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638A -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 Google Patents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638A
KR20200056638A KR1020180140550A KR20180140550A KR20200056638A KR 20200056638 A KR20200056638 A KR 20200056638A KR 1020180140550 A KR1020180140550 A KR 1020180140550A KR 20180140550 A KR20180140550 A KR 20180140550A KR 20200056638 A KR20200056638 A KR 20200056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rcass
decomposition
buried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성
심광보
Original Assignee
황재성
심광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성, 심광보 filed Critical 황재성
Priority to KR102018014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6638A/ko
Publication of KR2020005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9B3/0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1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adsorption ste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악취 및 침출수를 감소시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가축사체 매몰용 생 분해성 이중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일 정 깊이로 매몰지을 형성하는 단계와, 매몰지의 하부면 및 측면 위에 방수층을 형 성하는 단계와, 매몰지 하부면 위에 위치하는 방수층으로부터 지면 상부로 연장되 도록 침출수 배출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방수층 및 침출수 배출관 위에 침출수 정 수를 위한 여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여과층의 상부면에 다수의 제1 홈들을 형성 하는 단계와, 제1 홈 내에 제1 사체 분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사체 분해층 위에 살처분된 가축 사체를 포함하는 사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사체층의 상부면 에 다수의 제2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홈 내에 제2 사체 분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사체 분해층 위에 보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보온층 위에 복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Livestock carcass method using biodegradable double-tube}
본 발명은 악취 및 침출수를 감소시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이 발 생할 경우, 전염병에 감염된 가축이나 감염이 의심되는 가축은 모두 살처분되고, 살처분된 가축의 사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되는데, 그 중에서 지하에 묻는 매 몰 방식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매몰 방식은 지표면에 일정한 깊이의 구덩이를 판 후에 그 속에 가축 사체를 묻는 방식으로서, 비교적 신속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이지만, 부지 선정에 어 려움이 있고 환경 오염 가능성이 크며 처리 후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들이 있었
다.
그리고, 매몰 방식은, 가축 사체를 땅속에 묻기 때문에 공기 순환 부족으로 인하여 사체 분해 속도가 느려서 악취 및 유해 가스가 발생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 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축 사체를 매몰할 때 사용되는 생석회의 경우, 주로 살균 작용을 목
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매몰 지역 의 토양을 강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키므로,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죽어 악취와 침출수가 대량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석회와 사체발효제를 투입한 후에 살처 분 가축을 매몰하는 살처분 가축의 매몰 방법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5039호(2011.02.14)로 공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매몰 방법은, 여전히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느리게 하여 가축 사체의 부패에 의한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가 발생하여 토양 환경을 오염시 킬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질병 유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살처분된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향상시켜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 수를 감소시키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살처분 가축의 매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5039호(2011.02.14)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축사체층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홈 내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사체 분해층을 형성함으로써, 살처분 된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매몰지의 하부 영역에 여과층을 배치함으로써, 오염된 침출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체 분해층 내 에 미생물을 주입하기 위한 미생물 공급관을 설치함으로써, 살처분된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높여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중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환경의 온 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결정하여 사체 분해층 내에 주입함으로써, 미생물이 장시간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체층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사체 분해층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살처분된 가축 사 체의 분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이웃하는 홈 사이에 관통 공을 형성함으로써, 미생물이 관통 공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사체 분해층을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중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은, 지표면의 일정 깊이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매몰지에 가축사체들을 매몰하는 매몰 방법에 있 어서, 상기 가축사체의 분해시 발생하는 침출수가 지면으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 여, 상기 매몰지의 바닥면 또는 내벽면에 생분해성 비닐층을 설치하고, 이어 일정 두께로 피마자유층이 도포된 한지(韓紙)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가축사체의 분 해시 발생하는 침출수를 여과하고, 상기 가축사체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한지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되는 분해촉진조성물층과 톱밥층을 차례로 도포하 는 단계와; 상기 톱밥층의 내부에 상기 매몰지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 급하거나 상기 매물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침출수를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분해촉진조성물과 톱밥층의 상부에 가축사체층을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체층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홈 내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사체 분해층을 형성함으로써, 살처분된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향상시켜 악취 및 침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몰지의 하부 영역에 여과층을 배치함으로써, 오염된 침 출수를 정화시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체 분해층 내에 미생물을 주입하기 위한 미생물 공급관 을 설치함으로써, 살처분된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높여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환경의 온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를 결정하여 사체 분해층 내에 주입함으로써, 미생물이 장시간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체층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사체 분해층을 서로 엇 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살처분된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 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을 이용하여 가축사체를 매몰한 가축사체매몰구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의 외관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생 분해성 이중유공관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생 분해성 이중유공관에 구비된 수평 유공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 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 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 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 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 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생분해성 이 중유공관을 이용하여 가축사체를 매몰한 가축사체매몰구조의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 몰용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을 구비한 가축사체매몰구조는, 매몰지(10)의 바닥면 이나 내벽면 및 바닥면과 내벽면에 생분해성 비닐층(12)이 형성된다.
