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668A -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 - Google Patents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668A
KR20180091668A KR1020170075853A KR20170075853A KR20180091668A KR 20180091668 A KR20180091668 A KR 20180091668A KR 1020170075853 A KR1020170075853 A KR 1020170075853A KR 20170075853 A KR20170075853 A KR 20170075853A KR 20180091668 A KR20180091668 A KR 2018009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ried
mixture
livestock
livestock carc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근
심광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8009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사체를 매몰하는 매몰지의 내부에 설치하는 유공관을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사용하여 가축사체가 완전히 분해될 때 유공관도 함께 분해될 수 있는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는, 매몰지의 바닥면 또는 내벽면에 설치되는 한지층과; 상기 한지층의 상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피마자유층과, 상기 피마자유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되는 톱밥층과, 상기 톱밥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매몰지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매물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악취 또는 침출수를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과, 상기 톱밥층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되는 분해촉진조성물층과, 상기 분해촉진조성물의 상부에 매립되는 가축사체층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Livestock carcass structure using biodegradable double-tube}
본 발명은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사체의 매몰지역의 내부에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하면서도 매몰된 가축사체의 분해에 따른 악취나 가스를 배출하거나 침출수 흡입하기 위한 유공관을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매몰지 및 이의 주변의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전염병에 감염되어 죽거나 감염이 의심되어 살처분한 가축 사체에 대해서 각 국가 또는 지자체는 자국 또는 자체 환경에 적합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는데, 주로 혐기성 분해(anaerobic digestion), 정제(rendering), 퇴비화(composting), 매몰(burial), 알칼리 가수분해(alkaline hydrolysis), 젖산 발효(lactic acid fermentation), 무처리 방식(nontraditionaltechnologies) 등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한국은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라 살처분 가축 사체에 대해 신속히 소각 또는 매몰을 하게 되어 있으나, 국내 여건상 주로 매몰에 의한 처리방법이 주류를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 12월 기준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살처분한 가축 사체는 전국 411개의 지점에 매몰되어 있는데, 해마다 발생하는 가축전염병에 의해 매몰해야 하는 가축 사체의 양은 앞으로 더욱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기에 매몰지역의 범위 또한지속적으로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가축전염병으로 살처분한 가축 사체의 매몰 시 잘못된 매몰방법 및 주변 환경인자의 불충분한 고려 등으로 인하여 심각한 악취발생이나 토양이나 지하수 오염과 같은 2차 환경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통상 닭, 오리, 돼지 등의 가축 사체를 땅 속에 매몰할 경우, 지상 밖에서 방치할 경우보다 공기 순환의 부족으로 사체 분해속도가 훨씬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데, 사체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악취나 가스가 계속 발생되어 매몰지 및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살처분 가축의 매몰 시 살균작용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생석회의 경우, 가축 사체의 분해속도를 방해할 뿐 아니라 매몰지역의 토양을 강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키기에 토양 속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미생물이 죽게되어, 결국 생석회와 함께 가축사체가 매몰된 매몰지에서는 심각한 악취와 침출수가 대량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15039호(2011. 02. 14)에서는 일정한 각도의 경사각이 있는 매립홀을 형성하여 비닐막을 설치하고, 상기 비닐막 상부에 소독약품, 생석회 및 사체발효제를 투입 후 가축사체를 매몰하여 복토하는 살처분 가축의 매립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독약품, 생석회, 사체발효제, 볏짚 거적의 경우, 현재 국내에서 매몰시 사용하고 일반적인 구성요소와 별다른 차이가 없을 뿐 아니라 구체적인 사체발효제에 대해서도 이를 특정하고 있지 않아 기존의 매몰방법과 비교하여 큰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97919(2011.12.16)에서는 가축전염병으로 살처분한 가축 사체를 매몰 후 가축 사체의 분해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킴과 동시에 매몰시 발생될 수 있는 악취발생, 토양 및 지하수 오염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살처분 가축의 매몰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매몰지에 매몰된 가축들이 완전하게 분해되어도 매몰지의 내부에 사용된 합성수지계열의 유공관이나 HDPE 필름지는 오랜 시간이 흘러도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가축사체 매몰지 및 이의 주변의 토양을 오염시킬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매몰지에 가축사체의 하부에 매립되는 유공관은 단일벽으로 제조된 유공관을 사용하는데 매몰지 내부에서 다량의 가축사체 및 매립지의 상부에 조성되는 토양의 하중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파손될 수 있다. 