납커버(40)의 탈장착을 위한 어퍼 프레임(32-1),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탈장착을 위한 사이드 프레임(32-2) 및 로어 프레임(32-3)으로 구분된다.
일례로 상기 어퍼 프레임(32-1)은 “”자 형상의 테두리로 이루어져 수납 프레임(32)의 사각 테두리 중 돌출된 상부측 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수납 장비(7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만들어 주면서 수납커버(40)의 한쪽 끝부위가 끼워지도록 “”자 형상의 절곡 부위로 커버 포지셔너(33)와 간격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어퍼 프레임(32-1)에는 커버 포지셔너(33)와 간격을 형성하는 “”자 형상의 절곡 부위로 후크 홈(35)이 천공됨으로써 수납커버 클램프(41)를 구성하는 커버 후크(41-1)가 끼워진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32-2)은 수납 프레임(32)의 사각 테두리 중 좌우측 테두리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사이드 프레임(32-2)에는 후크 홈(35)과 보스 홈(36)이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천공됨으로써 러기지 사이드 후크(51-1)와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51-2)의 각각을 구성하는 월 픽서(50a)와 월 보스(50b)가 끼워진다. 상기 로어 프레임(32-3)은 수납 프레임(32)의 사각 테두리 중 돌출된 하부측 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수납 장비(7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만들어 준다. 특히 상기 로어 프레임(32-3)에는 필요에 따라 후크 홈(35)이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천공됨으로써 수납함(30)과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끼움결합구조로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하부 고정 상태를 강화시켜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포지셔너(33)는 어퍼 프레임(32-1)의 “”자 형상 측면부와 간격을 두고 돌출된 형상으로 수납 하우징(3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수납함(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커버(40)의 좌우 부위 중 한쪽 부위(즉, 도 4에서 우측 부위)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고 스크린 홀더(37)는 어퍼 프레임(32-1)의 “”자 형상 전면부(즉, 커버 포지셔너(33)의 반대쪽 부위)에서 함몰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함몰 홈은 카고 스크린(10)의 롤러 바(15)에 형성된 롤러 바 엔드(15-1)를 끼워줌으로써 카고 스크린(10)이 커버시트(11)를 펼쳐 화물을 가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함몰 홈의 형상은 롤러 바 엔드(15-1)의 형상에 맞춰 사각형상으로 예시되나 롤러 바 엔드(15-1)의 다양한 형상 변경시 그에 맞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고 스크린 홀더(37)는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37-1)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37-1)은 사각형상의 함몰 홈 대신 어퍼 프레임(32-1)의 “”자 형상 전면부를 따르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레일 홈 구조로 전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 프레임(32-1)은 그 폭을 확장하는 어퍼 확장 프레임(32-1a)을 더 형성함으로써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37-1)이 형성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그러므로 상기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37-1)은 롤러 바 엔드(15-1)의 수납 위치를 카고 스크린 홀더(37)의 위치보다 후방위치(즉, 커버 포지셔너(33)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후방위치이동은 카고 스크린(10) 사용시 커버시트(11)의 펼침 크기를 더 크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화물이 가려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50)과 상기 수납셔터(60)는 별개로 제작된 후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50)은 월 바디(52)와 수납셔터 창(53), 수납셔터 가이드(54) 및 리브(57)로 이루어지고, 러기지 사이드 클램프(51)의 러기지 사이드 후크(51-1)와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51-2)를 구성하는 월 픽서(50a)와 월 보스(50b)가 월 바디(52)의 한쪽 면(즉, 수납함(30)을 향하는 면)으로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월 바디(52)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지고, 수납셔터 창(53)을 제외한 상부 부위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절곡된 월 플랜지(52-1)가 돌출된다. 상기 수납셔터 창(53)은 월 바디(52)의 상부부위를 소정 크기로 잘라낸 절개 구조의 “U”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셔터 가이드(54)는 월 바디(52)의 한쪽 면(즉, 수납함(30)을 향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수납셔터 창(53)의 좌우측으로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납셔터 가이드(54)는 수납셔터 창(53)의 좌측에 위치된 좌측 수납셔터 가이드(54-1)와 수납셔터 창(53)의 우측에 위치된 우측 수납셔터 가이드(54-2)로 구분된다. 상기 가이드 채널(55)은 좌측 수납셔터 가이드(54-1)와 우측 수납셔터 가이드(54-2)의 각각에 홈으로 파여져 수납셔터(60)가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57)는 월 바디(52)의 한쪽 면(즉, 수납함(30)을 향하는 면)에서 격자구조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강성을 보강하여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셔터(60)는 카고 스크린(10)의 롤러 바(15)에 형성된 롤러 바 엔드(15-1)가 카고 스크린 홀더(37) 또는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37-1)에 끼워지는 입구통로로 작용함으로써 카고 스크린(10)을 수납할 경우 수납셔터 창(53)이 열려지도록 밑으로 내려가고 반면 카고 스크린을 수납하지 않을 경우 수납셔터 창(53)이 닫히도록 위로 올라온다.