이어,생분해성 비닐층(12)의 상부에 한지(韓紙)층(14)이 형성된다.
이어, 한지층(14)의 상면 또는 내측면에 일정 두께로 피마자유층(16)이 형성 된다.
이어, 피마자유층(16)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제1 톱밥층(51)이 도포된다.
이어, 제1 톱밥층(51)의 내부에 매몰지(10)의 내부로 대기중의 공기를 지속 적으로 공급하거나 매물지(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흡 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이 설치된다.
이어, 제1 톱밥층(51)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제1 분해촉진조성물층(61)이 도 포된다.
이어, 제1 분해촉진조성물(61)의 상부에 제1 가축사체층(71)이 매립된다. 이어, 제1 가축사체층(71)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제2 톱밥층(53)이 도포된다. 이어, 제2 톱밥층(53)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제2 분해촉진조성물층(63)이 도 포된다.
이어, 제2 분해촉진조성물(63)의 상부에 제2 가축사체층(73)이 매립된다.
이어, 제2 가축사체층(73)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제3 톱밥층(55)이 도포된다. 이어, 제3 톱밥층(55)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제3 분해촉진조성물층(65)이 도포된다. 이어, 제3 분해촉진조성물(65)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복토층(80)이 도포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지표면과 상기 분해촉진조성물층 사이에 임의의 분해촉진 조성물층(61,63,65)에 미리 준비된 분해촉진용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는 생분해성 재질의 미생물 공급관(92,94)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서, 생분해성 비닐층(12), 한지 층(14), 피마자유층(1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몰지(10)의 내부에 매몰된 가축사체에서 발생하는 침출수가 토양으로 흘러들어감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오염 을 최소화하면서도 향후 가축사체가 완전히 분해되는 경우 토양오염 또한 최소화하 도록 친환경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정 깊이 매몰되도록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유공관(21,22)과, 제1 및 제2 수직 유 공관(21,22)의 하단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하면서도 가축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23a)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평 유공관(23)으로 이루어진다.
제1 수직 유공관(21)의 하단부와 수평 유공관(23)의 좌측 하단부에는 밑면에 제1 스파이크 핀(24a)이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1 연결관(24)이 연결되고, 제2 수직 유공관(22)의 하단부와 수평 유공관(23)의 우측 하단부에는 밑면에 제2 스파 이크 핀(25a)이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2 연결관(25)이 연결된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관(24,25)의 내부에는 수평 유공관(23)과 제1 또는 제 2 수직 유공관(21,22) 사이에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물의 통과를 방지하는 매쉬 망(29)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수직 유공관(21)의 상단부에는 ㄱ자 또는 ∩자 형상의 제1 엘보우 관(26)이 연결되고, 제2 수직 유공관(22)의 상단부에는 ㄱ자 또는 ∩자 형상의 제2 엘보우관(27)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우수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수직 유공관, 제1 및 제2 수평 유공관, 제1 및 제2 연결 관들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폴리유산(PLA : Poly Lactic Acid), 폴리카프로 락톤(PCL : Poly-Caprolactone)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유산 (PLA : Poly Lactic Acid)은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로 서, 뜨거운 음식을 담거나, 아기가 입으로 물거나 빨아도 환경호르몬은 물론, 중금 속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되지 않으며, 사용 중에는 일반 플라스틱과 동등한 특징을 가지지만 폐기시 미생물에 의해 100% 생분해되는 재질이고, 폴리카프로락톤(PCL : Poly-Caprolactone)은 탄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서 역시 폐기시 미생물에 의해 분 해되어 흡수되는 물질이다.