즉, 다량의 가축사체에 의한 하중압력은 일반적인 복토압력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고 유공관을 매립한 상태에서는 유공관의 손상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유공관이 손상되면 부패 가스 또는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작용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일정 크기의 매몰지에 다수의 유공관이 복수개 설치되더라도 각각의 유공관들 중 어느 하나의 유공관이 손상되거나 통로가 막히게 되면 해당 유공관이 설치된 지역은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매몰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 또는 침출수도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기술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15039(2011. 02. 14) (특허기술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97919(2011.12.16)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사체를 매몰하는 매몰지의 내부에 설치하는 유공관을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사용하여 가축사체가 분해될 때 유공관도 함께 분해될 수 있는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도 외부공기를 매몰지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하거나 매몰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가축사체를 매몰하는 매몰지에서의 가축사체의 분해속도를 높일 수 있는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는, 지표면의 일정 깊이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매몰지에 가축사체들을 매몰하는 매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매몰지의 바닥면 또는 내벽면에 설치되는 한지(韓紙)층과; 상기 한지층의 상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피마자유층과; 상기 피마자유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되는 톱밥층과; 상기 톱밥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매몰지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매물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악취 또는 침출수를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과; 상기 톱밥층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되는 분해촉진조성물층과; 상기 분해촉진조성물의 상부에 매립되는 가축사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에 따르면, 가축사체를 매몰하는 매몰지의 내부에 설치하는 유공관을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가축사체가 분해될 때 유공관도 함께 분해되어 토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도 유공관이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공기를 매몰지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하거나 매몰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 또는 침출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보다 가축사체의 완전한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축사체를 매몰하는 매몰지에서의 가축사체의 분해속도를 높일 수 있어, 가축사체의 재처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여 가축사체를 매몰한 가축사체매몰구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의 외관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에 구비된 수평 유공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은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변형 및 개선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여 가축사체를 매몰한 가축사체매몰구조의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구비한 가축사체매몰구조는, 매몰지(10)의 바닥면 이나 내벽면 및 바닥면과 내벽면에 설치되는 산화생분해성 비닐층(12)과, 산화생분해성 비닐층(1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지(韓紙)층(14)과, 한지층(14)의 상면 또는 내측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피마자유층(16)과, 피마자유층(16)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제1 톱밥층(51)과, 제1 톱밥층(51)의 내부에 설치되며, 매몰지(1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매물지(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흡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과, 제1 톱밥층(51)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제1 분해촉진조성물층(61)과, 제1 분해촉진조성물(61)의 상부에 매립되는 제1 가축사체층(71)과, 제1 가축사체층(71)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제2 톱밥층(53)과, 제2 톱밥층(53)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제2 분해촉진조성물층(63)과, 제2 분해촉진조성물(63)의 상부에 매립되는 제2 가축사체층(73)과, 제2 가축사체층(73)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제3 톱밥층(55)과, 제3 톱밥층(55)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제3 분해촉진조성물층(65)과, 제3 분해촉진조성물(65)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복토층(80)과, 지표면과 상기 분해촉진조성물층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임의의 분해촉진조성물층(61,63,65)에 미리 준비된 분해촉진용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는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의 미생물 공급관(92,9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산화생분해성 비닐층(12), 한지층(14), 피마자유층(1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몰지(10)의 내부에 매몰된 가축사체에서 발생하는 침출수가 토양으로 흘러들어감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오염을 최소화하면서도 향후 가축사체가 완전히 분해되는 경우 토양오염 또한 최소화하도록 친환경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정 깊이 매몰되도록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유공관(21,22)과, 제1 및 제2 수직 유공관(21,22)의 하단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하면서도 가축사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23a)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평 유공관(23)으로 이루어진다.