일례로 상기 수납셔터(60)는 셔터 바디(61)와 가이드 플랜지(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셔터 바디(61)는 수납셔터 창(53)의 크기와 형상에 맞춰진 소정 두께의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의 한쪽면으로 사이드 플랜지(61-1)가 돌출됨으로써 수납셔터(60)가 수납셔터 가이드(54)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플랜지(63)는 셔터 바디(61)의 좌우 측면에서 셔터 바디(61)의 길이로 돌출되어 수납셔터 가이드(54)의 좌,우측 수납셔터 가이드(54-1,54-2)에 끼워짐으로써 수납셔터(60)의 상하 이동(즉, 수납셔터 창(53)의 열림 및 닫힘)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준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셔터 가이드(54)와 상기 가이드 플랜지(63)의 결합구조가 예시된다. 이 경우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50) 또는 상기 수납셔터(60)의 유연한 재질 특성에 따른 어느 정도의 휘어짐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결합구조로 조립됨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셔터(60)의 가이드 플랜지(63)는 좌측 수납셔터 가이드(54-1)와 우측 수납셔터 가이드(54-2)의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 채널(55)로 끼워진다. 특히 상기 수납셔터(60)의 사이드 플랜지(61-1)는 셔터 바디(61)와 “L" 형상을 이루어 좌측 수납셔터 가이드(54-1)와 우측 수납셔터 가이드(54-2)의 각각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수납셔터(60)의 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셔터(60)는 외부에서 눌러주는 힘(도 6의 화살표 방향 참조)이 가해진 경우 가이드 플랜지(63)가 가이드 채널(55)을 따라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열림 위치로 수납함(30)의 내부공간을 외부에 개방시켜 준다. 반면 상기 수납셔터(60)는 외부에서 올려주는 힘(도 6의 화살표 반대 방향 참조)이 가해진 경우 가이드 플랜지(63)가 가이드 채널(55)을 따라 위로 올라감으로써 닫힘 위치로 수납함(30)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시켜 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채널(55)은 걸림턱(55a)과 경사턱(55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63)에는 하강위치 홈(63a)과 경사면 엔드(63b)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걸림턱(55a)은 가이드 채널(55)의 상단 끝부위를 형성하는 반면 상기 경사턱(55b)은 가이드 채널(55)의 하단 끝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수납셔터 창(53)에 조립된 수납셔터(60)를 닫힘 위치로 고정시켜 준다.
