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174A -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 Google Patents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174A
KR20200057174A KR1020180141140A KR20180141140A KR20200057174A KR 20200057174 A KR20200057174 A KR 20200057174A KR 1020180141140 A KR1020180141140 A KR 1020180141140A KR 20180141140 A KR20180141140 A KR 20180141140A KR 20200057174 A KR20200057174 A KR 20200057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ank
insulating
insulating panel
low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505B1 (ko
Inventor
시종민
Original Assignee
강림인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림인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림인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5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025/087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omprising self-contained tanks installed in the ship structure as separa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B63B27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17C2203/0333Polyureth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45Fibres
    • F17C2203/035Glass w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는, 저온탱크의 외벽에 설치되는 단열장치에 있어서, 양측 단부에 제1 단차부가 형성된 제1 단열판넬; 상기 제1 단열판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양측 단부에 제2 단차부가 형성된 제2 단열판넬; 상기 제1 단열판넬 및 상기 제2 단열판넬을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단열판넬 및 상기 제2 단열판넬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차부 및 제2 단차부에 의해 상기 제1,2 단열판넬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1 요입부, 상기 제1 요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2 요입부라 할 때, 상기 제1 요입부에 발포되어 채워지는 발포 우레탄폼과, 상기 제2 요입부에 채워지는 단열충진재를 포함하는 이격공간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An Insulation device for Independent low temperature tank}
본 발명은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온탱크의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단열장치의 기밀성, 탄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킨 저온탱크용 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또는 LNG 추진용 연료탱크는 독립형 탱크와 멤브레인형 탱크로 나뉜다. 상기 독립형 탱크는 SPB 형(Self-Supporting Prismatic IMO type B)과 모스형(Moss type)으로 분류되고, 멤브레인형은 GTT MARK Ⅲ, GTT NO 96, KC-1 등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화물창 및 연료탱크들은 각각 그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석유가스(LPG) 또는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저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열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저온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 또는 액화천연가스 등의 극저온물이 탱크로부터 누출되는 비상시에는 극저온 액화가스가 선체에 접촉되면 저온취성으로 선체가 파손될 위험이 발생하므로, 멤브레인형 탱크에는 2차 기밀방벽을 두고, 독립형 탱크에는 탱크의 형식 및 액화가스의 온도에 따라 필요시 다양한 2차 기밀 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Type B 형식의 독립형 탱크에서는 상기 단열장치는 상기 극저온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여, 상기 극저온물이 드립 트레이(Drip Tray) 등으로 안정하게 유도되어 수거될 수 있도록 단열장치에 기밀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단열성을 확보하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킨 단열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으며, 독립형 저온 액화가스저장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는 단열판의 연결부분에서는 단열성, 탄성과 더불어, 특히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단열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07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저온탱크의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단열장치의 기밀성, 탄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단열장치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는, 저온탱크의 외벽에 설치되는 단열장치에 있어서, 양측 단부에 제1 단차부가 형성된 제1 단열판넬; 상기 제2 단열판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양측 단부에 제2 단차부가 형성된 제2 단열판넬; 상기 제1 단열판넬 및 상기 제2 단열판넬을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단열판넬 및 상기 제2 단열판넬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차부 및 제2 단차부에 의해 상기 제1,2 단열판넬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1 요입부, 상기 제1 요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2 요입부라 할 때, 상기 제1 요입부에 발포되어 채워지는 발포 우레탄폼과, 상기 제2 요입부에 채워지는 단열충진재를 포함하는 이격공간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단열판넬의 상면은 금속박판으로 된 보호판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단열판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또는 상기 제2 단열판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관통홀에 삽입되는 내저온성 플라스틱 재질의 삽입봉; 상기 삽입봉의 일단부와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삽입봉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단열판넬 또는 상기 제2 단열판넬을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삽입봉의 타단부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기밀재; 상기 기밀재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봉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 우레탄폼은 설치 현장에서 발포되고, 밀도는 30 ~ 50 Kg/㎥ 이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요입부와 상기 제2 요입부의 경계면에는 알루미늄 소재가 포함된 접착성 테이프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충진재는 유리솜(glass wo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요입부의 상면은 알루미늄 소재가 포함된 플렉시블한 접착성 테이프에 의해 커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단열판넬 및 상기 제2 단열판넬은 경질의 폴리우레탄폼 또는 폴리스티렌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단열판넬 및 상기 제2 단열판넬의 하면과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봉의 외주면에는 발포 우레탄폼이 결합되어, 상기 제1,2 관통홀(12,22)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는, 저온탱크의 외벽에 부착 설치되는 단열장치의 기밀성, 탄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단열장치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탱크용 단열장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제1,2 단열판넬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