제1 수직 유공관(21)의 하단부와 수평 유공관(23)의 좌측 하단부에는 밑면에 제1 스파이크 핀(24a)이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1 연결관(24)이 연결되고, 제2 수직 유공관(22)의 하단부와 수평 유공관(23)의 우측 하단부에는 밑면에 제2 스파이크 핀(25a)이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2 연결관(25)이 연결된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관(24,25)의 내부에는 수평 유공관(23)과 제1 또는 제2 수직 유공관(21,22) 사이에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물의 통과를 방지하는 매쉬망(29)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수직 유공관(21)의 상단부에는 ㄱ자 또는 ∩자 형상의 제1 엘보우관(26)이 연결되고, 제2 수직 유공관(22)의 상단부에는 ㄱ자 또는 ∩자 형상의 제2 엘보우관(27)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우수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수직 유공관, 제1 및 제2 수평 유공관, 제1 및 제2 연결관들은 산화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재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화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폴리프로필렌(PP), PLA, PHA, PHB, PHV, PCL, PBAT 등 일반 석유유래 고분자와 생분해 고분자 중 용도에 맞게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고분자 수지에 3.0~5.0%의 산화생분해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생분해 첨가제는, 전체 산화생분해 첨가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10~70 중량부, 금속염 0.1~10 중량부, 금속이온활성화제 0.2~5, 자동산화제 0.2~6, 과산화물 0.01~1, 상용화제 0.5~5, 활제0.5~5, 무기필러 5~65가 혼합 및 압출성형된 원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소화된 셀룰로오스는, 왕겨, 옥피, 옥대, 대두피, 펄프 중에서 선택된 셀룰로오스를 80~300 메쉬의 미립자로 분쇄하여 셀룰로오스분말을 생성하고, 셀룰로오스 분말을 50~150℃에서 0.5~24시간 동안 가열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가열 건조된 셀룰로오스 분말에 왁스를 투입하고, 교반속도 300~800RPM으로 고속 교반하여 셀룰로오스 분말의 표면을 코팅하고, 표면 코팅된 셀룰로오스 분말에 소디움계 가소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염은 아세트산 무수물산성황산암모늄금속염, 금속 나프텐산염, 금속황산염, 금속규산염, 술포늄염,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중 하나이상을 사용하고 금속이온을 철, 구리, 망간, 바나듐, 아연, 세륨, 스칸듐 중에서 하나이상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이온활성화제는 구연산, 사과산, 말레산, 프로피온산, 파라니트로벤조익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산화제는 미리스트 올레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팔미트올레산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공관들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내관(20a), 외관(20b), 내관(20a)과 외관(20b)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리브(20c)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내관(20a)과 외관(20b)을 갖는 유공관은 단일벽으로 형성된 유공관에 비하여 하중압력에 견디는 힘이 클 뿐만 아니라 외관(20b)이 손상되더라도 내관(20a)을 통해서 대기중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뿐만 아니라 매몰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내관(20a)과 외관(20b)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체(탄소편, 탄소봉 또는 탄소주머니)(28)가 삽입 설치되어 가축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나 가스 또는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관(24,25)의 내부에는 수평 유공관(23)과 제1 또는 제2 수직 유공관(21,22) 사이에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물의 통과를 방지하는 매쉬망(29)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또는 제2 분해촉진조성물층(61,63,65) 내에 삽입되는 제1 또는 제2 미생물 공급관(92,94)의 끝단 영역에 다수의 제1 또는 제2 미생물 배출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또는 제2 미생물 배출공의 직경은, 제1 또는 제2 미생물 공급관(92,9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는데, 그이유는 외부의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미생물을 보존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또는 제2 미생물 공급관(92,94)은, 제1 또는 제2 가축사체층(71,73)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대기중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사체 분해 속도를 증가시키고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가축사체의 매몰지(10)에 복수개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20',20")을 병렬로 설치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20',20")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20',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주면 절단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톰슨 가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절개부(36)를 절단하여, 각각의 원형 절개부(36)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외부 연결부(38)에 외부 연결관(30)을 조립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축사체의 매몰지(10)에 복수개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20',20")을 일정 유지간격으로 병렬구조로 설치하는 경우, 서로 이웃한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의 대칭구조인 임의의 원형 절개부(36)를 각각 절개하고, 별도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인 외부 연결관(30)의 양측단부를 서로 이웃한 다른 외부연결부(38)에 에 각각 조립방식으로 결합하여 병렬로 설치되는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의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연결관(30)의 직경은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20',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에 원형 절개부(36)와 외부연결부(3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조절된 각각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20',20")을 정티(T)자 연결관(34) 및 십자(┼)관 형상의 연결관(32)을 이용하여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인 외부 연결관(30)의 양측에 서로 연결되도록 연결시킨다.