또한 상기 하강위치 홈(63a)은 가이드 플랜지(63)의 상단 근접부위에서 절개 홈으로 형성됨으로써 열림 위치에서 수납셔터(6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를 위해 이 경우 상기 하강위치 홈(63a)의 형상은 상기 경사턱(55b)의 형상과 요철구조(凹凸)를 이루어 맞물려짐으로써 수납셔터(60)의 하향이동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경사면 엔드(63b)는 가이드 플랜지(63)의 하단 끝부위에서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닫힘 위치에서 수납셔터(60)의 마찰력을 줄여 수납셔터(60)가 작은 누름력 만으로도 열림 위치로 내려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상기 경사턱(55b)과 상기 경사면 엔드(63b)는 예각으로 형성되고, 특히 45°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카고 스크린 유닛(1)이 적용된 차량(1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100)은 차량 후방에서 화물이 탑재되는 트렁크(100-1)에 카고 스크린 유닛(1)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고 스크린 유닛(1)은 카고 스크린(10)과 좌,우측 소물 트레이(20-1,20-2)를 한 쌍으로 하는 소물 트레이(20)로 구성됨으로써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기술된 카고 스크린 유닛(1)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카고 스크린(10)은 차량 실내에 구비된 후방 시트의 폭 사이즈(Wa)보다 큰 폭 사이즈(Wb)로 형성됨으로써 트렁크(100-1)의 폭 사이즈에 맞춰진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렁크(100-1)는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과 이에 이어진 휠 하우스(120)로 트렁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과 사익 휠 하우스(120)의 측면이 트렁크 공간에서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으로 가려진다.
일례로 상기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은 뒤쪽방향(즉, 후방시트 반대방향의 후방도어 방향)으로 좌,우측 소물 트레이(20-1,20-2)가 각각 놓이는 추가 공간을 형성하고, 트렁크(100-1)의 좌우측 벽을 이루는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과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2)로 구분된다,
일례로 상기 휠 하우스(120)는 앞쪽방향(즉, 후방시트 방향)에서 트렁크 공간으로 돌출되어 추가 공간을 구획하여 주고, 트렁크(100-1)의 좌우측 벽을 이루는 좌측 휠 하우스(120-1)와 우측 휠 하우스(120-2)로 구분된다,
일례로 상기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은 트렁크 공간에서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과 좌측 휠 하우스(120-1)의 측면부위로 용접 또는 리벳 결합되는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1),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2)과 우측 휠 하우스(120-2)의 각각으로 의 측면부위로 용접 또는 리벳 결합되는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2)으로 구분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트렁크(100-1)에서 카고 스크린(10)이 수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수납함 커버 탈거 작업에서, 트렁크(100-1)의 개방상태에서 수납커버(40)의 그립 부재(43)를 이용해 수납커버(40)를 들어 올려 줌으로써 수납커버 클램프(41)의 커버 후크(41-1)와 커버 인서트(41-2)의 결합이 분리되고, 이어 수납 프레임(32)의 어퍼 프레임(32-1)과 커버 포지셔너(33) 사이 간격에 끼워진 수납커버(40)를 빼내줌으로써 수납커버(40)가 수납함(30)과 분리된다. 이 경우 커버 인서트(41-2)의 커버 보스(41b)는 수납커버(40)의 유연한 재질 특성에 따른 어느 정도의 휘어짐을 이용함으로써 수납함(30)과 수납커버(40)의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스크린 커버 하향 작업에서,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수납셔터 창(53)에 조립된 수납셔터(60)를 밑으로 눌러줌으로써 수납셔터(60)의 가이드 플랜지(63)가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가이드 채널(55)을 따라 밑으로 내려간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채널(55)의 경사턱(55b)과 상기 가이드 플랜지(63)의 경사면 엔드(63b)의 면접촉 상태가 수납셔터(60)를 밑으로 눌러주는 누름력으로 어긋남으로써 수납셔터(60)가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어 상기 수납셔터(60)를 더욱 밑으로 눌러줌으로써 가이드 플랜지(63)의 하강위치 홈(63a)이 가이드 채널(55)의 경사턱(55b)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수납셔터(60)는 경사턱(55b)과 하강위치 홈(63a)의 요철구조(凹凸) 맞물림으로 누름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 고정됨으로써 러기지 사이드 월(50)의 수납셔터 창(53)이 열려진 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 수납함(30)의 어퍼 프레임(32-1)에 형성된 카고 스크린 홀더(37)의 함몰 홈 또는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37-1)의 레일 홈이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스크린 수납 작업에서, 카고 스크린(10)을 수납함(30)의 개방 공간으로 위치시킨 후 롤러 바(15)의 롤러 바 엔드(15-1)를 카고 스크린 홀더(37)의 함몰 홈 또는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37-1)의 레일 홈에 끼워준다. 