또한, 이중유공관들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내관(20a), 외관(20b), 내관(20a)과 외관(20b)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 리브(20c)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내관(20a)과 외관(20b)을 갖는 이중유공관은 단일벽으로 형성된 유공관에 비하여 하중압력에 견디는 힘이 클 뿐만 아니라 외 관(20b)이 손상되더라도 내관(20a)을 통해서 대기중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뿐만 아니라 매몰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내관(20a)과 외관(20b)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체(탄소편, 탄소봉 또는 탄소주머니)(28)가 삽입 설치되어 가축사체로부터 발생되 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관(24,25)의 내부에는 수평 유공관(23)과 제1 또는 제 2 수직 유공관(21,22) 사이에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물의 통과를 방지하는 매쉬 망(29)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또는 제2 분해촉진조성물층(61,63,65) 내에 삽입되는 제1 또는 제 2 미생물 공급관(92,94)의 끝단 영역에 다수의 제1 또는 제2 미생물 배출공들이 형 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또는 제2 미생물 배출공의 직경은, 제1 또는 제2 미생물 공급관(92,9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는데, 그이유는 외부 의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미생물을 보존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또는 제2 미생물 공급관(92,94)은, 제1 또는 제2 가축사체 층(71,73)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대기중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사체 분해 속도를 증가시키고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가축사체의 매몰지(10)에 복수개의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20',20")을 병렬로 설치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20',20")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 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20',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주면 절단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톰슨 가 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절개부(36)를 절단하여, 각각의 원형 절개부(36)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외부 연결부(38)에 외부 연결관(30)을 조립방식으로 결합시 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축사체의 매몰지(10)에 복수개의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20',20")을 일정 유지간격으로 병렬구조로 설치하는 경우, 서로 이웃한 생분 해성 이중유공관의 대칭구조인 임의의 원형 절개부(36)를 각각 절개하고, 별도의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인 외부 연결관(30)의 양측단부를 서로 이웃한 다른 외부연결 부(38)에 에 각각 조립방식으로 결합하여 병렬로 설치되는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의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연결관(30)의 직경은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20',2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에 원형 절개부(36)와 외부연결부(38)가 일체 형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조절된 각각의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20',20")을 정티(T)자 연결관(34) 및 십자(┼)관 형상의 연결 관(32)을 이용하여 생분해성 이중유공관인 외부 연결관(30)의 양측에 서로 연결되 도록 연결시킨다.