도3은 도1의 제1,2 요입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의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제1,2 단열판넬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이다. 도3은 도1의 제1,2 요입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도1의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극저온화물 또는 LNG를 저장하는 탱크의 단열을 유지시키기 위한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는, 제1 단열판넬(10), 제2 단열판넬(20), 고정부재(30), 및 이격공간단열부(40)를 포함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열판넬(10)은 저온탱크의 외벽(100)에 설치되어 상기 저온탱크를 단열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양측 단부에 제1 단차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단열판넬(10)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홀(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단열판넬(20)은, 상기 제1 단열판넬(10)과 함께 상기 저온탱크를 단열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제2 단열판넬(20)은 상기 제1 단열판넬(1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 단열판넬(2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단열판넬(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단열판넬(20)의 양측 단부에 제2 단차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열판넬(20)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홀(2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열판넬(10) 및 상기 제2 단열판넬(20)은 경질의 폴리우레탄폼 또는 폴리스티렌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이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서, 저온탱크의 외벽에 결합되는 단열장치의 하중을 경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열판넬(10)과 상기 제2 단열판넬(20)의 하면은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10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외벽(100) 밖으로 저장탱크에 저장된 극저온 내용물이 누출되는 경우, 상기 극저온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극저온 내용물은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과 상기 외벽(100)의 공간을 따라서 드립 트레이(Drip Tray, 미도시)로 유도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제1 단열판넬(10) 및 상기 제2 단열판넬(20)을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는 삽입봉(31), 체결부재(32), 및 가압부재(3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봉(31)은 상기 제1 관통홀(12) 또는 상기 제2 관통홀(22)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봉(31)은 내저온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봉(31)이 내저온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봉(31)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봉(31)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봉(31)의 외주면에는 발포 우레탄 폼이 결합된다. 상기 발포 우레탄 폼에 의해 상기 삽입봉(31)의 외주면과 상기 제1 관통홀(11) 또는 상기 제2 관통홀(22)의 내주면이 완벽하게 씰링되어 단열된다.
상기 체결부재(32)는 상기 삽입봉(31)의 일단부와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100)을 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32)의 일단부는 상기 외벽(100)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봉(310의 일단부에는 상기 체결부재(32)를 체결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재(33)는 상기 삽입봉(31)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단열판넬(10) 또는 상기 제2 단열판넬(20)을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100)으로 가압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33)와 상기 외벽(100) 사이에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이 배치되고, 이때 상기 가압부재(33)가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을 가압하여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의 상기 외벽(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재(33)는 기밀재(331), 가압판(332), 및 고정볼트(333)를 포함한다.
상기 기밀재(331)는 상기 삽입봉(31)의 타단부 상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기밀재(331)는 상기 삽입봉(31) 상측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기밀재(331)에는 상기 고정볼트(333)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기밀재(331)는 상기 제1 관통홀(12) 또는 상기 제2 관통홀(22)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밀재(331)로는 고무판이 사용된다. 상기 기밀재(331)를 대신하여 가압판(332)의 테두리에는 기밀용 실란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332)은 상기 기밀재(331)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332)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볼트(333)는 상기 가압판(332)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봉(331)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삽입봉(331)의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볼트(333)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333)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가압판(332)이 상기 기밀재(33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삽입봉(31)의 상측으로부터 열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격공간단열부(40)는, 상기 제1 단열판넬(10)과 상기 제2 단열판넬(2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때, 그 이격 공간을 단열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1 단열판넬(10)과 상기 제2 단열판넬(20)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면, 상기 제1 단열판넬(10)의 제1 단차부(11)와 상기 제2 단열판넬(20)의 제2 단차부(21)에 의해서 상부에는 넓은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상부보다는 좁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하는 공간 중에서,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1 요입부(41)라 정의하고, 상기 상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2 요입부(42)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요입부(41)에는 발포 우레탄 폼(43)이 발포되어 채워지고, 상기 제2 요입부(42)에는 단열충진재(44)가 채워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은, 제1 요입부(41)에 주입되어 현장에서 신속하게 발포된다.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의 밀도는 30 ~ 50 Kg/㎥ 이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다.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 및 저장탱크의 외벽(100)의 기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을 수반하는데,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팽창 또는 수축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의 사이 공간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의 밀도 값이 50 Kg/㎥ 이상인 경우, 경도가 너무 커지므로 탄성력이 감소되고, 30 Kg/㎥ 보다 작아지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단열충진재(44)는 상기 제2 요입부(42)를 단열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열충진재(44)로는 유리솜(glass wool)이 사용된다. 상기 유리솜은 비교적 수축 또는 팽창이 용이하므로, 상기 저장탱크의 외벽이 기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할 때 함께 팽창 또는 수축하여 상기 제2 요입부(42)를 통하여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는, 보호판(50) 및 접착성 테이프(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판(50)은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의 상면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판(50)은 두께가 0.3mm 내지 0.6mm 정도의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아연도금철판(Galvanized steel sheet)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50)에 의해,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의 외형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상기 보호판(50)에 의해 추가적인 단열 효과가 제공된다.