이러한 작업은 좌측 소물 트레이(20-1)와 우측 소물 트레이(20-1)의 각각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면 카고 스크린(10)은 소물 트레이(20)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수납함 커버 장착 작업에서, 수납커버(40)의 한쪽 끕부위를 수납 프레임(32)의 어퍼 프레임(32-1)과 커버 포지셔너(33) 사이 간격으로 끼우고, 이어 수납커버(40)를 밑으로 눌러줌으로써 커버 후크(41-1)의 커버 픽서(41a)가 수납함(30)의 후크 홈(35)에 끼워지고 더불어 커버 인서트(41-2)의 커버 보스(41b)가 수납함(30)의 보스 홈(36)에 끼워진다. 이 경우 상기 커버 보스(41b)는 수납커버(40)의 유연한 재질 특성에 따른 어느 정도의 휘어짐을 이용함으로써 보스 홈(36)에 대한 커버 보스(41b)의 끼워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카고 스크린(10)은 롤러 바 엔드(15-1)가 소물 트레이(20)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커버(40)로 가려짐으로써 외부 노출로 인한 미관 저하가 발생되지 않은 깔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 카고 스크린(10)의 커버시트(11)를 잡아 당겨 롤러 어셈블리(13)로부터 펼쳐 트렁크(100-1)에 적재된 화물을 가려주고, 커버 시트(11)의 고리 또는 홈 부위를 트렁크(100-1)의 패널 돌기에 걸거나 또는 패널 홈에 끼워 고정 상태로 전환시켜 준다.
반면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100)의 트렁크(100-1)에서 수납 장비(70)가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수납 장비(70)의 사용을 위한 수납함 커버 탈거 작업은 도 9의 커버 스크린(10)의 사용을 위한 수납함 커버 탈거 작업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 공구 탈거 작업에서, 홀더(70-3)와 끈으로 묶여 있는 공구(70-1)를 제거한다. 계속해서 잭 탈거 작업에서, 홀더(70-3)로부터 잭(70-2)을 꺼내준다. 이와 같이 공구(70-1)나 잭(70-2)의 탈거 작업도 수납 장비(70)의 외부 노출을 차단해 주는 수납 커버(40)의 탈거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은 카고 스크린 유닛(1)이 차량(100)의 패널을 이용하여 일체화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을 참조하면, 상기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은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과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2)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과 상기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2)의 각각은 좌측 휠 하우스(120-1)와 우측 휠 하우스(120-2)의 뒤쪽부위를 좌측 추가공간과 우측 추가공간으로 하고, 상기 좌우측 추가공간의 각각은 소물 트레이(20)를 구성하는 수납함(30)의 수납 하우징(31)과 수납 프레임(32)이 형성한 내부공간을 대체하는 소물 트레이 공간(110A)을 형성한다. 그 결과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과 상기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2)의 각각은 수납함(30)과 일체화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과 상기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2)의 각각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납함(30)의 커버 포지셔너(33)와 후크 홈(35), 보스 홈(36) 및 카고 스크린 홀더(37) 또는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37-1)도 성형 제조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을 참조하면, 상기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은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1)과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2)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1)과 상기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2)의 각각은 소물 트레이(20)를 구성하는 러기지 사이드 월(50)과 일체화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1)과 상기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2)의 각각은 수납커버(40)와 수납셔터(60)의 결합 구조와 함께 러기지 사이드 후크(51-1)의 월 픽서(50a)와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51-2)의 월 보스(50b)도 성형 제조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납 장비(70)는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의 소물 트레이 공간(110A)에 놓여진다. 그러면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1)이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과 좌측 휠 하우스(120-1)의 측면부위로 덧대어져 용접되거나 또는 러기지 사이드 후크(51-1)의 월 픽서(50a)와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51-2)의 월 보스(50b)를 이용한 클램프 결합된다. 그 결과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은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과 좌측 휠 하우스(120-1)를 가려 깨끗한 미관을 유지한다.