이처럼 다수의 생분해성 이중유공관(20,20',20")을 연결용 유공관(30)을 이
용하여 연결하면 최초 매립시에 매몰지(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공관(20,20',20")들이 별도의 지지체를 사용하거나 사람이 고정하고 있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축사체의 매몰작업 도중에 각각의 생 분해성 이중유공관(20,20',20")이 한쪽으로 기울거나 쓰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매몰작업 완료후에는 각각의 유공관(20,20',20")은 연결용 유공관(30) 및 연결 관(32,34)을 통하여 상호 연통되므로 다수의 유공관들중 어느 하나의 유공관이 손 상되더라도 나머지 유공관들의 통로를 통해서 외부공기가 지속적으로 매몰지의 내 부로 공급되거나, 매몰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침출수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복수개의 유공관을 외부연결관(30,32,34)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매몰지(10) 바닥면의 형태가 정사각형의 규격화되지 않고 불규 칙한 형태일지라도 유공관과 연결용 유공관을 연결하는 형태를 매몰지의 바닥면에 적합하도록 수정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지반구조를 갖는 매몰지에 설 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분해촉진조성물(60)은 다양한 조성물들을 사용할 수 있 는데, 참숯 8~12중량%, 향나무 중량6~10%, 맥반석 중량10~14%, 게르마늄 3~7중량%, 화이트카본 13~17중량%, 장석 5~9중량%, 석고 5~9중량%, 고령토 8~12중량%, 규회석 5~9중량%, 점토 11~15중량%, 일라이트 6~10중량%의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분말형태 의 조성물이나,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1 톱밥층(51), 제1 분해촉진조성물층(61), 제1 가축사체층(71)의 상부에 동일한 구조로 제2 톱밥 층(53), 제2 분해촉진조성물층(63), 제2 가축사체층(73)이 2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 으로 설명되었으나, 매몰지(10)의 깊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1 톱밥층(51), 제1 분해촉진조성물층(61), 제1 가축사체층(71)의 상부에 동일한 구조로 제2 톱밥 층(53), 제2 분해촉진조성물층(63), 제2 가축사체층(73)이 2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 으로 설명되었으나, 매몰지(10)의 깊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체층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사체 분해층을 서로 엇 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살처분된 가축 사체의 분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 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 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 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 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 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 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 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지표면의 일정 깊이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매몰지에 가축사체들을 매몰하는 매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축사체의 분해시 발생하는 침출수가 지면으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 여, 상기 매몰지의 바닥면 또는 내벽면에 생분해성 비닐층을 설치하고, 이어 일정 두께로 피마자유층이 도포된 한지(韓紙)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가축사체의 분해시 발생하는 침출수를 여과하고, 상기 가축사체의 분해 를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한지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되는 분해촉진조성물층 과 톱밥층을 차례로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톱밥층의 내부에 상기 매몰지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 거나 상기 매물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침출수를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생 분해성 이중유공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분해촉진조성물과 톱밥층의 상부에 가축사체층을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중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KR1020180140550A 2018-11-15 2018-11-15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KR20200056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50A KR20200056638A (ko) 2018-11-15 2018-11-15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50A KR20200056638A (ko) 2018-11-15 2018-11-15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38A true KR20200056638A (ko) 2020-05-25

Family

ID=7091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550A KR20200056638A (ko) 2018-11-15 2018-11-15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66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039A (ko) 2011-01-10 2011-02-14 김대석 가축 살처분 매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039A (ko) 2011-01-10 2011-02-14 김대석 가축 살처분 매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919B1 (ko) 살처분 가축의 매몰방법
Epstein et al. A forced aeration system for composting wastewater sludge
CA2443276C (en) Infiltration and gas recovery systems for landfill bioreactors
KR101766277B1 (ko) 살처분 매몰지의 환원 방법, 이를 이용한 유기 비료 제조방법
Amritha et al. Development of landscaped landfills using organic waste for sustainable urban waste management
KR101777279B1 (ko) 살처분 동물 사체의 재처리 방법
WO2017026593A1 (ko) 친환경 가축사체 처리시설 및 매몰처리방법
KR101184429B1 (ko) 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CN209923220U (zh) 厨余垃圾无害化处理装置
KR20200056638A (ko)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KR20180091668A (ko)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
KR102178012B1 (ko) 가축 사체 처리장치
KR20180091669A (ko)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KR101849881B1 (ko) 살처분 가축 매몰 처리장치
KR102417691B1 (ko) 매몰지 급속 안정화 살처분 가축 매몰 방법
CN109956645B (zh) 一种淤泥无害化凝缩绿化袋及方法
EP1920854A3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treating landfills or contaminated soil
KR20210116397A (ko) 차수매트를 이용한 가축 매립방법
KR10251428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가축사체 저장탱크
KR102010284B1 (ko) 담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CN110576020A (zh) 一种垃圾填埋场土壤污染修复方法
WO2010142940A1 (en) Compostable toilet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KR100523757B1 (ko) 악취 발생시설의 탈취장치
JP3412024B2 (ja) ダイオキシン類の低減剤及びそれを用いるダイオキン類の低減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