상기 접착성 테이프(60)는 상기 제1 요입부(41)와 상기 제2 요입부(42)의 경계면을 씰링하고, 또한 상기 제1 요입부(41)의 상면을 플렉시블하게 씰링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성 테이프(60)는 알루미늄 소재가 포함된 플렉시블한 테이프로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상기 제1 요입부(41)와 상기 제2 요입부(42)의 경계면을 씰링할 수 있다. 상기 제2 요입부(42)에 단열충진재(44)를 채워넣고, 상기 접착성 테이프(60)를 이용하여 경계면을 씰링한다. 또한, 상기 제1 요입부(41)의 상면은,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을 채워넣은 후, 상기 접착성 테이프(60)를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의 상면을 덮도록 부착함으로써 씰링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의 작용 내지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극저온 내용물이 저장된 저장탱크의 외벽에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가 설치된다.
먼저,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체결부재(32)를 용접하여 배치시킨다. 그리고, 삽입봉(31)의 타단부를 상기 체결부재(32)와 체결된다. 이어서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의 제1 관통홀(12) 및 제2 관통홀(22)에 상기 체결부재(32)가 끼워넣는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32)의 외주면에는 발포 우레탄 폼(70)이 결합되어 발포됨으로써,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에 삽입될 때, 제1,2 관통홀(12,22)의 사이 공간이 완벽하게 밀봉되게 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32)의 외주면에 우레탄 폼이 발포되기 전의 상태로 도포되고,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의 제1,2 관통홀(12,22)에 상기 체결부재(32)가 삽입되면, 서서히 상기 우레탄 폼이 발포되면서 상기 제1,2 관통홀(12,22)의 내부 공간이 밀봉된다.
이어서, 상기 제1, 2 단열판넬(10,20)은 고정부재(30)에 의해 저온탱크의 외벽(100)으로 가압되면서 고정된다.
이어서, 발포 우레탄 폼(43) 및 단열충진재(44)를 이용하여 제1 요입부(41) 및 제2 요입부(42)를 마감 처리한다. 먼저, 제2 요입부(42)에 유리솜을 채워넣는다. 유리솜의 상부, 즉 상기 제1,2 요입부(41,42)의 경계면에 접착성 테이프(60)를 이용하여 씰링한다. 이어서, 상기 제2 요입부(41)에 발포 우레탄 폼(43)을 채워넣어 현장에서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이 발포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요입부(41)를 마감 처리한다.
이어서, 상기 발포 우레판 폼(43)의 상면은 접착성 테이프(60)를 부착하여 마감하여, 단열장치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는,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은 고유의 우수한 접착성에 의해 상기 제2 요입부(41)의 완벽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은 소정의 밀도 및 탄성을 가지므로, 단열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저장탱크의 외벽(100)이 기온에 따라 팽창 내지 수축하더라고 그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형되므로 기온이 변화하더라도 항상 완벽한 기밀 및 단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우레탄 폼(43)은 현장에서 신속하게 발포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장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삽입봉(41)의 외주면에 상기 발포 우레판 폼(43)을 현장에서 발포시킴으로써, 상기 제1,2 관통홀(12,22)을 완벽하게 밀봉하여, 단열효과를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제1 단열판넬 11... 제1 단차부
12... 제1 관통홀 20... 제2 단열판넬
21... 제2 단차부 22... 제2 관통홀
30... 고정부재 31... 삽입봉
32... 체결부재 33... 가압부재
331... 기밀재 332... 가압판
333... 고정볼트 40... 이격공간단열부
41... 제1 요입부 42... 제2 요입부
43... 발포 우레탄 폼 44... 단열충진재
50... 보호판 60... 플렉시블 접착성 테이프
70... 발포 우레탄 폼

Claims (11)

  1. 저온탱크의 외벽에 설치되는 단열장치에 있어서,
    양측 단부에 제1 단차부(11)가 형성된 제1 단열판넬(10);
    상기 제1 단열판넬(1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양측 단부에 제2 단차부(21)가 형성된 제2 단열판넬(20);
    상기 제1 단열판넬(10) 및 상기 제2 단열판넬(20)을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 및
    상기 제1 단열판넬(10) 및 상기 제2 단열판넬(20)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차부(11) 및 제2 단차부(21)에 의해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1 요입부(41), 상기 제1 요입부(41)의 하측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2 요입부(42)라 할 때, 상기 제1 요입부(41)에 발포되어 채워지는 발포 우레탄폼(43)과, 상기 제2 요입부(43)에 채워지는 단열충진재(44)를 포함하는 이격공간단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열판넬(10,20)의 상면은 금속박판으로 된 보호판(5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제1 단열판넬(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12), 또는 상기 제2 단열판넬(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관통홀(22)에 삽입되는 내저온성 플라스틱 재질의 삽입봉(31);
    상기 삽입봉(31)의 일단부와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100)을 체결하는 체결부재(32);
    상기 삽입봉(31)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단열판넬(10) 또는 상기 제2 단열판넬(20)을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100)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3)는,
    상기 삽입봉(31)의 타단부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기밀재(331);
    상기 기밀재(331)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판(332); 및