특히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에는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의 소물 트레이 공간(110A)으로 수납커버(40)와 수납셔터(60)가 위치된다. 그러므로 카고 스크린(10)은 수납커버(40)의 탈거와 수납셔터(60)의 내림을 통해 소물 트레이 공간(110A)으로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2)에 대한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2)의 작업 공정도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에 대한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1)의 작업 공정과 동일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카고 스크린(10)과 러기지 트레이(150)의 활용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스크린(10)의 좌우측 끝단부위는 좌,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110-1,110-2)의 소물 트레이 공간(110A)으로 수납되어 좌,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130-1,130-2)으로 롤러 바 엔드(15-1)가 가려지고 동시에 러기지 트레이(150)로 펼쳐진 커버 시트(11)가 가려진다. 그러므로 트렁크(100-1)는 카고 스크린(10)을 덮어주는 러기지 트레이(150)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트렁크 상부 공간(즉, 후방시트 방향)에 대한 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트렁크(100-1)에 적용된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1)은 시트 커버(11)를 갖춘 카고 스크린(10)의 끝부분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수납함(30), 상기 수납함(30)의 상부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을 가려주는 수납커버(40), 상기 수납함(30)의 측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을 가려주는 러기지 사이드 월(50),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50)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열고 닫는 상하이동 셔터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셔터(60)로 구성된 소물 트레이(20)가 포함된다.
이로부터 상기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1)은 카고 스크린(10)의 폭 크기로 인해 발생되던 수납부위 외부노출 방지로 미관 저하 없이 러기지 트레이(150)의 활용에 따른 트렁크(100-1)의 공간 활용도롤 높이고, 특히 카고 스크린 수납을 위한 러기지 사이드 트림 해체 및 수납함 입구 사이즈 축소가 필요 없으면서 소물 트레이 측면을 따른 카고 스크린의 수납위치 이동으로 카고 스크린을 수화물 크기에 맞춘 조절도 가능하다. 즉, 상기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1)은 기존구조대비 카고 스크린(10)의 폭 크기 제한과 러기지 사이드 트림 해체 및 수납함 입구 사이즈 축소 등과 같은 단점이 모두 해소되면서 수화물 크기에 맞춘 카고 스크린의 수납위치 이동 및 러기지 트레이(150) 사용시 카고 스크린(10)의 수납부위 외부노출 방지로 트렁크(100-1)의 공간 활용도롤 높이는 장점을 갖는다.
1 : 카고 스크린 유닛
10 : 카고 스크린 11 : 커버시트
13 : 롤러 어셈블리 15 : 롤러 바
15-1 : 롤러 바 엔드
20 : 소물 트레이 20-1,20-2 : 좌,우측 소물 트레이
30 : 수납함 31 : 수납 하우징
32 : 수납 프레임 32-1 : 어퍼 프레임
32-1a : 어퍼 확장 프레임 32-2 : 사이드 프레임
32-3 : 로어 프레임 33 : 커버 포지셔너
35 : 후크 홈 36 : 보스 홈
37 : 카고 스크린 홀더 37-1 : 카고 스크린 홀더 레일
40 : 수납커버 41 : 수납커버 클램프
41-1 : 커버 후크 41-2 : 커버 인서트
41a : 커버 픽서 41b : 커버 보스
43 : 그립 부재
50 : 러기지 사이드 월 51 : 러기지 사이드 클램프
51-1 : 러기지 사이드 후크 51-2 : 러기지 사이드 포지셔너
50a : 월 픽서 50b : 월 보스
52 : 월 바디 52-1 : 월 플랜지
53 : 수납셔터 창 54 : 수납셔터 가이드
54-1,54-2 : 좌,우측 수납셔터 가이드
55 : 가이드 채널 55a : 걸림턱
55b : 경사턱 57 : 리브
60 : 수납셔터 61 : 셔터 바디
61-1 : 사이드 플랜지 63 : 가이드 플랜지
63a : 하강위치 홈 63b : 경사면 엔드
70 : 수납 장비 70-1 : 공구
70-2 : 잭 70-3 : 홀더
100 : 차량 100-1 : 트렁크
110 :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
110-1,110-2 : 좌,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
110A : 소물 트레이 공간
120 : 휠 하우스 120-1,120-2 : 좌,우측 휠 하우스
130 : 러기지 사이드 트림
130-1,130-2 : 좌,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
150 : 러기지 트레이

Claims (19)

  1. 화물을 가리도록 말려진 권취 상태에서 펼쳐지는 시트 커버를 구비한 카고 스크린;
    상기 카고 스크린의 끝부분을 수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향이동으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연통되는 반면 상향이동으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차단되는 수납셔터를 구비한 소물 트레이;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물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을 가리도록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납커버,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을 가리도록 상기 수납함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셔터가 결합되는 절개된 수납셔터 창을 갖춘 러기지 사이드 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과 상기 수납셔터의 결합 구조는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의 