이처럼 다수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20',20")을 연결용 유공관(30)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최초 매립시에 매몰지(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공관(20,20',20")들이 별도의 지지체를 사용하거나 사람이 고정하고 있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축사체의 매몰작업 도중에 각각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20,20',20")이 한쪽으로 기울거나 쓰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매몰작업 완료후에는 각각의 유공관(20,20',20")은 연결용 유공관(30) 및 연결관(32,34)을 통하여 상호 연통되므로 다수의 유공관들중 어느 하나의 유공관이 손상되더라도 나머지 유공관들의 통로를 통해서 외부공기가 지속적으로 매몰지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매몰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침출수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복수개의 유공관을 외부연결관(30,32,34)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매몰지(10) 바닥면의 형태가 정사각형의 규격화되지 않고 불규칙한 형태일지라도 유공관과 연결용 유공관을 연결하는 형태를 매몰지의 바닥면에 적합하도록 수정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지반구조를 갖는 매몰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분해촉진조성물(60)은 다양한 조성물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견운모, 사문옥,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모나자이트, 질석, 맥반석, 장석, 및 규회석으로 구성된 광물질을 동일한 중량비율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얻고, 제1 혼합물 100 중량부에 참숯 5 내지 15 중량부 및 왕겨 2 내지 5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얻고, 퍼라이트(pearlite), 일라이트(illite), 리내아이트(linnaeite), 및 휘코발트석(cobaltite)을 동일한 중량비율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얻고, 제2 혼합물 100 중량부에 제3 혼합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얻고, 제4 혼합물에 접착제를 가하고, 가열하고 압력을 가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접착제는 녹말풀 100 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 접착제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초산비닐 에멀젼 접착제 10 내지 20 중량부, 메칠디이소시아네이트 접착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운모, 사문옥,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모나자이트, 질석, 맥반석, 장석, 및 규회석은 각각 평균 입도가 550 내지 650 메쉬인 것을 사용하고, 퍼라이트(pearlite), 일라이트(illite), 리내아이트(linnaeite), 및 휘코발트석(cobaltite)는 각각 평균 입도가 500 내지 600 메쉬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1 톱밥층(51), 제1 분해촉진조성물층(61), 제1 가축사체층(71)의 상부에 동일한 구조로 제2 톱밥층(53), 제2 분해촉진조성물층(63), 제2 가축사체층(73)이 2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매몰지(10)의 깊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매몰지 12 : 산화생분해성 비닐
14 : 한지층 16 : 피마자유층
20,20',20'': 유공관 21,22 : 제1,2 수직관
23 : 수평관 24,25 : 제1,2 연결관
26,27 : 제1,2 엘보우관 28 : 탄소체
29 : 매시망 30 : 연결용 유공관
32 : 십자 연결관 34 : 정티자 연결관
36 : 원형 절개부 38 : 외부연결부
51~55 : 톱밥층 61~65 : 분해촉진조성물층
71,73 : 가축사체층 80 : 복토층
92,94 : 미생물 공급관

Claims (3)

  1. 지표면의 일정 깊이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매몰지에 가축사체들을 매몰하는 매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매몰지의 바닥면 또는 내벽면에 설치되는 한지(韓紙)층과;
    상기 한지층의 상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피마자유층과;
    상기 피마자유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되는 톱밥층과;
    상기 톱밥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매몰지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매물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악취 또는 침출수를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산화생분해성 유공관과;
    상기 톱밥층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설치되는 분해촉진조성물층과;
    상기 분해촉진조성물의 상부에 매립되는 가축사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구비한 가축사체매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폴리프로필렌(PP), PLA, PHA, PHB, PHV, PCL, PBAT 등 일반 석유유래 고분자와 생분해 고분자 중 용도에 맞게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고분자 수지에 3.0~5.0%의 산화생분해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며;