    상기 가압판(332)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봉(331)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우레탄폼은 설치 현장에서 발포되고, 밀도는 30 ~ 50 Kg/㎥ 이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입부(41)와 상기 제2 요입부(42)의 경계면에는 알루미늄 소재가 포함된 접착성 테이프(6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충진재(44)는 유리솜(glass wo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입부(41)의 상면은 알루미늄 소재가 포함된 플렉시블한 접착성 테이프(60)에 의해 커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판넬(10) 및 상기 제2 단열판넬(20)은 경질의 폴리우레탄폼 또는 폴리스티렌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판넬(10) 및 상기 제2 단열판넬(20)의 하면과 상기 저온탱크의 외벽(100)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31)의 외주면에는 발포 우레탄폼(70)이 결합되어, 상기 제1,2 관통홀(12,22)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KR1020180141140A 2018-11-15 2018-11-15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KR10212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140A KR102121505B1 (ko) 2018-11-15 2018-11-15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140A KR102121505B1 (ko) 2018-11-15 2018-11-15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174A true KR20200057174A (ko) 2020-05-26
KR102121505B1 KR102121505B1 (ko) 2020-06-10

Family

ID=7091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140A KR102121505B1 (ko) 2018-11-15 2018-11-15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5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9012A1 (en) * 2020-07-09 2022-01-13 Lnt Marine Pte., Ltd. Method for applying insulation to a combined cylindrical tank, a combined cylindrical tank and use thereof
KR20230011517A (ko) * 2021-07-13 2023-01-25 케이씨엘엔지테크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577B1 (ko) * 2021-04-29 2022-12-22 케이씨엘엔지테크 주식회사 단열 구조체가 구비된 액화가스 화물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626A (ko) * 2009-05-26 2010-12-06 강림인슈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단열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KR20110037257A (ko) * 2009-10-06 2011-04-13 강림인슈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단열패널 및 단열패널 어셈블리
KR101180742B1 (ko) 2010-07-07 2012-09-07 한국과학기술원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단열 패널 및 이를 갖는 단열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626A (ko) * 2009-05-26 2010-12-06 강림인슈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단열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KR20110037257A (ko) * 2009-10-06 2011-04-13 강림인슈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단열패널 및 단열패널 어셈블리
KR101180742B1 (ko) 2010-07-07 2012-09-07 한국과학기술원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단열 패널 및 이를 갖는 단열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9012A1 (en) * 2020-07-09 2022-01-13 Lnt Marine Pte., Ltd. Method for applying insulation to a combined cylindrical tank, a combined cylindrical tank and use thereof
KR20230011517A (ko) * 2021-07-13 2023-01-25 케이씨엘엔지테크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505B1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505B1 (ko) 독립형 저온탱크용 단열장치
KR101399843B1 (ko) 화물창 방열 시스템
KR101751838B1 (ko) 앵커 스트립이 제거된 액화가스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구조, 그 인슐레이션 구조를 구비하는 화물창, 및 그 화물창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2323466B1 (ko)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11406176B (zh) 用于制造容器壁的隔热屏障的方法以及从而制造出的隔热屏障
AU2009238346B2 (en) Double barrier for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method for building the double barrier
KR101672221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방벽보강부재
KR102387173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90도 코너 부의 단열 구조, 및 그 단열 구조를 구비하는 화물창
KR102129561B1 (ko)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50140467A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
KR101422520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구조체
KR101625877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제작방법
KR101814445B1 (ko) 액화가스 화물창용 패널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액화가스 화물창
KR100799449B1 (ko) 개선된 지지 구조체를 갖는 lng 저장탱크
JP5916422B2 (ja) 液化ガスタンクの保冷構造、液化ガスタンク及び浮体構造物
KR101672209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20160004754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190081142A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2차 방벽을 포함하는 lng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1571416B1 (ko) 보강부재의 결합구조
KR10244991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RU2817467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с изоляционными антиконвективными уплотнениями
KR101713852B1 (ko) 2차 방벽 설치 구조 및 방법
CN113226912A (zh) 液化天然气储罐的绝热壁固定装置
KR20150100007A (ko) 2차 방벽 설치 구조 및 방법
KR102346695B1 (ko)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