가이드 채널과 상기 수납셔터의 가이드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은 상기 수납셔터 창으로 구비된 수납셔터 가이드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셔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납셔터 창의 좌우측 테두리 부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은 경사턱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경사면 엔드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턱과 상기 경사면 엔드는 상기 상향이동 후 상기 수납셔터를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외부공간의 차단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하강위치 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하강위치 홈은 상기 경사턱과 맞물려 상기 하향이동 후 상기 수납셔터를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연통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과 상기 수납커버는 커버 후크로 탈장착되고, 상기 커버 후크는 상기 수납함의 후크 홈과 상기 수납커버의 커버 픽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은 러기지 사이드 후크로 탈장착되고, 상기 러기지 사이드 후크는 상기 수납함의 후크 홈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의 월 픽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커버는 그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 부재는 상기 수납함에서 상기 수납커버가 탈거되도록 상기 수납커버를 잡아 당겨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함몰 홈으로 형성된 카고 스크린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카고 스크린 홀더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수납 장비의 위쪽부위에서 상기 카고 스크린의 끝부분을 끼워 상기 카고 스크린을 고정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카고 스크린 레일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카고 스크린 레일 홀더는 상기 카고 스크린의 끝부분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카고 스크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고 스크린 레일 홀더는 상기 소물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레일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스크린 유닛.
  13. 카고 스크린의 끝부위 수납을 위한 내부공간으로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상부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을 가려주는 수납커버, 상기 수납함의 측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을 가려주는 러기지 사이드 월,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열고 닫는 상하이동 셔터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셔터로 구성된 소물 트레이;
    상기 소물 트레이를 좌측 소물 트레이와 우측 소물 트레이의 한 쌍으로 하고, 상기 좌측 소물 트레이를 화물 공간 좌측의 좌측추가공간으로 상기 우측 소물 트레이를 화물 공간 우측의 우측추가공간에 배열한 트렁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좌측추가공간은 좌측 휠 하우스의 뒤쪽으로 이어진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추가공간은 우측 휠 하우스의 뒤쪽으로 이어진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과 상기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의 각각은 상기 수납함을 형성한 일체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체화 구조는 상기 내부공간을 소물 트레이 공간으로 형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좌측 휠 하우스와 상기 좌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은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으로 덧대어지고, 상기 우측 휠 하우스와 상기 우측 차체 아우터 트림패널은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으로 덧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좌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과 상기 우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각각은 상기 러기지 사이드 월을 형성한 일체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수납 장비가 수용되고, 상기 수납 장비는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좌측추가공간과 상기 우측추가공간의 사이로 러기지 트레이가 위치되고, 상기 러기지 트레이는 상기 소물 트레이에 수납되어 화물을 가린 상기 카고 스크린을 덮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80142841A 2018-11-19 2018-11-19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 KR10263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41A KR102634395B1 (ko) 2018-11-19 2018-11-19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
US16/452,098 US10974654B2 (en) 2018-11-19 2019-06-25 Side shutter receiving type cargo screen unit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41A KR102634395B1 (ko) 2018-11-19 2018-11-19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663A true KR20200058663A (ko) 2020-05-28