    상기 산화생분해 첨가제는, 전체 산화생분해 첨가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10~70 중량부, 바인더 고분자 5~75 중량부, 금속염 0.1~10 중량부, 금속이온활성화제 0.2~5, 자동산화제 0.2~6, 과산화물 0.01~1, 상용화제 0.5~5, 활제0.5~5, 무기필러 5~65가 혼합 및 압출성형된 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촉진조성물층은,
    견운모, 사문옥,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모나자이트, 질석, 맥반석, 장석, 및 규회석으로 구성된 광물질을 동일한 중량비율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얻고, 제1 혼합물 100 중량부에 참숯 5 내지 15 중량부 및 왕겨 2 내지 5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얻고, 퍼라이트(pearlite), 일라이트(illite), 리내아이트(linnaeite), 및 휘코발트석(cobaltite)을 동일한 중량비율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얻고, 제2 혼합물 100 중량부에 제3 혼합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얻고, 제4 혼합물에 접착제를 가하고, 가열하고 압력을 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
KR1020170075853A 2017-02-07 2017-06-15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 KR201800916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6770 2017-02-07
KR1020170016770 2017-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668A true KR20180091668A (ko) 2018-08-16

Family

ID=6344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853A KR20180091668A (ko) 2017-02-07 2017-06-15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6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005B1 (ko) * 2019-02-27 2019-04-15 주식회사 그린바이오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KR102417691B1 (ko) * 2021-08-26 2022-07-07 이완석 매몰지 급속 안정화 살처분 가축 매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039A (ko) 2011-01-10 2011-02-14 김대석 가축 살처분 매립방법
KR101097919B1 (ko) 2011-05-23 2011-12-22 주식회사 바이오테크 살처분 가축의 매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039A (ko) 2011-01-10 2011-02-14 김대석 가축 살처분 매립방법
KR101097919B1 (ko) 2011-05-23 2011-12-22 주식회사 바이오테크 살처분 가축의 매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005B1 (ko) * 2019-02-27 2019-04-15 주식회사 그린바이오 살처분 가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KR102417691B1 (ko) * 2021-08-26 2022-07-07 이완석 매몰지 급속 안정화 살처분 가축 매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over et al. Polythene and environment
US20140230954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rosion
DE69632960T2 (de) System und verfahren zur kompostierung
KR20180091668A (ko) 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구조
KR101777279B1 (ko) 살처분 동물 사체의 재처리 방법
CA254553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imal waste into bedding or soil amendment
CN106694540A (zh) 一种有机氯农药污染土壤修复方法
KR20180091669A (ko) 가축사체 매몰용 산화산화생분해성 유공관을 이용하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DE3725988C2 (de) Verfahren zum Humifizieren von Klärschlämmen
TWI398310B (zh) 用以加強受污染土壤及地下水之化學氧化整治的可分解緩釋物質
CN107935357B (zh) 一种疏浚底泥就地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2392486B1 (ko) 차수매트를 이용한 가축 매립방법
CN102476966A (zh) 一种环保生态有机肥
KR20200056638A (ko)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가축사체 매몰방법
EP1511701B1 (de) Verfahren zur verrottung von müll mittels einer adsordierenden plane
JP2004237260A (ja) 生物分解可能な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メタンガス回収装置
CN207699437U (zh) 一种疏浚底泥就地处理系统
CN110576020A (zh) 一种垃圾填埋场土壤污染修复方法
Kim et al. Development of soil surface hardening mulching system by using paper mill sludge ash
JP2794076B2 (ja) リサイクル緑化基盤形成工法
JP2012050958A (ja) 覆土材料
JP4019069B2 (ja) 地中埋設管の分解促進方法、および地盤処理並びに調査方法
JPH04131171A (ja) ごみ処理方法
CN220550120U (zh) 一种污泥和建筑垃圾的资源化处理系统
DE10241224A1 (de) Verfahren zur Verottung von Müll mittels einer adsorbierenden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