KR102634395B1 KR102634395B1 (ko) 2024-02-07

Family

ID=7072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841A KR102634395B1 (ko) 2018-11-19 2018-11-19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74654B2 (ko)
KR (1) KR102634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501A (ko) 2020-06-10 2021-12-17 킹스타라이팅 주식회사 코로나-19-프리존 확보를 위한 광 살균 통합방역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60735A (ja) * 2021-04-07 2022-10-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荷室構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692U (ko) * 1995-10-19 1997-05-23 차량용 트렁크 사이드 커버의 취부구조
KR20100069334A (ko) 2008-12-16 2010-06-24 케이. 에이. 이 (주)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2012020679A (ja) * 2010-07-15 2012-02-02 Hayashi Telempu Co Ltd 自動車用荷室仕切装置、及び、自動車用荷室照明装置
KR200477369Y1 (ko) * 2013-12-26 2015-06-09 한일이화 주식회사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차량용 사이드트림
KR102083644B1 (ko) * 2018-10-08 2020-03-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러기지 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9105A (en) * 1997-07-11 2000-03-21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Compressible pocket for cargo shade attachment
DE19736170C1 (de) * 1997-08-20 1999-04-29 Baumeister & Ostler Gmbh Co Abdeckrollo mit Hebelmechanik
US6213186B1 (en) * 1999-05-27 2001-04-10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Unitary cassette assembly with integral package tray
DE10307228A1 (de) * 2003-02-14 2004-09-09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US7644972B2 (en) * 2008-01-31 2010-01-12 Chrysler Group Llc Grocery bag holder integrated with a Tonneau cover feature
KR101198836B1 (ko) 2010-07-19 2012-11-07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US8596703B2 (en) * 2011-12-08 2013-12-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rod ends for liftgate mounted cargo sha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692U (ko) * 1995-10-19 1997-05-23 차량용 트렁크 사이드 커버의 취부구조
KR20100069334A (ko) 2008-12-16 2010-06-24 케이. 에이. 이 (주)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2012020679A (ja) * 2010-07-15 2012-02-02 Hayashi Telempu Co Ltd 自動車用荷室仕切装置、及び、自動車用荷室照明装置
KR200477369Y1 (ko) * 2013-12-26 2015-06-09 한일이화 주식회사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차량용 사이드트림
KR102083644B1 (ko) * 2018-10-08 2020-03-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러기지 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501A (ko) 2020-06-10 2021-12-17 킹스타라이팅 주식회사 코로나-19-프리존 확보를 위한 광 살균 통합방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56550A1 (en) 2020-05-21
KR102634395B1 (ko) 2024-02-07
US10974654B2 (en)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7071B1 (en) Foldable tonneau cover for pick-up truck and clamp storage mechanism thereof
KR20200058663A (ko)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
JP6335245B2 (ja) 部材の組立構造および部材の組立方法
EP1066998A2 (en) Removable sliding window for skid steer loader cab
JPH08144637A (ja) 内装用枠付き扉およびその枠体と扉のずれ止め用ラッチ受け具
US4993771A (en) Truck trunk device
KR100636988B1 (ko) 미닫이문
JP7184331B2 (ja) 止水パネルの取付け装置
JPH0565027A (ja) サンルーフのフレーム構造
JP2907669B2 (ja) スクリ−ン取り付け用ブラケット
JP2000282764A (ja) 戸袋構造及び戸袋の組立方法
JP4844545B2 (ja) 開き戸
JP3973449B2 (ja) 内装パネルシステム
JP2003264910A (ja) 制御盤の背面カバー構造
KR20190061349A (ko) 시스템 선반
JP7385211B2 (ja) 建具
JP3934962B2 (ja) 遊技機
JP7360940B2 (ja) 網戸取付構造及び網戸取付方法
KR101236389B1 (ko) 냉장고
JP4155518B2 (ja) シャッタカーテンのパネル構造
US20210049941A1 (en) Method for mounting a flexible covering stretched over a securing frame, and securing frame for carrying out such a method
JP4668386B2 (ja) 郵便受け箱
KR20210147272A (ko) 냉장고의 도어
JPH08209823A (ja) 間仕切パネルの配線装置
KR101734248B1 (ko)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